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92400A -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 Google Patents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400A
KR20120092400A KR1020110012438A KR20110012438A KR20120092400A KR 20120092400 A KR20120092400 A KR 20120092400A KR 1020110012438 A KR1020110012438 A KR 1020110012438A KR 20110012438 A KR20110012438 A KR 20110012438A KR 20120092400 A KR20120092400 A KR 20120092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hinge device
free stop
door
stop hi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섭
안오정
김준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12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2400A/ko
Publication of KR2012009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0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8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horizontal axis of rotation at the top or bottom of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8Details of w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무실 등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의 벨트라인에, 기존 개폐링크 부재와 병행하여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내설 설치함으로써, 이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도어패널의 상,하향 회전시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면 부드럽게 자유 회전되면서 개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품의 편의성 및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파티션(10)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1)에 배선걸이부재(30)가 설치되며, 프레임(11)의 양단부에 결합된 전면패널(12)에서 도어식으로 여닫히는 도어패널(50)의 내면으로 결속된 도어지지대(40)가, 상기 배선걸이부재(30)와 힌지핀(60)으로 축지되어 회전축으로 하며, 개폐링크부재(70)에 의해 각각의 몸체를 상호 지지되도록 구성된 벨트라인용 도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도어지지대(40)에 결속홀(41)을 형성하고, 배선걸이부재(30)의 일단으로 고정홀(31)을 형성시켜, 상기 결속홀(41)에 고정되는 회동축(81)과, 이 회동축(81)의 몸체 내부에서 가압부재와 연동되어, 외부로 돌출 연장된 끼움축(82)이 상기 고정홀(31)에 결합되게 구성 시킨 프리스톱 힌지장치(80)를, 도어지지대(40)와 배선걸이부재(30)의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패널(50)이 개폐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free stop hinge device for a partition belt line}
본 발명은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무실 등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의 벨트라인에, 기존 개폐링크 부재와 병행하여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내설 설치함으로써, 이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도어패널의 상,하향 회전시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면 부드럽게 자유 회전되면서 개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품의 편의성 및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에서는 제한된 실내공간을 분할하여 공간효율의 극대화시켜 업무의 능률향상은 물론,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아울러 창의적인 업무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각 부서별로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파티션은, 국내 실용등록공보 20-0301149에서와 같이 파티션(10')의 내부로 각종 배선을 내부공간에 깔끔하게 정리되도록 벨트라인(20')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파티션(10')은,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11')의 양단부로 전면패널(12')을 결합시켜 구성하고, 이 파티션(10')의 내부 공간으로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자기기(컴퓨터, 전화기 등)의 배선 및 전원라인을 인입시켜 배선처리가 가능하도록, 파티션(10')의 중간높이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패널(50')이 구비된 벨트라인(20')을 설치한다.
상기 벨트라인(20')의 구성은, 도어패널(50')의 내부 양측에 결합된 도어지지대(40')와, 프레임(11')에 고정된 배선걸이부재(30')가 힌지핀(6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이 도어지지대(40')와 배선걸이부재(30')는, 힌지핀(60')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벌려진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절첩 가능한 개폐링크부재(7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핀(74')으로 결합되어 연결한다.
상기 개폐링크부재(70')는 링크핀(72')에 비틀림스프링(73')과, 경첩형태로 접혀지도록 한쌍의 브라켓(71')이 축연결되며, 상기 비틀림스프링(73')의 양단부가 브라켓(71')의 내측면에 맞닿게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으로 절첩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브라켓(71')의 양단부가 도어지지대(40')와 배선걸이부재(30')에 각각 고정핀(74')으로 결합 되면서, 도어패널(50')의 개폐시에 개폐링크부재(70')가 절첩되면서 도어패널(50')의 개폐상태를 유지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벨트라인은, 도어패널과 결합된 도어지지대와 프레임에 고정된 배선걸이부재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링크부재에 의해 도어패널의 개폐 상태를 유지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도어패널의 자중과 비트림스프링의 탄성강도에 따라 도어패널이 급속히 열리거나 닫혀지면서 소음발생 및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도어패널을 상향 회동시켜 개방하였을 경우에, 토션스프링의 탄성강도가 약하면 도어패널의 자중 등으로 개폐 링크부재가 임의로 접혀져, 도어패널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불시에 자유낙하 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되므로, 파티션 내부의 배선을 작업하기 위해 한손으로 도어패널을 잡고 작업해야 하므로, 배선작업이 번거로운 폐단이 있었다.
또, 개폐 링크부재의 토션스프링의 탄성강도가 강하면, 도어패널이 전면패널에서 들뜨거나, 도어패널을 여는 과정에서 급속히 상승하여, 사용자의 불만 및 제품이미지에 손상을 주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어패널의 부드러운 개폐동작과 상품성 향상을 위해 개폐링크부재와 병행하여, 도어지지대와 배선걸이부재가 결합된 회전 중심축에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설치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도어패널의 개폐에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한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벨트라인의 도어패널이 일정각도 이상 상향 회동하면, 프리스톱 힌지장치에 의해 상부로 자동 회전되어 그 상태를 고정 및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벨트라인의 도어패널이 일정각도 이상 하향 회동하면, 프리스톱 힌지장치에 의해 부드럽게 자유 낙하되면서 도어패널이 닫혀져 사용 중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파티션(10)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1)에 배선걸이부재(30)가 설치되며, 프레임(11)의 양단부에 결합된 전면패널(12)에서 도어식으로 여닫히는 도어패널(50)의 내면으로 결속된 도어지지대(40)가, 상기 배선걸이부재(30)와 힌지핀(60)으로 축지되어 회전축으로 하며, 개폐링크부재(70)에 의해 각각의 몸체를 상호 지지되도록 구성된 벨트라인용 도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도어지지대(40)에 결속홀(41)을 형성하고, 배선걸이부재(30)의 일단으로 고정홀(31)을 형성시켜, 상기 결속홀(41)에 고정되는 회동축(81)과, 이 회동축(81)의 몸체 내부에서 가압부재와 연동되어, 외부로 돌출 연장된 끼움축(82)이 상기 고정홀(31)에 결합되게 구성 시킨 프리스톱 힌지장치(80)를, 도어지지대(40)와 배선걸이부재(30)의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패널(50)이 개폐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프리스톱 힌지장치(80)는, 도어지지대(40)와 배선걸이부재(30)에 각각 회동축(81)과 끼움축(82)을 축고정하며, 도어지지대(40)와 결속된 회동축(81)의 회전에 따라 회동축(81) 내부의 가압부재가 토오크 변화되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리스톱 힌지장치(80)는, 도어패널(50)과 결속된 도어지지대(40)의 개방각도가 40°이상의 영역에서는, 프리스톱구간(P)을 갖게되어 이 프리스톱구간(P)에 위치된 도어패널(50)을 상향 회전시키게 된다.
또, 상기 프리스톱 힌지장치(80)는, 도어패널(50)과 결속된 도어지지대(40)의 개방각도가 40°이하의 영역에서는, 슬로우닫힘구간(S)이 되면서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감속회전 작동에 의해 도어패널(50)이 저속 하향 회전되게 구성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지지대와 배선걸이부재의 결합부에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설치하여, 이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패널의 부드러운 개폐동작과 함께, 개폐상태를 유지되도록 하여 상품성 향상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또, 상기 도어패널은 프리스톱 힌지장치와 개폐링크부재를 병행시켜, 도어패널이 일정각도 이상 상향 회동하면, 프리스톱 힌지장치에 의해 상부로 자동 회전되어 그 상태를 고정 및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도어패널이 일정각도 이상 하향 회동하면, 프리스톱 힌지장치에 의해 부드럽게 자유 낙하되면서 도어패널이 닫혀져 도어패널의 개폐에 편의성을 증대시키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종래 파티션 벨트라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파티션 벨트라인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프리스톱 힌지장치로 구성 결합되는 확대 분해 사시도.
도 4a ~ 4d는 본 발명인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도어패널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은, 사무실 등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의 벨트라인에, 기존 개폐링크 부재와 병행하여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내설 설치함으로써, 이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중심으로 도어패널의 상,하향 회전시 일정각도 이상 회동하면 부드럽게 자유 회전되면서 개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제품의 편의성 및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은 종래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파티션 벨트라인을 구성하는 프레임(11)전면으로 설치되는 배선걸이부재(30)와, 전면패널(12)에서 도어식으로 여닫히는 도어패널(50)의 내면으로 결속된 도어지지대(40)가, 개폐링크부재(70)를 이용해 각각의 몸체에 고정핀(74)으로 상호 지지되게 결합하는 구성은 동일함을 밝혀둔다.
상기 벨트라인(20)을 구성하는 도어지지대(40)와 배선걸이부재(30)에는, 본 발명을 도시한 도 3에서와 같이 도어지지대(40)에 결속홀(41)을 형성하고, 배선걸이부재(30)의 상부 일단으로 고정홀(31)을 형성시켜, 이 결속홀(41)과 고정홀(31)에 억지 끼워져 중심 회전축이 되는 프리스톱 힌지장치(80)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의 프리스톱 힌지장치(8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회동축(81)의 몸체 내부로 가압부재(미도시)가 내장되며, 이 가압부재와 연동되어 외부로 돌출 연장된 끼움축(82)의 회전으로 발생된 회전 토오크를 전달받아 몸체 내부의 가압부재가 갖는 영역을 초과하면 상기 회전토오크를 발생시킨 축의 회전방향으로 자동회전되도록 한 것으로, 내부구성의 동작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지지대(40)의 결속홀(41)에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회동축(81)이 위치고정되며, 배선걸이부재(30)의 고정홀(31)에 끼움축(82)을 결속시킴으로써, 상기 프리스톱 힌지장치(80)는 회동축(81)의 회전으로 내부 가압부재에 비틀림 토오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회동축(81)과 끼움축(82)은, 회동축(81)이 배선걸이부재(30)에 고정된 상태로 끼움축(82)을 도어지지대(40)에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회동축(81)과 결속홀(41)은, 그 형상이 다각형을 갖게 성형시켜 상호 억지 끼움방식으로 결합하며, 고정홀(31)에 끼워져 결속되는 끼움축(82)도 억지끼움방식으로 성형해 결합시킴으로써,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몸체는 배선걸이부재(30)와 도어지지대(40)에 각각 고정된 상태를 갖게 하였다.
이와 같이, 도어지지대(40)와 배선걸이부재(30)는 프리스톱 힌지장치(80)를 회전축으로 하며, 도어패널(50)에 결속된 도어지지대(40)의 개폐각도에 따라 프리스톱 힌지장치(80)에 비틀림 토오크가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프리스톱 힌지장치(80)를 이용해 도 4a 내지 도 4d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벨트라인(20)을 구성하는 도어패널(50)이 내부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의 개폐링크부재(70)가 프레임(11) 내측으로 이동되고, 프리스톱 힌지장치(80)는 몸체 내부의 가압부재에 회전 토오크가 내측 방향으로 발생되어 도어패널(5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도어패널(50)의 내부 양측단에 결속된 도어지지대(40)에 끼워진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가압부재에 내측 회전방향으로 토오크가 발생되어 도어패널(50)이 닫힘상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도 4b는, 도어패널(50)을 사용자가 잡고 개방되는 상태로 15ㅀ이상을 상향 회전시키면, 개폐링크부재(7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내부의 비틀림스프링(73)이 브라켓(71)을 탄성력에 따라 양단부로 펼쳐지게 밀게 되므로, 개폐링크부재(70)에 의한 도어패널(50)의 상향회전이 이루어진다.
또, 도 4c는, 도어패널(50)이 개폐링크부재(70)의 탄성력으로 회전각도가 40°이하까지 상향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가압부재에 회전토오크가 발생된다.
그리고, 도 4d와 같이 개폐링크부재(70)에 따라 상향 회전된 도어패널(50)의 회전각도가 40°이상에 위치되면, 가압부재가 갖는 영역을 초과되면서 상기 회전토오크를 발생시킨 축의 회전방향으로 자동회전되어, 도어패널(50)이 상부로 더욱 젖혀지며, 이 영역을 프리스톱구간(P)으로 한다.
이때, 프리스톱구간(P)에 위치된 도어패널(50)은 어느 지점에서도 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개폐링크부재(70)가 개방되는 도어패널(50)을 따라 전방으로 위치이동되면서, 도어패널(50)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패널(5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프리스톱 기능이 발휘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패널(50)이 자유낙하 되지않고, 개방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안전성과 편의성이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 개방된 벨트라인(20)을 폐쇄하기 위해 도어패널(50) 상부에 외력을 가하여 하향회전시키면, 도 4b와 같이 배선걸이부재(30)와 도어지지대(40)의 개방각도가 40°이하에서,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내부 가압부재가 갖는 영역을 초과하면서, 상기 회전토오크를 발생시킨 회동축(81)의 회전방향을 따라 도어패널(50)이 자동회전되어 닫히게 된다.
하게 되면서 도어패널(50)이 감속 회전된다.
이때, 도어패널(50)이 40°이하에서 자동 하향 회전되는 영역을 슬로우닫힘구간(S)으로 하며, 도어패널(50)의 급격한 자유낙하를 차단하고, 부드럽게 닫히도록 감속 회전시킴으로써, 충격을 최소화시키면서 안전성 및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어패널(50)의 개방각도가 대략 40°이하인 슬로우닫힘구간(S)에서는,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감속회전 작동에 의해 도어패널(50)의 자중이 적용되더라도 도어패널(50)의 닫힘 회전동작이 저속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패널(50)의 회전 중심축을 프리스톱 힌지장치(80)로 구성하여, 도어패널(50)의 프리스톱구간(P)과 슬로우닫힘구간(S)이 복합적으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프리스톱구간(P)에서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패널(50)의 정지상태가 유지되며, 동시에 상기 슬로우닫힘구간(S)의 닫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게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파티션 11 - 프레임
20 - 벨트라인 30 - 배선걸이부재
31 - 고정홀 40 - 도어지지대
41 - 결속홀 50 - 도어패널
70 - 개폐링크부재 80 - 프리스톱힌지장치
81 - 회동축 82 - 끼움축
P - 프리스톱구간 S - 슬로우닫힘구간

Claims (4)

  1. 파티션(10)의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1)에 배선걸이부재(30)가 설치되며, 프레임(11)의 양단부에 결합된 전면패널(12)에서 도어식으로 여닫히는 도어패널(50)의 내면으로 결속된 도어지지대(40)가, 상기 배선걸이부재(30)와 힌지핀(60)으로 축지되어 회전축으로 하며, 개폐링크부재(70)에 의해 각각의 몸체를 상호 지지되도록 구성된 벨트라인용 도어패널에 있어서;
    상기 도어지지대(40)에 결속홀(41)을 형성하고, 배선걸이부재(30)의 일단으로 고정홀(31)을 형성시켜, 상기 결속홀(41)에 고정되는 회동축(81)과, 이 회동축(81)의 몸체 내부에서 가압부재와 연동되어, 외부로 돌출 연장된 끼움축(82)이 상기 고정홀(31)에 결합되게 구성 시킨 프리스톱 힌지장치(80)를, 도어지지대(40)와 배선걸이부재(30)의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패널(50)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이용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톱 힌지장치(80)는, 도어지지대(40)와 배선걸이부재(30)에 각각 회동축(81)과 끼움축(82)을 축고정하며, 도어지지대(40)와 결속된 회동축(81)의 회전에 따라 회동축(81) 내부의 가압부재가 토오크 변화됨을 특징으로 한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이용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3. 청구항 1 및 2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톱 힌지장치(80)는, 도어패널(50)과 결속된 도어지지대(40)의 개방각도가 40°이상의 영역에서는, 프리스톱구간(P)을 갖게되어 이 프리스톱구간(P)에 위치된 도어패널(50)을 상향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한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이용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4. 청구항 1 및 2에 있어서, 상기 프리스톱 힌지장치(80)는, 도어패널(50)과 결속된 도어지지대(40)의 개방각도가 40°이하의 영역에서는, 슬로우닫힘구간(S)이 되면서 프리스톱 힌지장치(80)의 감속회전 작동에 의해 도어패널(50)이 저속 하향 회전시킴을 특징으로 한 프리스톱 힌지장치를 이용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KR1020110012438A 2011-02-11 2011-02-11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Ceased KR20120092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438A KR20120092400A (ko) 2011-02-11 2011-02-11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438A KR20120092400A (ko) 2011-02-11 2011-02-11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00A true KR20120092400A (ko) 2012-08-21

Family

ID=46884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438A Ceased KR20120092400A (ko) 2011-02-11 2011-02-11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24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207A1 (ko) * 2014-02-24 2015-08-2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사무기기의 덮개 개폐용 힌지장치
CN108547541A (zh) * 2018-03-12 2018-09-18 周海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楼宇窗户管理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6207A1 (ko) * 2014-02-24 2015-08-27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사무기기의 덮개 개폐용 힌지장치
CN108547541A (zh) * 2018-03-12 2018-09-18 周海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楼宇窗户管理系统
CN108547541B (zh) * 2018-03-12 2019-08-02 上海福聚商业经营管理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楼宇窗户管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8087B (zh) 铰链装置和具有铰链装置的折叠设备
US20160320811A1 (en) Thin hinge
US20170268266A1 (en) Double axial hinge for a console
CA2377526A1 (en) Segmented garage door and hinges
CN108953364A (zh) 移动终端及铰链机构
TW201901345A (zh) 電子裝置
KR20120092400A (ko)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CN107269144B (zh) 具有闭合缓冲结构的天地铰链
CN218505712U (zh) 连杆遮挡结构、折叠背板机构以及车辆
KR102100355B1 (ko) 접철가능하며 접철가능하며 신체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 부착구
CN213512908U (zh) 用于显示装置后翻的折叠机构
EP4575248A1 (en) Hinge structure and foldable device
CN102701058A (zh) 一种中分四折折叠门
CN204851982U (zh) 双轴同动枢纽器
CN210063831U (zh) 铰接机构和收纳盒
CN211736813U (zh) 限位铰链及门窗结构
CN209524289U (zh) 拉绳解锁支架
JP5401277B2 (ja) 折戸
CN207315078U (zh) 具有闭合缓冲结构的天地铰链
CN204920568U (zh) 一种阻尼铰链
KR102287496B1 (ko) 도어 힌지부 손 끼임 방지장치
CN201196472Y (zh) 活页铰链及采用该活页铰链的空调器
KR101017600B1 (ko) 파티션 벨트라인 힌지장치
CN206917475U (zh) 一种三维调节阻尼暗铰链
CN204437046U (zh) 合页装置及应用其的乐谱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8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