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102277A -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2277A
KR20120102277A KR1020110020308A KR20110020308A KR20120102277A KR 20120102277 A KR20120102277 A KR 20120102277A KR 1020110020308 A KR1020110020308 A KR 1020110020308A KR 20110020308 A KR20110020308 A KR 20110020308A KR 20120102277 A KR20120102277 A KR 20120102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location
sector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주)휴빌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빌론 filed Critical (주)휴빌론
Priority to KR1020110020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2277A/ko
Publication of KR20120102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22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1/00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 G01S11/02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 G01S11/06Systems for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not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using radio waves using intensity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45Transmission from base station to mobile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섹터(Sector) 기지국 수신 신호를 수집하는 (A)단계와, 단말기가 상기 (A)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신 신호의 개수를 판단하는 (B)단계와,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A)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신 신호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단말기가 수신 신호를 전송한 각 섹터 기지국을 수신 신호 전송 방향으로 신호 세기에 비례하는 이동거리만큼 이동시켜 가상의 섹터 수신 기지국을 생성하는 (C)단계 및 상기 (C)단계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 섹터 수신 기지국의 위치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1개의 기지국이 수신되어도 섹터 단위의 위치로 기지국의 위상변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위가 가능한 정점이 있고, LOS(Line of Sight)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섹터 단위의 기지국의 위상변화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Positioning method using the phase shift of base sta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 측위 판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단말기가 위치를 판단함에 있어, 단말기가 소정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집하면, 그 수신 신호의 세기 및 수신 방향에 따라 섹터 단위로 기지국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그 기지국 위상변화를 반영하여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함으로써 LOS(Line of Sight)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섹터 단위의 기지국 위상변화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특히,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는 넓은 활용성 및 편리함으로 인하여 크게 각광받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는 구조요청, 범죄 신고에의 대응, 인접 지역 정보 제공의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al Inftion System) 위치에 따른 이동통신 요금의 차등화, 교통 정보, 차량 항법 및 물류 관제 및 위치 기반 CRM(CustomerRelationship Management) 등 다양한 분야 및 상황에 사용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측위 방식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의 셀 반경인 전파환경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네트워크 기반(Network Based) 방식과 이동통신 단말기 내에 장착된 GPS(GlobalPositioning System) 수신기를 이용한 핸드셋 기반(Handset Based) 방식, 그리고 이들 두 가지 방식을 혼합한 혼합(Hybrid) 방식이 있다.
A-GPS 방식은 핸드셋 기반 방식으로서, TDMA(Time De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유럽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기반 망과 CDMA(Code Devision Multiple Access) 무선 접속방식을 사용하는 IS-95 기반 망 기술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방식이다.
GSM 무선 접속 방식에서는 GPS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GSM 망 내의 SPC(Supl Positioning Center) 간에 OMA SUPL(Secure User PlaneLocation) 인터페이스와 OMA SUPL 내의 A-GPS 측위를 위한 프로토콜인 SUPL POS(RRLP(Radio Resource LocationProtocol)를 내장한 GSM A-GPS 프로토콜)를 통한 메시지 송수신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측위 하는데, GPS 위성으로부터 4개 이상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측위를 하기 때문에 위치 결정이 매우 정확하다.
AGPS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한 위성신호를 전송받아서 위치를 계산하는 SPC(SUPL PositioningCenter)와 GSM 이동통신망 내의 기지국 정보에 의한 계산을 가공 또는 다른 시스템으로 연계하는 위치정보센터(SLC: SUPL Location Center)로 구성되어 있다.
E-OTD(Enhanced Observed Time Difference) 방식은 대표적인 네트워크 기반 측위 방식으로 TDMA 무선 접속 규격을 사용하는 유럽의 TDMA 기반 GSM 방식의 GSM 표준위원회에서 LCS Release 98과 99를 통해 표준화되었는데, 이동통신 단말기가 3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수신된 신호를 상대적인 도착시간과 거리의 차를 계산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이러한 E-OTD 방식은 OTD(Observed Time Difference), RTD(Relative Time Difference), GTD(geometric timedifference) 등의 시간차 개념을 조합하여 네트워크 방식의 측위 계산에 사용하는 방식이다.
OTD는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까지 도착하는 신호의 도착시간에 대한 차이를 의미하며, GSM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UE Rx-Tx Time Difference Type 2 Parameter를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RTD는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시작시간 차이를 구할 수 있는 파라미터로서, 기지국에 별도의 측정장치인 LMU(Location Measurement Unit)를 장착해야만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GSM 표준에서 권고한 네트워크 방식의 위치 계산을 위한 Key Parameter인 "GTD = OTD - RTD"를 구하기 위해서는 OTD 뿐만 아니라 RTD를 구해야만 E-OTD 방식의 네트워크 위치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서버 간의 약속된 프로토콜(예컨대, IS-801, RRLP, RRC 등)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 및 LMU에서 측정한 데이터(예컨대, PPM, OTD, RTD 등)를 측위 서버에 전달하고, 그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정 데이터(예컨대, PPM, OTD, RTD 등)를 이용하여 측위 서버에서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측위 기능을 수행한다.
측위 서버는 네트워크 방식의 위치 측위(GPS 위성을 이용한 위치측정 방식을 제외한 서버 단에서 측위 요청한 단말의 위치를 측위하는 방식)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측위 서비스를 요청한 대상(예컨대, SLC, CP(ContentsProvider), 서비스를 요구한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게 전송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 측위 기술은 기지국 반경 셀을 이용한 셀 ID 방식,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보내는 신호를 기지국에서 수신하면서 방향각(LOB: Line Of Bearing)을 계산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AOA(Angle OfArrival) 방식, 3 개 이상의 기지국에서 송신한 전파의 도착시간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를 계산하는 TOA(Time Of Arrival) 방식,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3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파일롯(Pilot) 신호의 도착시간 차이를 측정하여 기지국 간의 거리 차를 계산하여 얻어진 2 개의 쌍곡선(Hyperbola)이 교차하는 지점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로 결정하는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 등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측정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망에서 측정한 파라미터인 시간 및 거리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삼각 측량 또는 쌍곡선 교차점 계산시 중계기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즉, 중계기를 사용할 때에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측정한 기지국과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시간 및 거리 데이터가 원 데이터 대비하여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위치 측위 정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비동기 이동통신망(GSM, W-CDMA)의 경우 시간 및 거리 측정 파라미터를 이용한 삼각측량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측정한 파라미터인 OTD(Observed Time Difference) 외에 별도의 GPS 장비를 부착한 LMU를 추가로 설치하여 LMU에서 측정한 RTD(Relative Time Difference) 값까지 측정해야만 계산식에 의해 측위 결과값을 구할수 있는데, 네트워크 방식 위치 측위을 위해 전체 이동통신 망에 LMU를 추가 설치하기에는 투자대비 효과가 크지 않은 관계로 LMU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에서 삼각 측량 방식에 의한 네트워크 측위 방식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기지국을 재배치하는 경우에는 재배치된 기지국의 위도 및 경도 데이터를 즉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위치 측위를 위하여 참조하는 위도 및 경도 데이터가 재배치된 기지국의 위도 및 경도 데이터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네트워크 기반의 위치측정 기술별로 이동통신 기지국 및 섹터마다 특성이 다른 관계로 위치측정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지국 또는 섹터별로 다르게 사용되는 파라미터 최적화 과정에서 인적, 물적 자원 투입의 과다로 인하여 상용화 추진의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위치를 판단함에 있어, 단말기가 소정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집하면, 그 수신 신호의 세기 및 수신 방향에 따라 섹터 단위로 기지국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그 기지국 위상변화를 반영하여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함으로써 LOS(Line of Sight)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섹터 단위의 기지국 위상변화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할 수 있는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위치를 판단함에 있어, 섹터별로 파라미터를 환경별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시간으로 파라미터 최적화를 할 수 있는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 방법은, 단말기가 위치를 판단함에 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소정의 기지국으로부터 2개 이상의 수신 신호를 수집하면, 상기 수신 신호들의 세기 및 수신 방향에 따라 섹터 단위로 기지국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그 기지국 위상변화를 반영하여 측위를 판단한다.
이때, 본 발명은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섹터(Sector) 기지국 수신 신호를 수집하는 (A)단계; 단말기가 상기 (A)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신 신호의 개수를 판단하는 (B)단계;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A)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신 신호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단말기가 수신 신호를 전송한 각 섹터 기지국을 수신 신호 전송 방향으로 신호 세기에 비례하는 이동거리만큼 이동시켜 가상의 섹터 수신 기지국을 생성하는 (C)단계; 상기 (C)단계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 섹터 수신 기지국의 위치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D)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C)단계는,
Figure pat00001
를 이용하여 신호 세기에 비례하는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A)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신 신호의 개수가 1개 이하인 경우, 단말기는 수신 신호를 전송한 섹터(Sector) 기지국의 위치를 반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D)단계는, 단말기가
Figure pat00002
를 이용하여 각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에 의한 전파거리를 산출하는 (D1)단계; 단말기가
Figure pat00003
를 이용하여 각 수신신호의 가중치를 구하는 (D2)단계; 및 단말기가
Figure pat00004
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D3)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D1)단계에서,
Figure pat00005
값을 모르는 경우,
Figure pat00006
를 이용하여 전파거리를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단말기가 위치를 판단함에 있어, 단말기가 소정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 신호를 수집하면, 그 수신 신호의 세기 및 수신 방향에 따라 섹터 단위로 기지국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그 기지국 위상변화를 반영하여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함으로써 LOS(Line of Sight)가 확보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섹터 단위의 기지국 위상변화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가 위치를 판단함에 있어, 섹터별로 파라미터를 환경별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시간으로 파라미터 최적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개의 기지국이 수신되어도 섹터 단위의 위치로 기지국의 위상변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항상 정확한 측위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단말기가 수신 신호 중 3개의 기지국만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단말기가 수신 신호 중 2개의 기지국만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위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단말기가 수신 신호 중 1개의 기지국만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송출한 신호의 세기 및 수신방향에 따라 기지국 위치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그 변화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수신 기지국으로부터 섹터(Sector) 기지국 수신 신호를 수집한다(단계 S100).
이때,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해 현재 단말기의 위치를 질의하는 위치 계산 요구를 입력받을 수 있다(단계 S110).
그러면, 단말기가 수집한 수신 신호의 개수를 판단하고(단계 S120), 그 판단결과 수집한 수신 신호의 개수가 1개 이하일 경우에는 기지국의 위치를 반환한다.
한편, 그 판단결과 수신 신호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각각 수신 신호를 전송한 수신 섹터(Sector)의 위치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온 뒤(단계 S140), 그 수신 신호가 온 방향(안테나 방향)으로 신호 세기만큼 이동시켜 가상 섹터(Sector) 수신 기지국을 생성한다(단계 S150). 즉, 단말기가 섹터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방향으로 신호 세기만큼 이동시켜 가상 섹터 수신 기지국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 세기만큼 이동시킬 때 [수학식 1]을 적용하여 이동 거리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07
상술한 바에 따라 섹터(Sector) 수신 기지국의 위치가 이동되면, 단말기는 그 이동된 섹터(Sector) 수신 기지국의 위치에서 수신된 신호 세기를 가지고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한다(단계 S160).
좀 더 구체적으로, 단말기는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각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에 의한 전파거리 di를 산출한다. 이때,
Figure pat00008
는 기지국의 송신 세기를 의미하고,
Figure pat00009
는 기지국의 수신 세기를 의미하며, n은 pathloss를 의미한다. 이때, Pathloss는 전파가 자유공간을 진행해 갈 때, 거리에 따라 신호 세기의 감쇄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주파수 환경에 따라 다른 특성을 나타나게 되어 값을 다르게 하여 적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이때,
Figure pat00011
를 모르는 경우에는, [수학식 3]을 이용한다.
Figure pat00012
이후, 단말기는 [수학식 4]를 이용하여 각 수신 신호의 가중치
Figure pat00013
를 구한다. 이때, 가중치는 전파거리
Figure pat00014
의 역수이다.
Figure pat00015
그리고 나서 단말기는 [수학식 5]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중심점 좌표를 구한다. 즉, 각 수신신호의 가중치를 적용한 후 중심점 좌표를 구하는 것이다.
Figure pat00016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LOS(Line of Sight)가 확보 되지 않는 상황에서도 섹터(Sector) 단위의 기지국의 위상변화를 이용하여 정확한 측위를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이해를 돕고자 본 발명이 동작하는 과정을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단말기가 수신 신호 중 3개의 기지국(도 2의 A, B, C)만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수신 기지국(도 2의 A, B, C)으로부터 섹터(Sector) 기지국 수신 신호를 수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가 서로 다른 3개의 기지국(도 2의 A, B, C)의 신호를 가지고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기지국만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위치결정방법은 L1의 영역 내에서만 위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가 L1 영역 외부에 위치할 경우 위치 결과에 큰 오류를 범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각의 수신 섹터 a1, a2, b1, c1을 수신 섹터(Sector)의 신호 세기인 as1, as2, bs1, cs1의 거리만큼 이동시켜 각각의 가상 섹터(Sector) 수신 기지국(도 2의 a1, a2, b1, c1)을 생성시킨다.
상술한 바에 의해 생성된 가상 섹터(Sector) 수신 기지국을 이용하여 단말기는 최종적으로 네트워크 측위 즉,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위치 결정법 상에 L2의 영역 내에서 위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L1의 영역이 수신 기지국을 단순히 이어 놓은 영역이였다면, L2의 영역은 수신 섹터의 방향성과 수신신호의 거리를 이용하여 L1의 영역보다 좀더 세밀한 영역에서 정확한 위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는 단말기가 수신 신호 중 2개의 기지국(도 3의 A, B)만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수신 기지국(도 3의 A, B)으로부터 섹터(Sector) 기지국 수신 신호를 수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가 서로 다른 2개의 기지국(도 3의 A, B)의 신호를 가지고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에는 기지국만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위치결정방법은 L1의 영역 내에서만 위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가 L1 영역 외부에 위치할 경우 위치 결과에 큰 오류를 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각의 수신 섹터 a1, a2, b1을 수신 섹터(Sector)의 신호세기인 as1, as2, bs1의 거리만큼 이동시켜 각각의 가상 섹터(Sector) 수신 기지국을 생성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각각의 가상 섹터(Sector) 수신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게 되면 위치 결정법 상에 L2의 영역 내에서 위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L1의 영역이 수신 기지국을 단순히 이어 놓은 선 영역이였다면, L2의 영역은 수신 섹터의 방향성과 수신신호의 거리를 이용하여 L1의 영역보다 좀더 세밀한 영역에서 정확한 위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는 단말기가 수신 신호 중 1개의 기지국만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가 단말기 주변에 위치한 수신 기지국(도 4의 A)으로부터 섹터(Sector) 기지국 수신 신호를 수집한다.
종래에는 기지국만을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위치결정방법은 L1의 영역 내에서만 위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가 L1 영역 외부 즉, 기지국 근거리가 아닌 원거리에 위치할 경우 위치 결과에 오류를 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각의 수신 섹터 a1, a2을 수신신호의 거리비율인 as1, as2 의 거리만큼 이동시켜 각각의 가상 섹터(Sector) 수신 기지국(도 4에서, a1, a2)을 생성시킨다.
이렇게 생성된 각각의 가상 섹터(Sector) 수신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를 결정하게 되면 위치 결정법 상에 L2의 영역 내에서 위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L1의 영역이 수신 기지국 자체였다면, L2의 영역은 수신 섹터의 방향성과 수신신호의 거리를 이용하여 L1의 영역보다 좀더 세밀한 영역에서 정확한 위치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1개의 기지국이 수신되어도 섹터 단위의 위치로 기지국의 위상변화를 이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측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단말기가 위치를 판단함에 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가 소정의 기지국으로부터 2개 이상의 수신 신호를 수집하면, 상기 수신 신호들의 세기 및 수신 방향에 따라 섹터 단위로 기지국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그 기지국 위상변화를 반영하여 측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섹터(Sector) 기지국 수신 신호를 수집하는 (A)단계;
    단말기가 상기 (A)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신 신호의 개수를 판단하는 (B)단계;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A)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신 신호의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 단말기가 섹터별 수신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기지국을 수신 신호 전송 방향으로 신호 세기에 비례하는 이동거리만큼 이동시켜 가상의 섹터 수신 기지국을 생성하는 (C)단계;
    상기 (C)단계에 의해 생성된 가상의 섹터 수신 기지국의 위치에 근거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D)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Figure pat00017
    를 이용하여 신호 세기에 비례하는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A)단계에 의해 수집된 수신 신호의 개수가 1개 이하인 경우, 단말기는 수신 신호를 전송한 섹터(Sector) 기지국의 위치를 반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단말기가
    Figure pat00018
    를 이용하여 각 수신 신호의 신호 세기에 의한 전파거리를 산출하는 (D1)단계;
    단말기가
    Figure pat00019
    를 이용하여 각 수신신호의 가중치를 구하는 (D2)단계; 및
    단말기가
    Figure pat00020
    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판단하는 (D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1)단계에서,
    Figure pat00021
    값을 모르는 경우,
    Figure pat00022
    를 이용하여 전파거리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KR1020110020308A 2011-03-08 2011-03-08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KR201201022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308A KR20120102277A (ko) 2011-03-08 2011-03-08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0308A KR20120102277A (ko) 2011-03-08 2011-03-08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2277A true KR20120102277A (ko) 2012-09-18

Family

ID=4711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308A KR20120102277A (ko) 2011-03-08 2011-03-08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0227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24898A (zh) * 2012-12-03 2013-04-03 浙江工商大学 一种基于RSSI和RSS的ZigBee技术定位方法
KR101422720B1 (ko) * 2012-10-31 2014-07-24 (주)휴빌론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KR101634879B1 (ko) * 2014-12-26 2016-06-29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60079742A (ko) * 2016-06-22 2016-07-06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3347572A (zh) * 2020-02-18 2021-09-03 仲川 利用空中基站实现终端定位的方法和系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720B1 (ko) * 2012-10-31 2014-07-24 (주)휴빌론 와이파이 기반 실내측위 방법 및 시스템
CN103024898A (zh) * 2012-12-03 2013-04-03 浙江工商大学 一种基于RSSI和RSS的ZigBee技术定位方法
CN103024898B (zh) * 2012-12-03 2015-04-08 浙江工商大学 一种基于RSSI和RSS的ZigBee技术定位方法
KR101634879B1 (ko) * 2014-12-26 2016-06-29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2016126002A (ja) * 2014-12-26 2016-07-11 ネイバー ビジネス プラットフォーム コーポレーション ビーコンを利用した無線測位サービス方法および装置
US10064008B2 (en) 2014-12-26 2018-08-28 Naver Business Platform Corp. Methods, apparatuse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wireless location service using at least one beacon
US10448207B2 (en) 2014-12-26 2019-10-15 Naver Business Platform Corp. Methods, apparatuse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wireless location service using at least one beacon
KR20160079742A (ko) * 2016-06-22 2016-07-06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무선 측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3347572A (zh) * 2020-02-18 2021-09-03 仲川 利用空中基站实现终端定位的方法和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3540B2 (en) Server device, mobile terminal and positioning mode selecting method
Yassin et al. A survey of positioning techniques and location based services in wireless networks
US9594149B2 (en) Fingerprinting with radio channel related information
JP5450081B2 (ja) ユーザ装置の位置を判定する方法、ソフトウエア及びシステム
US8289210B2 (en) Location measurement acquisition adaptive optimization
US9213082B2 (en) Processing time determination for wireless position determination
US8233920B2 (en) Angle of arrival downlink signaling
US20140206385A1 (en) Method and Arrangement of Determining Timing Uncertainty
EP2449834A1 (en) Tdoa-based reconstruction of base station location data
Fischer 5G NR positioning
CN111819457A (zh) 缩放的tdoa 3d定位
CN101398478A (zh) 差分gps定位方法与系统
Mahyuddin et al. Overview of positioning techniques for LTE technology
KR20120102277A (ko) 수신 신호 세기에 따른 기지국 위치의 위상 변화를 이용한 네트워크 측위 판단방법
KR101627506B1 (ko) 측위 시스템, 측위 장치 및 그 측위 방법
US105479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estimating accuracy of a position determination
US8188920B2 (en) Location measurement acquisition optimization with Monte Carlo simulation
TW201320795A (zh) 用於具有補充定位資訊之增強定位之節點與方法
CN111713146B (zh) 缩放的3d位置信息的信令
KR101058098B1 (ko) 다른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그 위치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자신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말기 및 시스템 그리고 그 위치 측정 방법
KR20100099809A (ko) 와이브로용 티디오에이 측위방식 및 격자별 티디오에이 보정값을 이용한 엠에스 어시스티드 및 엠에스 베이스드 네트워크 위치 측위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에 의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1901407B1 (ko) 측위 장치 및 방법
KR100951950B1 (ko) 단말기 위치계산방법 및 그를 위한 위치계산 서버
WO200906405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TW201140123A (en) Locating electromagnetic signal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