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0674A - Wireless charger f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Wireless charger f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0674A KR20120110674A KR1020110028686A KR20110028686A KR20120110674A KR 20120110674 A KR20120110674 A KR 20120110674A KR 1020110028686 A KR1020110028686 A KR 1020110028686A KR 20110028686 A KR20110028686 A KR 20110028686A KR 20120110674 A KR20120110674 A KR 201201106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power transmission
- magnet
- housing
- wireless charg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로써,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는, 내부에 송전코일이 장착된 충전기와; 상기 송전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수전코일이 장착되어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키는 충전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기는, 상부에 상기 충전케이스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충전케이스가 배치되는 상방향으로 코어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상기 송전코일이 권취된 플레이트와;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송전코일에 전류를 인가시키는 송전회로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방향으로 지지하고, 하부에 상기 송전회로모듈이 장착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r with a transmission coil therein; A power receiving coil magnetically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to generate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the charging case configured to charge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harger comprises: a housing having the charging case disposed on the top; A plate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protruding to form a core in an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charging case is disposed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A power transmission circuit modu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apply current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I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plate is mounted on the upper to support the plate in an upward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member for mounting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module in the lower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로써, 유도기전력을 이용한 무선 충전시스템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system using an induced electromotive force.
이동통신단말기, PDA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에는 재충전 가능한 2차전지(배터리)가 장착된다.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PDAs are equipped with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ies (batteries).
2차전지(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서는 가정용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의 배터리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하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하다. In order to charge the secondary battery (battery), a separate charging device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to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using a commercial power source for the home is required.
통상적으로, 충전장치와 배터리에는 외부에 각각 별도의 접촉 단자가 구성되어 있어서, 두 접촉 단자를 서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Typically, a separate contact terminal is configured on the outside of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harging device and the battery by connecting the two contact terminals to each other.
그러나 이와 같이 접촉 단자가 외부에 돌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고 접촉 단자가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ntact terminal protrudes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tact state is not good and the contact terminal is contaminated with external foreign matters so that the contact state is easily poor.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로 배터리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ttery is inadvertently shorted or exposed to moisture, the charging energy may be easily lost.
등록특허 10-0746786에는 접촉식 충전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충전장치와 배터리를 무접점 방식으로 충전하는 무접점 충전 시스템이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tact charging method, a non-contact charging system for charging a charging device and a battery in a contactless manner has been proposed.
도 1은 종래의 무선충전용 배터리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무선충전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battery case,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device.
종래의 무선충전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케이스(150)와 충전용 패드(200)로 이루어진다.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device 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상기 배터리 케이스(150)에는 배터리 투입구(103)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투입구(103)에 휴대단말기의 배터리(10)가 삽입된다.A
휴대단말기 배터리(10)는 상기 배터리 투입구(103)에 삽입되어 상기 배터리 투입구(103) 내부에 형성된 단자에 접하게 된다.The
상기 배터리 케이스(150)는 상기 배터리 투입구(103) 내부에 배터리(10)와 접촉하는 단자가 형성되어 외부의 이물질에 오염되어 접촉 상태가 쉽게 불량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10)에 단락이 발생하거나 습기에 노출되어 충전에너지가 쉽게 소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150)에는 수전코일(101)과 충전모듈(102)이 장착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상기 배터리 케이스(150)는 배터리(10)의 충전시, 상기 충전용 패드(200)의 상부에 배치한다.The
상기 충전용 패드(200)에는 송전코일(201)이 형성되고 전원케이블(202)이 연결되어 상기 송전코일(201)에 전류를 인가시킨다.A
상기 송전코일(201)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송전코일(201)의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송전코일(201)과 수전코일(101)이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상기 수전코일(101)에서 유도기전력을 생성하며, 상기 충전모듈(102)에서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휴대단말기 배터리(10)를 충전시킨다.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충전장치는 휴대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기 위해서 배터리를 휴대단말기와 분리하여 상기 배터리 케이스(150)에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o charge the portable terminal because the battery has to be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inserted into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와 배터리를 분리하지 않고 무선으로 휴대단말기를 충전하여 휴대단말기의 충전이 편리한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onvenient for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by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without separa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batte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는, 내부에 송전코일이 장착된 충전기와; 상기 송전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수전코일이 장착되어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키는 충전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기는, 상부에 상기 충전케이스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충전케이스가 배치되는 상방향으로 코어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상기 송전코일이 권취된 플레이트와;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송전코일에 전류를 인가시키는 송전회로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방향으로 지지하고, 하부에 상기 송전회로모듈이 장착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rger having a transmission coil mounted therein; A power receiving coil magnetically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to generate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the charging case configured to charge a mobile terminal, wherein the charger comprises: a housing having the charging case disposed on the top; A plate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protruding to form a core in an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charging case is disposed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A power transmission circuit modu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apply current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I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plate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plate in the upper direction, the lower portion is made of a support member for mounting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module.
상기 충전기는 상기 플레이트 주위에 배치되는 자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케이스에는 상기 자력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스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부착시키는 자성체가 장착되되, 상기 자력부는, 상하 방향으로 분극된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1마그네트와 극성이 반대 방향으로 분극된 제2마그네트와; 상기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흐름을 유도하는 요크로 이루어진다.The charger further comprises a magnetic force portion disposed around the plate, the charging case is mounted with a magnetic material to attach the charging ca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portion, the magnetic force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Polarized first magnets; A second magnet polariz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It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and consists of a yoke to induce the flow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자력부의 하부가 삽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자력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된다.A seating portion into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magnetic force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and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magnetic force portion is inserted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요크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하단이 상기 돌출부의 상단을 눌러 상기 자력부를 상기 하우징과 지지부재 사이에 고정한다.The yoke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to both sides, and the insertion portion presses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to fix the magnetic force por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다.Fixing protrusions protrude in an up and down direction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fixing grooves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s are inserted are formed on an out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충전케이스에는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된 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충전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수전코일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로 전달하는 충전회로모듈이 장착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에 삽입되어 휴대단말기가 충전된다.The charging cas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and a connector protruding toward the coupling part is mounted, and the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by the faucet coil is converted into a DC voltage and transferred to the connector inside the charging case. Is equipped with a charging circuit module,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is charged with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휴대단말기가 결합된 충전케이스와 충전기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휴대단말기의 배터리를 별도로 분리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휴대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By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using a charging case and a charger coupl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onveniently charged without having to separate the battery of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극된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에 요크가 장착되어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자력부가 자성체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높여 충전기와 충전케이스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yoke is mounted o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polarized in opposite directions to induce the flow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hereby increasing the magnetic force acting on the magnetic body charger and charging case Can increase the adhesion.
또한, 자력부는 하부가 안착부에 삽입되고 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된 삽입부에 삽입됨으로써, 자력부를 하우징과 지지부재 사이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force portion can be easily fix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by inserting the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formed inside the housing.
또한, 하우징의 내측면에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지지부재의 외측에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지지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d a fixing groove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thereby preventing the support member from flow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도 1은 종래의 무선충전용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부의 사시도,
도 9는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스의 분해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battery case for wireless chargin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gnetic forc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arging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충전기의 상부에 충전케이스가 부착된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부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4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로 충전기의 상부에 부착된 충전케이스의 단면을 함께 도시하였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ith a charging case attached to the charger,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one direction of a char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4,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gnetic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arging case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charger in the cross-sectional view taken on line BB of FIG. 4,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cas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100)와 충전케이스(200)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기(300)가 결합된 상기 충전케이스(200)를 상기 충전기(100)의 상부에 부착하여 휴대단말기(300)를 충전한다.As shown in FIG. 3,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구체적으로 상기 충전기(10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111), 플레이트(120), 송전회로모듈(130), 지지부재(140) 및 자력부(150)로 이루어진다. In detail, the
상기 하우징(110,111)은 휴대단말기(300)의 충전시 상부에 상기 충전케이스(200)가 부착된다.The
이러한 상기 하우징(110,111)은 베이스(110)와 하우징본체(111)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베이스(110)는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플레이트(120), 송전회로모듈(130), 지지부재(140) 및 자력부(150)가 배치된다.The
상기 하우징본체(111)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120), 송전회로모듈(130), 지지부재(140) 및 자력부(150)를 덮는다.The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내측 상면에는 삽입부(112)가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ure 6, the
상기 삽입부(112)는 상기 하우징(110,111) 즉,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내측 상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자력부(150)가 삽입된다.The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111)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고정돌기(113)가 형성된다.In addition,
상기 고정돌기(11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내측 양면에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이러한 상기 고정돌기(113)는 후술할 고정홈(141)에 삽입된다.The
상기 플레이트(120)는 상기 하우징(110,111)의 내부에 장착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상방향으로 돌출된 장착부(121)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부(121)의 상단이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내측 상면에 고정 장착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또한, 상기 플레이트(120)는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부에 고정 장착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20)의 중심부에는 상기 충전케이스(200)가 부착되는 상방향으로 코어(122)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플레이트(120)의 상부에는 상기 코어(122)를 중심으로 송전코일(123)이 권취된다.The
상기 송전코일(123)은 상기 코어(122)를 중심으로 권취되어 상기 송전회로모듈(130)에 의해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송전코일(123) 주위에 자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송전코일(123)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은 상기 코어(122)를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송전코일(123)과 상기 충전케이스(200)에 장착된 수전코일(213)이 자기적으로 커플링된다.The
상기 송전회로모듈(130)은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송전코일(123)에 전류를 인가시킨다.The power
상기 송전회로모듈(13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연통되는 전원소켓(131)이 장착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된다.As shown in FIG. 9, the power
상기와 같은 외부전원은 일반적인 가정용 교류전류를 사용하여 상기 송전회로모듈(130)에 전원을 공급한다.The external power source as described above supplies power to the power
또한, 상기 송전회로모듈(130)과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를 USB케이블로 연결하여 상기 송전회로모듈(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wer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10,111)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플레이트(120)가 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120)를 상방향으로 지지하며, 하부에 상기 송전회로모듈(130)이 장착된다.The
이러한 상기 지지부재(1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고정돌기(113)가 삽입되는 고정홈(141)이 형성된다.The
상기 고정홈(14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40)의 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113)가 삽입된다.As shown in FIG. 7, the fixing
상기 지지부재(140)는 상기 하우징(110,111)의 내부에 쉽게 삽입하여 결합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10,111)의 내부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부재(140)가 상기 하우징(110,111)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본체(111)의 내측면에 상기 지지부재(140)의 외측을 지지하는 상기 고정돌기(113)를 형성하였다.Since the
또한, 상기 지지부재(140)의 외측에 상기 고정돌기(113)가 삽입되는 고정홈(141)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재(140)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홈(14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140)의 전방에만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전원소켓(131)이 장착된 후방에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xing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40)의 상부에는 안착부(142)가 형성된다.And the mounting
상기 안착부(14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4개가 상기 지지부재(14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동일한 각도로 배치되고, 상기 자력부(150)의 하부가 삽입된다.The
상기 자력부(150)는 상기 플레이트(120) 주위에 배치된다.The
즉, 상기 자력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상기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상기 장착부(121)의 사이사이에 각각 배치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four
이러한 상기 자력부(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마그네트(151), 제2마그네트(152) 및 요크(15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8, the
상기 제1마그네트(151)는 상하 방향으로 분극된다.The
상기 제2마그네트(152)는 상기 제1마그네트(15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마그네트(151)와 극성이 반대 방향으로 분극된다.The
상기 요크(153)는 상기 제1마그네트(151)와 제2마그네트(152)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51)와 제2마그네트(152)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흐름을 유도한다.The
이와 같이 상기 자력부(15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분극된 상기 제1마그네트(151)와 제2마그네트(152)에 요크(153)가 장착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151)와 제2마그네트(152)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후술할 상기 충전케이스(200)에 장착된 자성체(215)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높여 상기 충전기(100)와 충전케이스(200)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요크(153)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54)가 형성된다.The
이러한 상기 자력부(150)는 하부가 상기 안착부(142)에 각각 삽입된다.The
즉, 상기 요크(153)가 상기 안착부(142)에 삽입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자력부(150)는 상기 삽입부(112)에 삽입된다.The
상기 돌출부(15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삽입부(112)의 하단과 접하여 상기 자력부(150)가 상기 하우징(110,111)과 지지부재(140) 사이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 9,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마그네트(151)와 제2마그네트(152)는 상기 요크(153)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요크(153)의 양측에 돌출된 상기 돌출부(154)의 상단과 상기 삽입부(112)의 하단이 접하여 상기 요크(153)를 상기 하우징본체(111)와 지지부재(140) 사이에 고정시켜 상기 자력부(150)를 상기 충전기(10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Specifically, the
이와 같이 상기 자력부(150)는 하부가 상기 안착부(142)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10,111)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삽입부(112)에 삽입됨으로써, 별도의 본딩작업 없이 상기 자력부(150)를 상기 하우징(110,111)과 지지부재(140) 사이에 쉽게 고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삽입부(112)는 상기 제1마그네트(151)와 제2마그네트(152)를 감싸도록 덮어 상기 제1마그네트(151)와 제2마그네트(152)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9는 상기 충전기(100)의 상부에 휴대단말기(300)가 결합된 상기 충전케이스(200)가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로써, 상기 자력부(150)의 상부에 상기 자성체(215)가 배치되어 상기 충전기(100)와 충전케이스(200)가 상기 자력부(150)와 자성체(215)의 자기력에 의해 부착되게 된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한편, 상기 자력부(150)는 상기 충전기(100)의 구성요소로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력부(150)를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상기 충전기(100)와 충전케이스(200)의 부착력을 높여 상기 충전케이스(200)를 상기 충전기(100) 상부에 쉽고 강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충전케이스(2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300)가 결합되는 결합부(221)가 형성되고, 휴대단말기(300)의 충전시 상기 충전기(100) 상부에 부착된다.As shown in FIG. 3, the charging
이러한 상기 충전케이스(200)는 하부케이스(210), 상부케이스(220), 커넥터커버(230)로 이루어진다.The charging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케이스(220)가 장착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내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결합홈(211)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210)에는 충전회로모듈(212)이 장착된다.The
상기 충전회로모듈(212)의 일단에 상기 수전코일(213)이 장착되며, 타단 상부에는 상기 커넥터(214)가 장착된다.The
상기 수전코일(2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송전코일(123)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충전회로모듈(212)은 상기 수전코일(213)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214)로 전달한다.The
상기 충전회로의 타단에 장착된 상기 커넥터(214)는 상기 결합부(221)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부(221)에 결합된 휴대단말기(300)에 삽입된다. The
그리고 상기 하부케이스(210)에는 상기 자력부(150)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스(200)를 상기 하우징(110,111)의 상부에 부착시키는 자성체(215)가 장착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상기 자력부(150)와 자성체(215) 사이에 발생하는 자기력으로 상기 충전기(100)와 충전케이스(200)의 부착력을 높여 상기 충전케이스(200)를 상기 충전기(100)에 쉽게 부착시킬 수 있다. As such, 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상기 상부케이스(220)는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부에 상기 결합부(221)가 형성된다.The
이에 따라 휴대단말기(300)는 양측이 상기 결합홈(211)에 삽입되어 상기 충전케이스(200)에 상기 결합부(221)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슬라이드 결합된다.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21)에 결합된 휴대단말기(300)에는 상기 커넥터(214)가 삽입되어 휴대단말기(300)가 충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커넥터커버(230)는 상기 하부케이스(210)의 상부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케이스(220)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214)를 덮는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충전기(100)의 상부에 휴대단말기(300)가 결합된 충전커버를 부착시킨 후, 상기 송전회로모듈(130)에 의해 상기 송전코일(123)에 전류를 인가시켜 상기 송전코일(123)과 수전코일(213)을 자기적으로 커플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ttaches a charging cover coupled to the
상기 송전코일(123)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된 상기 수전코일(213)은 유도기전력을 생성하고, 유도기전력은 상기 충전회로모듈(212)에 의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어 상기 커넥터(214)를 통해 휴대단말기(300)로 공급된다.The
이와 같이 휴대단말기(300)가 결합된 충전케이스(200)와 충전기(10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300)를 무선으로 충전함으로써, 휴대단말기(300)의 배터리를 별도로 분리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휴대단말기(300)를 충전할 수 있다.As such, by wirelessly charging the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to whic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mitted.
100 : 충전기, 110 : 베이스, 111 : 하우징본체, 112 : 삽입부, 113 : 고정돌기, 120 : 플레이트, 121 : 장착부, 122 : 코어, 123 : 송전코일, 130 : 송전회로모듈, 131 : 전원소켓, 140 : 지지부재, 141 : 고정홈, 142 : 안착부, 150 : 자력부, 151 : 제1마그네트, 152 : 제2마그네트, 153 : 요크, 154 : 돌출부, 200 : 충전케이스, 210 : 하부케이스, 211 : 결합홈, 212 : 충전회로모듈, 213 : 수전코일, 214 : 커넥터, 215 : 자성체, 220 : 상부케이스, 221 : 결합부, 230 : 커넥터커버, 300 : 휴대단말기,100: charger, 110: base, 111: housing body, 112: insertion portion, 113: fixing protrusion, 120: plate, 121: mounting portion, 122: core, 123: power transmission coil, 130: power transmission circuit module, 131: power socket , 140: support member, 141: fixing groove, 142: seating portion, 150: magnetic portion, 151: first magnet, 152: second magnet, 153: yoke, 154: protrusion, 200: charging case, 210: lower case , 211: coupling groove, 212: charging circuit module, 213: faucet coil, 214: connector, 215: magnetic material, 220: upper case, 221: coupling part, 230: connector cover, 300: portable terminal,
Claims (6)
상기 송전코일과 자기적으로 커플링되어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수전코일이 장착되어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키는 충전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전기는,
상부에 상기 충전케이스가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충전케이스가 배치되는 상방향으로 코어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코어를 중심으로 상기 송전코일이 권취된 플레이트와;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상기 송전코일에 전류를 인가시키는 송전회로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상기 플레이트를 상방향으로 지지하고, 하부에 상기 송전회로모듈이 장착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A charger having a transmission coil mounted therein;
The receiving coil is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coil to generate an induction electromotive force, and is made of a charging case for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charger,
A housing in which the charging case is disposed above;
A plate mounted inside the housing and protruding to form a core in an upward direction in which the charging case is disposed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A power transmission circuit modul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o apply current to the power transmission coil;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e plate is mounted on the top to support the plate upwards,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member for mounting the power transmission circuit module in the lower portion.
상기 충전기는 상기 플레이트 주위에 배치되는 자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케이스에는 상기 자력부의 자기력에 의해 상기 충전케이스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부착시키는 자성체가 장착되되,
상기 자력부는,
상하 방향으로 분극된 제1마그네트와;
상기 제1마그네트와 극성이 반대 방향으로 분극된 제2마그네트와;
상기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마그네트와 제2마그네트에서 발생된 자기장의 흐름을 유도하는 요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er further comprises a magnetic portion disposed around the plate,
The charging case is equipped with a magnetic material to attach the charging ca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portion,
The magnetic portion,
A first magnet polarized in a vertical direction;
A second magnet polariz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magnet;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yoke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to induce the flow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first magnet and the second magnet.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자력부의 하부가 삽입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자력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magnetic force porti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protrudes in a downward direction,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to which the magnetic force portion is inserted.
상기 요크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하단이 상기 돌출부의 상단을 눌러 상기 자력부를 상기 하우징과 지지부재 사이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yoke is provided with protrusions protruding to both sides,
The insertion unit has a lower end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by pressing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to secure the magnetic force between the housing and the support member.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에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The method of claim 1,
Fixing protrusions protrud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groove is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rojections.
상기 충전케이스에는 휴대단말기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된 커넥터가 장착되며,
상기 충전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수전코일에서 발생된 유도기전력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커넥터로 전달하는 충전회로모듈이 장착되되,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에 결합된 휴대단말기에 삽입되어 휴대단말기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무선충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case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art to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coupled, and a connector protruding toward the coupling part is mounted.
Inside the charging case is equipped with a charging circuit module for converting the induced electromotive force generated from the faucet coil to a DC voltage to transfer to the connector,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portable terminal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is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charg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8686A KR101230877B1 (en) | 2011-03-30 | 2011-03-30 | Wireless charger for portabl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8686A KR101230877B1 (en) | 2011-03-30 | 2011-03-30 | Wireless charger for portabl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0674A true KR20120110674A (en) | 2012-10-10 |
KR101230877B1 KR101230877B1 (en) | 2013-02-07 |
Family
ID=4728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8686A Expired - Fee Related KR101230877B1 (en) | 2011-03-30 | 2011-03-30 | Wireless charger for portabl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30877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438B1 (en) * | 2012-12-26 | 2014-12-09 | 주식회사 이랜텍 | Wireless charging battery case of multiple function |
GB2535139A (en) * | 2015-01-06 | 2016-08-17 | Learnpad Ltd | A case, charging bay and charging unit |
WO2016200117A1 (en) * | 2015-06-12 | 2016-12-15 | 고영균 | Case having mouse function |
US9559548B2 (en) | 2014-03-07 | 2017-01-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ver memb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
CN109756607A (en) * | 2019-01-18 | 2019-05-14 | 广州申家贸易有限公司 | Stand for mobile terminal |
KR20220001177U (en) * | 2020-11-18 | 2022-05-25 | 지디 글로리 마그네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Spliced alignment magnetic ring of wireless charger |
WO2022155850A1 (en) * | 2021-01-21 | 2022-07-28 | 黄秀强 | Wireless charg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8389B1 (en) * | 2015-12-03 | 2016-04-01 | 김동인 | A case for mobile device and a char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case |
KR101901455B1 (en) * | 2016-01-27 | 2018-09-21 | 김재범 | Device case with Rx of wireless charging |
KR20180061715A (en) * | 2016-11-30 | 2018-06-08 | 경북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 A smartphone case with earphone and charging terminal |
KR102105079B1 (en) * | 2018-12-28 | 2020-04-27 | 김유화 | Detachable type wireless rechargeable device using magnetic forc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19180B2 (en) * | 2008-04-24 | 2010-08-04 | 三洋電機株式会社 | Charging stand, portable device and charging stand, and battery pack and charging stand |
JP2010098861A (en) * | 2008-10-16 | 2010-04-30 | Sanyo Electric Co Ltd | Charger apparatus of mobile electronic device |
KR101041150B1 (en) * | 2009-01-30 | 2011-06-13 | 황인태 | Mobile phone solid state charging device |
KR101063154B1 (en) * | 2009-04-08 | 2011-09-08 | 주식회사 와이즈파워 | Contactless charging device |
-
2011
- 2011-03-30 KR KR1020110028686A patent/KR10123087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0438B1 (en) * | 2012-12-26 | 2014-12-09 | 주식회사 이랜텍 | Wireless charging battery case of multiple function |
US9559548B2 (en) | 2014-03-07 | 2017-01-3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ver membe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
GB2535139A (en) * | 2015-01-06 | 2016-08-17 | Learnpad Ltd | A case, charging bay and charging unit |
WO2016200117A1 (en) * | 2015-06-12 | 2016-12-15 | 고영균 | Case having mouse function |
KR20160146262A (en) * | 2015-06-12 | 2016-12-21 | 고영균 | Case Having Mouse Function |
CN109756607A (en) * | 2019-01-18 | 2019-05-14 | 广州申家贸易有限公司 | Stand for mobile terminal |
KR20220001177U (en) * | 2020-11-18 | 2022-05-25 | 지디 글로리 마그네트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Spliced alignment magnetic ring of wireless charger |
WO2022155850A1 (en) * | 2021-01-21 | 2022-07-28 | 黄秀强 | Wireless char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30877B1 (en) | 2013-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0877B1 (en) | Wireless charger for portable device | |
US8248025B2 (en) | Charging system capable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 |
US8237401B2 (en) | Re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 |
US8350524B2 (en) | Charging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and charging system | |
US20110210617A1 (en) | Power transmission across a substantially planar interface by magnetic induction and geometrically-complimentary magnetic field structures | |
US20140035381A1 (en)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 |
CN207117319U (en) | A kind of wireless charging device fixed by magnet adsorption | |
US20220200346A1 (en) | Charger with removable parts | |
TWM461243U (en) | Wireless recharging device | |
TW201316651A (en) | Charger | |
KR20170040909A (en) | Portable battery and charging device | |
US20060214628A1 (en) | Induction charge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 |
KR20140083450A (en) | Wireless charging battery case of multiple function | |
KR20150065001A (en) | Wireless charging receiver module | |
CN201584823U (en) | Wireless power supply device | |
KR20110124578A (en) | Protective cover for mobile terminal with integrated solid-state charger | |
KR20150002449U (en) | Wireless charging device having coil molding type case | |
JP2013247091A (en) | Battery pack | |
JP2012234627A (en) | Small magnet type connector | |
KR101620450B1 (en) | Wire and wireless recharging apparatus | |
CN110829612A (en) | Wireless charging system, wireless charger and electronic equipment | |
JP2013034290A (en) | Charging adapter | |
CN208806632U (en) | Multifunctional electromagnetic induction wireless charger | |
KR101529220B1 (en) | Battery pack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101229909B1 (en) |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battery with PCB-integrated type and system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30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3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