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08916A -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8916A
KR20120108916A KR1020117027874A KR20117027874A KR20120108916A KR 20120108916 A KR20120108916 A KR 20120108916A KR 1020117027874 A KR1020117027874 A KR 1020117027874A KR 20117027874 A KR20117027874 A KR 20117027874A KR 20120108916 A KR20120108916 A KR 20120108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inga
extract
skin
whole seed
seed extrac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느 망도
엘렌느 뒤쁠랭
Original Assignee
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filed Critical 삐에르화브르데르모-코스메띠끄
Publication of KR2012010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891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및 극성 지질 포함)오일 및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EXTRACT OF WHOLE SEEDS OF MORINGA SP., AND USE THEREOF IN COSMETIC AND/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본 발명은 오일(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및 극성 지질 포함) 및 폴리페놀을 함유한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모링가는 원산지가 인도인 소목이지만, 전세계 어디에서나 재배되고 모링가 나무가 널리 이용되는 많은 지역들에서 귀화되어 야생된다. 모링가 과에 속하는 13 종의 모링가 나무가 있으며, 모링가 올레이페라(M. oleifera)(이명: 모링가 프테리고스페르마(Moringa pterygosperma))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모링가 올레이페라는 우산과 같이 펼쳐진 4 내지 8 미터 높이의 관목이다. 30 내지 70 cm 길이의 잎들은 낙엽성이며, 꽃들은 흰색이고 향기가 진하며, 열매는 혁질성 및 현수성의 긴 삼각형상의 긴 깍지로 길이는 30 내지 40 cm에 이른다. 시드는 만곡 삼각형상으로, 길이는 1.2 cm이고 폭은 1 cm이며, 길이 2cm인 3개의 막성 날개가 시드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열대성의 습한 또는 매우 건조한 기후에서 야생되거나 재배되며, 모링가 나무는 극한 조건에서도 생존할 수 있고 매우 신속하게 성장한다. 깊은 뿌리 시스템으로 인하여 수개월 동안 물이 없는 상태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모링가 나무는 예를 들면 벤 트리(Ben tree), 윙 벤(Winged Ben), 네버다이(neverdie), 아나만보(Anamambo), 홀스래디쉬 트리(Horseradish tree), 드럼스틱 트리(Drumstick tree), 및 죽지 않는 나무 또는 '기적의 나무'라고 칭하는 것을 포함하여 아주 많은 속칭을 가진다. 실제로, 아유르베다(ayurvedic) 의술에서 모링가는 300 종류의 질병을 치료할 수 있으며 상당한 영양학적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열매는 익혀서 식용하며, 잎은 야채로 사용되고 일부 국가들에서 영양실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양학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올레산이 풍부한 식용 오일은 물을 정화하는 응집제로 사용되기도 하는 시드(seed)로부터 얻는다. 오일은 외피가 제거된 시드를 압착하거나 헥산 추출하여 수득한다. 응집제 특성을 이용하기 위하여, 압착 후 오일시드 박(cake)이 회수된다.
시드는 녹색일 때 콩과 같이 식용할 수 있다. 성숙 시드는 약 40% 오일을 함유한다. 모링가 종에서 획득한 오일은 양질의 조리용 오일(올리브유와 유사)로 향수 제조에도 사용되며, 비누 제조를 위해 또는 등유로서 사용된다(본 오일은 산화에 매우 안정하다).
전통 의학에서, 본 오일은 통풍이나 류머티즘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적용된다(The Indian Materia Medica, pp 811-816). 경구 투여되어 시드는 해열제로 사용된다(Hukkeri et al., Indian J. Pharm. Sci. (2006) 68, pp. 124-126).
압착 또는 상당한 비-극성 추출법(특히, 헥산에 의함)으로 시드에서 얻어진 오일은 특히 트리글리세리드를 함유하고 있어 영양공급 특성으로 인하여 화장품에 널리 사용된다.
화장품에서의 수성 시드 추출물 용도가 기술된다: 함유된 펩티드 및 단백질은 주름 방지 및 정화 특성을 가진다: 먼저 시드는 거피 및 탈지된다(특허 US 6,500,470 및 US 2006/0275247). 모링가 종의 전체 또는 거피 시드에서 추출된 수성 및 탈지 단백질 분획물은 피부에 수화, 회복, 및 주름 방지 효과를 갖는다(특허 EP 1064008). 시드의 상기 단백질 분획물은 '상당한 극성'이라는 점이 특징일 수 있다.
문헌에 따르면, 시드는 스테롤들(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5-아베나스테롤, 클레로스테롤 등), 지방산(C18:1-올레산- 68 내지 76%, C16:0 6 내지 7.8%, C18:0 4 내지 7.6%, C20:0 2.8 내지 4% 및 C22:0 5 내지 6.7%), 단백질(26 내지 32%), 섬유질, 토코페롤(α, γ, δ: 각각 134, 93, 및 48 mg/오일kg)으로 구성된다.
또한 시드는 4-(α-L-람노피라노실록시)-벤질글루코시놀레이트를 포함한 글루코시놀레이트를 함유한다. 또한 모링가 종의 잎 및 시드는 시토키닌, 예를 들면 제아틴, 디히드로제아틴, 및 이소펜틸아데닌(특허 US 2006/0222682)을 함유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 활성성분으로서의 오일(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및 극성 지질 포함) 및 폴리페놀을 함유한 모링가 종의 통 시드의 특정 추출물 용도를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일(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및 극성 지질 포함) 및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모링가 종의 통 시드의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통 시드"라는 용어는 외피가 제거되지 않은 시드로 이해되어야 한다.
모링가 종의 통 시드의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특정된다(건조 추출물 중량 대비 중량%):
- (i) 2% 내지 10%의 트리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및 (ii) 5% 내지 15%의 극성 지질을 포함하는 5% 내지 50% 함량의 오일;
- 총 0.01% 내지 5% 함량의 폴리페놀(건조 추출물 100g에 대한 피로갈롤 g으로 표기됨).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추출물은 25% 내지 40% 함량의 오일(건조 추출물 중량 대비 중량%)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모링가 종은 모링가 올레이페라 또는 모링가 드로우하르디(Moringa drouharii)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품 및 피부학적 가치가 증명된 상기 모링가 종의 추출물은 모링가 종의 통 시드로부터 바람직하게는 건조, 분쇄되고 하나 이상의 적정 극성 용매에 의한 추출에 의해 수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적정 극성 용매(moderately polar solvent)'는 C1 내지 C4 알코올, 아세톤, 물/알코올 혼합물, 및 물/아세톤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조합 용매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물 혼합물이다. 유리하게는, 본 에탄올/물 혼합물의 에탄올/물 비율은 9/1 내지 7/3(v/v)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정 극성 용매는 9/1 또는 3/1(v/v)인 에탄올/물 혼합물이다.
추출 공정은 식물체/용매 부피 비율 1/5 내지 1/20으로 30분 내지 48 시간 동안 환류 또는 주변온도에서 교반 또는 정적 조건에서 수행된다. 추출은 2회 또는 3회 반복될 수 있다.
원심분리 또는 여과하여 찌꺼기를 추출물에서 분리시키고 건조 추출물이 5% 내지 10% 얻어질 때까지 추출 용액은 다소 농축될 수 있다. 얻어진 추출물은 아주 균질하지 않으므로, 건조 단계에서 건조 추출물에 대하여 1% 내지 75% 중량 범위로 지지체(support)가 첨가될 수 있다. 지지체는 말토덱스트린, 락토스, 실리카 또는 임의의 기타 화장품에서 허용되는 추출물 용해 지지체, 예를 들면 다양한 비율의 프로필렌 글리콜/에톡시화 올레알코올일 수 있다.
얻어진 모링가 종 추출물은 오일(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및 극성 지질 포함) 및 폴리페놀 함량으로 특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화 방지 활성 성분으로 사용되는 모링가 종의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은 노화 피부를 가진 사람에 대한 모든 피부 노화 징후에 대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노화 피부'는 통상 55세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60세 이상의 노인 피부로 이해되어야 한다.
피부 노화 징후는 특히 피부 견고성 및/또는 탄력성 및/또는 긴장성 및/또는 유연성의 상실 및 주름 및 잔주름 출현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시적으로 표피/노화피부를 보호, 수화 및 영양공급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활성성분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피부에 스무딩(smoothing), 늘어짐 방지, 재구성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이한 유형의 실험들을 통하여,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의한 모링가 종의 전반적인 노화 방지 작용을 확인하였다.
상기 새로운 추출물은 동시적으로 하기의 다양한 원하는 작용들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 내인성 및 외인성의 노화와 관련되는 산화과정을 제한하는 항산화, 항-라디칼 작용;
- 연령에 따라 변하는 피부(표피의 단백질 및 지방 구조)의 장벽기능 회복 작용: 상기 추출물을 적용하면 피부 탈수를 제한할 수 있어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 노화 피부의 기계적 특성(견고성, 탄성, 긴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세포외 기질에 대한 작용.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은 피부 수화, 스무딩, 늘어짐-방지, 및 재구성을 촉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은 피부 색조 미백화 및 균일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부 장벽기능 보강 및 회복을 위한 상기 정의된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피부 장벽기능 보강'이란 피부의 장벽기능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의 기본적인 기능의 하나는, 한편으로는 ('외부에서-내부로')외부 환경으로부터 균류, 세균 및 알레르겐의 피부 침투를 방지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내부에서-외부로') 수분 상실을 방지하는 신체 및 외부 환경 간 장벽을 보장하는 것이다.
표피는 일정하게 재생되는 외배엽 기원의 다중층 상피이다. 상이한 형태학적 성질 및 세포 조성물을 가지는 여러 층들, 내부에서 외부로: 기저층, 표피 자연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증식 능력이 매우 높은 각질형성세포들의 세포층, 초기저층(과립형, 가시층들), 및 마지막으로 각질층(조각질층, SC)으로 구분된다. 이들 층은 각질형성세포 분화의 더 진전된 수준들에 해당된다. 각질형성세포가 각질화, 세포예정사 과정에 이르는 분화 프로그램을 발현하는 과정인 피부 표면을 향한 이동 과정을 개시하면서 기저층의 각질형성세포는 증식능력을 상실한다. 피부 장벽기능은 먼저 두 구역들로 이루어진 단단하고 밀폐된 조립체인 각질층에 의해 수행된다:
- 지방이 풍부한 각질세포 간 접합질: 시트 형태로 유기화되고 세포들과 공유 결합된 지방들은 각질층을 통한 분자 침투를 제한한다.
- 각질형성세포 분화 최종 단계에 해당하는 세포소기관이 없고 각질화된, 사멸 세포들 층들(각질세포).
각질층의 세포외 지방 접합질 뿐만 아니라 모든 세포 요소들의 일체화 및 증식 및 각질형성세포 간 균형은 기능적 표피 장벽기능 유지에 중요하다.
만성적 또는 급성적 방벽기능 변동으로 신체는 외부 스트레스 및 탈수에 민감하게 된다.
장벽기능 개선은 특히 피부의 장벽기능이 변경되는 시기를 결정하고 재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세월(피부 노화), 또는 호르몬 내용물 또는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많은 생리적 상태들에서 그러하다. 항상성 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이러한 회복 속도가 지연된다. 또한, 피부 장벽기능은 때로는 염증성 요소가 동반되는(피부 건조) 가장 통상적인 피부 병리들의 대부분 경우에 변경된다.
또한 장벽기능 개선은 특히 외부적 유형(자외선, 습도수준, 외부온도, 오염, 화상)의 외부 스트레스에 대하여 더욱 양호한 내성을 신체에 제공하기 위하여 피부의 본래 기능이 강화되어야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피부 장벽기능은 스트레스에 대한 모든 자연 방어 기작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실질적 요소는 조각질층이라고 언급되는 각질층 영역에 있는 표피 최상부에 위치한다.
상이한 실험들을 통하여 상기 정의된 추출물은 표피의 지방 구조 및 단백질 구조 회복 작용을 갖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 사용은 피부 장벽기능 보강 및 회복에 특히 유효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활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화장품적으로 및/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은 모링가 종 건조 추출물을 조성물 100g에 대하여 0.1g 내지 5g 함량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링가 종의 상기 함량은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100g에 대하여 0.25 g 내지 1g 사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노화 방지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노화 피부를 갖는 사람들의 모든 피부 노화 징후에 대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화 방지 화장품 조성물은 햇빛 차단을 위한 활성 성분 및/또는 피부 탈색을 위한 활성성분과 같은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햇빛 차단에 적합한 활성성분들은 항-UVA 작용, 항-UVB 작용으로 알려진 화학적 합성분자들, 예를 들면 옥토크릴렌 및/또는 디옥틸 부타미도 트리아존 및/또는 비스-에틸헥실옥시페닐 메톡시페닐 트리아진에서 선택될 수 있다.
피부 탈색, 피부 색조 미백화 및 균일화에 적합한 활성 [성분들]은 또한 니아신아미드, 비타민 C 및 이의 유도체일 수 있다.
노화 방지 화장품 조성물을 얻기 위한 화장품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국소 또는 경구 투여가 가능한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국소 형태는 밀크, 크림, 연고, 오일, 로션, 젤, 발포젤, 향유, 분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형태는 정제, 캡슐, 함당정제, 분말, 과립, 용액 또는 경구 현탁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또한 피부 장벽기능 강화 및 회복에 적합한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장벽기능 강화 및 회복용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을 얻기 위한 화장품적으로 및/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는 국소 투여가 가능한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국소 형태는 밀크, 크림, 연고, 오일, 로션, 젤, 발포젤, 향유, 분무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노화 피부를 갖는 사람의 모든 피부 노화 징후에 대처되는 화장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는 본 발명에 의한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의 국소적 또는 경구적 투여 사용 단계를 포함한다.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제조방법 및 조성물들이 하기에 기재된다.
식물 추출물 제조의 실시예들
실시예 1
모링가 올레이페라 나무의 통 시드 2.5 kg을 건조, 분쇄하고 80℃에서 17.5 L의 에탄올 90(에탄올/물 비율 = 9/1)으로 2회 역류 추출하였다. 주변 온도를 50℃로 냉각하고, 추출용액을 고체/액체 분리에 의해 회수하였다. 본 시료를 건조하여 243 g의 추출물을 얻었다. 본 추출물은 (i) 트리글리세리드 및 지방산 10%, 및 (ii) 극성 지질 10%를 포함한 오일 36%, 및 총 폴리페놀 0.02%(건조 추출물 100g에 대한 피로갈롤 g으로 표기)를 함유하였다.
실시예 2
모링가 올레이페라 나무의 통 시드 20 g을 건조, 분쇄하고 75:25 에탄올/물 혼합물 100 ml로 1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용액은 고체/액체 분리로 회수하고 회전식 증발기에서 50℃로 건조하였다. 갈색 반죽 형태로 1.66 g의 추출물이 수득되었고, 5%의 오일 및 피로갈롤로 표기되는 0.68%의 총 폴리페놀을 함유하였다.
실시예 3
모링가 드로우하르디의 통 시드 20 g을 건조, 분쇄하고 90:10 에탄올/물 혼합물 200 ml로 1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용액은 고체/액체 분리로 회수하고 회전식 증발기에서 50℃로 건조하였다. 황갈색 반죽 형태로 1.29 g의 추출물이 수득되었고, 35%의 오일(트리글리세리드, 지방산, 및 극성 지질) 및 피로갈롤로 표기되는 1.3%의 총 폴리페놀을 함유하였다.
화장 조성물의 실시예들
실시예 4: 아이 케어(eye care)
화합물 함량
모링가 종 시드 건조 추출물 0.5g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알파) 0.5g
덱스트란 설페이트 0.3g
디옥틸 부타미도 트리아존 1 내지 10 g
옥토크릴렌 1 내지 10 g
비스-에틸헥실옥시페닐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1 내지 10 g
왁스 글루코시드 202 1 내지 5 g
스테아레이트 GLY./PEG-100 스테아레이트 1 내지 5 g
벤조에이트 C12-C15 5g
펜타노에이트(네오)이소데실 1 내지 8 g
실록산 (시클로펜타)데카메틸 1 내지 8 g
글리세롤 99.5% 1 내지 5 g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
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1g
잔탄검 TF 0.3g
카프릴 글리콜 sq
소르브산칼륨 sq
정제수 sqp 100g
실시예 5 : 증백 재활성크림
화합물 함량
모링가 종 시드 건조 추출물 0.5g
토코페릴 아세테이트(알파) 0.1g
니아신아미드 2g
메톡시신나메이트 (p)에틸헥실 1 내지 10 g
옥토크릴렌 1 내지 10 g
비스-에틸헥실옥시페닐 메톡시페닐 트리아진 1 내지 10 g
베헤닌 (트리)/PEG-20 1 내지 8 g
세틸 알코올 >95% 1g
팔미테이트 글리콜 2g
실록산 (시클로펜타)데카메틸 1 내지 5 g
메티콘 (디)200FL 1 내지 5 g
카프릭 카프릴릭/트리글리30 70 1 내지 5 g
메티콘 (시클로)Mel.9040 1 내지 5 g
잔탄검 TF 0.3g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
소듐 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 공중합체 0.7g
글리세롤 99.5% 1 내지 5 g
카프릴 글리콜 sq
소르브산 sq
부틸히드록시톨루엔 0.01g
산화티타늄/AI/세리사이트 멜 1 내지 5 g
수산화나트륨 sq
정제수 sqp 100 g
항산화 활성의 평가
DPPH 실험
본 발명에 의한 모링가 올레이페라 시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 실험으로 평가되었다. 본 실험은 항산화제의 안정한 라디칼인 2,2-디페닐-1-피크릴히드라질(DPPH) 포집 능력에 기반한다. 517nm에서 흡광하는 상기 안정한 라디칼은 수소 공여체와 반응할 때 상응 히드라진으로 환원된다.
결과:
얻어진 결과는 IC50으로 표기되며, 이는 0.06 mM DPPH 에탄올 용액의 흡광 50% 감소에 해당하는 농도이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은 외피에 존재하는 분자들에 의해 대부분 제공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진다.
화학발광
본 방법은 광화학적 신호에 의해 자유라디칼(과산화물 라디칼 O 2 o-)을 생성하는 것이다. 통상의 조건에서 얻어지는 것보다 산화 정도는 1000배 이상이다. 화학발광으로 검출되어 지용성 또는 수용성 추출물 또는 분자들의 항산화를 평가할 수 있다. 결과는 각각 비타민 C 또는 트로록스(6-히드록시-2,5,7,8-테트라메틸크로만-2-카르복실산)의 동량으로 표기된다. 감도는 나노몰 단위이다.
Figure pct00002
결과:
트로록스 1 μg 에 대해 검출되는 활성과 동등한 활성을 얻기 위하여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 65 μg이 필요하였다: 항산화 활성으로 알려진 분자인 리코펜과 동등한 활성.
또한, 본 실험에 의해, 관찰된 항산화 활성은 주로 외피 분자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트로록스 1 μg에 대하여 EtOH 90% 외피추출물 4.7 μg만 필요하였다(제니스테인과 동등한 활성). 본 실험은 본 발명에서의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이용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외부 스트레스(추위, 오염, 담배, UV)에 의해 증가되는 자유 라디칼은 피부 세포 DNA 변경 및 세포막 및 미토콘드리아의 변경 원인이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의 항-라디칼 활성으로 인하여 내인성 및 외인성 피부 노화에 대처할 수 있다.
장벽기능의 회복에 대한 활성 평가
표피는 신체의 화학적 및 물리적 장벽을 제공함으로써 주요한 보호 역할을 수행한다. 표피는 밀폐 유지 즉 피부 장벽기능을 보장한다. 지질 기질과 결합된 각질층의 각질세포, 각질형성세포들은 이러한 기능의 상당 부분을 보장한다. 그러나, 더 깊은 층들은 이러한 기능의 작용자들 배치 설정에 협력한다. 표피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능력은 기능적 선택성 투과 유형의 장벽 배치 설정을 보장한다(Elias PM. J Invest Dermatol 125 183-200 (2005)).
단백질 관점에서, 표피 분화는 주로 표피의 구조적 일체화에 기여하는 구조 단백질 케라틴 진행에 집중된다. 이들 발현은 각질형성세포 성숙 정도에 따라 다르다. 염기 케라틴 1 및 산 케라틴 10은 각질형성세포 분화의 조기 마커들이며, 표피 기저층으로부터 존재한다. 이러한 생물학적 과정의 기타 마커들, 후기 마커들의 발현이 이어지고, 각질세포 막 단백질, 예를 들면 인볼루크린 및 소정의 주요 효소들은 구조 단백질의 다른 것들 및 각질형성세포 지질, 트란스글루타미나제, 예를 들면 트란스글루타미나제 1(TG1)과의 교차결합의 기원이 된다(Houben E, et al. Skin Pharmacol Physiol .; 20(3):122-32 (2007)).
동시에, 각질형성세포 지질의 합성 및 수송은 피부장벽에 있어서 필수적인 각질세포 사이 지방 접합질의 기원이며, 이들의 형성은 표피 말기 분화의 마지막 단계에 해당된다. 이러한 세포외 지질 기질은 수분 및 전해질의 경피 이동에 주요한 장벽을 제공한다(Mizutani Y., et al. FEBS Lett. 563: 93 (2004)). 따라서, 소정 효소들 및 지방 수송자들은 이들 각질형성세포 발현을 분화로 강화시킨다. 특히, 수송자 ABC(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결합 카세트 수송자) 패밀리의 소정 멤버들은 지방성 장벽 배치 설정에 주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층 체들에서 지질 전구체 수송에 필수적인 특히 글리세롤을 수송하는 ABC G1, 및 ABC A12은 민감한 마커들이다. 표피 세라미드는 피부 방벽 기능성의 주요 역할을 수행하며 핵심적 마커이다. 따라서, 피부 세라미드 합성에 협력하는 효소들은 표피 장벽기능 파괴 동안 표피 분화로 발현 및 활성이 특히 증가한다. 특히, 이는 스핑고지질 C4-수산화효소/델타-4 불포화효소 또는 hDES2의 경우에 그러하며, 이들의 디히드로세라미드 수산화효소 활성은 인간의 피부 피토세라미드 합성에 기여한다(Feingold, K.R. J Lipid Res 48: 2531-2546 (2007)).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효과는 분화된 정상 인간 각질형성세포(NHK) 모델에서 연구되었다.
이후 이러한 효과는 계속하여 각질형성세포 노화 모델에서 연구되었다.
정상 인간 각질형성세포 분화 모델
표피 지질인, ABC G1 및 hDES2 합성 또는 수송에 관여하는 상이한 단백질의 유전자 발현에 대한 모링가 종의 추출물의 효과가 분석되었다.
결과:
결과는 NHK에 의해 발현된 표피 분화의 상이한 마커들의 유전자 발현(mRNA) 자극 백분율(미-처리 세포에 대한)로 표기된다. 100% 자극부터는 상당한 양성 효과로 고려된다.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에 제시된다.
분화된 정상 인간 각질형성세포(NHK) 모델로부터의 비타민 D3, 로지글리타존 및 본 발명에 의한 추출물 효과
세포 처리 ABC G1 hDES2
Vit D3 5μM 170 % 780 %
로지글리타존 10μM 330 % 190 %
추출물 실시예 1 (20 μg/ml) 150 % 100 %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20 μg/ml은 hDES2 및 ABC G1 유전자 발현을 보였다. 실시에 1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은 특히 노화 피부에서 관찰되는 피부 탈수를 제한시키는 소수성 장벽 배치 설정 기원에서 지질 표피 분화를 회복할 수 있다.
각질형성세포 노화 모델
노화 개체에서 감소되는 피부 장벽 재생 능력 평가를 위하여(Tagami, Arch. Derm. Res. 2007), 본 출원인은 H2O2로 처리된 인간 각질형성세포주 HaCaT를 각질형성세포 노화 과정 모방 모델로 사용하였다. K1 및 인볼루크린과 같은 세포들 노화로 억제되는 단백질 분화 마커들의 발현(mRNA) 회복에 대한 모링가 종의 추출물 효과가 분석되었다.
결과:
실시예 1에 따른 추출물은 1 및 10 μg/ml 농도에서 K1(각각 11 및 35%) 및 인볼루크린(10 μg/ml에서 15%) 발현을 회복시켰다.
결론
두 모델로부터 얻어진 결과들은 본 발명의 추출물에 대해(표피의 지질 구조 및 단백질 구조 회복 모두에 대해) 상보적 작용을 보였다.
세포외 기질 활성 평가
세포외 기질(ECM)은 조직의 구조적 조절적 역할을 가지는 동적 구조체이다. 이는 피부 팽만 및 기계적 특성: 견고성, 탄성 및 긴장성을 부여한다. 표피 영역에서, 이는 세포간 공간을 차지하고 표피 구조 유지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표피 세포들 사이 교환을 제공하여 세포 활성화에 기능한다. 표피 ECM은 특히 IV 형 콜라겐(섬유 단백질)으로 구성된다. 세포가 노화되면, ECM 요소들은 주로 기질 금속단백질분해효소 또는 MMP로 칭하는 아연 펩티드중간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된다. 이것은 흉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또한 피부 늘어짐 및 피부 노화의 첫 징후인 주름 출현에도 기여한다. 이들 중, MMP-9은 변성 콜라겐 분자(젤라틴)에 대한 활성을 가지고 IV, V 및 VII 형 콜라겐 천연 분자들을 절단하는 젤라틴가수분해효소이다.
MMP-9의 mRNA 발현에 대한 모링가 종의 효과가 세포 노화 과정을 모방한 H2O2로 처리된 인간 각질형성세포주 HaCaT에 대하여 분석되었다.
결과: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은 1, 10 및 30 μg/ml 농도에서 상당한 정도로 MMP-9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였다.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은 ECM의 기계적 특성: 피부 ECM의 견고성, 탄성 및 긴장성을 회복시키고 표피의 단백질 구조를 회복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건조 추출물의 중량 대비 중량%로 하기를 포함하는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 (i) 2% 내지 10%의 트리글리세리드 및 지방산과 (ii) 5% 내지 15%의 극성 지질을 포함하는 5% 내지 50% 함량의 오일; 및
    - 건조 추출물 100g에 대한 피로갈롤 g으로 표기되는, 총 0.01% 내지 5% 함량의 폴리페놀.
  2. 제1항에 있어서, 추출물은 적정 극성 용매(moderately polar solvent)로부터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링가 종은 바람직하게는 모링가 올레이페라 또는 모링가 드로우하르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4. 노화 방지 활성 성분으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의 용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성분은 노화 피부를 갖는 사람에 대한 모든 피부 노화 징후에 대처되는,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의 용도.
  6. 피부의 장벽기능 강화 및 회복을 위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의 용도.
  7. 활성성분으로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하나 이상의 화장품적으로 및/또는 피부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모링가 종의 통 시드 건조 추출물을 상기 조성물 100g에 대해 0.1g 내지 5g 함량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햇빛 차단 및/또는 피부 탈색을 위한 하나 이상의 활성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의 국소 투여 또는 경구 투여를 통한 적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화 피부를 갖는 사람의 모든 피부 노화 징후에 대처하는 화장방법.
  11. 통 시드 분쇄 단계; 적정 극성 용매로 1회 이상 추출하는 단계; 원심분리 또는 여과 단계; 및 건조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정 극성 용매는 C1 내지 C4 알코올, 아세톤, 물/알코올 혼합물 및 물/아세톤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조합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의 제조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적정 극성 용매는 에탄올/물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에탄올/물의 비율이 9/1 내지 7/3(v/v)인 에탄올/물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117027874A 2009-06-22 2010-06-17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Ceased KR201201089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4235 2009-06-22
FR0954235A FR2946879B1 (fr) 2009-06-22 2009-06-22 Extrait de graines entieres de moringa sp. et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et/ou dermatologiqu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8916A true KR20120108916A (ko) 2012-10-05

Family

ID=4161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874A Ceased KR20120108916A (ko) 2009-06-22 2010-06-17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20128607A1 (ko)
EP (1) EP2445480A2 (ko)
JP (1) JP5937965B2 (ko)
KR (1) KR20120108916A (ko)
CN (1) CN102458355B (ko)
CA (1) CA2765023A1 (ko)
FR (1) FR2946879B1 (ko)
GE (1) GEP20156293B (ko)
MA (1) MA33400B1 (ko)
MX (1) MX2011012375A (ko)
RU (1) RU2545708C2 (ko)
SG (1) SG176729A1 (ko)
TN (1) TN2011000589A1 (ko)
UA (1) UA108850C2 (ko)
WO (1) WO201014989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37B1 (ko) * 2012-12-31 2014-06-19 웅진식품주식회사 비타민과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21620A (ko) * 2018-04-18 2019-10-28 제이준코스메틱 주식회사 초임계 추출법으로 제조된 모링가 시드 박(seed bark)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1186A (ja) * 2011-05-20 2012-12-10 Teruaki Kano ワサビノキ科に属するモリンガの乾燥殺菌粉末及び液体抽出と酸化腐敗防止方法。
KR101915660B1 (ko) * 2012-01-31 2018-11-06 (주)아모레퍼시픽 모링가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93970B1 (ko) * 2012-04-30 2018-08-31 (주)아모레퍼시픽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4053944A1 (en) * 2012-10-03 2014-04-10 University Of The Witwatersrand, Johannesburg Extract from morigaceae and a method to prepare the extract
CN103155954B (zh) * 2013-04-01 2014-09-10 张修本 一种杀虫剂
KR20140143655A (ko) * 2013-06-07 2014-12-17 한국원자력연구원 모링가 잎의 수용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모링가 잎의 추출물의 제조방법
FR3008315B1 (fr) * 2013-07-11 2020-07-24 Thorel Jean Noel Composition topique cosmetique protectrice vis-a-vis des xenobiotiques
CN104306432A (zh) * 2014-10-31 2015-01-28 徐淳铣 一种用于洗浴护肤的天然药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622753B (zh) * 2015-02-10 2017-08-25 广东雅倩化妆品有限公司 一种天然洗护发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800121B (zh) * 2015-04-16 2018-06-01 福建泉州盛和工艺品有限公司 一种含有软玉的日用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840398A (zh) * 2015-05-18 2015-08-19 陈丽丹 一种天然辣木保健精油
CN104873554A (zh) * 2015-05-28 2015-09-02 郑艳华 辣木籽及其提取物在作为促进学习记忆的药物、保健食品
CN105125449B (zh) * 2015-09-24 2016-12-07 广州市索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抗污染化妆品组合物
JP6200122B1 (ja) * 2015-10-28 2017-09-20 太陽化学株式会社 モリンガエキス
CN109475486A (zh) * 2016-04-26 2019-03-15 莱雅公司 用于处理角蛋白纤维的组合物
FR3076460B1 (fr) 2018-01-09 2020-11-13 Basf Beauty Care Solutions France Sas Utilisation cosmetique d'un extrait proteique des graines de moringa oleifera
JP7516252B2 (ja) * 2018-11-02 2024-07-16 株式会社 資生堂 オルタナティブオートファジー誘導剤を含む紫外線起因性炎症抑制剤
FR3110345B1 (fr) 2020-05-21 2024-03-29 Agence Francaise Pour Le Dev D’Al Ula Hydrolysat de protéines du tourteau des graines de Moringa peregrina pour son application en tant que médicament, son procédé d’obtention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dermatologiques et cosmétiques.
CA3173694C (fr) * 2020-05-21 2023-09-05 Elizabeth DODINET Extrait de graines de moringa peregrina riche en 2,5-diformylfuran, son procede d'obtention et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etiques
FR3110419B1 (fr) 2020-05-21 2023-07-14 Agence Francaise Pour Le Dev D’Al Ula Extrait de graines de Moringa peregrina riche en 2,5-diformylfuran, son procédé d’obtention et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étiques
TN2022000307A1 (fr) * 2020-05-21 2024-07-04 Agence Francaise Pour Le Dev Dal Ula Extrait du tourteau des graines de moringa peregrina, son procédé d'obtention et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étiques ou nutricosmétiques
FR3110346B1 (fr) 2020-05-21 2023-07-14 Agence Francaise Pour Le Dev D’Al Ula Extrait du tourteau des graines de Moringa peregrina, son procédé d’obtention et son utilisation dans des compositions cosmétiques ou nutricosmétiques
JP2024504571A (ja) * 2020-12-25 2024-02-01 ユニリーバー・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ベスローテン・ヴェンノーツハップ パーソナルケア組成物
JP7665379B2 (ja) 2021-03-31 2025-04-21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乳頭突起形成促進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および、乳頭突起形成促進剤
CN119894489A (zh) * 2022-09-16 2025-04-25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自发泡清洁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2113B2 (ja) * 1997-07-31 2013-02-13 三省製薬株式会社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その用途
FR2776519B1 (fr) * 1998-03-24 2000-11-17 Serobiologiques Lab Sa Utilisation d'au moins un extrait proteique de graines de plantes du genre moringa et composition cosmetique et/ou pharmaceutique correspondante
US6858588B2 (en) * 2003-03-31 2005-02-22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Nitrile glycoside useful as a bioenhancer of drugs and nutrients, process of its isolation from moringa oleifera
JP2005325091A (ja) * 2004-05-12 2005-11-24 Ikeda Corp 外用剤組成物
JP4810078B2 (ja) * 2004-08-23 2011-11-09 太田油脂株式会社 酸化安定性に優れたモリンガオイルとその製造方法
US20060222682A1 (en) 2005-03-18 2006-10-05 Andrews David A Nutraceutical Moringa composition
US20060275247A1 (en) 2005-06-01 2006-12-07 Revlon Consumer Products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s With Moringa Seed Extract
US7404975B2 (en) * 2006-05-10 2008-07-29 Academia Sinica Moringa crude extracts and their derived fractions with antifungal activities
KR20090046011A (ko) * 2007-11-05 2009-05-11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837B1 (ko) * 2012-12-31 2014-06-19 웅진식품주식회사 비타민과 모링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21620A (ko) * 2018-04-18 2019-10-28 제이준코스메틱 주식회사 초임계 추출법으로 제조된 모링가 시드 박(seed bark)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1012375A (es) 2011-12-08
RU2545708C2 (ru) 2015-04-10
TN2011000589A1 (fr) 2013-05-24
CN102458355B (zh) 2015-03-04
SG176729A1 (en) 2012-01-30
UA108850C2 (uk) 2015-06-25
RU2012102012A (ru) 2013-07-27
FR2946879A1 (fr) 2010-12-24
WO2010149895A3 (fr) 2011-12-22
CA2765023A1 (fr) 2010-12-29
JP5937965B2 (ja) 2016-06-22
MA33400B1 (fr) 2012-07-03
CN102458355A (zh) 2012-05-16
EP2445480A2 (fr) 2012-05-02
US20120128607A1 (en) 2012-05-24
HK1169325A1 (en) 2013-01-25
WO2010149895A2 (fr) 2010-12-29
FR2946879B1 (fr) 2012-05-18
GEP20156293B (en) 2015-06-10
JP2012530769A (ja)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8916A (ko) 모링가 종의 통 시드 추출물, 및 화장품 및/또는 피부학적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KR101207557B1 (ko) 백합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0455A (ko)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0502172A (ja) 漢方薬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化粧料組成物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539314A (ja) 皮膚のバリアー機能を強化するためのオオアザミ油
KR100949390B1 (ko) 항산화 또는 항염 또는 자극완화 또는 보습 효과가 있는 비비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85432A (ko) 멍게의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38053B1 (ko)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101949956B1 (ko) 벼메뚜기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7998B1 (ko) 탱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7680990B2 (ja) 肌のくすみ改善剤
KR102496500B1 (ko) 하이드록시데실유비퀴논, 식물성 스쿠알란 및 천연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10727B1 (ko)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축소용 조성물
KR102206094B1 (ko) 견우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5081A (ko) 지모 추출물의 헥산 분획물 또는 지모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이소망기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55958A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결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6725B1 (ko) 마나산틴 b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24166824A (ja) 肌のくすみ改善剤
KR20250106860A (ko)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개선 및 피부진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1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