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876A -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with same - Google Patents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with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8876A KR20120088876A KR1020127017021A KR20127017021A KR20120088876A KR 20120088876 A KR20120088876 A KR 20120088876A KR 1020127017021 A KR1020127017021 A KR 1020127017021A KR 20127017021 A KR20127017021 A KR 20127017021A KR 20120088876 A KR20120088876 A KR 201200888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groove
- flat plate
- shaped
- colg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being attachable to the el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25—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corrugated, plate-like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F28D1/0536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83—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24—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 F28F1/3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and extending transversely the means having portions engaging further tubula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91—Radiators
- F28D2021/0094—Radiators for recooling the engine coola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10—Secondary fins, e.g. projections or recesses on main fi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4—Fastening; Joining by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과제] 제작시에 예기치 않은 개소에 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 정밀도의 향상과 제작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콜게이트 핀 및 그것을 구비하는 열교환기를 각각 제공한다.
[해결수단]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변(11, 11') 및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끝변(12, 12')을 각각 갖는 평판부(5a)와, 이 평판부(5a)의 측변(11, 11')에 연장 설치되는 접합부(5b)가 교대로 콜게이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용 콜게이트 핀(5)에 있어서, 접합부(5b)는 열교환 매체가 유통되는 튜브(4)에 접합되는 평탄면(20)을 갖고,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과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의 2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절단면에서 오목부(16) 또는 볼록부(17, 18)를 갖는 것으로 한다.[Problem]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occurrence of bending at an unexpected point during fabrication, thereby providing a corrugated fin and a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product precision and facilitate fabrication.
[Solution] A flat plate portion 5a each having a pair of side edges 11 and 11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end edges 12 and 12' facing each other, and a side edge of the flat plate portion 5a ( In the heat exchanger colgate fin 5 formed by alternately bending the collapsing portion 5b extending to 11, 11 'in a colgate shape, the joining portion 5b is connected to the tube 4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flows. It has the flat surface 20 joined, and the flat part 5a has two direction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side edges 11 and 11 'are arrange | position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edges 12 and 12' are arrange | positioned. It is assumed that it has the recessed part 16 or the convex parts 17 and 18 in arbitrary cutting surfac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컨대 라디에이터나 오일 쿨러, 에프터 쿨러 등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 매체의 열을 방열하는 콜게이트 핀 및 그것을 구비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gate fin for dissipating heat of a heat exchange medium in a heat exchanger such as a radiator, an oil cooler, an after cooler, and a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예컨대, 유압 셔블이나 불도저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 룸에는 엔진이나 라디에이터, 냉각 팬 장치 등이 소정의 배치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각 팬 장치의 구동에 의해 라디에이터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흐름을 생성해서 엔진과 라디에이터 사이에서 순환되는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고 있다.For example, an engine, a radiator, a cooling fan device, and the like ar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in an engine room in a working vehicle such as a hydraulic excavator or a bulldozer. The cooling fan generates a flow of cooling air passing through the radiator to cool the engine coolant circulated between the engine and the radiator.
라디에이터는 주로 상측 탱크와, 하측 탱크와, 복수의 튜브와, 핀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The radiator is mainly provided with the upper tank, the lower tank, the some tube, and the fin.
상측 탱크와 하측 탱크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튜브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송출된 엔진 냉각수가 일단 상측 탱크에 저장되고, 복수의 튜브를 통과해서 하측 탱크에 모아진 후 엔진에 환류된다.The upper tank and the lower tank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tub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ccordingly, the engine coolant sent out from the engine is once stored in the upper tank, coll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tubes in the lower tank, and then refluxed to the engine.
핀은 서로 인접하는 튜브 사이에 배치되어 납땜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튜브에 접합되어 있다.The pins are arranged between the tubes adjacent to each other and joined to the tubes by joining means such as soldering.
상기 핀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변 및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끝변을 각각 갖는 평판부와 이 평판부의 측변에 연장 설치되는 접합부가 교대로 콜게이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콜게이트 핀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3 참조).As the pin, there is a colgate pin formed by a flat plate portion each having a pair of side edges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end edges facing each other and a junction portion extending to the side edge of the flat plate alternately bent in a colgate shape (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s 1-3).
콜게이트 핀은, 예컨대 홈 성형 공정과 콜게이트 성형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The colgate pin is produced through, for example, a groove forming step and a colgate forming step.
홈 성형 공정은 박판 코일로부터 인출되는 띠형상 박판을 홈 성형용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또는 프레스 기계를 사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그 판면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는 공정이다.The groove forming step is a step of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in the plate surface by passing a strip-shaped thin plate drawn out from the thin plate coil between a pair of rolls for groove forming, or by press working using a press machine.
콜게이트 성형 공정은 홈 성형 가공이 행해진 후의 띠형상 박판을 콜게이트 성형용 한 쌍의 롤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평판부와 접합부가 교대로 콜게이트 형상으로 연속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공정이다.The colgate forming step is a step in which the flat plate portion and the joint portion are bent alternately in a colgate shape by passing the strip-shaped thin plate after the groove forming process is carried out between a pair of rolls for colgate forming.
그런데, 상기 홈 성형 공정에 의해 띠형상 박판에 부착되는 홈으로서는, 예컨대 평판부의 한 쌍의 측변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있다. 그 밖의 예로서는 평판부의 한 쌍의 끝변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이 있다.By the way, as a groove | channel which adheres to a strip | belt-shaped thin plate by the said groove | channel shaping | molding process, the groove | channel exten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side edges of a flat plate part is arrange | positioned, for example. As another example, there is a groove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end sides of the flat plate portion is disposed.
한 쌍의 측변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평판부에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끝변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측변을 근접시키는 굽힘 작용에 대해서는 평판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한 쌍의 측변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없으므로 한 쌍의 끝변을 근접시키는 굽힘 작용에 대해서는 평판부의 강성을 높일 수 없다.By forming grooves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side edges are arranged, the cross section coefficient of the cut surfac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end edges are arranged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rigidity of the flat plate portion can be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ction of bringing the pair of side edges closer together.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ross-sectional coefficient of the cut surfac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side edges are arranged cannot be increased, the rigidity of the flat plate portion cannot be increased for the bending action of bringing the pair of edges closer together.
한 쌍의 끝변이 배치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평판부에 형성함으로써 한 쌍의 측변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끝변을 근접시키는 굽힘 작용에 대해서는 평판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한 쌍의 끝변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없으므로 한 쌍의 측변을 근접시키는 굽힘 작용에 대해서는 평판부의 강성을 높일 수 없다.By forming grooves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end edges are arranged, the cross section coefficient of the cut surfac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side edges are arranged can be increased. As a result, the rigidity of the flat plate portion can be increased with respect to the bending action of bringing the pair of ends closer together.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cross-sectional coefficient of the cut surfac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end edges are arranged cannot be increased, the rigidity of the flat plate portion cannot be increased for the bending action of approaching the pair of side edges.
따라서, 종래의 콜게이트 핀은 제작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콜게이트 성형 공정시에 예기치 않은 개소에 구부러짐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고, 형상 치수의 오차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corrugated pin has the problem that bending may occur at an unexpected location during fabrication, more specifically, during the corrugated forming process, and the error of the shape dimension becomes large.
이 때문에, 콜게이트 핀과 튜브를 교대로 적층해서 라디에이터 코어를 조립할 때 콜게이트 핀의 형상 치수의 오차가 누적되어 라디에이터 코어에 휘어짐이 발생될 우려가 있어 제품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콜게이트 핀의 형상 치수의 오차를 수정하려고 하면 여분의 수고나 시간이 걸리고, 콜게이트 핀의 형상 치수의 오차끼리를 서로 상쇄하도록 조립하려고 하면 고도한 기능이 필요하게 되어 제작이 곤란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For this reason, when assembling the radiator core by alternately stacking the corrugated fin and the tube, an error in the shape dimension of the corrugated fin may accumulate and bend in the radiator core, resulting in difficulty in improving product accuracy. have. In addition, attempting to correct the error of the shape dimension of the corrugated pin takes extra effort and time, and if it is attempted to assemble so that the errors of the shape dimension of the corrugated pin cancel each other, high function is required and the production becomes difficult.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작시에 예기치 않은 개소에 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 정밀도의 향상과 제작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는 콜게이트 핀 및 그것을 구비하는 열교환기를 각각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occurrence of bending at an unexpected point during fabrication, thereby improving the product precision and facilitating fabrication. And a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에 의한 콜게이트 핀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olgate pin according to the first invention is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변 및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끝변을 각각 갖는 평판부와 이 평판부의 측변에 연장 설치되는 접합부가 교대로 콜게이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열교환기용 콜게이트 핀에 있어서,A colgate fin for a heat exchanger, wherein a flat plate portion each having a pair of side edges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end edges facing each other and a junction portion extending on the side edge of the flat plate are alternately bent in a colgate shape,
상기 접합부는 열교환 매체가 유통되는 튜브에 접합되는 평탄면을 갖고,The joining portion has a flat surface joined to a tube through which a heat exchange medium flows,
상기 평판부는 상기 한 쌍의 측변이 배치되는 방향과 상기 한 쌍의 끝변이 배치되는 방향의 2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절단면에서 적어도 1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said flat plate par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1 concave part or convex part in arbitrary cutting surfaces in two direction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said pair of side edges are arrange | position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aid pair of edge sides are arrange | positioned.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평탄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2 발명).In 1s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surface of the said junction part is formed in planar shape (2nd invention).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의 평탄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3 발명).In 1s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surface of the said junction part is formed in curved shape (3rd invention).
제 1 발명?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제 4 발명).In 1st invention-3rd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said recessed parts or convex parts are formed (4th invention).
이어서, 제 5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는,Next,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fifth invention,
제 1 발명?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의한 콜게이트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corrugated fin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inventions.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
제 1 발명의 콜게이트 핀에 있어서는 한 쌍의 측변이 배치되는 방향과 한 쌍의 끝변이 배치되는 방향의 2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절단면에서 적어도 1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평판부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끝변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측변이 배치되는 방향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측변을 근접시키는 굽힘 작용과 한 쌍의 끝변을 근접시키는 굽힘 작용의 양쪽에 대해서 평판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corrugated fin of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at least one concave portion or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flat plate at any cut surface in two directions in a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side edges are arranged and in a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end edges are arranged. Thereby, the cross section coefficient of the cut surfac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end edges are arrange | positioned can be enlarged, and the cross section coefficient of the cut surface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a pair of side edges are arrange | positioned can be enlarged. For this reason, the rigidity of a flat plate part can be improved with respect to both the bending action which approaches a pair of side edges, and the bending action which approaches a pair of edge edges.
또한, 접합부에는 평판부에 형성되는 것과 같은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평판부와 접합부 사이에 있어서 강성의 차를 크게 가지게 할 수 있어 평판부와 접합부의 경계 부분에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절곡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ave portion or the convex portion which is formed in the flat plate portion is not formed in the junction part. This makes it possible to have a large difference in rigidity between the flat plate portion and the bonded portion, and can be easily and surely bent at the boundary between the flat plate portion and the bonded portion.
제 1 발명의 콜게이트 핀에 의하면 콜게이트 핀의 제작시에 예기치 않은 개소에 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콜게이트 핀의 형상 치수의 오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rrugated fin of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occurrence of bending at an unexpected point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corrugated fin, and to reduce the error in the shape dimension of the corrugated fin.
또한, 제 2 발명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튜브에 대한 접합 면적이나 열적 접촉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콜게이트 핀과 튜브를 보다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콜게이트 핀에 의한 방열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adop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invention, the joining area and the thermal contact area with respect to the tube can be large. Therefore, the colgate fin and the tube can be more firmly bonded, and the heat dissipation effect by the colgate fin can be further enhanced.
또한, 제 3 발명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절곡 부분의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ress concentration of the bent portion can be avoided by adop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hird invention.
또한, 제 4 발명의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평판부의 강성을 보다 확실히 높일 수 있고, 평판부와 접합부의 경계 부분에서 보다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절곡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adop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rigidity of the flat plate portion can be increased more reliably, and it is possible to bend more easily and surely at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flat plate portion and the junction portion.
제 5 발명의 열교환기에 의하면 제품 정밀도가 높아지고, 그 제작이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heat exchanger of 5th invention, there exists an effect that product precision becomes high and its manufacture becomes easy.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라디에이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X부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Y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평판부의 구조 설명도(a), (a)의 A-A선 단면도(b), (a)의 B-B선 단면도(c), 및 (a)의 B'-B'선 단면도(d),
도 4는 도 2의 Z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요부 확대도,
도 5는 콜게이트 핀의 제조 방법 설명도(a), 콜게이트 성형 전 상태도(b) 및 콜게이트 성형 후 상태도(c), 및 평탄면의 형상 설명도에서 평면 형상의 예시도(d) 및 곡면 형상의 예시도(e),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콜게이트 핀의 변형예의 설명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콜게이트 핀의 평판부의 구조 설명도(a), (a)의 C-C선 단면도(b), (a)의 D-D선 단면도(c), 및 (a)의 D'-D'선 단면도(d),
도 8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콜게이트 핀의 평판부의 구조 설명도(a), (a)의 E-E선 단면도(b), (a)의 F-F선 단면도(c), 및 (a)의 F'-F'선 단면도(d),
도 9는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콜게이트 핀의 평판부의 구조 설명도(a), (a)의 G-G선 단면도(b), 및 (a)의 H-H선 단면도(c),
도 10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콜게이트 핀의 평판부의 구조 설명도(a), (a)의 I-I선 단면도(b), 및 (a)의 J-J선 단면도(c),
도 11은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콜게이트 핀의 평판부의 구조 설명도(a), (a)의 K-K선 단면도(b), 및 (a)의 L-L선 단면도(c),
도 12는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콜게이트 핀의 평판부의 구조 설명도(a), (a)의 M-M선 단면도(b), (a)의 M'-M'선 단면도(c), (a)의 N-N선 단면도(d), 및 (a)의 N'-N'선 단면도(e),
도 13은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콜게이트 핀의 평판부의 구조 설명도(a), (a)의 Q-Q선 단면도(b), 및 (a)의 R-R선 단면도(c),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radia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part X of FIG. 1;
FIG. 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flat plate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Y arrow of FIG. 2 (a), AA cross-sectional view (b) of (a), BB cross-sectional view (c) of (a), and B'- of (a) B 'line cross section (d),
4 is an enlarged view of main part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Z arrow of FIG. 2;
5 is an explanatory view (d) of a planar shape in a manufacturing method explanatory diagram (a), a pre-colgate state diagram (b) and a post-colgate state diagram (c), and a planar shape explanatory diagram (d) ) And an example of curved surface (e),
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modification of the colgate p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7 is a structural explanatory diagram of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corrugated fi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 CC cross-sectional view (b) of (a), DD line cross-sectional view (c) of (a), and D of (a). '-D' line cross section (d),
Fig. 8 is a structural explanatory diagram of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corrugated fi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 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E-E line (b) in (a), and FF line sectional views (c) in (a), and (a). F'-F 'line cross section of (d),
9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ructure of a flat plate portion of a corrugated fin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a),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GG of (a),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HH of (a),
Fig. 10 is a structural explanatory diagram of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corrugated fi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a), II cross-sectional view (b) of (a), and JJ cross-sectional view (c) of (a),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structure of a flat plate portion of a corrugated fin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a),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KB of (a),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LL of (a),
12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corrugated fin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a), MM line sectional view (b), and (M) line sectional view (c), (a) NN line cross section (d) of (), and N'-N 'line cross section (e) of (a),
Fig. 13 is a structural explanatory diagram of the flat plate portion of the corrugated fin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a), a sectional view of the QQ line (b) of (a), and a RR line sectional view (c) of (a),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콜게이트 핀 및 그것을 구비하는 열교환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예컨대 유압 셔블이나 불도저 등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 룸 내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에 본 발명이 적용된 예를 설명하지만 라디에이터와 기본 구조가 동일한 오일 쿨러나 에프터 쿨러 등의 열교환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Next, specific embodiments of the colgate fin and the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adiator installed in an engine room in a work vehicle such as a hydraulic excavator or bulldozer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ed to a heat exchanger such as an oil cooler or an aftercooler having the same basic structure as the radiator. Needless to say, you can do it.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콜게이트 핀을 구비한 라디에이터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show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radiator having a corrugated fi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라디에이터의 개략 구조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chematic structure of the radiator>
도 1에 도시되는 라디에이터(1)는 상기 라디에이터(1)와 도시되지 않은 엔진 사이에서 순환되는 엔진 냉각수(열교환 매체)가 엔진으로부터 얻은 열을 방산시키는 장치이다.The
이 라디에이터(1)는 주로 상측 탱크(2)와, 하측 탱크(3)와, 튜브(4)와, 콜게이트 핀(5)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This
상측 탱크(2)와 하측 탱크(3)는 복수의 튜브(4)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엔진으로부터 송출된 엔진 냉각수를 일단 상측 탱크(2)에 저장하고, 복수의 튜브(4)를 통해서 하측 탱크(3)에 모아진 후 엔진에 환류할 수 있다.The
또한, 튜브(4)와 콜게이트 핀(5)을 교대로 적층해서 라디에이터 코어(6)가 조립된다.In addition, the
<튜브의 설명><Description of the tube>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튜브(4)는 엔진 냉각수의 유통로(4a)를 내부에 갖는 편평관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튜브(4)는 라디에이터(1)의 폭방향(RW)으로 소정의 피치(Pa)로 라디에이터(1)의 깊이 방향(RD)으로 소정 간극(S)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있다.A plurality of
<콜게이트 핀의 개략 설명><Summary of Colgate Pin>
콜게이트 핀(5)은 라디에이터(1)의 폭방향(RW)으로 서로 인접하는 튜브(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콜게이트 핀(5)은 평판부(5a)와 접합부(5b)가 교대로 콜게이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평판부의 개략 설명><Schematic explanation of the flat plate part>
평판부(5a)는 라디에이터(1)의 폭방향(RW)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변(11, 11')과 라디에이터(1)의 깊이 방향(RD)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끝변(12, 12')을 갖는 직사각형상의 판부이다.The
<평판부의 홈 형상 오목부의 설명><Description of the groove-shaped recess of the flat plate part>
도 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의 표면에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으로 소정의 피치(Pb)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A,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at a predetermined pitch Pb in a direction FD in which a pair of end edges 12, 12 'are arranged on the surface of the
홈 형상 오목부(13)는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일측의 측변(11)으로부터 타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groove-shaped
서로 인접하는 홈 형상 오목부(13)에 있어서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서 보았을 때 서로 인접하는 홈 형상 오목부(13)의 일부가 겹치도록 홈 형상 오목부(13)의 배치의 피치(Pb)나 경사 각도, 홈 형상 오목부(13)의 길이나 폭의 크기 등이 정해져 있다.In the groove-shaped
또한, 평판부(5a)의 표면에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를 형성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홈 형상 오목부(13) 사이의 부위는 상대적으로 줄무늬 형상 볼록부(14)가 된다. 또한, 평판부(5a)의 이면에는 평판부(5a)의 표면에 홈 형상 오목부(13)를 형성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그 홈 형상 오목부(13)에 대응하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15)[도 3(b), 3(c) 참조]가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plurality of groove-shaped
<평판부의 임의의 절단면의 요철부의 설명><Description of the irregularities of any cut surface of the flat plate portion>
도 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16)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줄무늬 형상 볼록부(14, 15)에 의한 복수의 볼록부(17, 18)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3 (b), the
또한, 도 3(c), 3(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홈 형상 오목부(13)에 의한 오목부(16)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줄무늬 형상 볼록부(14, 15)에 의한 볼록부(17, 18)를 갖게 된다. 또한,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의 B-B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13)에 의한 1개의 오목부(16)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15)에 의한 1개의 볼록부(18)가 존재하지만 도 3(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B'-B'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13)에 의한 2개의 오목부(16)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15)에 의한 2개의 볼록부(18)가 존재한다.3 (c) and 3 (d), the
<접합부의 개략 설명><Schematic explanation of the junction part>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합부(5b)는 평판부(5a)와 직각을 이루고, 평판부(5a)보다 좁은 직사각형상의 판부이며, 튜브(4)에 접합되는 평탄면(20)을 갖고 있다. 이 평탄면(20)은 튜브(4)의 표면(21)과 평행을 이루는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joining
여기서, 평탄면(20)은 기복(起伏)이 전혀 없어서 완전하게 평탄한 면이라는 개념과, 평판부(5a)에 홈 형상 오목부(13)를 형성하기 위한 홈 성형 가공시에 불가피하게 그 홈 형상 오목부(13)에 비해서 무시될 수 있을 정도의 매우 얕은 홈(가공 잔사)이 있는 대략 평탄한 면이라는 개념의 양쪽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이다.Here, the
<콜게이트 핀과 튜브의 접합의 설명><Description of Bonding of Colgate Pins and Tubes>
콜게이트 핀(5)과 튜브(4)는 접합부(5b)의 평탄면(20)과 튜브(4)의 표면(21) 사이에 개재되는 납땜재(22)를 사용한 납땜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The
접합부(5b)의 평탄면(20)은 평면 형상이므로 평탄면(20)이 곡면 형상이나 각면(角面) 형상의 경우보다 튜브(4)에 대한 접합 면적이나 열적 접촉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Since the
접합부(5b)의 평탄면(20)과 튜브(4)의 표면(21)의 접합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콜게이트 핀(5)과 튜브(4)를 보다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Since the joint area of the
접합부(5b)의 평탄면(20)과 튜브(4)의 표면(21)의 열적 접촉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튜브(4) 내를 흐르는 엔진 냉각수의 열을 튜브(4)로부터 콜게이트 핀(5)으로 효율적으로 전도시킬 수 있고, 콜게이트 핀(5)에 의한 방열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Since the thermal contact area between the
<콜게이트 핀의 제조 방법의 설명><Description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rrugated pin>
이어서, 콜게이트 핀(5)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도 5(a)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콜게이트 핀(5)의 제조 방법은 홈 성형 공정과 콜게이트 성형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홈 성형 공정의 설명><Description of Groove Forming Process>
홈 성형 공정은 박판 코일(30)로부터 인출되는 콜게이트 핀 재료의 띠형상 박판(30a)을 한 쌍의 제 1 롤(31, 31') 사이를 통과해서 그 판면에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를 형성하는 공정이다.In the groove forming step, the strip-shaped
한 쌍의 제 1 롤(31, 31')에 있어서 각각의 외주면에는 띠형상 박판(30a)에 부착해야 할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에 대응하는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롤(31, 31')이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한 쌍의 제 1 롤(31, 31') 사이에 띠형상 박판(30a)이 끼워지므로 하류측으로 송출된다. 이 때, 일측의 제 1 롤(31)에 있어서의 오목부와 타측의 제 1 롤(31')에 있어서의 볼록부 사이에 띠형상 박판(30a)이 끼워짐으로써 띠형상 박판(30a)의 판면에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가 부착되게 되어 있다.In the pair of
또한, 프레스 기계를 사용한 프레스 가공에 의해 띠형상 박판(30a)의 판면에 마찬가지인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를 부착할 수도 있다.Moreover, the some groove-like recessed
<콜게이트 성형 공정의 설명><Description of Colgate Forming Process>
콜게이트 성형 공정은 한 쌍의 제 1 롤(31, 31') 사이로부터 인출되는 띠형상 박판(30a)을 그들 제 1 롤(31, 31')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 2 롤(32, 32') 사이를 통과시킴으로써 평판부(5a)와 접합부(5b)가 교대로 콜게이트 형상으로 연속하도록 굴곡 형성되는 공정이다.The colgate forming process is a pair of second rolls in which the strip-shaped
한 쌍의 제 2 롤(32, 32')에 있어서 각각의 외주부에는 판면에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가 부착된 후의 띠형상 박판(30a)을 콜게이트 형상으로 굴곡 성형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톱니가 서로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롤(32, 32')이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한 쌍의 제 2 롤(32, 32') 사이에 띠형상 박판(30a)이 끼워지면서 하류측으로 송출된다. 이 때, 일측의 제 2 롤(32)에 있어서의 톱니와 톱니 사이와, 타측의 제 2 롤(32')에 있어서의 톱니와의 사이에 띠형상 박판(30a)이 끼워짐으로써 띠형상 박판(30a)이 콜게이트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게 되어 있다.In the pair of
또한, 콜게이트 성형이 실시되기 전의 띠형상 박판(30a)에는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와, 이들 홈 형상 오목부(13)가 부착됨으로써 형성되는 복수의 줄무늬 형상 볼록부(14)의 어느 요철부도 없는 부분(도면 중 기호 T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부분)이 있다. 그리고, 이 부분이 평탄면(20)을 갖는 접합부(5b)가 되도록 콜게이트 성형이 행해진다[도 5(c) 참조].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b), the plurality of groove-shaped
여기서, 평탄면(20)의 형상으로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면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5(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면 형상의 것도 포함된다. 평탄면(20)을 곡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굽힘 부분의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Here, as the shape of the
이렇게 해서, 콜게이트 성형 공정을 거쳐 얻어진 콜게이트 핀(5)은 서로 인접하는 튜브(4) 사이에 끼워지고, 납땜에 의해 그들 튜브(4)에 접합된다.In this way, the colgate pins 5 obtained through the colgate forming step are sandwiched between the
<제 1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의 설명><Description of Effects of the First Embodiment>
제 1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에 있어서는 도 3(b),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과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의 2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절단면에서 홈 형상 오목부(13)에 의한 오목부(16)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14, 15)에 의한 볼록부(17, 18)가 평판부(5a)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측변(11, 11')을 근접시키는 굽힘 작용과 한 쌍의 끝변(12, 12')을 근접시키는 굽힘 작용의 양쪽에 대해서 평판부(5a)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또한, 접합부(5b)에는 평판부(5a)에 형성되는 것과 같은 홈 형상 오목부(13)에 의한 오목부(16)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14, 15)에 의한 볼록부(17, 18)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평판부(5a)와 접합부(5b) 사이에 있어서 강성의 차를 크게 가지게 할 수 있어 평판부(5a)와 접합부(5b)의 경계 부분에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절곡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따라서, 콜게이트 핀(5)의 제작시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콜게이트 성형 공정시에 예기치 않은 개소에 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콜게이트 핀(5)의 형상 치수의 오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occurrence of bending at an unexpected point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제 1 실시형태의 라디에이터(1)에 있어서는 튜브(4)와 콜게이트 핀(5)을 교대로 적층해서 라디에이터 코어(6)가 조립된다. 콜게이트 핀(5)의 형상 치수의 오차가 작게 억제되므로 라디에이터 코어(6)에 휘어짐이 발생될 일이 없어 제품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콜게이트 핀(5)의 형상 치수의 오차의 수정 작업이나 오차끼리를 서로 상쇄하는 고도한 기능이 불필요하므로 그 제작도 용이한 것이 된다.In the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설명><Description of Modified Example of First Embodiment>
도 6(a)?6(f)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의 변형예에 의한 평판부(5a)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6 (a) to 6 (f) are plan views of the
제 1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에 있어서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과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의 2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절단면에서 홈 형상 오목부(13)에 의한 오목부(16)가 평판부(5a)에 적어도 1개 형성된다. 이 구성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하게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In the
예컨대, 도 6(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홈 형상 오목부(13) 대신에 그 홈 형상 오목부(13)보다 홈 폭이 큰 홈 형상 오목부(13A)를 채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instead of the groove-shaped
또한, 도 6(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홈 형상 오목부(13)의 배치의 피치를 Pb보다 작은 피치(Pc)로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B, the pitch of the arrangement of the groove-shaped
또한, 도 6(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홈 형상 오목부(13)의 배치의 피치를 다른 2종류 이상의 피치(Pd, Pe)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C, the pitch of the arrangement of the groove-shaped
또한, 도 6(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홈 폭의 크기가 다른 홈 형상 오목부(13, 13A)를 교대로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D, the groove-shaped
또한, 도 6(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홈 형상 오목부(13)에 상당하는 것을 그 홈 형상 오목부(13)보다 길이가 짧은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13B)를 서로 다르게 배치해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E, a plurality of groove-
또한, 홈 형상 오목부(13)는 평판부(5a)의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일측의 측변(11)으로부터 타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지만 이것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 즉 도 6(f)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의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타측의 측변(11')으로부터 일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홈 형상 오목부(13C)를 채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roove-shaped
[제 2 실시형태?제 8 실시형태][2nd Embodiment? 8th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제 8 실시형태에 의한 각각의 콜게이트 핀(5A?5G)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마찬가지인 것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부호를 부여해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하고, 이하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Next, each of the
<제 2 실시형태(도 7(a) 참조): 평판부의 홈 형상 오목부의 설명><2nd embodiment (refer FIG. 7 (a)): description of the groove-shaped recessed part of a flat plate part>
도 7(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A)에 있어서 평판부(5a)의 표면에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으로 소정의 피치(Pf)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A, in the
홈 형상 오목부(40)는 제 1 홈 형상 오목부(40a)와 제 2 홈 형상 오목부(40b)에 의해 구성되고, 평판부(5a)의 타측의 끝변(12')을 위로 했을 때의 평면으로 바라보아 그들 제 1 홈 형상 오목부(40a)와 제 2 홈 형상 오목부(40b)가 V자 형상으로 연속하는 형상의 오목부이다.The groove-shaped recessed
제 1 홈 형상 오목부(40a)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의 중앙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일측의 측변(11)으로부터 타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first groove-shaped
제 2 홈 형상 오목부(40b)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의 중앙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타측의 측변(11')으로부터 일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second groove-shaped
<제 2 실시형태(도 7(b), 7(c), 7(d)) 참조: 평판부의 임의의 절단면의 요철부의 설명><See 2nd Embodiment (FIG. 7 (b), 7 (c), 7 (d)): Description of the uneven | corrugated part of the arbitrary cut surfaces of a flat plate part>
도 7(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40)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41)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줄무늬 형상 볼록부(42, 43)에 의한 복수의 볼록부(44, 45)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7 (b), the
또한, 도 7(c), 7(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홈 형상 오목부(40)에 의한 오목부(41)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줄무늬 형상 볼록부(42, 43)에 의한 볼록부(44, 45)를 갖게 된다. 또한, 도 7(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의 D-D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40)에 의한 1개의 오목부(41)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43)에 의한 1개의 볼록부(45)가 존재하지만, 도 7(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D'-D'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40)에 의한 2개의 오목부(41)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43)에 의한 2개의 볼록부(45)가 존재한다.7 (c) and 7 (d), the
<제 3 실시형태(도 8(a) 참조): 평판부의 홈 형상 오목부의 설명><3rd embodiment (refer FIG. 8 (a)): description of the groove-shaped recessed part of a flat plate part>
도 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B)에 있어서 평판부(5a)의 표면에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으로 소정의 피치(Pg)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46)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A, in the
홈 형상 오목부(46)는 일측의 측변(11)과 타측의 측변(11') 사이에 있어서 일측의 끝변(12)측으로 팽출(膨出)하도록 원호 형상으로 구부러진 오목부이다.The groove-shaped
<제 3 실시형태(도 8(b), 8(c), 8(d) 참조): 평판부의 임의의 절단면의 요철부의 설명><3rd embodiment (refer FIG. 8 (b), 8 (c), 8 (d)): description of the uneven | corrugated part of arbitrary cut surfaces of a flat plate part>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46)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47)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줄무늬 형상 볼록부(48, 49)에 의한 복수의 볼록부(50, 51)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8 (b), the
또한, 도 8(c), 8(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홈 형상 오목부(46)에 의한 오목부(47)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줄무늬 형상 볼록부(48, 49)에 의한 볼록부(50, 51)를 갖게 된다. 또한, 도 8(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의 F-F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46)에 의한 1개의 오목부(47)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49)에 의한 1개의 볼록부(51)가 존재하지만, 도 8(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F'-F'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46)에 의한 2개의 오목부(47)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49)에 의한 2개의 볼록부(51)가 존재한다.Moreover, as shown to FIG.8 (c), 8 (d), groove shape in the arbitrary cutting surface in the direction FW in which the
<제 4 실시형태(도 9(a) 참조): 평판부의 홈 형상 오목부의 설명><4th embodiment (refer FIG. 9 (a)): description of the groove-shaped recessed part of a flat plate part>
도 9(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C)에 있어서 평판부(5a)의 표면에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으로 소정의 피치(Ph)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a), in the
홈 형상 오목부(52)는 제 1 홈 형상 오목부(52a)와 제 2 홈 형상 오목부(52b)와 제 3 홈 형상 오목부(52c)와 제 4 홈 형상 오목부(52d)에 의해 구성되고, 평판부(5a)의 타측의 끝변(12')을 위로 했을 때의 평면으로 바라보아 그들 제 1 홈 형상 오목부(52a)와 제 2 홈 형상 오목부(52b)와 제 3 홈 형상 오목부(52c)와 제 4 홈 형상 오목부(52d)가 W자 형상으로 연속하는 형상의 오목부이다.The groove-shaped
제 1 홈 형상 오목부(52a)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의 중앙 부분과 타측의 측변(11')의 중간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일측의 측변(11)으로부터 타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first groove-shaped
제 2 홈 형상 오목부(52b)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의 중앙 부분과 타측의 측변(11')의 중간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타측의 측변(11')으로부터 일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second groove-shaped
제 3 홈 형상 오목부(52c)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의 중앙 부분과 일측의 측변(11)의 중간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일측의 측변(11)으로부터 타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third groove-shaped
제 4 홈 형상 오목부(52d)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의 중앙 부분과 일측의 측변(11)의 중간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타측의 측변(11')으로부터 일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fourth groove-shaped
<제 4 실시형태(도 9(b), 9(c) 참조): 평판부의 임의의 절단면의 요철부의 설명><4th embodiment (refer FIG. 9 (b), 9 (c)): description of the uneven | corrugated part of arbitrary cut surfaces of a flat plate part>
도 9(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52)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53)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줄무늬 형상 볼록부(54, 55)에 의한 복수의 볼록부(56, 57)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9 (b), the
또한, 도 9(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홈 형상 오목부(52)에 의한 오목부(53)를 2개 이상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줄무늬 형상 볼록부(54, 55)에 의한 볼록부(56, 57)를 2개 이상 갖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C, the
<제 5 실시형태(도 10(a) 참조): 평판부의 홈 형상 오목부의 설명><Fifth Embodiment (see Fig. 10 (a)): Description of Grooved Concave of Flat Plate Part>
도 10(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D)에 있어서 평판부(5a)의 표면에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으로 소정의 피치(Pi)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58)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0 (a), in the
홈 형상 오목부(58)는 제 1 홈 형상 오목부(58a)와 제 2 홈 형상 오목부(58b)와 제 3 홈 형상 오목부(58c)와 제 4 홈 형상 오목부(58d)에 의해 구성되고, 평판부(5a)의 타측의 측변(11')을 위로 했을 때의 평면으로 바라보아 그들 제 1 홈 형상 오목부(58a)와 제 2 홈 형상 오목부(58b)와 제 3 홈 형상 오목부(58c)와 제 4 홈 형상 오목부(58d)가 M자 형상으로 연속하는 형상의 오목부이다.The groove-shaped
제 1 홈 형상 오목부(58a)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의 중앙 부분과 일측의 끝변(12)의 중간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타측의 끝변(12')으로부터 일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타측의 측변(11')으로부터 일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first groove-shaped
제 2 홈 형상 오목부(58b)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의 중앙 부분과 일측의 끝변(12)의 중간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타측의 측변(11')으로부터 일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second groove-shaped
제 3 홈 형상 오목부(58c)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의 중앙 부분과 타측의 끝변(12')의 중간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타측의 끝변(12')으로부터 일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타측의 측변(11')으로부터 일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third groove-shaped
제 4 홈 형상 오목부(58d)는 평판부(5a)의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의 중앙 부분과 타측의 끝변(12')의 중간 부분을 기점으로 해서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타측의 측변(11')으로부터 일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fourth groove-shaped
<제 5 실시형태(도 10(b), 10(c) 참조): 평판부의 임의의 절단면의 요철부의 설명><5th Embodiment (refer FIG. 10 (b), 10 (c)): description of the uneven | corrugated part of arbitrary cut surfaces of a flat plate part>
도 10(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홈 형상 오목부(58)에 의한 오목부(59)를 2개 이상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줄무늬 형상 볼록부(60, 61)에 의한 볼록부(62, 63)를 2개 이상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10 (b), the
또한, 도 10(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58)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59)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줄무늬 형상 볼록부(60, 61)에 의한 복수의 볼록부(62, 63)를 갖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c), the
<제 6 실시형태(도 11(a) 참조): 평판부의 홈 형상 오목부의 설명><6th embodiment (refer FIG. 11 (a)): description of the groove-shaped recessed part of a flat plate part>
도 1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6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E)에 있어서 평판부(5a)의 표면에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으로 소정의 피치(Pj)로 등간격으로 복수의 제 1 홈 형상 오목부(64) 및 제 2 홈 형상 오목부(6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A, in the
제 1 홈 형상 오목부(64)는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일측의 측변(11)으로부터 타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As the first groove-shaped
제 2 홈 형상 오목부(65)는 일측의 끝변(12)으로부터 타측의 끝변(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타측의 측변(11')으로부터 일측의 측변(11)을 향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As the second groove-shaped
복수의 제 1 홈 형상 오목부(64)와 복수의 제 2 홈 형상 오목부(65)는 서로 교차해서 전체로서 메시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제 6 실시형태(도 11(b), 11(c) 참조): 평판부의 임의의 절단면의 요철부의 설명><6th Embodiment (refer FIG. 11 (b), 11 (c)): description of the uneven | corrugated part of arbitrary cut surfaces of a flat plate part>
도 1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64, 65)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66)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줄무늬 형상 볼록부(67, 68)에 의한 복수의 볼록부(69, 70)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11 (b), the
또한, 도 11(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홈 형상 오목부(64, 65)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66)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줄무늬 형상 볼록부(67, 68)에 의한 복수의 볼록부(69, 70)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11C, the
<제 7 실시형태(도 12(a) 참조): 평판부의 홈 형상 오목부의 설명><7th embodiment (refer FIG. 12 (a)): description of the groove-shaped recessed part of a flat plate part>
도 1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F)에 있어서 평판부(5a)의 표면에는 제 1 홈 형상 오목부(71)와 제 2 홈 형상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2A, in the
제 1 홈 형상 오목부(71)는 일측의 측변(11)과 일측의 끝변(12)과 교차하는 코너부와 타측의 측변(11')과 타측의 끝변(12')과 교차하는 코너부 사이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first groove-shaped
제 2 홈 형상 오목부(72)는 타측의 측변(11')과 일측의 끝변(12)과 교차하는 코너부와 일측의 측변(11)과 타측의 끝변(12')과 교차하는 코너부 사이에 있어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오목부이다.The second groove-shaped
제 1 홈 형상 오목부(71)와 제 2 홈 형상 오목부(72)는 서로 교차해서 X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The 1st groove-shaped recessed
<제 7 실시형태(도 12(b), 12(c), 12(d), 12(e) 참조): 평판부의 임의의 절단면의 요철부의 설명><7th Embodiment (refer FIG. 12 (b), 12 (c), 12 (d), 12 (e)): description of the uneven | corrugated part of arbitrary cut surfaces of a flat plate part>
도 12(b), 1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홈 형상 오목부(71, 72)에 의한 오목부(73, 74)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줄무늬 형상 볼록부(75, 76)에 의한 볼록부(77, 78)를 갖게 된다. 또한, 도 1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의 M-M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71(72)]에 의한 1개의 오목부[73(74)]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75(76)]에 의한 1개의 볼록부[77(78)]가 존재하지만 도 12(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M'-M'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71(72)]에 의한 2개의 오목부[73(74)]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75(76)]에 의한 2개의 볼록부[77(78)]가 존재한다.As shown in Figs. 12 (b) and 12 (c), the
또한, 도 12(d), 12(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홈 형상 오목부(71, 72)에 의한 오목부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줄무늬 형상 볼록부(75, 76)에 의한 볼록부(77, 78)를 갖게 된다. 또한, 도 12(d)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의 N-N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71(72)]에 의한 1개의 오목부[73(74)]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75(76)]에 의한 1개의 볼록부[77(78)]가 존재하지만 도 12(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N'-N'선 단면에 있어서는 홈 형상 오목부[71(72)]에 의한 2개의 오목부[73(74)]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75(76)]에 의한 2개의 볼록부[77(78)]가 존재한다.12 (d) and 12 (e), the
<제 8 실시형태(도 13(a) 참조): 평판부의 홈 형상 오목부의 설명><Eighth Embodiment (see FIG. 13 (a)): Description of Grooved Concave in Flat Plate Part>
도 13(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8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G)에 있어서 평판부(5a)의 표면에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 및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 각각에 있어서 서로 다르게 배치되도록 복수의 반구상 오목부(79)가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3A, in the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으로 서로 인접하는 반구상 오목부(79)에 있어서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으로 보았을 때 서로 인접하는 반구상 오목부(79)의 일부가 겹치도록 반구상 오목부(79)의 배치의 피치(Pk)나 직경의 크기 등이 정해져 있다.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FW in which the pair of side edges 11, 11 'are arranged in the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으로 서로 인접하는 반구상 오목부(79)에 있어서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으로 보았을 때 서로 인접하는 반구상 오목부(79)의 일부가 겹치도록 반구상 오목부(79)의 배치의 피치(Pm)나 직경의 크기 등이 정해져 있다.When viewed from the direction FD in which the pair of end edges 12, 12 'are arranged in the
<제 8 실시형태(도 13(b), 도 13(c) 참조): 평판부의 임의의 절단면의 요철부의 설명><Eighth Embodiment (refer FIG. 13 (b), FIG. 13 (c)): Description of the uneven | corrugated part of arbitrary cut surfaces of a flat plate part>
도 1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반구상 오목부(79)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80)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반구상 볼록부(81)에 의한 복수의 볼록부(82)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13 (b), the
또한, 도 1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반구상 오목부(79)에 의한 복수의 오목부(80)를 갖게 된다. 바꿔 말하면, 평판부(5a)는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에 있어서의 임의의 절단면에 있어서 복수의 반구상 볼록부(81)에 의한 복수의 볼록부(82)를 갖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3 (c), the
<제 2 실시형태?제 8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의 설명><Description of the effect of 2nd embodiment? 8th embodiment>
제 2 실시형태?제 8 실시형태 중 어느 콜게이트 핀(5A?5G)에 있어서도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과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의 2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절단면에서 적어도 1개의 홈 형상 오목부(40, 46, 52, 58, 64, 65, 71, 72)에 의한 오목부(41, 47, 53, 59, 66, 73, 74) 또는 줄무늬 형상 볼록부(42, 43, 48, 49, 54, 55, 60, 61, 67, 68, 75, 76)에 의한 볼록부(44, 45, 50, 51, 56, 57, 62, 63, 69, 70, 77, 78), 또는 반구상 오목부(79)에 의한 오목부(80) 또는 반구상 볼록부(81)에 의한 볼록부(82)가 평판부(5a)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끝변(12, 12')이 배치되는 방향(FD)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한 쌍의 측변(11, 11')이 배치되는 방향(FW)을 따른 절단면의 단면 계수를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제 8 실시형태 중 어느 콜게이트 핀(5A?5G)에 의해서도 제 1 실시형태의 콜게이트 핀(5)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콜게이트 핀(5A?5G)을 구비하는 라디에이터는 제 1 실시형태의 라디에이터(1)와 마찬가지로 제품 정밀도가 높아지고, 그 제작도 용이한 것이 된다.Also in any of the colgate pins 5A to 5G in the second to eighth embodiments, the direction FW in which the pair of side edges 11 and 11 'are disposed and the pair of end edges 12 and 12' are arranged.
이상, 본 발명의 콜게이트 핀 및 그것을 구비하는 열교환기에 대해서 복수의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의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구성을 적절하게 조합시키는 등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하게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lgate fin of this invention and the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the same were demonstrated based on some embodiment and modifica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described in the said embodiment and modification, Each embodiment and a modification The structure can be changed suitably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meaning, such as combining suitably the structure described in the example.
<산업상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콜게이트 핀 및 그것을 구비하는 열교환기는 제작시에 예기치 않은 개소에 구부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품 정밀도의 향상과 제작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나 오일 쿨러, 에프터 쿨러 등의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corrugated fi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heat exchanger having the same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bending at an unexpected point during fabrication, thereby improving product precision and facilitating fabrication. Therefore, it can be used suitably for applications such as a radiator, an oil cooler and an after cooler.
1 : 라디에이터(열교환기) 4 : 튜브
5, 5A, 5B, 5C, 5D, 5E, 5F, 5G : 콜게이트 핀
5a : 평판부 5b : 접합부
11, 11' : 측변 12, 12' : 끝변
13 : 홈 형상 오목부(제 1 실시형태)
13A : 홈 형상 오목부(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3B : 홈 형상 오목부(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15 : 홈 형상 볼록부(제 1 실시형태)
16 : 오목부(제 1 실시형태)
17, 18 : 볼록부(제 1 실시형태)
20 : 평탄면
40 : 홈 형상 오목부(제 2 실시형태)
41 : 오목부(제 2 실시형태)
42, 43 : 줄무늬 형상 볼록부(제 2 실시형태)
44, 45 : 볼록부(제 2 실시형태)
46 : 홈 형상 오목부(제 3 실시형태)
47 : 오목부(제 3 실시형태)
49, 48 : 줄무늬 형상 볼록부(제 3 실시형태)
50, 51 : 볼록부(제 3 실시형태)
52 : 홈 형상 오목부(제 4 실시형태)
53 : 오목부(제 4 실시형태)
54, 55 : 줄무늬 형상 볼록부(제 4 실시형태)
56, 57 : 볼록부(제 4 실시형태)
58 : 홈 형상 오목부(제 5 실시형태)
59 : 오목부(제 5 실시형태)
60, 61 : 줄무늬 형상 볼록부(제 5 실시형태)
62, 63 : 볼록부(제 5 실시형태)
64, 65 : 홈 형상 오목부(제 6 실시형태)
66 : 오목부(제 6 실시형태)
67, 68 : 줄무늬 형상 볼록부(제 6 실시형태)
69, 70 : 볼록부(제 6 실시형태)
71, 72 : 줄무늬 형상 오목부(제 7 실시형태)
73, 74 : 오목부(제 7 실시형태)
75, 76 : 줄무늬 형상 볼록부(제 7 실시형태)
77, 78 : 볼록부(제 7 실시형태)
79 : 반구상 오목부(제 8 실시형태)
80 : 오목부(제 8 실시형태)
81 : 반구상 볼록부(제 8 실시형태)
82 : 볼록부(제 8 실시형태)1: radiator (heat exchanger) 4: tube
5, 5A, 5B, 5C, 5D, 5E, 5F, 5G: Colgate pin
5a:
11, 11 ':
13: groove-shaped recessed part (1st embodiment)
13A: Groove-shaped recess (Modification of First Embodiment)
13B: Groove-shaped recess (Modification of First Embodiment)
15: groove-shaped convex part (1st embodiment)
16: recessed part (1st Embodiment)
17, 18: convex part (1st embodiment)
20: flat surface
40: groove-shaped recessed part (2nd embodiment)
41: recessed portion (second embodiment)
42, 43: striped convex portion (second embodiment)
44, 45: convex part (2nd embodiment)
46: groove-shaped recess (third embodiment)
47: recessed portion (third embodiment)
49, 48: stripe-shaped convex part (3rd embodiment)
50, 51: convex part (3rd embodiment)
52: groove-shaped recess (fourth embodiment)
53: recessed portion (fourth embodiment)
54, 55: stripe convex portion (fourth embodiment)
56, 57: convex part (4th embodiment)
58: groove-shaped recess (5th embodiment)
59: recessed part (5th embodiment)
60, 61: stripe-shaped convex part (5th embodiment)
62, 63: convex portions (5th embodiment)
64, 65: groove-shaped recessed part (sixth embodiment)
66: recessed portion (sixth embodiment)
67 and 68: striped convex portions (sixth embodiment)
69 and 70: convex portions (sixth embodiment)
71 and 72: stripe-shaped recessed part (7th Embodiment)
73, 74: recessed part (7th embodiment)
75, 76: stripe-shaped convex part (7th Embodiment)
77, 78: convex part (7th embodiment)
79: hemispherical recess (eighth embodiment)
80: recess (eighth embodiment)
81: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eighth embodiment)
82: convex portion (eighth embodiment)
Claims (5)
상기 접합부는 열교환 매체가 유통되는 튜브에 접합되는 평탄면을 갖고,
상기 평판부는 상기 한 쌍의 측변이 배치되는 방향과 상기 한 쌍의 끝변이 배치되는 방향의 2방향에 있어서 임의의 절단면에서 적어도 1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 핀.In a colgate fin for a heat exchanger, wherein a flat plate portion each having a pair of side edges facing each other and a pair of end edges facing each other and a joint extending from the side edge of the flat plate are alternately bent in a colgate shape:
The joining portion has a flat surface joined to a tube through which a heat exchange medium flows,
And said flat plate portion has at least one concave portion or convex portion at an arbitrary cutting surface in two directions in a direction in which said pair of side edges are arranged and in a direction in which said pair of end edges are arranged.
상기 접합부의 평탄면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 핀.The method of claim 1,
Colgate pin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surface of the junction is formed in a planar shape.
상기 접합부의 평탄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 핀.The method of claim 1,
Colgate pin,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t surface of the junction portion is formed in a curved shape.
상기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게이트 핀.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lgate fins, characterized in that two or more concave portions or convex portions are form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40282 | 2010-02-25 | ||
JP2010040282A JP5156773B2 (en) | 2010-02-25 | 2010-02-25 |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the same |
PCT/JP2011/053840 WO2011105369A1 (en) | 2010-02-25 | 2011-02-22 |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with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8876A true KR20120088876A (en) | 2012-08-08 |
KR101343888B1 KR101343888B1 (en) | 2013-12-20 |
Family
ID=4450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7021A Active KR101343888B1 (en) | 2010-02-25 | 2011-02-22 |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with same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2) | US20120318485A1 (en) |
JP (1) | JP5156773B2 (en) |
KR (1) | KR101343888B1 (en) |
CN (1) | CN102770735B (en) |
DE (1) | DE112011100691T5 (en) |
SE (1) | SE537136C2 (en) |
WO (1) | WO2011105369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16759B1 (en) * | 2007-01-25 | 2012-03-14 | 고쿠리츠다이가쿠호우진 도쿄다이가쿠 | Heat exchanger |
US9376960B2 (en) * | 2010-07-23 | 2016-06-28 |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 Heat transfer augmented fluid flow surfaces |
JP6206975B2 (en) * | 2012-11-15 | 2017-10-04 |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 Heat exchanger |
JP6206976B2 (en) * | 2012-11-15 | 2017-10-04 |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 Heat exchanger |
ITTO20130055A1 (en) * | 2013-01-23 | 2014-07-24 | Denso Thermal Systems Spa | FIN STRUCTURE FOR HEAT EXCHANGER FOR AUTOMOTIVE APPLICATIONS, IN PARTICULAR FOR AGRICULTURAL AND CONSTRUCTION MACHINES. |
DE102013108357A1 (en) * | 2013-08-02 | 2015-02-05 | Dbk David + Baader Gmbh | Slat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lat element |
US20150198385A1 (en) * | 2014-01-13 | 2015-07-16 | Deere & Company | Cross Flow Heat Exchanger |
JP6225042B2 (en) * | 2014-02-14 | 2017-11-01 | 住友精密工業株式会社 | Plate fin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rrugated fin for heat exchanger |
CN106716041B (en) * | 2014-09-19 | 2019-02-15 | 株式会社T.Rad | Corrugated fins for heat exchangers |
KR20160103316A (en) | 2015-02-24 | 2016-09-01 | 전준태 | Breaker |
KR20160103267A (en) | 2015-02-24 | 2016-09-01 | 전준태 | Control valve for breaker |
RU2724090C2 (en) * | 2016-02-04 | 2020-06-19 | Эвапко, Инк. | Swept finning of heat exchange pipeline |
EP3411649B1 (en) * | 2016-02-04 | 2021-10-13 | Evapco, Inc. | Arrowhead fin for heat exchange tubing |
WO2018008134A1 (en) * | 2016-07-07 | 2018-01-11 | 三菱電機株式会社 | Heat exchanger |
JP6764765B2 (en) * | 2016-11-14 | 2020-10-07 | 株式会社Uacj | Heat transfer member |
JP6940270B2 (en) * | 2016-11-22 | 2021-09-22 |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Heat exchanger |
WO2018230430A1 (en) * | 2017-06-12 | 2018-12-20 | 株式会社デンソー | Heat exchanger and corrugated fin |
JP7569524B2 (en) | 2019-07-26 | 2024-10-18 | 株式会社アタゴ製作所 | Heat exchange promotion member and heat exchanger |
JP7263970B2 (en) * | 2019-08-06 | 2023-04-25 | 株式会社デンソー | Heat exchanger |
CN112414199B (en) * | 2020-11-24 | 2021-12-03 | 浙江银轮机械股份有限公司 | Heat dissipation fin construc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and heat dissipation fin |
FR3127561B1 (en) * | 2021-09-27 | 2023-10-27 | Air Liquide | Exchanger comprising at least one heat exchange structure with a ribbed surface |
EP4257911B1 (en) | 2022-04-06 | 2025-06-11 | Volvo Car Corporation | Heat exchange module |
JP2024079188A (en) * | 2022-11-30 | 2024-06-11 | 東京ラヂエーター製造株式会社 | Heat exchanger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1027366A (en) * | 1962-11-24 | 1966-04-27 | Svenska Metallverken Ab | An improved radiator and method of making it |
US3515207A (en) * | 1968-07-17 | 1970-06-02 | Perfex Corp | Fin configuration for fin and tube heat exchanger |
US4328861A (en) * | 1979-06-21 | 1982-05-11 | Borg-Warner Corporation | Louvred fins for heat exchangers |
JPS5730585U (en) * | 1980-07-28 | 1982-02-17 | ||
JPS6239180U (en) * | 1985-08-26 | 1987-03-09 | ||
JPS62255791A (en) * | 1986-04-30 | 1987-11-07 | Matsushita Refrig Co | Heat exchanger |
JPS6314092A (en) * | 1986-07-03 | 1988-01-21 | Nippon Denso Co Ltd | Heat exchanger |
JPH0531424Y2 (en) * | 1987-04-23 | 1993-08-12 | ||
JPH01179893A (en) * | 1988-01-06 | 1989-07-17 | Komatsu Ltd | Heat exchanger |
EP0338704B1 (en) * | 1988-04-13 | 1994-01-26 | Mitsubishi Aluminum Kabushiki Kaisha | Heat exchanger core |
US5372187A (en) * | 1993-05-24 | 1994-12-13 | Robinson Fin Machines, Inc. | Dual corrugated fin material |
BR9505782A (en) * | 1994-03-03 | 1996-03-05 | Gea Luftkuehler Happel Gmbh | Ribbed tube heat exchanger |
JPH09155487A (en) | 1995-12-11 | 1997-06-17 | Denso Corp | Method for molding corrugated fin for heat exchanger |
JP3942210B2 (en) * | 1996-04-16 | 2007-07-11 | 昭和電工株式会社 | Heat exchanger, room air conditioner and car air conditioner using this heat exchanger |
JP2001050678A (en) * | 1999-08-09 | 2001-02-23 | Tokyo Radiator Mfg Co Ltd | Heat exchanger |
JP4041654B2 (en) | 2001-01-31 | 2008-01-30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Louver fin of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thereof,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louver fin |
FR2834783B1 (en) * | 2002-01-17 | 2004-06-11 | Air Liquide | THERMAL EXCHANGE FIN,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CORRESPONDING HEAT EXCHANGER |
JP2003294382A (en) * | 2002-04-04 | 2003-10-15 | Toyo Radiator Co Ltd | Heat exchanger |
DE10218912A1 (en) * | 2002-04-27 | 2003-11-06 | Modine Mfg Co | Corrugated heat exchanger body |
CN2567933Y (en) * | 2002-07-30 | 2003-08-20 | 林泓溢 | Accelerating cooling structure of radiator |
CN101040163A (en) * | 2004-10-13 | 2007-09-19 | 昭和电工株式会社 | Evaporator |
JP4483536B2 (en) * | 2004-11-10 | 2010-06-16 | 株式会社デンソー | Heat exchanger |
JP2007024349A (en) * | 2005-07-13 | 2007-02-01 | Denso Corp | Heat exchanger |
EP1912034B1 (en) * | 2005-07-29 | 2012-05-02 | The University of Tokyo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and air property converter that use the same |
JP2007232356A (en) * | 2006-02-01 | 2007-09-13 | Calsonic Kansei Corp | Heat exchanger for vehicle |
JP2007232246A (en) * | 2006-02-28 | 2007-09-13 | Denso Corp | Heat exchanger |
US20070246202A1 (en) * | 2006-04-25 | 2007-10-25 | Yu Wen F | Louvered fin for heat exchanger |
JP2008145024A (en) * | 2006-12-07 | 2008-06-26 |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 Manufacturing method of flat heat transfer tube, flat heat transfer tube obtained by method, and gas cooling device incorporating flat heat transfer tube |
US7475719B2 (en) * | 2006-12-14 | 2009-01-13 | Evapco, Inc. | High-frequency, low-amplitude corrugated fin for a heat exchanger coil assembly |
JP2008286446A (en) * | 2007-05-16 | 2008-11-27 | Denso Corp | Heat transfer member and heat exchanger using the same |
JP2009150621A (en) * | 2007-12-21 | 2009-07-09 | Toshiba Carrier Corp |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
-
2010
- 2010-02-25 JP JP2010040282A patent/JP5156773B2/en active Active
-
2011
- 2011-02-22 CN CN201180010592.XA patent/CN102770735B/en active Active
- 2011-02-22 DE DE112011100691T patent/DE112011100691T5/en active Pending
- 2011-02-22 SE SE1250928A patent/SE537136C2/en unknown
- 2011-02-22 KR KR1020127017021A patent/KR101343888B1/en active Active
- 2011-02-22 WO PCT/JP2011/053840 patent/WO201110536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2-22 US US13/580,342 patent/US20120318485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6
- 2016-07-21 US US15/216,299 patent/US20160327348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770735A (en) | 2012-11-07 |
DE112011100691T5 (en) | 2013-01-17 |
KR101343888B1 (en) | 2013-12-20 |
SE537136C2 (en) | 2015-02-10 |
SE1250928A1 (en) | 2012-11-12 |
US20120318485A1 (en) | 2012-12-20 |
US20160327348A1 (en) | 2016-11-10 |
WO2011105369A1 (en) | 2011-09-01 |
JP2011174676A (en) | 2011-09-08 |
JP5156773B2 (en) | 2013-03-06 |
CN102770735B (en) | 2016-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43888B1 (en) |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with same | |
WO2014013725A1 (en) | Heat exchanger | |
US20080000626A1 (en) | Heat exchanger | |
US20120037349A1 (en) | Heat exchange element | |
JP2015017776A5 (en) | ||
JP4493407B2 (en) | Laminated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19002588A (en) | Heat exchanger and corrugated fin | |
WO2014129176A1 (en) | Catalytic rea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talytic reactor | |
US10281222B2 (en) | Heat exchanger | |
JP5694282B2 (en) |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the same | |
JP6119263B2 (en) | Heat exchanger | |
JP5764116B2 (en) | Heat exchanger | |
JP2015180852A (en) |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provided with the same | |
JP2012198023A (en) |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 |
JP2013119959A (en) | Offset f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4827909B2 (en) | Plate heat exchanger | |
WO2014115534A1 (en) | Catalytic reactor | |
JP2014142180A (en) | Corrugated fin and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ame | |
US20130048261A1 (en) | Heat exhanger | |
JP2005207726A (en) |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US11828545B2 (en) | Corrugated fin type heat exchanger | |
JP2008008585A (en) | Tube for heat exchanger | |
JP2014074562A (en) | Offset fin of heat exchanger and forming method of the same | |
KR101566546B1 (en) | Louver fin type heat exchanger | |
JP2010101516A (en) | Inner fin for heat exc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6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30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2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307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41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31015 Appeal identifier: 2013101005136 Request date: 20130712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3101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30712 Decision date: 20131015 Appeal identifier: 2013101005136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3103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1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