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82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4825A KR20120074825A KR1020100136777A KR20100136777A KR20120074825A KR 20120074825 A KR20120074825 A KR 20120074825A KR 1020100136777 A KR1020100136777 A KR 1020100136777A KR 20100136777 A KR20100136777 A KR 20100136777A KR 20120074825 A KR20120074825 A KR 201200748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ayer
- reflective
- light guide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02B6/002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for housing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source, e.g. by forming holes or reces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1—Direct backlight including means for improving the brightness uniform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놓이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층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 및 확산시키는 도광층; 상기 중공부에 제공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방출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도광층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LCD의 액정 패널은 액정 패널은 액정층 및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TFT 기판 및 컬러 필터 기판을 포함하며, 자체 발광력이 없어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 장착되는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광원을 구성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탑 뷰(Top view) 방식과,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
최근에는, LCD 패널용 광원으로서 면광원 램프(FFL:Flat Fluorescent Lamp 또는 SLS:Surface Light Source)의 적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면광원은 표면이 균일하게 빛나며 두께가 없는 광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면광원을 이용함으로써 백라이트 유닛이 얇아지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탑 뷰 방식 LED 광원을 이용하여 백라이트 유닛 전체 면에 효과적으로 확산 및 전달시킬 수 있는 면광원 구조를 가지는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놓이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층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 및 확산시키는 도광층; 상기 중공부에 제공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방출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도광층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놓이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방출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제 1 층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 및 확산 시키는 도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층의 저면에는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도광층의 상면에는 상기 반사 부재를 수용하는 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전방(또는 상방)으로 빛을 방출하는 탑뷰 방식의 LED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측방으로 효율적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면 발광 LED를 측면 발광으로 조절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종래 면광에 비해 더 얇은 두께에서 고효율의 면광원을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에지형과 직하형의 장점을 모두 가지는 면광원 구조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LED 패키지의 2차원 배열을 통하여 부분 구동(Local Dimming)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반사판의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제시된 반사 물질을 차광층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1에 제시된 반사 물질을 차광층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9는 제 10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안착되는 반사판의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층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평면도.
도 5는 상기 반사판의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제시된 반사 물질을 차광층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1에 제시된 반사 물질을 차광층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19는 제 10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안착되는 반사판의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층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를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백라이트 유닛(20)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필터 기판(13) 및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12)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기판(13,12) 사이에 액정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컬러 필터 기판(13)은 레드(R), 그린(G) 및 블루(B) 서브 픽셀로 이루어진 복수의 픽셀들을 포함하며, 광이 인가되는 경우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픽셀들은 레드, 그린 및 블루 서브 픽셀로 구성될 수 있으나,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W) 서브 픽셀이 하나의 픽셀을 구성하는 등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TFT 기판(12)은 스위칭 소자로서 화소 전극(미도시)을 스위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전극(미도시) 및 상기 화소 전극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소정 전압에 따라 상기 액정층의 분자들의 배열을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액정층은 복수의 액정 분자들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액정 분자들은 상기 화소 전극과 상기 공통 전극 사이에 발생된 전압차에 상응하여 배열을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은 상기 액정층의 분자 배열의 변화에 상응하여 컬러 필터 기판(13)에 입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TFT 기판(12)의 저면에 제공되는 하부 편광판(11)과, 상기 컬러 필터 기판(13)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부 편광판(14)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상기 하부 편광판(11)의 하측에 놓이는 광학 시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시트(15)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확산시켜 면광원을 만드는 확산판 및/또는 확산 시트와, 상기 확산 시트로부터 확산되는 빛을 집광하는 프리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면, 즉 상기 하부 편광판(11)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을 디스플레이 패널(10)에 밀착 형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을 제거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의 구조 및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0)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모듈의 오동작 또는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복수의 기능 층들이 적층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기능 층들 중 적어도 한 층에는 복수의 광원들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을 구성하는 복수의 층들은 각각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측 외관을 형성하는 백커버의 전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두께가 감소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영역들로 분할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서 요구되는 그레이 피크값 또는 색 좌표 신호에 따라, 상기 분할된 영역에 대응하는 백라이트 유닛(20)의 영역에 실장된 광원의 밝기가 조절되어,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라이트 유닛(20)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할된 영역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분할 구동 영역으로 구분되어 동작, 소위 로컬 디밍(local dimming)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은, 제 1 층(21)과, 상기 제 1 층(21)의 상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광원들(22)과, 상기 제 1 층(21)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 2 층(23)과, 상기 제 2 층(23)의 상면에 놓이는 도광층(2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4)에는 상기 광원(22)을 수용하는 중공부(242)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242)는 반사판(reflector)(241)에 의하여 덮인다.
상세히, 상기 제 1 층(21)은 상기 복수의 광원들(22)이 실장되는 회로 기판일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와, 상기 광원들(22)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층(21)의 상면에는 상기 광원(22)과 어댑터를 연결하기 위한 탄소 나노 튜브 전극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층(21)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리, 폴리카보네이트와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복수의 광원들(22)이 실장되는 PCB 기판일 수 있으며, 플렉서블한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22)은 발광 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 칩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칩이 구비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광원(22)으로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가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상기 광원(22)을 구성하는 LED 패키지는 발광면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탑 뷰(Top view) 방식과 사이드 뷰(Side view) 방식으로 나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22)은 발광면이 상측을 향해 형성되는 탑 뷰 방식의 LED 패키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상기 광원(22)은 적색, 청색, 녹색 등과 같은 컬러 중에서 적어도 한 컬러를 방출하는 유색 LED이거나 백색 LE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색 LED는 적색LED, 청색LED 및 녹색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의 배치 및 방출 광은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광층(24)은 상기 제 1 층(21)의 상측에 배치되어 복수의 광원들(2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도광층(24)은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투과시킴과 동시에 확산시켜,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도광층(24)은, 광투과성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아크릴계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광층(24)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재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다양한 수지(resin)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4)은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이 확산되어 백라이트 유닛(20)이 균일한 휘도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약 1.4 내지 1.6의 굴절율을 갖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광층(24)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틸렌 및 폴리에폭시, 실리콘, 아크릴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층(24)은 상기 제 2 층(23)에 견고하게 밀착되도록 소정의 접착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광층(24)은 불포화 폴리 에스터,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히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드록시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 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 아미드, 메티롤 아크릴 아미드,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이소 부틸 아크릴레이트, 노말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공중합체 혹은 삼원 공중합체 등의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및 멜라민계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층(24)은 액상 또는 겔(gel)상의 수지를 복수의 광원들(22) 및 제 2 층(23)의 상측 면에 도포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도광층(24)을 별도로 사출 성형하여 제1 층(210)의 상측 면에 접착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광층(24)의 내부에는 다수의 산란 입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산란 입자들은 빛을 산란 또는 굴절시켜,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보다 넓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산란 입자는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산란 또는 굴절시키기 위해, 도광층(24)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층(24)을 구성하는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수지보다 높은 굴절율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란 입자는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MS),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 스티렌 (PS), 실리콘, 이산화 티타늄(TiO2), 이산화 실리콘(SiO2)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물질들을 조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산란 입자는 상기 도광층(24)을 구성하는 물질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물질로도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도광층(24)에 기포(bubble)를 형성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산란 입자를 구성하는 물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물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다양한 고분자 물질 또는 무기 입자들을 이용하여 구성될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층(21)과 상기 도광층(24) 사이에 제 2 층(23)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층(23)은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추출 또는 반사시키기 위한 층으로서, 광 추출층 또는 반사층이라고도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층(23)의 상면에는 광 추출 패턴(light extraction pattern)(231: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어 부딪히는 빛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효과적으로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광추출 패턴(231)은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인접하는 광원까지 균일한 휘도로 확산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기 때문에 확산 패턴(diffusion pattern)이라고도 한다.
상기 광 추출 패턴(231)은, 반사 물질인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Al), 은(Ag), 금(Ag) 또는 이산화 티타늄(TiO2)과 같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추출 패턴(231)은 상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제 2 층(23) 상에 증착 또는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금속 잉크를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23)은, 합성 수지 재질의 시트 중 산화티탄 등의 백색안료가 분산된 것, 표면에 금속 증착막을 적층한 것, 합성수지제의 시트 중에 빛을 산란시키기 위하여 기포가 분산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율을 높이기 위해 표면에 은(Ag)이 코팅(coating)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층(23)은상기 제 1 층(21)의 상면에 직접 코팅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23)에는 상기 광원(22)이 관통하도록 하는 광원홀(232)이 형성되어, 상기 광원(22)과 상기 제 2 층(23)의 간섭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되는 절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광층(24)에는 상기 광원들(22)을 수용하는 중공부(242)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242)에 상기 반사판(241)이 안착된다. 상기 중공부(242)는 별도의 사출 성형 과정을 통하여 제작된 도광층(24)에 타공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 2 층(23)의 상면에서 직접 수지를 몰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반사판(241)은 탑뷰 방식의 상기 광원(22)으로부터 직상방으로 방출되는 빛의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반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전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전달될 경우, 상기 광원(22)에 인접하는 영역에서 광의 밀도가 집중된다. 그 결과, 광원(22)으로부터 이격되는 주변보다 높은 휘도를 가지는 핫 스팟(hot spot)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핫 스팟 현상에 의하여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되는 광의 휘도가 불균일하게 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디스플레이 영상의 화질이 저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4)의 두께가 작을수록 핫 스팟 현상의 발생 가능성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광원(22)의 상측에 반사판(241)을 설치하여, 상기 광원(22)으로부터 상측으로 방출되는 빛을 측방으로 반사시켜 상기 도광층(24) 내에서 광 확산을 유도한다. 그 결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으로부터 균일한 휘도의 광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241)은,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일부는 그대로 투과하여 상기 디스플레이패널 쪽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되어 상기 도광층(24) 내부에서 확산되도록 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일,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전부 반사된다면 오히려 상기 광원(22)이 위치한 영역에 흑점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빛의 일부는 투과하도록 하여, 주변 영역과 균일한 휘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효과적으로 반사 및 투과시키기 위하여, 반사율이 높은 은(Ag)이나 알루미늄(Al)이 상기 반사판(241)의 일부에 코팅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41)은 상기 광추출 패턴(231)과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얇은 필름의 표면에 상기 광추출 패턴(231)과 동일한 소재의 물질이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2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22) 쪽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상기 반사판(241)에 입사되어 측방으로 반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4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사다리꼴 형태를 이룰 수도 있고, 역삼각형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41)의 상단부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중공부(242)의 가장자리에 걸쳐지도록 하여, 상기 반사판(241)이 상기 도광층(24)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반사판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241a)은 꼭지점이 상기 광원(22)의 상면에 인접하는 원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원뿔의 표면에 입사된 빛은 반사되어 상기 도광층(24) 내부로 확산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41a)의 꼭지점으로부터 이격되는 지점에서 수평하게 절단되는 원뿔 형태를 이룰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즉, 상기 도 3에 제시된 반사판의 종단면도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원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층(21)과, 제 2 층(23)과, 도광층(24)과, 상기 제 1 층(21)에 실장되는 광원(22) 및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상기 도광층(24)의 중공부(242)에 안착되는 반사판(241)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반사판(241)은 도 2 또는 도 4에 제시된 형태의 반사판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4)은 별도의 사출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뒤 상기 제 1 층(21)의 상면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 1 층(21)의 상면에 수지제를 부어 경화시키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공부(242) 또한 타공 또는 몰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41)은 상기 중공부(242)의 가장자리 상면에 얹히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빛이 방출되면 상기 반사판(241)의 경사진 면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41)에 입사된 빛의 일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투과되고, 일부는 반사되어 상기 도광층(24) 내부로 확산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4) 내부로 확산되는 빛의 일부는 상기 도광층(24) 내부에 있는 산란 입자에 부딪혀서, 인접하는 광원(22) 쪽으로 재확산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4)의 내부로 확산되는 빛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층(23)에 형성된 광 추출 패턴(231)에 부딪혀서 여러 방향으로 확산 또는 산란된다. 이와 같이, 다수회에 걸친 빛의 경로 변동에 따라 빛이 도광층(24) 내부 전체체 골고루 퍼지게 되어, 상기 백라이트 유닛(20)의 균일한 휘도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그 구성에 있어서 동일하고,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차광층(25)이 놓이고, 상기 차광층(25)에 차광 패턴(251)이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는 차광층(25)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차광층(25)에는 다수의 차광 패턴(screeening pattern)(2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251)은 상기 광원(22)이 수용되는 중공부(242) 근방에 형성되어, 핫 스팟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251)은, 상기 반사판(241)과 같이,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반사시키는 부분 반사 패턴(partial reflection pattern)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광층(25)은, 투명 필름 상에 복수의 차광 패턴들(251)이 인쇄된 패턴층일 수 있다. 상기 차광 패턴들(251)은 상기 제 2 층(23)에 형성된 광추출 패턴(231)과 동일한 형태 및 재질의 패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광 패턴(2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광층(25)을 형성하는 필름의 저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반사판(241)이 차광층(25)에 한 몸으로 부착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에 있어서 이전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상세히,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는 차광층(25)이 놓일 수 있고, 상기 광원(22)의 주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차광층(25)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다수의 차광 패턴(25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광층(25)의 저면에는 반사판(252)이 한 몸으로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252)는 이전 실시예에서 제시된 반사판(241)과 동일한 반사판임을 밝혀 둔다.
상기 반사판(252)이 상기 차광층(25)의 저면에 한 몸으로 부착되는 방법으로는, 상기 반사판(252)이 접착제에 의하여 상기 차광층(25)의 저면에 부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차광층(25) 필름의 제작 과정에서 상기 반사판(252)이 한 몸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52)이 형성되는 지점은 상기 도광층(24)에 형성된 중공부(242)에 대면하는 상기 차광층(25)의 저면이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상기 차광층(25)이 놓이고, 상기 광원(22)의 주변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차광층(25)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기 차광 패턴(251)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도 8에서 제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차광층(25)의 특정 지점, 즉 상기 도광층(24)에 상기 차광층(25)을 안착할 때 상기 중공부(242)에 해당하는 지점에 포밍 공정 또는 드로잉 공정을 가하여 포밍부(253)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밍부(253)의 저면에는 상기 반사판(241)이 부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반사판(241)은 상기 포밍부(253)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포밍부(253)는 상기 광원(22)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경사지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밍부(253)의 횡단면은 정사각형, 직사강형 또는 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들 포밍부(253)의 종단면은 모두 역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포밍부(253)의 저면에 부착된 상기 반사판(241)에 상기 광원(22)으로부터 상측으로 방출되는 빛이 입사되어 측방으로 확산될 것이다. 물론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의 일부는 상기 차광층(25)을 관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반사판(241)에 차광 패턴(24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차광층(25)에 포밍 공정을 통한 포밍부(253)가 형성되고, 상기 포밍부(253)의 저면에 반사판(241)이 부착되는 것에 있어서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차광층(25)에 형성되는 차광 패턴(241a)이 상기 반사판(241)에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판(241)의 상단부는 가로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걸쳐지고, 상기 도광층(24)에 걸쳐지는 상기 반사판(241) 부분에 상기 차광 패턴(24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판(241)은 상기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부를 측방으로 반사시키는 기능 외에, 상기 광원(22) 주위에 밀집하는 빛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투과되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한다. 즉, 반사판(241)에 형성되는 차광 패턴(241a)에 의하여, 상기 광원(22) 주위에 밀집하는 빛의 일부를 반사시켜 상기 도광층(24)에서 확산되도록 하는 기능을 함께 수행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층(25)의 저면에 상기 반사판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반사 물질(241)이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차광 패턴(251)이 형성된 차광층(25)이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은 상기 도 7의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되, 상기 광원(22)의 직 상방에 반사 물질이 증착되어 반사판(241)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여기서, 반사판과 반사 물질은 기능이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이용하여 혼용한다.
또한, 상기 반사 물질(241)의 종단면도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측방으로 반사되도록 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차광층(25)의 저면에 필름 형태의 반사판(241)이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차광층(25)과 반사판(241) 사이에 반사 물질이 채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에 제시된 반사 물질을 차광층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 물질(241)을 상기 차광층(25)의 저면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먼저 상기 반사물질(241)의 형상에 대응하는 함몰부를 가지는 금형(50)을 준비한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에 반사 물질을 붓고, 상기 차광층(25)을 형성하는 필름을 상기 금형(50) 위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반사 물질(241)이 상기 차광층(25)의 저면에 부착 및 경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경화가 끝나면 상기 금형(50)을 이동시킨다.
도 13은 도 11에 제시된 반사 물질을 차광층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다른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차광층(25)의 저면이 상측으로 오도록 뒤집어서 평평한 면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기 반사 물질의 형상에 대응하는 공간이 상기 차광층(25)의 상측에 형성되도록 금형(50a)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반사 물질을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53)를 하강시켜 상기 금형(50a)에 근접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게이트(53)를 통하여 반사 물질을 주입하면 상기 금형(50a)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 내부로 반사물질이 주입된다. 반사 물질 주입이 끝나고, 상기 반사 물질이 상기 차광층(25)에 부착된 상태에서 경화되도록 한다. 경화 과정이 끝나면 상기 금형(50a)을 이동시킨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 6 실시예와 그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반사 물질 내부에 확산 물질(26)이 포함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반사 물질(241) 내부에 입자 형태의 다수의 확산 물질(26)이 함유되도록 하여, 상기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부가 상기 반사 물질(241)의 표면에서 바로 반사되도록 할 뿐 아니라, 상기 반사 물질(241)을 통과하는 빛의 일부가 상기 확산 물질(26)에 부딪혀서 여러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광원(22)의 직상방 영역에서 핫스팟이 발생하는 가능성이 낮아지고, 백라이트 유닛(20)의 휘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차광층(25)이 안착되는 것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반사판(241)이 안착되기 위한 반사홈(244)이 형성되고, 상기 반사홈(244)의 표면에 반사판(241)이 안착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물론, 이전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층(24)에 상기 광원(22)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242)가 형성되는 대신, 상기 광원(22)을 감싸는 그루브(243)가 형성되는 것에도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반사홈(244)은 상기 그루브(243)에 연결되지 않는 깊이로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반사홈(244)은 상기 반사판(241)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은 상기 반사홈(244)에서 굴절 현상이 일어난다. 상세히, 상기 도광층(24)을 구성하는 물질과 공기의 굴절율 차이로 인하여, 상기 반사홈(244)에서는 굴절 현상이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 반사홈(244) 즉, 도광층(24)과 공기의 경계면에서는 조사되는 빛의 각도에 따라 일부 반사 일부 굴절이 일어나기도 하고, 전반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한편, 상기 반사홈(244)에서 굴절되어 직진하는 빛은 상기 반사판(241)에서 일부 투과 일부 반사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홈(244)에 반사판(241)이 부착되는 구조에서는,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두 번 반사되어, 빛이 도광층(24) 내부로 효과적으로 반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광층(24) 내부에서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므로, 백라이트 유닛(20)의 휘도 균일화를 달성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5)의 상면 또는 하면에 차광 패턴(251)이 형성되는 것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 1 층(21), 광원(22), 제 2 층(23)은 생략되었으나,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조 및 기능과 동일함을 밝혀 둔다.
본 실시예는, 제 8 실시예와 구조가 동일하되 다수회 단차지는 형태의 반사홈(244a)이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반사홈(244a)에 다수 개의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제 8 실시예에 비하여 훨씬 많은 방향으로 반사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많은 방향으로 반사될수록 핫스팟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는 반면 백라이트 유닛(20)의 휘도는 더욱 더 균일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반사판(241)의 저면에 반사 패턴(24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이전에 제시된 반사판(241)의 경우는, 반사판 자체가 빛을 일부 투과하고 일부 반사하는 재질로 이루어졌다고 본다면, 본 실시예의 반사판은, 투명 재질의 필름에 별도의 반사 패턴(241b)이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반사 패턴(241b)에 입사되는 빛은 도광층(24) 내부로 다시 재반사되고, 반사 패턴(241b) 이외의 부분으로 입사되는 빛은 그대로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쪽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전 실시예에서 제시된 반사판과 기능 및 효과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고, 도 19는 제 10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안착되는 반사판의 평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 9 실시예와 구조가 동일하되 상기 반사홈(244a)에 안착되는 반사판(241)이 상기 반사홈(244)의 단차진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반사홈(244a)에 안착되는 반사판(241)이 상기 반사홈(244a)의 단차부와 동일하게 단차짐으로써, 상기 반사판(241)과 반사홈(244a)의 밀착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반사홈(244a)에 입사되어 1차 반사 및 굴절되고, 상기 반사홈(244a)에서 굴절된 빛의 일부는 상기 반사판(241)에서 2차 반사되거 나머지 일부는 투과되는 것은 제 9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도 2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판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반사판(241)의 저면에 반사 패턴(241b)이 형성되는 것은 도 17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되, 상기 반사판(241)이 도 18 및 도 19에 제시된 것과 같이 다수 회 단차지는 단차부를 가진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세히, 상기 반사판(241)은, 다수의 단차부를 가지는 투명 필름의 저면에 반사 패턴(241b)이 단차부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상기 광원(22)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부는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된다. 상기 반사판(241)이 다수회 단차짐으로써, 상기 반사판(241)에 부딪히는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는 것은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제 8 실시예와 그 구조가 거의 동일하고, 차광 패턴(251)이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직접 형성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비록, 제 1 층(21), 제 2 층(23) 및 광원(22)의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이는 제 8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세히, 상기 차광 패턴(251)은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증착 또는 인쇄되어, 별도의 차광층(25)을 위한 필름이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놓일 필요가 없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22도, 도 21과 마찬가지로 제 1 층(21), 제 2층(23) 및 광원(22)의 도시가 생략되었으나 제 1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을 밝혀 둔다.
상세히, 본 실시예는 상기 반사홈(244)에 별도의 반사판이 안착되지 않고, 반사 패턴(241a)이 상기 반사홈(244)에 직접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물론, 상기 차광 패턴(251)이 상기 도광층(24)의 상면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차광층(25)이 안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도광층(24)의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경사지는 도광층(24)의 저면에 광추출 패턴(231)이 직접 형성되는 것에 또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도광층(24)의 저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층(23)과 상기 도광층(24)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4)의 저면은 굴절율이 다른 매질의 경계면이 된다. 즉, 도광층(24)을 형성하는 수지제와 공기의 굴절율 차이로 인하여 상기 도광층(24)의 경사진 저면에서 전반사 현상이 일어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광층(24)의 저면으로 입사되는 빛의 일부는 전반사 임계각 이상으로 입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전부 반사되고, 임계각 미만으로 입사되는 빛은 상기 도광층(24)을 투과하여 상기 제 2 층(23)에 입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층(23)에 입사된 빛은 상기 제 2 층(23)의 반사 특성상 다시 반사되어 상기 도광층(24)의 저면에 부딪힌다. 그리고, 상기 도광층(24)의 저면에 부딪힌 빛의 일부는 다시 매질의 굴절율 차이로 인하여 전반사되거나 상기 광 추출 패턴(231)에 부딪혀서 다시 반사된다.
이러한 반사와 재반사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도광층(24)의 경사진 저면과 상기 제 2 층(23)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빛은 수평 방향으로 확산된다. 이와 같은 빛의 이동 현상에 의하여 백라이트 유닛(20)의 휘도가 균일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광층의 구조를 보여주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광원(22)을 수용하는 도광층(24)의 중공부(242a)가 다수회 단차지는 형태로 타공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전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중공부(242)의 측면은 모두 수직한 형태로 타공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중공부(242a)의 단면이 프레넬 렌즈의 단면과 유사한 형태로 단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중공부(242a)의 측면이 단차지면서 직경이 작아지는 형태로 타공되면, 도 16과 18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광원(22)으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 및 굴절되어 백라이트 유닛(20)의 휘도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놓이는 광원과;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층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 및 확산시키는 도광층;
상기 중공부에 제공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방출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도광층 내부로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층과 상기 제 1 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하여 반사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디스플레이 쪽으로 재반사하는 제 2 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층의 저면 또는 상기 제 2 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광 추출 패턴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층의 저면은 수평 또는 경사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부는 투과하고 일부는 반사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광원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함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횡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상단부는 가로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절곡 및 연장되어, 상기 도광층의 상면에 걸쳐지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층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광원의 주변에 해당하는 영역에 차광 패턴을 가지는 차광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차광층의 저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차광층과 한 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차광층의 저면에서 경화되는 반사 물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물질 내부에는 다수의 확산 입자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층에는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함몰되는 포밍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밍부에 상기 반사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의 상단부는 가로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광층에 걸쳐지고,
상기 도광층에 걸쳐지는 부분에 차광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서 빛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제 1 층과;
상기 제 1 층에 놓이는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방출되는 빛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제 1 층의 상측에 놓여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투과 및 확산 시키는 도광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층의 저면에는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도광층의 상면에는 상기 반사 부재를 수용하는 반사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층과 상기 제 1 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반사 부재에 의하여 반사되어 입사되는 빛을 상기 디스플레이 쪽으로 재반사하는 제 2 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반사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반사홈에 안착되는 반사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상기 반사홈에 직접 형성되는 반사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층의 저면은 수평 또는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층의 상면 또는 상기 도광층의 저면에는 다수의 광 추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홈은 다수 회 단차지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 부재도 상기 반사홈과 동일한 형태로 단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필름의 상면 또는 저면에 반사 패턴이 형성된 반사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는 알루미늄 또는 은 재질의 반사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6777A KR20120074825A (ko) | 2010-12-28 | 2010-12-28 | 디스플레이 장치 |
EP11008437A EP2472309A3 (en) | 2010-12-28 | 2011-10-20 | Display apparatus having a backlight unit with uniform brightness |
US13/286,848 US20120162966A1 (en) | 2010-12-28 | 2011-11-01 |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6777A KR20120074825A (ko) | 2010-12-28 | 2010-12-28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4825A true KR20120074825A (ko) | 2012-07-06 |
Family
ID=4509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6777A Withdrawn KR20120074825A (ko) | 2010-12-28 | 2010-12-28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62966A1 (ko) |
EP (1) | EP2472309A3 (ko) |
KR (1) | KR20120074825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9471A1 (ko) * | 2017-09-25 | 2019-03-28 | 엘지전자(주)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087164B1 (ja) * | 2011-08-31 | 2012-11-28 | 株式会社東芝 |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表示装置 |
KR102099590B1 (ko) | 2012-05-18 | 2020-04-10 | 리얼디 스파크, 엘엘씨 | 지향성 백라이트의 광원 제어 |
EP2850488A4 (en) | 2012-05-18 | 2016-03-02 | Reald Inc | DIRECTIONAL BACK LIGHTING |
US9678267B2 (en) | 2012-05-18 | 2017-06-13 | Reald Spark, Llc |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
US9188731B2 (en) | 2012-05-18 | 2015-11-17 | Reald Inc. | Directional backlight |
JP6063192B2 (ja) * | 2012-09-26 | 2017-01-18 | 株式会社エンプラス | 照明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ホルダ |
TW201420963A (zh) * | 2012-11-26 | 2014-06-01 |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 光學元件以及應用該光學元件的發光元件 |
CN103836540A (zh) * | 2012-11-27 | 2014-06-04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光学元件以及应用该光学元件的发光元件 |
TW201426008A (zh) * | 2012-12-26 | 2014-07-01 | Hon Hai Prec Ind Co Ltd | 光學模組 |
TWI622811B (zh) | 2013-02-22 | 2018-05-01 | 瑞爾D斯帕克有限責任公司 | 具方向的背光源 |
US9507204B2 (en) * | 2013-06-26 | 2016-11-29 | Seoul Semiconductor Co., Ltd. | Baffled micro-optical elements for thin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units |
US9739928B2 (en) * | 2013-10-14 | 2017-08-22 | Reald Spark, Llc | Light input for directional backlight |
EP3058562A4 (en) | 2013-10-14 | 2017-07-26 | RealD Spark, LLC | Control of directional display |
US10001592B2 (en) * | 2013-11-22 | 2018-06-19 | Lumens Co., Ltd. | Backlight unit, double cone-shaped reflector, double cone-shaped reflector strip,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 cone-shaped reflector |
US20160230955A1 (en) * | 2014-05-27 | 2016-08-11 | El Lighting Co., LTD. | Optical module |
JP6962521B2 (ja) | 2014-06-26 | 2021-11-05 | リアルディー スパーク エルエルシー | 指向性プライバシーディスプレイ |
EP3204686B1 (en) | 2014-10-08 | 2019-07-17 | RealD Spark, LLC | Connection unit for a directional backlight |
RU2596062C1 (ru) | 2015-03-20 | 2016-08-27 | Автономная Некоммерческая Образовательная Организация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колковский Институт Науки И Технологий" |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изображения глаз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ашинного об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машинного обучения |
EP3283906B1 (en) | 2015-04-13 | 2020-09-23 | RealD Spark, LLC |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
EP3304188B1 (en) | 2015-05-27 | 2020-10-07 | RealD Spark, LLC |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
WO2017074951A1 (en) | 2015-10-26 | 2017-05-04 | Reald Inc. | Intelligent privacy system,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US10459321B2 (en) | 2015-11-10 | 2019-10-29 | Reald Inc. | Distortion matching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s and methods thereof |
CN108463667B (zh) | 2015-11-13 | 2020-12-01 | 瑞尔D斯帕克有限责任公司 | 广角成像定向背光源 |
EP4293417A3 (en) | 2015-11-13 | 2024-01-24 | RealD Spark, LLC | Surface features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
US10321123B2 (en) | 2016-01-05 | 2019-06-11 | Reald Spark, Llc | Gaze correction of multi-view images |
KR20170106575A (ko) * | 2016-03-11 | 2017-09-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
CN109416431B (zh) | 2016-05-19 | 2022-02-08 | 瑞尔D斯帕克有限责任公司 | 广角成像定向背光源 |
US10425635B2 (en) | 2016-05-23 | 2019-09-24 | Reald Spark, Llc | Wide angle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
KR102723297B1 (ko) | 2016-07-26 | 2024-10-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JP6857496B2 (ja) * | 2016-12-26 | 2021-04-14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発光装置 |
WO2018129059A1 (en) | 2017-01-04 | 2018-07-12 | Reald Spark, Llc | Optical stack for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
US10408992B2 (en) | 2017-04-03 | 2019-09-10 | Reald Spark, Llc | Segmented imaging directional backlights |
JP2019530967A (ja) * | 2017-05-17 | 2019-10-24 | ソハン リテ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Seohan Litek Co., Ltd. | ローカルディミングのため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光束制御部材 |
JP6766795B2 (ja) | 2017-06-30 | 2020-10-14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発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及び発光モジュール |
EP4293574A3 (en) | 2017-08-08 | 2024-04-03 | RealD Spark, LLC | Adjusting a digital representation of a head region |
US11109014B2 (en) | 2017-11-06 | 2021-08-31 | Reald Spark, Llc | Privacy display apparatus |
US20190221719A1 (en) * | 2018-01-17 | 2019-07-18 | Huizhou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 Backlight source |
JP7353007B2 (ja) | 2018-01-25 | 2023-09-29 | リアルディー スパーク エルエルシー | プライバシー表示用タッチスクリーン |
JP6912730B2 (ja) * | 2018-07-09 | 2021-08-04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発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CN109358450B (zh) * | 2018-11-28 | 2023-12-01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薄型背光模组及其制作方法 |
JP6866903B2 (ja) * | 2019-03-05 | 2021-04-28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発光モジュール |
US11681090B2 (en) * | 2019-05-30 | 2023-06-20 | Nichia Corporation | Light emitt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JP7121302B2 (ja) * | 2020-02-05 | 2022-08-18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発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TWI762071B (zh) * | 2020-12-07 | 2022-04-21 |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 發光二極體結構、其形成方法和背光模組 |
JP7157351B2 (ja) | 2021-01-20 | 2022-10-20 |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 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
CN113820888A (zh) * | 2021-09-29 | 2021-12-21 | 联想(北京)有限公司 | 背光组件及其制作方法及显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95158B2 (ja) * | 2005-08-26 | 2012-03-14 |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 液晶ディスプレイ |
-
2010
- 2010-12-28 KR KR1020100136777A patent/KR20120074825A/ko not_active Withdrawn
-
2011
- 2011-10-20 EP EP11008437A patent/EP2472309A3/en not_active Withdrawn
- 2011-11-01 US US13/286,848 patent/US20120162966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59471A1 (ko) * | 2017-09-25 | 2019-03-28 | 엘지전자(주)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KR20190034973A (ko) * | 2017-09-25 | 2019-04-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US11538967B2 (en) | 2017-09-25 | 2022-12-27 | Lg Electronics Inc. | Display device with a bezel k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72309A2 (en) | 2012-07-04 |
EP2472309A3 (en) | 2013-01-30 |
US20120162966A1 (en) | 2012-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74825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8933871B2 (en)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
KR101771557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8511845B2 (en) |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 |
US8582282B2 (en) | Display apparatus | |
KR101692509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10117458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21550B1 (ko) | 광학 어셈블리, 그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7531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718486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10029866A (ko) |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7307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30000903A (ko) |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30000904A (ko) |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80807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72424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20036053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73033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10022800A (ko) |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46782B1 (ko) | 광학 어셈블리, 그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10026903A (ko) |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10077651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716721B1 (ko) | 백라이트 유닛 | |
KR101692435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648223B1 (ko) | 디스플레이 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