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03956A - Support for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Support for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956A
KR20120103956A KR1020110021956A KR20110021956A KR20120103956A KR 20120103956 A KR20120103956 A KR 20120103956A KR 1020110021956 A KR1020110021956 A KR 1020110021956A KR 20110021956 A KR20110021956 A KR 20110021956A KR 20120103956 A KR20120103956 A KR 20120103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leaner
head
vacuum
cleaning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19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승민
Original Assignee
(주)월드생활가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생활가전 filed Critical (주)월드생활가전
Priority to KR102011002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3956A/en
Publication of KR2012010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956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하여 전원으로 이용하고 진공 청소와 걸래 청소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는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를 개시하며, 상기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는, 진공청소기의 헤드가 거치되는 경사진 면을 가지며 경사진 단부에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와 수직으로 구성되며 전면에 충전을 위한 충전핀이 구성되고 후면에 상기 진공청소기에 이용되는 걸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수납함이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holder of a vacuum cleaner that uses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s a power source and supports a vacuum cleaner that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performs vacuum cleaning and rag cleaning. A pedestal having a sloped surface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sloped end; And a holder having a holder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and configured with a charging pin for charging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rag used in the vacuum cleaner on a rear surface thereof.

Description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Support for vacuum cleaner}Stand for vacuum cleaner {Support for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하여 전원으로 이용하고 진공 청소와 걸래 청소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를 지지하는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der of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lder of a vacuum cleaner that uses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as a power source and supports a vacuum cleaner that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performs vacuum cleaning and rag cleaning.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저면의 진공 흡입력으로 바닥의 먼지 등의 이물질들을 빨아들이도록 구성된 청소 장치이다.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s a cleaning device configured to suck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n the floor by the vacuum suction force of the bottom.

진공 청소기는 코드선을 콘센트에 꽂고 사용하는 비충전 방식과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하여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는 충전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may be classified into a non-charging method using a cord wire plugged into an outlet, and a charging method using a charged power source with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일반적인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공기 흡입력으로 바닥을 청소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바닥의 얼룩과 같은 오염은 제거할 수 없다. 또한, 진공 청소기는 공기 흡입력에 의존하여 바닥을 청소하기 때문에 정전기 등에 의하여 바닥에 접착되는 미세 먼지 등은 충분히 제거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Since a general conventional vacuum cleaner has a function of cleaning a floor by air suction force, it is impossible to remove dirt such as dirt on the floor. In addition, since the vacuum cleaner cleans the floor depending on the air suction force, there is a limit in that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remove fine dust and the like adhered to the floor by static electricity.

그러므로,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를 이용하여 바닥의 먼지 등을 제거한 후 마른 걸래 또는 젖은 걸래로 바닥을 다시 청소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removes dust on the floor using a vacuum cleaner and then cleans the floor again with a dry rag or a wet rag.

이와 같이 종래의 진공 청소기는 기능상 제한성으로 인하여 바닥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갖도록 개발이 소망되고 있다.As such,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s desired to have a functionality capable of cleaning the floor more cleanly due to functional limitations.

또한, 상술한 바닥 청소를 목적으로 하는 진공 청소기는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충전식 배터리는 수시로 충전되어야만 진공 청소기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vacuum cleaner for the purpose of cleaning the floor may be configured to incorporate a rechargeable battery,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be supplied with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only needs to be charged from time to time.

그러므로, 진공 청소기의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의 제공이 소망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desired to provide a holder that can be mounted while charging a rechargeable battery of a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 청소와 걸래 청소를 선택적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충전식 배터리를 내장한 진공 청소기를 편리하게 거치하고 충전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의 거치대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dle for a vacuum cleaner that can conveniently mount and charge a vacuum cleaner with a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that can selectively or simultaneously perform vacuum cleaning and rag cleaning.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의 흡입 헤드에 탈부착되는 걸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거치대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lder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rag detachable to a suction head of a vacuum cleaner.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진공청소기의 헤드가 거치되는 경사진 면을 가지며 경사진 단부에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와 수직으로 구성되며 전면에 충전을 위한 충전핀이 구성되고 후면에 상기 진공청소기에 이용되는 걸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수납함이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destal having an inclined surface on which a head of the vacuum cleaner is mounted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inclined end; And a holder having a holder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and configured with a charging pin for charging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rag used in the vacuum cleaner on a rear surface thereof.

여기에서,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 상기 진공청소기의 연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support pieces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body of the vacuum cleaner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is preferably spaced apart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수납함은 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The holder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의 모드를 선택하여서 공기의 흡입만 이루어지는 진공 청소 모드로 바닥의 먼지 등을 청소하거나 걸래만 스윙되는 걸래 청소 모드로 바닥의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또는 공기 흡입과 걸래 스윙이 같이 이루어지는 듀얼 모드로 청소를 수행하는 진공 청소기를 거치대를 이용하여 손쉽게 거치하여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lects a mode of the vacuum cleaner, and the vacuum cleaning mode in which only the air is sucked in. In order to clean the dust on the floor, or to remove the dirt on the floor in a rag cleaning mode in which only the swing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easily charge and charge the vacuum cleaner which performs the cleaning in the dual mode in which the swing is performed by using the holder.

또한, 진공 청소기의 바닥 청소에 이용되는 걸래를 거치대에 분리하여 수납함으로써 이용상 편의성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onvenience is provided by separating and storing the rack used for cleaning the floor of the vacuum cleaner in the hol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진공청소기의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손잡이 봉의 상부를 확대한 일부 사시도.
도 6은 배터리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배터리 커버와 토출공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8은 연결 몸체의 링크부, 포집함, 및 펌핑부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진공 모터를 수납하는 펌핑부의 케이스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포집함과 그에 수납되는 필터 세트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링크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걸래를 부착한 상태의 헤드의 사시도.
도 13은 걸래를 탈착한 상태의 헤드의 사시도.
도 14는 걸래를 부착한 상태의 헤드의 측면도.
도 15는 걸래를 탈착한 상태의 헤드의 측면도.
도 16은 걸래를 탈착한 상태의 헤드의 저면도
도 17은 플레이트의 스윙을 설명하는 헤드의 저면도.
도 18은 걸래를 탈부착하는 상태를 예시한 헤드의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9는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헤드의 사시도.
도 20은 헤드 내의 전동 모터와 헤드 하부의 플레이트 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 상태도.
도 21은 헤드의 플레이트, 하부 케이스 및 가이드 커버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는 반단면도.
도 22는 헤드의 전동 모터와, 하부 케이스, 가이드 커버, 및 플레이트 간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전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older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hind of the embodiment of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4 is a perspective view as seen from the lower side of the vacuum cleaner of FIG.
5 is an enlarged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bar;
6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cover is removed.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battery cover and the discharge hole cover are separated.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ink part, the collecting box, and the pumping part of the connecting body;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se of a pumping part for storing a vacuum motor.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llection box and a filter set accommodated therein;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link unit;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with the rag attached;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in the state which removed the rag.
14 is a side view of the head with the rag attached;
Fig. 15 is a side view of the head in a state in which the rag is detached.
Fig. 16 is a bottom view of the head in a state in which the rag is detached
17 is a bottom view of the head illustrating the swing of the plate;
18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the head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ag is attached and detached.
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with the upper case removed;
20 is an assembled state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electric motor in the head and the plate under the head;
Fig. 21 is a half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plate, the lower case and the guide cover of the head.
Fig. 22 is a front 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n electric motor of a head, a lower case, a guide cover, and a pl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t doesn't happen.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 거치대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실시될 수 있으며, 받침대(100)와 지지대(102)로 구성된다. The vacuum clea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is composed of a pedestal 100 and a support 102.

받침대(100)는 상면이 외측으로 경사진 면을 가지며 경사진 단부에 스토퍼(10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받침대(100)는 후술되는 진공청소기의 헤드(12)를 거치하는 역할을 하며, 스토퍼(103)는 헤드(12)가 안정적으로 받침대(100) 상부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pedestal 100 is formed such that the stopper 103 protrudes from the inclined end portion and has an inclined surface to the outside. Pedestal 100 serves to mount the head 12 of the vacuum clean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topper 103 serves to support the head 12 to be stably seated on the pedestal 100 top do.

그리고, 지지대(102)는 받침대(100)와 수직되게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upport 102 is configur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pedestal 100.

상술한 지지대(102)의 전면에는 충전을 위한 충전핀(104)과 거치되는 진공청소기의 연결 몸체(1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106)이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돌출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충전핀(104)는 후술되는 진공청소기의 연결 몸체(14)에 형성되는 접속부(33)와 결합되어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The support piece 106 for supporting the connecting pin 14 of the vacuum cleaner and the charging pin 104 for the charg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02) may have a configuration spaced apart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have. The charging pin 104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3 formed on the connection body 14 of the vacuum cleaner to be described later to supply power for charging.

충전핀(104)에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용전원에 연결되는 전원선(도시되지 않음)과 전원선에 연결되어 내부적인 회로 접속을 이루는 회로부(도시되지 않음)가 필요하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이어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In order to supply power from the charging pin 104, a power line (not shown) connected to a commercial power source and a circuit portion (not shown) connected to the power line to form an internal circuit connection are required.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illustration are omitted.

그리고, 지지대(102)의 후면에는 수납함(108)이 형성되며, 수납함(108)은 후술되는 진공청소기의 걸래(72)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 공간을 가지며 형상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수납함(108)은 커버(도시되지 않음)가 없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개시되었으나,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커버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And, the back of the support 102 is formed with a storage box 108, the storage box 108 has a storage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rack 72 of the vacuum cleaner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hape is carried ou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the manufacturer Can be. The holder 108 is disclosed in FIGS. 1 and 2 without a cover (not shown), but the cover may be further configured as required by the manufacturer.

상술한 진공 청소기의 거치대에는 도 3 내지 도 22로 후술되는 진공 청소기가 거치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22 may be mounted on the cradle of the vacuum cleaner.

도 3 및 도 4의 진공 청소기는 손잡이 봉(10)과 헤드(12) 및 연결 몸체(14)를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진공 청소 기능과 걸래 청소 기능을 포함하는 기능성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vacuum cleaner of FIGS. 3 and 4 includes a handle rod 10, a head 12 and a connecting body 14, and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functionality including a vacuum cleaning function and a rag cleaning function. do.

먼저, 진공 청소기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손잡이 봉(1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편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손잡이 봉(10)에는 사용자가 턴온 및 턴오프 그리고 모드 선택을 손쉽게 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 도 5과 같이 걸래 청소 모드, 진공 청소 모드 및 걸래와 진공 청소를 동시에 수행하는 듀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스위치(20)와 전원의 턴온 또는 턴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22)가 손잡이 봉(10)의 일면에 구성될 수 있다.First, the handle rod 10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vacuum cleaner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for the user to grip. In addition, the handle rod 1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witches for the user to turn on and off and easy to select the mode, in a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5, the cleaning mode, the vacuum cleaning mode and the cleaning of the rack and vacuum Mode switch 20 to select the dual mode to perform simultaneously and the power switch 22 to select the on or off of the power supply may be configured on one side of the handle rod (10).

연결 몸체(14)는 손잡이 봉(10)과 헤드(12) 간을 연결하면서 후술되는 수납 기능을 갖는다.The connecting body 14 has a storage function described below while connecting the handle bar 10 and the head 12.

그리고, 헤드(12)는 바닥에 밀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 봉(10)으로 미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바닥의 먼지 등이나 오염물을 공기 흡입이나 걸래 닦음으로 청소하는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the head 12 has a function of cleaning the dust or the like on the floor by air suction or rag wipe while mov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pushes the handle rod 1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상술한 바에서, 손잡이 봉(10)은 연결 몸체(14)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들이 결합되어서 사용자가 헤드(12)를 운전하기 위한 봉 구조를 이룬다.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rod 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ody 14 and they are combined to form a rod structure for the user to drive the head 12.

연결 몸체(14)는 헤드(12)와 링크부(16)의 사이를 연결하며, 헤드(12)는 링크부(16)에 의하여 연결 몸체(14)와 결합 및 지지되면서 방향 전환을 자유로이 할 수 있다. 즉, 링크부(16)는 헤드(12)가 연결 몸체(14)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하와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관절 역할을 한다.The connection body 14 connects between the head 12 and the link portion 16, and the head 12 can be freely changed in direction while being coupled and supported by the connection body 14 by the link portion 16. have. That is, the link portion 16 serves as a joint capable of rotating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in a state in which the head 12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ody 14.

상술한 바에서, 손잡이 봉(10)의 전원 스위치(22)는 후술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턴온 또는 턴오프를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In the above-described bar, the power switch 22 of the handle rod 10 is a switch for selecting a turn on or off for supplying the power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손잡이 봉(10)의 모드 스위치(20)는 전원 스위치(22)가 턴온된 상태에서 진공 청소 모드, 걸래 청소 모드 그리고 듀얼 모드 중 선택된 모드에 따라서 연결 몸체(14) 내에 수용되는 진공 모터(44)와 헤드 내에 수납되는 전동 모터(46) 중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여기에서 진공 청소 모드의 경우 진공 모터(44)에만 전원이 공급되며, 걸래 청소 모드의 경우 전동 모터(46)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듀얼 모드의 경우 진공 모터(44)와 전동 모터(46) 둘 다에 전원이 공급된다. 즉, 듀얼 모드의 경우 진공 모터(44)의 흡입력에 의한 진공 청소와 전동 모터(46)의 구동력에 의한 걸래 청소가 동시에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mode switch 20 of the handle rod 10 includes a vacuum motor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body 14 according to a selected mode among the vacuum cleaning mode, the rag cleaning mode, and the dual mode while the power switch 22 is turned on. 44) and the electric motor 46 housed in the head. Here, in the vacuum cleaning mode,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vacuum motor 44, in the cleaning mode, power is supplied only to the electric motor 46, and in the dual mode, both the vacuum motor 44 and the electric motor 46 are provided. Everything is powered. That is, in the dual mode, the vacuum cleaning by the suction force of the vacuum motor 44 and the rag cleaning by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46 are simultaneously performed.

여기에서 전원은 후술한 바와 같이 연결 몸체(14) 내에 수용되는 충전식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공급됨이 바람직하며, 충전식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원이 모드 스위치(20) 및 전원 스위치(22)를 경유하여 진공 모터(44)와 전동 모터(46)로 공급된다. 전원 공급을 위한 회로도는 본 명세서의 기술을 이해한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Here, the power is preferably supplied by a rechargeable battery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body 14 as described below, and the power provided by the rechargeable battery is connected to the mode switch 20 and the power switch 22. Via the vacuum motor 44 and the electric motor 46 are supplied. The circuit diagram for the power supply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 a detailed illustration thereof is omitted.

한편, 도 3 및 도 4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구성되는 연결 몸체(14)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on body 14 configured in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shown in FIGS. 3 and 4 may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연결 몸체(14)는 헤드(12)가 전진하는 방향의 반대 쪽 즉 자신의 몸체의 후면에 토출공(30)이 형성되고 포집함(32)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포집함(32)은 토출공(30)의 하부에 구성된다. The connection body 14 has a discharge hole 3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head 12 moves forward, that is, the rear side of its body, and the collecting box 32 is detachably mounted. The collecting box 32 is configured under the discharge hole 30.

그리고, 연결 몸체(14) 내부에는 충전식 배터리와 펌핑부(40)가 수용되며, 펌핑부(40)는 포집함(32)의 상부에 구성된다.In addition,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pumping part 40 are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body 14, and the pumping part 40 is configured above the collecting box 32.

연결 몸체(14)의 후면에는 배터리 커버(34)가 구성되며, 배터리 커버(34)는 연결 몸체(14)의 내부에 충전식 배터리를 수용하면서 충전식 배터리가 출입할 수 있는 공간(36)을 이루는 내부를 커버하고 토출공(30)이 형성된다. 배터리 커버(34)는 연결 몸체(14)의 후면에 공지의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A battery cover 34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connecting body 14, and the battery cover 34 is configured to form a space 36 through which the rechargeable battery can enter and exit while receiving the rechargeable battery inside the connecting body 14. And a discharge hole 30 is formed. Battery cover 34 preferably has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back of the connection body 14 by known screw coupling.

배터리 커버(34)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36) 중 충전식 배터리를 수납하고 남는 상측 공간은 펌핑부(40)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토출공(30)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An upper space of the space 36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ttery cover 34 to store the rechargeable battery serves to guide the air exhausted from the pumping part 40 to the discharge hole 30.

또한, 배터리 커버(34)는 토출공(30)이 형성된 별도의 토출공 커버(3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토출공 커버(38)는 배터리 커버(34)와 이격된 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토출공 커버(38)과 배터리 커버(34) 사이 공간은 방향제 키트(kit)(37)를 수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토출공 커버(38)가 구성된 경우, 배터리 커버(34)의 토출공 커버(38)가 조립되는 면에는 공기의 출입을 위한 관통공(39)이 형성되어야 하며, 배터리 커버(34)는 토출공 커버(38)과 손쉽게 개폐 가능한 공지의 구조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attery cover 34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discharge hole cover 38 in which discharge holes 30 are formed. In this case, the discharge hole cover 38 may have a space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cover 34, and the space between the discharge hole cover 38 and the battery cover 34 may be used to store the fragrance kit 37. Can be. When the discharge hole cover 38 is configured, a through hole 39 for entering and exiting air should be formed on the surface on which the discharge hole cover 38 of the battery cover 34 is assembled, and the battery cover 34 has a discharge h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ver 38 is combined with a known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상술한 토출공 커버(38)와 배터리 커버(34)의 구성에 의하여, 펌핑부(40)에서 펌핑되는 공기는 관통공(39)과 토출공(30)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기되며, 배기되는 과정에서 토출공 커버(38)과 배터리 커버(34) 사이의 기능성 키트(37)를 공기가 거치므로 방향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of the discharge hole cover 38 and the battery cover 34 described above, the air pumped by the pumping part 40 is exhausted to the outside via the through hole 39 and the discharge hole 30, Since the air passes through the functional kit 37 between the discharge hole cover 38 and the battery cover 34 in the process, a directional effect can be obtained.

한편, 연결 몸체(14) 내에 수용되는 펌핑부(40)와 포집함(32)은 도 8과 같이 배치되며, 포집함(32)은 후면에 충전핀(104)와 접속을 이루는 접속부(33)가 형성되고 하부에 링크부(16)가 설치된다. 상술한 접속부(33)는 충전핀(104)이 삽입되는 소켓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pumping part 40 and the collecting box 32 accommodated in the connecting body 14 are arranged as shown in FIG. 8, and the collecting box 32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in 104 at the rear part 33. Is formed and the link portion 16 is installed at the bottom. The connection part 33 is preferably formed as a socket into which the charging pin 104 is inserted.

펌핑부(40)는 도 9와 같은 두 개의 피스로 분할된 펌핑 케이스(42)와 그의 내부에 고정되는 진공 모터(44)를 포함한다. 두 개의 펌핑 케이스(42)는 나사 결합으로 조립될 수 있으며, 진공 모터(44)는 조립되는 펌핑 케이스(42) 사이에 끼워짐으로서 고정될 수 있다.The pumping part 40 includes a pumping case 42 divided into two pieces as shown in FIG. 9 and a vacuum motor 44 fixed therein. The two pumping cases 42 may be assembled by screwing, and the vacuum motor 44 may be fix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pumping cases 42 to be assembled.

펌핑 케이스(42)는 도 9과 같이 내벽에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격실을 이루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진공 모터(44)는 펌핑 케이스(42)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아래에 위치한 포집함(32)의 공기를 펌핑한다. 진공 모터(44)에 의하여 펌핑된 공기는 조립된 펌핑 케이스(42)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를 지나서 토출공(30) 쪽으로 배기되며, 진공 모터(44)의 소음은 격실을 이루는 돌기 구조에 충돌되면서 완화될 수 있다.The pumping case 42 has a protrusion structure projecting inward to form a compartment in order to reduce noise on the inner wall as shown in FIG. 9. Then, the vacuum motor 44 is driven by the power supply in a fixed state in the pumping case 42 to pump air of the collecting box 32 located below. The air pumped by the vacuum motor 44 is exhausted toward the discharge hole 30 through the passage formed by the assembled pumping case 42, and the noise of the vacuum motor 44 is alleviated while colliding with the protrusion structure forming the compartment. Can be.

그리고, 포집함(32)은 일측에 링크부(16)와 결합하는 관통구(52)를 가지며 내부에 먼지 등을 포집할 공간을 갖는다. 그리고, 포집함(32)은 펌핑부(40)와 결합되는 쪽에 조립되는 필터 지지체(48)와 필터(50)를 포함한다. 필터 지지체(48)는 포집함(38)의 개구에 결합되며, 필터 지지체(48)가 결합된 내측에 필터(50)가 안착된다. 필터 지지체(48)와 필터(50)는 포집함(32)이 연결 몸체(14)에서 분리된 후 포집함(38) 내부에 포집된 불순물을 버리거나 필터(50)를 교체하기 쉽도록 탈부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llecting box 32 has a through hole 52 coupled to the link portion 16 on one side and has a space for collecting dust and the like therein. In addition, the collecting box 32 includes a filter support 48 and a filter 50 assembled to the side coupled with the pumping part 40. The filter support 48 is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collection box 38, and the filter 50 is seated inside the filter support 48 is coupled thereto. The filter support 48 and the filter 50 may be detachably disposed so that the trap 32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ng body 14 so that impurities collected in the trap 38 may be discarded or the filter 50 may be easily replaced. It is desirable to have a structure that is.

그리고, 필터 지지체(48)는 공기의 출입이 자유로우면서 배기되는 공기압으로부터 필터(50)를 보호할 수 있는 프레임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필터(50)는 필터 지지체(48) 내측에 삽입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터 지지체(48)와 필터(50)는 대체로 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 supporter 48 may have a frame structure capable of protecting the filter 50 from air pressure exhausted while freely entering and exiting the air, and the filter 5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filter supporter 48. Can have The filter support 48 and the filter 50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generally cone shape.

상술한 바와 같이 포집함(32)이 구성됨에 따라서 진공 모터(44)가 구동되면 진공 모터(44)의 펌핑에 의하여 먼지 등을 포함한 공기가 관통구(52)를 통하여 포집함(32) 내부로 유입되고, 먼지 등은 필터(50)에 의하여 걸러져서 포집함(32) 내에 잔류하며 공기는 필터(50)를 통과하여 펌핑부(40)와 토출공(30)을 통하여 배기된다.As the collection box 32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acuum motor 44 is driven, air, including dust or the like, is pumped by the vacuum motor 44 into the collecting hole 32 through the through hole 52. Inflow, dust and the like are filtered out by the filter 50 and remain in the collecting container 32, and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50 and is exhausted through the pumping part 40 and the discharge hole 30.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상술한 포집함(32)을 수용하는 연결 몸체(14)의 하부에는 링크부(16)가 구성되며, 링크부(16)는 연결 몸체(14)의 하단을 관통하여 포집함(32)의 하부의 관통구(52)에 결합되는 원통형의 소켓(54)과 헤드(12)와 유니버셜 조인트를 이루는 관절(56)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관절(56)은 헤드(12)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포집함(32)으로 유도하는 배관 구조를 내부에 갖는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1, a link portion 16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body 14 accommodating the collection box 32 described above, and the link portion 16 penetrat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ody 14. And a cylindrical socket 54 coupled to the through hole 52 at the bottom of the collecting box 32 and a joint 56 forming a universal joint with the head 12. Here, the joint 56 has a piping structure therein that guides the air introduced from the head 12 to the trap 32.

소켓(54)은 관절(56)과 포집함(32)의 관통구(52) 간의 결합 상태를 보조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The socket 54 is configured to assist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joint 56 and the through hole 52 of the collecting box 32.

관절(56)은 상부로 향하는 단부가 소켓(5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관절(56)에는 연결 몸체(14)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60)와 결합되는 훅버턴(58)이 구성된다. 그에 따라서 소켓(54)을 삽입한 상태에서 관절(56)의 상부로 향하는 단부가 연결 몸체(14)의 하단을 관통하고, 훅버턴(58)과 관통구(60)가 결합됨으로써 링크부(16)와 연결 몸체(14)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훅버턴(58)을 누르면 이들 간의 결합은 해체될 수 있다.Joint 56 is coupled to the upper end is inserted into the socket (54). Joint 56 has a hook button 58 is coupled to the through-hole 60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body (14). Accordingly, in the state where the socket 54 is inserted, an end portion direct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joint 56 penetrate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body 14, and the hook button 58 and the through hole 6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by providing a link portion 16. ) And the connecting body 14 are made. By pressing the hook button 58, the coupling between them can be released.

그리고, 관절(56)의 하측 단부는 구형 조립체(62)가 형성되며, 구형 조립체(62)는 헤드(12)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헤드(12)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이루기 위한 구형 조립체(62)와 결합됨에 따라 회동이 보장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joint 56 is formed with a spherical assembly 62, and the spherical assembly 62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head 12. The head 12 can be secured as it is coupled with the spherical assembly 62 to form a universal joint.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 몸체(14)는 상부의 손잡이(10)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조립되며 헤드(12)와 링크부(16)를 통하여 조립됨으로써 헤드(12)의 회동을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body 14 may be assembl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upper handle 10 and may be assembled through the head 12 and the link part 16 to ensure rotation of the head 12.

한편, 헤드(12)는 도 12 내지 도 2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head 12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2 to 22.

도 12는 헤드(12)의 플레이트(70)에 걸래(72)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헤드(12)에 걸래(72)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도 12의 측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측면도이며, 도 16은 도 12의 저면도이이고, 도 17은 플레이트(70)가 스윙되는 상태를 예시하기 위한 도 16 상태의 저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도 12과 도 14와 같이 헤드(12)의 플레이트(70)에 걸래(72)가 부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anger 72 is attached to the plate 70 of the head 12,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hanger 72 is not attached to the head 12. 14 is a side view of FIG. 12, FIG. 15 is a side view of FIG. 13, FIG. 16 is a bottom view of FIG. 12, and FIG. 17 is a bottom view of FIG. 16 to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plate 70 is swinged. It is also. 1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laws 72 are attached to the plate 70 of the head 12 as shown in FIGS. 12 and 14.

도 19는 상부 케이스(74)를 제거한 상태의 헤드의 사시도이고, 도 20 내지 도 22는 전동 모터(46), 플레이트(70), 하부 케이스(76), 및 가이드 커버(78) 간의 배치, 연결 및 조립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1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with the upper case 74 removed, and FIGS. 20 to 22 are arrangements and connections between the electric motor 46, the plate 70, the lower case 76, and the guide cover 78. And drawings illustrating an assembled state.

헤드(12)의 하부에는 회전축(88)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된 플레이트(70)가 구성되며, 플레이트(70)는 전동 모터(46)의 구동력을 전달받아서 도 17과 같이 일정 폭으로 스윙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head 12 is configured with a plate 70, the rotation shaft 88 is freely coupled to the rotation, the plate 70 is swinging a predetermined width as shown in Figure 17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motor 46.

플레이트(70)의 하부에는 걸래(72)가 도 18과 같이 탈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70)는 걸래(72)의 탈부착을 위하여 하부면에 벨크로 테이프(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부착 수단이나 고정 장치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70)의 저면에 벨크로 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부착된 경우 걸래(72)의 일면에도 접착을 위한 벨크로 테이프(도시되지 않음)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The hook 72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ate 70 as shown in FIG. 18. The plate 70 is preferably configured with an attachment means or a fixing device such as Velcro tape (not shown) on the lower surface for detachment of the rack 72. When the Velcro tape (not shown)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plate 70, it is preferable that a Velcro tape (not shown) for adhesion is also configured on one surface of the rack 72.

헤드(12)는 상부 케이스(74)와 하부 케이스(76)가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부 케이스(74)와 하부 케이스(76)는 나사 결합으로 고정됨이 바람직하다.The head 1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case 74 and the lower case 76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case 74 and the lower case 76 are preferably fixed by screwing.

하부 케이스(76)의 상부에는 전동 모터(46)와 흡입관(100)이 실장되며, 전동 모터(46)는 링크 부재에 의하여 플레이트(70)의 상면과 결합되고, 흡입관(100)은 일단이 하부 케이스(76)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입구(102)에 결합되고 타단은 링크부(16)의 구형 조립체(62)의 단부와 결합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76 is mounted with an electric motor 46 and the suction pipe 100, the electric motor 46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70 by a link member, one end of the suction pipe 100 It is coupled to the inlet 102 formed through the case 76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pherical assembly 62 of the link portion 16.

여기에서, 상부 케이스(74)와 하부 케이스(76)는 구형 조립체(62)가 결합될 위치에 배출구(104)가 분할 형성되며, 상부 케이스(74)와 하부 케이스(76)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배출구(104)를 관통하여 구형 조립체(62)가 조립된다. 구형 조립체(62)는 상부 케이스(74) 또는 하부 케이스(76)가 결합되어 형성된 배출구(104)보다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74)와 하부 케이스(76)가 결합되어 형성된 배출구(104)의 내측에 고정링(106)이 구성되어서 구형 조립체(6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회전을 보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upper case 74 and the lower case 76 is formed in the outlet 104 is divided into the position where the spherical assembly 62 is coupled, the upper case 74 and the lower case 76 is formed The spherical assembly 62 is assembled through the outlet 104. The spherical assembly 62 may be support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outlet 104 formed by coupling the upper case 74 or the lower case 76 to prevent separation. The fixing ring 106 is formed inside the outlet 104 formed by combining the upper case 74 and the lower case 76 to prevent rotation of the spherical assembly 62, thereby ensuring rotation.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흡입구(102)에서 흡입된 불순물을 포함한 공기는 흡입관(100)과 구형 조립체(62)가 형성된 관절(56)을 통하여 포집함(32)으로 이송될 수 있다.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air including impurities sucked from the suction port 102 may be transferred to the collecting box 32 through the joint 56 in which the suction pipe 100 and the spherical assembly 62 are formed.

여기에서, 하부 케이스(76)의 저면의 앞쪽에 바닥의 불순물을 수집하기 위한 브러시(108)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헤드(12)가 앞으로 전진하면 브러시(108)에 의하여 바닥의 불순물이 흡입구(102) 쪽으로 유도되어서 흡입될 수 있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 brush 108 for collecting impurities at the bottom is configured in front of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76. Therefore, when the head 12 is moved forward, impurities at the bottom may be induced toward the suction port 102 by the brush 108 and be sucked.

그리고, 전동 모터(46)의 회전축과 플레이트(70) 사이에는 링크 장치가 구성되며, 링크 장치는 편심캠(940, 로드(90) 및 핀(92)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link device is configur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of the electric motor 46 and the plate 70, and the link device includes an eccentric cam 940, a rod 90, and a pin 92.

구체적으로 전동 모터(46)의 회전축에는 편심캠(94)이 구성되며, 편심캠(94)에는 로드(90)가 구성된다. 로드(90)는 일단이 편심캠(94)의 편심에 축이음되고 연결되고 타단은 플레이트(70)와 핀(92)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Specifically, the eccentric cam 94 is configured on the rotating shaft of the electric motor 46, and the rod 90 is configured on the eccentric cam 94. The rod 90 has one end axially connected to the eccentric of the eccentric cam 94 and the other end is movably connected to the plate 70 and the pin 92.

전동 모터(46)가 회전하면 편심캠(94)이 회전하고, 편심캠(94)의 회전력은 로드(90)의 왕복 구동 운동으로 변환되며, 왕복 구동되는 로드(90)에 결합된 플레이트(70)는 로드(90)가 왕복되는 폭만큼 스윙된다.When the electric motor 46 rotates, the eccentric cam 94 is rotat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eccentric cam 94 is converted into a reciprocating drive motion of the rod 90, the plate 70 coupled to the reciprocating rod 90 ) Swings by the width to which the rod 90 is reciprocated.

그리고, 플레이트(70)의 상면의 양측 변부에는 지지체(96)가 각각 설치되며, 지지체(96)는 자신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측의 하부 케이스(76)를 관통하여 하부 케이스(76)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지지체(96)의 단부 측면에는 롤러(98)가 구성되어서 하부 케이스(76)의 상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76)는 플레이트(70)에 설치된 지지체(96)가 스윙에 연동되어 이동되는 반경을 보장할 수 있는 가이드 홈(99)이 형성되며, 이 가이드 홈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롤러(98)를 지지하기 위하여 하부 케이스(76)와 결합되는 가이드 커버(78)가 구성된다. 가이드 커버(78)와 하부 케이스(76) 사이에는 롤러(98)가 게재되며, 롤러(98)는 스윙에 연동한 왕복 이송이송을 가이드 커버(98)와 하부 케이스(76)가 결합되어 형성된 사이 공간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즉 롤러(98)는 하부 케이스(76)와 가이드 커버(98)에 의하여 형성되는 채널을 따라 왕복하면서 이송된다.Then, the support body 96 is provided on both side edg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70, the support body 96 passes through the lower case 76 of the upper side corresponding to its position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ase 76. It protrudes and the roller 98 is formed in the end side surface of the support body 96, and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case 76.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lower case 76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99 that can ensure a radius to move the support body 96 installed in the plate 70 in conjunction with the swing, the roller reciprocating along the guide groove ( The guide cover 78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lower case 76 to support 98. A roller 98 is placed between the guide cover 78 and the lower case 76, and the roller 98 is formed by combining the guide cover 98 and the lower case 76 to form a reciprocating transfer movement linked to a swing. Guided by space. That is, the roller 98 is conveyed while reciprocating along the channel formed by the lower case 76 and the guide cover 98.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플레이트(70)의 스윙은 롤러(98)의 이송이 가이드 커버(98)와 하부 케이스(76)에 의하여 가이드됨으로써 상하 유동없이 안적적으로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By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swing of the plate 70 can be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out the vertical flow by the conveyance of the roller 98 is guided by the guide cover 98 and the lower case 76.

그리고, 플레이트(70)의 중앙에는 회전축(88)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회전 축(88)은 플레이트(70)의 회전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부 케이스(76)와 통상의 베어링(89) 결합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88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plate 70, the rotation shaft 88 is coupled to the lower case 76 and the conventional bearing 89 so that the rotation of the plate 70 can be ensured. Can be achieved.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드(12)는 상부 케이스(74)와 하부 케이스(76)이 조립되는 내부 공간에 전동 모터(46)와 흡입관(100)이 설치되며, 흡입관(100)은 진공 청소에 이용되고, 전동 모터(46)는 걸레 청소를 위하여 플레이트(70)를 스윙하는데 이용된다. In the head 1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motor 46 and the suction pipe 100 are installed in an inner space in which the upper case 74 and the lower case 76 are assembled, and the suction pipe 100 is used for vacuum cleaning. The electric motor 46 is used to swing the plate 70 for cleaning the mop.

한편, 헤드(12)는 청소할 바닥면 상을 이동하기 위한 이동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헤드(12)는 하부에 각각 한 쌍씩의 앞바퀴(80)와 뒷바퀴(82)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head 12 must be mobile to move on the floor to be cleaned. Therefore, the head 12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air of front wheels 80 and rear wheels 82 at the bottom, respectively.

여기에서 뒷바퀴들(82)은 상하로 일정한 폭으로 유동할 수 있는 탄성을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통상 걸래 청소를 할 때 청소를 위하여 헤드(12)에 압력이 가해진다. 그러면 플레이트(70)에 부착된 결래(72)가 바닥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헤드(12)가 다운되어야 하며, 이러한 헤드(12)의 다운이 뒷바퀴들(82)의 상하 유동에 의하여 보장될 수 있다.
Here, the rear wheels 82 are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elasticity that can flow in a vertical width up and down. Normally, pressure is applied to the head 12 for cleaning when rag cleaning. The head 12 must then be down so that the bond 72 attached to the plate 70 can be squeezed onto the bottom surface, and this down of the head 12 can be ensured by the up and down flow of the rear wheels 82. have.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전원이 턴온된 상태에서 모드 스위치(20)를 조작함으로써 진공 청소 모드, 걸래 청소 모드 그리고 듀얼 모드가 선택되어서 구동될 수 있다.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driven by selecting the vacuum cleaning mode, the rag cleaning mode and the dual mode by operating the mode switch 20 while the power is turned on.

진공 청소 모드의 경우, 진공 모터(44)가 구동됨으로써 펌핑력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서 헤드(12)의 저면에 형성된 흡입구(102)에서 흡입된 공기가 흡입관(100), 링크부(16), 포집함(32), 진공 모터(44)를 거쳐서 토출공(30)으로 배기된다. 공기는 바닥의 먼지 등과 같이 흡입될 수 있으며 먼지 등은 포집함(32)에서 필터링되어 포집된다.In the vacuum cleaning mode, the pumping force is generated by driving the vacuum motor 44, and accordingly, the air sucked in the suction port 10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12 receives suction pipe 100, link portion 16,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hole 30 via the collecting box 32 and the vacuum motor 44. Air may be sucked in, such as dust on the floor, and the dust and the like is filtered in the trap 32 and collected.

그리고, 방향제 키트(37)가 설치된 경우 배기되는 공기에 의하여 청소하는 공간에 방향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ragrance kit 37 is installed, the direction may be made in the space to be cleaned by the exhausted air.

그리고, 걸래 청소 모드의 경우, 전동 모터(46)가 구동됨으로써 그에 연동하여 플레이트(70)가 스윙되고, 플레이트(70)가 스윙됨에 따라서 플레이트(70)에 부착되는 걸래(72)가 바닥에 접하여 스윙된다. 그에 따라서 바닥의 오염물이 닦여질 수 있다.
In the rag cleaning mode, the electric motor 46 is driven so that the plate 70 swings in conjunction with the electric motor 46, and the rag 72 attached to the plate 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oor as the plate 70 swings. Swing As a result, dirt on the floor can be wiped off.

10 : 손잡이 봉 12 : 헤드
14 : 연결 몸체 16 : 링크부
20 : 전원 스위치 22 : 모드 스위치
30 : 토출공 32 : 포집함
34 : 배터리 커버 38 : 토출공 커버
40 : 펌핑부 44 : 진공 모터
46 : 전동 모터 48 : 필터 지지체
50 : 필터 54 : 소켓
56 : 관절 62 : 구형 조립체
70 : 플레이트 72 : 걸래
74 : 상부 케이스 76 : 하부 케이스
80 : 앞바퀴 82 : 뒷바퀴
88 : 회전축 90 : 로드
94 : 편심캠 100 : 흡입관
102 : 흡입구
10: handle rod 12: head
14: connecting body 16: link portion
20: power switch 22: mode switch
30: discharge hole 32: collecting box
34: battery cover 38: discharge hole cover
40 pumping part 44 vacuum motor
46: electric motor 48: filter support
50: filter 54: socket
56 joint 62 spherical assembly
70: plate 72: rag
74: upper case 76: lower case
80: front wheel 82: rear wheel
88: axis of rotation 90: rod
94: eccentric cam 100: suction pipe
102: suction port

Claims (3)

진공청소기의 헤드가 거치되는 경사진 면을 가지며 경사진 단부에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받침대; 및
상기 받침대와 수직으로 구성되며 전면에 충전을 위한 충전핀이 구성되고 후면에 상기 진공청소기에 이용되는 걸래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수납함이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거치대.
A pedestal having an inclined surface on which the head of the vacuum cleaner is mounted and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inclined end; And
The holder of the vacuum cleaner comprising: a holder formed vertically with the support and a charging pin for charging on the front side and a storage box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rack used for the vacuum cleaner on the rear side;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 상기 진공청소기의 연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이 수직 방향으로 나란히 이격되어 돌출된 진공청소기의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tand of the vacuum cleaner protruding spac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supporting the connection body of the vacuum cleaner on the front of the suppo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은 커버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의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der is a cradle of a vacuum cleaner having a cover.
KR1020110021956A 2011-03-11 2011-03-11 Support for vacuum cleaner Ceased KR201201039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956A KR20120103956A (en) 2011-03-11 2011-03-11 Support for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1956A KR20120103956A (en) 2011-03-11 2011-03-11 Support for vacuum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956A true KR20120103956A (en) 2012-09-20

Family

ID=4711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1956A Ceased KR20120103956A (en) 2011-03-11 2011-03-11 Support for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3956A (en)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85B1 (en) * 2013-11-28 2015-01-16 고준서 Movable holder for vacuum cleaner
WO2017196000A1 (en)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and
WO2017196027A1 (en)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and
WO2017196028A1 (en) *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and
WO2017196004A1 (en)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and
CN108903818A (en) * 2018-06-28 2018-11-30 廖志敏 Dustproof device of socket of floor sweeping robot
CN109068921A (en) * 2016-05-09 2018-12-21 Lg电子株式会社 vacuum cleaner holder
US10194779B2 (en) 2016-05-09 2019-02-05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0405717B2 (en) 2016-05-09 2019-09-10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KR20190108948A (en) * 2018-03-16 2019-09-25 문재화 Vacuum cleaner having mounting structure
KR20200010950A (en) * 2018-07-23 2020-01-31 문재화 Vacuum cleaner having charging mount
WO2020027452A1 (en)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holder and cleaner unit
US10561291B2 (en) 2016-05-09 2020-02-18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0610075B2 (en) 2016-05-09 2020-04-07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EP3936022A1 (en) 2017-03-03 2022-01-12 LG Electronics Inc. Cleaner unit with cleaner and support device
EP4344594A1 (en) 2018-07-30 2024-04-03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and cleaner unit

Cited B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985B1 (en) * 2013-11-28 2015-01-16 고준서 Movable holder for vacuum cleaner
US10561291B2 (en) 2016-05-09 2020-02-18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0660493B2 (en) 2016-05-09 2020-05-26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EP3753462A1 (en) 2016-05-09 2020-12-23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WO2017196004A1 (en)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and
US12150614B2 (en) 2016-05-09 2024-11-26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CN109068921A (en) * 2016-05-09 2018-12-21 Lg电子株式会社 vacuum cleaner holder
US10194779B2 (en) 2016-05-09 2019-02-05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0299651B2 (en) 2016-05-09 2019-05-28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0299650B2 (en) 2016-05-09 2019-05-28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JP2019514595A (en) * 2016-05-09 2019-06-0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Vacuum cleaner stand
JP2019514605A (en) * 2016-05-09 2019-06-0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Vacuum cleaner stand
US10314453B2 (en) 2016-05-09 2019-06-11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0342404B2 (en) 2016-05-09 2019-07-09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0405719B2 (en) 2016-05-09 2019-09-10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0405717B2 (en) 2016-05-09 2019-09-10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2108923B2 (en) 2016-05-09 2024-10-08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AU2017264270B2 (en) * 2016-05-09 2019-09-26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AU2022279412B2 (en) * 2016-05-09 2024-09-05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EP4403081A2 (en) 2016-05-09 2024-07-24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WO2017196000A1 (en)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and
WO2017196027A1 (en)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and
US10610075B2 (en) 2016-05-09 2020-04-07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WO2017196028A1 (en) * 2016-05-09 2017-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stand
US11839348B2 (en) 2016-05-09 2023-12-12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EP3756521A1 (en) 2016-05-09 2020-12-30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0959589B2 (en) 2016-05-09 2021-03-30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EP4111926A1 (en) 2016-05-09 2023-01-04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EP3888515A1 (en) 2016-05-09 2021-10-06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EP4101360A1 (en) 2016-05-09 2022-12-14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1363928B2 (en) 2016-05-09 2022-06-21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US11399676B2 (en) 2016-05-09 2022-08-02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EP3936022A1 (en) 2017-03-03 2022-01-12 LG Electronics Inc. Cleaner unit with cleaner and support device
US11998162B2 (en) 2017-03-03 2024-06-04 Lg Electronics Inc. Support device of cleaner and cleaner unit
KR20190108948A (en) * 2018-03-16 2019-09-25 문재화 Vacuum cleaner having mounting structure
CN108903818B (en) * 2018-06-28 2020-12-25 廖志敏 Dustproof device of socket of floor sweeping robot
CN108903818A (en) * 2018-06-28 2018-11-30 廖志敏 Dustproof device of socket of floor sweeping robot
KR20200010950A (en) * 2018-07-23 2020-01-31 문재화 Vacuum cleaner having charging mount
US11484166B2 (en) 2018-07-30 2022-11-01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and cleaner unit
US10973380B2 (en) 2018-07-30 2021-04-13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and cleaner unit
EP4344594A1 (en) 2018-07-30 2024-04-03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and cleaner unit
US11992171B2 (en) 2018-07-30 2024-05-28 Lg Electronics Inc. Cleaner holder and cleaner unit
WO2020027452A1 (en) 2018-07-3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eaner holder and cleaner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3956A (en) Support for vacuum cleaner
KR102730954B1 (en) Robot cleaner, station and cleaning system
US11452417B2 (en) Robot cleaner station
KR101256636B1 (en) Vacuum cleaner
US20070226947A1 (en) Vacuum cleaner with an integrated handheld vacuum cleaner unit
KR20050001765A (en) A vacuum cleaner having a removable main body and one body frame assembly
KR20060068792A (en) Convertible vacuum cleaner
KR102630005B1 (en) Module type wireless vacuum cleaner
US20220322904A1 (en) Charging station for a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6628511B2 (en) Electric cleaning equipment
CN113749580A (en) Combined floor washing machine
JP2009504235A (en) Vacuum cleaner filter mounting structure
KR101369906B1 (en) Vacuum cleaner
KR101203390B1 (en) Vacuum cleaner
JP2014064661A (en) Suction port body and vacuum cleaner
KR101238928B1 (en) Vacuum cleaner
KR20230127687A (en) Cleaner
KR102689900B1 (en) Cleaner
CN220557905U (en) Dust collector
KR102672231B1 (en) Cleaner
WO2013165033A1 (en) Vacuum cleaner
KR100941426B1 (en) Dust collection unit of vacuum cleaner
US20250089962A1 (en) Cleaner station
CN214804417U (en) Hand-held vacuum cleaner
JP2017189479A (en)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1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