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80069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069A
KR20120080069A KR1020110001520A KR20110001520A KR20120080069A KR 20120080069 A KR20120080069 A KR 20120080069A KR 1020110001520 A KR1020110001520 A KR 1020110001520A KR 20110001520 A KR20110001520 A KR 20110001520A KR 20120080069 A KR20120080069 A KR 20120080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icon
icons
voice
recognition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희섭
박승권
장종혁
최찬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1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069A/ko
Priority to EP12150109A priority patent/EP2474973A1/en
Priority to US13/344,633 priority patent/US20120176313A1/en
Publication of KR20120080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069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04N21/4415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using bi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user, e.g. by voice recognition or fingerprint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음성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부여된 서로 다른 식별자를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해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임의의 식별자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한다. 이에 따라, 효과적인 음성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VOIC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성 입력을 통해서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또한, TV나 휴대폰 등과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전자기기에 대해서도, 사용자가 좀 더 편리하고 좋은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점차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음성 인식 기술이 있을 수 있다. 음성 인식 기술이란, 사용자가 손으로 리모콘이나 본체 키를 조작하여 기기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특정한 음성 명령어들을 발음하면 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술은 네비게이션이나 휴대폰 등과 같이 다양한 기술군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음성 인식 기술이 적용되는 종래의 전자기기는, 특정한 몇 가지 음성 명령어에 대해서만 인식이 가능하다. 따라서, 음성 명령어의 개수가 많은 경우 사용자가 쉽게 이를 알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성 명령어의 길이가 길거나 발음이 어려운 경우에는 인식률도 떨어져서, 같은 명령어를 수차례 반복 발음하여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을 수 있다.
특히, 최근 출시되는 제품들의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다운로드받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신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대응되는 음성 명령어를 사용자가 알기 어렵기 때문에, 음성 인식 기술에 대한 활용도가 떨어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식별자를 부여함으로써,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부여된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임의의 식별자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 입력이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대하여 부여할 수 있다.
또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션을 인식하기 위한 모션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모션이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부여할 수 있다.
또는,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부여되는 서로 다른 숫자 또는 문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화면상에서 기 설정된 위치로부터의 각 아이콘의 배치 위치, 방향, 또는 거리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부여된 숫자 또는 문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음성 인식 모드 상태에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환되는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에 대하여 상기 기준에 따른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아이콘부터 사용빈도가 낮은 아이콘 순서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상기 식별자로 부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성 제어 방법은,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부여되는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해 표시하는 단계, 임의의 식별자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탐색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키워드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모션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모션이 인식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식별자는, 화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부여되는 서로 다른 숫자 또는 문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식별자는, 상기 화면상에서 기 설정된 위치로부터의 각 아이콘의 배치 위치, 방향 또는 거리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부여된 숫자 또는 문자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음성 제어 방법은, 상기 음성 인식 모드 상태에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에 대하여 상기 기준에 따른 식별자를 부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 중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아이콘부터 사용빈도가 낮은 아이콘 순서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부여되는 숫자 또는 문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상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서버로부터 신규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면,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되는 신규 아이콘을 상기 화면에 추가하는 제어부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음성 입력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 상기 신규 아이콘 및 상기 아이콘에 대하여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식별자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임의의 식별자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 상에 표시되는 각 아이콘에 대하여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식별자가 부여되며, 사용자가 해당 식별자를 발음하면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어 그 기능이 수행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성 인식 기술을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 내지 도 8은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였을 때의 화면 표시 변경을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성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휴대폰, PDA, 전자 액자, 태블릿 PC, PC, 노트북 PC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어플리케이션이나 위젯 프로그램 등의 설치가 용이한 스마트 TV나, 스마트 폰과 같은 제품으로 구현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음성 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음성 입력부(110)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입력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제어부(130)로 제공한다.
음성 입력부(110)는 다양한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 입력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음성 입력부(110)의 내부 구성은 그 사용되는 기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일 예로, 단어 인식 기술이 사용된다면, 음성 입력부(110)는 음성 입력을 수집하는 마이크부, 수집된 음성 입력을 분석하는 분석부,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음운을 인식하는 음운 인식부, 인식된 음운을 이용하여 단어를 인식하는 단어 인식부, 인식된 단어를 제어부로 제공하는 처리부(이상, 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는, 수신된 음성 입력 신호에 대해 약 20~30㎳의 짧은 구간마다 주파수분석 또는 선형예측분석과 같은 수학적인 변환 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징 벡터 계열의 신호를 출력한다.
인식부는, 출력되는 신호의 특징을 이용하여 세그먼테이션(segmentation)을 수행하여, 음성 신호의 각 구간을 하나의 단위로 하여 모음 및 자음을 인식한다. 인식 결과는 음운 래티스(phoneme lattice) 형태로 단어 인식부로 제공될 수 있다.
단어 인식부는 단어의 음형이 기록되어 있는 단어 사전을 참조하여, 음운 래티스를 단어 래티스로 변환한다. 단어 사전은 음성 입력부(110) 내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에 마련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처리부는, 단어 래티스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의미적으로 정합되는 단어열을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음성 입력부(110)의 구성 및 동작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이며, 다른 음성 인식 기술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술은 공지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아이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된 각종 어플리케이션이나 위젯 프로그램 등에 대한 아이콘일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각종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 그림, 텍스트 등), 파일, 폴더 등에 대한 아이콘일 수도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가지는 각종 기능에 대한 메뉴 아이콘일 수도 있다. 그 밖에, 사진 등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도 아이콘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의 표시 위치나 형태 등을 변경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각종 아이콘들을 그 생성 순서나 위치, 기능 등과 같은 다한 정렬 기준에 따라 정렬 표시할 수도 있고, 자신이 임의대로 위치를 설정하여 설정된 위치에 표시되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아이콘의 형태 역시 디폴트로 정해진 아이콘이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고, 별도로 사용자가 선택한 아이콘 형태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되거나, 절전 모드에서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기 설치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컨텐츠 등에 대한 아이콘을 GUI 이미지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와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기타 컨텐츠를 유료 또는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신규 데이터들에 대해서도 대응되는 아이콘이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신규 아이콘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20)는 각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에 대한 아이콘을 디폴트 아이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아이콘으로 단순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하여 각 아이콘에 대하여, 해당 아이콘을 음성으로 선택하기 위한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식별자는 숫자나, 문자, 기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화면 상의 각 아이콘에 대해서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식별자를 부여한다. 여기서의 기준은 아이콘의 표시 위치, 사용 빈도, 생성 순서 등과 같이 다양한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식별자를 부여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일단 각 아이콘들의 화면 상에서의 위치값을 확인한다. 위치값으로는 GUI 구조 상에서의 격자 좌표가 사용될 수 있다. 각 아이콘들은 격자 위치에 따라 상대적인 위치값을 가지게 된다.
제어부(130)는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 각 아이콘들의 상대적 위치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나 문자를 표시한다. 숫자의 경우에는 "0, 1, 2, 3, .... n" 과 같은 순서로 부여될 수 있고, 문자의 경우 "a, b, c, ... , z" 또는 "ㄱ, ㄴ, ㄷ, .... ㅎ"과 같은 순서로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콘의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식별자가 부여되게 되면, 추후에 아이콘이 신규 생성되어 화면 상에서 임의의 위치에 표시되더라도, 그 위치에 따라 적절한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중구난방으로 표시되는 각 아이콘들에 대해서도, 편리하게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선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성입력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제어부(130) 이외에 모션 인식부(140) 및 입력부(1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인식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의 움직임, 즉, 모션을 인식하여, 그 인식 결과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모션 인식부(140)는 CMOS 등과 같은 촬상 소자나, 3차원 depth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모션 정보와 임계 수준 이상으로 일치하는 모션이 인식되면, 그에 대응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본체나 리모트 컨트롤러에 구비된 키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구성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 모드로 동작하다가 사용자에 의해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모드로의 전환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모션 인식부(140)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모션 인식 모드로 전환하도록 기 설정해 둔 모션을 취하여, 모션 인식 모드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임의의 모션을 취하게 되면, 모션 인식부(140)는 그 모션을 인식하여, 인식 결과를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하도록 하는 모션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그 모션이라고 판단되면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각 아이콘에 대해 식별자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모션의 예로는, 손을 흔드는 모션, 손을 앞쪽으로 미는 모션, 손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모션, 손을 드는 모션, 손으로 원과 같은 특정한 패턴을 그리는 모션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모션 인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하여 별도로 마련된 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본체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에 마련된 키를 선택하면,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선택 신호가 입력되고, 제어부(130)는 이에 따라 바로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음성 입력부(110)를 통해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여, 음성 인식 모드로 진입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디폴트 또는 자신이 임의로 설정한 키워드를 발음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10)는 일반 모드에서 동작 중일 때에도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를 발음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키워드 발음이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130)는 바로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식별자를 부여한 후, 부여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아이콘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한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출력한다. 상술한 부분에서는 제어부(130)가 GUI 아이콘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GUI 생성유닛이나 각종 신호 처리 유닛이 디스플레이부(120)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부(150), 모션 인식부(140)는 실시 예에 따라서는 별개로 또는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 밖에, 도 2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TV 등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튜너부, 복조부, 디코더부, 스케일러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 음성 인식 모드에서의 화면 표시 >
도 3은 일반 모드에서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의 화면 변경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10) 상에는 복수의 아이콘들(20-1, 20-2, ..., 20-12)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아이콘들은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실행 아이콘, 바로 가기 아이콘, 폴더 또는 파일 아이콘, 컨텐츠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되면, 화면(10) 상의 각 아이콘에는 도 3의 우측 도면과 같이 식별자가 부여되어 표시된다. 도 3에서는 숫자가 식별자로 사용되었으며, 화면의 좌상측 모서리를 기준으로 우측 및 하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숫자가 증가되어 1 내지 12의 숫자가 각 아이콘에 부여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자는 숫자 이외에 알파벳이나 한글 자음 등과 같은 문자, 기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식별자의 표시 위치는 각 아이콘과 겹치지 않고, 각 아이콘의 일측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4는 a, b, c, ..., k, l과 같은 알파벳이 각 아이콘의 일측에 표시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아이콘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매트릭스 형태로 정렬 표시될 수도 있지만, 수직 라인이나, 수평 라인, 또는 랜덤한 패턴으로 정렬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다양한 형태로 정렬된 아이콘 및 그에 대한 식별자 부여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아이콘들은 수평 라인으로 정렬된 상태이다. 이 경우, 숫자가 식별자로 사용된다면, 좌측 부터 우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0, 1, 2, 3)를 부여할 수 있다.
도 6은 수직 라인으로 정렬된 아이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의 경우에도 숫자가 식별자로 사용된다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0, 1, 2, 3)를 부여할 수 있다.
도 7은 랜덤 패턴으로 정렬된 아이콘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의 경우에도 숫자가 식별자로 사용된다면, 화면상에서 좌 상측 모서리 부분부터 우측 방향으로 가장 근거리에 있는 아이콘들에 대해 순차적으로 숫자를 부여하고, 우측 방향으로 더 이상의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하측 라인의 최 좌측부터 다시 우측 방향으로 아이콘들에 대해 숫자를 부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아이콘이 다양한 위치에 표시되더라도, 명확한 기준에 따라 식별자가 부여되기 때문에,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등으로부터 신규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되어 아이콘이 신설되더라도, 적절한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복수의 아이콘 및 그 아이콘에 대한 식별자가 부여된 상태에서, 다음 페이지로 전환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8에 따르면, 총 9개의 아이콘이 정렬되고, 각 아이콘에 대해서는 1 ~ 9의 식별자가 부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를 입력하면, 그에 따라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에 대한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8과 같이 전환된 페이지에는 그 페이지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들이 표시되며, 새로이 표시되는 아이콘들에 대해서는 다시 식별자가 부여된다. 이 때, 1 ~ 9 다음으로 이어지는 10 부터의 숫자가 식별자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그와 달리, 새로운 페이지에서는 새로이 1부터 다시 숫자가 부여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상측 모서리부터 우측 및 하측 방향으로 1, 2, 3, 4, 5와 같은 숫자가 각 아이콘에 부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표시된 페이지에 나타난 식별자를 발음하여,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아이콘이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아이콘이면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반면, 각종 컨텐츠에 대한 아이콘이면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사진 등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이면 썸네일 이미지에 대한 원본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파일이나 폴더 아이콘이 선택되면, 그 파일이나 폴더를 오픈하여 그 저장된 내용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상태만을 표시하였으나, 하나의 아이콘만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도 식별자가 부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식별자는 반드시 좌 상측 모서리부터 우측 및 하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숫자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이와 다른 위치에서 다른 방향으로 부여되는 숫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아이콘의 위치를 기준으로 식별자를 부여하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아이콘의 사용 빈도나 생성 순서를 기준으로 식별자를 부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많이 사용하는 아이콘일수록 작은 숫자의 식별자를 부여하고, 잘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일수록 높은 숫자의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다. 또는, 먼저 생성된 아이콘일수록 작은 숫자의 식별자를 부여하고, 나중에 생성된 아이콘에 대해서는 높은 숫자의 식별자를 부여할 수도 있다. 숫자의 배열 순서는 반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상과 같이 사용 빈도나 생성 순서 등을 기준으로 식별자를 부여할 경우, 식별자의 순서가 불규칙적으로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다시 식별자의 순서에 맞게 전체 아이콘 또는 해당 페이지 내의 아이콘들을 재정렬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음성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S910),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S920),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각 아이콘에 대해 식별자를 표시한다(S930).
음성 인식 모드의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성으로 키워드를 발음하거나, 특정한 모션을 취하는 경우, 또는 음성 인식 모드 진입을 위한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 등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식별자란 음성 입력을 위하여 정해진 것으로, 다르게는 음성 명령어, 음성 인식 명령어 등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식별자로는 숫자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 알파벳이나 한글 자음과 같은 문자가 사용될 수도 있고, 그 밖의 기호도 사용될 수 있다. 숫자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그 숫자가 점차 증가하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숫자를 부여할 수 있고, 문자의 경우에는 문자 순서대로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문자인 경우에는 알파벳 순서에 따라 a 부터 z까지 순차적으로 식별자로 활용될 수 있다.
식별자의 표시 방식이나, 순서 등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 별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자까지 함께 아이콘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하여, 식별자를 발음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임의의 식별자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S940), 그 입력된 식별자와 동일한 식별자가 현재 화면에 표시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음성 입력에 대해서는, 그 발음 상태를 분석하여 음운을 인식하고, 그 음운을 포함하는 단어를 인식하여, 인식된 단어와 임계 수준 이상으로 유사한 식별자가 존재하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식별자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다시 사용자가 음성을 입력하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
반면, 식별자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해당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그 아이콘에 매칭된 기능을 수행한다(S950).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9에서는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된 상태에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그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에 대하여 새로이 식별자를 부여하여, 표시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식별자를 자체적으로 부여하여 아이콘과 함께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는 화면에 보여지는 식별자를 발음만 하더라도 음성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종 메뉴들에 대한 다양한 음성 인식 명령어들을 사용자가 매뉴얼등을 보고 학습하여 익혀야 하는 부담이 없어진다. 또한, 복잡한 음성 인식 명령어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실행 속도나 음성 인식의 성공률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서버나, 메모리 등으로부터 다양한 컨텐츠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신규 아이콘이 생성되거나 삭제, 수정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종래의 경우에는 이러한 상태에서 음성 인식 명령어 세트를 새로이 추가하거나 기존 명령어 세트를 업데이트하여야만 음성 입력을 정확하게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상술한 본원 실시 예들에 따르면, 아이콘의 배열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식별자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음성 인식 기술을 큰 어려움 없이 정확하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여러 실시 예들에서는 일반적인 아이콘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음성 인식 모드로 전환되는 시점부터 식별자가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처음부터 식별자가 아이콘과 함께 표시되어 사용자가 해당 식별자를 바로 발음하여 음성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음성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성 입력 수단이 구비된 각종 장치에, 상술한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기록 매체가 연결되거나 탑재된다면, 상술한 음성 제어 방법이 지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 음성 입력부 120 : 디스플레이부
130 : 제어부 140 : 모션 인식부
150 : 입력부

Claims (15)

  1.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하여 아이콘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해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임의의 식별자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 입력이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대하여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모션을 인식하기 위한 모션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모션이 상기 모션 인식부에 의해 인식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부여되는 서로 다른 숫자 또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화면상에서 기 설정된 위치로부터의 각 아이콘의 배치 위치, 방향, 또는 거리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부여된 숫자 또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모드 상태에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환되는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페이지에서의 표시 위치에 따라 식별자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디스플레이 장치의 음성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하여 아이콘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식별자를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아이콘 각각에 대해 표시하는 단계; 및
    임의의 식별자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탐색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키워드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키워드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모션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모션이 인식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선택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인식 모드를 개시하여 상기 서로 다른 식별자를 상기 복수의 아이콘에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제어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화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아이콘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부여되는 서로 다른 숫자 또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상기 화면상에서 기 설정된 위치로부터의 각 아이콘의 배치 위치, 방향 또는 거리에 따라 순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부여된 숫자 또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 모드 상태에서 페이지 전환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페이지에 해당하는 아이콘에 대하여 상기 새로운 페이지에서의 표시 위치에 따른 식별자를 부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제어 방법.
  15. 화면상에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서버로부터 신규 데이터가 다운로드되면, 상기 신규 데이터에 대응되는 신규 아이콘을 상기 화면에 추가하는 제어부; 및
    음성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음성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음성 인식 모드가 개시되면, 상기 신규 아이콘 및 상기 아이콘에 대하여 표시 위치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식별자를 부여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임의의 식별자에 대한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입력된 식별자에 대응되는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001520A 2011-01-06 2011-01-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Ceased KR20120080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20A KR20120080069A (ko) 2011-01-06 2011-01-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EP12150109A EP2474973A1 (en) 2011-01-06 2012-01-03 Display apparatus and voice control method thereof
US13/344,633 US20120176313A1 (en) 2011-01-06 2012-01-06 Display apparatus and voice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520A KR20120080069A (ko) 2011-01-06 2011-01-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069A true KR20120080069A (ko) 2012-07-16

Family

ID=45507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520A Ceased KR20120080069A (ko) 2011-01-06 2011-01-06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20176313A1 (ko)
EP (1) EP2474973A1 (ko)
KR (1) KR2012008006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754A1 (ko) * 2015-01-22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6462379A (zh) * 2014-05-13 2017-02-22 朴男泰 语音控制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装置的语音控制方法
US9620109B2 (en) 2014-02-25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guide sentence
CN109684006A (zh) * 2018-12-11 2019-04-26 东莞市步步高通信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装置
KR20190097483A (ko) * 2018-02-12 2019-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0891968B2 (en) 2013-01-07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active serv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teractive system
CN112965687A (zh) * 2021-03-19 2021-06-15 成都启英泰伦科技有限公司 一种多用户语音识别产品开发平台和开发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17305A1 (de) * 2011-04-15 2012-10-18 Abb Technology Ag Bedien- und Beobachtungssystem für technische Anlagen
KR20130016644A (ko) * 2011-08-08 2013-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인식장치, 음성인식서버, 음성인식시스템 및 음성인식방법
CN103377212B (zh) * 2012-04-19 2016-01-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语音控制浏览器动作的方法、系统及浏览器
KR102028175B1 (ko) * 2012-07-30 2019-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 인터렉션 가이드를 제공하는 플렉서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30671B1 (ko) 2012-09-28 201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N103813190A (zh) * 2012-11-13 2014-05-21 深圳市冠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无线遥控电视的方法及其装置
KR102091003B1 (ko) * 2012-12-10 2020-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상황 인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157618B2 (en) * 2013-05-02 2018-12-18 Xappmedia, Inc.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interactive advertising
WO2015018440A1 (en) * 2013-08-06 2015-02-12 Saronikos Trading And Services, Unipessoal Lda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y means of voice commands, more specifically a remote control to control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by means of voice commands
US10310702B2 (en) 2013-09-27 2019-06-04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209519B1 (ko) 2014-01-27 2021-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US9836192B2 (en) * 2014-02-25 2017-12-05 Evan Glenn Katsuranis Identifying and displaying overlay markers for voice command user interface
CN104020972B (zh) * 2014-05-15 2017-07-1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背景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WO2016080363A1 (ja) * 2014-11-21 2016-05-2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操作方法
US10127906B1 (en) 2015-12-28 2018-11-13 Amazon Technologies, Inc. Naming devices via voice commands
US10185544B1 (en) * 2015-12-28 2019-01-22 Amazon Technologies, Inc. Naming devices via voice commands
US10026401B1 (en) 2015-12-28 2018-07-17 Amazon Technologies, Inc. Naming devices via voice commands
CN105791931A (zh) * 2016-02-26 2016-07-20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智能电视及其语音控制方法
CN109218791A (zh) * 2017-06-30 2019-01-15 青岛海尔多媒体有限公司 一种电视机顶盒的语音控制方法、电视机及语音遥控设备
CN107919129A (zh) * 2017-11-15 2018-04-1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控制页面的方法和装置
US10877637B1 (en) * 2018-03-14 2020-12-29 Amazon Technologies, Inc. Voice-based device operation mode management
KR102563314B1 (ko) * 2018-08-30 2023-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단축 명령어의 바로가기 생성 방법
US11094327B2 (en) * 2018-09-28 2021-08-17 Lenovo (Singapore) Pte. Ltd. Audible input transcription
JP7286321B2 (ja) * 2019-01-09 202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482218B2 (en) * 2019-01-22 2022-10-25 Beijing Boe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Voice control method, voice control device, and computer-executable non-volatile storag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9948A (en) * 1996-12-31 2004-09-27 News Datacom Ltd Voice activated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guide
US7052459B2 (en) * 2003-09-10 2006-05-3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ltrasound systems
US20050289480A1 (en) * 2004-06-25 2005-12-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navigational keystrokes in electronic devices
JP3824168B2 (ja) * 2004-11-08 2006-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ジタル映像再生装置
US8788271B2 (en) * 2004-12-22 2014-07-22 Sap Aktiengesellschaft Controlling user interfaces with contextual voice commands
WO2007080559A2 (en) * 2006-01-16 2007-07-19 Zlango Ltd. Iconic communication
KR101502003B1 (ko) * 2008-07-08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텍스트 입력 방법
KR101469619B1 (ko) * 2008-08-14 2014-1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표시모듈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8693724B2 (en) * 2009-05-29 2014-04-08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implementing user-centric gesture control
JP2011049650A (ja) * 2009-08-25 2011-03-1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2087575B (zh) * 2009-12-03 2015-04-08 中山市云创知识产权服务有限公司 图标动态排列的电子装置及方法
US8799815B2 (en) * 2010-07-30 2014-08-0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ctivating an item in a folde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91968B2 (en) 2013-01-07 2021-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active serv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teractive system
US11854570B2 (en) 2013-01-07 2023-1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providing response to voice input,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US9620109B2 (en) 2014-02-25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guide sentence
CN106462379A (zh) * 2014-05-13 2017-02-22 朴男泰 语音控制图像显示装置及图像显示装置的语音控制方法
WO2016117754A1 (ko) * 2015-01-22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860288B2 (en) 2015-01-22 2020-12-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97483A (ko) * 2018-02-12 2019-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404048B2 (en) 2018-02-12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voice recogni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KR20230008662A (ko) * 2018-02-12 202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848007B2 (en) 2018-02-12 2023-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operating voice recogni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CN109684006A (zh) * 2018-12-11 2019-04-26 东莞市步步高通信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12965687A (zh) * 2021-03-19 2021-06-15 成都启英泰伦科技有限公司 一种多用户语音识别产品开发平台和开发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74973A1 (en) 2012-07-11
US20120176313A1 (en) 201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006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음성 제어 방법
US10825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eset operation mode using voice recognition
US20210406578A1 (en) Handwriting-based predictive population of partial virtual keyboards
CN106687889B (zh) 显示器便捷式文本输入和编辑
US900271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apparatus based on voice recognition and motion recogni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applying the same
EP2555537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KR102667413B1 (ko) 음성 명령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
EP309375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5093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led by a user&#39;s vo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363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viewing comic book electronic publications
CN102968206A (zh) 用于具有触摸模块的终端设备的输入装置和方法
CN104461348B (zh) 信息选取方法及装置
KR20130093672A (ko) 중첩 수기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20190220164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n infinite navigation menu on a touch screen device
WO2016107462A1 (zh) 一种信息输入方法、装置及智能终端
US11978252B2 (en) Communication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447879B1 (ko) 음성인식을 통해 컨트롤 객체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4367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092339A (zh) 电子装置及其页面演示方法
JP5213794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20100107611A (ko) 단말 제어 장치 및 방법
JP733752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WO2013145505A1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方法、及び情報提示用プログラム
KR20060081870A (ko) 정지영상 내의 관심영역 지정기반 선택보기 방법과 장치
KR20140139158A (ko) 웹 컨텐츠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0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