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877A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5877A KR20120075877A KR1020100137768A KR20100137768A KR20120075877A KR 20120075877 A KR20120075877 A KR 20120075877A KR 1020100137768 A KR1020100137768 A KR 1020100137768A KR 20100137768 A KR20100137768 A KR 20100137768A KR 20120075877 A KR20120075877 A KR 201200758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liquid crystal
- light
- wire grid
- incid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producing polarisation effects, e.g. by a surface with polarizing properties or by an additional polariz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8—Wire-grid 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광이 입사하는 제1입사면과 상기 광을 출사하는 제1출사면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출사면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2입사면과 상기 제2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출사하는 제2출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기판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채워지는 액정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광을 편광 및 집광하는 와이어 그리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감소되고, 제조공정이 단순화 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의 브라운관을 대신하여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유기전계 발광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등의 평판 표시장치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중 액정표시장치(LCD)는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1기판,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제2기판 및 양 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액정을 포함한다. 액정은 자체 발광소자가 아니므로, 액정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부의 위치에 따라 에지형과 직하형으로 구분된다. 에지형은 광의 균일성이 좋고, 내구 수명이 길며,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에 유리하다. 다만, 에지형은 측면에서 입사되는 광을 액정을 향해 고르게 출사시키도록 도광판(light guide plate, LGP)이 필요하다. 이러한 도광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적인 두께를 증가시킨다.
또한, 액정표시장치(LCD)는 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액정패널의 양측 외표면에 편광판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편광판은 고온, 고습에서 편광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편광판을 액정패널의 외표면에 마련하도록, 액정패널의 제조 공정 후 별도의 추가공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광이 입사하는 제1입사면과 상기 광을 출사하는 제1출사면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출사면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2입사면과 상기 제2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출사하는 제2출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기판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광을 편광 및 집광하는 와이어 그리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제1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을 상기 액정층을 향해 도광 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은,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입사면 및 상기 제1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와이어 그리드층과; 상기 제2기판의 상기 제2입사면 및 상기 제2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와이어 그리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출사면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 그리드층은,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입사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은, 알루미늄, 은, 구리, 몰리브덴, 탄탈, 주석, 니켈, 인듐, 마그네슘, 철, 크롬, 실리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이 입사하는 제1입사면과, 상기 광을 출사하는 제1출사면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출사면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2입사면과 상기 제2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출사하는 제2출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기판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광을 편광 및 집광하는 와이어 그리드층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입사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발광다이오드, 백열전구, 냉 음극 형광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광판 및 광학시트를 생략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편광판을 대체하는 와이어 그리드층을 마련함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1와이어 그리드층이 형성된 제1기판의 사시도,
도 5는 제2와이어 그리드층이 형성된 제2기판의 사시도,
도 6은 제1기판으로 입사된 광의 진행경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해사시도,
도 4는 제1와이어 그리드층이 형성된 제1기판의 사시도,
도 5는 제2와이어 그리드층이 형성된 제2기판의 사시도,
도 6은 제1기판으로 입사된 광의 진행경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신호입력부(31), 튜너(33), 영상처리부(37), 제어부(35), 사용자입력부(70), 전원부(50) 및 디스플레이부(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37)는 상기 튜너(33)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 가능하게 처리한다. 상기 영상처리부(37)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의 해상도에 대응하여 스케일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도록 스케일러(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보드(30)에는 상기 튜너(33) 및 상기 외부신호 입력부(31)가 장착되며, 상기 튜너(33) 혹은 상기 외부신호입력부(31)로부터 입력된 영상신호를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기 위한 영상처리부(37)와 상기 영상처리부(37)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50)는 상기 사용자입력부(70), 메인보드(30) 및 디스플레이부(10)에 전원을 인가 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상기 영상처리부(37)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를 화상으로 구현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로 광을 제공하는 광원부(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기판(120)과 제2기판(170), 상기 제1기판(120)과 제2기판(170)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150), 상기 제1기판(120) 및 제2기판(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와이어 그리드층(130,160) 및 액정의 배열을 변화시키는 박막 트랜지스터(14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은 수동 발광 소자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90)를 더 포함한다. 물론,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보호필름(미도시), 접착필름(미도시) 등의 광학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20) 및 제2기판(170)은 표면에 도체 패턴(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는 절연재료의 부재로 마련된다. 상기 부재는 광 투과성의 투명기판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20) 및 제2기판(170)의 표면에 마련되는 상기 도체패턴(미도시)은, 인듐-주석 산화물(Indium-Tin Oxide, ITO)이나 주석-안티몬산화물(ATO) 등의 산화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체패턴(미도시)은 스퍼터링법(sputtering) 또는 증착 등의 방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스퍼터링법이란, 이온화된 원자를 전기장에 의해 가속시켜 상기 산화물에 충돌시키면, 이 충돌에 의해 상기 산화물의 원자들이 튀어나와 상기 투명기판의 표면에 붙게 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제1기판(120)은 광이 입사하는 제1입사면과, 상기 제1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을 출사하는 제1출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출사면을 통과한 광은 상기 액정층(150)으로 입사된다.
상기 제2기판(170)은 상기 액정층(1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기판(120)과 대향되게 마련된다. 상기 제2기판(170)은 상기 액정층(150)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2입사면과 상기 제2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출사하는 제2출사면을 가진다.
상기 제1기판(120)에는 복수의 게이트 배선(미도시)과 복수의 데이터 배선(미도시)이 메트릭스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의 교차점에는 화소전극(미도시)과 박막 트랜지스터(140,Thin Film Transistor, TFT)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140)를 통해 인가된 신호전압은 화소전극에 의해 액정에 공급되며, 액정은 이 신호전압에 따라 정렬되어 광 투과율을 정하게 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40)는 경우에 따라서, 상기 액정층(150)과 상기 제2기판(170)의 사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박막트랜지스터(140)가 상기 액정층(150)을 통과한 광이 출사되는 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판(120)은 입사된 광이 상기 액정층(150)을 향해 도광되도록 패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턴(1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라미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입사된 광은, 피라미드의 앞면에 맞아 전반사가 일어나면서, 액정층(150)을 향해 도광된다. 또한, 광이 피라미드 앞면에 임계각보다 작은 각으로 입사되는 경우, 피라미드 안으로 입사되어 피라미드의 뒷면으로 출사된다. 즉, 상기 패턴(121)에 의해서 위로 올라가는 광은 휘도를 향상시키고, 다시 반사되거나 상기 패턴(121) 내부로 입사되어 다시 출사되는 광은 휘도의 균일도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기판(120)은 액정층(150)을 지지하는 기본 기능과 함께, 상기 광원부(90)로부터 입사된 광을 효율 좋게 집광하고, 상기 액정층(150)으로 안내하는 도광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집광 및 도광기능을 하는 제1기판(120)을 통해, 도광판 및 광학시트가 생략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 두께가 감소한다.
상기 제1기판(120)은 상기 액정층(150)으로 광이 출사되는 면과 대향되는 면에 미러코팅층(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코팅층(110)은 상기 제1기판(120)으로 입사된 광 중 일부를 상기 액정층(510)으로 반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액정층(150)은 상기 제1기판(120)과 제2기판(170)의 사이에 마련되며, 내부에 액정이 채워진다. 상기 액정층(1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단위를 이루는 액정셀(151)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액정셀(151)은 화상신호 정보에 따라 배열이 변경되어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액정은 분자의 배열방식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축의 방향만이 가지런한 것을 네마틱(nematic)이라 하며, 방향이 일정한 분자가 층을 이루는 경우는 스멕틱(smectic)이라 하고, 가지런한 축을 이루지만, 축의 방향이 변하는 콜레스테릭(cholesteric)이 있다.
상기 액정층(150)을 사이에 두고 양 쪽에 배치되는 상기 제1기판(120)과 제2기판(170)에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그리드층(130,160)이 마련된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130,160)은 종래의 편광판(polarizer)을 대체하여 편광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130,160)은 종래의 DBEF(double brightness enhancement film, 이중휘도향상필름)를 대체하여 집광기능을 한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130,160)은, 기판 위에 금속 박막을 증착 형성하고, 금속 박막 위에 열경화 재료 또는 UV경화 재료로 이루어진 폴리머를 도포하고, 폴리머의 표면에 미세 패턴을 전사하고, 미세 패턴을 마스크로 해서 폴리머 및 금속 박막을 에칭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박막의 재질로는, 알루미늄, 은, 금, 구리, 몰리브덴, 탄탈, 주석, 니켈, 인듐, 마그네슘, 철, 크롬, 실리콘 등의 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종래의 흡수형 편광판이 광의 50%는 투과하고 나머지 50%는 흡수하여 광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과 달리,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130,160)은 금속재질로 마련되므로 S-편광은 반사하고, P-편광은 투과시킨다. 따라서, 반사된 S-편광을 재활용하면, 100%에 가까운 이용 효율을 보일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흡수형 편광판이 고휘도의 광원에 노출되는 경우 유전체 물질의 열적변형 등으로 불안정한 것과는 달리,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130,160)은 투명기판위에 금속재질의 와이어 그리드층이 형성된 구조이므로, 고휘도의 광원에 노출되더라도 열적으로 안정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130,160)은 그 공정이 간단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대면적의 LCD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종래의 편광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측에 마련되나,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130,160)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측에 마련된다. 따라서, 보호필름(미도시) 등의 광학시트가 생략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가 감소한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130,160)은 기판에 부착하지 않고 코팅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접착필름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측에 마련됨으로써,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하나의 공정으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광원부(90)와 함께 마련되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모니터, 휴대폰의 화상부 및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광원부(90)는 냉음극형광램프(CCFL), 열음극 형광램브(H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발광다이오드(LED)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90)의 외곽에는 광원커버(미도시)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편광판과 도광판이 생략되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적인 두께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두께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생략되는 구성으로 인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광의 입사와 출사에 따른 경로차이가 줄어들어 크로스 톡(CROSS TALK)이 감소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의 격자방향과 상기 제2와이어 그리드층(160)의 격자방향은 서로 수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기판(120)과 상기 제1기판(120)에 부착된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을 나타낸다.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금속층을 상기 제1기판(120)에 증착한 후 에칭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이하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은 투명한 제1기판(120)과 상기 제1기판(120) 위에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된 금속재질의 와이어 그리드층으로 마련된다.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은 소정의 높이(H), 폭(W) 및 격자주기(P)로 마련되며 광학적 설계에 따라 그 수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그리드층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투과성을 지니는 기재(제1기판, 120)의 한쪽면에 대략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복수의 금속 격자가 평행하게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격자주기(L)가 광의 파장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 입사되는 광은 복수의 회절광으로 분해되나, 격자의 주기(L)가 입사되는 광의 반 파장 이하가 되면, 입사되는 광은 이러한 복수의 회절광으로 분해되는 대신에, S-편광의 반사광과 P-편광의 투과광으로 분해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제1기판(120)은 판 형상, 시트 형상, 필름 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평판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기판(120)의 재질로는 유리,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환상 올레핀 폴리머, 환상 올레핀 코폴리머, 노보넨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액정층(1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와이어 그리드층(160) 및, 상기 제2와이어 그리드층(160)이 형성된 제2기판(170)을 나타낸다.
상기 제2와이어 그리드층(160)은 앞서 설명한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과 형성방법 및 구조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와이어 그리드층(160)의 격자는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의 격자와 수직으로 엇갈리게 마련된다. 물론,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과 제2와이어 그리드층(160)은 그 위치가 서로 변경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은 상기 광원부(90)에서 입사된 광 중 특정 편광의 광을 상기 액정층(150)으로 투과시키고, 나머지 편광을 차단한다.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130)을 투과한 광은 상기 액정의 화소 단위 구동 상태에 따라 화소 단위로 편광방향이 결정된 상태로 상기 제2와이어 그리드층(160)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2와이어 그리드층(160)은 소정 편광방향의 광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광은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액정의 구동상태에 대응하여 일부 화소를 투과한 광은 차단하고, 다른 화소를 투과한 광은 투과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6은 상기 제1기판(120)의 제1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제1출사면으로 출사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입사된 광 중, P-편광은 상기 그리드(격자)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액정층(150)으로 출사된다. 입사된 광 중, S-편광은 상기 그리드(격자)에 반사된다. 상기 반사된 광은 상기 패턴(121)에 의해 다시 반사되어 P-편광으로 출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한 쌍의 기판(220,260), 상기 기판(220,260) 사이에 내재되는 액정층(250), 상기 액정층(250)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박막트랜지스터(240) 및 상기 기판(220,260)에 형성되는 와이어 그리드층(230,270)을 포함한다. 물론,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도 7에 도시된 구성 이외에도 보호필름, 접착필름 등의 광학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구별되는 특징적인 부분만 발췌하여 설명하며, 설명이 생략된 부분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광원부(90)로부터 입사된 광을 안내하여 상기 액정층(250)으로 출사시키는 도광판(295,Light Guide Plate)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295)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광판(295)으로 입사된 광의 일부를 반사시키는 리플렉터(29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295)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광판(295)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분산시키는 디퓨저(295)를 더 포함한다. 상기 광을 집광시켜 휘도를 증가시키는 프리즘(291)을 더 포함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미러코팅층(110)과 패턴(121)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90: 광원부 110: 미러코팅층
120, 220: 제1기판 121: 패턴
130, 230: 제1와이어 그리드층 140,240: 박막트랜지스터
150, 250: 액정층 151,251: 액정
160,270: 제2와이어 그리드층 170,260: 제2기판
180,280: 보호필름 291: 프리즘
293: 디퓨저 295: 도광판
297: 리플렉터
120, 220: 제1기판 121: 패턴
130, 230: 제1와이어 그리드층 140,240: 박막트랜지스터
150, 250: 액정층 151,251: 액정
160,270: 제2와이어 그리드층 170,260: 제2기판
180,280: 보호필름 291: 프리즘
293: 디퓨저 295: 도광판
297: 리플렉터
Claims (13)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광이 입사하는 제1입사면과 상기 광을 출사하는 제1출사면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출사면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2입사면과 상기 제2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출사하는 제2출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기판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광을 편광 및 집광하는 와이어 그리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제1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을 상기 액정층을 향해 도광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은,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입사면 및 상기 제1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와이어 그리드층과;
상기 제2기판의 상기 제2입사면 및 상기 제2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와이어 그리드층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출사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 그리드층은,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입사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은, 알루미늄, 은, 구리, 몰리브덴, 탄탈, 주석, 니켈, 인듐, 마그네슘, 철, 크롬, 실리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광이 입사하는 제1입사면과, 상기 광을 출사하는 제1출사면을 갖는 제1기판과,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출사면을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2입사면과 상기 제2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이 출사하는 제2출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기판에 대해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기판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사이에 마련되는 액정층과, 상기 제1 및 제2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광을 편광 및 집광하는 와이어 그리드층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입사면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은,
상기 제1입사면으로 입사된 광을 상기 액정층을 향해 도광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은,
상기 제1기판의 상기 제1입사면 및 상기 제1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1와이어 그리드층과;
상기 제2기판의 상기 제2입사면 및 상기 제2출사면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와이어 그리드층을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 그리드층은,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1출사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 그리드층은,
상기 제2기판과 상기 액정층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입사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그리드층은,
알루미늄, 은, 금, 구리, 몰리브덴, 탄탈, 주석, 니켈, 인듐, 마그네슘, 철, 크롬, 실리콘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두 개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발광 다이오드, 백열 전구, 냉 음극 형광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결합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7768A KR20120075877A (ko) | 2010-12-29 | 2010-12-29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US13/244,491 US20120169972A1 (en) | 2010-12-29 | 2011-09-25 |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7768A KR20120075877A (ko) | 2010-12-29 | 2010-12-29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5877A true KR20120075877A (ko) | 2012-07-09 |
Family
ID=46380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7768A Withdrawn KR20120075877A (ko) | 2010-12-29 | 2010-12-29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69972A1 (ko) |
KR (1) | KR2012007587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77061B1 (ko) * | 2012-07-10 | 2019-05-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편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060793B1 (ko) | 2013-04-18 | 2020-02-12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150034947A (ko) | 2013-09-27 | 2015-04-06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의 금속 배선,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제조 방법 |
CN105700233A (zh) * | 2016-04-05 | 2016-06-22 |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
US11362310B2 (en) * | 2017-11-20 | 2022-06-14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using a low refractive index dielectric |
US11159753B2 (en) * | 2019-04-23 | 2021-10-26 | Coherent AI LLC | High dynamic range optical sensing device employing broadband optical filters integrated with light intensity detectors |
CN216901236U (zh) * | 2022-01-11 | 2022-07-05 | 扬昕科技(苏州)有限公司 | 光源模块及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88840B1 (en) * | 1999-06-22 | 2001-09-11 | Moxtek | Imbedded wire grid polarizer for the visible spectrum |
US7466484B2 (en) * | 2004-09-23 | 2008-12-16 | Rohm And Haas Denmark Finance A/S | Wire grid polarizers and optical elements containing them |
KR100656999B1 (ko) * | 2005-01-19 | 2006-1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선 격자 편광필름 및 선 격자 편광필름의 격자제조용 몰드제작방법 |
KR100718136B1 (ko) * | 2005-08-30 | 2007-05-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채용한 액정표시장치 |
KR20070037864A (ko) * | 2005-10-04 | 2007-04-09 |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 액정 표시패널과 그의 제조방법 |
KR20080015536A (ko) * | 2006-08-16 | 2008-02-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와이어 그리드 편광자 제조 시스템 및 제조 방법 |
JP4778873B2 (ja) * | 2006-10-20 | 2011-09-21 |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 液晶表示装置 |
JP5010527B2 (ja) * | 2007-06-04 | 2012-08-29 | 住友化学株式会社 | 導光板ユニット、面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
JPWO2009101797A1 (ja) * | 2008-02-13 | 2011-06-09 | シャープ株式会社 | 照明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
JPWO2010137263A1 (ja) * | 2009-05-29 | 2012-11-1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液晶表示装置 |
KR101639976B1 (ko) * | 2009-12-02 | 2016-07-18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액정표시모듈 |
-
2010
- 2010-12-29 KR KR1020100137768A patent/KR20120075877A/ko not_active Withdrawn
-
2011
- 2011-09-25 US US13/244,491 patent/US20120169972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169972A1 (en) | 201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2925B1 (ko) | 커브드 액정표시패널 | |
US20060098140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US20180188590A1 (en) | Touch display scree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ouch display device | |
EP2555044A1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US11307453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US20110273643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20130033659A1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 |
KR20120075877A (ko) |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
KR101804080B1 (ko) | 내로우 베젤 액정 디스플레이의 팬아웃 영역 구조 | |
US8325290B2 (en) | Du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9470925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US7920228B2 (en) | Du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140089769A (ko) | 표시 장치 | |
TWI403802B (zh) | 具有改良光導板之背光組件及具有該背光組件之顯示器裝置 | |
US8092062B2 (en) |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 |
US20180284539A1 (en) | Transflective lcd | |
WO2021218407A1 (zh) | 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 |
US20160091750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060086174A (ko) |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 |
JP2008122658A (ja) | 液晶表示装置 | |
KR100841488B1 (ko) |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장치 설계 방법 | |
CN103018952A (zh) | 显示基板以及包括该显示基板的显示装置 | |
KR20130025763A (ko) | 빛샘이 방지된 액정표시소자 | |
KR20130020473A (ko) | 빛샘이 방지된 액정표시소자 | |
US10989957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