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363A - 패턴 인식 장치, 패턴 인식 방법 및 패턴 인식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패턴 인식 장치, 패턴 인식 방법 및 패턴 인식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4363A KR20120104363A KR1020127018452A KR20127018452A KR20120104363A KR 20120104363 A KR20120104363 A KR 20120104363A KR 1020127018452 A KR1020127018452 A KR 1020127018452A KR 20127018452 A KR20127018452 A KR 20127018452A KR 20120104363 A KR20120104363 A KR 201201043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ass
- loss
- recognition dictionary
- losses
- su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12567 pattern recogni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6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29 gener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NAWXUBYGYWOOIX-SFHVURJKSA-N (2s)-2-[[4-[2-(2,4-diaminoquinazolin-6-yl)ethyl]benzoyl]amino]-4-methylidenepentanedi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2=NC(N)=NC(N)=C2C=C1CCC1=CC=C(C(=O)N[C@@H](CC(=C)C(O)=O)C(O)=O)C=C1 NAWXUBYGYWOOIX-SFHVURJK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973 Ficus microcarp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0 cross-valid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06 support-vector machin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F18/241—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 G06F18/2411—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based on the proximity to a decision surface, e.g. support vector machin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06N20/10—Machine learning using kernel methods, e.g. support vector machines [SVM]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Analysi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인식 사전을 이용한 인식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식별 경계를 결정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식별 경계를 결정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식별 경계를 결정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식별 경계를 결정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식별 경계를 결정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식별 경계를 결정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클래스 1의 연속 손실을 계산하는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클래스 2의 연속 손실을 계산하는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평가값을 계산하는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4는 1개의 입력 데이터에 대해 행해지는 식별 처리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패턴 인식 장치의 최소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식 사전 작성 장치의 최소 구성의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반적인 패턴 인식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8은 선형 분리 가능한 데이터로부터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선형 분리 불가능한 데이터로부터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처리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선형 분리 불가능한 데이터의 집합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데이터 집합에 미학습의 새로운 데이터가 추가된 경우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102 : 특징 추출부
103 : 인식 사전 작성부
104 : 연속 손실 계산부
105 : 손실차 계산부
106 : 식별부
107 : 인식 사전
108 : 결과 출력부
109 : 인식 사전 결정부
Claims (10)
- 패턴 인식 장치로서,
각 클래스에 속하는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벡터의 손실을 클래스마다 계산하는 손실 계산 수단과,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에 기초하여,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을 계산하는 손실차 계산 수단과,
상기 손실 계산 수단이 클래스마다 계산한 손실의 총합과, 상기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에 기초하여,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인식 사전 작성 수단과,
상기 인식 사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식별하는 패턴 식별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식 사전 작성 수단은, 입력된 특징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손실 계산 수단이 계산한 클래스마다의 손실의 총합과, 상기 손실차 계산 수단이 계산한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과의 합이 최소로 되도록 인식 사전을 수정하고,
패턴 식별 수단은, 수정된 인식 사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인식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손실 계산 수단은, 특징 벡터가 속하는 클래스의 식별 오류의 정도를 나타내는 위험도의 총합에 기초하여 클래스마다의 손실을 계산하는 패턴 인식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계산 수단은, 각 클래스의 손실을 커넬 함수를 이용하여 계산하고,
상기 패턴 식별 수단은, 상기 커넬 함수에 기초하여 작성된 인식 사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식별하는 패턴 인식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식 대상으로 되는 데이터로서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특징 벡터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손실 계산 수단은, 상기 특징 벡터 추출 수단이 추출한 특징 벡터의 손실을 클래스마다 계산하고,
상기 패턴 식별 수단은, 상기 특징 벡터 추출 수단이 추출한 특징 벡터의 패턴을 인식 사전을 이용하여 식별하는 패턴 인식 장치. -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 인식 장치가 이용하는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인식 사전 작성 장치로서,
각 클래스에 속하는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벡터의 손실을 클래스마다 계산하는 손실 계산 수단과,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에 기초하여,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을 계산하는 손실차 계산 수단과,
상기 손실 계산 수단이 클래스마다 계산한 손실의 총합과, 상기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에 기초하여,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인식 사전 작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인식 사전 작성 수단은, 입력된 특징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손실 계산 수단이 계산한 클래스마다의 손실의 총합과, 상기 손실차 계산 수단이 계산한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과의 합이 최소로 되도록 인식 사전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 사전 작성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실 계산 수단은, 특징 벡터가 속하는 클래스의 식별 오류의 정도를 나타내는 위험도의 총합에 기초하여 클래스마다의 손실을 계산하는 인식 사전 작성 장치.
- 각 클래스에 속하는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벡터의 손실을 클래스마다 계산하고,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에 기초하여,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을 계산하고,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의 총합과, 상기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에 기초하여, 인식 사전을 작성하고,
입력된 특징 벡터에 기초하여,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의 총합과, 상기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과의 합이 최소로 되도록 인식 사전을 수정하고,
수정된 인식 사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인식 방법. -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 인식 장치가 이용하는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인식 사전 작성 방법으로서,
각 클래스에 속하는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벡터의 손실을 클래스마다 계산하고,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에 기초하여,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을 계산하고,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의 총합과, 상기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에 기초하여, 인식 사전을 작성하고,
입력된 특징 벡터에 기초하여,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의 총합과, 상기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과의 합이 최소로 되도록 인식 사전을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 사전 작성 방법. - 컴퓨터에,
각 클래스에 속하는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벡터의 손실을 클래스마다 계산하는 손실 계산 처리,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에 기초하여,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을 계산하는 손실차 계산 처리,
상기 손실 계산 처리에서 클래스마다 계산한 손실의 총합과, 상기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에 기초하여,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인식 사전 작성 처리, 및
상기 인식 사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식별하는 패턴 식별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인식 사전 작성 처리에서, 입력된 특징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손실 계산 처리에서 계산한 클래스마다의 손실의 총합과, 상기 손실차 계산 처리에서 계산한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과의 합이 최소로 되도록 인식 사전을 수정시키고,
패턴 식별 처리에서, 수정된 인식 사전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패턴을 식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 인식 프로그램. - 데이터의 패턴을 인식하는 패턴 인식 장치가 이용하는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컴퓨터에 적용되는 인식 사전 작성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에,
각 클래스에 속하는 데이터의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 벡터의 손실을 클래스마다 계산하는 손실 계산 처리,
클래스마다 계산된 손실에 기초하여,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을 계산하는 손실차 계산 처리 및
상기 손실 계산 처리에서 클래스마다 계산한 손실의 총합과, 상기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에 기초하여, 인식 사전을 작성하는 인식 사전 작성 처리를 실행시키고,
상기 인식 사전 작성 처리에서, 입력된 특징 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손실 계산 처리에서 계산한 클래스마다의 손실의 총합과, 상기 손실차 계산 처리에서 계산한 각 클래스 간의 손실의 차의 총합과의 합이 최소로 되도록 인식 사전을 수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식 사전 작성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05447 | 2010-01-14 | ||
JP2010005447 | 2010-01-1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4363A true KR20120104363A (ko) | 2012-09-20 |
Family
ID=44303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8452A Ceased KR20120104363A (ko) | 2010-01-14 | 2010-12-20 | 패턴 인식 장치, 패턴 인식 방법 및 패턴 인식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750628B2 (ko) |
EP (1) | EP2525306A4 (ko) |
JP (1) | JP5621787B2 (ko) |
KR (1) | KR20120104363A (ko) |
CN (1) | CN102713945B (ko) |
WO (1) | WO201108664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18978A1 (ja) * | 2013-02-01 | 2014-08-07 | 富士通株式会社 | 学習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学習プログラム |
CN107533671B (zh) * | 2015-05-11 | 2021-02-23 | 株式会社东芝 | 模式识别装置、模式识别方法以及记录介质 |
CN107533672B (zh) * | 2015-05-11 | 2021-01-12 | 株式会社东芝 | 模式识别装置、模式识别方法以及记录介质 |
US9582715B2 (en) | 2015-06-30 | 2017-02-2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Feature selection algorithm under conditions of noisy data and limited recording |
CN107402914B (zh) * | 2016-05-20 | 2020-12-15 | 富士通株式会社 | 自然语言深度学习系统和方法 |
JP6199461B1 (ja) * | 2016-09-13 | 2017-09-20 | ヤフー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7114892B2 (ja) * | 2017-12-13 | 2022-08-09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WO2021010540A1 (ko) * | 2019-07-17 | 2021-01-21 | 울산과학기술원 | 딥러닝 내부의 데이터 추출 방법 및 장치 |
JP7221892B2 (ja) * | 2020-02-12 | 2023-02-14 | 株式会社東芝 | 学習装置、学習方法、および学習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40492A (en) | 1994-06-30 | 1997-06-17 | Lucent Technologies Inc. | Soft margin classifier |
JP2690027B2 (ja) * | 1994-10-05 | 1997-12-10 | 株式会社エイ・ティ・アール音声翻訳通信研究所 | パターン認識方法及び装置 |
US7076473B2 (en) * | 2002-04-19 | 2006-07-11 |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s, Inc. | Classification with boosted dyadic kernel discriminants |
US7490071B2 (en) * | 2003-08-29 | 2009-02-10 | Oracle Corporation | Support vector machines processing system |
JP2005198970A (ja) * | 2004-01-19 | 2005-07-28 |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 医用画像処理装置 |
JP4723020B2 (ja) | 2009-10-13 | 2011-07-13 | 株式会社ソフイア | 遊技機 |
-
2010
- 2010-12-20 KR KR1020127018452A patent/KR20120104363A/ko not_active Ceased
- 2010-12-20 JP JP2011549770A patent/JP5621787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2-20 EP EP10843002.6A patent/EP2525306A4/en not_active Ceased
- 2010-12-20 WO PCT/JP2010/007360 patent/WO201108664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12-20 CN CN201080061441.2A patent/CN102713945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12-20 US US13/521,227 patent/US8750628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621787B2 (ja) | 2014-11-12 |
US8750628B2 (en) | 2014-06-10 |
WO2011086643A1 (ja) | 2011-07-21 |
EP2525306A4 (en) | 2018-01-10 |
EP2525306A1 (en) | 2012-11-21 |
CN102713945B (zh) | 2015-03-25 |
JPWO2011086643A1 (ja) | 2013-05-16 |
US20130129220A1 (en) | 2013-05-23 |
CN102713945A (zh) | 2012-10-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104363A (ko) | 패턴 인식 장치, 패턴 인식 방법 및 패턴 인식용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
US11282295B2 (en) | Image feature acquisition | |
US20080101705A1 (en) | System for pattern recognition with q-metrics | |
CN113268609A (zh) | 基于知识图谱的对话内容推荐方法、装置、设备及介质 | |
KR20160032533A (ko) | 예제 피라미드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특징을 추출하는 방법 및 얼굴 인식 장치 | |
US10373028B2 (en) | Pattern recognition device, pattern recogni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US20240273879A1 (en) | Model training method,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102333893B1 (ko) | 실내위치인식 시스템 성능유지를 위한 크라우드소싱 기반 무선신호세기 데이터베이스 갱신 알림 방법 및 장치 | |
US10671663B2 (en) | Generation device, gener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 |
Seichepine et al. | Soft nonnegative matrix co-factorizationwith application to multimodal speaker diarization | |
Riera et al. | No sample left behind: Toward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speech emotion recognition system | |
US9208402B2 (en) | Face matching for mobile devices | |
Douangnoulack et al. | Building minimal classification rules for breast cancer diagnosis | |
Beigi et al. | A hierarchical approach to large-scale speaker recognition. | |
KR102405867B1 (ko) |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한 특허문서의 중요도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
CN111859947B (zh) | 一种文本处理装置、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Haripriya et al. | Multi label prediction using association rule generation and simple k-means | |
CN117437396A (zh) | 目标检测模型训练方法、目标检测方法及装置 | |
KR20230009060A (ko) | 에세이 분류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에세이 분류 장치 | |
Chen et al. | Interrelate training and clustering for online speaker diarization | |
Ugrenovic et al. | Designing out-of-distribution data detection using anomaly detectors: Single model vs. ensemble | |
Zhang et al. | A remote sensing feature discretization method accommodating uncertainty in classification systems | |
Zhan et al. | A new classifier for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fuzzy buried markov model | |
Li et al. | Shape-driven multiple extended target tracking and classification based on B-Spline and PHD filter | |
KR102315214B1 (ko) | 유사도 점수 및 비유사도 점수를 이용한 특허문서의 유사도 판단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7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