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83364A - 코팅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팅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364A
KR20120083364A KR1020127008187A KR20127008187A KR20120083364A KR 20120083364 A KR20120083364 A KR 20120083364A KR 1020127008187 A KR1020127008187 A KR 1020127008187A KR 20127008187 A KR20127008187 A KR 20127008187A KR 20120083364 A KR20120083364 A KR 20120083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polyvinyl alcohol
coating composition
polymer
cellulo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요시노
도시아키 모리우치
아카네 고조
유스케 하야시
Original Assignee
닛신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364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03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05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vegetable or microbial fermentation gums, e.g. cellulose or derivatives; Coating with edible polymers, e.g. polyvinyalcoh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oxygen-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6/00
    • C08F261/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oxygen-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6/00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F261/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oxygen-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6/00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on to polymers of vinyl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09D10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26Cellulose ethers
    • C09D101/28Alkyl ethers
    • C09D10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8Dragees; Coated pills or tablets, e.g. with film or compression coating
    • A61K9/2806Coating materials
    • A61K9/2833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84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2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C08L1/284Alkyl ethers with hydroxylated hydrocarbon rad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이 갖는 우수한 방습 성능을 유지하는 것과 함께, 코팅 처리 속도를 높여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A)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의 존재 하, 적어도 1종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B)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용 조성물에 의해 해당 과제가 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코팅용 조성물{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포함하고, 의약 등의 코팅에 유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의 존재 하에서 적어도 1종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의약 등의 코팅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알코올에 적어도 1 이상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난용성 약효 성분용의 경질 캡슐의 주성분으로서 유용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 해당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팅제는 산화 방지 효과, 불쾌취(offensive flavour)의 마스킹 효과 등의 성능이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코팅제의 주성분이 해당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인 것만으로는 부착성이 강한 코팅제로 되어, 코팅 처리에 있어서 장치 내로의 정제와 같은 고형 제제의 부착이나 고형 제제끼리의 응집이 발생하거나, 또는, 송액 속도를 높일 수 없어서 처리에 장시간을 요하여 충분한 생산성이 얻어지지 않았다.
특허문헌 1: 국제공개 2002/017848호 팸플릿 특허문헌 2: 국제공개 2005/019286호 팸플릿
본 발명은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이 갖는 우수한 방습 성능을 유지하는 것과 함께, 코팅 처리 속도를 높여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코팅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에 추가하여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함유함으로써 코팅 처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또한,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코팅제와 동등한 방습 성능을 갖는 코팅용 조성물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고, 더욱 검토를 거듭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사항에 기재된 조성물 등을 포함한다.
항 1.
(A)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의 존재 하, 적어도 1종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B)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용 조성물.
항 2.
중합성 비닐 단량체가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또는 그 염류, 및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항 1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
항 3.
중합성 비닐 단량체가 하기 화학식 (1)
H2C=C(R1)-COOR2 (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인 항 1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
항 4.
(A)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의 존재 하,
(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및 알킬아민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항 1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
항 5.
(Ⅱ)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항 5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
항 6.
셀룰로오스계 고분자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
항 7.
상기 (A)와 (B)의 비율이 중량비로 (A):(B)=1:0.02?2.5 정도인 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
항 8.
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 제제에 코팅한 코팅 제제.
항 9?1.
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 제제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코팅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항 9?2.
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 제제에 도포함으로써 코팅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항 10?1.
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 제제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고형 제제를 코팅하는 방법.
항 10?2.
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 제제에 도포함으로써 코팅하는 방법.
항 11. 고형 제제 코팅용인 항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
항 12. 스프레이 코팅용인 항 1?7 및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은 우수한 방습 성능을 갖고, 또한, 부착성을 저감하는 것으로 코팅 속도를 높여서, 생산성을 향상시킨다는 잇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코팅 시에 있어서의 장치로의 제제의 부착이나 제제끼리의 응집이 억제되고,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팅용 조성물과 비교하여 코팅 속도를 훨씬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팅용 조성물과 동등한 우수한 방습 성능을 갖는다.
또, 악취나 쓴맛의 마스킹 효과, 산소 투과 방지 효과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해 우수한 기능을 구비한 코팅 제제를 단시간에 효율 좋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각 코팅액으로 코팅한 제제 및 비코팅 정제를 40℃의 건조기에서 2일간 건조시킨 후, 25℃ 75% RH의 조건 하에서 보존하고, 각 시간 경과 후의 정제의 함수율의 증가에 의하여 각 정제의 흡습 속도를 조사한 결과를 HPMC의 배합량의 차이마다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세로축은 코팅 직후의 함수율을 0%로 하는 경우의 함수율의 증가 비율을 나타낸다. 도 1의 가로축은 보존하고나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도 2는 각 코팅액으로 코팅한 제제 및 비코팅 정제를 40℃의 건조기에서 2일간 건조시킨 후, 25℃ 75% RH의 조건 하에서 보존하고, 각 시간 경과 후의 정제의 함수율의 증가에 의하여 각 정제의 흡습 속도를 조사한 결과를 조성 성분의 차이마다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세로축은 코팅 직후의 함수율을 0%로 하는 경우의 함수율의 증가 비율을 나타낸다. 도 2의 가로축은 보존하고나서의 경과 시간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의 존재 하, 적어도 1종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하,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라고도 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있어서의 성분의 하나인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그 유도체의 존재 하, 적어도 1종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공지의 중합 방법으로 중합 또는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공지의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래디컬 중합을 들 수 있고, 또,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및 괴상(塊狀) 중합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반응은 통상, 중합 개시제의 존재 하, 필요에 따라서 환원제, 연쇄 이동제 또는 분산제 등의 존재 하, 물, 유기 용매 또는 그들의 혼합물 중에서 실시된다.
환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리소르빈산나트륨, 메타2중아황산나트륨, 아스코르빈산을 들 수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면, 2?메르캅토에탄올, α?메틸스티렌다이머, 2?에틸헥실티오글리콜레이트, 라우릴메르캅탄을 들 수 있다.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면, 소르비탄에스테르, 라우릴알코올 등의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 글리콜에테르류, 글리콜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또, 미반응의 단량체의 제거 방법 등도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의 원료로 되는 폴리비닐알코올로서는, 평균 중합도 약 100?2000, 바람직하게는 200?1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중합도 약 200?900, 더욱 바람직하게는 평균 중합도 약 200?600, 가장 바람직하게는 평균 중합도 약 300?500 정도의 폴리비닐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통상 약 96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78?96몰% 정도이다. 여기에서,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란, 폴리아세트산비닐의 아세트산기를 수산기로 치환하여 폴리비닐알코올로 하는 공정에서 치환된 수산기의 비율을 말한다. 이와 같은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은 아세트산비닐을 래디컬 중합하고, 얻어진 폴리아세트산비닐을 적절히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적절히 중합도, 비누화도를 그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분 비누화 폴리비닐알코올은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고세놀(등록 상표) EG05(일본 합성 화학 공업사제), EG25(일본 합성 화학 공업사제), PVA203(쿠라레이사제), PVA204(쿠라레이사제), PVA205(쿠라레이사제), JP?04(니혼 사쿠비ㆍ포벌사제), JP?05(니혼 사쿠비ㆍ포벌사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폴리비닐알코올의 유도체로서는, 각종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예를 들면, 아민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디아세톤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티오 변성 폴리비닐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은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고, 또는 해당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의 원료로 되는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그 유도체는 1종 단독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그 유도체를 병용한 것이어도 좋다. 병용하는 경우의 비율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균 중합도 300의 폴리비닐알코올과 평균 중합도 1500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적절히 혼합하여 폴리비닐알코올 원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과 중합시키는 중합성 비닐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또는 그 염류,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류, 불포화 니트릴류, 불포화 아미드류, 방향족 비닐류, 지방족 비닐류, 불포화 결합 함유 복소환류 및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류로서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푸말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류의 염류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늄염, 알킬아민염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알킬에스테르, 환상 알킬에스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아크릴산의 에스테르) 등의 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과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등의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불포화 니트릴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아미드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아미드, 디메틸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비닐류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비닐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불포화 결합 함유 복소환류로서는 예를 들면, N?비닐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포린 등이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중합성 비닐 단량체는
화학식 (1):
H2C=C(R1)-COOR2 (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은 이들의 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또는 알킬아민염 등을 이용해도 좋다.
이들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또는 그들의 염과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류라는 2종의 비닐 단량체를 폴리비닐알코올에 공중합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2종 이상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폴리비닐알코올에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2종 이상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병용하는 경우, (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및 알킬아민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Ⅰ)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 및 (Ⅱ)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2종 이상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병용하는 경우, 그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및 알킬아민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과 (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Ⅰ)과 (Ⅱ)의 중량비는 0.5:9.5?5:5, 바람직하게는 1:9?4:6, 보다 바람직하게는 1:9?3:7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중합성 비닐 단량체 합계량에 대해, (Ⅰ)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5에서 5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에서 40중량%이고, (Ⅱ)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50에서 9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에서 90중량%이다.
또한, 중합성 비닐 단량체로서 아크릴산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그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약 3:7?0.5:9.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25:8.75이다.
예를 들면, 바람직한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서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를 폴리비닐알코올과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산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폴리비닐알코올과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중량비(폴리비닐알코올: 중합성 비닐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약 6:4?9:1,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2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A)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로서는, 평균 중합도 약 100?2000의 폴리비닐알코올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을 공중합시켜서 얻어지는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로서, 공중합할 때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산의 중량비(폴리비닐알코올: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가 약 (60?90:7?38:0.5?12),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80:17.5:2.5)인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 중의 폴리비닐알코올 및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중량비는 공중합시킬 때에 이용하는 폴리비닐알코올 및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중량비와 같다. 그러면 중합체 중의 폴리비닐알코올 및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중합 몰비는 NMR에 의해 측정 가능하고, 또, 폴리비닐알코올 및 각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분자량도 공지이기 때문에 공중합 시에 이용한 각 물질의 양이 불명료해도 이들의 정보를 토대로 공중합체의 폴리비닐알코올 및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중량비를 산출할 수 있다.
공중합의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에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를 첨가하고, 가온하여 용해하며, 이어서 상기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적어도 1종과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공중합시켜서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온 교환수에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를 분산시키고, 90?100℃에서 완전 용해시킨 후, 상기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적어도 1종을 첨가하여 질소 치환하고,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2?5시간 정도 반응시키면 좋다. 물에 첨가하는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 및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중량비에 의하여 상기 (A)의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 및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중량비가 결정된다. 따라서, 물에 첨가하는 중량비는 상기 (A)의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에 있어서의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 및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해당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등의 무기 과산화물, 과아세트산이나 tert-부틸하이드록시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이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로서,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POVACOAT(등록 상표) Type F(다이도 가세이 공업(주)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2)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로서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를 에스테르화 또는 에테르화한 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일본 약국방(japanese pharmacopoeia)에서는 히프로멜로스(hypromellose)라 불린다. 이하, “HPMC”라고도 한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이하, “HPC”라고도 한다), 메틸셀룰로오스(이하, “MC”라고도 한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이하, “HEC”라고도 한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고, 2종 이상 이용해도 좋다.
특히, HPMC 및 HPC는 부착성을 저감하는 효과가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계 고분자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이루는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000?200000g/mol 정도, 바람직하게는 20000?50000g/mol 정도이다. 10000g/mol 이상이면 부착성 저감 효과나 건조 효율 향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200000g/mol 이하이면, 코팅 용액의 점도 상승에 의한 작업 상의 불합리가 발생할 염려가 적다. 또한, 해당 중량평균분자량은 GPC법에 의해 측정된다.
또, 셀룰로오스계 고분자의 에스테르화 또는 에테르화의 정도는 본원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은 되지 않는다. 특히, HPMC를 이용하는 경우, 도입되어 있는 치환기의 비율이 셀룰로오스의 전체 수산기를 100%로 한 경우, 메톡시기 19?33%, 히드록시프로폭시기가 4?12%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톡시기가 28?30%, 히드록시프로폭시기가 7?1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는 공지이거나 공지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하며, 시판품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신에츠 화학 공업 주식회사나 니혼 소다 주식회사 등으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팅용 조성물이 구비하는 방습 성능을 유지하면서 코팅 속도를 높여서, 코팅 제제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이루어진다.
(3) 코팅용 조성물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은 상기 (A)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의 존재 하, 적어도 1종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 및 상기 (B)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와 (B)의 비율은 본 발명의 효과가 이루어지는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량비로 (A):(B)=1:0.02?2.5, 바람직하게는 1:0.05?2.3,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7 정도이다. (B)의 (A)에 대한 비율이 0.02 이상이면, 부착성이 저감되어 생산성의 개선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2.5 이하이면, 방습 기능 저하의 염려가 적다. 특히, 0.7 이하이면, 방습 기능 저하의 염려가 보다 적다.
또,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A)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의 양도 본 발명의 효과가 이루어지는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30?98중량%, 바람직하게는 60?90중량% 정도이다. 약 98중량% 이하이면, 생산성 개선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약 30중량% 이상이면, 방습 기능 저하의 염려가 적다.
또,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에 있어서의 (B) 셀룰로오스계 고분자의 양도 본 발명의 효과가 이루어지는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조성물 전체량에 대해 고형분 환산으로 2?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40중량% 정도이다. 약 2중량% 이상이면, 생산성 개선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약 70중량% 이하이면, 방습 기능 저하의 염려가 적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형태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A) 및 (B)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이어도 좋고, (A) 및 (B)를 용매에 첨가하여 얻어지는 조성물 등이어도 좋다. 즉, (A), (B) 및 용매를 혼합한 조성물 등이어도 좋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친수성 유기 용매,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친수성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에탄올 등의 알코올, 글리세린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물과 친수성 유기 용매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친수성 유기 용매의 중량비 1:0.1?10 정도를 예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의약, 동물약, 농약, 비료, 식품 등으로의 실제의 적용에 있어서는, 코팅 조성물은 수성 용액, 수성 분산액, 유기 용매 용액 또는 유기 용매 분산액의 형태로 살포, 분무 등의 수단에 의해 코팅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용매 및 (A) 및 (B)의 중량비는 (A) 및 (B)의 합계 중량을 1로 한 경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5?5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정도를 예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가 이루어지는 범위에서 (A) 및 (B) 이외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응집 방지제, 색소, 가소제, 활택제, 교미제(矯味劑),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탤크, 스테아린산마그네슘, 각종 식용 색소, 아스파르테임, 수크랄로스, 아세설팜 K, 스테비아 등의 각종 고감미도 감미료, 민트 플레이버, 각종 프루트 플레이버, 쵸콜릿 플레이버, 커피 플레이버, 홍차 플레이버, 바닐라 플레이버 등의 각종 향료류, 각종 아미노산류,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유산, 글리콘산, 타르타르산, 아세트산, 무수 아세트산, 아디핀산,말레인산, 푸말산, 아스코르빈산, 알긴산, 글루콘산, 니코틴산 등의 각종 유기산이나 그들의 염 등을 예시할 수 있고,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의 코팅의 수법으로서는, 도포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스프레이, 침적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프레이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레이 도포는 공지의 장치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 코팅 장치, 드럼 타입 코팅 장치, 유동 코팅 장치에 의한 통상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이어도 좋다. 이들은 통기식의 코팅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범용되는 유동층 코팅 장치, 전동 유동 코팅 장치, 정제 코팅 장치, 전자동식 코팅 장치 등을 적용 대상으로 되는 제형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유동층 코팅 장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분류(噴流)층 코팅 장치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의 적용 대상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고형 제제, 건강 식품, 식품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은 고형 제제의 코팅에 가장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고형 제제로서는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산제, 환제, 캡슐제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은 정제의 필름 코팅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은 코팅의 부착성을 저감하고, 코팅 속도를 높여서, 코팅 제제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팅 조성물이 갖는 특성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방습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의약, 동물약, 농약, 비료, 식품 등의 불쾌취의 마스킹 효과를 갖고 있다. 그와 같은 불쾌취로서는 예를 들면, 의약(예를 들면, L?시스테인, 염산티아민, 메티오닌, 소화효소 제제, 각종 생약류) 또는 농약 유래의 독특한 불쾌취 또는 자극취(pungent smell), 나아가서는 각종 식품 유래의 불쾌취(예를 들면, 어취(fish odor), 레토르트취(retort odor), 수육취(獸肉臭) 등)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악취의 억제에 효과적이다. 또, 의약, 식품 등의 쓴맛의 마스킹 효과도 갖고 있다. 쓴맛을 나타내는 의약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세트아미노페논, 염산피리독신, 무수카페인, 클로르프로마진, 에리트로마이신, 페노바르비탈, 염산프로메타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타제와의 상호 작용이 염려되는 불안정한 의약, 예를 들면, 혼합에 의하여 융점 강하를 발생시키는 이소프로필안티피린과 아세트아미노페논이나 혼합에 의하여 변색하는 페닐프로판올아민과 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 등에 대하여,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적용함으로써 그와 같은 상호 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산소 투과 방지 효과도 갖기 때문에 산화 분해를 받기 쉬운 의약(예를 들면, 아스코르빈산, 비타민 A, 비타민 E 등), 동물약, 농약, 비료, 식품의 코팅에 유용하다.
(4) 코팅 제제
본 발명의 코팅 제제는 고형 제제 등의 표면에 상기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이 피복된 제제이다.
고형 제제로서는, 의약, 동물약, 농약, 비료, 식품 등의 고형 제제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일본 약국방 제 15 개정 제제 총칙 기재의 고형 제제,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산제, 환제, 캡슐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고형 제제는 제제학상 통상 이용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제의 경우, 직접 분말 압축법, 건식 과립 압축법, 반건식 과립 압축법, 또는 습식 과립 압축법 등이 있다.
고형 제제를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로 피복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제제학상 통상 이용되는 방법으로 피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팬 코팅법, 유동층 코팅법, 전동 유동층 코팅법 등이 있다.
또,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의 피복량은 제제의 크기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데, 코팅 전의 제제 중량에 대한 코팅용 조성물의 중량%로 통상 1?100% 정도, 특히, 2?50% 정도이다.
또, 본 발명의 제제 중에 충전되는 의약품도 본 발명의 효과가 이루어지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자양 강장 보건약, 해열 진통 소염약, 향정신약, 항불안약, 항우울약, 최면 진정약, 진경약(spasmolytic), 중추신경 작용약, 뇌대사 개선제, 뇌순환 개선제, 항간질제, 교감신경 흥분제, 위장약, 제산제, 항궤양제, 진해거담제, 진토제, 호흡 촉진제, 기관지 확장제, 알레르기용 약, 치과 구강용 약, 항히스타민제, 강심제, 부정맥용제, 이뇨약, 혈압 강하제, 혈관 수축약, 관혈관 확장약, 말초혈관 확장약, 고지혈증용제, 이담제, 항생물질, 화학요법제, 당뇨병용제, 골다공증용제, 항류마티즘약, 골격근 이완약, 진경제, 호르몬제, 알카로이드계 마약, 설파제, 통풍 치료약, 혈액 응고 저지제, 항악성종양제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제에는 상기 의약품 이외에도 고형 제제에 이용되는 공지의 첨가제, 예를 들면, 응집 방지제, 색소, 가소제, 활택제, 교미제, 향료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제제는 생산성이 향상되어 있는 것과 함께, 폴리비닐알코올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팅액에 의해 코팅된 제제의 특성도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방습 성능이 우수해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도 구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의하여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1. 코팅용 조성물
실시예 A
냉각 환류관, 적하 깔때기, 온도계, 질소 도입관 및 교반 장치를 부착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폴리비닐알코올(EG05, 평균 중합도 500, 비누화도 88%, 일본 합성 화학제) 175.8g, 이온 교환수 582.3g을 넣고, 상온에서 분산시킨 후, 95℃에서 완전 용해시켰다. 이어서, 아크릴산 5.4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7.3g을 첨가하고, 질소 치환 후 50℃까지 승온한 후, 터셔리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8.5g, 에리소르빈산나트륨 8.5g을 첨가하여 4시간으로 반응을 종료시켰다. 이것을 건조ㆍ분쇄하여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분말)를 얻었다. 이하, 해당 폴리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PVA 공중합체라고도 표기한다. 해당 PVA 공중합체는 (폴리비닐알코올:메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의 중합비가 대략 (80:17.5:2.5)이다. 해당 PVA 공중합체 4.75g과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TC?5R(등록 상표), 신에츠 화학 공업(주)제, 중량평균분자량 35600g/mol) 0.25g을 62.5g의 정제수에 용해시켜서 코팅액을 제작했다. 또한, 이용한 해당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도입되어 있는 치환기의 비율이 셀룰로오스의 전체 수산기를 100%로 한 경우, 메톡시기 약 29%, 히드록시프로폭시기 약 10%이다.
실시예 B
PVA 공중합체의 양을 4.75g에 대신하여 4.5g으로 하고, HPMC의 양을 0.25g에 대신하여 0.5g으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코팅액을 제작했다.
실시예 C
PVA 공중합체의 양을 4.75g에 대신하여 4.25g으로 하고, HPMC의 양을 0.25g에 대신하여 0.75g으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코팅액을 제작했다.
실시예 D
PVA 공중합체의 양을 4.75g에 대신하여 4.0g으로 하고, HPMC의 양을 0.25g에 대신하여 1.0g으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코팅액을 제작했다.
실시예 E
PVA 공중합체의 양을 4.75g에 대신하여 3.5g으로 하고, HPMC의 양을 0.25g에 대신하여 1.5g으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코팅액을 제작했다.
실시예 F
PVA 공중합체의 양을 4.75g에 대신하여 2.5g으로 하고, HPMC의 양을 0.25g에 대신하여 2.5g으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코팅액을 제작했다.
실시예 G
PVA 공중합체의 양을 4.75g에 대신하여 1.5g으로 하고, HPMC의 양을 0.25g에 대신하여 3.5g으로 하는 이외는, 실시예 A와 마찬가지로 하여 코팅액을 제작했다.
실시예 H
PVA 공중합체 4.0g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NISSO HPC?L(등록 상표), 니혼 소다(주)제) 1.0g을 62.5g의 정제수에 용해시켜서 코팅액을 제작했다.
비교예 A
PVA 공중합체 5.0g을 62.5g의 정제수에 용해하여 코팅액을 제작했다.
비교예 B
HPMC(TC?5R(등록 상표), 신에츠 화학 공업(주)제, 중량평균분자량 35600g/mol) 5.0g을 62.5g의 정제수에 용해하여 코팅액을 제작했다.
2. 코팅 방법
드래프트 튜브 부착 분류층 코팅 장치(Grow Max 140 후지 파우달(주)제)를 이용하여 정제 직경 ø8.1㎜, 중량 195㎎의 비코팅 정제 50g에 코팅을 실시했다.
코팅 조건은 이하와 같다.
급기 온도 60℃, 급기 풍량 0.96㎥/분, 배기 온도 45℃, 스프레이 공기압 0.08㎫, 드래프트 튜브 높이 140㎜.
3. 코팅 속도의 평가
실시예 A?G 및 비교예 A의 코팅액을 이용하여 상기 정제에 코팅할 때의 속도의 비교 검토를 실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코팅액이 없어진 시점에서 코팅 종료로 했다.
결과는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서 육안에 의해 판단했다. 또한, “응집”이란, 정제끼리가 부착되어 2 이상의 정제로 이루어지는 덩어리가 형성된 상태를 말한다.
○: 정제의 부착이 없고, 스무드한 코팅이 가능.
△: 정제가 드래프트 튜브 내벽에 때때로 부착되고, 약간 응집이 일어나거나, 또는 응집률 10% 이하이다. 여기에서, 응집률이란, 전체 정제의 중량 중, 정제가 2개 이상 붙어 있는 것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 정제가 드래프트 튜브 내벽에 잇달아 부착되고, 응집이 발생한 정제가 움직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코팅이 불가능.
또, 표 1에 있어서, PVA 공중합체: HPVC 또는 HPC로서 기재한 비율은 중량비에 의한 PVA 공중합체에 대한 HPMC 또는 HPC의 대략의 비율을 나타낸다.
코팅액 속도
[mL/min]
비교예
A
PVA 공중합체만
실시예 A
PVA 공중합체:HPMC=1:0.05
실시예 B
PVA 공중합체:HPMC=1: 0.1
실시예 C
PVA 공중합체:HPMC=1: 0.18
실시예 D
PVA 공중합체:HPMC=1: 0.25
실시예 E
PVA 공중합체:HPMC=1: 0.43
실시예 F
PVA 공중합체:HPMC=1: 1
실시예 G
PVA 공중합체:HPMC=1: 2.3
실시예 H
PVA 공중합체:HPC=1: 0.25
0.7
1.0
1.2
1.3 × ×
1.4 × ×
1.7 × × × ×
1.9 × × × × ×
2.3 × × × × × ×
2.4 × × × × × × ×
2.7 × × × × × × ×
3.4 × × × × × × × ×
표 1의 비교예 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포함하지 않는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코팅 속도를 올리면 정제의 응집이나 장치 내로의 부착이 발생하여, 코팅 속도를 올리는 것이 곤란했다.
이에 대해, PVA 공중합체와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병용한 코팅액을 이용한 경우에는, 코팅 시의 응집이 억제되어, 코팅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D에서는 비교예 A의 2배 이상, 실시예 F에서는 비교예 A의 3배 이상의 속도로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A에서는 양호한 외관의 필름 코팅정이 얻어지기까지의 코팅 시간은 100분이었다. 즉, 비교예 A를 이용하여 정제의 응집이나 장치 내로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코팅을 실시하기 위해(즉, 양호한 외관의 필름 코팅정을 얻기 위해)서는, 스프레이하는 코팅액 속도를 억제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코팅 종료까지 100분 정도 걸렸다.
한편, 실시예에 있어서, 양호한 외관의 필름 코팅정을 얻기까지의 코팅 시간은, 실시예 B는 65분, 실시예 D는 45분, 실시예 F에서는 30분 정도이었다. 즉, 실시예를 이용한 경우, 스프레이하는 코팅액 속도를 올려도 정제의 응집이나 장치 내로의 부착이 발생하지 않도록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교예 A를 이용한 경우보다도 빨리 코팅을 종료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상기의 각 예의 제조 방법의 기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팅에 이용한 각 예의 액량은 대략 동량(同量)이다.
이와 같이, PVA 공중합체와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병용한 본 발명의 코팅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코팅정의 생산성을 훨씬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코팅정의 방습 기능의 평가
상기 실시예 A?H 및 비교예 A?B의 코팅액을 이용해서 코팅한 코팅정에 대하여, 40℃의 건조기에서 2일간 건조시킨 후, 25℃ 75% RH(상대 습도)의 조건 하에서 보존하고, 각 시간 경과 후의 정제의 함수율의 증가를 중량 변화로부터 산출했다.
HPMC의 배합량의 차이에 의한 코팅정의 흡습 속도의 차이를 해석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또, 코팅정에 포함되는 성분의 차이에 의한 코팅정의 흡습 속도의 차이를 해석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Δ수분량(%)”는 함수율의 증가 비율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건조 직후의 각 코팅정의 중량을 100%로 했을 때의 중량 증가 비율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코팅액으로 코팅된 정제는 PVA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이용한 비교예 A의 코팅액으로 코팅한 정제와 동등하게 흡습 속도가 늦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HPMC에 대신하여 HPC를 이용한 경우에도 동등하게 흡습 속도가 늦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배합해도 PVA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코팅 조성물이 갖는 우수한 방습 기능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A)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의 존재 하, 적어도 1종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B)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성 비닐 단량체가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또는 그 염류, 및 불포화 카르복시산의 에스테르류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코팅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성 비닐 단량체가 하기 화학식 (1):
    H2C=C(R1)-COOR2 (1)
    [식 중,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1?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인
    코팅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A)의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폴리비닐알코올 및/또는 그 유도체의 존재 하,
    (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들의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및 알킬아민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Ⅱ)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중합성 비닐 단량체를 중합 또는 공중합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코팅용 조성물.
  5. 제 5 항에 있어서,
    (Ⅱ)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코팅용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셀룰로오스계 고분자가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용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와 (B)의 비율이 중량비로 (A):(B)=1:0.02?2.5 정도인
    코팅용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 제제에 코팅한
    코팅 제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 제제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코팅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코팅용 조성물을 고형 제제에 도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고형 제제를 코팅하는 방법.
KR1020127008187A 2009-08-31 2010-08-31 코팅용 조성물 Withdrawn KR201200833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00248 2009-08-31
JP2009200248 2009-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364A true KR20120083364A (ko) 2012-07-25

Family

ID=4362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187A Withdrawn KR20120083364A (ko) 2009-08-31 2010-08-31 코팅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57580A1 (ko)
EP (1) EP2474324A4 (ko)
JP (1) JP5730205B2 (ko)
KR (1) KR20120083364A (ko)
CN (1) CN102470177A (ko)
WO (1) WO20110250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104A1 (ko) * 2018-03-28 2019-10-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출 제어형 비료
KR20190113575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출 제어형 비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34610B2 (ja) * 2011-08-30 2016-06-15 第一三共ヘルスケア株式会社 イブプロフェンを含有する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製剤
US20150041729A1 (en) * 2012-02-23 2015-02-12 Zeon Corporation Aqueous electroconductive paste for fuel cell separator
JP6227352B2 (ja) * 2012-09-27 2017-11-08 株式会社三和化学研究所 アナグリプチン又はその塩を含有する固形製剤
JP6563415B2 (ja) * 2014-11-05 2019-08-21 日本酢ビ・ポバール株式会社 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組成物並びに経口固形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56208A (ja) * 2016-01-15 2016-04-21 日本酢ビ・ポバール株式会社 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組成物並びに経口固形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CA3062104A1 (en) 2017-06-15 2018-12-20 Kemira Oyj Barrier coating composition, sheet-like product and its use
CN109232795A (zh) * 2018-09-21 2019-01-18 佛山市森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型高韧性包衣材料的制备方法
JP7541319B2 (ja) 2019-04-18 2024-08-28 共和薬品工業株式会社 吸湿性成分を含むコーティング錠
JP7165626B2 (ja) * 2019-06-06 2022-11-0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を行う錠剤向けの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これを用いた水性インクによる印字を有する錠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7598213B2 (ja) 2020-08-07 2024-12-11 キョーリンリメディオ株式会社 ラメルテオン含有被覆錠
CN114699448A (zh) * 2022-03-21 2022-07-05 广东省惠州市中药厂有限公司 糖衣片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5347A (en) * 1978-06-17 1985-06-25 Kowa Company Limited Antiinflammatory analgesic gelled ointment
JPS63258966A (ja) * 1987-04-15 1988-10-26 Toyo Ink Mfg Co Ltd 高親水性塗料
JPH02105873A (ja) * 1988-10-14 1990-04-18 Toyo Ink Mfg Co Ltd 高親水性塗料
FR2698560B1 (fr) * 1992-11-30 1995-02-03 Virbac Laboratoires Principes actifs pulvérulents stabilisés, compositions les contenant, leur procédé d'obtention et leurs applications.
JPH07188585A (ja) * 1993-12-27 1995-07-25 Kobe Steel Ltd 微細繊維含有親水化処理剤および該処理剤によって処理された熱交換器用AlまたはAl合金製フィン材
JP3379190B2 (ja) * 1994-01-27 2003-02-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親水性被覆の形成された表面被覆物および親水性付与のための表面被覆用組成物
JP2959423B2 (ja) * 1994-12-01 1999-10-06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カプセル用皮膜組成物
US6419956B1 (en) * 1999-12-30 2002-07-16 Ancile Pharmaceuticals Odor-masking coating for a pharmaceutical preparation
JP4596732B2 (ja) * 2000-08-29 2010-12-15 日新化成株式会社 硬カプセル
JP2002316928A (ja) * 2001-04-17 2002-10-31 Lion Corp コーティング錠及びコーティング錠のはがれを防止する方法
KR100439156B1 (ko) * 2001-07-05 2004-07-05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약물 방출 스텐트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US8277844B2 (en) * 2003-08-20 2012-10-02 Shionogi & Co., Ltd. Coating composition
US20080014271A1 (en) * 2006-07-13 2008-01-17 Ucb, S.A.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levetiracetam
JP5047572B2 (ja) * 2006-09-21 2012-10-10 京都薬品工業株式会社 臭いの防止された固形医薬製剤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固形医薬製剤
CN101657216B (zh) * 2007-04-20 2012-11-21 大同化成工业株式会社 干式固体分散体用基剂、含有该基剂的固体分散体及含有该分散体的组合物
JP2009023943A (ja) * 2007-07-19 2009-02-05 Kyoto Pharmaceutical Industries Ltd 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方法
TW200927197A (en) * 2007-10-29 2009-07-01 Daiichi Sankyo Co Ltd Film coated prepar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0104A1 (ko) * 2018-03-28 2019-10-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출 제어형 비료
KR20190113575A (ko) *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출 제어형 비료
US11332413B2 (en) 2018-03-28 2022-05-17 Lg Chem, Ltd. Controlled-release fertiliz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4324A1 (en) 2012-07-11
JP5730205B2 (ja) 2015-06-03
US20120157580A1 (en) 2012-06-21
EP2474324A4 (en) 2013-08-28
WO2011025035A1 (ja) 2011-03-03
WO2011025035A9 (ja) 2011-06-23
CN102470177A (zh) 2012-05-23
JPWO2011025035A1 (ja) 201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3364A (ko) 코팅용 조성물
JP4680061B2 (ja) 新規コーティング組成物
RU2528095C2 (ru) Системы пленочного покрытия для препаратов с немедлен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создающие усиленный барьер от влаги, и субстраты с таким покрытием
JP5416586B2 (ja) コーティング製剤の製造方法
HU204188B (en) Process for coating pharmaceutical products
US20110054043A1 (en) Film composition
EP2437734A2 (de) Oral zerfallende dosierungsformen enthaltend geschmacksmaskierte wirkstoffe
EA021784B1 (ru)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 длительным высвобождением
KR102490265B1 (ko) 히프로멜로오스아세트산에스테르숙신산에스테르 및 제조 방법
CN102137663B (zh) 抑制变色的稳定的药物制剂
JP2003514778A (ja) 食用mcc/pga被覆組成物
EP1954770A1 (en) Aqueous film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alginate and preparation thereof
EP1334732B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of n-[2-(1,6,7,8-tetrahydro-2h-indeno[5,4 b]furan-8-yl)ethyl]propionamide coated with a copolyvidone-containing coating free of polyethylene glycol
CN102665688A (zh) 用于药物剂型的稳定保护性包衣
TWI414295B (zh) 具優異產品性能及病患順服性之醫藥組合物
JP5705206B2 (ja) 硬カプ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96220B2 (ja) フィルムコーティング液並びに経口固形製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0763B2 (ja) 緩衝処理されたマトリツクスアスピリン錠剤
CN113476420B (zh) 一种盐酸二甲双胍缓释片剂及其制备方法
JP2014118473A (ja)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Schmitt et al. Cellulose Ethers: Applications
JPH04264023A (ja) 持続性カプセル製剤
KR20240012091A (ko) 필름 코팅 기제로서 부분가수분해 구아검을 포함하는 정제 필름 코팅 조성물
JP5782312B2 (ja)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