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1956A - 다중 대역 안테나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 안테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1956A KR20120101956A KR1020110020108A KR20110020108A KR20120101956A KR 20120101956 A KR20120101956 A KR 20120101956A KR 1020110020108 A KR1020110020108 A KR 1020110020108A KR 20110020108 A KR20110020108 A KR 20110020108A KR 20120101956 A KR20120101956 A KR 201201019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diator
- capacitive element
- resonator
- ground
- frequency ban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10—Resonant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Landscapes
- Waveguide A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대역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급전부, 급전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사체 및 방사체에 형성되어 방사체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중 대역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공중의 RF 신호를 통신 기기 내부로 수신하거나, 내부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는 장치로서, 통신 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최근 이동 통신 기기들은 소형화 및 경량화 되는 추세이며, 기능이 다양화 되고 있다. 이동 통신 기기들은 다양한 종류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가 구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음성, 데이터, DMB, Wi-Fi, 블루투스, NFC 등의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가 하나의 단말기에 내장되고 있다.
안테나는 송수신하는 주파수에 상응하는 파장에 의하여 크기가 정해진다. 통신 기기의 소형화를 위해서는 안테나의 길이를 줄일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공간효율적으로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안테나 구조를 변경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서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다양해지게 되어, 통신단말기 내에 여러 개의 안테나가 내장되게 되었다. 따라서 공간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2009/0184878호 “광대역 안테나”는 역에프 안테나의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안테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 2010/0214181호 “다중 대역 안테나와 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기기”는 다중 대역 안테나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안테나의 다중 대역을 가능하지만 안테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소형으로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급전부;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에 형성되어 상기 방사체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부는 상기 방사체의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클리어런스부에 형성되며, 상기 클리어런스부에 의해 제거된 방사체의 양측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방사체 양측이 커패시터를 형성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부는 상기 방사체로부터 돌출된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과 상기 방사체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공진 패턴과 상기 방사체가 커패시터를 형성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칩 커패시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급전점; 상기 급전점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방사체; 상기 급전점의 타측에 형성된 제2 방사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1 방사체에 형성된 제1 공진부;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2 방사체에 형성된 제2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공진부는 상기 제1 방사체에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1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에 상기 제1 방사체의 양측과 연결된 제1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칩 커패시터이거나,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 영역에 상기 제1 방사체의 양측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공진부는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의 경계 및 상기 제1 용량성 소자가 이루는 제1 공진 루프에 의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공진부는 상기 제2 방사체에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2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제2 클리어런스부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 상기 제2 방사체의 양측과 연결된 제2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칩 커패시터일 수도 있고, 상기 제2 클리어런스부 영역에 상기 제2 방사체의 양측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공진부는 상기 제2 클리어런스부의 경계 및 상기 제2 용량성 소자가 이루는 제2 공진 루프에 의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과 상기 제2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급전점; 상기 급전점과 연결된 급전선; 제1 클리어런스부가 형성된 그라운드;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된 방사체;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제 1 용량성 소자; 및 상기 방사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공진부를 통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부는 상기 방사체의 소정 영역이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와 연결되도록 제거되는 제2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제2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2 클리어런스부의 경계면 및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로 이루어진 공진 루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일 수도 있고,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부는 상기 방사체의 일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과 상기 방사체 사이에 형성된 제2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일 수도 있고,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급전선의 타단과 상기 그라운드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용량성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그라운드;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된 접속부; 일단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된 급전선; 상기 급전선의 타단과 연결된 급전점;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클리어런스부에 의해 일측이 개방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량성 소자는 칩 커패시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연결부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거나, 상기 연결부 양측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된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된 접속부; 일단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된 급전선; 상기 급전선의 타단과 연결된 급전점; 및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방사체; 상기 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방사체와 연결되어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방사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과 상기 제1 방사체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진 패턴은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돌출되어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방사체, 상기 공진 패턴 및 상기 용량성 소자로 이루어는 공진 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급전선,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1 방사체는 역에프(Inverted F)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된 접속부; 일단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된 급전선; 상기 급전선의 타단과 연결된 급전점;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방사체; 상기 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방사체 또는 상기 제2 방사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부는 상기 고리형태의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 양단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용량성 소자는 칩 커패시터일 수도 있고, 상기 공진 패턴의 양단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방사체 또는 제2 방사체로부터 인가된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 전류를 통해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급전점; 클리어런스부가 형성된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와 이격되며, 일단이 상기 급전점과 연결된 급전선; 상기 그라운드와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클리어런스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방사체;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방사체와 함께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용량성 소자; 상기 급전선과 상기 그라운드 또는 상기 급전선과 상기 방사체 사이에 형성된 제2 용량성 소자; 및 상기 클리어런스부에 형성되며, 상기 방사체, 상기 그라운드 및 상기 급전선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일 수도 있다. 상기 공진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의 양단에 형성된 제3 용량성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 용량성 소자는 상기 공진 패턴의 양단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공진 패턴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상기 급전선이 절곡되어 상기 방사체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진부는 상기 그라운드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그라운드와 수직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안테나에 다중 대역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중 대역 안테나의 크기를 줄여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
도 3은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10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공진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13a 및 도 13b 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15a 및 도 15b 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18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19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22는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25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2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28는 도 26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34은 도 32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35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37은 도 35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9는 도 38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40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41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2는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
도 3은 도 1a 및 도1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10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공진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13a 및 도 13b 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15a 및 도 15b 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18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19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22는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를 도시한 도면.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25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2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28는 도 26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34은 도 32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35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37은 도 35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도 38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
도 39는 도 38의 A영역을 확대한 도면.
도 40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
도 41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1b 은 다이폴 안테나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1b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급전점(20), 제1 방사부(35) 및 제2 방사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사부(35)는 급전점(20)과 연결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방사부(35)는 제1 방사체(11)와 제1 공진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사체(11)는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제1 공진부(30)는 제1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공진부(30)는 제1 클리어런스부(31) 및 제1 용량성 소자(3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클리어런스부(31)는 제1 방사체(11)의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 클리어런스부(31)는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클리어런스부(31)의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된 영역에 제1 용량성 소자(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리어런스부(31)의 경계 영역에 분포한 제1 방사체(11)와 제1 용량성 소자(32)에 의해 제1 공진 루프가 형성되어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1 공진부(30)는 제1 클리어런스부(31)의 일측을 감싸도록 제1 방사체(11)의 일면에서부터 돌출된 제1 연장부(3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3)는 제1 클리어런스부(31)의 우측 하부에 형성되며 일단이 제1 방사체(1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1 연장부(33)는 제1 방사체(11)와 동일한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용량성 소자(32)는 제1 연장부(33)의 타단과 제1 방사체(1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량성 소자(32)는 칩 커패시터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량성 소자(32)는 제1 방사체(11)의 양측이 커패시터를 이룰 수 있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용량성 소자(32)는 제1 연장부(33)와 제1 방사체(11)가 커패시터를 이룰 수 있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용량성 소자(32)가 제1 방사체(11)의 양측이 커패시터를 이루는 소정간격으로 형성될 경우 제1 방사체(11)가 서로 마주하는 단면의 면적이 크도록 형성하여 커패시턴스 값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33)와 제1 방사체(11) 사이의 마주하는 면적을 크게 하여 커패시턴스 값을 크게 할 수 있다.
제2 방사부(45)는 급전점(20)과 연결되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방사부(45)는 제2 방사체(12)와 제2 공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사체(12)는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제2 공진부(10)는 제2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공진부(40)는 제2 클리어런스부(41) 및 제2 용량성 소자(42)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클리어런스부(41)는 제2 방사체(12)의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2 클리어런스부(41)는 사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클리어런스부(41)의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된 영역에 제2 용량성 소자(4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클리어런스부(41)의 경계 영역에 분포한 제2 방사체(12)와 제2 용량성 소자(42)에 의해 제2 공진 루프가 형성되어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2 공진부(40)는 제2 클리어런스부(41)의 일측을 감싸도록 제2 방사체(12)의 일면에서부터 돌출된 제2 연장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장부(43)는 제2 클리어런스부(41)의 우측 하부에 형성되며 일단이 제2 방사체(12)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제2 연장부(43)는 제2 방사체(12)과 동일한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용량성 소자(42)는 제2 연장부(43)의 타단과 제2 방사체(1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량성 소자(42)는 칩 커패시터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량성 소자(42)는 제2 방사체(12)의 양측이 커패시터를 이룰 수 있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용량성 소자(42)는 제2 연장부(43)와 제2 방사체(12)가 커패시터를 이룰 수 있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용량성 소자(42)가 제2 방사체(12)의 양측이 커패시터를 이루는 소정간격으로 형성될 경우 제2 방사체(12)가 서로 마주하는 단면의 면적이 크도록 형성하여 커패시턴스 값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43)와 제2 방사체(12) 사이의 마주하는 면적을 크게 하여 커패시턴스 값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제1 공진 루프와 제2 공진 루프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제1 용량성 소자(32)와 제2 용량성 소자(32)의 커패시턴스 값을 서로 다르게 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32, 42)의 칩 커패시터의 용량이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하거나, 제1 용량성 소자(32)와 제2 용량성 소자(42) 중 어느 하나는 칩 커패시터를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커패시턴스 값이 다르도록 방사체 양측의 이격 거리 또는 마주하는 면적을 조절하여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클리어런스부(31, 41)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하여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a 및 도1b 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3은 스미스 차트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3 의 스미스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2에 도시된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을 가진다. 제1 주파수 대역에서는 약 -18dB 정도의 반사손실을 가지며, 제2 주파수 대역에서는 -11dB정도의 반사손실을 가진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중심 주파수가 920MHz 대역인 것과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중심주파수가1.4GHz 대역인 안테나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 용량성 소자, 제2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의해 중심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공진부의 루프와 제2 공진부의 루프 길이에 따라서도 중심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그라운드 크기가 가로 100mm, 세로 45mm로 형성되고, 제1 클리어런스부(80)는 가로 6mm, 세로 10mm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50), 급전점(60), 급전선(70), 제1 클리어런스부(80) 및 방사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사부(95)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사부(95)는 방사체(51), 제1 용량성 소자(90) 및 공진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50)는 안테나가 내장되는 통신 기기의 전기/전자 소자들에 접지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급전선(70)은 일단이 급전점(60)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50)에 연결된다. 급전선(70)은 그라운드(5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타단측이 “ㄷ”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이때, 급전선(70)의 “ㄷ”자 형태로 형성된 부분은 제1 클리어런스부(8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리어런스부(80)는 그라운드(50)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다. 제1 클리어런스부(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클리어런스부(80)는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에서 제1 클리어런스부(80) 좌측 상단 영역에 제1 클리어런스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방사체(51)는 일단이 그라운드(50) 연결되며, 제1 클리어런스부(80)의 외각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방사체(51)는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사체(51)는 그라운드(50)와 동일한 도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이때, 방사체(51)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량성 소자(90)는 방사체(51)의 타단에 형성된다. 제1 용량성 소자(90)는 방사체(51)의 타단에 방사체(51)와 그라운드(50)에 각각 연결된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량성 소자(90)는 그라운드(50)와 방사체(51)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커패시터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제1 용량성 소자(90)는 방사체(51)가 그라운드(50)와 커패시터로 작용할 수 있는 간격까지 연장되어, 공기 또는 절연물질을 유전체로 사용하는 커패시터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량성 소자(90)의 커패시턴스 값을 크게 하기 위하여 방사체(51)와 그라운드(50)의 마주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방사체(51)와 그라운드(50)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용량성 소자(90)는 방사체(51)와 그라운드(50)가 서로 톱니형태로 형성되거나, 방사체(51)가 그라운드(50) 경계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공진부(100)는 제2 클리어런스부(110)와 제2 용량성 소자(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클리어런스부(110)는 방사체(51)의 소정영역에 형성된다. 제2 클리어런스부(110)는 방사체(51)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클리어런스부(110)는 막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클리어런스부(110)는 사각형태 이외에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량성 소자(120)는 제1 클리어런스부(80)와 제2 클리어런스부(110)가 연결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용량성 소자(120)는 제1 클리어런스부(80)의 경계면과 제2 클리어런스부(110)의 경계면 사이의 방사체(51)가 일부 제거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량성 소자(120)는 방사체(51)와 그라운드(50) 각각에 연결된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량성 소자(120)는 방사체(51)와 그라운드(5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제2 용량성 소자(120)는 방사체(51)의 형상 또는 그라운드의 형상 중 어느 하나를 변형하여 커패시턴스값을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용량성 소자(120)는 방사체(51)의 형상과 그라운드(50)의 형상을 톱니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방사체(51)의 형상과 그라운드(50)의 형상을 변형하여 제2 용량성 소자(120)의 커패시턴스 값을 조절하여 송수신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방사체(51) 및 제1 용량성 소자(90)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공진부(100)를 통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의 제1 주파수 대역은 중심주파수가 약 1.55GHz 대역의 신호이며, 제2 주파수 대역은 중심주파수가 약 2.1GHz 대역의 신호이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제1 용량성 소자(90)의 커패시턴스 값, 제1 클리어런스부(80)의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주파수 대역은 제2 용량성 소자(120)의 커패시턴스 값, 제2 클리어런스부(110)의 크기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공진부(100)의 형성 위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방사체(51)의 어느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6은 스미스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5의 그래프와 도6 의 스미스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5에 도시된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낮은 반사 손실을 갖는다. 제1 주파수 대역에서는 약 -21dB 정도의 반사손실을 가지며, 제2 주파수 대역에서는 약 -11dB정도의 반사손실을 가진다.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중심 주파수가 1.55GHz 인 것과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중심주파수가2.1GHz 인 안테나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제1 용량성 소자 및 제2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의해 중심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50), 급전점(60), 급전선(70), 제1 클리어런스부(80) 및 방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사부(130)는 방사체(51), 제1 용량성 소자(90), 제1 공진부(150) 및 제2 공진부(160)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50)는 안테나가 장착되는 통신 기기의 전기/전자 소자들에 접지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급전선(70)은 일단이 급전점(60)에 연결된다. 급전선(70)은 그라운드(5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타단측이 “ㄷ”자 형태로 절곡될 수 있다. 절곡된 형태의 급전선(70)의 종단은 제2 용량성 소자(95)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ㄷ”자 형태로 형성된 영역은 제1 클리어런스부(8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리어런스부(80)는 그라운드(50)의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리어런스부(80)는 그라운드(50)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다. 제1 클리어런스부(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클리어런스부(80)는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에서 제1 클리어런스부(80) 좌측 상단 영역에 제1 클리어런스부(8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클리어런스부(80)에 의해 그라운드(50)의 일측변 중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사체(51)는 일단이 그라운드(50)와 연결되어 그라운드(50)의 외각선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방사체(51)는 “┏”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사체(51)는 그라운드(50)와 동일한 도전성 금속 물질로 형성된다. 이때, 방사체(51)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량성 소자(90)는 방사체(51)의 타단과 그라운드(50)에 각각 연결된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량성 소자(90)는 방사체(51)의 타단과 그라운드(50)가 커패시터로 작용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용량성 소자(90)는 방사체(51)의 타단이 그라운드(50)와 커패시터로 작용할 수 있는 간격까지 이격되어, 공기 또는 절연물질을 유전체로 사용하는 커패시터로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량성 소자(90)의 커패시턴스 값을 크게 하기 위하여 방사체(51)와 그라운드(50)의 마주하는 면적을 넓게 형성할 수 있다. 방사체(51)와 그라운드(50)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용량성 소자(90)는 방사체(51)와 그라운드(50)가 서로 톱니형태로 형성되거나, 방사체(51)가 그라운드(50) 경계면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사체(51)에 의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용량성 소자(95)는 급전선(70)의 타단에 형성된다. 제2 용량성 소자(95)는 급전선(70)과 그라운드(50)에 각각 연결되는 칩 커패시터일 수 있다. 또한, 제2 용량성 소자(95)는 급전선(70)과 그라운드(50)가 소정간격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 공기 또는 절연물질이 유전체로 작용하여 커패시터로 작용할 수 있다.
제1 공진부(150)는 방사체(51)의 일부, 제1 공진 패턴(152) 및 제3 용량성 소자(153)에 의해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 루프를 형성한다.
제1 공진 패턴(152)은 방사체(51)의 상부변으로부터 제1 클리어런스부(80) 영역에 형성되며, 그라운드(50)와 동일한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1 공진 패턴(152)은 역 “ㄴ”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1 공진 패턴(15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51)의 일측변에서 연장되며 방사체(51)의 타측변 방향으로 절곡된다.
제3 용량성 소자(153)는 제1 용량성 소자(90) 또는 제2 용량성 소자(9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3 용량성 소자(153)가 칩 커패시터일 경우에 제1 공진 패턴(152)과 방사체(51)에 각각 단자가 연결된다.
또한, 제3 용량성 소자(153)는 제1 공진 패턴(152)과 방사체(51)가 소정간격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 공기 또는 절연물질이 유전체로 작용하여 커패시터로 작용할 수 있다. 제3 용량성 소자(153)는 제1 공진 패턴(152)의 종단과 방사체(51)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마주하는 면적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3 용량성 소자(153)는 제1 공진 패턴(152)과 방사체(51) 사이의 유전체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제1 공진부(150)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공진부(150)의 공진 주파수는 제3 용량성 소자(152)의 커패시턴스 값 또는 제1 공진 패턴(152)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제2 공진부(160)는 방사체(51), 제2 공진 패턴(162) 및 제4 용량성 소자(163)에 의해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공진 루프를 형성한다.
제2 공진 패턴(162)은 방사체(51)의 측변으로부터 제1 클리어런스부(80) 영역으로 연장되며, 그라운드(50)와 동일한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2 공진 패턴(162)은 역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 공진 패턴(16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51)의 측변에서 연장되며 방사체(51)의 측변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때, 제2 공진 패턴(162)의 종단에는 제4 용량성 소자(163)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용량성 소자(163)는 제1 용량성 소자(90), 제2 용량성 소자 또는 제3 용량성 소자(15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4 용량성 소자(163)가 칩 커패시터일 경우에 제2 공진 패턴(162)과 방사체(51)에 각각 단자가 연결된다.
또한, 제4 용량성 소자(163)는 제2 공진 패턴(162)과 방사체(51)가 소정간격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 공기 또는 절연물질이 유전체로 작용하여 커패시터로 작용할 수 있다. 제4 용량성 소자(163)는 제2 공진 패턴(162)의 종단과 방사체(51)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마주하는 면적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4 용량성 소자(163)는 제2 공진 패턴(162)과 방사체(51) 사이의 유전체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제2 공진부(160)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공진부(160)의 공진 주파수는 제4 용량성 소자(163)의 커패시턴스 값 또는 제2 공진 패턴(162)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1 공진부(150)와 제2 공진부(160)가 동시에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제1 공진부(150)와 제2 공진부(160)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되어도 다중대역 안테나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1 공진부(150)만 형성될 경우,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으며, 제2 공진부(160)만 형성될 경우에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진부(150) 및 제2 공진부(160)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1 클리어런스부(80) 영역 중 방사체(51)와 연결되도록 어떠한 영역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1 공진부(150) 및 제2 공진부(160)가 형성되는 위치는 제1 클리어런스부(80) 영역 중 그라운드(50)와 제1 클리어런스부(80)의 경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챠트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9의 스미스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3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8의 반사 손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 및 제3 주파수 대역에서 낮은 반사 손실을 갖는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중심 주파수가 1.55GHz 이며, 약 -16.7dB정도의 반사 손실이 측정된다. 제2 주파수 대역은 중심 주파수가 1.9GHz 이며, 약 -22.6dB 정도의 반사 손실이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3 주파수 대역은 중심 주파수가 2.24GHz 이고, 반사 손실은 약 -12.87dB 정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제1 주파수 대역으로 중심 주파수가 1.55GHz,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는 1.9GHz,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2.24GHz 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 내지 제4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의해 제1 내지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각각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과 대비하여 제3 공진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50), 급전점(60), 급전선(70), 제1 클리어런스부(80), 방사체(51), 제1 용량성 소자(90), 제2 용량성 소자(95), 제1 공진부(150), 제2 공진부(160) 및 제3 공진부(170)를 포함한다. 이때, 방사부는 방사체(51)와 제1 내지 제3 공진부(150, 160, 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운드(50), 급전점(60), 급전선(70), 제1 클리어런스부(80), 방사체(51), 제1 용량성 소자(90), 제2 용량성 소자(95), 제1 공진부(150) 및 제2 공진부(160)는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공진부(170)는 제3 공진 패턴(172) 및 제5 용량성 소자(173)를 구비하여, 방사체(51), 제3 공진 패턴(172) 및 제4 용량성 소자(173)로 이루어져 제4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제3 공진 패턴(172)은 방사체(51)의 측변으로부터 제1 클리어런스부(80) 영역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라운드(50)와 동일한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제3 공진 패턴(17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51)의 측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공진 패턴(172)의 종단에는 제5 용량성 소자(173)가 형성될 수 있다.
제5 용량성 소자(173)는 제1 내지 제4 용량성 소자(90, 95, 153, 16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5 용량성 소자(173)가 칩 커패시터일 경우에 제3 공진 패턴(172)과 방사체(51)에 각각 단자가 연결된다.
또한, 제5 용량성 소자(173)는 제3 공진 패턴(172)과 그라운드(50) 소정간격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에 공기 또는 절연물질이 유전체로 작용하여 커패시터로 작용할 수 있다. 제5 용량성 소자(173)는 제3 공진 패턴(172)의 종단과 그라운드(50)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마주하는 면적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5 용량성 소자(173)는 제3 공진 패턴(172)과 그라운드(50) 또는 방사체(51) 사이의 유전체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다.
제3 공진부(170)는 제4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 공진부(170)의 공진 주파수는 제5 용량성 소자(173)의 커패시턴스 값 또는 제3 공진 패턴(172)의 길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공진부(150 내지 170)의 설치 위치는 제1 클리어런스부(80)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12의 스미스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4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11의 반사 손실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주파수 대역에서 낮은 반사 손실을 갖는다. 제1 주파수 대역은 중심 주파수가 1.56GHz 이며, 약 -18.6dB정도의 반사 손실이 측정된다. 제2 주파수 대역은 중심 주파수가 1.98GHz 이며, 약 -18.4dB 정도의 반사 손실이 측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2.24GHz 이고, 반사 손실은 약 -12.2dB 정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4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2.6GHz이고, 반사 손실은 약 -9.95dB인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1 내지 제4 주파수 대역이 도 11에 도시된 반사 손실을 가지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내지 제5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의해 제1 내지 제4 주파수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각각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4 내지 도 12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 이외에 5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에 적용이 가능하다. 즉, 4개 이상의 공진부를 형성하여 5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다중 대역 안테나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b는 도 13a의 다중 대역 안테나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는 역에프 안테나(PIFA)의 실시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3a에서 그라운드(200)의 크기는 가로 100mm, 세로 45mm이며, 방사부(255)가 형성된 영역은 가로 15mm, 세로 45mm로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접속부(205), 급전선(215), 방사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사부(255)는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및 공진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접속부(205), 급전선(215), 방사부(255)가 역에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200)는 안테나가 내장되는 통신 기기의 전기/전자 소자들에 접지 전압을 제공한다. 그라운드(200)는 도전성 금속 예를 들면, 구리, 구리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부(205)는 그라운드(200)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급전선(215)은 급전점(210)과 연결되어 형성되며, 접속부(205)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제1 방사체(220)는 접속부(205)와 급전선(215)에 연결된다. 제1 방사체(220)는 그라운드(200)와 동일한 평면상에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사체(230)는 제1 방사체(220)에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 방사체(220)와 동일 평면상에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방사체(220)와 제2 방사체(230)는 도전성 금속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합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 방사체(220)와 제2 방사체(230)를 연결한다. 연결부(300)는 제1 및 제2 방사체(220, 230)와 동일한 평면에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공진부(250)는 연결부(300)에 형성되며, 연결부(300), 클리어런스부(245) 및 제1 용량성 소자(25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리어런스부(245)는 연결부(300)의 일부가 제거되어 형성된다. 이때, 클리어런스부(245)는 연결부(300)의 중앙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클리어런스부(245)는 다각형, 원형, 타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리어런스부(245)는 일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량성 소자(253)는 클리어런스부(245)에 형성되며, 제1 방사체(220)와 클리어런스부(245)에 의해 제거된 후 남은 연결부(300)의 일부 영역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량성 소자(253)는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용량성 소자(253)로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경우에는 일단이 제1 방사체(220)와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부(300)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량성 소자(253)는 연결부(300)의 양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클리어런스부(245)의 개방된 영역이 연결부(300)의 중앙측에 위치할 경우에 제1 용량성 소자(253)는 연결부(300)의 양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용량성 소자(253)는 연결부(30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량성 소자(253)는 제1 방사체(220)과 연결부(300)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량성 소자(253)는 제1 방사체(220)과 연결부(300) 사이의 이격 거리, 마주하는 면적 또는 유전체의 유전율을 통해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으며,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용량성 소자(253)는 연결부(300)의 양측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량성 소자(253)는 연결부(300) 양측 사이의 이격 거리, 마주하는 면적 또는 유전체의 유전율을 통해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으며,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3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안테나로 동작한다. 제1 방사체(220)에 의한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제2 방사체(230)에 의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및 공진부(250)에 의한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중심주파수가0.745GHz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 1.56GHz인 제2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가 1GHz인 제3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21dB, 제2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14.6dB, 제3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10dB정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어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3 주파수 대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도 13에 도시된 평판형 역에프 안테나(PIFA)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급전선(215), 접속부(205) 및 방사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사부(255)는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연결부(300) 및 제1 공진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급전선(215), 접속부(205),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는 도 13a 및 도 13b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제1 공진부(255)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방사체(220)와 제2 방사체(230)는 도전성 금속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합금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제1 방사체(220)와 제2 방사체(230)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연결부(300)는 제1 및 제2 방사체(220, 230)와 동일한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진부(260)는 제1 공진 패턴(261) 및 제1 용량성 소자(2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진부(260)는 제1 공진 패턴(261), 제1 용량성 소자(263) 및 제1 방사체(220)으로 이루어진 공진부에 의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공진 패턴(261)은 일단이 제1 방사체(22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플로팅된다. 이때, 제1 공진 패턴(261)은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량성 소자(263)는 제1 공진 패턴(261)의 타단과 제1 방사체(220) 사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용량성 소자(263)는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량성 소자(263)는 제1 공진 패턴(261)의 타단과 제1 방사체(220)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공진 패턴(261)의 타단과 제1 방사체(220)이 소정 간격 이격되고 두 금속 사이에 유전체(예를 들면, 공기, 또는 절연체 등)가 형성되어 커패시터로 작용한다. 이때, 제1 용량성 소자(263)는 제1 방사체(220)과 제1 공진 패턴(261) 사이의 이격 거리, 마주하는 면적 또는 유전체의 유전율을 통해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으며,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1 공진 패턴(261)의 길이나 형태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져 공진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공진 패턴(261)은 제1 방사체(220)에서 양측으로 돌출될 경우 제1 용량성 소자(263)는 제1 공진 패턴(261)의 양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칩 커패시터 또는 제1 공진 패턴의 양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의 제1 공진부(260)는 역에프안테나의 송수신 주파수 대역 이외의 다른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도시된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3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안테나로 동작한다. 제1 방사체(220)에 의한 제1 주파수 대역, 제2 방사체(230)에 의한 제2 주파수 대역, 제1공진부(260)에 의한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3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대역 안테나는 중심주파수가0.81GHz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 1.55GHz인 제2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가 1.06GHz인 제3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6.77dB, 제2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10.92dB, 제3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6.96dB정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어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3 주파수 대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7a 및 도 17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 및 도 17b은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대비하여 제2 공진부(270)가 더 포함되어 신호 송수신 대역이 4개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2 공진부(270)를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급전선(215), 접속부(205),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연결부(300), 제1 공진부(260) 및 제2 공진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연결부(300) 및 제1 공진부(260)는 도 15a 및 도 15b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공진부(270)는 제2 공진 패턴(271) 및 제2 용량성 소자(27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진부(270)는 제2 공진 패턴(271), 제2 용량성 소자(273) 및 제1 방사체(220)로 이루어진 공진 루프에 의해 제4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공진 패턴(271)은 제1 방사체(220)와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플로팅된다. 이때, 제2 공진 패턴(271)는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진 패턴(271)의 형태는 제1 공진 패턴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진 패턴(271)은 제1 공진 패턴(261)과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공진 패턴(27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방사체(220)을 중심으로 제1 공진 패턴(261)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량성 소자(273)는 제2 공진 패턴(271)의 타단과 제1 방사체(220) 사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 용량성 소자(273)는 제2 공진 패턴(271)와 제1 방사체(220)에 각각 연결된 칩 커패시터일 수 있다.
또한, 제2 용량성 소자(273)는 제2 공진 패턴(271)의 타단과 제1 방사체(220)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공진 패턴(271)의 종단과 제1 방사체(220)이 소정 간격 이격되고 두 금속 사이에 유전체(예를 들면, 공기, 또는 절연체 등)가 형성되어 커패시터로 작용한다. 이때, 제2 용량성 소자(273)는 제1 방사체(220)과 제2 공진 패턴(271) 사이의 이격 거리, 마주하는 면적 또는 유전체의 유전율을 통해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으며,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2 공진 패턴(271)의 길이나 형태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져 공진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2 용량성 소자(273)는 제2 공진 패턴(271)이 제1 방사체(220)에서 양측으로 돌출될 경우 제2 공진 패턴(271)의 양 끝단과 서로 연결된 칩 커패시터가 사용되거나, 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제2 공진부(270)는 제1 공진부(260)에 의한 주파수 대역 이외의 다른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도 18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19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이다.
도 18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4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대역 안테나는 중심주파수가0.79GHz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 1. 47GHz인 제2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가 0.98GHz인 제3 주파수 대역 및 중심주파수가 1.09GHz인 제4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8dB, 제2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15dB, 제3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4.95dB, 제4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8.46dB정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제3 및 제4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어 제3 및 제4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3 및 제4 주파수 대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a 및 도 20b은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대비하여 제3 공진부(2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급전선(215), 접속부(205),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연결부(300), 제1 내지 제3 공진부(260 내지 2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연결부(300), 제1 내지 제3 공진부(260 내지 280)가 방사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제1 클리어런스부(240), 연결부(300), 제1 및 제2 공진부(260, 270)는 도 17에서 설명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공진부(280)는 제3 공진 패턴(281) 및 제3 용량성 소자(2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공진부(280)는 제3 공진 패턴(281), 제3 용량성 소자(283) 및 제1 방사체(220)로 이루어진 공진 루프에 의해 제5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 공진 패턴(281)은 제1 방사체(220)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3 공진 패턴(281)은 “ㄷ”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종단은 플로팅된다. 제3 공진 패턴(281)은 제2 공진 패턴(271)와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3 공진 패턴(281)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방사체(220)을 중심으로 제1 공진 패턴(261)의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용량성 소자(283)는 제3 공진 패턴(281)의 타단과 제1 방사체(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용량성 소자(283)는 제3 공진 패턴(281)과 제1 방사체(220)에 각각 연결된 칩 커패시터일 수 있다.
또한, 제3 용량성 소자(283)는 제3 공진 패턴(281)의 타단과 제1 방사체(220)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공진 패턴(281)의 종단과 제1 방사체(220)이 소정 간격 이격되고 두 금속 사이에 유전체(예를 들면, 공기, 또는 절연체 등)가 형성되어 커패시터로 작용한다. 이때, 제3 용량성 소자(283)는 제1 방사체(220)과 제3 공진 패턴(281) 사이의 이격 거리, 마주하는 면적 또는 유전체의 유전율을 통해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질 수 있으며,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3 공진 패턴(281)의 길이나 형태에 따라 커패시턴스 값이 달라져 공진 주파수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3 용량성 소자(28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3 공진 패턴(28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공진 패턴(281)은 제1 방사체(220)에서 양측으로 돌출된 금속 패턴의 양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의 제3 공진부(280)는 제1 및 제2 공진부(260, 270)에 의한 주파수 대역 이외의 다른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도 21는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2는 도 20a 및 도 20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이다.
도 21 및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5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대역 안테나는 중심주파수가0.74GHz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 1.44GHz인 제2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가 0.98GHz인 제3 주파수 대역 및 중심주파수가 1.09GHz인 제4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 1.21GHz인 제5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11dB, 제2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20.5dB, 제3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5.46dB, 제4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9dB, 제5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10.6dB 정도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제1 내지 제3 공진부에 따라 제3 내지 제5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3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변경되어 제3 내지 제5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공진부의 각각의 공진 루프의 길이에 따라서 제3 내지 제5 주파수 대역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대비하여 제1 공진부의 형태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하, 도 23의 설명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대비하여 제1 공진부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a 및 도 2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급전선(215), 접속부(205),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연결부(300) 및 제1 공진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연결부(300) 및 제1 공진부(410)는 방사부(455)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제1 클리어런스부(240) 및 연결부(300)는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진부(410)는 제1 방사체(220)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1 공진부(410)는 제1 방사체(220)의 전자기력이 미치는 거리에 제1 클리어런스부(240) 영역에 형성된다.
제1 공진부(410)는 제1 공진 패턴(411) 및 제1 용량성 소자(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진부(410)는 제1 공진 패턴(411)과 제1 용량성 소자(412)에 의해 공진 루프를 형성한다.
제1 공진부(410)는 제1 공진 패턴(411)과 제1 용량성 소자(412)로 이루어진 공진 루프의 인덕턴스(L1) 및 제1 용량성 소자(412)의 커패시턴스 값(C1)에 의해 공진 주파수(ω)가 결정된다. 여기서, 공진 루프의 인덕턴스(L1)는 제1 공진 패턴(411)의 길이 및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수학식 1은 제1 공진부(410)에 의한 공진 주파수(ω)를 계산한 수식이다.
[수학식 1]
수학식 2는 제1 공진부(410)의 공진 루프의 인턱턴스(L1)를 계산하는 관계식으로, 공진 루프의 인덕턴스(L1)는 수학식 2에서와 같이, 제1 공진 패턴(411)과 제1 용량성 소자(412)에 의해 형성된 루프의 면적(S)과 관계된다.
[수학식 2]
제1 공진부(410)는 제1 방사체(220)에서 유기된 마그네틱 커플링으로 인해 공진 루프에 유기되는 유기 전류로 인하여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공진부(410)는 역에프 안테나의 송수신 주파수 대역 이외의 다른 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공진 패턴(410)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진 패턴(411)은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 원형, 타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진 패턴(411)은 제1 방사체(220)과 동일한 금속으로 동일한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구리 또는 구리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용량성 소자(412)는 제1 공진 패턴(411)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용량성 소자(412)는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용량성 소자(412)는 칩 커패시터를 사용하지 않고, 제1 공진 패턴(411)의 양단 사이의 이격 거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용량성 소자(412)는 제1 공진 패턴(411)의 양단 사이가 커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는 거리만큼 이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진 패턴(411)의 양단 사이에 유전체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용량성 소자(412)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제1 공진부(410)의 송수신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달라질 수 있다. 커패시턴스 값은 커패시터의 용량에 따라 결정되며, 제1 공진 패턴(411)의 양단 사이의 이격거리 도는 양단이 마주하는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도시된 본 발명의 제9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3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안테나로 동작한다. 제1 방사체(220)에 의한 제1 주파수 대역, 제2 방사체(230)에 의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 제1공진부(410)에 의한 제3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24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5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3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대역 안테나는 중심 주파수가 0.8GHz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가 1.55GHz인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가 1.125GHz인 제3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6dB, 제2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26dB, 제3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4.1dB정도이다.
여기서, 제3 주파수 대역은 제1 공진부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제1 공진부의 공진 루프의 길이 또는 제1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6a 및 도 26b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대비하여 제2 공진부 및 제3 공진부가 더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하, 도 26a 및 도 26b의 설명에서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제2 공진부와 제3 공진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6a 및 도 26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급전선(215), 접속부(205),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연결부(300), 제1 공진부(410), 제2 공진부(420) 및 제3 공진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연결부(300), 제1 공진부(410), 제2 공진부(420) 및 제3 공진부(430)는 방사부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200), 급전점(210),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제1 클리어런스부(240), 연결부(300) 및 제1 공진부(410)는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공진부(420)는 제1 방사체(220)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공진부(420)는 제1 방사체(220)의 전자기력이 미치는 거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클리어런스부(240) 영역에 형성된다.
제2 공진부(420)는 제2 공진 패턴(421) 및 제2 용량성 소자(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진부(420)는 제1 공진부(410)와 마찬가지로 제2 공진 패턴(421)과 제2 용량성 소자(422)에 의해 공진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공진부(420)는 공진 루프의 인덕턴스와 제2 용량성 소자(422)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결정된다. 이때, 제2 공진부(420)의 공진 루프의 인덕턴스는 제2 공진 패턴(421)의 길이 또는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공진부(420)는 제1 공진부(4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방사체(220)에서 유기된 마그네틱 커플링으로 인한 유기 전류에 의해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공진부(420)는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및 제1 공진부(41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공진부(420)는 제1 공진부(410)의 마그네틱 커플링의 영향이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공진부(430)는 제1 방사체(220)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3 공진부(430)는 제1 방사체(220)의 전자기력이 미치는 거리에 형성된며, 제1 클리어런스부(240) 영역에 형성된다.
제3 공진부(430)는 제3 공진 패턴(431) 및 제3 용량성 소자(4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공진부(430)는 제1 공진부(410)와 마찬가지로 제3 공진 패턴(431)과 제3 용량성 소자(432)에 의해 공진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공진부(430)는 공진 루프의 인덕턴스와 제3 용량성 소자(432)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공진 주파수가 결정된다. 이때, 제3 공진부(430)의 공진 루프의 인덕턴스는 제3 공진 패턴(431)의 길이 또는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3 공진부(430)는 제1 공진부(4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방사체(220)에서 유기된 마그네틱 커플링으로 인한 유기 전류에 의해 공진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공진부(410)는 제1 방사체(220), 제2 방사체(230), 제1 공진부(410) 및 제2 공진부(42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3 공진부(430)는 제1 및 제2 공진부(410, 420)의 마그네틱 커플링의 영향이 작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3개의 공진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2개의 공진부 또는 4개 이상의 공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7은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28는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5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대역 안테나는 중심 주파수가 0.8GHz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가 1.55GHz인 제2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가가 0.964GHz인 제3 주파수 대역, 중심 주파수가 1.095GHz인 제4 주파수 대역 및 중심 주파수가 1.63GHz인 제5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6.5dB, 제2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29dB, 제3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4.17dB, 제4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4.71dB, 제5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18.9dB정도 임을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3 내지 제5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1 내지 제3 공진부에 의해 송수신 되는 신호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제1 내지 제3 공진부의 공진 루프의 길이에 또는 제1 내지 제3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제3 내지 제5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500), 클리어런스부(560), 급전점(510), 급전선(520), 방사체(530), 제1 용량성 소자(540), 제2 용량성 소자(550) 및 제1 공진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라운드(500)는 안테나가 내장되는 통신 기기의 전기/전자 소자들에 접지 전압을 제공한다. 그라운드(500)는 도전성 금속 예를 들면, 구리, 구리합금 등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리어런스부(560)는 그라운드(500)의 일측이 제거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서 클리어런스부(560)는 그라운드의 좌측 상부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클리어런스부(56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라운드(500)의 어느 영역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급전선(520)은 일단이 급전점(510)과 연결되며,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급전선(520)은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500)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방사체(530)는 클리어런스부(560)의 외각을 따라 형성된다. 방사체(530)는 일단이 그라운드(500)와 연결되며,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사체(530)는 그라운드(500)와 동일 평면에 동일 금속으로 형성되며, 클리어런스부(560)가 형성되면서 그라운드(500)의 일부가 남겨져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사체(530)의 타단은 그라운드(500)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제1 용량성 소자(540)는 방사체(530)의 타단과 그라운드(500) 사이에 형성된다. 제1 용량성 소자(540)는 그라운드(500)와 방사체(530) 사이에 형성되며,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량성 소자(540)는 방사체(530)의 타단과 그라운드(500) 사이가 커패시터를 형성하도록 이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방사체(530)와 그라운드(500) 사이에는 유전체(예를 들면, 공기, 유전을 가지는 절연물질 등)가 형성된다.
제1 용량성 소자(540)의 커패시턴스 값을 조절하기 위하여 그라운드(500)와 방사체(530)가 마주하는 영역의 형상을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운드(500)와 방사체(530)가 마주하는 면에서 그라운드(500) 및 방사체(530)를 톱니형태로 형성하여 마주하는 면을 넓게 할 수 있다.
제2 용량성 소자(550)는 급전선(520)의 타단과 그라운드(500)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용량성 소자(550)는 급전선(520)의 종단과 그라운드(500)가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급전선(520) 종단과 그라운드(500) 사이의 거리가 커패시터를 형성할 수 있는 이격 거리를 가지며, 그 사이에 공기 또는 유전율을 가지는 유전체가 삽입되어 커패시턴스 값을 가지는 제2 용량성 소자(550)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용량성 소자(550)의 커패시턴스 값을 조절하기 위하여 급전선(520)의 종단과 그라운드(500)의 형태를 변형할 수 있다.
제1 공진부(610)는 클리어런스부(560)에 형성되며, 그라운드(500), 방사체(530), 급전선(520)과 절연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공진부(610)는 그라운드(500), 방사체(530), 급전선(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의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유기된 유기 전류로 인하여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제1 공진부(610)는 제1 공진 패턴(611) 및 제3 용량성 소자(6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진부(610)는 도 23을 참조한 제1 공진부(도 23의 41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진부(610)는 제1 공진 패턴(611)과 제3 용량성 소자(612)에 의해 공진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진 패턴(611)은 그라운드(500) 또는 급전선(520)과 동일 평면상에 동일한 급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진 패턴(611)은 제3 용량성 소자(612)가 형성되는 영역이 개방된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진 패턴(611)은 그라운드(500) 또는 급전선(520)이 형성될 때, 동일 평면에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용량성 소자(612)는 제1 공진 패턴(611)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다. 제3 용량성 소자(612)는 칩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용량성 소자(612)는 칩 커패시터 대신 제1 공진 패턴(611)의 양 종단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공진 패턴(611)의 양 종단 사이가 커패시터가 구현될 수 있는 거리로 이격시킴으로써 제3 용량성 소자(612)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공진부(610)의 공진 주파수는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 수학식 1, 2에서와 같이, 공진 루프의 인덕턴스, 제3 용량성 소자(612)의 커패시턴스 값, 공진 루프의 면적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공진부(610)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 신호는 급전선(520), 방사체(530)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중 대역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1은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이다.
도 30 및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2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대역 안테나는 중심 주파수가 2.245GHz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 2.62GHz인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26.33dB, 제2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9.18dB 정도이다.
여기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1 공진부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제1 공진부의 공진 루프의 길이 또는 제1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제2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4은 도 32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이다.
도 32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대비하여 제2 공진부가 더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2 공진부(620)는 클리어런스부(560)에 형성된다. 제2 공진부(620)는 급전선(520), 방사체(530), 그라운드(500) 및 제1 공진부(610)와 절연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2 공진부(620)는 제1 공진부(610)에 의한 마그네틱 커플링의 영향이 최소화 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진부(620)는 제1 공진부(610)와 같이, 급전선(520), 그라운드(500) 및 방사체(530) 중 어느 하나와 마그네틱 커플링으로 인한 유기 전류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진부(62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는 급전선(520), 그라운드(500), 방사체(530), 제1 공진부(6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공진부(620)는 제2 공진 패턴(621) 및 제4 용량성 소자(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진 패턴(621)은 제1 공진 패턴(611)과 같이 일측이 개방되는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용량성 소자(622)는 제2 공진 패턴(621)의 개방된 영역에 제2 공진 패턴(621)의 양단과 각각 연결되는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4 용량성 소자(622)는 제2 공진 패턴(621)의 양단 사이의 이격 거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4 용량성 소자(622)는 제3 용량성 소자(612)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2개의 공진부를 구비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2개 이상의 공진부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3및 도 3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3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중심 주파수가 2.245GHz인 제1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 2.02GHz인 제2 주파수 대역, 중심주파수가가 2.62GHz인 제3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손실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13.6dB, 제2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7.25dB, 제3 주파수 대역의 반사 손실은 약 -7.4dB정도이다.
여기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1 공진부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이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2 공진부에 의해 송수신되는 신호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제1 및 제2 공진부의 공진 루프의 길이 또는 제1 내지 제4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제2 및 제3 주파수 대역의 중심주파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6은 도 35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37은 도 35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이다.
도 35는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급전선의 형태가 변형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2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그라운드(500), 급전점(510), 급전선(521), 클리어런스부(560), 방사체(530), 제1 공진부(610) 및 제1 용량성 소자(540), 제2 용량성 소자(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라운드(500), 급전점(510), 클리어런스부(560), 방사체(530), 제1 공진부(610) 및 제2 용량성 소자(550)는 도 29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한다.
급전선(521)은 일단이 급전점(510)과 연결되며, 타단은 플로팅 된다. 급전점(510)측의 급전선(521)은 그라운드(500) 내측까지 형성되며 그라운드(500)와 이격된다. 플로팅된 타측의 급전선은 클리어런스부(560)에 형성된다.
급전선이 절곡된 영역(522)은 타단이 절곡되어 방사체(530)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나란하게 형성된 영역이 제2 용량성 소자(550)가 된다.
도 36 및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3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2.235GHz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3.19GHz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제1 공진부(6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일 수 있다.
도 38 및 도 39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는 도 2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1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와 대비하여 공진부가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38 및 도 3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기판(730)의 일면에 그라운드(500), 급전선(520), 급전점(510), 방사체(530) 제1 용량성 소자(540) 및 제2 용량성 소자(550)가 형성되고, 기판(730)의 배면에 공진부(70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기판(730)의 상부면에 그라운드(500), 급전점(510) 및 급전선(520)이 형성되며, 그라운드(500)의 일부가 제거되어 클리어런스부(560)가 형성된다.
방사체(530)는 클리어런스부(560)로 인하여 생성된 그라운드(500)의 경계면에서 연장되어 클리어런스부(560) 외각을 따라 형성된다. 방사체(530)의 종단은 제1 용량성 소자(540)가 형성된다.
제1 용량성 소자(540)는 방사체(530)의 종단과 그라운드(500)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일 수 있다.
제1 용량성 소자(540)는 방사체(530)의 종단과 그라운드(500) 사이를 이격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급전선(520)은 일단이 급전점(510)과 연결된다. 급전선(520)의 타단은 제2 용량성 소자(550)와 연결된다.
제2 용량성 소자(550)는 그라운드(500)와 급전선(520)의 타단 사이에 연결된 칩 커패시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량성 소자는 그라운드(500)와 급전선(520)의 타단을 이격시켜 구현할 수도 있다.
공진부(700)는 기판(730)의 배면에 형성된다. 공진부(700)는 공진 패턴(710) 및 제3 용량성 소자(72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부(700)는 공진 패턴(710)과 제3 용량성 소자(720)에 의해 공진 루프를 형성한다.
공진부(700)는 기판(700)의 배면에 되어 그라운드(500)와 수직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진부(700)는 클리어런스부(560)와 또는 방사체(530)와 중첩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마그네틱 커플링이 발생될 수 있도록 클리어런스부(560)의 경계면과 중첩되도록 공진 루프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8 및 도 39에서는 공진부(700)가 기판(730)의 배면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2개의 기판을 통해 다중 대역 안테나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판에 그라운드(500), 클리어런스부(560), 급전점(510) 및 급전선(520)이 형성되고, 제2 기판에 공진부(700)가 형성되며, 두 기판을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다중 대역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판과 제2 기판은 다중 대역 안테나가 설치되는 구조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40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반사 손실을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41은 도 38 및 도 39에 도시된 다중 대역 안테나의 스미스 차트이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4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대역 안테나는 2개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심 주파수가 2.05GHz인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와 중심 주파수가 2.9GHz인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공진부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이다. 이때, 제2 주파수 대역은 공진부의 공진 루프의 면적, 제3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 또는 기판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제1 방사체
12: 제2 방사체
20: 급전점
30: 제1 공진부
31: 제1 클리어런스부
32: 제1 용량성 소자
33: 제1 연장부
40: 제2 공진부
41: 제2 클리어런스부
42: 제2 용량성 소자
43: 제2 연장부
12: 제2 방사체
20: 급전점
30: 제1 공진부
31: 제1 클리어런스부
32: 제1 용량성 소자
33: 제1 연장부
40: 제2 공진부
41: 제2 클리어런스부
42: 제2 용량성 소자
43: 제2 연장부
Claims (48)
- 급전부;
상기 급전부와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사체; 및
상기 방사체에 형성되어 상기 방사체에서 송수신하는 신호의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방사체의 소정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클리어런스부에 형성되며, 상기 클리어런스부에 의해 제거된 방사체의 양측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방사체 양측이 커패시터를 형성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방사체로부터 돌출된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과 상기 방사체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공진 패턴과 상기 방사체가 커패시터를 형성하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2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칩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급전점;
상기 급전점의 일측에 형성된 제1 방사체;
상기 급전점의 타측에 형성된 제2 방사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1 방사체에 형성된 제1 공진부; 및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제2 방사체에 형성된 제2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부는
상기 제1 방사체에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1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에 상기 제1 방사체의 양측과 연결된 제1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칩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 영역에 상기 제1 방사체의 양측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진부는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의 경계 및 상기 제1 용량성 소자가 이루는 제1 공진 루프에 의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진부는
상기 제2 방사체에 일부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제2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제2 클리어런스부에 의해 형성된 영역에 상기 제2 방사체의 양측과 연결된 제2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칩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상기 제2 클리어런스부 영역에 상기 제2 방사체의 양측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진부는
상기 제2 클리어런스부의 경계 및 상기 제2 용량성 소자가 이루는 제2 공진 루프에 의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과 상기 제2 용량성 소자의 커패시턴스 값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급전점;
상기 급전점과 연결된 급전선;
제1 클리어런스부가 형성된 그라운드;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된 방사체;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제 1 용량성 소자; 및
상기 방사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방사체와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를 통해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공진부를 통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방사체의 소정 영역이 상기 제1 클리어런스부와 연결되도록 제거되는 제2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제2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2 클리어런스부의 경계면 및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로 이루어진 공진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상기 연장부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방사체의 일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과 상기 방사체 사이에 형성된 제2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의 타단과 상기 그라운드 사이를 연결하는 제3 용량성 소자를 더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된 접속부;
일단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된 급전선;
상기 급전선의 타단과 연결된 급전점;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연결부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된 클리어런스부; 및
상기 클리어런스부에 의해 일측이 개방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연결부의 양측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칩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제1 방사체와 상기 연결부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거나, 상기 연결부 양측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된 접속부;
일단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된 급전선;
상기 급전선의 타단과 연결된 급전점;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방사체;
상기 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방사체와 연결되어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방사체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과 상기 제1 방사체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패턴은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돌출되어 “ㄷ”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방사체, 상기 공진 패턴 및 상기 용량성 소자로 이루어는 공진 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1 방사체는 역에프(Inverted F)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와 연결된 접속부;
일단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된 급전선;
상기 급전선의 타단과 연결된 급전점;
상기 급전선와 상기 접속부에 연결되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방사체;
상기 제1 방사체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방사체;
상기 1 방사체와 상기 제2 방사체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1 방사체 또는 상기 제2 방사체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고리형태의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 양단 사이에 형성된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칩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는 상기 공진 패턴의 양단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제1 방사체 또는 제2 방사체로부터 인가된 마그네틱 커플링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 전류를 통해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급전점;
클리어런스부가 형성된 그라운드;
상기 그라운드와 이격되며, 일단이 상기 급전점과 연결된 급전선;
상기 그라운드와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클리어런스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방사체;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방사체와 함께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1 용량성 소자;
상기 급전선과 상기 그라운드 또는 상기 급전선과 상기 방사체 사이에 형성된 제2 용량성 소자; 및
상기 클리어런스부에 형성되며, 상기 방사체, 상기 그라운드 및 상기 급전선과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부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량성 소자는
상기 방사체와 상기 그라운드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 공진 패턴; 및
상기 공진 패턴의 양단에 형성된 제3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용량성 소자는 상기 공진 패턴의 양단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용량성 소자는 상기 공진 패턴의 양단 사이에 형성된 칩 커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량성 소자는 상기 급전선이 절곡되어 상기 방사체와 나란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그라운드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부는
상기 그라운드와 수직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대역 안테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0108A KR20120101956A (ko) | 2011-03-07 | 2011-03-07 | 다중 대역 안테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20108A KR20120101956A (ko) | 2011-03-07 | 2011-03-07 | 다중 대역 안테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1956A true KR20120101956A (ko) | 2012-09-17 |
Family
ID=47110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20108A Withdrawn KR20120101956A (ko) | 2011-03-07 | 2011-03-07 | 다중 대역 안테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01956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74141A1 (en) * | 2013-04-22 | 2014-10-30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KR20200056802A (ko) | 2018-11-15 | 2020-05-25 | 주식회사 리메드 | 의료용 자극 장치 |
KR20200056801A (ko) | 2018-11-15 | 2020-05-25 | 주식회사 리메드 | 자기 자극 장치 |
KR20200057154A (ko) | 2018-11-15 | 2020-05-26 | 주식회사 리메드 | 의료용 자극 장치 |
-
2011
- 2011-03-07 KR KR1020110020108A patent/KR20120101956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74141A1 (en) * | 2013-04-22 | 2014-10-30 | Nokia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KR20200056802A (ko) | 2018-11-15 | 2020-05-25 | 주식회사 리메드 | 의료용 자극 장치 |
KR20200056801A (ko) | 2018-11-15 | 2020-05-25 | 주식회사 리메드 | 자기 자극 장치 |
KR20200057154A (ko) | 2018-11-15 | 2020-05-26 | 주식회사 리메드 | 의료용 자극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633581B (zh) | 多频天线及具有该多频天线的无线通信装置 | |
EP3035442B1 (en) | Antenna and mobile terminal | |
CN106711578B (zh) | 多频段天线 | |
KR100799875B1 (ko) | 칩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
EP2154752B1 (en) | Multi-band ceiling antenna | |
US9972890B2 (en) | Multiple coupled resonance circuits | |
JP6490080B2 (ja) | 可変インピーダンス素子の弱結合によりアンテナを調整する技術 | |
TWI505566B (zh) | 寬頻天線及其相關射頻裝置 | |
KR101505595B1 (ko) | 탑 로우딩된 미앤더 선로 방사체의 소형 안테나 | |
US8207895B2 (en) | Shorted monopole antenna | |
KR101063569B1 (ko) | 분기 캐패시터를 이용한 역-f 안테나 | |
CN104617379A (zh) | 天线结构 | |
TW201712950A (zh) | 天線系統 | |
US10014574B2 (en) | Antenna device | |
CN103151601A (zh) | 一种底边槽耦合天线 | |
CN108780949A (zh) | 天线装置 | |
EP2019448A1 (en) | Antenna device | |
CN102422484A (zh) | 天线组合 | |
CN103367885B (zh) | 宽带天线及其相关射频装置 | |
US20050237244A1 (en) | Compact RF antenna | |
KR20120101956A (ko) | 다중 대역 안테나 | |
CN106505323A (zh) | 利用双谐振实现低频宽频带移动终端天线 | |
KR101634824B1 (ko) | 분기 캐패시터를 이용한 역-f 안테나 | |
US8477071B2 (en) | Multi-band antenna | |
US10411330B1 (en) | Antenna assembly for wireles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