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88818A - Branch wiring system - Google Patents

Branch wi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818A
KR20120088818A KR1020127014329A KR20127014329A KR20120088818A KR 20120088818 A KR20120088818 A KR 20120088818A KR 1020127014329 A KR1020127014329 A KR 1020127014329A KR 20127014329 A KR20127014329 A KR 20127014329A KR 20120088818 A KR20120088818 A KR 2012008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urface portion
joining surface
terminal
break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3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32911B1 (en
Inventor
겐지 이찌노미야
도시유끼 가와노
다까미 사또오
Original Assignee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쿄엘렉트론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8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911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1H89/06Combination of a manual reset circuit with a contactor, i.e. the same circuit controlled by both a protective and a remote control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44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making use of wire-gripping clips o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66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lug and socket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eaker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배선용 차단기(10)는 후방 접합면부(13)를 갖고 있고, 제1 전기 기기는 전방 접합면부(21)를 갖고 있고, 후방 접합면부와 전방 접합면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배선용 차단기와 제1 전기 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선용 차단기는, 상기 전원측의 배선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적으로 1차측의 접속 단자부(30A)를 갖고 있고, 또한 후방 접합면부에 전기적으로 2차측의 제1 플러그인 단자부(30)를 갖고 있다. 제1 전기 기기는, 전방 접합면부에 상기 제1 플러그인 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1 플러그 단자부(22)를 갖고 있고, 제1 전기 기기는 전방 접합면부와 반대측에 후방 접합면부를 갖는 동시에 이 후방 접합면부에 제2 플러그인 단자부(30B)를 갖고 있고, 이 제2 플러그인 단자부는 제1 플러그 단자부(22)와 동일한 높이 위치 또한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The wiring breaker 10 has a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13, the first electric device has a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21, and the wiring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 apparatu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The circuit breaker has an electrically primary connection terminal portion 30A for connecting to the wiring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has a first plug-in terminal portion 30 on the secondary side electrically i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The first electrical apparatus has a first plug terminal portion 22 for connecting to the first plug-in terminal portion at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electrical apparatus has a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and the rear joining portion. It has the 2nd plug-in terminal part 30B in a surface part, and this 2nd plug-in terminal part is provided in the same height position as the 1st plug terminal part 22, and in the same transverse direction position.

Description

분기 배선 시스템 {BRANCH WIRE SYSTEM}Branch wiring system {BRANCH WIRE SYSTEM}

본 발명은 배선용 차단기와 이것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기 개폐기 등의 전기 기기를 구비한 분기 배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nch wiring system provided with an electrical device such as a circuit breaker and an electromagnetic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일반적으로, 분전반 내의 3상 200V의 주배선용 차단기의 관리하에 접속되는 전기적 부하측의 전기 라인에 있어서, 배선용 차단기(MCCB : Molded Case Circuit Breaker)와 그 관리하의 전자기 개폐기(Electromagnetic Contact)를 직선적으로 나열하여, 배선용 차단기의 2차측 단자와 전자기 개폐기의 1차측 단자를 전선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부하측의 전기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In general, in an electrical line on an electrical load side connected under the control of a three-phase 200V main wiring breaker in a distribution panel, a wiring breaker (MCCB) and an electromagnetic contactor under the control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The secondary terminal of the circuit breaker and the primary terminal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are connected using electric wires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electrical device on the load side.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7-298426호 공보(문헌 1)에는(도 2, 도 3, 도 4를 참조), 3상용의 주배선용 차단기와 급전 바를 접속하는 3개의 걸침 바를, 굽힘 가공한 도체 금속판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7-298426 (Document 1) (see Figs. 2, 3, and 4) shows three latch bars for connecting a main circuit breaker and a feed bar for three phases to a conductive metal plate that has been bent. Forming is disclosed.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1047호 공보(문헌 2)에는(도 1, 도 2, 도 3을 참조), 분전반 내의 복수의 분기용의 배선용 차단기와 모선 바를, 3개의 I자형의 연결 구리 바로 3상의 각 상을 개별적으로 접속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11047 (Patent 2) (see Figs. 1, 2, and 3) discloses three I-shaped connecting copper bars having wiring breakers and bus bars for a plurality of branches in a distribution panel. It is disclosed to connect each phase of the phases individually.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7-29842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Hei 7-298426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11047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9-11047

상기 문헌 1, 2 등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주배선용 차단기와 그 관리하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까지의 접속에는 소위 「모선 바」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와 그 관리하의 전기 기기(예를 들어, 전자기 개폐기)는, 많은 경우 전선을 사용하여 접속된다.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 및 그 관리하의 전기 기기가 다수 있는 경우, 혹은 분전반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에는, 전선에 의한 배선 접속의 작업이 번거롭다. 또한, 배선이 복잡해지므로, 배선 미스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documents 1 and 2, so-called "bus bars" are used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main wiring breaker and the breaker for branch wiring under its management. However, the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the electric device (for example, electromagnetic switch) under its management are connected in many cases using an electric wire. When there are many circuit breakers for branch wiring and the electric equipment under management, or when the size of a distribution board is small, the wiring connection work by an electric wire is cumbersome. In addition, since the wiring becomes complicated, there is a fear of causing a wiring mistake.

또한,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 및 그 관리하의 전기 기기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 및 전기 기기의 설치 면적도 많이 필요하여, 분전반의 설치 면적 및 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circuit breakers for branch wiring and the number of electric devices under its management is large,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circuit breakers for branch wiring and electrical equipment is also large,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installation area and cost of the distribution panel.

본 발명은 간단하게 확실한 접속을 행할 수 있고, 설치 면적도 삭감할 수 있는 분기 배선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anched wiring system that can be easily connected securely and can also reduce an installation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기 배선 시스템이며, 전원측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전기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는 후방 접합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전기 기기는 전방 접합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후방 접합면부와 상기 전방 접합면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제1 전기 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는, 상기 전원측의 배선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적으로 1차측의 접속 단자부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후방 접합면부에 전기적으로 2차측의 제1 플러그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전기 기기는, 상기 전방 접합면부에, 상기 제1 플러그인 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1 플러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전기 기기는, 상기 전방 접합면부와 반대측에 후방 접합면부를 갖는 동시에 이 후방 접합면부에 제2 플러그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이 제2 플러그인 단자부는,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부와 동일한 높이 위치 또한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분기 배선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it is a branch wiring system, Comprising: The wiring break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wiring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the 1st electrical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said wiring breaker, The said wiring breaker has a back joining surface part, And the first electrical device has a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and the wiring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al apparatus can be conne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rear bonding surface portion and the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Has an electrically primary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o the wiring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has a first plug-in terminal portion on the secondary side electrically i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electrical appliance is the front junction The surface portion has a first plug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with the first plug-in terminal portion, The first electrical apparatus has a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and has a second plug-in terminal portion o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plug-in terminal portion is the same height position as that of the first plug terminal portion. There is provided a branch wiring system installed in a directional position.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배선 시스템은,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전기 기기를 더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전기 기기는 전방 접합면부를 갖고 있고, 이 전방 접합면부와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후방 접합면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상기 제2 전기 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전기 기기는, 그 전방 접합면부에 상기 제2 플러그인 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2 플러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 전기 기기는, 그 전방 접합면부와 반대측에 후방 접합면부를 갖는 동시에 이 후방 접합면부에 제3 플러그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이 제3 플러그인 단자부는, 상기 제2 플러그 단자부와 동일한 높이 위치 또한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분기 배선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aid branch wiring system can further comprise the 2nd electrical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said 1st electrical apparatus. In this case, the said 2nd electric machine has a front joining surface part, and the said 1st electric device and the said 2nd electric machin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state which made this front joining surface part and the back joining surface part of the said 1st electric device contac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said 2nd electrical apparatus has the 2nd plug terminal part for connecting with the said 2nd plug-in terminal part in the front joining surface part, The said 2nd electric apparatus is rearwar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ront joining surface part. It has a joining surface part, and it has a 3rd plug-in terminal part in this back joining surface part, and this 3rd plug-in terminal part comprises the branch wiring system provided in the same height position and the same transverse position as the said 2nd plug terminal part. Can be.

적합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 및 상기 제2 전기 기기는, 동일 형상의 전자기 개폐기이다.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said 1st electric device and the said 2nd electric device are electromagnetic switch of the same shape.

적합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동하고, 제1 플러그 단자와 제2 플러그인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어 개폐된다.In one suitable embodiment,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which are movable in an up-down direction and ar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a 1st plug terminal and a 2nd plug-in terminal part are provided in the inside of a said 1st electrical apparatus, The said movable contact, It is opened and closed by ope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contact.

적합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기 개폐기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 접점을 상하 방향으로 가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접점의 상방에 배치된 전자기 코일과, 상기 전자기 코일에 접속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철심이 설치되어 있다.In a suitable embodiment, the inside of the said 1st electromagnetic switch has an electromagnetic coil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said fixed contact, and an iron core which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said electromagnetic coil in order to move the said movable contact to an up-down direction. Is installed.

적합한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연결을 행하기 위한 걸림 구조를 더 구비하고, 이 걸림 구조는,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 부재와 걸림 수용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후방 접합면부의 근방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전방 접합면부의 근방 중 한쪽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걸림 수용 부재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후방 접합면부의 근방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전방 접합면부의 근방 중 다른 쪽에 설치되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further comprises a lock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wiring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al device, the locking structure having a locking member and a locking receiving member that are coupled to be detachably coupled. The latching member is installed in one of the vicinity of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f the wiring breaker and the vicinity of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electrical device, while the latching receiving member is located near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f the wiring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al part. It is installed in the other side of the front joining surface part of an apparatus.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각각의 제1 면(예를 들어, 상면)에 설치되어 있고, 제1 플러그 단자부, 상기 제1 플러그인 단자부 및 상기 제2 플러그인 단자부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각각의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예를 들어, 하면)의 측(예를 들어,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locking structure is provided on each of the first surfaces (for example,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it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 device, and includes a first plug terminal portion, the first plug-in terminal portion, and the The 2nd plug-in terminal part is provided in the side (for example, lower side) of the 2nd surface (for example, lower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each said 1st surface of the said wiring breaker and the said 1st electrical equipment.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진다.In a suitable embodiment, the locking member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용 차단기와 전기 기기의 전선을 사용한 배선을 없애고, 부품 개수 및 배선 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배선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ing using the wiring breaker and the electric wire of the electric device can be eliminated,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number of wiring steps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wiring miss can be prevented.

도 1은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전기 기기)를 포함하는 전기 회로를 도시하는 배선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전기 회로의 실체 배선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전기 기기) 전기 기기의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와 전자기 개폐기의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 및 전자기 개폐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a), 걸림 구조의 걸림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b) 및 걸림 구조의 걸림 수용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c)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 및 전기 기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후방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에 사용되는 플러그인 단자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a) 및 전자기 개폐기에 사용되는 플러그인 단자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b)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와 2개의 전자기 개폐기(전기 기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전방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와 2개의 전자기 개폐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와 2개의 전자기 개폐기(전기 기기)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분기 배선용의 차단기와 2개의 전자기 개폐기(전기 기기)의 접합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wiring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circuit including a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an electromagnetic switch (electrical devic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ctual wiring of a conventional electric circuit.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bond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electromagnetic switch (electrical apparatus) electrical apparatus in 1st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bond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electromagnetic switch in 1st Embodiment.
Fig. 5 is a perspective view (a) viewed from the front upper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in the first embodiment are separated, a perspective view (b) showing a locking member of the locking structure, and a locking receiving member of the locking structure. It is a perspective view (c) which shows the following.
It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lower side in the state which isolate | separated the circuit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electric equipment in 1st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a)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lug-in terminal portion used for the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b)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plug-in terminal portion used for the electromagnetic switch.
It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front upper side in the state which isolate | separated the circuit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two electromagnetic switch (electrical apparatus) in 2nd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shown in the state which isolate | separated the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two electromagnetic switchgear in 2nd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shown in the state which isolate | separated the circuit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two electromagnetic switch (electrical apparatus) in 3rd Embodiment.
It is a schematic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bonding state of the circuit breaker for branch wiring and two electromagnetic switch (electrical apparatus) in 4th Embodiment.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elow, referr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종래 구성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분전반 내에 고정되는, 주배선용 차단기(도시하지 않음)의 관리하에 있는 분기 배선용의 배선용 차단기(1)[이하에 단순히 「배선용 차단기(1)」이라 칭함] 및 전자기 개폐기(2a)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배선용 차단기(1)(MCCB)의 1차측 단자부(4)에 급전되는 3상 R, S, T가, 배선용 차단기(1)의 2차측 단자부(5)로부터 전자기 개폐기(2a)(MC1)의 1차측 단자부(6)를 접속하는 상마다 색 분류된 [R(적), S(백), T(흑)]의 전선(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통해 전자기 개폐기(2a)에 공급되고, 또한 전자기 개폐기(2a)의 2차측 접속 단자부(7)에 접속된 전기적 부하(U, V, W)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1 and 2 show a circuit breaker 1 for branch wiring under the management of a main circuit breaker (not shown), which is fixed in a distribution panel not shown in the related art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circuit breaker 1 ) "And a part of electromagnetic switch 2a are shown. Three-phase R, S, and T supplied to the primary terminal portion 4 of the circuit breaker 1 (MCCB) are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switch 2a (MC1) from the secondary terminal portion 5 of the circuit breaker 1. It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switch 2a via electric wires (parts enclosed by broken lines) of color-coded [R (red), S (white), T (black)] for each phase connecting the vehicle side terminal portion 6, and the electromagnetic It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supplied to the electrical loads U, V, and W connected to the secondary side connection terminal part 7 of the switch 2a.

도 3 내지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전기적 접속과 등가의 전기적 접속을 실현하면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1)와 전자기 개폐기(2a) 사이의 전선에 의한 접속을 폐지하고, 배선용 차단기(10)의 하우징(10A)과 전자기 개폐기(20)의 하우징을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3 to 7 abolish the connection by the electric wire between the circuit breaker 1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a as shown in FIG. 2 while realizing an electrical connection equivalent to that shown in FIG. By mechanically connecting the housing 10A of the circuit breaker 10 and the housing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ircuit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to each other. One embodiment is shown.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전반 내에 있어서, 제1 전기 기기로서의 전자기 개폐기(20)의 전방에 배선용 차단기(10)(MCCB)가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배선용 차단기(10)의 전기적 2차측과 전자기 개폐기(20)의 1차측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배선용 차단기(10)의 배면에 후방 접합면부(13)가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전자기 개폐기(20)의 전방면에 형성된 전방 접합면부(21)와 접촉한다. 이때, 배선용 차단기(10)의 후방 접합면부(13)의 하단부에 설치된 2차측 단자부인 플러그인 단자부(30)(이하에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라고 함)와, 전자기 개폐기(20)의 전방 접합면부(21)의 하단부에 설치된 플러그 단자부(2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시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방 접합면부(13)는 단차 형성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직사각형의 오목부를 갖고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전방 접합면부(21)는, 단차 형성된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 직사각형의 돌기를 갖고 있다. 상기 오목부에 상기 돌기를 결합시킴으로써,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가 정렬된다. 즉, 상기 오목부 및 돌기는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를 정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후방 접합면부(13) 및 전방 접합면부(21)의 치수는, 배선용 차단기(10) 및 전자기 개폐기(20)에 의해 변경되지만, 예를 들어 세로 150㎜, 가로 75㎜로 할 수 있다. 후방 접합면부(13) 및 전방 접합면부(21)의 치수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다.As shown in FIG. 3 and FIG. 4, in the distribution panel, the wiring breaker 10 (MCCB) is connected in front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s a 1st electrical device. In this state, the electrical secondary side of the circuit breaker 10 and the primary sid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e rear joining surface part 13 is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wiring breaker 10, and it contacts the front joining surface part 21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mentioned later. At this time, the plug-in terminal portion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which is the secondary terminal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13 of the wiring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The plug terminal portion 22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21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13 is formed as a stepped surface, and has a rectangular recess in the center portion. In addition, the front joining surface part 21 mentioned later is formed as the surface in which the step was formed, and has a rectangular processus | protrusion in the center part. By coupling the protrusion to the recess, the circuit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re aligned. That is, the recess and the projection function as a means for aligning the circuit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n addition, although the dimension of the back bonding surface part 13 and the front bonding surface part 21 is changed by the wiring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t can be set to 150 mm long and 75 mm horizontal, for example. The dimensions of the rear joint surface portion 13 and the front joint surface portion 21 are preferably the same.

전자기 개폐기(20)에 접속되는 배선용 차단기(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10)의 상면(80)에, 복수(도면예에서는 3개)의 모선 바(8a)용의 접속 단자부인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가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각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에, 모선 바(8)로부터 돌출 설치된 플러그 단자(8a)를 접속할 수 있다.The wiring breaker 10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3,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A which is the connection terminal part for the bus bar 8a of several (three in the figur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80 of the circuit breaker 10 for wiring. Is placed on. The plug terminal 8a protruding from the bus bar 8 can be connected to each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A.

배선용 차단기(10)의 하우징(10A)의 상면(80)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80)에는 각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에 대응하는 개구(81)가 형성되어 있고, 각 개구(81)를 통해 하우징(10A) 내에 배치된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에 플러그 단자(8a)를 접속할 수 있다.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는, 한 쌍의 끼움 지지 부재(31, 32)를 구비하고 있고, 끼움 지지 부재(31, 32)가 스프링력에 의해 그 사이에 삽입된 플러그 단자(8a)를 보유 지지한다. 또한,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의 구조는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와 마찬가지이고, 도 7의 (a)를 참조함으로써 이해할 수 있다.A step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80 of the housing 10A of the wiring breaker 10. Openings 81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s 30A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80, and plug terminals (30A) are formed in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s 30A disposed in the housing 10A through the openings 81. 8a) can be connected.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A includes a pair of fitting support members 31 and 32, and holds the plug terminal 8a in which the fitting support members 31 and 32 are inserted therebetween by spring force. I support it.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A is the same as that of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and can be understood by referring to FIG.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10)의 후방 접합면부(13)의 하단부[도시예에서는 후방 접합면부(13)의 오목부의 하단부]의 복수 개소, 예를 들어 3개소에 서로 수평 방향에 평행한 직사각형의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16) 내에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가 수용되어 있다.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는, 한 쌍의 끼움 지지 부재(31, 32)를 구비하고 있고, 끼움 지지 부재(31, 32)가 스프링력에 의해 그 사이에 삽입된 플러그 단자부(22)를 보유 지지한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끼움 지지 부재(31)는, 외측 선단부에 하방으로 굴곡하는 경사면부(31a)와, 경사면부(31a)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파형부(31b)와, 파형부(31b)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평탄부(31c)를 갖고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끼움 지지 부재(32)는, 그 외측 선단부에 대략 반원통 형상의 압박부(32a)와, 압박부(32a)의 기단부에 연결되는 크랭크형의 굴곡부(32b)와, 굴곡부(32b)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선단측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보유 지지부(32c)를 갖고 있다. 보유 지지부(32c)는 하부 끼움 지지 부재(31)의 평탄부(31c)에 접촉하여 평탄부(31c)를 지지하고 있다. 상부 끼움 지지 부재(32)의 굴곡부(32b)의 수직부(32d)에는 창(32e)이 형성되어 있고, 창(32e)을 하부 끼움 지지 부재(31)가 관통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5-7, in several places, for example, three places of the lower end parts (lower end part of the recessed part of the back joining surface part 13 in the example of illustration) of the rear joining surface part 13 of the wiring breaker 10. FIG. Rectangular concave portions 16 ar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is accommodated in each recess 16.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includes a pair of fitting support members 31 and 32, and holds the plug terminal portion 22 in which the fitting support members 31 and 32 are inserted therebetween by spring force. I support it. As shown in FIG. 7A, the lower fitting support member 31 located below the waveform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1a bent downward on the outer end portion and the base end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31a. It has a part 31b and the flat part 31c connected to the base end part of the wave part 31b. The upper fitting support member 32 located on the upper side has an approximately semi-cylindrical pressing portion 32a, a crank-shaped bending portion 32b connected to a base end of the pressing portion 32a, and a bending portion (3) at its outer end portion. It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of 32b), and has the flat holding | maintenance part 32c extended to a front end side. The holding part 32c contacts the flat part 31c of the lower fitting support member 31, and supports the flat part 31c. The window 32e is formed in the vertical part 32d of the bend part 32b of the upper fitting support member 32, and the lower fitting support member 31 penetrates through the window 32e.

배선용 차단기(10)의 후방 접합면부(13)와 반대측의 전방면, 구체적으로는 배선용 차단기(10)의 상면(80)에 단차를 형성하는 전방면측 수직면(80b)에, 삽입 구멍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부(82)에 드라이버나 핀 등의 해제 부재를 삽입하여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의 굴곡부(32b)를 누름으로써,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의 스프링력에 의한 모선 바(8)의 플러그 단자(8a)의 보유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Insertion holes 82 on the front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13 of the wiring breaker 10, specifically, on the front surface side vertical surface 80b that forms a step on the upper surface 80 of the wiring breaker 10. ) Is formed. The bus bar 8 by the spring force of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A by inserting a release member such as a driver or a pin into the insertion hole 82 and pressing the bent portion 32b of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A. The holding of the plug terminal 8a can be released.

또한, 배선용 차단기(10)의 상면(80)에 배치된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에 접속되는 복수(예를 들어, 3매)의 모선 바(8)는 각각 역 L자형의 판 형상의 플러그 단자(8a)를 구비하고 있고, 플러그 단자(8a)의 선단부는 수직으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8a)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케이블 또는 막대 형상 단자이어도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모선 바(8)가 상하에 적층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인접하는 모선 바(8)끼리의 사이에는 합성 수지제의 판 형상 절연체(8b)가 개재되어 있다. 모선 바(8)와 판 형상 절연체(8b)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의 상면 및 좌우 양면은, 단면 대략 ㄷ자(각괄호)형의 합성 수지제의 절연 커버(8c)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모선 바(8) 사이에 절연체(8b)를 개재시켜 겹치는 동시에, 절연 커버(8c)에 의한 피복을 행함으로써, 모선 바(8)의 공간 절연 거리의 확보가 불필요하게 되고, 감전에 대한 보호 구조가 불필요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us bars 8 connected to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A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80 of the circuit breaker 10 (for example, three sheets) each have an inverted L-shaped plate-shaped plug. The terminal 8a is provided, and the tip end of the plug terminal 8a extends vertically downward. The form of the plug terminal 8a is not limited to this, but may be a cable or rod-shaped termin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plurality of bus bar bars 8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stacked up and down, and the plate-shaped insulator 8b made of synthetic resin is disposed between the bus bar bars 8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Is intervened.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aminate formed of the bus bar 8 and the plate-shaped insulator 8b are covered by an insulating cover 8c made of synthetic resin having a cross-sectional substantially C-square (square bracket) type. In this way, by overlapping the bus bar 8 with the insulator 8b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vering the bus bar 8 with the insulating cover 8c, it is unnecessary to secure the space insulation distance of the bus bar 8, thereby preventing electric shock. Protection structure is unnecessary.

이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10)의 상면(80)측에 모선 바용의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A)를 배치함으로써, 배선용 차단기(10)의 접합면부(13)의 구조를 심플화할 수 있고, 또한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를 접합한 후에, 배선용 차단기(10)에 모선 바(8)를 접속할 수 있다.Thus, by arranging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A for bus bar on the upper surface 80 side of the wiring breaker 10, the structure of the joining surface part 13 of the wiring breaker 10 can be simplified, and also the wiring breaker After bonding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to each other, the bus bar 8 can be connected to the wiring breaker 10.

다음에, 상술한 배선용 차단기(10)에 접속되는 전자기 개폐기(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개폐기(20)의 전방 접합면부(21)의 하단부에는 제1 플러그 단자부인 플러그 단자부(22)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부(22)는 판 형상의 막대 단자편(22a)을 갖고 있고,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를 연결할 때에, 막대 단자편(22a)이 배선용 차단기(10)에 설치된 제1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의 끼움 지지 부재(31, 32) 사이에 탄성력에 저항하여 삽입된다.Next,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circuit breaker 10 is demonstrated. As shown in FIG. 4 and FIG. 5, the plug terminal part 22 which is a 1st plug terminal part is provid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front joining surface part 21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s shown in FIG. The plug terminal portion 22 has a plate-shaped rod terminal piece 22a, and when the wiring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re connected, the rod terminal piece 22a is provided in the wiring breaker 10. Resistant force is inserted between the fitting supporting members 31 and 32 of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개폐기(20)의 전방 접합면부(21)에는, 플러그 단자부(22)를 포위하여 보호하는 직사각형의 통체(22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전자기 개폐기(20)를 배선용 차단기(10)에 연결할 때, 배선용 차단기(10)의 후방 접합면부(13)에 형성된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를 수용하고 있는 수용 오목부(16)에 통체(22b)가 끼움 삽입된다. 이에 의해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의 접합이 견고해진다.As illustrated in FIG. 5, a rectangular cylindrical body 22b that surrounds and protects the plug terminal portion 22 protrudes from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21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Whe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s connected to the wiring breaker 10, the tubular body 22b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recess 16 which accommodates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formed i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13 of the wiring breaker 10. ) Is inserted. As a result, the bonding between the circuit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s secur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개폐기(20) 내에는 전자기 코일(23)이 배치되어 있고, 전자기 코일(23)을 통전(여자)하면, 가동 접점(24a, 24a)이 고정 접점(24b, 24c)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부(22)는 한쪽의 고정 접점(24b)에 접속되어 있다. 전자기 개폐기(20)의 배면부, 즉 후방 접합면부(21A)에는 제2 플러그인 단자부인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쪽의 고정 접점(24b)은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는, 상술한 배선용 차단기(10)의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고[도 7의 (a), (b)를 비교 참조], 동일 부분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는, 플러그 단자부(22)가 배치되는 전방 접합면부(21)와 반대측의 후방 접합면부(21A)의 동일 위치(동일한 높이 위치,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에 다른 전기 기기(도시하지 않음)의 단자 또는 전선(60A)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7의 (b)를 참조]. 전자기 개폐기(20)의 하우징의 상면에는 전자기 코일(23)의 단자(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기 개폐기(20)의 하우징의 바닥면에는,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의 스프링력에 의한 전선(60A)의 보유 지지를 해제하기 위해 해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부(8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구멍부(82)는, 배선용 차단기(10)의 전방면측 수직면(80b)의 삽입 구멍부(82)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4, the electromagnetic coil 2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when the electromagnetic coil 23 is energized (excited), the movable contacts 24a and 24a become the fixed contact 24b, It is connected to 24c) electrically. The plug terminal portion 22 is connected to one fixed contact 24b.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serving as the second plug-in terminal portion is provided on the back portion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that is,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21A. The other fixed contact 24b is connected to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The second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of the above-described circuit breaker 10 (see FIG. 7 (a) and (b) for comparison), and the same part.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and a duplicate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is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same height position, same transverse position) of the rear bonding surface portion 21A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21 on which the plug terminal portion 22 is disposed. A terminal or electric wire 60A of another electric device (not show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see FIG. 7B). The terminal 25 of the electromagnetic coil 2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 release member (not shown) for releasing the holding of the wire 60A by the spring force of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Insertion hole portion 82 for inserting the holes) is formed. This insertion hole 82 plays the same role as the insertion hole 82 of the front surface side vertical surface 80b of the wiring breaker 10.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를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와 동일한 높이 위치 및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전자기 개폐기(20) 내부의 구조를 심플화할 수 있어, 전자기 개폐기(2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By placing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at the same height position and the same transverse position as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the structure inside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can be simplified, and the siz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can be reduced. It can be made small.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 개폐기(20)의 내부에는, 전자기 개폐기(20)가 통전되었을 때에 전자기 코일(23)의 여자에 의해 작동하는 가동 접점(24a)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접점(24a)은 종방향으로 배치된 전자기 코일(23)의 철심(23a)의 단부에 배치되고, 전자기 개폐기(20) 내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접점(24b, 24c)과 접속됨으로써, 전자기 개폐기(20)가 통전된다.As mentioned above, the movable contact 24a which is operated by the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il 23 is provided i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whe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s energized. As shown in FIG. 4, the movable contact 24a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iron core 23a of the electromagnetic coil 23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es inside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ix the fixed contact (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s energized by being connected to 24b and 24c.

이와 같이 가동 접점(24a)이 전자기 개폐기(20) 내를 연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분전반 내에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고정 접점(24b, 24c)과 가동 접점(24a)의 접속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since the movable contact 24a moves inside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an electrical problem occurs in the distribution panel,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xed contacts 24b and 24c and the movable contact 24a can be easily performed. Can be released, thereby improving safety.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용 차단기(10)의 접합면부(13)측의 상면과 전자기 개폐기(20)의 전방 접합면부(21)측의 상면에는,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를 연결할 때에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 부재(41)와 걸림 수용 부재(42)로 이루어지는 걸림 구조(40)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부재(41)는, 직사각 형상의 고정부(43)와, 고정부(43) 전방변의 양단부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수평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걸림부(44)를 갖고 있다. 걸림부(44)의 선단부에는, 가로로 긴 슬릿 형상의 걸림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부재(41)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된다. 걸림 부재(41)는, 전방 접합면부(21)측의 전자기 개폐기(20)의 하우징의 상면에 있어서, 전자기 개폐기(20)의 하우징과 동일한 재질(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하우징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하우징에 용착되어 있다. 걸림 부재(41)는 강판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 수용 부재(42)는, 걸림 구멍(45)보다도 약간 작게 형성되는 동시에 걸림 부재(41)측을 향한 면이 경사면(46)으로 되어 있는 단면 대략 삼각 형상의 돌기를 갖고 있고, 후방 접합면부(13)측의 배선용 차단기(10)의 하우징의 상면의 좌우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the wiring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junction surface portion 13 side of the wiring breaker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junction surface portion 21 sid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 Is provided with a locking structure 40 comprising a locking member 41 and a locking receiving member 42 which are coupled to be detachably coupled. The locking member 41 has a rectangular fixing part 43 and a pair of locking parts 44 which protrude horizontally toward both sides from both ends of the front side of the fixing part 43. At the distal end of the locking portion 44, a locking hole 45 having a horizontally slit shape is formed. The locking member 41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The locking member 41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by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resin material) as that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20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electromagnetic actuator 20 on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21 side. It is formed in the form or is welded to the housing. The locking member 41 may be formed by a steel plate. The locking receiving member 42 has a substantially triangular cross-sectional projection having a cross section which is formed slightly smaller than the locking hole 45 and faces the locking member 41 side as an inclined surface 46, and has a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 13 is provided at two positions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the circuit breaker 10 on the side.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를 연결하기 위해 양자를 근접시켜 가면, 걸림 부재(41)의 걸림부(44)가 탄성 변형하여 걸림 수용 부재(42)의 경사면(46)을 타고 넘어, 소위 스냅 결합에 의해 걸림 수용 부재(42)가 걸림 구멍(45)에 결합되어,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를 연결한다.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의 연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걸림 부재(41)의 걸림부(44)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걸림 구멍(45)과 걸림 수용 부재(42)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The engaging portion 44 of the engaging member 41 is elastically deformed to abut the inclined surface 46 of the engaging member 42 when the both are close to each other for connecting the circuit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The engagement member 42 is engaged with the retaining hole 45 by a so-called snap engagement so that the wiring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re connected. In the case of disconnecting the wiring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the locking portion 44 of the locking member 41 is moved upward to engage the locking hole 45 and the locking receiving member 42. FIG. Can be released.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 개폐기(20)에 걸림 부재(41)를 설치하고, 배선용 차단기(10)에 걸림 수용 부재(42)를 설치하였지만, 반대로 해도 된다. 즉, 배선용 차단기(10)의 하우징 상면의 후방 접합면부(13)측에 걸림 부재(41)를 설치하고, 전자기 개폐기(20)의 하우징 상면의 전방 접합면부(21)측에 걸림 수용 부재(42)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구조(40)를 배선용 차단기(10) 및 전자기 개폐기(20)의 상측에만 설치하였지만, 상측 및 하측의 양쪽에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배선용 차단기(10)와 전자기 개폐기(20)의 연결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locking member 41 was provided i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the locking accommodation member 42 was provided in the wiring breaker 10, you may reverse. That is, the locking member 41 is provided o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13 side of the housing upper surface of the wiring breaker 10, and the locking receiving member 42 is placed on the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21 side of the housing upp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locking structure 40 was provided only in the upper side of the wiring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you may provide in both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Thereby, the connection of the circuit breaker 10 and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can be made more firm.

도 8 및 도 9는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배선용 차단기(10)에, 전자기 개폐기(20)에 추가하여 전자기 개폐기(20A)를 더 연결하고 있다. 이 경우, 전자기 개폐기(20)의 후방 접합면부(21A)에 배치되는 제2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에, 전자기 개폐기(2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 제2 전기 기기인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전방 접합면부(21B)에 설치된 플러그 단자부(22A)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자기 개폐기(20)의 하우징 상면의 후방 접합면부(21A)측 및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하우징의 전방 접합면부(21B)측에 설치되는 제2 걸림 구조(40A)에 의해, 전자기 개폐기(20)와 제2 전자기 개폐기(20A)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8 and 9 show a second embodiment. In this second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A is further connected to the wiring breaker 10 in addition to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In this case, the second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disposed at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21A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has a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which is a second electric device configured similarly to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The plug terminal portion 22A provided on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21B is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40A provided o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21A side of the housing upp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on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21B side of the housing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provides electromagnetic. The switch 20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can be detachably connected.

전자기 개폐기(20)의 후방 접합면부(21A)의 하단부측의 3개소에는, 서로 수평 방향에 평행한 직사각 형상의 오목부(16)(형상은 도 6에 도시한 것과 동일함)가 형성되고, 각 오목부(16) 내에 제2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전방 접합면부(21B)의 하단부의 3개소에는, 각각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에 접속 가능한 3개의 플러그 단자부(22A)가 설치되어 있다.In three places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21A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rectangular recesses 16 (shape is the same as shown in Fig. 6) parallel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The second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is accommodated in each recess 16. Moreover, three plug terminal parts 22A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are provided in three places of the lower end part of the front joining surface part 21B of 20 A of 2nd electromagnetic switches.

전자기 개폐기(20A)의 전방 접합면부(21B)에는, 제2 플러그 단자부(22A)를 포위하여 보호하는 직사각형의 통체(22b)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통체(22b)는 전자기 개폐기(20)에 형성된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를 수용하는 오목부(16) 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전자기 개폐기(20)와 제2 전자기 개폐기(20A)가 연결되면, 오목부(16) 내에 통체(22b)가 끼움 삽입되어, 전자기 개폐기(20)와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연결이 견고해진다.The rectangular cylindrical body 22b which surrounds and protects the 2nd plug terminal part 22A is provided in the front joining surface part 21B of 20 A of electromagnetic switches. The cylinder 22b is formed to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16 which accommodates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formed i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FIG. Whe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are connected, the cylinder 22b is inserted into the recess 16,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is secured. .

또한, 전자기 개폐기(20)의 후방 접합면부(21A) 및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전방 접합면부(21B)의 하단부측에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걸림 구조(40)와 마찬가지로, 서로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41)와 걸림 수용부(42)로 이루어지는 제2 걸림 구조(4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걸림 구조(40A)를 전자기 개폐기(20)의 후방 접합면부(21A)측 및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전방 접합면부(21B)측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의 양쪽에 설치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전자기 개폐기(20)와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21A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21B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similar to the locking structure 4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 second locking structure 40A comprising a locking portion 41 and a locking receiving portion 42 that is coupled to each other is provided. Further, the second locking structure 40A is provid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o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21A sid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on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21B side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You may also Thereby, conn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the 2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can be made firm.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자기 개폐기(20)의 후방 접합면부(21A)에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전방 접합면부(21B)를 접촉하여, 전자기 개폐기(20)의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와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플러그 단자부(22A)를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전자기 개폐기(20)의 후방 접합면부(21A)와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전방 접합면부(21B)에 설치된 제2 걸림 부재(40A)의 걸림부(41)와 걸림 수용부(42)를 결합하여, 전자기 개폐기(20)와 제2 전자기 개폐기(20A)를 연결할 수 있다. 플러그 단자부(22A)는, 제2 전자기 개폐기(20A) 내에 배치되는 전자기 코일(23A)의 통전(여자)에 의해 작동하는 가동 접점(24a)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정 접점(24b, 24c) 중 한쪽의 고정 접점(24b)에 설치되어 있다.By such a configuration, the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21B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bonding surface portion 21A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so as to contact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t the same time as the plug terminal portion 22A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ar joint surface portion 21A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the front junction surface portion 21B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are provided. By coupling the locking portion 41 and the locking receiving portion 42 of the second locking member 40A,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may be connected. The plug terminal portion 22A is one of the fixed contacts 24b and 24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able contact 24a operated by energization (excit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oil 23A disposed in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At the fixed contact 24b.

또한, 플러그 단자부(22A)가 배치되는 전방 접합면부(21B)의 반대측의 후방 접합면부(21C)의 동일 위치(동일한 높이 위치 또한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B)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C)가 배치되어 있다. 이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C)에 다른 전기 기기(도시하지 않음)의 플러그 단자 또는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 30B, 30C)는, 각각 형성되는 접합면부(13, 21A, 21C)의 동일 위치(동일한 높이 위치 또한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후방 접합면부(21C)의 하면부에는,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C)를 그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움직이게 하여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C)에 의한 단자 또는 전선의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해제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구멍부(82)가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same structure as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B at the same position (the same height position and the same transverse position) of the rear bonding surface portion 21C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21B on which the plug terminal portion 22A is disposed.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C having a structure is disposed. The plug terminal or electric wire of another electric device (not shown) is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is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C.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s 30, 30B and 30C are arranged at the same position (the same height position and the same transverse position) of the joint surface portions 13, 21A and 21C respectively formed. In addition,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C is moved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of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21C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by resisting its spring force, so that the terminal or electric wire of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C An insertion hole 82 for inserting a release member (not shown) for releasing the holding is formed.

이와 같이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C)를 배치함으로써,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구조를 심플화할 수 있어, 제2 전자기 개폐기(20A)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하는 복수의 전자기 개폐기(20, 20A)를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고, 공통의 전자기 개폐기를 사용할 수 있다.By arranging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C in this manner,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can be simplified, and the size of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can be reduced. Moreover, the som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20A to be connected can be made the same shape, and a common electromagnetic switch can be used.

이와 같이 전자기 개폐기(20)와 제2 전자기 개폐기(20A)를 접합함으로써, 한쪽의 전자기 개폐기(20 또는 20A)가 문제를 발생하였을 때에도, 다른 쪽의 전자기 개폐기가 작동하여 전기 계통의 보전을 도모할 수 있다.By joining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in this way, even when one electromagnetic switch 20 or 20A has a problem, the other electromagnetic switch operates to promote the maintenance of the electric system. Can be.

또한, 전자기 개폐기(20)와 제2 전자기 개폐기(20A)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배선용 전기 기기로서의 전자기 개폐기의 형상의 종류를 늘리지 않아도 되고 공통의 전기 기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접속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and the second electromagnetic switch 20A have the same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kind of the shap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as the wiring electrical device, and a common electric device can be used, thereby preventing connection misses. Can be.

도 10은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전자기 개폐기(20B, 20C)는, 제2 실시 형태의 전자기 개폐기(20, 20A)에 대해, 전자기 코일(23B)이 하부에 배치되고, 또한 전자기 코일(23B)의 상방에 가동 접점(24a)과 고정 접점(24b, 24c)이 배치되어 있는 점이 주로 다르다. 이 경우, 전방에 위치하는 전자기 개폐기(20B)의 전방 접합면부(21D)측에 배치되는 플러그 단자(22B)는, 한쪽의 고정 접점(24b)에 일단부가 접속된 역 L자 형상의 도체 부재(50)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돌출 설치되고, 배선용 차단기(10)의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에 접속된다. 또한, 전자기 개폐기(20B)의 후방 접합면부(21E)의 상부측에는 다른 쪽의 고정 접점(24c)에 접속된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D)가 설치되어 있다. 후방에 위치하는 전자기 개폐기(20C)의 전방 접합면부(21F)의 상부에는, 한쪽의 고정 접점(24b)에 접속되는 동시에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D)에 접속 가능한 플러그 단자(22C)가 설치되어 있다. 플러그 단자(22C)가 배치되는 전방 접합면부(21F)와 반대측의 후방 접합면부(21G)의 동일 위치(동일한 높이 위치 또는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E)가 설치되어 있다.10 shows a third embodiment. As for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B, 20C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the electromagnetic coil 23B is arrange | positioned below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 20A of 2nd Embodiment, and is located above the electromagnetic coil 23B. Mainly, the movable contact 24a and the fixed contact 24b, 24c are arrange | positioned. In this case, the plug terminal 22B disposed on the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21D sid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B positioned in the front has an inverted L-shaped conductor membe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fixed contact 24b ( It protrudes horizontally in the lower end part of 50, and is connected to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of the circuit breaker 10.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D connected to the other fixed contact 24c is provided in the upper side of the rear joining surface part 21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B. The plug terminal 22C which is connected to one fixed contact 24b and can be connected to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D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bonding surface part 21F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C located behind. .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E is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 (same height position or the same transverse position) of the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21F on which the plug terminal 22C is disposed and the rear bonding surface portion 21G on the opposite side.

도 11은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는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전자기 개폐기(20D, 20E)는 상하로 겹쳐져 있다. 전자기 개폐기(20D, 20E) 내에는 전자기 코일(23C)이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전자기 코일(23C)의 한쪽의 측, 예를 들어 좌측에 가동 접점(24a)과 고정 접점(24b, 24c)이 배치되어 있다. 하부에 위치하는 전자기 개폐기(20D)에 있어서는, 고정 접점(24b)에 접속되는 플러그 단자(22D)가, 배선용 차단기(10)의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에 접속된다. 또한, 전자기 개폐기(20D)의 상방 접합면부(21H)에는, 고정 접점(24c)에 접속하는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F)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에 위치하는 전자기 개폐기(20E)의 하방 접합면부(21J)에는, 고정 접점(24b)에 접속되는 동시에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F)에 접속 가능한 플러그 단자(22E)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기 개폐기(20E)의 플러그 단자(22E)가 배치되는 하방 접합면부(21J)와 반대측의 상방 접합면부(21K)의 동일 위치(동일한 횡방향 위치 또한 동일한 종방향 위치)에는, 플러그인 단자 금속 부재(30G)가 설치되어 있다.11 shows a fourth embodiment. In 4th Embodiment show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D, 20E is overlapping up and down. I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D, 20E, the electromagnetic coil 23C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ovable contact 24a and the fixed contact 24b, 24c are on one side, for example, the left side of the electromagnetic coil 23C. This is arranged. In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D located below, the plug terminal 22D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24b is connected to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 of the circuit breaker 10. Moreover,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F which connects to the fixed contact 24c is provided in the upper joining surface part 21H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D. The plug terminal 22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24b and can be connected to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30F is provided in the lower joining surface portion 21J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E located above. At the same position (the same transverse position and the same longitudinal position) of the upper bonding surface portion 21K on the opposite side to the lower bonding surface portion 21J on which the plug terminal 22E of the electromagnetic switch 20E is disposed, the plug-in terminal metal member ( 30G) is installed.

또한, 제3 실시 형태 및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부분 이외의 부분은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3rd Embodiment and 4th Embodiment, since part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part are the same as 1st Embodiment and 2nd Embodiment, duplication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by attaching | subjecting the same code | symbol to the same part in drawing. .

Claims (13)

분기 배선 시스템이며,
전원측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1 전기 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는 후방 접합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전기 기기는 전방 접합면부를 갖고 있고, 상기 후방 접합면부와 상기 전방 접합면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제1 전기 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배선용 차단기는, 상기 전원측의 배선에 접속하기 위한 전기적으로 1차측의 접속 단자부를 갖고 있고, 또한 상기 후방 접합면부에 전기적으로 2차측의 제1 플러그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전기 기기는, 상기 전방 접합면부에, 상기 제1 플러그인 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1 플러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전기 기기는, 상기 전방 접합면부와 반대측에 후방 접합면부를 갖는 동시에 이 후방 접합면부에 제2 플러그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이 제2 플러그인 단자부는, 상기 제1 플러그 단자부와 동일한 높이 위치 또한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
Branch wiring system,
A circuit break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wiring on the power supply side,
A first electric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wiring breaker;
The wiring breaker has a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electrical device has a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and the wiring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al apparatus are moved back and forth in a state where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The wiring breaker has an electrically primary connection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o the wiring on the power supply side, and has a second plug-in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o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The first electric device has a first plug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with the first plug-in terminal portion to the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The first electric device has a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and has a second plug-in terminal portion o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and the second plug-in terminal portion also has the same height position as the first plug terminal portion. A branch wiring system, which is provided at the same transverse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 전기 기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전기 기기는 전방 접합면부를 갖고 있고, 이 전방 접합면부와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후방 접합면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와 상기 제2 전기 기기를 전후 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전기 기기는, 그 전방 접합면부에 상기 제2 플러그인 단자부와 접속하기 위한 제2 플러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2 전기 기기는, 그 전방 접합면부와 반대측에 후방 접합면부를 갖는 동시에 이 후방 접합면부에 제3 플러그인 단자부를 갖고 있고, 이 제3 플러그인 단자부는, 상기 제2 플러그 단자부와 동일한 높이 위치 또한 동일한 횡방향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ectrical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the first electrical device;
The second electric device has a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and the first electrical equipment and the second electrical equipment are conne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ile the front bonding surface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ar bonding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electrical equipment. Possible,
The said 2nd electric apparatus has a 2nd plug terminal part for connecting with the said 2nd plug-in terminal part in the front joining surface part,
The second electric device has a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and has a third plug-in terminal portion on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and the third plug-in terminal portion also has the same height position as the second plug terminal portion. A branch wiring system, which is provided at the same transverse posi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 및 상기 제2 전기 기기는, 동일 형상의 전자기 개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branch wi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electrical device and the second electrical device are electromagnetic switchgears of the same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동하고, 제1 플러그 단자와 제2 플러그인 단자부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which are movable in an up-down direction, and are arrange | positioned between a 1st plug terminal and a 2nd plug-in terminal part are provided in the said 1st electrical apparatus, The said movable contact is a said, The branch wi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opened and closed with respect to the fixed contac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기 개폐기의 내부에는, 상기 가동 접점을 상하 방향으로 가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 접점의 상방에 배치된 전자기 코일과, 상기 전자기 코일에 접속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철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said electromagnetic contactor of Claim 3 has an electromagnetic coil arrange | positioned above the said fixed contact, and the iron core which moves to the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said electromagnetic coil in the inside of a said 1st electromagnetic switch, so that the said movable contact may be moved to an up-down direction. A branch wiring system, which is provid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연결을 행하기 위한 걸림 구조를 더 구비하고, 이 걸림 구조는,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 부재와 걸림 수용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후방 접합면부의 근방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전방 접합면부의 근방 중 한쪽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걸림 수용 부재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후방 접합면부의 근방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전방 접합면부의 근방 중 다른 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3.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wiring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 device, the locking structure having a locking member and a locking receiving member that are coupled to be detachably coupled. The engaging member is provided in one of the vicinity of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f the wiring breaker and the vicinity of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electrical device, while the engaging member is located near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f the wiring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al device. It is provided in the other side of the vicinity of the front junction surface part of the branch wiring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branch wi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각각의 제1 면에 설치되어 있고, 제1 플러그 단자부, 상기 제1 플러그인 단자부 및 상기 제2 플러그인 단자부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각각의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의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said latching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1st surface of each of the said circuit breaker and the said 1st electrical device, The 1st plug terminal part, the said 1st plug-in terminal part, and the said 2nd plug-in terminal part are the said, It is provided in the side of the 2nd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aid 1st surface of each of the wiring breaker and the said 1st electrical equipment, The branch wiring syste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branch wi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용 차단기와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연결을 행하기 위한 걸림 구조를 더 구비하고, 이 걸림 구조는,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 부재와 걸림 수용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후방 접합면부의 근방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전방 접합면부의 근방 중 한쪽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걸림 수용 부재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의 후방 접합면부의 근방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전방 접합면부의 근방 중 다른 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hook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oking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wiring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 device, the hooking structure having a hooking member and a hook receiving member coupled to be detachably coupled. The engaging member is provided in one of the vicinity of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f the wiring breaker and the vicinity of the front joining surface portion of the first electrical device, while the engaging member is located near the rear joining surface portion of the wiring breaker and the first electrical device. It is provided in the other side of the vicinity of the front junction surface part of the branch wiring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branch wi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구조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각각의 제1 면에 설치되어 있고, 제1 플러그 단자부, 상기 제1 플러그인 단자부 및 상기 제2 플러그인 단자부는, 상기 배선용 차단기 및 상기 제1 전기 기기의 각각의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의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said latching structure is provided in the 1st surface of each of the said circuit breaker and the said 1st electrical device, The 1st plug terminal part, the said 1st plug-in terminal part, and the said 2nd plug-in terminal part are the said, It is provided in the side of the 2nd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aid 1st surface of each of the wiring breaker and the said 1st electrical equipment, The branch wiring system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배선 시스템.The branch wir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made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ember.
KR1020127014329A 2009-12-02 2010-12-01 Branch wire system Active KR1014329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4123 2009-12-02
JP2009274123A JP5197555B2 (en) 2009-12-02 2009-12-02 Electrical equipment for wiring
PCT/JP2010/071478 WO2011068118A1 (en) 2009-12-02 2010-12-01 Branch wir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818A true KR20120088818A (en) 2012-08-08
KR101432911B1 KR101432911B1 (en) 2014-08-21

Family

ID=4411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329A Active KR101432911B1 (en) 2009-12-02 2010-12-01 Branch wire syste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97555B2 (en)
KR (1) KR101432911B1 (en)
CN (1) CN102667994A (en)
TW (1) TWI448027B (en)
WO (1) WO201106811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8155B2 (en) * 2016-04-20 2020-03-18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Switching switch
JP6848926B2 (en) * 2018-04-11 2021-03-24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Terminal conversion unit and electrical equipment equipped with i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3045Y1 (en) * 1968-11-27 1969-09-30
FR2588438B1 (en) * 1985-10-09 1989-05-05 Telemecanique Electrique DEVICE FOR ASSEMBLING MODULAR BLOCKS OF ELECTRICAL EQUIPMENT
JPH0232640A (en) * 1988-07-22 1990-02-02 Toshiba Corp Bus contention control system for packet communication system
JPH0728663Y2 (en) * 1988-08-24 1995-06-28 富士電機株式会社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magnetic contactor and overload relay
JPH05128959A (en) * 1991-10-31 1993-05-25 Fuji Electric Co Ltd Thermal relay connection unit
IT1272456B (en) * 1993-05-26 1997-06-23 Bticino Spa COUPLING DEVICE BETWEEN TWO MODULAR ELECTRICAL EQUIPMENT
JP3284157B2 (en) * 1994-04-25 2002-05-20 日東工業株式会社 Switchboard
DE10306548B4 (en) * 2003-02-17 2005-02-03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Breaker device
JP2005339997A (en) * 2004-05-27 2005-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Overcurrent tripping device of circuit breaker
JP2006149118A (en) * 2004-11-22 2006-06-08 Toshiba Corp Interrupting device for low-voltage power distribution
TWM292779U (en) * 2005-03-09 2006-06-21 Chuan-Yuan Chen Power overload device of thermal relay
JP4979481B2 (en) * 2007-06-27 2012-07-18 日東工業株式会社 Bar holder for distribution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19081A (en) 2011-06-16
TWI448027B (en) 2014-08-01
TW201126854A (en) 2011-08-01
JP5197555B2 (en) 2013-05-15
KR101432911B1 (en) 2014-08-21
WO2011068118A1 (en) 2011-06-09
CN102667994A (en)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229B1 (en) plug-in unit
JP4532553B2 (en) Mounting mechanism with open / close device fixed on top
US20100081343A1 (en) Connecting element for the connection of switching devices
KR100973944B1 (en) The plug for the cabinet panel
CN103219201B (en) Electric switch system
CN104620443A (en) Open spring mechanical clamping lug
KR20120088818A (en) Branch wiring system
CN101908721B (en) Adapter for contacting circuit breaker to bus bar system
KR101326329B1 (en) Power connection conductor
KR102173310B1 (en) One-touch combination type bus bar kit
JP3157647U (en) Electrical equipment for opening / closing electrical circuits
US8314670B2 (en) Switching device
KR102010870B1 (en) Busbar assembly for connecting of cross arranged type busbar
EP0944144B1 (en) An electrical connection element for connection between distribution bars and modular electrical devices
KR101045138B1 (en) Distribution board
US7579934B2 (en) Power breaker and arrangement for switching electrical currents
JP6520504B2 (en) Arc horn and switchboard
KR200449732Y1 (en) Assembly Plug for the Cabinet Panel
KR102724475B1 (en) Power distribution junction block
JP2018120773A (en) Control board wiring relay adapter
KR200457362Y1 (en) Wiring Kit
JP7065701B2 (en) How to assemble the switchgear
CN104752112A (en) Modularized Electric Appliance
JP2024004761A (en) Plug-in adapters, breakers with adapters, plug-in breakers, boxes for storing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JP4545532B2 (en) Residential distribution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6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6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