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9421A -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9421A KR20120079421A KR1020110000689A KR20110000689A KR20120079421A KR 20120079421 A KR20120079421 A KR 20120079421A KR 1020110000689 A KR1020110000689 A KR 1020110000689A KR 20110000689 A KR20110000689 A KR 20110000689A KR 20120079421 A KR20120079421 A KR 2012007942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unit
- user
- head mounted
- unit
- fast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02B27/023—Viewing apparatus for viewing X-ray images using image converters, e.g. radioscop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 체결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발명은 화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착용부를 분리시키고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별도의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안경을 착용한 채 화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a wear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worn on the head of the user, and a fastening unit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unit so as to be fastened to glasses worn by the user. Include.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unit for reproducing the image and the wearing unit for supporting the display unit are separated, and a separate fastening un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watch the image while wearing glasses.
Description
실시예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relate to a headmount display device.
일반적으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는 신체의 어느 일부분 예컨대, 머리에 장착되어 가상 현실을 구현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In general, a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serves to display an image of any part of a body, for example, a head mounted to implement virtual reality.
이러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글 형상 또는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며, 안경 형상의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를 일측에서 지지하는 안경 형상의 착용부로 구성된다.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s formed in a goggle shape or glasses shape, and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n eyeglasses is composed of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wearing unit for glasses in one side thereof.
하지만, 디스플레이부와 착용부는 일체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평소 안경 착용자들이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쓰게 될 경우, 눈의 시력과 맞지 않아 어지러움증을 느끼거나 안경에 의한 간섭으로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However, since the display unit and the wearing unit are integrally formed, when the wearer of the spectacle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he user may feel dizziness or discomfort due to interference due to eye vision.
실시예는 안경 착용자들이 착용하기 용이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Embodiments aim to provide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hat is easy for wearer to wear.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와,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 체결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a wear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worn on the head of the user, and a fastening unit formed at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unit to be fastened to glasses worn by the user. Include.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디스플레이의 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fastened with a display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a frame unit formed on the display unit and worn on the head of the user, and glasse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worn by the user It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착용부를 분리시키고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별도의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안경을 착용한 채 화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eparates the display unit from the wearing unit supporting the display unit and forms a separate fastening unit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user can watch an image while wearing glass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착용부가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의 안경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체결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earing unit provid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display uni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s glasses are mounted on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i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배선, 전지, 장치, 면 또는 패턴 등이 각 패턴, 배선, 전지, 면 또는 패턴 등의 "상(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each panel, wiring, battery, device, surface, or pattern is formed on or under the "on" of each pattern, wiring, battery, surface, or pattern. In the case described, "on" and "under" include both those that are formed "directly" or "indirectly" through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he upper or lower reference of each componen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the sake of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the size actually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착용부가 디스플레이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의 안경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에 형성된 체결부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earing portion provid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upled to the display unit, Figure 3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ser's glasses are mounted on the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astening unit formed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200)와,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500)과 체결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디스플레이부(100)는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화상을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00)의 내부에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생성된 광선에 대응하여 화상을 생성시키는 화상 형성수단 예컨대, 액정 패널(LCD)과, 상기 광원에서 화상 생성수단으로 주사되는 광선의 광 경로를 조절하며 상기 화상이 사용자의 양눈에 주사되도록 광 경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다수의 렌즈와, 반사경 및 광학소자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00)에는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화상을 시청할 수 있는 접안 렌즈(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부(100)는 입력된 신호에 대응하여 화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0)의 양측면에는 화상에 대응되는 오디오 음향을 듣기 위해 이어폰 장치(4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전방에는 착용부(200)가 마련된다. 착용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며, 안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wearing
착용부(200)는 디스플레이부(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에는 결합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600)는 안경 형상의 착용부(200)의 렌즈 사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The wearin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에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600)는 'ㄱ'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착용부(200)의 좌우 안경 렌즈 사이에 배치되며, 결합부(600)의 양 끝단은 좌우 안경 렌즈를 지지하여 고정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와 같은 결합부(600)는 추후에 설명되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에 설치된 체결부(3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상기에서는 착용부(200)가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헤어 밴드나 헬멧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착용부(200)가 디스플레이부(100)에 결합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00)의 일측에 별도의 결합부(600)를 형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착용부(200)에 형성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the wearing
도 1로 돌아가서,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300)가 형성된다. 체결부(3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 렌즈 사이에 끼워져 체결되며, 이를 위한 체결부(300)는 제1 체결부(320)와 제2 체결부(340)를 포함한다.1,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부(320)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우측 렌즈(520a)와 결합되며 이러한 제1 체결부(32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부(322)와, 상기 제1 돌출부(322)의 끝단으로부터 우측 렌즈를 향해 절곡 형성된 제1 수직부(3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제1 돌출부(322)는 안경 렌즈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540)의 하부를 지지하며 제1 수직부(324)는 우측 렌즈(520a)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돌출부(322)의 측면은 우측 렌즈(520a)의 측면과 닿을 정도로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제2 체결부(34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돌출부(342)와, 상기 제2 돌출부(342)의 끝단으로부터 좌측 렌즈(520b)를 향해 절곡 형성된 제2 수직부(344)를 포함한다. 즉, 제2 수직부(344)는 제1 수직부(324)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In addition, the second fastening
제2 돌출부(342)의 상부는 안경 렌즈 사이의 연결부(540)의 하부를 지지하며, 제2 수직부(344)는 좌측 렌즈(520b)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 돌출부(342)의 측면은 좌측 렌즈(520b)의 측면과 닿을 정도로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upper portion of the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에 형성된 제1 체결부(320) 및 제2 체결부(340)는 안경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우측 렌즈(520a) 및 좌측 렌즈(520b)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하는 안경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00)가 장착된 안경의 다리 부분을 두부에 장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재생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astening
상기에서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에 한 쌍의 체결부(300)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500)을 디스플레이부(100)에 장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above, the pair of fasten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에는 체결부(300)가 형성되며, 체결부(300)와 상하 이격되도록 보조 체결부(70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00)는 좌우로 이격된 돌출부로부터 우측 렌즈(520a) 및 좌측 렌즈(520b)를 향해 수직 절곡된 수직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로부터 체결부(3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을 고정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보조 체결부(700)는 체결부(300)의 하부에 이격 형성되며, 체결부(300)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즉, 보조 체결부(70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을 향해 2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2개의 돌출부는 우측 렌즈(520a) 및 좌측 렌즈(520b)를 향해 수직 절곡되도록 수직부가 형성된다.The
여기서, 우측 렌즈(520a)를 지지하는 보조 체결부(700)와 좌측 렌즈(520b)를 지지하는 보조 체결부(700)의 사이의 거리는 우측 렌즈(520a)와 좌측 렌즈(520b)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부터 2개의 돌출부 측면은 우측 렌즈(520a) 및 좌측 렌즈(520b)의 측면과 접촉되어 안경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distance between the
상기와 같은 체결부(300) 및 보조 체결부(700)는 돌출부의 좌우 거리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astening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800)는 돌출부(820)와, 상기 돌출부(820)의 끝단에 설치된 수직부(840)로 구성될 수 있다. 돌출부(820)는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돌출부(820)의 두께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 렌즈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820)의 끝단에는 돌출부(820)로부터 우측 렌즈(520a) 및 좌측 렌즈(520b)를 감싸도록 수직부(840)가 형성된다.The thickness of the
이로부터 돌출부(820)는 우측 렌즈(520a) 및 좌측 렌즈(520b) 사이에 형성된 연결부(540)의 하부를 지지하는 동시에 우측 렌즈(520a) 및 좌측 렌즈(520b)의 측면을 고정시키며, 수직부(840)는 안경이 디스플레이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From this,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9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9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프레임부(940)와, 상기 디스플레이(9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 체결되는 체결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900)를 이루는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디스플레이부(900)의 일측에는 외부 집광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라이트 실드(920)가 형성된다. 프레임부(940)는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예컨대, 안경 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디스플레이부(100)와 탈부착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부(940)의 탈부착되는 구조는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 가능하므로 프레임부(940)의 탈부착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디스플레이부(900)의 양측에는 이어폰 장치(96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화상에 따른 오디오 음향을 들을 수 있다. 물론, 이어폰 장치(960)는 디스플레이부(900)의 어느 일측에만 설치되어도 무방하며, 디스플레이부(900)와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900)의 타측에는 본 발명에 다른 체결부(300)가 더 형성된다. 체결부(300)는 디스플레이부(900) 타측을 향해 'ㄱ' 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부(300)는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의 우측 렌즈 및 좌측 렌즈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을 디스플레이부(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other side of the
이러한 체결부(3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성 및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 결합되는 구조는 앞서 설명한 체결부와 동일하다.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따라서,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가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할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900)에 부착된 프레임부(940)를 탈착하고, 사용자의 안경을 디스플레이부(100)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300)에 체결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화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wearing the glasses wears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the user detaches the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herefo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디스플레이부 120: 접안 렌즈
200: 착용부 300: 체결부
400: 이어폰 장치 500: 안경
600: 결합부 700: 보조 체결부100: display unit 120: eyepiece
200: wearing portion 300: fastening portion
400: earphone device 500: glasses
600: coupling part 700: auxiliary fastening part
Claims (9)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착용부; 및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 체결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에 형성된 체결부;
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A wear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display part and worn on the head of the user; And
A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unit to be fastened to the glasses worn by the use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상기 체결부는 디스플레이부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안경렌즈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astening par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unit,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s coupled between the user's spectacle lens.
상기 체결부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좌측 렌즈의 측면을 감싸는 제1 수직부로 형성된 제1 체결부와,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로부터 우측 렌즈의 측면을 감싸는 제2 수직부로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astening part may include a first fastening part formed by a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vertical part surrounding the side of the left lens from the first protrusion, and a second vertical part formed by a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vertical part surrounding the side of the right lens from the second protrusion.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astening.
상기 체결부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로부터 좌측 안경렌즈 및 우측 안경렌즈를 감싸도록 형성된 수직부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fastening part includes a protrusion and a vertical portion formed to surround the left eyeglass lens and the right eyeglass lens from the protrusion.
상기 착용부는 디스플레이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earing unit is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display unit.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두부에 착용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타측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한 안경과 체결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unit for reproducing an image;
Frame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unit and worn on the head of the user; And
A fastening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and fastened to the glasses worn by the user;
Head mounte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상기 체결부는 디스플레이부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의 안경렌즈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fastening unit protrudes from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unit, th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is fitted between the lens coupled to the user.
상기 프레임부는 디스플레이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6,
And the frame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splay portion.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는 라이트 쉴드가 더 구비되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of claim 6,
One side of the display unit is a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urther provided with a light shiel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0689A KR101841105B1 (en) | 2011-01-04 | 2011-01-04 |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0689A KR101841105B1 (en) | 2011-01-04 | 2011-01-04 |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9421A true KR20120079421A (en) | 2012-07-12 |
KR101841105B1 KR101841105B1 (en) | 2018-05-04 |
Family
ID=46712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06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1105B1 (en) | 2011-01-04 | 2011-01-04 |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1105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520540A1 (en) * | 2013-05-10 | 2014-11-11 | Eyedak S.L. | Glasses that allow coupling a mobile telephone thereto and seeing it from a short distance |
KR20150085342A (en) * | 2014-01-15 | 2015-07-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tachabl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1606854B1 (en) | 2015-02-27 | 2016-03-28 | (주)아바엔터테인먼트 | Head Mountain display device for a mobile phone that provides visual content is being charged |
KR20160136674A (en) * | 2015-05-20 | 2016-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d mounted display |
KR101892253B1 (en) | 2017-07-27 | 2018-08-28 | 조민수 | Freely mounted head mount display with multi function |
CN112673301A (en) * | 2018-09-24 | 2021-04-16 | 苹果公司 | Display system with interchangeable lense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69122A (en) | 2022-11-11 | 2024-05-20 | 박서진 | Head-mounted display |
-
2011
- 2011-01-04 KR KR1020110000689A patent/KR10184110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520540A1 (en) * | 2013-05-10 | 2014-11-11 | Eyedak S.L. | Glasses that allow coupling a mobile telephone thereto and seeing it from a short distance |
KR20150085342A (en) * | 2014-01-15 | 2015-07-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etachable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n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KR101606854B1 (en) | 2015-02-27 | 2016-03-28 | (주)아바엔터테인먼트 | Head Mountain display device for a mobile phone that provides visual content is being charged |
KR20160136674A (en) * | 2015-05-20 | 2016-1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d mounted display |
US10416455B2 (en) | 2015-05-20 | 2019-09-17 | Lg Electronics Inc. | Head mounted display |
KR101892253B1 (en) | 2017-07-27 | 2018-08-28 | 조민수 | Freely mounted head mount display with multi function |
CN112673301A (en) * | 2018-09-24 | 2021-04-16 | 苹果公司 | Display system with interchangeable lenses |
CN112673301B (en) * | 2018-09-24 | 2022-09-16 | 苹果公司 | Display system with interchangeable lens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1105B1 (en) | 2018-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155815B2 (en) | head mounted display | |
KR101841105B1 (en) |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 |
US10379376B2 (en) | Wearable electronic display | |
JP4887907B2 (en) | Video display device | |
US11042045B2 (en) | Electronic eyewear and display | |
US5371556A (en) | Spectacle type retina direct display apparatus | |
JP7566339B2 (en) | Binocular head-mounted display system with adjustable interpupillary distance mechanism | |
JP2017147521A (en) | Head mounted type image display device | |
JPWO2007037089A1 (en) | Head-mounted image display device | |
JP6686503B2 (en) | Head-mounted image display device | |
JP2010224473A (en) | Head-mounted type video display device | |
CN211928304U (en) | Near-eye display device and near-eye display glasses set | |
JP4581632B2 (en) | Video display device | |
JP6165174B2 (en) | Head-mounted display device | |
JP2017181945A (en) | Eyeglasses and attachment for attaching to eyeglasses | |
CN217404629U (en) | Binocular AR glasses | |
TWI479224B (en) | Structure of 3d glass | |
JP3199958U (en) | Protective glass | |
KR200479812Y1 (en) | Attachable eyeglass | |
JP2005532597A (en) | Display device | |
CN107076988B (en) | Eye patch and head-mounte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 |
JP2005055560A (en) | Video imparting apparatus | |
WO2016068123A1 (en) |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 |
KR20030065638A (en) | Spectacle for a stereograph | |
JP2007011394A (en) | Head-mount type video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1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1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