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91826A -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826A
KR20120091826A KR1020110011854A KR20110011854A KR20120091826A KR 20120091826 A KR20120091826 A KR 20120091826A KR 1020110011854 A KR1020110011854 A KR 1020110011854A KR 20110011854 A KR20110011854 A KR 20110011854A KR 20120091826 A KR20120091826 A KR 20120091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screen
input
execution
executio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현중
정미진
임형우
최소영
Original Assignee
팅크웨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팅크웨어(주) filed Critical 팅크웨어(주)
Priority to KR102011001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1826A/ko
Publication of KR20120091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8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출력부,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화면을 레이어(layer)로 출력하는 화면 제어부, 상기 메모 입력화면의 종류에 따라 드로잉 툴바 또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표출하여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기능의 실행중 메모가 필요한 경우 기 설정된 핫키(hot key)의 조작만으로 실행화면 또는 메모 입력 화면에 바로 메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User terminal inputting memo on execution screen and thereof method}
본 발명은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화면을 레이어(layer)로 출력하고, 상기 메모 입력화면의 종류에 따라 드로잉 툴바 또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표출하여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PDA 및 전자사전 등의 핸드헬드 디바이스(Handheld Device)들이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핸들헬드 디바이스들은 터치 스크린 방식의 화면에 가상 키보드(Virtual Keypad)를 표시하고,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를 인식함으로써 키 입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보다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관련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PCS, PDA와 같은 단말기들이 제공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기능 중에서 대부분의 단말기에서 채택되고 있는 기능이 메모장 기능이다. 이러한 종래의 메모장기능은 단말기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소정의 메모를 단말기 내의 메모리 내에 텍스트 데이터로서 일일이 저장하여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메모장기능은 메모장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야하는 불편이 있었고, 또한 메모장기능을 구동하기 위한 단말기 CPU 효율 감소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단말의 활용 다양성 측면에서, 단말상에서 직접 메모장기능이 구현되도록 함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즉,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단말상에서 필기체 메모를 직접 감지하여 이를 메모장 형태로 이용되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 기능의 실행중 메모가 필요한 경우 기 설정된 핫키(hot key)의 조작만으로 바로 메모할 수 있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백그라운드의 투명도 조절을 통해 전에 수행하던 화면을 보면서 그 위에 메모를 할 수 있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냅샷 기능으로 터치스크린에 보이는 전체 메모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출력부,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화면을 레이어(layer)로 출력하는 화면 제어부, 상기 메모 입력화면의 종류에 따라 드로잉 툴바 또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표출하여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화면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투명도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투명도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한다.
상기 메모 입력화면은 상기 실행화면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최초 실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최초 실행인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드로잉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레이어로 출력하며, 텍스트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레이어로 출력하고, 최초 실행이 아닌 경우 마지막으로 저장된 메모가 표시된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레이어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과 함께 저장하거나, 메모가 입력된 화면만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메모가 텍스트와 드로잉이 혼합된 경우, 드로잉 비율이 미리 정해진 일정 비율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일정 비율 이하인 경우 텍스트 또는 이미지 파일로의 저장 형태를 질의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형태로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이메일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면서 이메일에 첨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잉 툴바에 의해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가상 키보드에 의해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이 실행화면상에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화면을 레이어(layer)로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메모 입력화면의 종류에 따라 드로잉 툴바 또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표출하여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 단계, (c)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메모 입력화면은 상기 실행화면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된다.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은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a)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최초 실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최초 실행인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드로잉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하고, 텍스트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은 상기 판단결과 최초 실행이 아닌 경우, 마지막으로 저장된 메모가 표시된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레이어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상기 드로잉 툴바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다.
상기 (c)단계는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과 함께 저장하거나, 메모가 입력된 화면만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메모가 텍스트와 드로잉이 혼합된 경우, 상기 드로잉 비율이 미리 정해진 일정 비율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정 비율 이하인 경우, 텍스트 또는 이미지 파일로의 저장 형태를 질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형태로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은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이메일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면서 이메일에 첨부파일로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 기능의 실행중 메모가 필요한 경우 기 설정된 핫키(hot key)의 조작만으로 실행화면 또는 메모 입력 화면에 바로 메모할 수 있다.
또한, 백그라운드의 투명도 조절을 통해 전에 수행하던 화면을 보면서 그 위에 메모를 할 수 있다.
또한, 스냅샷 기능으로 터치스크린에 보이는 전체 메모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실행화면상에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선택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로잉 메모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메모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은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단말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02),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출력부(104), 저장부(106), 화면 처리부(108), 제어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2)에는 메모 입력을 위해 설정된 핫키, 투명도 조절을 위한 키, 메모 입력화면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키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의 외부에 장착된 것이다.
상기 저장부(106)는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저장부 또는 SD 카드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SD 카드에 바로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저장부에 저장한 후 SD 카드에 자동 복사하여 가져올 수 있다.
상기 화면 처리부(108)는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02)에 구비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화면을 레이어(layer)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된 메모 입력화면은 상기 실행화면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된다.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은 텍스트 메모 입력화면,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메모 입력화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도 5c를 참조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화면 처리부(108)는 상기 입력부(102)를 통해 투명도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투명도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화면 처리부(108)는 메모 입력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02)를 통해 회전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회전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실행화면을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 입력화면의 종류에 따라 드로잉 메모를 위한 드로잉 툴바 또는 텍스트 메모를 위한 가상 키보드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표출하여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이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드로잉 메모를 위한 드로잉 툴바를 출력하고,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이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이 경우 텍스트 메모를 위한 가상 키보드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드로잉 툴바를 통해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서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통해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서 메모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 실행화면상에서 메모를 입력받는다는 것은 사용자가 드로잉 툴바 또는 가상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화면에서 직접 메모를 입력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드로잉 툴바 또는 상기 가상 키보드는 미리 정해진 특정 버튼의 입력에 따라 상기 화면 상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최초 실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최초 실행인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 상기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드로잉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하고, 텍스트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과 함께 저장하거나, 메모가 입력된 화면만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입력된 메모가 텍스트와 드로잉이 혼합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드로잉 비율이 미리 정해진 일정 비율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일정 비율 이하인 경우 텍스트 또는 이미지 파일로의 저장 형태를 질의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형태로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이메일 명령이 입력된 경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면서 이메일에 첨부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실행화면상에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 선택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로잉 메모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텍스트 메모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S200), 사용자에 의해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되면(S202), 상기 사용자 단말은 최초 실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4).
상기 S204의 판단결과 최초 실행인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실행화면상에 모드 선택 화면을 출력한다(S206). 상기 모드 선택화면에 대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드 선택 화면(300)은 드로잉 메모 명령, 텍스트 메모 명령이 존재하고, 팝업 형태 등으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된다.
상기 사용자가 드로잉 메모를 원할 경우 드로잉 메모 명령을 선택하고, 텍스트 메모를 원할 경우 텍스트 메모 명령을 선택한다.
상기 S206에서 출력된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드로잉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은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한다(S208a). 즉, 상기 사용자가 드로잉 메모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도 4a와 같은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400)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400)은 상기 실행화면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실행화면의 전체 또는 일정 부분 영역에 배치되나, 여기에서는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400)은 리스트 명령, 타이틀, new 명령이 표시된 타이틀 영역(410), 드로잉 메모 작성 영역(420), 소트 명령, 에디트(edit) 명령, 스냅샷(snap shot) 명령, 이메일 명령, cue 명령이 표시된 소프트 키 제공 영역(4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가 리스트 명령을 선택하면, 도 4b와 같이 메모 리스트(440)가 슬라이드된다. 상기 메모 리스트는 현재 보여지는 메모 위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표출되고, 각 메모의 타이틀은 저장된 시점의 일자와 숫자의 혼합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표출되는 메모 리스트는 상기 소트 명령에 의해 시간순 또는 이름순으로 정렬된다.
상기 사용자가 에디트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보고 있는 메모의 편집을 위한 드로잉 툴바를 표출시킨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에서 스냅샷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메모 작성 영역에 출력된 메모의 스크린 부분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에서 이메일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모 작성 영역에 작성된 메모가 이메일에 첨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에서 cue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보고 있는 메모를 기준으로 이전 메모, 다음 메모 등으로 메모 리스트에 있는 메모의 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S208a의 수행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에서 에디트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도 4c와 같이 드로잉 툴바(450)를 상기 메모 입력 화면에 표출하여 드로잉 메모를 입력받는다(S210a). 즉, 상기 드로잉 툴바(450)는 드로잉을 위한 펜 종류, 펜의 굵기, 색 등의 선택을 위한 툴을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드로잉 툴바(450)에 표시된 펜중에서 적정한 펜을 선택하고, 상기 메모 작성 영역에 메모를 입력한다. 상기 드로잉 툴바(450)를 이용하여 드로잉 메모를 입력하면, 도 4d와 같이 메모가 입력된 화면상에 드로잉 툴바(460)가 표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에서 에디트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툴바를 표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드로잉 툴바를 이용하여 드로잉 메모 입력을 위한 도구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도구를 이용하여 실행화면상에 직접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S210의 수행 후,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되면(S212),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한다(S214).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과 함께 저장하거나 메모가 입력된 화면만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모가 텍스트와 드로잉이 혼합된 경우, 상기 드로잉 비율이 미리 정해진 일정 비율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일정 비율 이하이면, 텍스트 또는 이미지 파일로의 저장 형태를 질의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형태로 상기 메모가 입력된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된 화면을 저장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에 의해 이메일 명령이 입력되면(S216),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면서 이메일에 첨부한다(S218).
만약, 상기 S206에서 출력된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텍스트 메모 명령이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한다(S208b).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모드 선택 화면에서 텍스트 메모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도 5a와 같은 텍스트 메모 입력화면(500)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500)은 상기 실행화면상에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실행화면의 전체 또는 일정 부분 영역에 배치되나, 여기에서는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500)은 리스트 명령, 타이틀, new 명령이 표시된 타이틀 영역(510), 텍스트 메모 작성 영역(520), 소트 명령, 에디트 명령, 스냅샷 명령, 이메일 명령, cue 명령이 표시된 소프트 키 제공 영역(5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용자가 리스트 명령을 선택하면, 도 5b와 같이 메모 리스트(540)가 슬라이드된다. 상기 메모 리스트는 현재 보여지는 메모 위로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표출되고, 각 메모의 타이틀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 형태이다.
그리고, 상기 표출되는 메모 리스트는 상기 소트 명령에 의해 시간순 또는 이름순으로 표출된다.
상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에서 에디트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도 5c와 같이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의 일정 영역에 가상 키보드(550)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가상 키보드는 숫자, 한글, 영문, 특수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가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텍스트 메모 작성 영역에 텍스트 메모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에서 에디트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실행화면상에 가상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실행화면상에 직접 메모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에 출력되는 다른 구성은 상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과 상응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S208b의 수행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에서 에디트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텍스트 메모를 위한 가상 키보드를 상기 메모 입력 화면상에 표출하여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다(S210a).
이때,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실행화면상에 직접 텍스트를 입력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S204의 판단결과 최초 실행이 아니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마지막으로 저장된 메모가 표시된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한다(S220). 이때,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된 메모 입력 화면은 도 4a 또는 도 5a와 같다.
상기 S220의 수행 후, 기 저장된 메모에 대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S222),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S224).
상기 제어 명령은 상기 메모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것으로서, 리스트 명령, sort, 삭제, 에디트, 스냅샷, 이메일, cue 명령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스냅샷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메모 작성 영역에 출력된 메모의 스크린 부분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소트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현재 입력된 메모들의 리스트를 시간순 또는 이름순으로 정렬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이메일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모 작성 영역에 표출된 메모가 이메일에 첨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cue 명령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메모 리스트에 있는 메모의 선택을 위해 이동을 수행한다.
상기 S222의 판단결과 기 저장된 메모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새로운 메모 입력을 위한 명령이 선택되면(S226), 상기 사용자 단말은 S206을 수행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 102 : 입력부
104 : 출력부 106 : 저장부
108 : 화면 처리부 110 : 제어부

Claims (17)

  1.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된 출력부;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를 통해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화면을 레이어(layer)로 출력하는 화면 처리부; 및
    상기 메모 입력화면의 종류에 따라 드로잉 툴바 또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표출하여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처리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투명도 조절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투명도 조절 명령에 따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의 투명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화면은 상기 실행화면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최초 실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최초 실행인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드로잉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레이어로 출력하며, 텍스트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레이어로 출력하고, 최초 실행이 아닌 경우 마지막으로 저장된 메모가 표시된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레이어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과 함께 저장하거나, 메모가 입력된 화면만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메모가 텍스트와 드로잉이 혼합된 경우, 드로잉 비율이 미리 정해진 일정 비율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일정 비율 이하인 경우 텍스트 또는 이미지 파일로의 저장 형태를 질의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형태로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이메일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면서 이메일에 첨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잉 툴바에 의해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가상 키보드에 의해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9.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사용자 단말이 실행화면상에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화면을 레이어(layer)로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메모 입력화면의 종류에 따라 드로잉 툴바 또는 가상 키보드를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표출하여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 단계; 및
    (c)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화면은 상기 실행화면과 적어도 일부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 입력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은 투명도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상에 소정 기능의 실행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메모 입력을 위한 핫키(hot key)가 선택된 경우, 최초 실행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최초 실행인 경우,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메모 또는 텍스트 메모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드로잉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드로잉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하고, 텍스트 메모 명령이 선택된 경우 텍스트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결과 최초 실행이 아닌 경우, 마지막으로 저장된 메모가 표시된 메모 입력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상에 레이어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드로잉 툴바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드로잉 메모를 입력받고,
    상기 가상 키보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 입력 화면 또는 상기 실행화면상에 텍스트 메모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스냅샷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상기 실행화면과 함께 저장하거나, 메모가 입력된 화면만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메모가 텍스트와 드로잉이 혼합된 경우, 상기 드로잉 비율이 미리 정해진 일정 비율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일정 비율 이하인 경우, 텍스트 또는 이미지 파일로의 저장 형태를 질의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파일 형태로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에 대한 이메일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메모가 입력된 화면을 저장하면서 이메일에 첨부파일로 첨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행화면상에의 메모 입력 방법.
KR1020110011854A 2011-02-10 2011-02-10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 KR201200918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54A KR20120091826A (ko) 2011-02-10 2011-02-10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854A KR20120091826A (ko) 2011-02-10 2011-02-10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826A true KR20120091826A (ko) 2012-08-20

Family

ID=46884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854A KR20120091826A (ko) 2011-02-10 2011-02-10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18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140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전자문서 상에서 레이어를 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447358B1 (ko) * 2013-04-05 2014-10-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간편 메모 지원 단말 및 방법
US10877624B2 (en) 2013-07-10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140A (ko) * 2013-03-05 2014-09-15 주식회사 인프라웨어 전자문서 상에서 레이어를 이용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447358B1 (ko) * 2013-04-05 2014-10-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간편 메모 지원 단말 및 방법
US10877624B2 (en) 2013-07-10 2020-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6141B2 (en) Method, system,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word recommendations
US11029827B2 (en) Text selection using a touch sensitive screen of a handhel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479948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entering command in the terminal
US8698845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nteractive popup views
US8914743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 list of identifiers
EP2249240B1 (en)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cognizing fingernail touc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thereof
US8576180B2 (en) Method for switching touch keyboar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ing the same
US9448715B2 (en) Grouping of related graphical interface panels for interaction with a computing device
EP299355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handwriting
US20140189593A1 (en) Electronic device and input method
KR20160020437A (ko) 전자 문서에서의 단순화된 데이터 입력 기법
JP6426417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92418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347001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4690889A (zh) 一种虚拟键盘的处理方法以及相关设备
US20150062015A1 (en)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4690887A (zh) 一种反馈方法以及相关设备
US20110145705A1 (en) Control method of user interface
KR20120091826A (ko) 실행화면상에 메모 입력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 그 방법
US20150062047A1 (en) Information processor,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50149894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302759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ing data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6062487B2 (ja) 電子機器、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690888A (zh) 一种应用界面的处理方法以及相关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2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12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6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301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12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211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206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2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