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79168A - 멀티-챔버 용기 - Google Patents

멀티-챔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9168A
KR20120079168A KR1020127014024A KR20127014024A KR20120079168A KR 20120079168 A KR20120079168 A KR 20120079168A KR 1020127014024 A KR1020127014024 A KR 1020127014024A KR 20127014024 A KR20127014024 A KR 20127014024A KR 20120079168 A KR20120079168 A KR 20120079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discharge
container
valve assembly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367B1 (ko
Inventor
레즈 그리어
브라이안 워싱톤
브루스 커밍스
Original Assignee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filed Critical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2007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9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3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4Multi-cavity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2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two or mor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Bag Fram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원은 유동성 물질을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멀티-챔버 용기와 상기 용기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각각의 챔버가 유동성 물질을 보유하는 다수개의 개별적 챔버(30, 40, 50)를 포함한다. 각 챔버는 방출 밸브 조립체(60)와 유체가 연통하게 되어 있다. 밸브 조립체는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압축되거나 압착되는 챔버에 대해 1개의 유동성 물질 만을, 나머지 물질의 동시적인 배출 없이, 배출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용기는 적어도 2개, 양호하게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챔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챔버 용기{MULTI-CHAMBERED CONTAINER}
본 발명은 유동성 물질(flowable substances)을 저장 및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합 물품(multiple product)을 저장하는 격실 또는 챔버를 가진 용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시중에는 소비자가 개인 관리, 구강 관리, 및 가정 관리의 물품으로 많은 선택을 하게 제안된 많은 포장된 유동성 물질이나 물품들이 있다. 그런 물품에는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바디 워시, 액체 비누, 바디 로션, 샴푸, 컨디셔너, 가정용 클리너 등이 있다. 동일한 카테고리 내의 물품은 흔히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의 형식과 수에 다양한 처방제(formulations), 색채 및/또는 향을 더해 사용한다. 그러나 물품은 흔히 하나의 용기에 단독으로 포장된다.
현재, 소비자가 언제든지 하나 이상의 물품을 체험하기를 원하면, 일반적으로 물품을 담은 여러 개의 개별 용기나 병을 구매하고, 필요 시 원하는 물품을 사용할 수 있게 저장하여야 한다. 원하는 다양한 물품을 갖기 위해 많은 개별적으로 분리된 용기를 구입하는 일은 가격 문제와 저장에 따른 성가심이 있을 것이다. 1개의 편리한 용기에 다수개의 배출가능한 물품이나 물질을 제공하는 개량된 용기가 나타나기를 기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는 다수개의 분리된 물품 병을 구입하는 대신, 사용자가 1개의 적당한 병 안에 다수개의 물품 중에서 원하는 물품 만을 선택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1실시예에서, 용기는 다수개의 개별적인 격실이나 챔버에 다수개의 유동성 물품 또는 물질을 분리하여 저장하고 선택적으로 배출하게 형성된 단일 통합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정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의 챔버를 가진 용기(이하, '멀티-챔버 용기'로 칭함)는 단일 용기에서 적어도 2개, 바람직하게는 2개 이상의 다른 형식 및/또는 다양한 유동성 물질을 동시에 저장 및 배출하는 동작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멀티-챔버 용기에 포함되는 배출 시스템은 정해진 시간에 사용자가 선택한 단일 챔버 만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면서, 동시에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챔버로부터의 의도하지 않은 물품/물질의 배출은 없게 하는 것이다. 1실시예에서, 용기는 가요성 측벽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손, 엄지손가락, 및/또는 손가락으로 바람직하게 용기에 내향 압착 또는 압축 힘(inward squeezing or pressing force)을 가하여 단일 챔버의 내용물을 배출하게 형성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챔버는 멀티-챔버 용기를 길이방향으로 수직한 또는 직립한 위치로 보았을 때 수직하게 배치되며 적층된다. 이런 배치는 선택되지 않은 챔버로부터의 나머지 물질의 배출이 불가능하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챔버 만을 압착하게 하여 챔버 중 1개의 챔버로부터 1개의 유동성 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멀티-챔버 용기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챔버를 재충전시킬 수 있게 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1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멀티-챔버 용기는 제1유동성 물질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제1챔버와, 제2유동성 물질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제2챔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챔버는 가요성 측벽을 포함한다. 용기는 부가로 제1 및 제2챔버와 유체가 연통하는 공통 방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밸브 조립체는 바람직하게 제1 또는 제2챔버의 측벽에 가해지는 내향 압축 힘에 반응하여 제1 또는 제2유동성 물질 중 선택된 1개의 물질 만을 배출하게 형성되며, 나머지 물질의 동시적인 배출은 없다. 일례의 실시예에서, 용기는 부가로 제3유동성 물질을 저장하고 배출하기 위한 제3챔버를 포함하며, 제3챔버는 공통 방출 밸브 조립체와 유체가 통하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부가로 제1, 제2, 또는 제3유동성 물질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배출시키게 형성되며, 나머지 물질의 동시적인 배출은 없다. 다른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는 부가로 각각의 챔버와 가요성 방출 밸브에 유체가 흐르게 연결된 유입 유체 매니폴드(inlet flow manifold)를 포함한다.
본원의 멀티-챔버 용기는 물질이 흐를 수 있는 어떤 점성의 액체 또는 유체를 포함하는 유동성 물질을 저장하고 배출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유동성 물질" 이란 용어는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페이스트, 비누, 바디 워시, 샴푸, 린스, 로션, 향수와 같은 것을 포함하는 흐를 수 있는 제품이나 재료를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례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챔버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2는 도3에서 2-2선을 따라 절취된 종단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1의 용기의 하부도이다.
도6은 도1의 용기의 분해도이다.
도7은 일례의 방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용기의 하부 부분과 저부 클로저를 나타낸 도5의 7-7선을 따라 절취된 도1의 용기를 횡단면으로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도1의 용기의 일례의 유입 유체 매니폴드를 통하는 정상부의 횡단면도이다.
도9는 매니폴드에 대한 챔버 유체 도관의 일례의 연결을 나타낸 도8의 9-9선을 따라 절취된 측면 또는 입면의 횡단면도이다.
도10은 매니폴드에 대한 챔버 유체 도관의 일례의 배치를 나타낸 도8의 유입 유체 매니폴드의 등각도이다.
도11은 일례의 방출 밸브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용기의 하부 부분과 저부 클로저를 나타낸 도5의 7-7선을 따라 절취된 도1의 용기를 횡단면으로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12는 도1의 용기를 사용하는 일례의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되는 실시예의 상술한 면과 그 밖의 다른 면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원의 모든 도면은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면에 나타낸 구성요소 또는 시스템은 실제를 나타낸 것이 아니고, 척도도 다른 것이어서, 본원의 도면은 설명된 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에 따른 실시예를 통한 본 발명의 설명은 본원의 전체 명세서의 일부로 판단되는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본원의 명세서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방향 또는 지향(orientation)에 대한 기술은 설명의 편리함을 위해 사용한 것일 뿐, 어떠한 식이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부", "상부", "수평", "수직", "위", "아래", "상향", "하향", "정상", "저부"와 같은 상대적 용어 및 그로부터 파생되는 표현(예: "하향하여(downwardly)", "상향하여(upwardly)" 등)은 도면 및 다음의 설명에 따른 지향 방향을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이런 상대적 용어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어서, 장치가 그렇게 명시적으로 지칭되지 않았을 때 특정 방향으로 구성 또는 동작시킬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부착된", "접착된", "연결된" "결합된", "상호연결된" 및 그와 유사한 용어들은, 다르게 표현된 기술이 없으면, 양쪽이 가동적이거나 단단한 부착 또는 상호관계로 있는 구조와, 중간 개입 구성체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고정되거나 부착되는 구조의 상호관계를 지칭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므로, 본 발명은 특징부 만이 있거나 특징부가 다르게 조합되어 있는 어떤 가능한 비-제한적인 특징부를 조합하여 설명되는 그런 양호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도1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챔버 용기(20)를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20)는 여러 개로 구획된 물질-보유 챔버로 형성되며, 상기 챔버들은 당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적당한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후술 됨) 단일 용기를 형성한다. 그러나, 용기(20)의 다른 실시예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챔버가 분리 부품이 아니게 용기의 일체 부분으로 형성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20)는 종축(LA)을 한정하며, 정상(top) 단부(22)와, 저부(bottom) 단부(23), 및 그 사이로 신장되는 대략 수직한 용기 측벽(들)(21)을 포함한다. 또한 정상 클로저(24)와 저부 클로저(closure)(25)도 제공된다. 1실시예의 저부 클로저(25)는 용기(20)가 내용물 저장을 위해 수평 면에 직립하게 하는 양호한 평면의 수평한 단부 면(28)과, 축방향으로 그로부터 신장되는 환형의 측면 스커트(29)를 포함한다. 단부 면(28)은 용기(20)로부터 유동성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 또는 방출구(27)를 한정한다. 정상 클로저(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면(38)과 그로부터 축방향으로 신장되는 환형의 측면 스커트(39)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 클로저(24)는 최상부 챔버(50)의 정상 단부(52)을 폐쇄하고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도1 내지 도6을 계속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20)는 부가로 제1챔버(30)와, 제2챔버(40), 및 어떤 실시예에서는 제3챔버(50)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용기가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의 챔버를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용기 측벽(21)이 챔버(30, 40, 50)가 함께 조립되었을 때 각각 챔버(30, 40, 50)의 측벽(31, 41, 51)에 의해 함께 한정된다. 용기의 측벽(21)은 적합하고 심미적으로 보기 좋은 형상이나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상응하여, 용기(20)는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로 원형, 계란형/타원형, 다각형(예, 포위된 공간을 한정하는 선형 구획부의 수 및/또는 방향으로 구성), 및 그 조합형을 포함하는 챔버(30, 40, 50)의 횡단면 측벽(31, 41, 51) 형상으로 함께 형성되는 적정한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측벽(21)은 거의 원형이나 계란형/타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20)의 형태는 측벽(21)의 형상이 균일할 필요가 없고(첨부된 도면과 예를 든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음) 다양한 곡선이나 물결모양이 조합된 형태로 정상으로부터 저부까지의 형상 및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각 챔버(30, 40, 50)는 내부 공간이나 공동(C)을 한정하는 대략 중공의 구조이며, 개별적으로 유동성 물질(S1, S2, S3)을 수용 및 저장하기 위한 체적의 용량을 갖는다. 물질(S1, S2, S3)은 유사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2종류의 다른 물질을 포함한다. 계속하여 도1 내지 도6을 참조하면, 특히 도2와 도6을 참조하면, 챔버(30)는 대략 수직한 측벽 면을 가진 측벽(31)과, 정상 단부(32)와, 저부 단부(33)를 포함한다. 정상 단부(32)와 저부 단부(33)는 개폐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챔버(40, 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측벽(41, 51), 정상 단부(42, 52), 및 저부 단부(43, 53)를 포함하는 챔버(30)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모든 챔버(30, 40, 50)가 함께 조립되었으면, 용기(20)와 용기 측벽(21)의 전체적으로 의도된 형상에 따라 챔버(30, 40, 또는 50)는 체적 용량을 변경시키는 다른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측벽(31, 41, 51)의 두께는, 전체 용기(20)가 지지 면에 배치되었을 때 자체-지지를 받고 있는 한에는, 각 챔버(30, 40, 50)의 높이 및/또는 둘레를 따라 균일하거나 또는 불균일하다. 챔버 측벽(31, 41, 51)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추가 기술 됨)와, 상기 재료의 기계적 특성(즉, 인장 강도, 전단 강도, 탄성 계수 등)에 기초하여 측벽의 두께를 적절히 선택하여, 챔버(30, 40, 50)가 사용자에 의해 압축/압착되었을 때 유동성 물질(S1, S2, 또는 S3)를 배출하도록 내향하여 탄력적으로 변형되며, 사용자가 상기 동작을 해제(release)하면 그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간다. 당업자에게 재료의 적정한 조합 및 두께를 선택하는 일은 잘 알려진 기술이어서 과도한 시험을 하지 않고 상기 기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20)는 대략 수평으로 또는 횡방향으로 내부 파티션 벽(34, 44)을 포함하며, 상기 벽은 용기를 각각이 유동성 물질(S1, S2, 또는 S3)을 유지할 수 있는 복수개의 분리된 격리 챔버(30, 40, 50)로 나눈다. 파티션 벽(34, 44)은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은 명백한 이유 때문에 벽 근방의 용기 측벽(21)을 횡방향으로 경직(stiffen)하게 하여 변형에 저항한다. 파티션 벽(34, 44)은 종축(LA)에 대해 대체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즉, 직교하게 및/또는 각도를 이루게) 내향하여 용기 측벽(21)에 계합되며 그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신장된다. 예를 들어 나타낸 실시예에서와 같이 용기(20)가 연접된 분리 챔버(30, 40, 50)로 형성된 경우, 파티션 벽(34 또는 44)은 분리 부품으로 성형되며, 상기 분리 부품은 도시된 바와 같이(도6도 참조) 챔버(30, 40) 사이에 배치된 파티션 벽(34)과 같이 인접한 챔버들 사이에 부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티션 벽(34 또는 44)이 챔버의 정상(42)을 폐쇄하는(도6도 참조) 챔버(40)의 파티션 벽(44)과 같이 챔버 중 하나의 통합 부분으로 형성되어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구조를 조합하여 파티션 벽에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파티션 벽(34, 44)은 각 챔버(30, 40, 50)의 정상에 헤드 공간(HS)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된다. 용기 측벽(21)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제조되는 구조에서는, 개시 물질을 충전하는 공정에서 챔버에 포획된 공기가 사용자로부터 유익하게 은폐되어 용기의 외부로부터 눈에 띄는 공기-물질 면에 라인을 발생시키는 것보다 더 심미적으로 보기 좋은 외관을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파티션 벽(34, 44)은 특정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헤드 공간(HS)을 한정하는 파티션 벽의 일부분이 인접한 챔버의 저부로 위에서 수직으로 신장된다. 각각의 파티션 벽의 수직-신장된 부분은 인접한 수직적으로 적층된 챔버 사이의 이음부(seams)(35, 45) 위에 배치된다(도2 참조). 특정 실시예에서는 파티션 벽(35, 45)이 헤드 공간(HS)을 제공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돔형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최상부 챔버(50)의 헤드 공간(HS)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정상의 클로저(24)의 수직-신장된 부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파티션 벽(34, 44)의 일례의 방향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대략 수평적인"이란 표현은 이들 벽들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전체가 용기 측벽(31)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배치되고 및/또는 복수개의 변경되는 윤곽의 물결모양 형상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은 상술된 바와 같이 헤드 공간(HS)을 발생시키는 파티션 벽(34, 44)의 수직-신장된 부분에 대한 허용오차를 포함한다. 따라서 파티션 벽(34, 44)은 1개의 챔버(30, 40, 50)가 인접한 챔버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한에는 어떤 특정한 방향이나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2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용기(20)는 최하부 챔버(30)의 저부 단부(33)를 폐쇄하고 밀봉하는 방사방향-신장 저부 단부 벽(37)을 부가로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단부 벽(37)은 저부 클로저(25)의 단부 면(28)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떨어져 있다. 저부 클로저(25)가 용기(20)에 배치되어 부착되면, 내부 격실(26)이 단부 면(28)과 저부 클로저(23)의 환형 측부 스커트(26)(도6도 참조)와 반대편 단부 벽(37)에 의해 경계를 이루고 형성된다. 이것은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용기(20)에 배출 시스템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배출 시스템은 용기(20)의 방출구(27)에 각각의 챔버(30, 40, 50)를 유체가 흐르게 연결하여 제공된다. 유익하게, 배출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물질(S1, S2, 또는 S3)을 배출하게 하는 형상이다. 사용자는 1회에 물질(S1, S2, S3) 중 1물질 만을 선택하거나, 각각의 챔버로부터 1개 이상의 물질(S1, S2, S3)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많은 종류의 물질을 배출시키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직 1개의 물질 만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물질 만이 배출되며, 동시적으로 용기(20) 안이나 밖에서 나머지 물질과의 혼합은 없다. 사용자가 2개 이상의 물질을 선택한 경우, 선택된 물질은 용기(20) 밖에서 혼합될 것이다.
배출 시스템을 도2, 도6, 도7,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7은 용기(20)의 하부 부분과 방출 밸브 조립체(60)를 통해 절취하여 취해진 저부 클로저(25)를 횡단면으로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유체 도관의 일례의 배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배출 시스템은 다수개의 유체 도관(80, 90, 100)을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챔버(30, 40, 50)를 저부 클로저(25)에 배치된 공통 방출 밸브 조립체(60)에 유체가 흐르게 연결하며, 사용자에게 선택된 물질을 배출하도록 저부 클로저의 방출구(27)와 유체가 연통하게 한다. 따라서 공통 방출 밸브 조립체(60)는 모두 3개의 챔버와 유체가 통하게 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방출 밸브 조립체(60)는 부가로 기술되는 바와 같이 유입 유체 매니폴드(61)(또한 도8 내지 도10도 참조)를 포함하며, 상기 매니폴드는 각각의 챔버로부터 유체 도관에 연결되기에 적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유입 연결체 또는 피팅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유체 도관은 물질이 각각의 챔버(30, 40, 50)로부터 배출될 때 물질(S1, S2, S3)이 서로 분리되게 설계되어, 물질은 용기 내에서 혼합되지 않는다.
계속하여 도2, 도6,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체 도관(80)은 방출 밸브 조립체(60)에 유체가 연통하게 챔버(40)를 연결시킨다. 1실시예에서, 유체 도관(80)은 챔버(40) 상의 배출 니플 또는 피팅(46)에 연결된 상부 단부와, 방출 밸브 조립체(60)에 연결된, 보다 특정하게는 일부 실시예에서 유체 매니폴드(61)에 연결된 하부 단부를 포함하여, 물질(S2)이 용기(20)를 통해 흐르면서 나머지 물질로부터는 격리되어 남아있게 한다. 일례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도관(80)은 챔버(30)를 내부로 통하는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도관(80)은 챔버(30)를 우회하는 외부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설계와 심미적 취향의 문제에 따라 어느 한 배치가 적합할 것이다.
계속하여 도2, 도6, 도7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체 도관(80)은 방출 밸브 조립체(60)에 유체가 연통하게 챔버(50)를 연결시키며, 상술한 유체 도관(80)과 유사한 방식으로 유동성 물질(S3)을 전달한다. 유체 도관(90)은 챔버(50) 상의 배출 피팅(56)에 연결된 상부 단부와, 방출 밸브 조립체(60)에 연결된, 보다 특정하게는 유체 매니폴드(61)에 연결된 하부 단부를 포함한다. 유체 도관(100)(도10에 가장 잘 도시됨)은 유사하게 유동성 물질(S1)을 전달하며, 챔버(30) 상의 배출 피팅(36)에 연결된 상부 단부와, 방출 밸브 조립체(60)에 연결된, 보다 특정하게는 유체 매니폴드(61)에 연결된 하부 단부를 포함한다(도6 및 도10 참조).
상술된 유체 도관(80)과 유사하게, 유체 도관(90, 100)은 일부 실시예에서 용기(20)의 챔버(30 및/또는 40)를 내부로 통하는 경로로 이루어지고,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도관(90, 100)은 설계와 심미적 취향의 문제에 따라 챔버(30 및/또는 40)를 우회하는 외부 경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는 1개 이상의 유체 도관(80, 90, 100)이 용기(2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음을 예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 도관이 바람직하게 방출 밸브 조립체(60)에,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에 연결되는 한에는 용기(20)의 외부나 내부에 유체 도관(80, 90, 100)의 배치에 의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계속하여 도2, 도6,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길이방향 신장 튜빙 채널(110)이 유체 도관(80, 90)을 조직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챔버(30)의 내부에 성형되거나 분리하여 부착되어, 용기(20)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료로 제조되었을 때 간결한 외관을 나타내게 된다. 튜빙 채널(110)은 유체 도관(80 및/또는 90)이 내측에 설치되어 경로를 형성하는 한에는 적절한 횡단면 형상(종축(LA)에 대해 직교하여 보았을 때)을 가질 것이다. 바람직하게, 챔버(30)에 배치된 채널(110)은 챔버(40) 내의 채널보다 큰 횡단면을 가져서 내측의 양쪽 유체 도관(80, 90)을 수용하며, 양쪽 도관이 챔버(30)를 통해 아래에 배치된 방출 밸브 조립체(60)로 가는 경로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배출 시스템의 유체 도관은 상술한 형식의 모든 관형 도관과 피팅의 조합을 포함하는 연성의 가요성 및/또는 비교적 경성의 플라스틱 관형 도관 및 비교적 경성의 유체 피팅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 않은 예로서 1실시예에서, 유체 도관(80, 90, 100)은 각각의 챔버와 방출 밸브 조립체(60)의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와의 사이의 통로로 용이하게 형성되며 구부러질 수 있는 가요성의 플라스틱 튜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챔버 배출구 피팅(36, 46, 56)과 같은 유체 피팅은 그곳에 튜빙을 고정시키기 위한 종래 방식의 튜빙보다 더 단단한 경성의 적당한 플라스틱으로 양호하게 제조된다. 추가적인 중간 피팅(즉, 유체 도관의 종료 지점에 사용될 수 있는 것과는 다른 피팅)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용기(20)에 유체 도관의 효과적인 경로를 허용하도록 튜빙 시스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30도, 45도, 또는 90도의 튜빙 엘보우 또는 직선형 튜빙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유체 도관(80, 90, 100)은 챔버(30, 40, 50)의 일부로 또는 분리 부품으로 일체적으로 성형 될 수 있는 경성의 플라스틱 튜브로 형성될 수 있다.
튜빙 및/또는 피팅 연결체와의 사이의 계합은, 과도한 누출 저항의 조인트가 형성되는 한,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예를 들면 기계적 계합(예, 마찰 피트(fit), 나사식 등), 초음파 용접, 접착제 등과 같이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당한 기술로 이룰 수 있다.
계속하여 도2, 도6, 도7을 참조하여 배출 시스템을 추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실시예에서, 방출 밸브 조립체(60)는 내부 격실(26)에 배치되어, 저부 클로저(25)에 의해 지지된다. 방출 밸브 조립체(60)는 양호하게 방출구(27)와 연통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물질(S1, S2, 또는 S3)을 배출하며, 저부 클로저(25)의 내부 격실(26)을 가진 적당한 장소에 배치된다. 방출 밸브 조립체(60)는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와, 방출구(27) 위에 서로 연통하게 배치된 탄성 밸브(63)를 포함한다. 일례의 실시예에서, 밸브(63)는 실리콘으로 제조되지만, 어떤 적당한 탄력적인 가요성의 탄성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의 구조에서, 밸브(63)는 정상에서 보았을 때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반대측의 외부 오목 면과 내부 볼록 면을 한정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도6 및 도7 참조) 활 모양의 횡단면 부분을 포함한다. 활 모양의 부분은 탄력적으로 개방되어 그를 통해 물질(S1, S2, 또는 S3) 중 하나를 배출시키고, 다음 폐쇄위치로 복귀하여 유체의 흐름을 중단시켜 석백(suckback)(즉, 사용자가 가한 내향 압축 힘 또는 압착 힘이 용기로부터 제거될 때 용기로 다시 흐르는 공기의 연도(uptake))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플랩(flap)을 형성하는 적당한 형상의 가요성 슬릿(들)(115)을 포함한다. 따라서, 방출 밸브(63)는 양호하게 체크 밸브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일례의 실시예에서, 슬릿(115)은 X 형상을 갖는다.
계속하여 도2, 도6,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방출 밸브(63)는 양호하게 방출구(27) 근방에 배치되고 방출구와 연통하여서 밸브(63) 너머로 용기에 물질 또는 물품이 쌓이는 것을 최소가 되게 한다. 방출 밸브 조립체(60)는 특정 실시예에서 내부 유체 혼합 저장소(320)를 한정하며(도7 참조), 상기 실시예는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유동성 물질(S1, S2, S3)이 밸브(63)를 통해 배출되기에 앞서 동시적으로 섞여지거나 혼합되게 한다. 1실시예에서, 밸브(63)는 일체형 방사방향-신장 플랜지(68)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는 견부 부싱(shoulder bushing)(62)(바람직하게 엘라스토머 또는 경성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됨)과, 저부 클로저(25)가 용기(20)에 조립되었을 때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저부 클로저(25)의 일부분과의 사이에서 압축된다. 저부 클로저(25)는 환형상의 상승된 시트(seating) 면(111)(도7에 가장 잘 도시됨)을 포함하여 부싱(62)을 수용하고 유지시킨다.
바람직하게, 도5 및 도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유체 매니폴드(61)를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60)는 방출구(27)와 동심으로 정렬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60)와 방출구(27)는 동심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의 종축(LA)과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다른 예의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60)와 방출구(27)는 설계 목적에 따라 용기의 종축(LA)에 대해 축선 밖(off axis)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와 방출 밸브(63)는 그렇지 않은 경우 초과하는 양의 잔류 물질 또는 물품을 쌓이게 허용하는 그 사이의 유체 경로의 길이를 최소로 하도록 밀착 연결된다. 그러나, 일정 거리로 방출 밸브(63)로부터 유입 유체 매니폴드(61)를 분리시켜 제공되는 용기의 형상을 수용하게 할 수도 있다.
도8 내지 도10은 명료한 도시를 위해 용기(20)로부터 분해되었으며 매니폴드(61)를 통하는 물질(S1, S2, 또는 S3)의 흐름 방향을 화살표로 나타낸 유입 유체 매니폴드(61)를 추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의 횡단면도이다. 도9는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용기(20)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는 유체 도관(100)(명료한 도시를 위해 방출 밸브(63)는 생략 됨)에 대한 연결을 나타낸 도8의 9-9선을 따라 절취된 측면 또는 입면의 횡단면도이다. 도10은 매니폴드에 연결된 유체 도관(80, 90, 100) 중 일례의 배치를 나타내는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의 등각도이다. 다른 도면에서는 명료하게 나타내지 않은 챔버(30) 상의 배출구 피팅(36)과 유체 도관(100)(용기의 전방을 향해 배치)의 일례의 배치가 양호하게 나타나도록 용기(20)와 챔버(30)의 일부분을 점선으로 나타냈다.
유체 매니폴드(61)를 추가로 도2 및 도6 내지 도10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1실시예에서, 유입 유체 매니폴드(61)는 원판 또는 원통 형상이며 내부 공동(65)을 포함한다. 매니폴드(61)는 각각의 물질이 용기(20)로부터 배출될 때 물질(S1, S2, S3)의 분리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공동(65)에 배치되는 내부 배플(baffles)(66)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배플(66)은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내부 유체 격실(67)로 공동(65)을 분리한다. 바람직하게, 내부 유체 격실의 수는 제공되는 챔버의 수와 같다. 배플(66)은, 유체 도관(80, 90, 100)으로부터 유입 유체 매니폴드(61)로 유입되는 측면 물질 또는 물품의 흐름이 본원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다른 반대편 유체 도관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선택한 충분한 길이로 신장된 높이를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배플(66)은 기술된 바와 같이 배플의 최저점이 거의 유입 피팅(64)의 저부 또는 그 아래에서 끝나는 도9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은 높이로 이루어져, 상술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제공된 유동성 물질(S1, S2, S3)의 점도에 따라, 각각의 유체 도관(80, 90. 100)에는 방출구(27)의 상류에 배치된 흐름 제한기(350)가 설치되어, 각 챔버(30, 40, 50)로부터 초과하는 양의 물질이 매니폴드에 침투하지 않고 혼합되지 않게 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흐름 제한기(350)는 방출 밸브(63)와 유사한 개폐성의 1방향 가요성 밸브이거나 고정된 영구 개방의 직경이 감소된 유체구멍(flow aperture)이며, 유체 도관(80, 90, 100) 및/또는 유입 유체 매니폴드(61) 내에 배치된다. 도8 및 도9에 도시한 일례의 실시예에서, 흐름 제한기(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피팅(64)에 배치되거나 유체 매니폴드(61)의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부분적인 높이의 벽 또는 일반적인 원형의 오리피스 평판(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오리피스이다. 따라서 유량 제한기(350)는 초과하는 양의 유동성 물질(S1, S2, S3)이 유입 유체 매니폴드(61) 내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하는 적정한 밸브나 오리피스의 구조이다. 당 기술분야에서는 유동성 물질(S1, S2, S3)의 점도에 기초한 크기의 적당한 1방향 밸브 및/또는 오리피스를 선택하여 상술한 기능을 이루는 기술은 잘 알려져 있다.
유입 유체 매니폴드(61)는 추가로 도7 내지 도10에 가장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개의 유입 연결체 또는 피팅(64)을 포함한다. 유입 피팅(64)은 유입 유체 매니폴드(61)로부터 방사 및 횡방향으로 신장되며, 유체 도관(80, 90, 100)에 연결되기에 적절한 형상으로 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피팅(64)은 유체 매니폴드 축 중심선(CL)과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며 측면(114)에 대해 직교한다(도8에 가장 잘 도시됨). 그러나 편리성을 더하기 원하는 경우에, 1개 이상의 유입 피팅(64)을 유체 도관(80, 90, 100)의 경로를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서의 매니폴드(61)의 중앙선(CL)과 측면(114)에 대해 접선 및/또는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유입 피팅(64)의 상기 배치는 유체가 유체 매니폴드(61) 쪽으로 횡방향으로 도입되게 한다. 유체 매니폴드(61)는 방출 밸브(63)와 연통하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유체 배출구(69)를 갖고, 상기 방출 밸브는 특정 실시예에서 매니폴드의 배출구 밑에 인접하여 배치된다(도7 참조). 유입 피팅(64)의 수는 제공된 챔버(30, 40, 50)의 수와 일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유입 유체 매니폴드(61)는 3개의 유입 피팅(64)을 포함한다.
유체 매니폴드(61)의 유입 피팅(64)은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의 외부 원주 상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되며, 유체 도관(80, 90, 100)용으로 사용되는 형상 및 경로에 따른 최적의 효율적 배치를 제공함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요구된 적절한 각도로 서로 분리된다. 또한, 각 유입 피팅(64)의 위치도 제공된 배플(66) 배치에 의해 결정되어, 각각의 피팅(64)이 바람직하게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유체 격실(67) 중 오직 1개의 격실과 유체가 연통하게 배치된다.
다른 예의 실시예에서, 1개 이상의 유입 피팅이 그 측면 대신에 유체 매니폴드(61)의 정상(112)에 배치되어, 유체가 정상으로부터 매니폴드 내로 흘러들어 간다. 이렇게 배치된 택일적 정상-인입(entry) 유입 피팅(64')(도9에서 점선으로 도시)은 각각의 유입 피팅이 계속하여 내부 유체 격실(67) 중 하나와 정렬되어 연통하게 제공된다. 이런 택일적인 배치는 최하부 챔버(30)와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와의 사이의 밀접한 또는 직접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게 하며, 필요성 및/또는 편리성을 위해 특정 실시예에서는 나머지 유체 도관(80 또는 9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는 유체 도관(100)이 제거될 수 있으며, 정상-인입 유입 피팅(64')(예를 들어 나타낸 도9를 참조)이 유체 매니폴드 유입 피팅(64') 위에 저부 단부 벽(37)에 위치한 가요성 엘라스토머제 밀봉 부싱과 같은 것에 의해 챔버(30)에 유체 매니폴드(61)를 직접 연결하게 제공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았지만 당업자는 설명 없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임). 따라서, 본원의 유입 피팅(64 및/또는 64')의 조합은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에 용기(20)를 통한 유체 도관(80, 90, 100)의 경로에 대한 비교적 설계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일례의 실시예에서, 매니폴드(61) 상의 유입 피팅(64)은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환형 튜빙 바브(barb)를 포함하여, 유체 매니폴드(61)에 바로 접한 상류의 적어도 유체 도관의 일부가 가요성 튜빙을 형성하는 상황에서 유체 도관(80, 90, 100)에 연결체를 고정하는 일을 돕는다. 제조하는데 필요한 유체 도관의 연결 형식에 따라 다른 적당한 유입 피팅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유체 도관(80, 90, 100)이 용기(20)를 통한 적당한 방식으로 배치되어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들이 유체가 흐르게 챔버(30, 40, 50)에 연결되고 밸브 조립체(60)의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에서 종결되는 한, 유체 도관의 특정 배치 또는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유체 도관이 각 챔버(30, 40, 50)로부터 유체가 흐르게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고, 각 대응 물질(S1, S2, 또는 S3)이 선택되지 않은 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선택된 물질을 용기(20)로부터 방출할 수 있는 한, 밸브 조립체(60)와 유입 유체 매니폴드(61)에 대한 많은 적당한 형상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밸브 조립체와 유입 매니폴드(61)는 본원에 도시되고 기재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챔버 용기(20)는 형상 메모리를 가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탄성이 있는 재료로 바람직하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내향 압축 또는 압착 힘(F)을 가하여 영구적이 아닌 탄성적 변형을 하게 하여 챔버(30, 40, 50) 중 하나의 내용물을 배출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는 힘이 제거되면 압착된 용기가 그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재료가 사용자에 의해 압착되었을 때 일시적인 변형을 한 다음, 본래의 변형되지 않은 형상으로 회복되는 기계적 성질을 갖는 한, 용기(20)는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당한 일반적인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의 예로는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ETE),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물질을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멀티-챔버 용기용으로 선택된 재료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성질을 가져서 사용자가 내부에 저장된 물품과 색채를 볼 수 있다.
멀티-챔버 용기(20)는 여러 적당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멀티-챔버 용기의 챔버(30. 40, 50)는 각각이 개별적으로 분리식으로 성형되고, 다음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적당한 수단에 의해 함께 연결시켜, 예를 들면 한정적이지 않은 기재로 초음파 용접, 접착제, 스냅 록킹과 같은 기계적 계합, 수축(shrink) 또는 압축 피팅 등에 의해 단일체의 용기로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챔버(30, 40, 50)는 1개 이상의 단계로 함께 제작되는 일체형의 단일 대형 용기(20)로 성형 및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20)와 챔버(30, 40, 50)에 대한 제조 기술의 적어도 양쪽으로 상술한 가능한 형식을 고려한 것이어서, 어느 한쪽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작 시나리오의 어느 하나에서, 멀티-챔버 용기(20)와 챔버(30, 40, 50)는 한정적이지 않은 예로서 송풍 성형, 사출 성형, 또는 진공 형성(forming)과 같은 당 기술분야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적당한 수단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챔버 용기(20)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유동성 물질(S1, S2, 및/또는 S3)을 용기(20)로부터 배출하는 작동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1개 이상의 챔버(30, 40, 50) 상에 내향 압착 또는 압축 힘을 가하여 실시된다. 도12는 다음과 같은 유동성 물질의 배출 단계를 요약한 흐름도이다. 용기(20)의 단일 유동성 물질을 배출하는 작동모드를 먼저 설명한다. 용기(20)로부터 유동성 물질(S1, S2, 또는 S3) 중의 하나를 배출하기 위해서(도12의 단계400) 사용자는 먼저 배출되기를 원하는 물질을 선택한다(도12의 단계402). 다음, 사용자는 선택된 물질에 대응하는 챔버(30, 40, 또는 50)(도3 및 도5의 예를 참조)의 가요성 측벽에 내향 압착 힘 또는 압축 힘(F)을 가한다(도12의 단계404). 내향 압축 힘(F)은 종축(LA)(또는 용기의 축 중앙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 가해지지만, 반드시 선택된 물질을 배출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적용시킬 필요는 없다. 용기가 도시된 타원형/계란형 용기(20)(도5 참조)와 같이 짧은 반경축(예, 도5에서 R1축)을 따라서 보다는 측면 또는 긴 반경축(예, 도5에서 R2축)을 따라 더 큰 크기를 갖는 횡단면의 형상인 경우(즉, 종축(LA)에 대해 수직으로 보았을 때의 경우), R2축을 따른 긴 용기 측벽(21) 부분은 R1축을 따른 짧은 용기 측벽(21) 부분보다 구조적으로 어느 정도 더 약할 것이고, 더 가요성을 가질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긴 용기 측벽(21) 측을 따르는 어떤 1지점을 압축 또는 압착하여 반경 R1축의 전체적인 방향으로 내향 압축 힘(F)을 적용시킬 수 있다. 그러나 Rl축을 따른 용기의 짧은 측도 가요성을 충분히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자는 측벽(21)의 원주를 따른 어떤 1지점에 반경 내향 힘(F)을 적용하여 선택된 유동성 물질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힘(F)이 도시되었지만, 그것은 근본적으로 사용 중에 사용자가 엄지와 손가락 사이의 용기(20)를 압착할 때와 같이 반대편 용기 측벽(21)에도 이중의 내향 힘(F)을 동시적으로 양호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동성 물질(S1, S2, 및/또는 S3)을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20)의 동작은 1개 이상의 챔버(30, 40, 50)가 압축되는 한, 용기 측벽(21)에 다양한 압착 또는 압축 힘(F)을 적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멀티-챔버 용기(20)를 사용하는 일부 작동의 방법이나 모드에서, 사용자는 동시에 더 많은 챔버(30, 40, 50)에 내향 압축 힘(F)을 가하여 동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1개 이상의 유동성 물질(S1, S2, S3)을 선택할 수 있다(도12의 단계408).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동시적으로 챔버(30, 40 ; 30, 50, 40 ; 50 ; 또는 30, 40, 50)에 힘(F)을 가하여 다수의 물질(S1, S2, S3)을 동시에 배출시킬 수 있다(도12의 단계410). 상술한 바와 같은 배출 방법은 본원에 도시된 3개의 챔버(30, 40, 50) 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챔버를 가진 용기의 실시예에서, 다수 종류의 물질(S1, S2, S3)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20)를 사용하는 예시된 방법은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물질(S1, S2, S3)의 맞춤(custom) 혼합 또는 섞음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로, 유동성 물질(S1, S2, S3)이 바디 워시이면, 물질(S1)은 피부 각질제거제를 포함하며, 물질(S2)은 비타민이 풍부한 피부 영양제를 포함하며, 물질(S3)은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정해진 목욕이나 세면 시간에 사용자의 특별한 요구나 기호에 따라, 이들 물질(S1, S2, 또는 S3) 중의 하나 만을 배출하거나 2종류 이상의 처방제(formulations)의 맞춤 혼합물을 동시적으로 함께 배출하여 혼합시켜(도12의 단계408 및 410) 선택된 각각의 개별적인 처방제의 이점과 특성을 바람직하게 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런 복합 물질 맞춤식 혼합 및 배출 동작 모드가 본 발명에 따른 멀티-챔버 용기(20)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공된다.
주로 도2, 도3, 도5를 참조하며 멀티-챔버 용기(20)의 단일 물질 배출 작동 모드를 계속하여 기술하면, 사용자-선택식 챔버(30, 40, 또는 50)에 각각 대응하는 가요성 측벽(31, 41, 또는 51)은 사용자에 의한 내향 힘(F)을 받으면 체적 용량의 감소로 탄성에 의해 내향하여 변형되며 압축될 것이다. 따라서, 선택된 챔버에 대응하는 물질(S2, S2, 또는 S3)이, 동시에 나머지 선택되지 않은 물질의 배출 없이, 선택적으로 방출되어 각각의 유체 도관(80, 90, 또는 100)으로 흘러간다. 챔버(30, 40, 50)를 분리하는(도2 참조) 측면 파티션 벽(34, 44)은 용기를 횡방향으로 받쳐주고 방사방향으로 경직되게 하며, 인접한 선택되지 않은 챔버의 측벽(31, 41, 및/또는 51)의 압축 힘(F)과 변형에 저항하여 선택되지 않은 물질을 동시에 배출시키는 작동이 일어나지 않게 하거나 적어도 최소가 되게 하는 일을 돕는다. 도8 내지 도10을 추가로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택된 물질(S2, S2, 또는 S3)은 각각의 유체 도관(80, 90, 100)에서 (선택되지 않은 챔버를 우회하여) 용기를 통해 유입 유체 매니폴드(61) 상의 대응 유입 피팅(64)쪽으로 하향하여 흐를 것이다. 선택된 물질(S2, S2, 또는 S3)은 유체 매니폴드(61)로 흘러들어가며(특정 실시예에서는 종축(LA)에 대해 수직한 측방향으로), 다음 경로는 축방향으로 흐름방향이 변한다(도9 참조). 다음, 물질(S1, S2, 또는 S3)은 배출구(69)를 통해 유체 매니폴드(61)를 떠나, 방출 밸브(63)를 통해 배출되며, 상기 밸브는 용기(20)에 가해지는 내향 압축 힘(F)에 대응하는 시간 동안 개방된다.
사용자가 선택된 챔버를 압축하거나 압착하는 일을 멈추면(즉, 내향 힘(F)을 제거하면), (선택된 챔버(30, 40, 또는 50)에 따른) 내향하여 일시적으로 변형되는 챔버 측벽(31, 41, 또는 51)은 탄성에 의해 초기 변형전 상태로 다시 챔버의 압력을 낮추는 그 원래의 형상이나 위치로 돌아올 것이다. 방출 밸브(63)는 다시 폐쇄되며, 물질(S1, S2, 또는 S3)을 배출하는 동작은 중단될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기본 원리에 따른 멀티-챔버 용기(20)에 사용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200)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일 방출 밸브(63)를 대신하여, 방출 밸브 조립체(200)의 다른 실시예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방출 밸브(201, 202, 203)를 포함하며, 1실시예에서 상술된 밸브(63)와 유사하다. 유체 도관(80, 90)은 챔버(40, 50)로부터 용기(20)의 저부 단부 벽(37)에 배치된 유입 피팅(204, 205)에 각각 연결된다. 특정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206)가 저부 단부 벽(37)에 간단히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단부 벽은 챔버(30)와 연통하여 챔버로부터 방출 밸브(202)로 직접 물질(S1)이 통과하게 한다. 수직 방향의 내부 배플(207)이 제공되어 용기(20)로부터 방출시 유동성 물질(S1, S2, S3)의 분리가 지켜지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배플(207)은 저부 클로저(25)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는 분리 단위체인 칼라 조립체(208)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칼라 조립체(208)는 유동성 물질이 혼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은 적절한 형상이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챔버(30, 40, 또는 5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압착하면, 각각의 유동성 물질(S1, S2, 또는 S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대응 밸브(201, 202, 또는 203)를 통해 배출된다.
본원의 멀티-챔버 용기(20)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동성 물질(S1, S2, S3)이 용기의 저부 단부(23)에서 공통 방향으로 각 챔버(30, 40, 50)로부터, 또는 본원의 특정 실시예에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이 공통 단부 또는 단일 장소로부터 배출 또는 방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로 각각 3개의 분리 방출 밸브(63 또는 201-203)를 포함하는 방출 밸브 조립체(61 또는 200)와 유사하거나, 또는 다른 적정한 유사 설계의 밸브 조립체와 유사한 밸브 조립체는, 본원에 기술된 유체 도관(80, 90, 100)과 유사한 제한적이지 않은 기재의 유체 도관을 포함하는 배출 시스템을 사용하는 각각의 챔버(30, 40, 50)를 정상 단부(22)에 배치시킨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챔버(30, 40, 50)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다른 장소로부터 그리고/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의 유동성 물질(S1, S2, 또는 S3)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런 실시예는 용기(20) 상의 서로 다른 장소에 배치된 관련된 방출 챔버(63)를 각각 가진 분리된 방출구(27)와 챔버(30, 40, 50)를 포함할 수 있다. 당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추가적인 논의 없이 본원에서 상술된 설명과 기본원리에 기초하여 정상 단부(22)에 대한 방출 밸브 조립체의 위치를 역전시키거나 또는 용기(20) 상에 1개 이상의 방출 밸브 조립체를 배치시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다양하게 변경된 배출/방출 형상은 단일 유동성 물질(S1, S2, 또는 S3)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 물질을 배제하고 선택된 물질만을 배출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배출 방법이 편의상 용기(20)가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가정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수평적인 것을 포함하는 어떤 적정한 위치로 유지되는 용기의 물질(S1, S2, 또는 S3)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물질은 만일 사용자가 수평적으로부터 수직적인 위치와 그 사이의 위치에서 용기(20)를 유지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배출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물질 또는 물품을 배출할 때 멀티-챔버 용기의 특정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가 한정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조 및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이나 기본적인 특징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특정 형태, 구조, 배열, 성질, 크기 및 기타 요소, 재료 및 부품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당 기술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환경과 동작에 특히 적합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하게 변경된 구조, 배치, 비율, 크기, 재료 및 구성 요소에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는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은 첨부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21)

  1. 유동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멀티-챔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멀티-챔버 용기는:
    제1유동성 물질을 저장 및 배출하는 제1챔버와;
    제2유동성 물질을 저장 및 배출하는 제2챔버와;
    상기 제1 및 제2챔버와 유체가 연통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유동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게 형성된 방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챔버의 정상 위에 수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3유동성 물질을 저장 및 배출하는 제3챔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3챔버는 방출 밸브 조립체와 유체가 연통하게 되어 있으며,
    밸브 조립체는 부가로 제1, 제2, 또는 제3유동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는 부가로 유입 유체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는 개폐동작을 할 수 있는 방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는 용기로부터 유동성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공통의 단일 방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방출 밸브 조립체는 제1 및 제2유동성 물질을 모두 동시적으로 배출하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는 용기로부터 유동성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적어도 1개의 방출구를 갖고, 상기 적어도 1개의 방출구는 용기의 정상이나 저부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는 제1챔버에 횡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10. 유동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멀티-챔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제1유동성 물질을 저장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에 연결된 제1배출 유체 도관과;
    제2유동성 물질을 저장하는 제2챔버와 상기 제2챔버에 연결된 제2배출 유체 도관과;
    제1 및 제2배출 유체 도관과 연결되며, 용기로부터 제1 또는 제2유동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하게 형성된 방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용기.
  11.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제1유동성 물질을 보유하는 제1챔버와;
    제2유동성 물질을 보유하는 제2챔버와;
    제3유동성 물질을 보유하는 제3챔버; 및
    제1, 제2, 및 제3챔버의 각각에 연결된 분리된 유입 연결체와, 상기 챔버들에 대한 분리 유입 연결체의 각각과 유체가 연통하게 되어 있는 방출 밸브 조립체를 가진 배출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시스템은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되어 있는 챔버들 중 적어도 1개에 가하는 압착 힘에 반응하여 제1, 제2, 또는 제3유동성 물질 중 1개를 선택하여, 선택되지 않은 다른 나머지 물질들의 동시적인 배출 없이, 배출시키며;
    제1, 제2, 및 제3챔버는 단일 휴대용 배출 용기의 부분을 함께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는 용기로부터 유동성 물질의 방출을 제어하기위한 개폐작동을 하는 방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용기는 상기 용기로부터 유동성 물질을 배출시키기 위한 밸브 조립체와 유체가 연통하는 방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구는 용기의 정상 단부 또는 저부 단부 또는 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는 용기 내부의 물질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제2, 제3유동성 물질의 분리상태를 유지시키는 내부 배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방출 밸브 조립체는 제1, 제2, 및 제3유동성 물질 중 2개 이상을 동시에 배출시키게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밸브 조립체는 부가로 각각의 제1, 제2, 및 제3챔버와 유체가 연통하게 유입 유체 매니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챔버는 서로의 정상에 수직하게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제2챔버는 제1 및 제3챔버 사이에 배치되며, 방출 밸브 조립체는 부가로 그들 각각의 용기로부터 제1 및 제3유동성 물질을 선택하여, 제2챔버로부터의 제2유동성 물질의 동시적인 배출 없이, 동시에 배출 및 혼합하게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챔버 배출 시스템.
  20. 멀티-챔버 용기로부터 유동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1유동성 물질을 보유한 제1챔버와 제2유동성 물질을 보유한 제2챔버를 가진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1 또는 제2챔버에 내향하여 압착시키는 단계와;
    압착되는 챔버에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유동성 물질을, 나머지 챔버로부터의 물질의 배출 없이,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동시적으로, 제1 및 제2챔버 모두에서 내향하여 압착하는 작동과 제1 및 제2유동성 물질을 모두 배출하는 작동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27014024A 2009-11-04 2009-11-05 멀티-챔버 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12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612,391 US8550303B2 (en) 2009-11-04 2009-11-04 Multi-chambered container
US12/612,391 2009-11-04
PCT/US2009/063373 WO2011056173A1 (en) 2009-11-04 2009-11-05 Multi-chambered 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9168A true KR20120079168A (ko) 2012-07-11
KR101412367B1 KR101412367B1 (ko) 2014-06-25

Family

ID=4216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024A Expired - Fee Related KR101412367B1 (ko) 2009-11-04 2009-11-05 멀티-챔버 용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550303B2 (ko)
EP (1) EP2496488B1 (ko)
KR (1) KR101412367B1 (ko)
CN (1) CN102639403B (ko)
AU (1) AU2009354957B2 (ko)
BR (1) BR112012010276A2 (ko)
CA (1) CA2776947C (ko)
ES (1) ES2525546T3 (ko)
HK (1) HK1174598A1 (ko)
IN (1) IN2012DN02875A (ko)
MA (1) MA33673B1 (ko)
MX (1) MX2012004322A (ko)
PH (1) PH12012500763A1 (ko)
RU (1) RU2508236C2 (ko)
WO (1) WO2011056173A1 (ko)
ZA (1) ZA2012028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7004662U1 (de) * 2007-03-28 2008-08-07 Geiberger, Christoph Mehrkammerbehälter
GB2489409B (en) * 2011-03-23 2013-05-15 Kraft Foods R & D Inc A capsule and a system for, and a method of, preparing a beverage
US9027790B2 (en) 2012-10-19 2015-05-12 Gojo Industries, Inc. Dispensers for diluting a concentrated liquid and dispensing the diluted concentrate
AU2012392554B2 (en) * 2012-10-19 2015-08-06 Colgate-Palmolive Company Multi-chambered container
US9409695B2 (en) 2012-11-19 2016-08-09 Colgate-Palmolive Company Multi-chamber container
US9611077B2 (en) 2012-11-19 2017-04-04 Colgate-Palmolive Company Multi-chamber container
US9409696B2 (en) 2012-11-19 2016-08-09 Colgate-Palmolive Company Multi-chamber container
WO2014077842A1 (en) 2012-11-19 2014-05-22 Colgate-Palmolive Company Multi-chamber container
US9409694B2 (en) 2012-11-19 2016-08-09 Colgate-Palmolive Company Multi-chamber container
US20160045838A1 (en) * 2013-03-29 2016-02-18 Givaudan Sa Olfactory device
USD733455S1 (en) 2013-11-20 2015-07-07 Nse Products, Inc. Fluid cartridge assembly
USD731203S1 (en) 2013-11-20 2015-06-09 Nse Products, Inc. Fluid cartridge
USD731204S1 (en) 2013-11-20 2015-06-09 Nse Products, Inc. Fluid cartridge
US9346602B2 (en) 2014-01-20 2016-05-24 Joshua Gitta Cocktail glass
WO2016029104A1 (en) 2014-08-22 2016-02-25 Nse Products, Inc. Selectively actuated fluid dispenser
US11242236B2 (en) 2015-03-19 2022-02-08 Phillip LaBarbera Perfect pour drink mixer
US11613420B2 (en) * 2015-03-25 2023-03-28 Shakesphere Products Limited Tumbler bottle
AU2015100381A4 (en) * 2015-03-25 2015-04-30 Sports Creative Limited A sports and/or mixing bottle
US11013678B2 (en) * 2015-06-29 2021-05-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skin care product
JP6554540B2 (ja) 2016-01-11 2019-07-3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皮膚状態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
US10279989B2 (en) 2016-05-06 2019-05-07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Stackable container system, operating system using container system, and method
US10660838B2 (en) 2017-06-23 2020-05-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skin
CN108455000B (zh) * 2018-01-19 2020-06-02 汕头市大西洋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按压式出药试剂瓶
BR112020024130A2 (pt) 2018-06-01 2021-02-17 In Spirit Group, Inc. sistema de garrafa de bebida e método para fabricar uma garrafa de bebida multicompartimentada
FR3081847B1 (fr) * 2018-06-05 2021-08-27 Coradin Sas Dispositif pour emballer au moins un premier et un deuxieme fluide
CA3102288A1 (en) 2018-07-03 2020-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US10959933B1 (en) 2020-06-01 2021-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11583488B2 (en) 2020-06-01 2023-0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penetration of a vitamin B3 compound into skin

Family Cites Families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105A (en) * 1901-11-29 1902-07-08 Ellis D Read Bottle or flask.
US1535529A (en) 1921-06-11 1925-04-28 Hopkins Nevil Monroe Collapsible tube
US3269389A (en) 1963-03-11 1966-08-30 Bernard L Meurer Compartmental dispensing container for nose and throat preparations
US3518018A (en) * 1968-01-29 1970-06-30 Raymond A Woods Carpet color retouching kit
US3506157A (en) * 1968-12-11 1970-04-14 Joseph Dukess Pronged closure device for multiple compartment squeeze tube
US3876112A (en) * 1974-01-07 1975-04-08 Steven G Kramer Multicompartmented squeezable bottle with selective dispensing
US4029236A (en) * 1976-05-17 1977-06-14 Colgate-Palmolive Company Two product dispenser with cooperating telescoping cylinders
CH658636A5 (fr) * 1983-11-02 1986-11-28 Serge Michielin Dispositif d'obturation etanche adaptable a toute forme d'emballage ou appareillage contenant des fluides.
GB8615670D0 (en) 1986-06-26 1986-07-30 Beecham Group Plc Device
DE4003921A1 (de) 1990-02-09 1990-06-21 Richard Sirotzki Doppelseitige tube
US5062550A (en) 1990-05-24 1991-11-05 Singh Bharat H Selective flow dispensing container
US5154917A (en) * 1990-09-11 1992-10-13 Beecham Inc. Color change mouthrinse
US5269441A (en) 1992-01-31 1993-12-14 Cp Packaging, Inc., Sub. Of Wheaton Industries Dual chamber medicament dispenser having a pleated common wall
US5356040A (en) 1992-03-31 1994-10-18 Maplast S.R.L. Container particulary for multicomponent products
US5318203A (en) 1993-07-01 1994-06-07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Dual chamber dispenser
US5462526A (en) 1993-09-15 1995-10-31 Mcgaw, Inc. Flexible, sterile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SE9303453D0 (sv) 1993-10-20 1993-10-20 Kabi Pharmacia Ab Injection cartridge
GB9325944D0 (en) 1993-12-18 1994-02-23 Smith & Nephew Dual packaging systems
US5725499A (en) 1994-05-11 1998-03-10 Plas-Pak Industries, Inc. Dual barreled syringe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DE4428096A1 (de) 1994-08-09 1996-02-15 Wella Ag Zweikammerbehälter
JPH08164954A (ja) 1994-12-15 1996-06-25 Yoshida Kogyo Kk <Ykk> チューブ容器
US5628429A (en) 1995-11-22 1997-05-13 Enamelon, Inc. Plural chambered squeezable dispensing tube
FR2751942B1 (fr) 1996-08-02 1998-09-11 Oreal Dispositif pour le stockage separe de deux composants leur melange et la distibution du melange
US5794819A (en) * 1996-08-13 1998-08-18 Smith; Trevor A. Dual-compartment bottle system
US6113257A (en) 1996-12-26 2000-09-05 M.L.I.S. Projects Ltd. Two-compartment container
US5865345A (en) 1996-12-31 1999-02-02 Lawson Mardon Wheaton Inc. Container for dispensing two substances
US6082588A (en) 1997-01-10 2000-07-04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Dual compartment package and pumps
US5921440A (en) * 1997-09-03 1999-07-13 Maines; Morris P. Multi-compartment container and adjustable dispenser
US6223942B1 (en) 1998-07-28 2001-05-01 Lever Brothers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Container and closure
US6419783B1 (en) 1999-04-16 2002-07-16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Container and closure
US6247617B1 (en) * 1999-12-13 2001-06-19 Richard Allen Clyde Single use container for dispensing separately housed sterile compositions
US6179146B1 (en) 1999-12-15 2001-01-30 Betras Plastics, Inc. Double chambered container
US6223943B1 (en) 2000-02-07 2001-05-01 Bristol-Meyers Squibb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multichamber squeeze tubes and tubes produced thereby
US6276571B1 (en) * 2000-06-16 2001-08-21 Kody Clemmons Fuel dispensing system
FR2811636B1 (fr) 2000-07-17 2002-09-20 Oreal Dispositif pour le conditionnement separe de deux ou trois composants a melanger extemporanement
US6299023B1 (en) * 2000-08-24 2001-10-09 Miles Arnone Device for dispensing two substances in a user selectable ratio with replaceable cartridges
US6325229B1 (en) 2001-02-20 2001-12-04 Stuart Anders Container coil having multiple discreet compartments
KR200258608Y1 (ko) 2001-10-08 2001-12-29 고려알파라인(주) 다단식 밀폐형 용기
US6749090B2 (en) 2001-10-22 2004-06-15 Trek Bicycle Corporation Dual bladder sports hydration system
US6752264B2 (en) * 2002-07-03 2004-06-22 Sonoco Development, Inc. Flexible pouch having system for mixing two components
US7448556B2 (en) 2002-08-16 2008-11-11 Henkel Kgaa Dispenser bottle for at least two active fluids
GB0223981D0 (en) 2002-10-16 2002-11-20 Singh Manjit C N Beverage bottles
DE202005002331U1 (de) 2004-02-18 2005-05-12 Günterberg, Monika Behälter zur Aufbewahrung von Getränken, Kosmetika, Reinigungsmitteln und anderen Verbrauchsgütern
US7617950B2 (en) * 2004-05-24 2009-11-17 Colgate-Palmolive Company Controlling flow from multi-chamber containers
US20060021996A1 (en) * 2004-07-30 2006-02-02 Scott L J Iii Multi-chambered drink bottle
CA2514690C (en) 2004-08-09 2013-01-29 Gotohti.Com Inc. Multiple compartment collapsible bottle
US7258251B2 (en) 2004-08-25 2007-08-21 Juan Perez Johnson Multi-chambered dispensing container
US7581899B2 (en) 2004-11-30 2009-09-01 James Alexander Corporation Dispenser and process
US20060175350A1 (en) * 2005-02-09 2006-08-10 Abramson Andrew F Multi-compartment container
US7487888B1 (en) * 2005-07-15 2009-02-10 Pierre Jr Lloyd A Fluid dispensing apparatus
JP5118838B2 (ja) * 2006-03-31 2013-01-16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複室容器
US7976234B2 (en) * 2006-04-28 2011-07-12 James Alexander Corporation Multi-chambered dispenser and process
US7793667B2 (en) 2006-08-11 2010-09-14 Gayton Karen L Method and device for applying hair color
US8074825B1 (en) * 2007-09-04 2011-12-13 Ziegler Robert A Dispensing closure for selectively dispensing material from a multi-chambered container
US8376183B1 (en) * 2008-06-10 2013-02-19 Ags I-Prop, Llc Fluid dispenser having multiple cha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96488A1 (en) 2012-09-12
CN102639403A (zh) 2012-08-15
MA33673B1 (fr) 2012-10-01
MX2012004322A (es) 2012-05-08
CN102639403B (zh) 2014-06-25
CA2776947A1 (en) 2011-05-12
RU2012122810A (ru) 2013-12-10
BR112012010276A2 (pt) 2016-03-29
ZA201202861B (en) 2014-10-29
RU2508236C2 (ru) 2014-02-27
AU2009354957B2 (en) 2014-02-06
EP2496488B1 (en) 2014-10-08
PH12012500763A1 (en) 2012-11-26
KR101412367B1 (ko) 2014-06-25
ES2525546T3 (es) 2014-12-26
CA2776947C (en) 2014-02-18
HK1174598A1 (en) 2013-06-14
US8550303B2 (en) 2013-10-08
IN2012DN02875A (ko) 2015-07-24
US20110101021A1 (en) 2011-05-05
AU2009354957A1 (en) 2012-05-10
WO2011056173A1 (en) 2011-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2367B1 (ko) 멀티-챔버 용기
KR100964999B1 (ko) 유체물의 저장 및 배출용 장치
CN102834333B (zh) 内容物挤出容器
EP3348328B1 (en) Dispensing container
JP5131456B2 (ja) スクイズフォーマー容器
US20020030063A1 (en) Multiple-compartment container
KR20100045390A (ko) 개인용 휴대 디스펜서
EP2281755B1 (en) Liquid mixing chamber
US20050269372A1 (en) Vented dispensing package
CN107949528A (zh) 液体容器的液体排出装置
US9540149B2 (en) Multi-chambered container
US20100327018A1 (en) Liquid mixing reservoir
CN108367305B (zh) 分配头
CN104755385A (zh) 直立挤压发泡器
KR102622766B1 (ko) 내용물 토출용기
WO2012166582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