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07288A - 조명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조명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7288A
KR20120107288A KR1020110024891A KR20110024891A KR20120107288A KR 20120107288 A KR20120107288 A KR 20120107288A KR 1020110024891 A KR1020110024891 A KR 1020110024891A KR 20110024891 A KR20110024891 A KR 20110024891A KR 20120107288 A KR20120107288 A KR 2012010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illuminance
subject
illumin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주) 시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지아이 filed Critical (주) 시지아이
Priority to KR102011002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7288A/ko
Publication of KR2012010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28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CCTV가 인식할 수 있는 조도 이상으로 조명을 제공하여 많은 전력이 소모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피사체의 존재 여부 및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조명등의 조도를 차별적으로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조명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집합건물이나 거리에 설치되어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제 1 조도에서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조도를 변경해 가면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에 설치되거나 상기 조명등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물체감지 신호와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물체 감지부; 및 상기 물체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이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조도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조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등 제어장치{Light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의 존재 여부 및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조명등의 조도를 차별적으로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전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사회는 사회범죄, 재난 등 다양한 사회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특히 최근에는 연쇄 살인과 성폭행 등 강력 사건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집합건물(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벤처타워 등)이나 거리 등에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를 설치하여 이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CCTV는 일반적으로 주간에는 태양광을 이용하고, 야간에는 백열등, 형광등 또는 LED로 이루어진 조명등(가로등 포함)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집합건물이나 거리 등에 설치되는 조명등은 일정한 조도상태를 유지한 채로 설치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해, 조명등은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사람, 차량, 동물 등)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CCTV가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는 조도 이상의 높은 조도로 집합건물이나 거리 등에 조명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사체의 존재 여부 및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조명등의 조도를 차별적으로 조절하여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조명등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집합건물이나 거리에 설치되어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제 1 조도에서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조도를 변경해 가면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에 설치되거나 상기 조명등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물체감지 신호와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물체 감지부; 및 상기 물체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이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조도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조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물체 감지부는, 상기 조명등 주변에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 센서; 및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상기 조명등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 제어부는 상기 조도검출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검출 신호에 따라 주간과 야간을 판별하여 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이 꺼지고, 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이 켜지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제 1 조도로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고,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조명등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임의의 조도로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야간에 조명등이 과도하게 밝은 빛을 발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등에서 발생 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등의 조도를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조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CCTV를 통한 범죄 예방 및 범죄자 검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등 제어부가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들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조명등(10), 물체 감지부(20) 및 조명등 제어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등(10)은 집합건물이나 거리 등에 설치되고,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조도를 변경해가면서 집합건물이나 거리에 조명을 제공한다.
이러한, 상기 조명등(10)은 조명등(10)이 설치된 장소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조명등(10)에 설치되거나 야간에 상기 조명등(10)에서 발산되는 빛을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감시 카메라(예를 들면, CCTV)가 피사체(사람, 차량, 동물 등)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예를 들면, 조명등에서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 대비 50%)(이하, 제 1 조도라 함)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명등(10)은 상기 조명등(10)이 설치된 장소에 피사체가 존재하거나 상기 피사체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제 1 조도에서 상기 조명등(10)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중간 조도(예를 들면, 최대 조도 대비 75%)(이하, 제 2 조도라 함)까지 순차적으로 조도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조도를 감소시켜 제공한다.
이때, 제 2 조도는 상기 조명등(10)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임의의 값을 가져도 무방하다.
상기 물체 감지부(20)는 상기 조명등(10)에 설치되거나 상기 조명등(10)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10)이 설치된 장소에서의 피사체(차량, 사람, 동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물체감지 신호와 상기 조명등(10)이 설치된 장소에 상기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측정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물체 감지부(20)는 피사체(사람, 차량, 동물 등)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 센서(22)와 피사체와 조명등(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24)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물체 감지부(20)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 되거나 상기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 되도록 상기 조명등(10)을 제어한다.
이러한,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제 1 조도와 제 2 조도 사이를 일정한 비율(예를 들면, 5단계)로 나누고, 상기 물체 감지부(20)의 거리측정 센서(24)로부터 전송되는 거리측정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원을 상기 조명등(10)에 공급하여 상기 조명등(10)의 조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조명등 제어부(20)가 상기 조명등(10)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가 아닌 제 2 조도까지만 상기 조명등(10)의 조도를 조절하는 이유는 최근 개발되고 있는 조명등(10)의 최대 조도가 불필요하게 높아 높은 소비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의 기능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명등(10)과 함께 설치되거나 조명등(10)에 인접한 곳에 설치된 물체 감지부(20)는 물체감지 센서(22)를 통해 해당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다.
이때, 해당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물체 감지부(20)의 물체감지 센서(22)는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물체감지 신호(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0")를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조명등(10)이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 즉, 제 1 조도로 빛을 발산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제 1 조도를 발산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디밍(Dimming)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등(10)에 전달되는 전원을 조절하거나 조명등(10)의 전원 값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 후 해당 전원 값을 상기 조명등(10)에 제공하여 상기 조명등(10)의 조도를 조절하는데, 해당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조명등(10)이 제 1 조도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전원을 상기 조명등(10)에 제공한다.
이로 인해, 상기 조명등(10)은 그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제 1 조도로 주변에 조명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물체 감지부(20)의 물체감지 센서(22)는 조명등(10)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 피사체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물체감지 신호(예를 들면, 디지털 신호 "1")를 생성하고, 상기 물체 감지부(20)의 상기 거리측정 센서(24)는 해당 조명등과 피사체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 전송한다.
이때, 거리측정 센서(24)는 피사체와 조명등(10) 사이의 거리에 따라 크기가 변하는 거리측정 신호를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로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거리측정 센서(24)는 피사체가 조명등(10)에 가까워질수록 커지고 상기 피사체가 조명등(10)에서 멀어지면 작아지는 거리측정 신호를 조명등 제어부(20)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물체 감지부(20)로부터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전원을 전달하거나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즉,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피사체가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공급되는 전원을 증가시키고, 상기 피사체가 B 위치에서 C 위치로 이동할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공급되는 전원을 감소시킨다.
이상 상술한 설명에서는 조명등(10)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조명등(10)의 조도가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로 순차적으로 증가하거나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로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방법만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기 조명등(10)이 제 1 조도로 빛을 발산하고,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0)이 제 2 조도로 빛을 발산하도록 조명등(10)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조명등(10) 주변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검출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가 상기 조도검출 센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경우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조도검출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검출 신호에 따라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판별하고, 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0)이 꺼지도록 상기 조명등(10)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10)이 켜지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조명등 제어부(20)는 상기 물체 감지부(20)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10)이 제 1 조도로 빛을 발산하거나,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조도가 증가 되거나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조도가 감소되도록 상기 조명등(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 1 조도를 조명등에서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 대비 50%라 하였으나, 상기 제 1 조도는 조명등의 종류에 따라 최대 조도 대비 50%~90%가 될 수 있고, 상기 제 2 조도 또한, 조명등의 종류에 따라 최대 조도 대비 75%~9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제 1 조도로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고,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조명등이 발산할 수 있는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임의의 조도로 조명등의 조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야간에 조명등이 과도하게 밝은 빛을 발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등에서 발생 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등 제어장치는 상기 조명등의 조도를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조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CCTV를 통한 범죄 예방 및 범죄자 검거가 용이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조명등 20 : 물체 감지부
22 : 물체감지 센서 24 : 거리측정 센서
30 : 조명등 제어부

Claims (3)

  1. 집합건물이나 거리에 설치되어 CCTV가 피사체를 인식할 수 있는 최소 조도인 제 1 조도에서 최대 조도와 제 1 조도 사이의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조도를 변경해 가면서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등;
    상기 조명등에 설치되거나 상기 조명등과 인접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등 주변에 피사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한 물체감지 신호와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측정 신호를 생성하는 물체 감지부; 및
    상기 물체 감지부로부터 전송되는 물체감지 신호와 거리측정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등이 제 1 조도에서 제 2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조도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 2 조도에서 제 1 조도까지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조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조명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체 감지부는,
    상기 조명등 주변에 물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물체감지 센서; 및
    상기 피사체와 조명등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등 제어부는 상기 조도검출 센서로부터 공급되는 조도검출 신호에 따라 주간과 야간을 판별하여 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이 꺼지고, 야간일 경우에는 상기 조명등이 켜지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 제어장치.
KR1020110024891A 2011-03-21 2011-03-21 조명등 제어장치 Ceased KR201201072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891A KR20120107288A (ko) 2011-03-21 2011-03-21 조명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891A KR20120107288A (ko) 2011-03-21 2011-03-21 조명등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288A true KR20120107288A (ko) 2012-10-02

Family

ID=4727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891A Ceased KR20120107288A (ko) 2011-03-21 2011-03-21 조명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72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276B1 (ko) 무선 조명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0781652B1 (ko) 센서등 구동방법
JP6014291B2 (ja) 領域における検知
JP2014060162A (ja) 照明装置
AU2016256752B2 (en) Image sensor controlled lighting fixture
JP2013510386A (ja) 対象物検知照明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ための制御システム
JP6290373B2 (ja) 不正変更対策の昼光採光システム
JP6157006B2 (ja) 多領域照明制御器
KR20200098853A (ko) 스마트폰 사용자의 횡단보도 보행 안전을 관리하는 스마트 신호등 경보장치
KR100926578B1 (ko) 방범용 전광 표지판 및 그 작동 방법
KR20120036778A (ko) 형광등 조명 조절장치 및 그 감지 장치
KR101530377B1 (ko) 명순응 조명장치 제어 시스템
US9839087B2 (en) Lighting system
EP2779792A1 (en) Luminaire, and luminaire control method
KR101288458B1 (ko) 지능형 영상 분석을 이용한 조명 장치
KR20170010198A (ko) 가로등 제어시스템
KR100982356B1 (ko) 주차장 조명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314199B1 (ko) 주변온도에 따라 변하는 엘이디 조명장치 및 방법
KR20140102487A (ko) Led 드라이버와 인체 감지부를 내장하는 led 조명등
KR20120107288A (ko) 조명등 제어장치
KR20130052472A (ko) 조명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I127633B (fi) Valaisin ja menetelmä valaisimen yhteydessä
KR101087938B1 (ko) 도플러 센서를 이용한 절전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8104B1 (ko) Led 비상구 위치 표시등
KR200450116Y1 (ko) 센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0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