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77136A -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136A
KR20120077136A KR1020100138986A KR20100138986A KR20120077136A KR 20120077136 A KR20120077136 A KR 20120077136A KR 1020100138986 A KR1020100138986 A KR 1020100138986A KR 20100138986 A KR20100138986 A KR 20100138986A KR 20120077136 A KR20120077136 A KR 20120077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and cable
round
fastene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호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0013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7136A/ko
Publication of KR2012007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1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 B26B17/02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with jaws operated indirectly by the handles, e.g. through cams or toggle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를 묶은 후에 돌출된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절단 부위에 정확하게 확인한 후에 칼날을 전진시켜 라운트형으로 절단할 수 있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상하로 관통되어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가 삽입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된 칼날받침부(11)와, 칼날받침부(11)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되어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를 절단하는 상부칼날(15)로 이루어진 칼날부(10)와, 후방에 하부손잡이(22)가 형성되고, 전단에 칼날부(10)가 장착되는 칼날삽입부(21)가 형성되는 하부몸체(20)와, 후방에 상부손잡이(31)가 형성되고, 전방이 하부몸체(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30)와, 일단이 칼날부(1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몸체(30)의 전단 하부에 체결되어 상부손잡이(31)를 잡아당기면 칼날부(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칼날이송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ROUND TYPE BAND CABL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를 묶은 후에 돌출된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절단 부위에 정확하게 확인한 후에 칼날을 전진시켜 라운트형으로 절단할 수 있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많이 있고, 자동차의 각 전장품은 전력 구동력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 하네스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진동으로 인하여 와이어 하네스가 심하게 유동하게 된다. 그래서, 와이어가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 밴드 케이블과 같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밴드 케이블은 각각의 상황에 맞게 와이어 하네스의 많고 적음에 따라 얇게 묶어서 고정시키거나 굵게 묶어서 고정시키기 위해서 스트랩부를 여유 있게 제작하기 때문에 벤드 케이블을 체결한 뒤에는 잔여 부분의 스트랩부를 절단하여야 한다. 밴드 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자를 때는 칼을 사용하거나 밴드 케이블 절단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때 잘린 스트랩부의 모서리가 각이 지고 날카롭게 절단이 되기 때문에 밴드케이블의 절단면에 작업자의 손이 찔리거나 베일 수가 있었다.
또한, 밴드케이블이 미끄럽고 날카롭기 때문에 단단히 죄기 위해서 손으로 잡아서 당기는 것이 매우 불편하였으며, 밴드케이블의 넓이가 다른 제품은 절단하기가 쉽지 않고, 장소가 협소한 곳에 체결된 밴드케이블을 절단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공개특허 10-2010-0077519호에서 체결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롱노즈(Longnose) 형태의 상ㅇ하부헤드(110,110')로 이루어진 헤드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부(300)로 구성되고, 상ㅇ하부헤드(110,110')의 끝단부에는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에 형성된 요철에 대응되는 당김돌기(112,112')가 형성되고, 상ㅇ하부헤드의 중간부에는 상기 스트랩부를 절단하는 반달형 커팅날(114,114')이 형성된 휴대용 밴드 케이블 절단 장치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공개특허 10-2010-0077519호는 커팅날이 상ㅇ하부헤드의 중간부에 각각 위치하기 때문에 커팅날 사이에 위치하는 스트랩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와이어 하네스를 묶은 후에 돌출된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절단 부위에 정확하게 확인한 후에 칼날을 전진시켜 라운트형으로 절단할 수 있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가 칼날받침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절단시 스트랩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는,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상하로 관통되어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가 삽입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된 칼날받침부(11)와, 칼날받침부(11)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되어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를 절단하는 상부칼날(15)로 이루어진 칼날부(10)와, 후방에 하부손잡이(22)가 형성되고, 전단에 칼날부(10)가 장착되는 칼날삽입부(21)가 형성되는 하부몸체(20)와, 후방에 상부손잡이(31)가 형성되고, 전방이 하부몸체(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30)와, 일단이 칼날부(1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몸체(30)의 전단 하부에 체결되어 상부손잡이(31)를 잡아당기면 칼날부(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칼날이송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칼날받침부(11)의 좌?우측면에는 각각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칼날(15)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칼날받침부(11)의 삽입홈(12) 전단에는 라운드형상으로 돌출된 라운드형 돌기(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부칼날(15)은 하부면이 칼날받침부(11)의 라운드형 돌기(13)에 대응되는 라운드홈(16)이 형성되어 칼날받침부(11)의 삽입홈(12) 전단까지 이동하는 절단부(17)와, 절단부(17)의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면으로 이동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이동홀(18)을 갖는 고정부(1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몸체(20)는 중앙에 양측면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몸체(30)와 힌지결합으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23)가 형성되고, 상부몸체(30)는 전단에 하부몸체(20)의 제1체결부(23)에 힌지결합되는 제2체결부(32)가 형성되고, 제2체결부(32)에서 양측면이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제3체결부(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칼날이송부(40)는 전단은 칼날부(10)의 후방에 체결되고, 하단은 제3체결부(33)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하부몸체(20)의 제3체결부(33)에 체결된 칼날이송부(40)의 후방에는 일단이 하부몸체(20)에 결합된 스프링(50)의 타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부몸체(30)의 칼날이송부(40)의 상부에는 덮개(60)가 형성되며, 덮개(60)의 상부에서 삽입된 볼트가 상부칼날(15)의 이동홀(18)를 통과하여 칼날받침부(11)를 거쳐 하부몸체(20)의 칼날삽입부(21) 후면에 너트로 체결되는 칼날삽입부(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는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의 절단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하면서 라운드형으로 절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가 칼날받침부(11)에 위치하기 때문에 절단시 스트랩부(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밴드케이블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의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는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를 절단하는 칼날부(10)와, 후방에 하부손잡이(22)가 형성되고, 전단에 칼날부(10)가 장착되는 하부몸체(20)와, 후방에 상부손잡이(31)가 형성되고, 전방이 하부몸체(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30)와, 일단이 칼날부(10)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몸체(30)의 전단 하부에 체결되어 상부손잡이(31)를 잡아당기면 칼날부(1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칼날이송부(40)를 구비한다.
칼날부(10)는 하부몸체(20)의 전단에 고정되는 칼날받침부(11)와, 칼날받침부(11)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되어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를 절단하는 상부칼날(15)로 이루어진다.
칼날받침부(11)는 후방이 하부몸체(20)의 전단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칼날받침부(1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가 삽입되는 삽입홈(12)이 형성되고, 삽입홈(12)의 전단에는 라운드형상으로 돌출된 라운드형 돌기(13)가 형성되며, 좌?우측면에는 각각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부(14)가 형성된다.
상부칼날(15)은 칼날받침부의 상부에서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부(14)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상부칼날(15)은 하부면이 칼날받침부(11)의 라운드형 돌기(13)에 대응되는 라운드홈(16)이 형성되어 칼날받침부(11)의 삽입홈(12) 전단까지 이동하는 절단부(17)와, 절단부(17)의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면으로 이동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이동홀(18)을 갖는 고정부(19)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절단부(17)의 라운드홈(16)은 칼날받침부(11)의 전단으로 이동하면서 라운드형 돌기(13)의 외측면과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를 라운드 형상으로 절단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19)는 후부면에 라운드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칼날받침부(11)의 전단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앞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하부몸체(20)는 전단에 칼날받침부(11)와 칼날부(10)가 삽입되는 칼날삽입부(21)가 형성되고, 후단은 하부손잡이(22)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양측면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몸체(30)와 힌지결합으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23)가 형성된다. 칼날삽입부(21)는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선단에 칼날받침부(11)와 칼날부(10)가 삽입된다.
상부몸체(30)는 전단은 하부몸체(20)의 제1체결부(23)에 힌지결합되는 제2체결부(32)가 형성되고, 후단은 하부손잡이(22)가 형성된다. 또한, 제2체결부(32)에는 양측면이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제3체결부(33)가 형성된다. 이때, 제2체결부(32)는 상부몸체(30)의 전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칼날이송부(40)는 전단은 칼날부(10)의 후방에 체결되고, 하단은 제3체결부(33)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부몸체(30)의 하부손잡이(22)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면 힌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제3체결부(33)가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려지고, 제3체결부(33)에 결합된 칼날이송부(40)는 직선운동하면서 칼날부(10)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한편, 하부몸체(20)의 제3체결부(33)에 체결된 칼날이송부(40)의 후방에는 일단이 하부몸체(20)에 결합된 스프링(50)의 타단이 결합된다. 이러한 스프링(50)의 탄성에 의해 평상시에는 스프링(50)이 칼날이송부(40)를 후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한편, 상부몸체(30)의 칼날이송부(40)의 상부에는 덮개(60)가 형성된다. 덮개(60)는 상부칼날(15)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칼날삽입부(21)는 덮개(60)의 상부에서 삽입된 볼트(70)가 상부칼날(15)의 이동홀(18)를 통과하여 칼날받침부(11)를 거쳐 하부몸체(20)의 칼날삽입부(21) 후면에 너트로 체결된다. 이때, 볼트가 상부칼날(15)의 이동홀(18)을 통과하더라도 이동홀(18)이 이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칼날(15)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움직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밴드케이블 라운드 절단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밴드케이블을 이용하여 와이어링 하네스를 묶어서 고정시킨 후에 돌출된 스트랩부(1)를 칼날받침부(11)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2)에 밀어놓어 칼날받침부(11)의 상하를 관통하는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때, 스프링(50)이 칼날이송부(40)의 후방과 하부몸체(2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50)의 탄성으로 상부칼날(15)은 칼날받침부(11)의 삽입홈(12)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손잡이(31)를 하부손잡이(22)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하부몸체(20)의 제1체결부(23)와 상부몸체(30)의 제2체결부(32)가 결합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제3체결부(33)가 전방으로 들리면서 제3체결부(33)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 칼날이송부(40)가 전방으로 움직이며, 칼날이송부(40)에 체결된 상부칼날(15)도 칼날받침부(11)의 가이드부(14)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부칼날(15)의 전단부인 절단부(17)의 라운드홈(16)이 칼날받침부(11)의 라운드형 돌기(13)의 외측면과 밀착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를 라운드 형상으로 절단하게 된다.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1)가 절단완료된 상태에서 상부손잡이(31)를 놓으면 스프링(50)에 의한 탄성력으로 칼날이송부(40)를 하부몸체(20)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어 상부칼날(15)이 칼날받침부(11)의 후방에 원위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칼날부 11 : 칼날받침부
12 : 삽입홈 13 : 라운드형 돌기
14 : 가이드부 15 : 상부칼날
16 : 라운드홈 17 : 절단부
18 : 이동홀 19 : 고정부
20 : 하부몸체 21 : 칼날삽입부
22 : 하부손잡이 23 : 제1체결부
30 : 상부몸체 31 : 상부손잡이
32 : 제2체결부 33 : 제3체결부
40 : 칼날이송부 40 : 스프링
60 : 덮개 70 : 볼트

Claims (8)

  1. 일측면에서 내측으로 상하로 관통되어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칼날받침부와, 칼날받침부의 상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송되어 밴드케이블의 스트랩부를 절단하는 상부칼날로 이루어진 칼날부와,
    후방에 하부손잡이가 형성되고, 전단에 칼날부가 장착되는 칼날삽입부가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후방에 상부손잡이가 형성되고, 전방이 하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몸체와,
    일단이 칼날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부몸체의 전단 하부에 체결되어 상부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칼날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칼날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칼날받침부의 좌?우측면에는 각각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부칼날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칼날받침부의 삽입홈 전단에는 라운드형상으로 돌출된 라운드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칼날은 하부면이 칼날받침부의 라운드형 돌기에 대응되는 라운드홈이 형성되어 칼날받침부의 삽입홈 전단까지 이동하는 절단부와, 절단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면으로 이동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이동홀을 갖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부몸체는 중앙에 양측면이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몸체와 힌지결합으로 체결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고, 상부몸체는 전단에 하부몸체의 제1체결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고, 제2체결부에서 양측면이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제3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칼날이송부는 전단은 칼날부의 후방에 체결되고, 하단은 제3체결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하부몸체의 제3체결부에 체결된 칼날이송부의 후방에는 일단이 하부몸체에 결합된 스프링의 타단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몸체의 칼날이송부의 상부에는 덮개가 형성되며, 덮개의 상부에서 삽입된 볼트가 상부칼날의 이동홀를 통과하여 칼날받침부를 거쳐 하부몸체의 칼날삽입부 후면에 너트로 체결되는 칼날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KR1020100138986A 2010-12-30 2010-12-30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KR20120077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986A KR20120077136A (ko) 2010-12-30 2010-12-30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986A KR20120077136A (ko) 2010-12-30 2010-12-30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136A true KR20120077136A (ko) 2012-07-10

Family

ID=46710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986A KR20120077136A (ko) 2010-12-30 2010-12-30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71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24B1 (ko) * 2020-05-12 2020-11-24 박성순 케이블 타이용 커터
KR102739494B1 (ko) 2024-05-20 2024-12-05 황정연 절단 가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24B1 (ko) * 2020-05-12 2020-11-24 박성순 케이블 타이용 커터
KR102739494B1 (ko) 2024-05-20 2024-12-05 황정연 절단 가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45283B2 (en) Attachment comb and hair cutting appliance
US8443913B2 (en) Hook for electric power tool and rechargeable electric power tool equipped with the hook
US10926929B2 (en) Releasable cable tie
US20180006277A1 (en) Battery holder, battery unit, and battery component including battery holder and battery unit
US11795710B2 (en) Binding machine
KR20120077136A (ko) 라운드형 밴드케이블 절단장치
KR102770977B1 (ko) 해제 가능 케이블 타이
KR20120005002U (ko) 밴드케이블의 라운드 절단장치
CN107074155B (zh) 副盖的临时放置结构
KR20200123789A (ko) 결속장치
KR101344277B1 (ko) 판 스프링 이용구조의 커넥터
KR101116891B1 (ko) 휴대용 밴드 케이블 절단 장치
KR101133235B1 (ko) 커터
JP5412997B2 (ja) 電気接続箱
KR101450208B1 (ko) 밴드케이블의 조임장치
CN114586558A (zh) 绿篱修剪机
TWI479062B (zh) The control box of the sewing machine
KR101210387B1 (ko) 케이블 타이 절단가위
KR20140045796A (ko) 밴드케이블 커팅기
KR200467862Y1 (ko) 밴드 케이블
KR20110054351A (ko) 차량용 스터드 클립 케이블 타이 고정장치
JP2017001133A (ja) コネクタ取り外し用プライヤ
JP5247944B2 (ja) 延長ハンドル付きの手持ち式電動工具及び手持ち式電動工具用の延長ハンドル
JP5964343B2 (ja) 引下線用コネクタ支持具
JP5199784B2 (ja) 延長ハンドル付きの手持ち式電動工具及び手持ち式電動工具用の延長ハンド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5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