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0052A - Bridge leg correcting method using oil compressure jack and broken parts compensa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Bridge leg correcting method using oil compressure jack and broken parts compensation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00052A KR20120100052A KR1020110018681A KR20110018681A KR20120100052A KR 20120100052 A KR20120100052 A KR 20120100052A KR 1020110018681 A KR1020110018681 A KR 1020110018681A KR 20110018681 A KR20110018681 A KR 20110018681A KR 20120100052 A KR20120100052 A KR 201201000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er
- bridge
- hydraulic jack
- support
- pres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교량의 교각이 측방 유동되어 보정이 필요한 경우, 경사진 지면에 대한 교각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및 경사파일이 구성된 교각의 지반에 대한 압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유압잭을 이용하여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교각의 단면손상 및 세굴시 보강구조를 개선하여 교각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압수단으로서 유압잭에 의한 반력으로 구조물지지수단을 시공 보정하므로 주위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주위의 기존 구조물에도 유해한 영향을 끼치지 않고 기존 구조물의 안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구조물이 침하된 경우 기존 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는 교각 등의 보수 및 보강을 위한 기존 구조물의 인상이 용이하며 영구 구조물로서 존속시키는 경우 기존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효과가 매우 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각 일정부분의 단면손상 및 세굴 부분에 대한 강도 증진이 가능하여 특히 하천에 설치된 교량의 수중 교각 주변의 바닥이나 교각이 유속에 의해 마찰되어 발생하는 와류현상으로 토사가 유실되거나 교각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eral flow bridge correction method using a hydraulic jack, in particular, when the bridge pier is lateral flow correction is required, if the pier installation on the inclined ground is not easy and the slope of the piling bridge If it is not easy to press on the hydraulic jack to be corrected.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technique to improve the bridge strength by improving the cross-sectional damage and reinforcement structure at the time of scou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ecure the safety of the existing structure without damaging the surrounding structure without damag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ecause the construction support means by the reaction force by the hydraulic jack as a pressing mean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isting structure is settled, it is easy to raise the existing structure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such as the pier supporting the existing structure, and when it is maintained as a permanent structure, the repair and reinforcement effect of the existing structure is very larg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ross section damage and scour portion of a certain portion of the pier, and in particular, the soil is lost due to the vortex phenomenon caused by the friction of the floor or pier around the underwater pier of the bridge installed in the river The pi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교량의 교각이 측방 유동되어 보정이 필요한 경우, 경사진 지면에 대한 교각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및 경사파일이 구성된 교각의 지반에 대한 압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유압잭을 이용하여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eral flow bridge correction method using a hydraulic jack, in particular, when the bridge pier is lateral flow correction is required, if the pier installation on the inclined ground is not easy and the slope of the piling bridge If it is not easy to press on the hydraulic jack to be corrected.
본 발명은 또한 교각의 단면손상 및 세굴시 보강구조를 개선하여 교각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technique to improve the bridge strength by improving the cross-sectional damage and reinforcement structure at the time of scour.
연약한 점성토지반상에 하중을 재하하면 지반중에는 하중에 의한 응력이 증가하고 간극수압이 변화하여 체적이 수축되면서 지반의 침하가 발생한다. 그러나 간극수압의 소산에 필요한 충분한 시간이 경과하기도 전에 계속 하중을 증가시켜 지반내 과잉간극수압이 증가되면 측방유동압이 발생하게 되므로 수평적인 변위가 발생되고 지표면의 융기가 발생하여 결국에는 활동파괴가 유발되어 구조물의 안정이 위태롭게 된다. 연약지반의 이러한 측방으로의 변형현상을 "측방유동"이라고 정의하며, 이러한 현상이 국내, 외적으로 피해사례가 발생하여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When a load is loaded on a soft viscous soil, the stress due to the load increases, the pore water pressure changes, and the volume contracts, causing the settlement of the ground. However, even if sufficient time for dissipation of pore water pressure has elapsed, if the excess pore water pressure in the ground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load continuously, lateral flow pressure is generated, causing horizontal displacements and surface ridges. Causing the structure to be compromised. The deformation of the soft ground to the side is defined as "side flow", and this phenomenon is a serious problem due to damage cases at home and abroad.
또한 일반적으로 하천에 건설되는 교량은 하천의 폭, 주변 환경, 교통량, 또는 통행량에 따라 규모가 결정되어 하천, 호소, 해협 등에 설치되는데 그 구조는 크게 하부구조와 상부구조로 구분된다.In general, bridges constructed in rivers are sized according to river width, surrounding environment, traffic volume, or traffic volume, and are installed in rivers, lakes, straits, etc. The structure is divided into substructure and superstructure.
즉 교량의 상부구조는 상부에 차량 등이 다닐 수 있도록 하는 바닥판인 슬래브와 이를 지지하는 거더로 구성되고, 하부구조는 상부구조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지반에서 안전하게 지지하는 교대와 교각은 지반상태에 따라 말뚝기초, 우물통기초 등의 형식이 결정되어 시공한다.That i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composed of slabs, which are floor plates that allow vehicles, etc. to be carried on the upper part, and girder supporting them, and the lower structure has shifts and bridges that safely support the loads acting on the upper structure on the ground. Depending on the type of pile foundation, well foundation, etc. are determined and installed.
그러나 상기 시공된 교량은 수중에 교각, 보, 교대 등의 구조물의 일부가 수중에 위치하여 하천의 상류에서 흐르는 유속에 의해 구조물에 접하는 토사가 세굴되어 구조물을 쓰러뜨리거나 침하시켜 교량의 수명을 단축하고, 사고의 위험을 초래하게 된다.However, the constructed bridge is part of the structure, such as bridges, beams, shifts in the water and the earth and sand contacted with the structure is scoured by the flow rate upstream of the river to collapse or sink the structure to shorten the life of the bridge And cause an accident.
교각 주위에서 발생하는 국부세굴은 교량파괴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다. 교량의 교각 주위에는 하천수의 흐름방향에 따라 항상 강력한 와류가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하천수의 흐름이 교각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굴절하여 강한 와류 형상으로 토사나 반대방향으로 경사면을 갖는 암석 등은 쉽게 쓸려간다.Local scour around the bridge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bridge failure. Strong vortices always occur around the bridge piers depending on the flow direction of the stream. The reason is that when the streams meet obstacles such as bridge piers, they are deflected and the soil is easily swept away. .
따라서 상기의 교각 주변에 발생하는 세굴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콘크리트 재질의 콘크리트 기초슬래브를 타설하였으나, 교각 기초 부분이 유속방향에 따라 평평한 지형일지라도 지속적인 하천수의 흐름에 세굴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cour around the pier, the concrete foundation slab was cast in the prior art, but the scour phenomenon occurs in the continuous stream water flow even if the pier foundation portion is flat terrain according to the flow direction.
구체적인 종래 교량 예를 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수로의 상부구조물, 교량상부구조물과 같이 교각 위에 상부구조물이 지표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위에 형성되는 구조물(100)은 그 길이에 따라 여러 세그먼트(10)로 분할되어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As shown in FIG. 1, a
즉 세그먼트와 세그먼트의 연결부에는 교각(20)이 형성되며, 상기 교각은 일종의 기둥구조물로서 그 하부는 지반에 소정의 깊이 이상으로 근입되어 있고, 통상 기둥의 하부에는 기초가 형성되어 상부구조물의 하중이 교각 및 교각기초와 같은 하부구조물을 통하여 지반으로 전달된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연결부를 지지하는 교각의 코핑부(30)는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에 해당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코핑부(30)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균열이 확장됨에 따라 급기야는 파손되어 지지된 상부구조물의 침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보수 또는 보강하지 않는 경우 상부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게 될 뿐만 아니라, 나아가 교각기초의 지내력이 부족한 경우 교각 기초가 침하하게 되어 통상 부등침하로서 상부구조물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러한 교각의 코핑부를 보수 또는 보강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1) 교각이 지지하고 있는 상부구조물을 철거한 후, 교각의 코핑부를 보수하고 상부구조물을 재시공하는 방법, 2) 교각 주위에 별도의 H 빔, 철판 등을 이용한 보강철물을 추가로 설치하는 방법, 3) 기존의 교각 주위에 추가로 교각을 설치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었다. Conventional methods for repairing or reinforcing copings of such piers include 1) removing the upper structure supported by the piers, repairing the copings of the piers and rebuilding the superstructures, and 2) a separate H beam around the piers. , The method of installing additional reinforcement using the iron plate, etc. 3) the method of installing additional piers around the existing piers.
그러나 1)의 방법의 경우 상부구조물을 보수할 수 없을 정도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효율적이며, 무엇보다도 공사비가 과도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2)의 방법의 경우 보강철물을 추가로 설치하더라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강물의 보강기능이 저하되어 오히려 교각의 코핑부의 파손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3)의 방법의 경우 추가적인 교각시공을 위한 장비의 운반로의 확보의 애로 및 추가시공공기 등에 의한 공사비가 과도하게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method of 1) is inefficient except that the upper structure cannot be repaired, and above al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was excessively required. As time went by, the reinforcing function of the reinforcement deteriorated, so that the coping part of the pier was more severely damaged. In the case of the method 3), the difficulty of securing the transportation path of the equipment for the additional pier construction and the additional construction air, etc.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is excessively required.
더구나 교각이 지지하고 있는 기초가 침하하는 경우에는 달리 기초를 보수할 방법이 마땅치 않아 통상 상부구조물을 철거하고, 새로이 교각을 시공하고 교각상부구조물을 재시공하는 것이 통상적인 문제해결 방법이었다.In addition, when the foundation supported by the piers is settled, it is not appropriate to repair the foundations. Therefore, it is common to solve the problem by removing the superstructure, rebuilding the piers, and rebuilding the piers.
이러한 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A technique for solving the disadvantages of this technique is shown in FIG. 2.
도2a 내지 도2e는 종래 시스템에 의한 강관파일과 같은 구조물지지수단을 지반에 압입시켜 기존구조물을 보수 또는 보강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2a to 2e illustrate a process of repairing or reinforcing an existing structure by pressing a structure supporting means such as a steel pipe pile by the conventional system into the ground.
도2a는 가압지지체(200)(기존 구조물 또는 별도 설치된 프레임조립체)에 대하여 강관파일과 같은 구조물지지수단(300)이 지반(500) 위에 설치되고, 가압지지체와 구조물지지수단 사이에 유압잭과 같은 가압수단(400)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가압지지체(200)는 기존구조물 자체가 될 수도 있고, 별도로 H 빔(BEAM)과 같은 지지부재, 서포트부재 및 앵커부재와 같은 프레임조립체(700)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압지지체는 가압수단(400)의 압력을 지지하면서 그 반력을 가압수단에 연결된 구조물지지수단(300)에 가해지게 하여 구조물지지수단이 지반(500)에 무소음 무진동으로 압입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Figure 2a is a structure supporting means 300, such as a steel pipe pile is installed on the
가압지지체(200)가 기존구조물 자체인 경우에는 그 하중에 의하여 가압수단의 압력을 지지하면서 그 반력이 구조물지지수단에 가해지게 되며, 가압지지체로서 기존구조물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기존구조물의 형상, 위치, 비구조재인 경우 등과 같이 가압수단의 압력을 지지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프레임조립체를 설치하여 가압지지체로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최소한의 부재로서 설치하기 위한 부재를 선택하여 소요 반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그 설치비용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상기 가압수단(400)은 통상의 유압잭 또는 잭서포트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그 종류, 용량 및 구동방식은 현장여건, 구조물지지수단의 제원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가압수단은 결국 구조물지지수단에 가해지는 반력을 발생시키는 압력을 가압지지체에 가하는 기능을 가진다. 유압잭 또는 잭서포트를 이용하는 경우 그 상부에는 별도의 압력지지플레이트(600)를 설치하여 가압지지체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고, 하부는 구조물지지수단의 상부에 접하므로 두부보강플레이트 등(두부보강수단)을 설치하여 가압수단에 의한 반력에 의해 구조물지지수단의 국부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역시 균일하게 구조물지지수단에 반력이 전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구조물지지수단(300)은 강관파일, PHC파일, 탄소복합섬유재질의 파일과 같이 가압수단에 의하여 지반에 압입될 수 있는 재질 및 강도를 가지는 것이라면 모두 이용될 수 있으며, 현장여건(수중, 육상, 염해지역 등)및 시공여건 등을 고려하여 선택 사용하면 된다. 구조물지지수단은 결국 지반에 가압수단에 인해 압입되어 기존구조물을 지지,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단지 기존구조물을 보수 또는 보강하는 목적상 기존구조물에 의한 시공공간의 제약이 있을 수가 있으므로 경량이면서도 연결이음이 용이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ucture supporting
상기 지반(500)은 구조물지지수단이 압입되는 대상으로서, 기존구조물이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토질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구조물지지수단이 압입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지는데, 적어도 지반 하부에는 구조물지지수단이 소요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자갈층, 암반층과 같은 소요의 견질지지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구조물지지수단의 기능이 발휘된다.The
도2b는 가압수단(400)인 유압잭을 작동시켜 유압잭의 실린더가 일정길이(H1) 신장되어 가압지지체에 일정한 크기의 압력을 가함으로서 그 반력으로 구조물지지수단이 지반에 상기 실린더가 신장된 만큼 압입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b is a cylinder of the hydraulic jack is extended by a certain length (H1) by operating the hydraulic jack which is the
도2c는 신장된 가압수단인 유압잭의 실린더를 원 위치로 복원시킨 상태에서 추가적인 구조물지지수단의 압입을 위하여 가압수단 위에 압력지지플레이트(600)를 삽입시킨 것이다.Figure 2c is to insert the
도2d는 도2c의 압력지지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수단을 다시 작동시켜 유압잭의 실린더가 신장되면, 추가적인 가압수단의 압력은 압력지지플레이트를 통해 가압지지체에 전달되고, 역시 그 반력도 압력지지플레이트를 통해 구조물지지수단에 전달됨으로서 새로이 신장된 유압잭 실린더의 길이(H2)만큼 구조물지지수단이 지반에 추가적으로 압입된다. 상기 압력지지플레이트의 직경, 높이 등은 가압수단인 유압잭 실린더의 최대 신장길이, 유압잭의 용량 및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되며, 구조물지지파일을 가공하여 남은 것을 이용해도 되고, 별도로 제작해도 된다.FIG. 2D shows that when the cylinder of the hydraulic jack is extended by reactivating the pressing means while the pressure supporting plate of FIG. 2C is inserted, the pressure of the additional pressing means is transmitted to the pressing support through the pressure supporting plate, and the reaction force is also pressure supporting.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is additionally pressed into the ground by the length H2 of the newly extended hydraulic jack cylinder by being transmitted to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through the plate. The diameter, height, etc. of the pressure support plate ar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maximum extension length of the hydraulic jack cylinder, which is the pressing means, the capacity and size of the hydraulic jack, and may be used by processing the structure support pile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도2e는 구조물지지수단을 계속 지반으로 소요의 깊이까지 압입시키기 위하여 압력지지플레이트의 길이를 증가시킨 상태에서 신장된 유압잭 실린더를 원 위치로 복원 시킨 것이다. 결국 압력지지플레이트의 길이만 계속 증대시키면, 유압잭의 제원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소요의 지반 깊이까지 구조물지지수단을 연속하여 압입시킬 수 있게 된다.Figure 2e is to restore the extended hydraulic jack cylinder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pressure support plate in order to continue to press the structure support means to the required depth to the ground. As a result, if only the length of the pressure support plate is continuously increase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ess the structure support means to the required ground depth without changing the specifications of the hydraulic jack.
압력지지플레이트의 길이를 계속 증대시키면 구조물지지수단의 지반에의 압입깊이가 증대되고, 최종적으로 소요의 견질지지층인 암반층까지 구조물지지수단이 도달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더 이상 유압잭의 실린더의 신장으로는 구조물지지수단이 소요의 견질지지층에 의해 압입되지 않게 된다. 추가적인 유압잭의 실린더 신장은 이때부터 구조물지지수단으로 하여금 가압지지체가 기존구조물로서 침하가 발생한 경우 그 침하를 복원시켜 결국 기존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최종적인 침하가 복구될 때 까지 기존구조물을 인상시키면, 그 이후로는 기존구조물과 구조물지지수단이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되고, 이때 기존구조물의 보수 또는 보강할 필요가 있는 부위에 대한 작업도 할 수 있게 된다. 지반에 압입된 구조물지지수단, 가압수단 및 압력지지플레이트는 기존구조물의 보수, 보강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설치되거나 필요시 철거될 수 있다.
Continued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pressure support plate increases the depth of press-fitting into the ground of the structure support means, and finally the structure support means reaches the rock layer, which is the required support layer.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is not press-fitted by the required rigid support layer. From this time, the cylinder extension of the hydraulic jack causes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to restore the settlement when the pressure support is settled as an existing structure, and eventually raises the existing structure, until the final settlement is restored. After raising, the existing structure and the structure support means are balanced with each other, an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work on the area that needs to be repaired or reinforced.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the pressing means and the pressure supporting plate pressed into the ground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or removed if necessary until the completion of repair and reinforcement of the exis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교량 교각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교각이 측방 유동되어 보정이 필요한 경우, 경사진 지면에 대한 교각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및 경사파일이 구성된 교각의 지반에 대한 압입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유압잭을 이용하여 바로잡을 수 있도록 한 교각 보정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nventional bridge bridge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bridge bridge is lateral flow correction is necessary, if the bridge installation on the inclined ground is not easy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er correction structure and a method for correcting using a hydraulic jack in a case in which the inclined pile is not easily press-fitted into the ground of a pi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각의 단면 손상 및 세굴된 부분에 대한 보강구조를 개선하여 교각 강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압잭을 이용한 교각 보정구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er correction structure and method using a hydraulic jack to improve the pier strength by improving the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section damage and scoured portion of the pi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은, 가압지지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조물지지수단이 분리된 경사파일이 구성된 측방유동교각에 있어서, 가압수단을 구조물지지수단 위에 설치하여 그 반력을 이용하여 소요의 견질지지층까지 구조물지지수단을 압입시키되, 경사파일의 경사각이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측방유동교각의 보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lateral flow bridge correction method using the hydraulic jac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lateral flow bridge pier consisting of the inclined pile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body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ressure support, the press means is installed on the structure support means By using the reaction force to press the structure support means to the required support lay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rection of the lateral flow bridge while maintain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pile accurately.
본 발명의 가압수단은 유압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ss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ydraulic ja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방유동옹벽에 대한 교각 압입방법은, 측방유동옹벽에 대해 교각을 지반으로 압입하는 경우 유압잭과 같은 가압수단에 의해 구조물지지수단을 프레임조립체의 반력에 의하여 지반에 압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ier piercing method for the side flow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pressing the pier against the lateral flow retaining wall into the ground by means of a pressing means such as a hydraulic jack on the ground by the reaction force of the frame assembly It is characterized by press-fitt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굴방지구조는, 세굴이 발생된 교각 부위에 일정범위를 갖도록 타설된 콘크리트; 상기 콘크리트 타설 부위에 한쪽 측면이 지지되며, 다른 한쪽 측면은 영구 거푸집에 지지되는 보강파일; 및 상기 보강파일로부터 일정폭만큼 형성되는 영구 거푸집을 포함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Scour preven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ncrete poured to have a certain range in the pier where the scour occurs; One side is supported on the concrete pour site,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a permanent formwork reinforcement pile; And a permanent formwork formed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reinforcement pile.
본 발명의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 및 세굴 보강구조에 따르면, 가압수단으로서 유압잭에 의한 반력으로 구조물지지수단을 시공 보정하므로 주위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주위의 기존 구조물에도 유해한 영향을 끼치지 않고 기존 구조물의 안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ateral flow bridge correction method and scour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the hydraulic jack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struction support means for the construction support means by the reaction force by the hydraulic jack as the pressing means without harm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out damaging the surrounding structure The safety of existing structures can be easily secu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구조물이 침하된 경우 기존 구조물을 지지하고 있는 교각 등의 보수 및 보강을 위한 기존 구조물의 인상이 용이하며 영구 구조물로서 존속시키는 경우 기존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효과가 매우 크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xisting structure is settled, it is easy to raise the existing structure for repair and reinforcement, such as the pier supporting the existing structure, and when it is maintained as a permanent structure, the repair and reinforcement effect of the existing structure is very lar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각 일정부분의 단면손상 및 세굴 부분에 대한 강도 증진이 가능하여 특히 하천에 설치된 교량의 수중 교각 주변의 바닥이나 교각이 유속에 의해 마찰되어 발생하는 와류현상으로 토사가 유실되거나 교각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ross section damage and scour portion of a certain portion of the pier, and in particular, the soil is lost due to the vortex phenomenon caused by the friction of the floor or pier around the underwater pier of the bridge installed in the river The pi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도 1은 종래 교각위에 설치된 상부구조물 및 그 보수 및 보강을 필요로 하는 부분을 나타낸 도면.
도2a 내지 도2e는 종래 시스템에 의한 강관파일과 같은 구조물지지수단을 지반에 압입시켜 기존구조물을 보수 또는 보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교각에 대한 보정 구조도.
도 4는 도 3의 상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옹벽에 대한 보정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량 교각 보강기술이 적용되는 단면손상 및 세굴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굴로 인한 교량 기초 확대 강관 압입 파일의 구조도.
도 8은 도 7의 상부 단면도.1 is a view showing a portion required to repair and reinforce the superstructure installed on the conventional piers.
2a to 2e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repairing or reinforcing an existing structure by pressing a structure supporting means such as a steel pipe pile in the ground by a conventional system.
Figure 3 is a correction structure for the lateral flow bridg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side view of FIG. 3.
5 is a correction structure diagram for the lateral flow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llustration of the cross-sectional damage and scour state to which the bridge bridge reinforcement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bridge-based expanded steel pipe indentation pile due to scou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top sectional view of FIG. 7;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교각에 대한 보정 구조도, 도 4는 도 3의 상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방유동옹벽에 대한 보정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교량 교각 보강기술이 적용되는 단면손상 및 세굴 상태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굴로 인한 교량 기초 확대 강관 압입 파일의 구조도, 도 8은 도 7의 상부 단면도이다.3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correction of the lateral flow brid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etailed side view of Figure 3, Figure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correction of the lateral flow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Exemplary cross-sectional damage and scour state to which the bridge piers reinforcement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7 is a structural diagram of the bridge-based expanded steel pipe indentation pile due to scou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p to be.
먼저 도 3 및 도 4에 대해 설명한다.First,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도 3 및 도 4는 가압지지체(1)에 대하여 교각과 같은 구조물지지수단(2)이 경사파일이 구성된 상태에서 지반 위에 설치되고, 가압지지체와 구조물지지수단 사이에 유압잭과 같은 가압수단(3)을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3 and 4 is a structure supporting means (2) such as a pier with respect to the pressing support (1) is installed on the ground in the state in which the inclined pile is configured, the pressing means (3) such as a hydraulic jack between the pressing support and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It shows the state installed.
이러한 가압지지체는 가압수단(3)의 압력을 지지하면서 그 반력을 가압수단에 연결된 구조물지지수단(2)에 가해지게 한다.This pressing support supports the pressure of the
가압지지체(1)가 기존구조물 자체인 경우에는 그 하중에 의하여 가압수단의 압력을 지지하면서 그 반력이 구조물 지지수단에 가해지게 되며, 가압지지체로서 기존구조물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인 경우(기존구조물의 형상, 위치, 비구조재인 경우 등과 같이 가압수단의 압력을 지지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프레임조립체를 설치하여 가압지지체로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최소한의 부재로서 설치하기 위한 부재를 선택하여 소요 반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그 설치비용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상기 가압수단(3)은 통상의 유압잭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그 종류, 용량 및 구동방식은 현장여건, 구조물지지수단의 제원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압수단(3)은 경사파일이 구성된 구조물지지수단(2)에 가해지는 반력을 발생시키는 압력을 가압지지체(1)에 가하는 기능을 가진다. 유압잭을 이용하는 경우 그 상부에는 별도의 압력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하여 가압지지체에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도록 하고, 하부는 구조물지지수단의 상부에 접하므로 두부보강플레이트 등(두부보강수단)을 설치하여 가압수단에 의한 반력에 의해 구조물지지수단의 국부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시 균일하게 구조물지지수단에 반력이 전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pressurizing means 3 may use a normal hydraulic jack, etc., the type, capacity and driving metho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specifications of the structure support means, and the like. The pressurizing means 3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applying pressure to the pressurizing
구조물지지수단(2)은 지반에 가압수단에 의해 압입되어 기존구조물을 지지,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단지 기존구조물을 보수 또는 보강하는 목적상 본 발명에서는 기존구조물에 의한 시공공간의 제약이 있을 수가 있으므로 경량이면서도 연결이음이 용이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2) is press-fitted into the ground by the pressing means serves to support and reinforce the existing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for the purpose of repairing or reinforcing the existing structure, there may be a limitation of construction space due to the existing structure, so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light weight and easy connection joint.
지반은 구조물지지수단(2)이 압입되는 대상으로서 구조물지지수단이 압입될 수 있는 물성을 가지는데, 적어도 지반 하부에는 구조물지지수단이 소요의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자갈층, 암반층과 같은 소요의 견질지지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구조물지지수단의 기능이 발휘된다.The ground has the property that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can be press-fitted as the object to which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가압수단(3)인 유압잭을 작동시켜 유압잭의 실린더가 일정길이 신장되어 가압지지체(1)에 일정한 크기의 압력을 가함으로서 그 반력으로 경사파일이 구성된 구조물지지수단(2)이 지반에 상기 실린더가 신장된 만큼 압입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by operating the hydraulic jack of the pressing means (3) is a cylinder of the hydraulic jack is elongated by a certain length to apply a pressure of a certain size to the pressure support (1) structure supporting means consisting of the inclined pile by the reaction force (2) ) Is pressed into the ground as the cylinder is extended.
또한 구조물지지수단(2)을 계속 지반으로 소요의 깊이까지 압입시키기 위하여 압력지지플레이트의 길이를 증가시킨 상태에서, 신장된 유압잭 실린더를 원 위치로 복원시켜 압력지지플레이트의 길이만 계속 증대시키면 유압잭의 제원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소요의 지반 깊이까지 구조물지지수단을 연속하여 압입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pressure support plate is increased in order to continuously press the structure support means 2 to the required depth to the ground, the extended hydraulic jack cylinder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only the length of the pressure support plate is continuously increased. Even without changing the specification,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ress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to the required ground depth.
압력지지플레이트의 길이를 계속 증대시키면 구조물지지수단의 지반에의 압입깊이가 증대되고, 최종적으로 소요의 견질지지층인 암반층까지 구조물지지수단(2)이 도달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더 이상 유압잭의 실린더의 신장으로는 구조물지지수단(2)이 소요의 견질지지층에 의해 압입되지 않게 된다. 추가적인 유압잭의 실린더 신장은 이때부터 구조물지지수단(2)으로 하여금 가압지지체(1)가 기존구조물로서 침하가 발생한 경우 그 침하를 복원시켜 결국 기존구조물을 인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최종적인 침하가 복구될 때 까지 기존구조물을 인상시키면, 그 이후로는 기존구조물과 구조물지지수단이 서로 힘의 균형을 이루게 되고, 이때 기존구조물의 보수 또는 보강할 필요가 있는 부위에 대한 작업도 할 수 있게 된다. 지반에 압입된 구조물지지수단, 가압수단 및 압력지지플레이트는 기존구조물의 보수, 보강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설치되거나, 필요시 철거될 수 있다.If the length of the pressure support plate continues to increase, the depth of the press-fit into the ground of the structure support means increases, and finally, the structure support means 2 reaches the rock layer, which is the required support layer. By extens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측방유동교각이 아닌 경우에는 확대기초없이 경사파일(5)이 압입될 부분에 미리 홈을 파놓고 그 홈에 압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지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유동교각의 경우, 가압지지체(1)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구조물지지수단(2)이 분리된 경우이므로 유압잭과 같은 가압수단(3)을 구조물지지수단(2) 위에 설치하여 그 반력을 이용하면 교각에 경사파일(5)이 콘크리트 등으로 확대기초부분(6)에 구성된 경우에도 소요의 견질지지층까지 구조물지지수단(2)을 압입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경사파일(5)의 경사각이 정확하게 유지되면서 측방유동교각의 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점선 표시)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ethod of digging a groove in advance into the portion to be
즉 구조물지지수단(2)의 하부선단이 소요의 견질지지층까지 압입되면, 그 이후 유압잭의 작동에 의하여 측방 유동된 교각이 바로 서게 되어 구조물지지수단(2)에 의하여 상부구조물의 하중이 소요의 견질지지층에 지지될 수 있으므로 상부구조물은 더 이상 침하, 처짐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lower end of the
상기 도 3 및 도 4와는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유동옹벽에 대해 교각을 지반으로 압입하는 경우에도 가압수단(3)에 의해 동일하게 구조물지지수단(2)을 프레임조립체의 반력에 의하여 지반에 압입하게 된다.Unlike FIG. 3 and FIG. 4, even when the pier is pressed into the ground with respect to the lateral flow retaining wall as shown in FIG. 5, the
특히 구조물지지수단(2)을 하측으로 압입하다보면 지반내에 포함된 자갈 등에 막혀 구조물지지수단(2)이 측방유동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바, 이러한 경우 유압잭과 같은 가압수단(3)을 교각의 상부쪽에 설치하여 작동시키면 그 반력에 의해 구조물지지수단(2)이 바로 서게 된다. 이 경우에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파일(5)이 설치된 경우에는 확대기초부분(6)을 형성하여 경사파일(5)이 경사각을 제대로 유지하면서 압입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도 6 내지 도 8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6 to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시공된 교량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교각, 보, 교대 등의 구조물(2)의 일부가 수중에 위치하여 하천의 상류에서 흐르는 유속에 의해 구조물에 접하는 토사가 세굴되어 구조물을 쓰러뜨리거나 침하시켜 철근(200)이 노출되거나 교량의 수명을 단축하고, 사고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강부분을 구성하여 교각 파손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토록 한다.As shown in FIG. 6, a part of th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각 보강구조는, 세굴이 발생된 교각(2) 부위에 일정범위를 갖도록 타설된 콘크리트(7); 상기 콘크리트(7) 타설 부위에 한쪽 측면이 지지되며, 다른 한쪽 측면은 영구 거푸집(9)에 지지되는 보강파일(8); 및 상기 보강파일(8)로부터 일정폭만큼 형성되는 영구 거푸집(9)을 포함한다. 즉 보강파일(8) 및 영구거푸집(9)을 이용하여 확대기초부분(6)을 형성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7, the pier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crete 7 which is pour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range at the pier where the scour is generated; Reinforcement pile (8) is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concrete (7) pour site, the other side is supported by a permanent formwork (9); And a permanent formwork 9 formed by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reinforcement pile 8. In other words, using the reinforcement pile (8) and the permanent formwork (9) is to form an enlarged base portion (6).
콘크리트의 경우 기존 교각으로부터 소정 높이 및 폭을 가지고 보강파일에 의해 지지되도록 타설되며, 상기 콘크리트 타설 부위와 보강파일 사이가 확대 기초가 되도록 한다. 둘레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교각은 하부지반에 압입되는 기존 파일이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교각이 교량을 지지하게 된다.In the case of concrete, it is poured to be supported by the reinforcement piles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width from the existing piers, and the expansion base between the concrete placing portion and the reinforcement piles is expanded. The piers where concrete is pour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onsist of existing piles that are pressed into the lower ground. The p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ch a configuration supports the bridge.
기초구조물 상부면에 앵커부재가 삽입될 정도의 구멍을 미리 천공하고, 앵커부재를 삽입한 뒤 몰탈 등과 같은 충진재를 채워 고정시킨 상태에서 앵커부재의 상부가 지지부재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하고, 지지부재의 상부면에 앵커용 너트를 조여 설치하면 앵커부재에 의하여 지지부재가 기존 기초 또는 바닥판구조물과 밀착고정되면서 앵커부재는 일종의 인장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Pre-drill the hole enough to insert the anchor member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and insert the anchor member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anchor member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while the filler is filled and fixed with mortar or the like. When the anchor nut is tighten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the anchor member serves as a kind of tension member while the support member is fixed to the base or bottom plate structure by the anchor member.
구조물지지수단은 구멍이 천공된 기존 기초 또는 바닥판구조물에 일단 삽입되고, 그 상부에 가압수단인 유압잭을 설치하고, 유압잭을 신장시켜 그 신장된 길이만큼 구조물지지수단이 기존 기초 또는 바닥판구조물의 하부 지반에 압입되고, 소요의 견질지지층까지 구조물지지수단을 압입시키기 위하여 가압수단인 유압잭의 상부에 유압지지플레이트를 설치한 상태에서 다시 유압잭을 연속하여 작동시키면 최종 소요의 견질지지층까지 구조물지지수단이 압입된다.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existing foundation or bottom plate structure once perforated, and installs a hydraulic jack which is a pressing means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extends the hydraulic jack so that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is extended to the length of the existing foundation or bottom plate structure. When the hydraulic jack is operated continuously while the hydraulic support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ydraulic jack, which is pressurized into the lower ground, and the hydraulic support plate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hydraulic jack to press the structural support means up to the required support layer, the structure support means reaches the required support layer. Indented.
구조물지지수단의 경우 프레임조립체의 설치위치, 기존 기초 또는 바닥판구조물과 상부바닥판과의 층고제한때문에 일정길이 이상을 시공위치까지 반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가능한 최대길이를 확보하여 연결이음을 줄이면서, 구조물지지수단을 서로 연결하면서 지반에 압입시키게 된다.In the case of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it is difficult to carry more than a certain length to the construction position because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rame assembly, the height limit of the existing foundation or bottom plate structure and the upper bottom plate. Therefore, while securing the maximum possible length, while reducing the connection joint,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is pressed into the ground while connecting each other.
구조물지지수단을 최종 소요의 견질지지층까지 압입시키게 되면, 구조물지지수단을 기존 기초 또는 바닥판구조물과 일체화시킴으로서 기존 기초 또는 바닥판구조물의 추가적인 지반에의 소요지지력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일체화 방법은 기존 기초 또는 바닥판구조물의 천공된 구멍에 충진재(몰탈,에폭시수지 등)를 충진시켜 마감처리할 수 있다.
When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is pressed into the rigid support layer of the final requirements, the supporting structure can be additionally secured to the additional ground of the existing foundation or bottom plate structure by integrating the structure supporting means with the existing foundation or bottom plate structure. The integration method may be finished by filling a filler (mortar, epoxy resin, etc.) in the perforated hole of the existing foundation or bottom plate structur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 : 가압지지체 2 : 구조물지지수단1: pressure support 2: structure supporting means
3 : 가압수단 5 : 경사파일3: pressurizing means 5: inclined pile
6 : 확대기초 7 : 콘크리트 타설부분6: expansion base 7: concrete pouring part
8 : 보강파일 9 : 영구거푸집8: reinforcement pile 9: permanent formwork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8681A KR20120100052A (en) | 2011-03-02 | 2011-03-02 | Bridge leg correcting method using oil compressure jack and broken parts compensation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18681A KR20120100052A (en) | 2011-03-02 | 2011-03-02 | Bridge leg correcting method using oil compressure jack and broken parts compensation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00052A true KR20120100052A (en) | 2012-09-12 |
Family
ID=4710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18681A Ceased KR20120100052A (en) | 2011-03-02 | 2011-03-02 | Bridge leg correcting method using oil compressure jack and broken parts compensation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00052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063B1 (en) | 2016-05-18 | 2016-10-04 | 이신원 | Bridges and bridge scour scour prevention methods to prevent the ball |
CN107700371A (en) * | 2017-10-20 | 2018-02-16 | 吴迪 | A kind of small rural highway bridge transforms reinforcement means |
CN114855654A (en) * | 2022-06-27 | 2022-08-05 | 四川路桥桥梁工程有限责任公司 | Stable inclined pier construction method without interrupting traffic operation |
KR102590383B1 (en) | 2023-08-08 | 2023-10-17 | 주식회사 씨앤에스테크 | Hydraulic Jack Module for Waterway Bridge Lifting and Restoration |
-
2011
- 2011-03-02 KR KR1020110018681A patent/KR20120100052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2063B1 (en) | 2016-05-18 | 2016-10-04 | 이신원 | Bridges and bridge scour scour prevention methods to prevent the ball |
CN107700371A (en) * | 2017-10-20 | 2018-02-16 | 吴迪 | A kind of small rural highway bridge transforms reinforcement means |
CN114855654A (en) * | 2022-06-27 | 2022-08-05 | 四川路桥桥梁工程有限责任公司 | Stable inclined pier construction method without interrupting traffic operation |
CN114855654B (en) * | 2022-06-27 | 2024-02-23 | 四川路桥桥梁工程有限责任公司 | Stable inclined pier construction method without interrupting traffic operation |
KR102590383B1 (en) | 2023-08-08 | 2023-10-17 | 주식회사 씨앤에스테크 | Hydraulic Jack Module for Waterway Bridge Lifting and Restor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0097642A1 (en) | Hydraulic tie rod for construction projects | |
KR100453108B1 (en) | Eastablished building repairing or reinforcing system using reaction force by compression apparatus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 |
CN110863520A (en) |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reinforcing pile foundation by using pushing steel sleeve | |
KR100642332B1 (en) | Shift foundation fall prevention structure for road bridge | |
WO2006038620A1 (en) | Joined part structure of pedestal and method of joining pedestal | |
JPH09158212A (en) | Foundation reinforcing structure for structure group | |
KR20120100052A (en) | Bridge leg correcting method using oil compressure jack and broken parts compensation structure | |
CN103510458B (en) | Pile type continuous rigid frame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949597B1 (en) | How to increase the basic bearing capacity of existing bridges using piles | |
JP2007182741A (en) | Differentially settled foundation correcting and reinforcing method by underpinning | |
KR100548911B1 (en) | Integrated composite shift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JP6477565B2 (en) | Reinforcing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hod of existing steel sheet pile wall | |
KR101082765B1 (en) | Method of the bridge construction which connects the steel pipe pile of abutment substituion and the precast girder with a fixation | |
KR101198286B1 (en) | Non-wale strut system for top-down construction and top-down construction method thereby | |
KR10031206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integrated shift bridge | |
CN203475289U (en) | Pile type continuous rigid frame bridge | |
KR20070093255A (en) | Underground continuous wall retaining structure and compressed soil method using compressed steel pipe | |
CN113737845A (en) | Assembled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973657B1 (en) | Inverted Arcuate Structure to prevent Lateral Flow of the Bridge Abutments and Repar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802037B1 (en) | Lateral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ramen bridge | |
CN110792042A (en) | Anti-overturning reinforcing method for rectangular single-column pier bridge | |
CN206800434U (en) | A kind of bridge pile foundation composite reinforcing structure | |
CN112813852B (en) | A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 for bridge deck subsidence of in-service bridges | |
KR101211101B1 (en) | A bridge post strengthe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e there of | |
JP5853415B2 (en) | Reinforcement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loating structures,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rid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2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203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3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0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