KR20120113512A - Identifying apparatus of road sign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dentifying apparatus of road sign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3512A KR20120113512A KR1020110031257A KR20110031257A KR20120113512A KR 20120113512 A KR20120113512 A KR 20120113512A KR 1020110031257 A KR1020110031257 A KR 1020110031257A KR 20110031257 A KR20110031257 A KR 20110031257A KR 20120113512 A KR20120113512 A KR 201201135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ad sign
- coating layer
- identification
- light emitting
-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group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72168 La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71 vacuum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유도하는 문양(110)이 형성된 도로 표지판(10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문양(110)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발광수단(A); 상기 발광수단(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수단(A)은 상기 문양(110)의 형상대로 제작되며 내측에 공간을 갖는 프레임(1);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정한 면적을 갖는 발광체(2);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충진되며 상기 발광체(2)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층(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pplied to a road sig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ing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road sign 100 in which the pattern 110 for induc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is formed, and the light emitting means A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pattern 110. );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A), wherein the light emitting means (A) is made in the shape of the pattern (110) and has a space therein; A light emitter 2 inserted into the frame 1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ating layer 3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frame 1 and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light emitter (2).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지시, 규제, 주의 및 정보를 표시하는 표식이 형성된 도로표지판에서 표식에 발광성능을 부가하여 야간은 물론 시야 확보가 난해한 주간에도 선명한 시인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발광 가능한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apparatus applied to a road sig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dd a luminous performance to a sign on a road sign on which a sign indicating a road's instructions, regulations, cautions and information is forme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be applied to a road sign capable of ensuring clear visibility even in difficult daytime visibility.
일반적으로 예시를 들자면 도로의 커브 구간에는 진행 방향을 표시하고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유발하기 위해 커브 구간을 따라 다수의 도로 표지판이 설치된다.In general, for example, a plurality of road signs are installed along a curve section in order to indicate a direction of travel and alert the driver.
상기 도로 표지판의 주된 형상으로는 갈매기 형상, 즉 "<"형상을 많이 사용하게 된다.As the main shape of the road sign, a seagull shape, that is, a "<" shape is often used.
이러한 도로 표지판은 사각형의 금속 평판에 갈매기 모양의 적색 반사지를 부착시켜 지주 상측에 고정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 형태를 완성하고 야간에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환기시켜 줌으로써 차량의 도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se road signs are attached to a rectangular metal plate with red chevrons shaped like chevrons and fix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rut. It is designed to prevent.
그런데 근래에는 고령 인구의 증가로 인해 운전자의 연령이 고령화되어 가고 있어 식별능력이나 상황 대처 능력이 떨어지므로 미처 도로표지판을 발견하지 못하고, 또한 즉각 대응을 못 하는 상황이 생기게 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고 있다.However, in recent years, the age of the driver is aging due to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ability to identify and cope with the situation decreases, so that the road signs are not found, and the situation is not immediately available. have.
더구나 황사나 기타 스모그 발생 등 불안정한 일기 상황이 겹쳐지면 주간에도 도로표지판의 식별이 어려워짐으로써 사고의 위험성은 더욱 배가될 수밖에 없었다.In addition, when unstable weather conditions such as yellow dust and other smog occurrences overlap, road signs become difficult to identify even during the day, thereby increasing the risk of an accident.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로표지판의 식별성능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In view of these problems, various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performance of road signs.
상기 선행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1-0008109호의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갈매기 도로표지판」이 출원된 바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gull road sign using solar energy"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1-0008109 has been filed.
상기 선행 특허는 도로상에 설치되고,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는 할 수 있는 갈매기 도로표지판에 있어서, 지주에 고정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발광 다이오드를 수십 개 형성한 회로용 기판을 고정하되, 상측에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된 알루미늄 박막 층을 수용한 발광체와 프리즘을 적용한 갈매기 기호체인 렌즈를 커버의 저면에 형성된 연결구에 고정시키고 상기 커버를 다시 하우징에 형성된 고정구에 결합하여 보울트를 이용해 체결하도록 구성된다.The preceding patent is a gull road sign that is installed on a road and can drive a vehicle by using a solar cell, and fixes a circuit board having dozens of light emitting diodes formed inside a housing fixed to a support. However, the light emitting body and the chevron symbol applying the prism to the aluminum thin film layer formed by vacuum deposition on the upper side is fixed to the connector formed on the bottom of the cover and the cover is coupled to the fixture formed in the housing to fasten using bolts. It is com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 기술은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고 있어 태양광에 의해 축전되는 전력량에 비해 많은 양의 전력을 소비하므로 일기가 불순한 장마철에는 축전 된 전력량으로 하루 이상의 발광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uses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us consumes a large amount of power compared to the amount of power stored by solar light.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xpect more than one day of light emission due to the amount of stored power in the rainy seas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 설치되어 있는 도로 표지판에 장착시켜 설치비용은 절감되면서도 시인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도록 한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n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is applied to the road sign to be installed on the existing road sign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and to improve the visibility significantly. Its purpose is to.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되 비교적 전력량의 소모가 적은 전계발광소자를 적용함으로써 태양 발전이 어려운 날씨에도 충분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oad sign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by using the solar light as an energy source, but by applying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that consumes relatively little amount of power so that it can be fully operated even in difficult weather for solar power generation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dentification enhancing apparatus.
한편, 본 발명은 이동이나 가공, 부착과 같은 작업성이 엘이디에 비해 현저히 낮아 상업적인 적용이 어려운 전계발광체인 박막 무기 이엘을 모듈화하여 안정적인 제작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oduction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to make a stable production and installation by modularizing the thin-film weapon EL, which is difficult to commercially applied, the workability such as movement, processing, attachment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ED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유도하는 문양이 형성된 도로 표지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문양의 일부 위에 부착되는 발광수단; 상기 발광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mounted on the road sign is formed with a pattern for induc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the light emitting means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pattern; It can be achieved by the identification strengthening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상기 발광수단은 내측에 공간을 갖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정한 면적을 갖는 발광체;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충진되며 상기 발광체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emitting means includes a frame having a space inside; A light emitter inserted into the frame and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ating layer which is filled in the inside of the frame and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light emitter.
상기 발광체는 전계발광소자로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코팅층은 투명의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외부코팅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외부코팅층은 특정 색상을 갖는 UV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emitting body is made of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the coating layer is made of a transparent epoxy or urethane material, an outer coating layer is further formed on top of the coating layer, the outer coating layer is made of a UV epoxy or urethane material having a specific color It is characterized by.
상기 발광체의 하부에 다공질의 폴리메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orous polymesh is further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emitter.
상기 전원공급부는 태양광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ower supply unit is characterized by using sunlight or commercial power.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유도하는 문양이 형성된 도로 표지판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문양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발광수단과, 상기 발광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식별강화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문양의 테두리에 부착되도록 일정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을 제작하는 1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발광체를 부착시키는 2단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투명의 코팅재를 주입하여 상기 발광체가 매립되도록 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3단계; 상기 코팅층의 상부에 특정 색상을 갖는 외부코팅재를 주입하여 외부코팅층을 형성하는 4단계; 의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mounted on the road sign is formed with a pattern for inducing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ncludes a light emitting mean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pattern,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ing device, The light emitting means,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설치되어 있는 도로 표지판에 장착시켜 설치비용은 절감되면서도 시인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on the existing road signs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visibility while reducing the installation cos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safe driving.
또한, 전력량의 소모가 적은 전계발광소자를 적용함으로써 태양 발전이 어려운 날씨에도 충분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low power consumption, the device can be sufficiently operated even in a weather in which solar power generation is difficult,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can be secured, thereby driving safe driv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강화장치가 부착된 도로 표지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강화장치가 부착된 도로 표지판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식별강화장치의 일 부위를 확대한 분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식별강화장치의 일 부위를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강화장치에 적용되는 '발광수단'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sign with an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road sign with an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in which a portion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ing device of FIG. 2 is enlarged;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ing device in FIG.
Figure 5 is a flow chart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pplied to the identification enhan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별강화장치가 부착된 도로 표지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강화장치가 부착된 도로 표지판을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식별강화장치의 일 부위를 확대한 분해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 식별강화장치의 일 부위를 확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별강화장치에 적용되는 '발광수단'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ad sign with an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road sign with an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one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in Figure 2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ing device in FIG. 2, and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light emitting means' applied to the identification reinfor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유도하는 문양(110)이 형성된 도로 표지판(100)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문양(110)의 일부위, 특히 테두리에 부착되는 발광수단(A); 상기 발광수단(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mounted on the
통상 도로 표지판(100)은 도로명이나 거리명이 기재된 용도 또는 차량 주행 방향을 유도하는 용도의 것으로 구별될 수 있을 것이다.In general, the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실시예는 차량 주행 방향을 유도하도록 황색의 바탕면에 흑색으로 갈매기 문양, 즉 "<"형 문양이 표시된 도로 표지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Embodiments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ainly on the road sign in which the seagull pattern, that is, the "<" type pattern is displayed in black on the yellow ground to guid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물론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반드시 이런 문양의 도로 표지판에만 한정되지 않고, 글자 또는 다양한 형태의 표식이 형성된 도로 표지판에도 공히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Of course, this is just one exampl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pattern of road signs, it is noted that it can be applied to road signs formed with letters or various forms of signs.
발광수단(A)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110)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문양의 형상을 두드러지게 부각시킴으로써 확연한 식별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문양(110)의 형상대로 제작되며 내측에 공간을 갖는 프레임(1);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정한 면적을 갖는 발광체(2);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충진되며 상기 발광체(2)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층(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to 4, the light emitting unit A is attached to the edge of the
프레임(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발광체(2) 및 코팅층(3)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와 면적을 갖는 공간이 마련된 것으로, 비교적 단단한 재질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발광체(2)는 프레임(1) 내의 공간에 삽입되며, 그 형상은 일정한 면적으로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체(2)는 전계발광소자가 적용되며, 특히 박막무기 이엘(EL)이 적합하다.More specifically, the
엘이디나 전구등은 점 광원에 해당되는데 반해 본 발명의 발광체(2)는 2차원적인 면 광원에 해당되므로 넓은 면적에 대하여 광을 방사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The LED or light bulb corresponds to a point light source, whereas the
또한, 엘이디 또는 전구등은 열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발광체(2)는 발열이 극히 적은 장점이 있다.In addition, LEDs or bulbs have the disadvantage that heat is generated, but the
그리고 본 발명의 발광체(2)인 전계발광소자는 1.0mm 이내의 두께이므로 초박형이며, 휘도의 균일성이 높아 태양광을 이용한 발광체로 가장 적합한 장점이 있다.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which is the
그리고 소비전력이 매우 낮고 다양한 색상과 디자인이 가능하여 설계의 다양성을 충족할 수 있다.
In addition, power consumption is very low and various colors and designs are available to satisfy the diversity of designs.
한편 코팅층(3)을 구성하는 재료는 투명의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즉 발광체(2)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고, 외력에 의한 발광체(2)의 손상을 방지하고, 절연될 수 있도록 코팅층(3)이 형성된다.
That is, the
아울러 코팅층(3)의 상부에는 외부코팅층(4)이 더 형성된다. In addition, an
상기 외부코팅층(4)은 특정 색상을 갖는 UV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이 바람직하며, 통상 기 설치된 도로 표지판의 규격 색상과 부합되도록 '황색'이 적용된다. 물론 색상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The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체(2)의 하부에 다공질의 폴리메쉬(7)가 더 부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4, the
즉 프레임(1)의 내측 공간에 폴리메쉬(7)를 먼저 삽입하고, 상기 폴리메쉬(7)의 상부에 발광체(2)를 배치한다. That is, the
이렇게 폴리메쉬(7)를 설치하는 경우 프레임(1)과 발광체(2)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다음 공정인 코팅층(3)의 형성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When the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미도시)는 발광체(2)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태양광을 이용하거나 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not shown)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즉 쏠라 셀과 축전지를 구비하여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solar cell and the storage battery can be used to convert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또는 외부에서 직접 상용 전원을 연결할 수 있을 경우에는 전원선에 직접 연결하되 적정 전압으로 변환시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commercial power can be connected directly from the outside, i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ower line but converted to the appropriate voltage to supply electrical energy.
또는 배터리 팩을 구비하여 배터리를 이용한 전기에너지의 공급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a battery pack may be provided to supply electric energy using a battery.
한편, 본 발명은 발광체(2)가 박막형의 전계발광소자이므로 두께가 얇아 흐늘거려 작업성이 떨어지므로 상업적으로 적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므로 이를 보완하여 작업성을 향상시켜 어떠한 형태나 위치에도 부착시킬 수 있도록 발광수단을 모듈화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commercially because the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별강화장치에 적용되는 모듈화 된 '발광수단'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4,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odular 'light emitting means' applied to the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발광수단(A)은, 문양(110)의 테두리에 부착되도록 일정한 형상을 갖는 프레임(1)을 제작하는 1단계(S1);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발광체(2)를 삽입하는 2단계(S2);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투명의 코팅재를 주입하여 상기 발광체(2)가 매립되도록 하여 코팅층(3)을 형성하는 3단계(S3); 상기 코팅층(3)의 상부에 특정 색상을 갖는 외부코팅재를 주입하여 외부코팅층(4)을 형성하는 4단계(S4)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Light emitting means (A), the first step (S1) for producing a frame (1)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to be attached to the edge of the pattern (110); Inserting a light emitter (2) into the frame (1) (S2); A third step (S3) of forming a coating layer (3) by injecting a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into the frame (1) to embed the light emitting body (2); It is manufactured by a process comprising a four step (S4) of forming an
상기 1단계(S1)는 프레임(1)을 제작하는 것으로, 비교적 단단한 재질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재질로 하며,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그 단면이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step (S1) is to produce a frame (1), the relatively hard material is made of plastic or metal material,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the cross section is made of approximately '└┘' shape. .
상기 2단계(S2)의 발광체(2)는 전계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체(2)의 하부에 다공질의 폴리메쉬(7)가 부착된다.The
상기 3단계(S3)의 코팅층(3)은 투명의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4단계(S4)의 외부코팅층(4)은 특정 색상을 갖는 UV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발광체(2), 코팅층(3), 외부코팅층(4)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프레임(1)의 내부에 폴리메쉬(7)와 발광체(2)를 순차적으로 삽입하고, 코팅층(3) 및 외부코팅층(4)을 형성하는 코팅재를 충진시킨 후 응고시켜 발광수단(A)을 완성한다.The
이렇게 완성된 발광수단(A)을 도로 표지판(100)에 장착시킨다. 즉 도로 표지판(100)에 형성된 문양(110)의 테두리에 맞도록 정위치시킨다.The completed light emitting means (A) is mounted on the
이후 프레임(1)과 도로 표지판(100)을 볼트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구(6)를 이용하여 결합시킨다.After that, the
이후 발광체(2)와 연결된 전원선(5)을 전원공급부와 연결시켜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Then, the
따라서 전원 인가에 의해 발광수단(A)의 발광체(2)가 온(ON)되면 광 표출에 의해 문양(110)의 형상이 뚜렷하게 부각될 수 있으므로 야간은 물론 안개가 낀 주간에도 식별성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어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또한, 발광체(2)의 발광모드는 점등 모드 또는 점멸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 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mode of the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ll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ing accompanied by It is obvious that the claims belong to the claims.
1 : 프레임 2 : 발광체
3 : 코팅층 4 : 외부코팅층
5 : 전원선 6 : 체결구
7 : 폴리메쉬 1
3: coating layer 4: outer coating layer
5
7: polymesh
Claims (11)
상기 문양(110)의 일부 위에 부착되는 발광수단(A);
상기 발광수단(A)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To be mounted on the road sign 100 is formed with a pattern 110 to induc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Light emitting means (A) attached to a portion of the pattern (110);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A)
Identification strengthening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발광수단(A)은
상기 내측에 공간을 갖는 프레임(1);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삽입되는 면상의 발광체(2);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충진되며 상기 발광체(2)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코팅층(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light emitting means (A)
A frame having a space therein;
A planar light emitting body 2 inserted into the frame 1;
A coating layer 3 filled in the inside of the frame 1 and form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light emitter 2.
Identification strengthening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발광체(2)는 전계발광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light-emitting body (2)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 electroluminescent element.
상기 코팅층(3)은 투명의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coating layer (3)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ransparent epoxy or urethane material.
상기 코팅층(3)의 상부에 외부코팅층(4)이 더 형성되며,
상기 외부코팅층(4)은 특정 색상을 갖는 UV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coating layer 4 is further formed on the coating layer 3,
The outer coating layer (4)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UV epoxy or urethane material having a specific color.
상기 발광체(2)의 하부에 다공질의 폴리메쉬(7)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2,
An identification reinforcing device applied to a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ous poly mesh (7) is further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ght emitter (2).
상기 전원공급부는
쏠라 셀과 축전지로 구성되어 태양광을 전원으로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또는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It is composed of a solar cell and a storage battery, the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is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 of converting sunlight into a power source or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상기 발광수단(A)은
상기 문양(110)의 테두리에 부착되는 프레임(1)을 제작하는 1단계(S1);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발광체(2)를 삽입하는 2단계(S2);
상기 프레임(1)의 내부에 투명의 코팅재를 주입하여 상기 발광체(2)가 매립되도록 하여 코팅층(3)을 형성하는 3단계(S3);
상기 코팅층(3)의 상부에 특정 색상을 갖는 외부코팅재를 주입하여 외부코팅층(4)을 형성하는 4단계(S4)
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의 제조방법.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ing device comprising a light emitting means (A) attached to the edge of the pattern 110 of the road sign 100,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A),
The light emitting means (A)
One step (S1) of producing a frame (1) attached to the border of the pattern (110);
Inserting a light emitter (2) into the frame (1) (S2);
A third step (S3) of forming a coating layer (3) by injecting a transparent coating material into the frame (1) to embed the light emitting body (2);
Fourth step (S4) of forming an outer coating layer 4 by injecting an outer coating material having a specific color on top of the coating layer (3)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ing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nufactured by a process comprising a.
상기 발광체(2)의 하부에 다공질의 폴리메쉬(7)가 부착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8,
And a porous polymesh (7)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light emitter (2).
상기 2단계(S2)의 발광체(2)는 전계발광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3단계(S3)의 코팅층(3)은 투명의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8,
The light emitter 2 of the second step (S2) is made of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The coating layer (3) of the third step (S3)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transparent epoxy or urethane material.
상기 4단계(S4)의 외부코팅층(4)은 특정 색상을 갖는 UV 에폭시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판에 적용되는 식별강화장치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er coating layer (4) of the step 4 (S4)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dentification reinforcement device applied to the road sign,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UV epoxy or urethane material having a specific colo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1257A KR20120113512A (en) | 2011-04-05 | 2011-04-05 | Identifying apparatus of road sign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1257A KR20120113512A (en) | 2011-04-05 | 2011-04-05 | Identifying apparatus of road sign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3512A true KR20120113512A (en) | 2012-10-15 |
Family
ID=4728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1257A KR20120113512A (en) | 2011-04-05 | 2011-04-05 | Identifying apparatus of road sign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13512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8698B1 (en) * | 2014-01-24 | 2014-05-27 | 주식회사 엔라이트 | Method for constructing desorptable light traffic sign |
KR102522470B1 (en) * | 2022-09-21 | 2023-04-17 | 남종석 | Outdoor signage fixing bracket and sig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2011
- 2011-04-05 KR KR1020110031257A patent/KR20120113512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8698B1 (en) * | 2014-01-24 | 2014-05-27 | 주식회사 엔라이트 | Method for constructing desorptable light traffic sign |
KR102522470B1 (en) * | 2022-09-21 | 2023-04-17 | 남종석 | Outdoor signage fixing bracket and sig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9499B1 (en) | Solar Road Sign | |
CN101956947A (en) | Illumination device | |
KR200484132Y1 (en) | a traffic sing device having warning function | |
KR100933315B1 (en) | Road Sign Bottle Using Linear Light Source | |
KR101085423B1 (en) | Energy-saving surface emitting road signs using sandwich method | |
CN209657733U (en) | Self-luminous Penetrating Fog sign board | |
KR20120113512A (en) | Identifying apparatus of road sign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100864734B1 (en) | Outdoor lighting | |
KR20140054835A (en) | Traffic safety sign that apply electro luminescence | |
CN102529835A (en) | Light-emitting method for vehicle sign, mark or license plate | |
JP5405385B2 (en) | Self-luminous LED traffic sign | |
CN202056741U (en) | Mine illuminating lamp | |
JPWO2013024897A1 (en) | Information display board | |
CN207878319U (en) | self-luminous road sign | |
CN201195829Y (en) | Luminous road cone | |
KR20140144409A (en) | A indicating lamp on street | |
KR101246663B1 (en) | a lighting blocks | |
KR20150020873A (en) | Self luminous type load safty indicator | |
CN221366861U (en) | Luminous mark of automobile steering wheel | |
CN204898542U (en) | Novel traffic sign | |
KR100995015B1 (en) | Phosphorescent panel | |
CN201158338Y (en) | Electronic lamp box license plate | |
KR101150706B1 (en) | Lighting display panel | |
TWM563385U (en) | Seat tube with luminous function | |
KR200355475Y1 (en) | Light Emitting Sign Board Using Sun H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7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