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74673A -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 Google Patents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673A
KR20120074673A KR1020100136584A KR20100136584A KR20120074673A KR 20120074673 A KR20120074673 A KR 20120074673A KR 1020100136584 A KR1020100136584 A KR 1020100136584A KR 20100136584 A KR20100136584 A KR 20100136584A KR 20120074673 A KR20120074673 A KR 20120074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nozzle
main body
continuous casting
cas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620B1 (ko
Inventor
전현준
김용찬
도병무
남궁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3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62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4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6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1Treating the molten metal
    • B22D11/112Treating the molten metal by accelerated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50Pouring-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은, 용강이 주입되는 용강 주입부와 측벽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주입되는 용강이 본체부내의 가장자리부와 중심부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용강 분산부와, 상기 본체부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기 용강이 배출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용강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Nozzle of continuous flow ca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주조 장치의 노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 주조 공정에 사용되는 노즐의 형상에 관한 것으로, 용강의 균일분사 효과에 의하여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두께의 리본 및 스트립을 제조할 수 있는 노즐에 관한 것이다.
리본을 제조하는 연속 주조 방법으로 급속 냉각법을 이용하는 CBMS (chill block melt spinning) 공정은 Pond에 의해 개발된 공정으로서 25~50㎛ 두께의 리본이 제조될 수 있으나 폭 5mm의 리본이 제조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을 극복하여 광폭의 스트립을 제조할 수 있도록 Narasimhan에 의해 PFC (planar flow casting) 공정이 개발되었다. PFC 공정에서는 노즐과 냉각 휠 사이의 간격이 200 ㎛ 내외로 매우 좁은데 PFC 공정의 핵심 기술 중에 하나는 이 간격을 공정이 종료될 때까지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폭이 증가함에 따라 폭 방향으로의 두께 편차도 증가 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많은 공정 변수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가운데 노즐의 슬릿 형상을 통해 두께 편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었으나, 노즐이 고온 용탕과 접촉하게 되므로 열변형에 따른 노즐의 치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열 변형시 부분적으로 불균일하게 노즐이 변형될 가능성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노즐 내의 온도 불균일에 의한 열변형 문제점들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즐 내부의 형상을 개선할 필요성이 모색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속 주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노즐에 용강이 주입될 경우, 주입된 용강이 노즐 내에서 균일한 온도 분포를 갖도록 하는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은, 용강이 주입되는 용강 주입부와 측벽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에 주입되는 용강이 본체부내의 가장자리부와 중심부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용강 분산부와, 상기 본체부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기 용강이 배출되는 슬릿을 포함하며 상기 용강 분산부의 표면은 곡률면을 갖고 상기 곡률면은 상기 용강 주입부 방향으로 볼록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노즐 내에 용강이 주입되더라도, 주입된 용강이 노즐 내에서 비교적 균일한 온도 분포와 유량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II-II’선 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내에서 용강이 분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IV-IV’선 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내에서 용강이 분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II-II’선 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내에서 용강이 분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101)은 본체부(111), 용강 분산부(311, 312), 용강 배출부(211)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11)는 용강(S)이 주입되는 곳으로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101)의 본체를 이룬다. 본체부(111)는 용강(S)이 주입되는 용강 주입부(121)와 측벽(113, 115)를 포함할 수 있다.
용강 주입부(121)는 제강공정에서 정련된 용강(S)이 노즐(101)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용강(S)은 예를 들어, 연속 주조 장치에 포함된 래들(ladle)에 담겨 있다가, 연속 주조 장치에 포함된 상기 노즐(101)과 다른 노즐을 통해 용강 주입부(121)로 유입될 수 있다.
측벽(113, 115)은 노즐(101) 내로 유입된 용강(S)이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측벽(113, 115)은 노즐 내로 유입된 용강(S)이 용강 배출부(211) 방향으로 용이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1)는 용강 주입부(121) 부근에서의 제1 폭(w1)과 용강 배출부(211) 부근에서의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측벽(113, 115)는 제1 폭(w1)이 제2 폭(w2)에 비하여 크게 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즉, 본체부(111)의 폭(w1, w2)은 용강 주입부(121)에서 용강 배출부(211)의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용강 분산부(311, 312)는 본체부(111)의 측벽(113, 11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강 분산부(311, 312)는 본체부(111) 내에 주입되는 용강(S)이 본체부(111) 내의 가장자리부와 중심부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즉, 본체부(111) 내로 유입되는 용강(S)과 용강 분산부(311, 312)가 충돌되도록 하여, 용강(S)이 노즐(101)의 가장자리부터 채워지도록 한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도록 한다.
주입되는 용강(S)을 본체부(111) 내에서 보다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용강 분산부(311, 312)의 표면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용강 분산부(311, 312)의 표면이 곡률을 갖지 않을 경우, 주입되는 용강(S)이 본체부(111) 내에서 균일하게 분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오히려 용강(S)이 용강 분산부(311, 312) 상에 잔류할 가능성이 있어 균일한 금속 박대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용강 분산부(311, 312) 표면의 곡률 반경은 형성될 금속 박대의 폭, 노즐의 폭, 용강(S)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용강 분산부(311, 312)는 바(bar) 형태의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조체는 용강 주입부(121) 방향으로 볼록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구조체는 슬릿(213)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4를 참조하면, 주입되는 용강(S)과 용강 분산부(311, 312)가 충돌될 경우, 용강 분산부(311, 312)에 충돌된 용강(601, 602)이 본체부(111)의 가장자리부의 일측과 타측으로 골고루 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강 분산부(311, 312)에 충돌되고 노즐(101) 내에 유입된 용강(601, 602)은 노즐(101) 내에서 비교적 균일한 온도와 두께를 갖도록 분산될 수 있다. 즉, 유입된 용강의 노즐 내의 위치에 따라 온도와 두께가 균일하지 않았던 기존의 노즐과 달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노즐(101)은 노즐(101)의 가장자리부와 중심부에서 비교적 균일한 온도와 두께를 갖도록 용강(601, 602)이 분산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1)의 가장자리부에 골고루 퍼진 용강(601, 602)은 그대로 용강 배출부(211)의 슬릿(213)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교적 균일한 두께, 균일한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을 갖는 금속 박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용강(S)이 스트림(stream) 형태로 본체부(111) 내에 주입될 경우, 용강 분산부(311, 312)는 스트림과 중첩되도록 측벽(11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강 분산부(311, 312)가 용강(S) 스트림의 중심부와 중첩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강 분산부(311, 312)의 중심부가 용강(S) 스트림의 중심부와 중첩되는 것이 좋다.
용강 배출부(211)는 본체부(111) 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용강(601, 602)이 노즐 밖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슬릿(213)을 포함할 수 있다. 용강 배출부(211)는 용강(601, 602)이 외부로 잘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부(111)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릿(213)은 대략 0.1mm 내지 0.5mm 정도의 너비(d)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노즐(101)은 용강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균일한 두께의 금속 박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III-I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IV-IV’선 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내에서 용강이 분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 개시된 도면부호 중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도면부호와 동일한 것은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따라서, 동일한 도면부호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101)은 본체부(111), 용강 분산부(411), 용강 배출부(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즐(102)은 용강 분사부(411)의 형상과 위치만이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을 뿐,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예의 노즐(1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즐(102)은 제1 실시예와 달리 구형상의 구조체를 포함하는 용강 분산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체의 단면 형상은 타원형이거나 원형일 수 있다.
용강 분산부(411)는 슬릿(213)의 중심부와 중첩되도록 본체부(11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용강 분산부(411)의 일면은 본체부(111)의 일측 측벽(113)과 접촉될 수 있고, 타면은 본체부(111)의 타측 측벽(113)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주입되는 용강(S)과 용강 분산부(411)가 충돌될 경우, 용강 분산부(411)에 충돌된 용강(701, 702)이 본체부(111)의 가장자리부의 일측과 타측으로 골고루 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의해, 용강 분산부(411)에 충돌되고 노즐(102) 내에 유입된 용강(701, 702)은 노즐(102) 내에서 비교적 균일한 온도와 두께를 갖도록 분산될 수 있다. 즉, 유입된 용강의 노즐 내의 위치에 따라 온도와 두께가 균일하지 않았던 기존의 노즐과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노즐(102)은 노즐(102)의 가장자리부와 중심부에서 비교적 균일한 온도와 두께를 갖도록 용강(701, 702)이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노즐(101, 102)을 연속 주조 공정에 적용하게 되면, 예를 들어 비교적 넓은 50mm 내지 200 mm의 폭을 갖는 용강을 슬릿(213)을 통해 미세한 줄기로 분사하더라도, 슬릿(213)의 폭 방향으로 분사되는 용강의 분사유량 편차를 2%이내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슬릿(213)의 폭 방향으로 분사되는 용강의 온도편차를 기존 노즐의 50oC 이상에서 10oC 이내로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1, 102: 노즐 311, 312, 411: 용강 분산부
111: 몸체부 113, 115: 측벽
121: 용강 주입부 211: 용강 배출부
213: 슬릿

Claims (6)

  1. 용강이 주입되는 용강 주입부와 측벽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에 주입되는 용강이 본체부내의 가장자리부와 중심부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는 용강 분산부;
    상기 본체부내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기 용강이 배출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용강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강 분산부의 표면은 곡률면을 갖고 상기 곡률면은 상기 용강 주입부 방향으로 볼록한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 분산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이 스트림(stream) 형태로 상기 본체부 내에 주입될 경우, 상기 용강 분산부는 상기 스트림과 중첩되도록 상기 측벽의 내측에 위치하는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 분산부는 구형상의 구조체를 포함하되, 상기 구조체는 상기 슬릿의 중심부와 중첩되도록 상기 본체부 내에 위치하는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 배출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하방으로 돌출된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용강 주입부에서 상기 용강 배출부의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KR1020100136584A 2010-12-28 2010-12-28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Active KR101304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584A KR101304620B1 (ko) 2010-12-28 2010-12-28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584A KR101304620B1 (ko) 2010-12-28 2010-12-28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673A true KR20120074673A (ko) 2012-07-06
KR101304620B1 KR101304620B1 (ko) 2013-09-05

Family

ID=4670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584A Active KR101304620B1 (ko) 2010-12-28 2010-12-28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62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51533C2 (de) * 1981-12-24 1983-11-24 Günter Dr.-Ing. 5750 Menden Altland Verlängerte Ausgußdüse für Zwischenbehälter
KR100333077B1 (ko) * 1997-12-26 2002-10-19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장치에서의용강균일공급노즐
KR20060082207A (ko) * 2005-01-11 2006-07-18 장동섭 충진재 배출장치
KR100813194B1 (ko) * 2006-10-18 2008-03-1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장치의 턴디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4620B1 (ko) 2013-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13627C2 (ru) Щелевое сопло для орошения охлаждающей жидкостью изделия, полученного способом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KR101658342B1 (ko) 두꺼운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연속 주조 플랜트
WO2015037093A1 (ja) 噴射ノズル及び連続鋳造の二次冷却方法
JP3662973B2 (ja) 連続鋳造用排出ノズル
RU2677560C2 (ru) Кристаллизатор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и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й разливки стали
CN110035844A (zh) 连续铸造法
EP4052815B1 (en) Secondary cooling method for continuous cast strand
US10259037B2 (en) Method for continuously casting steel
EP3998126A1 (en) Secondary cooling method and secondary cooling apparatus for continuous casting slab
KR101170673B1 (ko) 주조용 침지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 주조 장치
KR20160083919A (ko) 금속 빔 주조용 노즐
KR101304620B1 (ko) 연속 주조 장치의 노즐
JP5970202B2 (ja) 斜方ノズル
KR100792733B1 (ko) 연속주조용 침지노즐
US11052459B2 (en) Submerged entry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JP2011152580A (ja) 鋼の連続鋳造方法
KR101353593B1 (ko) 용강 균일 분사용 노즐 장치
US6857465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ontinously-cast precursor
JPH0221955A (ja) 流体噴射ノズル
JP2008200704A (ja) 連続鋳造機における鋳片冷却方法
KR101165706B1 (ko) 주조용 몰드 플레이트, 몰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몰드
WO2006118375A1 (en) Submerged entry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KR101172329B1 (ko) 주조용 몰드 플레이트, 몰드 플레이트 어셈블리 및 몰드
KR20010051536A (ko) 냉각된 광측벽 및 협측벽을 가지고 깔때기 모양으로 점차가늘어지는 런너 게이트 부분을 포함하는, 금속을 연속캐스팅하기 위한 캐스팅 몰드
JP4760303B2 (ja) 連続鋳造鋳片の二次冷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