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375A - Paint cartridge for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and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Google Patents
Paint cartridge for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and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2375A KR20120072375A KR1020127010209A KR20127010209A KR20120072375A KR 20120072375 A KR20120072375 A KR 20120072375A KR 1020127010209 A KR1020127010209 A KR 1020127010209A KR 20127010209 A KR20127010209 A KR 20127010209A KR 20120072375 A KR20120072375 A KR 2012007237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nt
- working liquid
- chamber
- cartridge
- work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5/1608—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 B05B5/1616—Arrangements for su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electrically conductive and the arrangement comprising means for insulating a grounded material source from high voltage applied to the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7—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the cleaning fluid being a mixture of gas and liquid
Landscapes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색 교체 시에 폐기되는 도료의 양을 저감함과 동시에, 세정 시에 도료 카트리지에의 작동액의 공급, 배출의 제어를 간소화한다. 도료 카트리지(10)의 세정에서는, 눌러 찌부러뜨린 상태의 도료 백(12)의 상단부 입구부(12b)를 통하여 에어 및 세정액이 공급되고, 이에 의해 도료 백(12)이 확장된 상태로 된다. 도료 백(12)이 확장되는 것에 수반하여 도료 카트리지(10)의 작동액실[밀폐 공간(14)]의 작동액은 카트리지 내의 작동액 배출 통로(26)를 통하여 회수된다. 다음 공정에서는, 도료 카트리지(10)의 작동액실[밀폐 공간(14)]에 카트리지 내 작동액 공급 통로(22)를 통하여 작동액을 공급하여 도료 백(12)을 눌러 찌부러뜨려, 도료 백(12)의 하단부 입구부(12c)로부터 세정액을 배출시킨다.The amount of paint discarded at the time of color replacement is reduced, and the control of supply and discharge of the working liquid to the paint cartridge at the time of cleaning is simplified. In the washing | cleaning of the paint cartridge 10, air and a washing | cleaning liquid are supplied through the upper end inlet part 12b of the coating bag 12 in the state which was pressed, and the coating bag 12 is extended. As the paint bag 12 is expanded, the working liquid in the working liquid chamber (closed space 14) of the paint cartridge 10 is recovered through the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26 in the cartridge. In the next step, the work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closed space 14) of the paint cartridge 10 through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22 in the cartridge, and the paint bag 12 is pressed and crushed, thereby painting the paint bag 12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end inlet 12c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정전 도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장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료 카트리지 및 이것을 포함하는 정전 도장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수성 도료, 메탈릭 도료 등의 도전성 도료에 적합한 정전 도장기로서, 도료 카트리지식의 정전 도장기가 알려져 있다. 도료 카트리지식 정전 도장기는, 도장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료 카트리지를 갖고, 이 도료 카트리지에 수용되어 있는 도전성 도료를 사용하여 자동차 보디 등의 도장이 행해진다. 도료 카트리지식 정전 도장기는, 고전압이 도전성 도료를 통하여 외부로 리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As an electrostatic paint machine suitable for electroconductive paints, such as an aqueous paint and a metallic paint, a paint cartridge type electrostatic paint machine is known. The paint cartridge type electrostatic spraying machine has a paint cartridge detach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of the paint machine, and the coating of the automobile body or the like is performed using the conductive paint contained in the paint cartridge. The paint cartridge type electrostatic spraying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the high voltage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nductive paint.
외부의 도료원으로부터 도료의 공급을 받는 전통적인 정전 도장기는, 회전 무화 헤드(소위 「벨 컵」)를 구비한 회전 무화식 도장기와, 스프레이식 도장기로 크게 구별되지만, 이 양자의 방식의 도장기에 도료 카트리지가 적용되는 것은 물론이다.Conventional electrostatic spraying machines which receive paint from an external paint source are largely divided into rotary atomizing sprayers equipped with rotary atomizing heads (so-called "bell cups") and spray spraying machines, but both of these types of coatings Of course, the cartridge is applied.
도료 카트리지는, 도료 카세트 또는 도료 탱크 유닛으로도 불리고 있지만, 크게 구별하면, 첫번째, 피스톤으로 도료를 밀어내는 피스톤식(특허 문헌 1 내지 3)과, 두번째, 도료 백에 압력을 가하여 도료 백을 눌러 찌부러뜨림으로써 도료 백으로부터 도료를 밀어내는 도료 백식(특허 문헌 4 내지 6)으로 분류할 수 있다.The paint cartridge is also referred to as a paint cassette or paint tank unit. However, the paint cartridge can be classified into first, a piston type (
구체적으로는, 특허 문헌 1 내지 3의 피스톤식 도료 카트리지는, 피스톤으로 구획되는 도료 수용실과, 피스톤을 사이에 두고, 도료 수용실과는 반대측의 작동액실을 갖고, 작동액실에 작동액(전형적으로는 시너 등의 비도전성 액체)을 공급하여 피스톤을 밀어내림으로써 도료 수용실의 도료를 도료 카트리지로부터 밀어내고, 이 도료를 피드 튜브를 통하여 벨 컵에 공급한다. 또한, 특허 문헌 1 내지 3의 도료 카트리지는, 도장기 본체에 삽입 가능한 피드 튜브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피드 튜브가 구비된 도료 카트리지라고 부를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piston type paint cartridges of
특허 문헌 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료 수용실을 형성하는 도료 백을 구비한 도료 카트리지를 개시하는 것이지만, 이 특허 문헌 4의 도료 카트리지는, 도장기 본체에 삽입 가능한 피드 튜브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도료 카트리지도 피드 튜브가 구비된 도료 카트리지라고 부를 수 있다. 특허 문헌 4는, 도료 백을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법으로서, 2개의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도료 백의 주위에 작동액을 공급하여, 이 작동액으로 도료 백에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도료 백을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도료 백에 인접하고 또한 작동액실을 형성하는 작동액 백을 준비하고, 이 작동액 백에 작동액을 공급하여 작동액 백을 확장시키고, 이 확장되는 작동액 백으로 도료 백에 압력을 가하여 도료 백을 눌러 찌부러뜨리는 방법이다.As described above,
특허 문헌 5는, 도료 백 및 작동액 백을 구비한 도료 카트리지에 있어서, 도료 백과 작동액 백의 접촉면을 서로 연결하여, 도료 백과 작동액 백의 상대적인 변위를 방지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이 특허 문헌 5는, 도료 백과 작동액 백의 간극을 제3 액체로 채우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Patent document 5 proposes to prevent a relative displacement of a paint bag and a hydraulic fluid bag by connecting the contact surfaces of a paint bag and a hydraulic fluid bag to each other in the paint cartridge provided with a paint bag and a hydraulic fluid bag. In addition, Patent Document 5 proposes filling the gap between the paint bag and the working liquid bag with a third liquid.
특허 문헌 6은, 도료 백을 구비한 도료 카트리지의 외측 케이스를 투명한 경질 플라스틱인 나일론 수지로 만듦으로써, 내부의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 도료 카트리지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이 특허 문헌 6은, 도료 백도 투명한 수지로 구성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작동액을 사용하여 도료를 밀어내는 방법으로서, 특허 문헌 7에 기재된 막 펌프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7의 막 펌프는 도료 카트리지에 관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막 펌프의 케이스는, 그 일단부면에 개방된 도료 포트와, 타단부면에 개방된 작동액 포트를 갖고, 케이스의 내부는, 신축 가능한 막에 의해 도료 수용실과 작동액실로 구획되어 있다. 작동액 포트를 통하여 작동액을 작동액실에 공급함으로써, 도료 수용실에 충전된 도료가 도료 포트를 통하여 유출되고, 유출된 도료는 정전 도장기에 공급된다. 따라서, 특허 문헌 7의 막 펌프의 원리는 도료 카트리지에 적용 가능하다.Moreover, the membrane pump of patent document 7 is known as a method of pushing out a coating material using a working liquid. The membrane pump of this patent document 7 does not relate to a paint cartridge. However, the case of the membrane pump has a paint port open at one end face and a working fluid port open at the other end face, and the inside of the case is divided into a paint receiving chamber and a working liquid chamber by a flexible membrane. By supplying the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through the working liquid port, the paint filled in the paint receiving chamber flows out through the paint port, and the spilled paint is supplied to the electrostatic sprayer. Therefore, the principle of the membrane pump of patent document 7 is applicable to a paint cartridge.
도장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도료 카트리지는, 이것을 수용할 수 있는 도료의 양은 유한하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1대의 자동차 보디의 도장이 종료되면, 다음 자동차 보디의 도장을 위해서 도료 카트리지의 교환이 행해진다.The paint cartridge which can be detached to the main body of a coating machine has a finite quantity of paint which can accommodate this. For this reason, when painting of one automobile body is complete | finished, for example, the paint cartridge is replaced for painting of the next automobile body.
특허 문헌 8은, 정전 도장기를 구비한 도장 로봇의 도료 카트리지의 교환에 관한 기술 개시를 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1대의 자동차 보디의 도장이 종료되면, 도료 카트리지 교환 스테이션에 있어서, 사용 완료된 도료 카트리지를 도장기 본체로부터 제거하고, 계속해서, 새로운 도료 카트리지를 도장기 본체에 장착한다. 즉, 도료 카트리지의 교환이다. 그리고, 도장 로봇이 자동차 보디의 도장을 한창 행하고 있는 중에, 도료 카트리지 교환 스테이션에서는, 사용 완료된 도료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는 작업이 행해지고, 도료를 충전한 도료 카트리지는 재이용을 위해서 저장된다.
빈 도료 카트리지에 도료를 충전하여 재이용하는 것에 관하여, 피스톤식의 도료 카트리지에서는 색 교체가 실제로 실시되고 있다. 즉, 피스톤식의 도료 카트리지는, 동일한 색의 도료를 충전하는 것도 행해지지만, 특허 문헌 1, 2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료 카트리지의 내부(도료 수용실)를 세정하여 다른 색의 도료를 충전하는 것도 행해진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도료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이 도료 카트리지의 세정은, 우선, 도료 수용실의 최심부보다도 조금 앞까지 피스톤을 밀어내려, 도료 카트리지에 수용되어 있는 도료를 배출한다. 피스톤을 최심부까지 밀어내리지 않고, 그 조금 앞에서 피스톤을 정지하는 것은, 피스톤을 도료 수용실의 최심부 즉 도료 수용실의 저벽까지 밀어내리면, 세정액을 도료 수용실 내에 넣어도, 이 도료 수용실의 내부에서 세정액이 유동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특허 문헌 1의 명세서의 단락 [0153]).Regarding filling and reusing an empty paint cartridge, color replacement is actually carried out in a piston type paint cartridge. That is, the piston type paint cartridge is also filled with paint of the same color, but as described in detail in
이 상태 즉 피스톤을 최심부보다도 조금 앞의 위치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도료 수용실의 저벽에 개방되어 있는 세정액 공급 포트를 통하여 도료 수용실에 세정액이 공급되고, 이 세정액은, 도료 수용실 즉 최심부보다도 조금 앞의 위치에 위치 결정된 피스톤에 의해 규정되는 도료 수용실의 내부를 유동한 후에, 피드 튜브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In this state, that is, the piston is positioned at a position slightly ahead of the deepest portion,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paint storage chamber through the cleaning liquid supply port which is open to the bottom wall of the paint storage chamber. After flowing the inside of the paint accommodation chamber defined by the piston positioned at a position slightly ahead of the core,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eed tube.
특허 문헌 2는, 피스톤식 도료 카트리지에 세정에 관하여, 상기 특허 문헌 1의 도료 카트리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톤을 최심부보다도 조금 앞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이 피스톤에 의해 규정되는 도료 수용실의 내부를 세정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지만, 그 문제점으로서, 특허 문헌 2는, 이 특허 문헌 1의 방법에서는, 도료 카트리지의 저부의 세정액 공급 포트를 통하여 도료 수용실에 공급되는 세정액의 흐름이 난류로 되어, 도료 수용실의 내부를 균등하게 세정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에 따르면, 특히, 피스톤의 측면과 도료 수용실의 측벽 사이의 간극에 인입되어 있는 도료를 씻어내는 것이 어렵고, 이것을 씻어내는 데에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 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 문헌 2는, 도료 수용실의 저벽에, 당해 저벽의 중심부를 향하여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도료 카트리지식 정전 도장기는 자동차 보디의 도장에서 실용화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차 보디의 도장을 행하는 데에, 정전 도장기를 아암에 장착한 도장 로봇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주지한 바와 같다. 피스톤식의 도료 카트리지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료 카트리지의 내부(도료 수용실)를 세정함으로써 다른 색의 도료를 충전하는 도료 카트리지의 색 교체가 행해지고 있다.Paint cartridge type electrostatic spraying machines have been put to practical use in the painting of automobile bodies. And it is well-known that the coating robot which attached the electrostatic spraying machine to the arm is utilized for the painting of an automobile body. Regarding the piston type paint cartridge, as described above, color replacement of the paint cartridge which fills the paint of different colors is performed by cleaning the interior (paint storage chamber) of the paint cartridge.
색 교체를 위해서 도료 카트리지의 도료 수용실을 세정할 때에, 특허 문헌 1, 2에서도 명백하게 하고 있지만, 도료 수용실의 저벽으로부터 약간 이격된 위치에 피스톤이 위치 고정된다. 이것은, 도료 수용실의 세정을 위해서, 도료 수용실에 어느 정도의 양의 도료가 잔류해 버리는 것을 의도적으로 허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잔류하고 있는 도료는 세정액과 함께 폐기 처분된다. 1회의 색 교체에만 주목하면, 도료 수용실에 잔류하고 있는 도료(폐기되는 도료)의 양은 얼마 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지만, 대량의 자동차 보디를 도장하는 현장에서는, 폐기되는 도료가 방대한 양으로 되기 때문에, 1회의 색 교체로 폐기 처분되는 도료의 양을 극한까지 적게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도료 카트리지는 피스톤식과 백식으로 대별할 수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지만, 피스톤식은 백식에 비해 기구가 복잡하고, 또한, 도장 공정에서 피스톤이 원활하게 동작하기 위해서는, 피스톤 주위의 메인터넌스가 필요 불가결해진다. 이 때문에 피스톤식 도료 카트리지는, 그 제조 비용이 백식에 비해 고액일 뿐만 아니라, 메인터넌스에 많은 비용과 수고가 필요로 된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aint cartridge can be roughly divided into a piston type and a white type, but the piston type has a more complicated mechanism than that of a white type, and in order to smoothly operate the piston in the painting process, maintenance around the piston is indispensable. For this reason, the piston-type paint cartridge has the drawback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not only expensive compared with white type | system | group, but also requires much cost and labor for maintenance.
그 한편, 백식의 도료 카트리지에서는, 동일한 색의 도료에 한정하여 재이용되고 있다. 즉, 도료 백을 구비한 도료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도장기 본체로부터 제거된 도료 카트리지의 도료가 A색의 도료이었던 것으로 하면, 이 A색의 도료가 도료 카트리지에 충전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reused only in paint of the same color in white paint cartridge. That is, in the paint cartridge provided with the paint bag, if the paint of the paint cartridge removed from the main body of the paint is a paint of A color, the paint of A color is filled into the paint cartridge.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 도장기의 도료 카트리지에 관하여, 색 교체를 위해서 도료 카트리지의 내부를 세정할 때에 폐기되는 도료의 양을 저감할 수 있는 도료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int cartridge which can reduce the amount of paint discarded when cleaning the inside of the paint cartridge for color replacement with respect to the paint cartridge of the electrostatic spray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색 교체를 위해서 도료 카트리지의 내부를 세정할 때에 폐기되는 도료의 양을 저감함과 동시에, 이 세정 시에 도료 카트리지에의 작동액의 공급, 배출의 제어를 간소화할 수 있는 도료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amount of paint discarded when cleaning the interior of the paint cartridge for color replacement, and to simplify the control of supply and discharge of the working liquid to the paint cartridge during this cleaning. It is to provide a paint cartridge that can be.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도료 카트리지 내에 혼입되는 에어의 양을 저감할 수 있는 도료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int cartridge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air mixed in the paint cartridg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색 교체를 위해서 도료 카트리지의 내부를 세정할 수 있고, 그리고 이 세정 시에 폐기되는 도료의 양을 저감함과 동시에, 도료 카트리지 및 도장기 본체로부터 작동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료 카트리지 및 이것을 포함하는 정전 도장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lean the interior of the paint cartridge for color replacement, and to reduce the amount of paint discarded during the cleaning, while at the same time leaking the working fluid from the paint cartridge and the main body of the paint machine. It is providing the paint cartridge which can prevent that, and the electrostatic spraying machine containing the same.
상기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료를 충전할 수 있는 도료 수용실과, 작동액을 수용하는 작동액실을 갖고, 상기 도료 수용실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상기 도료 수용실의 용적을 확대함으로써 상기 작동액실의 용적을 축소하여 상기 작동액실로부터 작동액을 배출하고, 계속해서, 상기 작동액실에 작동액을 공급하여 상기 작동액실의 용적을 확대함으로써 상기 도료 수용실의 용적을 축소하여 상기 도료 수용실로부터 세정액을 배출시킴으로써 세정 가능한 도료 카트리지이며,It has a paint containing chamber which can fill paint, and a working liquid chamber which accommodates a working liquid,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and expanding the volume of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Is a paint cartridge which can be rinsed by supplying the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then expand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to discharge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coating chamber. ,
상기 작동액실에 작동액을 공급하는 작동액 공급 통로와,A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상기 작동액실로부터 작동액을 배출하기 위한 또한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로부터 독립된 작동액 배출 통로와,A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working liquid from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also independent from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1 개폐 밸브와,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상기 작동액 배출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2 개폐 밸브를 갖는 도료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It is achieved by providing a paint cartridge having a second open / close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discharge passage.
본 발명의 도료 카트리지는,The paint cart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료 수용실로부터 도료를 취출한 사용 완료된 도료 카트리지의 상기 도료 수용실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상기 도료 수용실의 용적을 확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도료 수용실의 용적 확대에 수반하여 상기 작동액실의 작동액을 상기 도료 카트리지로부터 밀어내는 작동액 밀어내기 공정과,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paint containing chamber of the used paint cartridge which has taken out the paint from the paint containing chamber to enlarge the volume of the paint containing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paint containing chamber. A hydraulic fluid ejecting step of extruding hydraulic fluid from the paint cartridge;
상기 작동액 밀어내기 공정에 이어서, 상기 도료 카트리지의 작동액실에 작동액을 공급하여, 상기 작동액실의 용적을 확대시킴과 동시에, 상기 작동액실의 용적 확대에 수반하여 상기 도료 수용실의 세정액을 도료 카트리지로부터 세정액을 밀어내는 세정액 배출 공정을 갖는 방법에 의해 세정 가능하다.Subsequent to the step of extruding the working liquid, the work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of the paint cartridge to enlarge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the cleaning liquid of the paint containing chamber is coated with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It is washable by the method which has a washing | cleaning liquid discharge process which pushes a washing | cleaning liquid out of a cartridge.
상기 작동액 밀어내기 공정과, 이것에 잇따르는 상기 세정액 배출 공정을 1조로 하여, 이것을 1회 행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실제로 실시한 결과, 세정이 부족한 것 같으면, 이 공정의 조를 복수회 반복하여 도료 카트리지의 세정을 완료하도록 해도 된다.The working fluid pushing out step and the washing liquid draining step subsequent to this may be performed in one pair, and this may be performed once. However, if the cleaning is insufficient as a result of the practice, the tank of this step is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You may complete a washing | cleaning.
본 발명의 도료 카트리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As described above, the paint cart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작동액실에 작동액을 공급하는 작동액 공급 통로와,A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상기 작동액실로부터 작동액을 배출하기 위한 또한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로부터 독립된 작동액 배출 통로와,A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working liquid from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also independent from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1 개폐 밸브와,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상기 작동액 배출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2 개폐 밸브를 갖고 있고,Has a second open / close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discharge passage;
도료 카트리지에의 작동액의 공급은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를 통하여 행해지고, 한편, 도료 카트리지 내의 작동액의 배출은,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와는 다른 상기 작동액 배출 통로를 통하여 행해진다.The supply of the working liquid to the paint cartridge is performed through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while the discharge of the working liquid in the paint cartridge is performed through the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different from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도료 카트리지(작동액실)에 공급하는 작동액은, 그 양이 제어되고, 또한, 작동액실에 작동액이 압력 하에서 공급된다. 한편, 도료 수용실에 세정액이 공급되면, 이것에 수반하여 도료 수용실의 용적이 확대되고, 이 도료 수용실 용적 확대에 수반하여 작동액실 내의 작동액이 수동적으로 작동액실로부터 배출된다.The amount of the working liquid supplied to the paint cartridge (working liquid chamber) is controlled, and the work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under press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sh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paint holding chamber, the volume of the paint holding chamber is enlarged with this, and the working liquid in the working liquid chamber is manually discharged from the working liquid chamber with the expansion of the paint holding chamber volume.
즉, 도료 카트리지의 세정에 있어서, 압력 하에서 또한 제어된 양의 작동액이 작동액실에 공급되고, 한편, 도료 수용실 용적 확대에 수반되는 작동액실의 용적 축소에 의해 작동액실 내의 작동액은 강제적으로 또한 수동적으로 작동액실로부터 배출된다. 이와 같이, 작동액실에의 작동액의 공급과, 작동액실로부터 작동액의 배출에서는 형태가 상이하기 때문에, 도료 카트리지 내의 작동액 공급 통로와 작동액 배출 통로를 개개 독립된 통로로 구성함으로써, 작동액실에의 작동액의 공급과 배출의 제어를 용이화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leaning of the paint cartridge, a controlled amount of the working liquid under pressure is supplie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while the working liquid in the working liquid chamber is forcibly forced by the volume reduction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accompanied by the expansion of the paint accommodation chamber volume. It is also manually discharged from the working fluid chamber. In this way, the supply of the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the discharging of the working liquid from the working liquid chamber are different in form, so that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and the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in the paint cartridge are constituted by independent passages, so that the working liquid chamber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control of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working liquid t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작동액 배출 통로가 상기 작동액실의 상단부에 연통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동액실에 에어가 침입해도, 이 에어는 작동액실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작동액과 함께 작동액 배출 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말할 필요도 없지만, 작동액실에, 압축 유체인 에어가 존재하면, 작동액실에의 작동액의 공급량과, 도료 수용실로부터 나오는 도료의 양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communicates with an upper end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hereby, even if air intrudes into a working liquid chamber, since this air is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a working liquid chamber, it is discharged | emitted outside with a working liquid through a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Needless to say, if air, which is a compressed fluid, exists in the working liquid chamber, the supply amount of the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the amount of the paint coming out of the paint accommodation chamber do not coincide.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Moreover, according to the 2nd viewpoint of this invention, the said technical subject is
도료를 충전할 수 있는 도료 수용실과, 작동액을 수용하는 작동액실을 갖고, 상기 도료 수용실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상기 도료 수용실의 용적을 확대함으로써 상기 작동액실의 용적을 축소하여 상기 작동액실로부터 작동액을 배출하고, 계속해서, 상기 작동액실에 작동액을 공급하여 상기 작동액실의 용적을 확대함으로써 상기 도료 수용실의 용적을 축소하여 상기 도료 수용실로부터 세정액을 배출시킴으로써 세정 가능한 도료 카트리지이며,It has a paint containing chamber which can fill paint, and a working liquid chamber which accommodates a working liquid,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and expanding the volume of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Is a paint cartridge which can be rinsed by supplying the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then expand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to discharge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coating chamber. ,
상기 작동액실에 작동액을 공급하는 작동액 공급 통로와,A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상기 작동액실로부터 작동액을 배출하기 위한 또한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로부터 독립된 작동액 배출 통로와,A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working liquid from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also independent from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에 개재 장착되고 또한 상기 도료 카트리지의 하단부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개폐 밸브와,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and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 lower end surface of the paint cartridge;
상기 작동액 배출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2 개폐 밸브를 갖고,It ha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discharge passage,
상기 제1 개폐 밸브가, 제1 고정 밸브 시트와, 상기 제1 고정 밸브 시트에 착좌 가능한 제1 가동 밸브체와, 상기 제1 가동 밸브체를 상기 고정 밸브 시트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도료 카트리지가 탈착 가능한 도장기 본체를 갖는 정전 도장기이며,The paint cartridge comprising the first on-off valve comprising a first fixed valve seat, a first movable valve body seated on the first fixed valve seat, and a spring for urging the first movable valve body toward the fixed valve seat. Is an electrostatic sprayer having a detachable sprayer body,
상기 도장기 본체의 상단부면에 개방되고, 상기 도료 카트리지의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에 연통 가능한 도장기 본체 내의 작동액 공급 통로의 작동액 출구 부분에 설치된 푸시 로드이며, 상기 푸시 로드가 전진함으로써 상기 제1 개폐 밸브의 상기 제1 가동 밸브체를 밀어 올릴 수 있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푸시 로드와,A push rod that is open to an upper end surface of the sprayer body and is provided at a hydraulic fluid outlet portion of the hydraulic fluid supply passage in the sprayer body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ydraulic fluid supply passage of the paint cartridge, and the push rod is advanced to thereby A push rod equipped with an actuator capable of pushing up the first movable valve body of the on-off valve;
상기 도장기 본체 내의 작동액 공급 통로의 상기 작동액 출구 부분에 형성된 제2 고정 밸브 시트를 갖고,Has a second fixed valve seat formed at said hydraulic fluid outlet portion of the hydraulic fluid supply passage in said sprayer body,
상기 푸시 로드가, 그 일부분에, 상기 제2 고정 밸브 시트에 착좌하여 상기 도장기 본체 내의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를 개폐하는 도장기 본체 내 개폐 밸브를 구성하는 제2 밸브체 부분을 갖고,The push rod has a second valve body portion constituting an opening / closing valve in the sprayer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in the sprayer body by seating on the second fixed valve seat at a portion thereof;
상기 푸시 로드가 전진하여 상기 제1 가동 밸브체를 밀어 올렸을 때에, 상기 푸시 로드의 상기 제2 밸브체 부분이 상기 제2 고정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도장기 본체 내 개폐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도장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And when the push rod moves forward to push up the first movable valve body, the second valve body portion of the push ro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ed valve seat to open and close the valve in the sprayer body.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n electrostatic sprayer.
이 제2 관점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효과 즉 작동액실에의 작동액의 공급과 배출의 제어의 용이화 외에, 도료 카트리지의 작동액 기기 통로로부터 작동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도장기 본체로부터 작동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effect, facilitating the control of the supply and discharge of the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the working liquid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from the working liquid device passage of the paint cartridg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ydraulic fluid from leaking from the sprayer body.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작용 효과는,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도장 로봇의 아암에 설치한 실시예의 백식 도료 카트리지를 구비한 정전 도장기의 개략도로서, 정전 도장기의 도장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도료 카트리지에 수용되는 도료 백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른 백 본체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른 상단부 입구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료 카트리지의 도료 백의 하단부 입구부로 통하는 도료 통로의 하단부에 설치된 일방향 밸브의 상세도이며, 도장기 본체에 도료 카트리지를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장기 본체측의 푸시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의 도료 통로의 하단부에 설치된 일방향 밸브를 강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료 카트리지의 밀폐 공간으로 통하는 작동액 공급 통로의 하단부에 설치한 일방향 밸브를 강제 개방하기 위한 푸시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7의 주요부를 추출한 주요부 확대도이며, 도료 카트리지의 작동액 공급 통로의 일방향 밸브가 푸시 로드에 의해 강제 개방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료 카트리지의 도료를 다 사용한 후에, 이 도료 카트리지를 장착한 상태 그대로 도장기 본체의 도료 공급 통로를 세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장기 본체의 세정이 완료된 후에, 도장기 본체로부터 제거한 빈 도료 카트리지를 도료 백 세정 스테이션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 도료 백의 내부를 세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료 카트리지를 세정한 후에 도료 백에 도료를 충전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료 카트리지에 공급하는 작동액이 도전성의 액체(전형적으로는 물)일 때에, 로봇 아암에 탑재한 볼티지 블록 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료 카트리지의 세정 방법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또한, 도료 백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작동액 백을 구비한 도료 카트리지의 세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작동액 백을 구비한 도료 카트리지의 다른 세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을 피스톤식의 도료 카트리지의 세정에도 적용 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electrostatic spraying machine provided with the white paint cartridge of the Example provided in the arm of a painting robot, and is a figure which shows the coating process of an electrostatic spraying machine.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paint bag accommodated in the paint cartridge of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g body along the III-III line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end inlet along the line IV-IV of FIG. 2.
Fig. 5 is a detailed view of the one-way valv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aint passage leading to the lower end inlet of the paint bag of the paint cartridge, showing a state where the paint cartridge is fixed to the sprayer body.
It is a figure corresponding to FIG. 5, Comprising: It is the figure which shows the state which forcibly opened the one-way valve provid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paint path of the paint cartridge by the actuator provided with the push rod on the sprayer main body side.
FIG. 7 is a detailed view of an actuator provided with a push rod for forcibly opening a one-way valve installed at a lower end portion of a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leading to a sealed space of a paint cartridge.
FIG. 8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extracted from the main part of FIG. 7,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one-way valve of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of the paint cartridge can be forcibly opened by the push rod. FIG.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washing the paint supply passage of the sprayer main body with the paint cartridge mounted after the paint cartridge is used up.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leaning the interior of the paint bag by fixing the empty paint cartridge removed from the sprayer body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aint bag cleaning station after cleaning of the sprayer body is completed.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process of filling a paint bag with a paint bag after washing a paint cartridge.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voltage block mechanism mounted in the robot arm when the working liquid supplied to a paint cartridge is a conductive liquid (typically water).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modification of the cleaning method of a paint cartridge, and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modification of a paint bag.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e washing | cleaning method of the paint cartridge provided with the working liquid bag to which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Fig.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leaning method of a paint cartridge having a working liquid bag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that this invention is applicable also to the washing | cleaning of a piston type paint cartridge.
<실시예><Examples>
이하에,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도장 로봇에 장착된 정전 도장기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도장 로봇의 아암을 나타내고, 로봇 아암(1)의 선단에는, 정전 도장기(2)가 설치되어 있다. 정전 도장기(2)는, 예시적으로, 도료 무화 수단으로서의 벨 컵(4)을 구비한 회전 무화식 도장기를 도시하고 있지만, 스프레이식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the electrostatic sprayer mounted on the painting robot. In Fig. 1,
정전 도장기(2)는 도료 카트리지식의 도장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정전 도장기(2)는, 로봇 아암(1)의 선단에 고정된 도장기 본체(6)와, 도장기 본체(6)의 상단부면 즉 벨 컵(4)과는 반대측의 면에 탑재되는 도료 카트리지(10)를 갖는다. 이 도료 카트리지(10)는 도장기 본체(6)에 대하여 탈착 가능하다.The
도료 카트리지(10)는, 도료를 충전하기 위한 도료 수용실을 구성하는 도료 백(12)을 갖는다. 이 도료 백(12)에 외측으로부터 압력을 가하여 도료 백(12)을 눌러 찌부러뜨려, 이 도료 백(12)으로 형성되는 도료 수용실의 용적을 강제적으로 작게 함으로써, 도료 백(12)의 도료를 도장기 본체(6)에 공급할 수 있다.The
도료 카트리지(10)는, 도료 백(12)을 수용한 밀폐 공간(14)을 갖고, 이 밀폐 공간(14)은 아우터 케이스(1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케이스(16)는, 바람직하게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경질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고, 전형적으로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The
이 도료 카트리지(10)는, 도료 백(12)에 대하여 작동액으로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방식의 카트리지이다. 이 때문에 도료 백(12)의 주위는 작동액으로 채워진다. 작동액은 절연성의 액체가 적절하게 채용되고, 전형적으로는 절연성 시너가 작동액으로서 사용된다. 작동액실을 구성하는 밀폐 공간(14) 내의 작동액에 에어가 혼입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밀폐 공간(14) 내의 에어를 포획하기 위해서, 밀폐 공간(14)은, 그 정상부에 볼록 형상의 에어 저장부(14a)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도 2는 도료 백(12)의 정면도이다. 도료 백(12)은, 상하로 개방된 통 형상의 유연한 플라스틱 성형품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료 백(12)은, 상하로 연장되는 통 형상의 백 본체(12a)와, 이 백 본체(12a)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단부 입구부(12b)와, 백 본체(12a)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단부 입구부(12c)를 갖고 있다. 즉, 도료 백(12)은, 상단부 및 하단부의 입구부(12b, 12c)를 통하여 상하로 개방되어 있다. 이 도료 백(12)은, 상단부 입구부(12b) 및 하단부 입구부(12c)가 도료 카트리지(10)에 고정되고, 밀폐 공간(14)에 공급되는 작동액에 의해 백 본체(12a)가 횡방향으로 눌러 찌부러뜨려진다. 도료 백(12)의 백 본체(12a)는, 상단부 입구부(12b) 및 하단부 입구부(12c) 사이의 코너 부분이 매끄럽게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2 is a front view of the
그런데, 현재 실시되어 있는 도료 백은, 2매의 얇은 유연한 시트를 열융착시킴으로써 만들어져 있어, 도료 백의 내면에 도료가 부착되기 쉽고, 또한, 도료 백에 잔류하는 도료의 양을 최대한 적게 하는 것에 관하여 어떠한 배려도 없었다고 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백식 도료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동일한 색의 도료를 충전하여 재이용한다고 하는 생각에 머물고 있고, 도료 백의 내부를 세정함으로써 도료 카트리지를 재이용한다고 하는 발상은 전혀 없었다고 할 수 있다.By the way, the paint bag currently implemented is made by heat-sealing two thin flexible sheets, and it is easy to attach a paint to the inner surface of a paint bag, and also about the thing which minimizes the quantity of the paint which remains in a paint bag as much as possible. There was no consideration. As can be seen from this, in the conventional white paint cartridge, the idea is to fill and reuse the same color paint, and there is no idea of reusing the paint cartridge by washing the inside of the paint bag. .
실시예의 도료 백(12)은, 성형틀을 사용하여 제조한 가요성의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성형품이며, 도료 백(12)의 내면은 이음매가 없는 또한 평활한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도료 백(12)에서는, 그 재료로서 저분자 폴리에틸렌이 채용되어 있지만, 이것은 블로우 성형에서 박육의 또한 유연한 백을 만드는 데에 적합한 재료가 저분자 폴리에틸렌이었다고 하는 이유에 의한다. 저분자 폴리에틸렌은, 도료 백(12)의 내부를 세정하여 몇 번이나 도료 백(12)을 재이용하는 데 있어서 필요로 되는 내구성을 구비한 수지 재료이다.The
물론, 도료 백(12)의 재료 및 성형 방법은, 상술한 저분자 폴리에틸렌이나 블로우 성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료 백(12)의 내부 세정 및 세정 시에 폐기되는 도료의 양을 극한까지 저감하기 위해서는, 도료 백(12)의 특성으로서, (1) 적어도 백 본체(12a)의 적당한 유연성, (2) 발수성의 내면, (3) 이음매가 없는 또한 평활한 내면을 갖고 있는 것이 좋다. 따라서,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도료 백(12)의 성형 방법이나 수지 재료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료 백(12)의 내면에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도료 백(12)의 내면에 발수성이나 이음매가 없는 또한 평활성을 부여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나일론 수지나 불소 수지계의 FEP는 내약품성이나 자기 윤활성이 우수한 수지 재료이지만, 이들 수지를 사용하여 도료 백(12)을 만들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FEP 재료로 도료 백(12)의 내면을 코팅하도록 해도 된다. 도료 백(12)의 내면 처리의 방법으로서, 코팅 방법, 라이닝 방법, 수지 증착 방법을 예시적으로 들 수 있다. 또한, 도료 백(12)을 적당한 수지 재료의 액에 침지함으로써, 도료 백(12)의 내면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material and the shaping | molding method of the
도 2의 도료 백(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백 본체(12a)가 횡방향으로 찌부러짐으로써 하단부 입구부(12c)로부터 도료를 밀어내는 설계로 되어 있다. 이 백 본체(12a)의 찌부러지는 특성을 개선하는 데에 필요하면, 도 2, 도 4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본체(12a)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세로로 긴 홈(12d)을 일체 성형해도 좋다.As described above, the
도료 수용실을 구성하는 도료 백(12)은, 적어도 백 본체(12a)가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이 좋다. 백 본체(12a)가 투명 또는 반투명이면, 백 본체(12a) 내의 도료의 색이나 도료의 충전량을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료 백(12)이 손상되어 도료가 누출되고 있는 것을 발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이 이점은, 작동액실[밀폐 공간(14)]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6)가 투명 또는 반투명인 것이 전제로 된다.As for the
도 3은 본체(12a)의 횡단면 형상을 도시하고, 도 4는 상단부 입구부(12b)의 횡단면 형상을 도시한다. 상단부 입구부(12b)는 단면 원형이고,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하단부 입구부(12c)도 마찬가지로 단면 원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이들 상단부 입구부(12b) 및 하단부 입구부(12c)는 도료 카트리지(10)에 고정된다.3 show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도 1로 되돌아가서, 도료 카트리지(10)는, 제1 내지 제4의 4개의 내부 통로(20, 22, 24, 26)를 갖고 있다. 제1 내부 통로(20)는, 도료 백(12)의 하단부 입구부(12c)에 연통한 도료 통로이다. 제2 내부 통로(22)는, 작동액실을 구성하는 밀폐 공간(14)의 하단부에 연통한 작동액 공급 통로이다. 제3 내부 통로(24)는, 도료 백(12)의 상단부 입구부(12b)에 연통한 세정액 공급 통로이다. 제4 내부 통로(26)는, 밀폐 공간(14)의 상단부[에어 저장부(14a)]에 연통한 작동액 배출 통로이다.Returning to FIG. 1, the
제1 내지 제4 내부 통로(20 내지 26)는, 도료 카트리지(10)의 하면에 개방되어 있다. 도료 카트리지(10)의 하면은, 이 도료 카트리지(10)를 도장기 본체(6)에 탑재할 때에 도장기 본체(6)에 대한 접촉면을 구성하고 있다.The first to fourth
제1 내지 제4 내부 통로(20 내지 26)에는, 각각, 개폐 밸브로서 기능하는 역지 밸브(30, 32, 34, 36)가 조립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제1 내지 제4 역지 밸브(30 내지 36)가 도료 카트리지(10)의 하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작도상의 이유에 의한 것이며, 제1 내지 제4 역지 밸브(30, 32, 34, 36)는, 실제로는, 도료 카트리지(10)의 하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개폐 밸브로서 기능하는 제1 내지 제4 역지 밸브(30 내지 36)는, 고정 밸브 시트와, 스프링 가압된 가동 밸브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역지 밸브는 종래부터 주지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제1 내부 통로(도료 통로)(20)의 제1 역지 밸브(30)는 특별히 설계한 역지 밸브가 채용되어 있다. 제1 역지 밸브(30)는, 후에,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Check
계속해서 도 1을 참조하여 도장기 본체(6) 및 로봇 아암(1)을 설명한다. 도장기 본체(6)는, 그 상단부면 즉 벨 컵(4)과는 반대측의 면에 오목부(40)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40)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가 수용된다. 도료 카트리지(10)가 오목부(40)에 수용되면, 에어에 의해 동작하는 로크 기구(42)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가 도장기 본체(6)에 고정된다.Subsequently, the sprayer
도장기 본체(6)는, 도료 카트리지(10)로부터 수취한 도료를 벨 컵(4)에 공급하는 도료 공급 통로(44)를 갖고, 이 도료 공급 통로(44)에는 트리거 밸브(46)가 개재 장착되어 있다. 이 트리거 밸브(46)는, 파일럿 에어에 의해 개폐 동작하는 개폐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 참조 부호 48은 에어 모터이고, 이 에어 모터(48)에 의해 벨 컵이 회전 구동된다.The sprayer
JP 특허 출원 공개 평11-262699호 공보는, 특허 문헌 1 내지 3과 마찬가지의 피스톤식 도료 카트리지를 개시하고, 또한, 피드 튜브가 구비된 도료 카트리지를 개시하는 것이다. 이 JP 특허 출원 공개 평11-262699호 공보의 도 5에는, 피드 튜브의 선단(하단부) 개구를 개폐하는 밸브 기구의 상세가 도시되어 있다. 피드 튜브의 선단(하단부)의 밸브 기구는, 상기의 트리거 밸브(46)에 상당하는 것이지만, JP 특허 출원 공개 평11-262699호 공보의 밸브 기구는, 도장기 본체에 내장된 에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피드 튜브의 상류 단부로부터 삽입되어, 이 피드 튜브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피스톤 로드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 로드의 선단부(하단부)와 피드 튜브의 선단부(하단부)로 니들 밸브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 니들 밸브 기구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상기의 트리거 밸브(46)에 대응하는 것이다.JP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62699 discloses a piston type paint cartridge similar to
이에 대하여,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드 튜브가 없는 도료 카트리지(10)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도장기 본체(6)의 내부의 도료 개폐 밸브로서, 도장기 본체(6)의 도료 공급 통로(44)에 에어 구동식의 트리거 밸브(46)를 개재 장착하는 것만의 간단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도장기 본체(6)는, 도료 카트리지(10)에 작동액을 공급하는 작동액 공급 통로(50)를 갖고, 이 도장기 본체 내의 작동액 공급 통로(50)는, 로봇 아암(1)의 아암 내 작동액 공급 통로(52)로 통하고 있다.The sprayer
로봇 아암(1)의 작동액 공급 통로(52)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아암 내 작동액 공급 통로(52)는, 작동액원(54)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액을 도료 카트리지(10)에 압력 하에서 공급하는 펌프(56)를 갖고, 이 펌프(56)는 로봇 아암(1)에 탑재되어 있다. 펌프(56)는 치밀한 유량 제어가 가능한 예를 들어 기어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펌프(56)로부터 압력 하에서 공급되는 작동액은, 로봇 아암(1) 또는 도장기 본체(6)에 설치된 통로 전환 밸브(58)를 동작시킴으로써, 도료 카트리지(10)에 공급되거나, 또는, 환류 통로(60)를 통하여 작동액원(54)으로 복귀된다. 작동액원(54)의 작동액은 절연성의 액체(전형적으로는 절연 시너)가 채용된다. 변형예로서, 펌프(56)를 로봇 아암(1) 내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도장 로봇의 외부에 설치하여, 도료 카트리지(10)에 대한 작동액의 공급 제어를 로봇 아암(1) 또는 도장기 본체(6)에 내장된 통로 전환 밸브(58)에 의해 행하도록 해도 된다.Referring to the hydraulic
로봇 아암(1)에는, 상기의 펌프(56)(기어 펌프) 외에, 고전압 발생기(62)가 내장되어 있다. 고전압 발생기(62)에서 생성된 고전압은 벨 컵(4)에 인가된다. 물론, 고전압 발생기(62)를 도장기 본체(6)에 내장시켜도 된다.In addition to the pump 56 (gear pump) described above, the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64는, 작동액(절연 시너)에 혼입된 에어를 빼내는 공기 배출 통로를 나타내고, 이 공기 배출 통로(64)는, 에어에 의해 구동되는 개폐 밸브(66)를 통하여 도장기 본체 내 작동액 공급 통로(50)에 접속되어 있다. 개폐 밸브(66)를 이따금 개방하여, 도장기 본체 내 작동액 공급 통로(50)나 아암 내 작동액 공급 통로(52)의 작동액을 작동액원(54)으로 복귀시킴으로써, 도장기 본체 내 작동액 공급 통로(50)나 아암 내 작동액 공급 통로(52) 내에 혼입된 에어를 배출할 수 있다.In Fig. 1,
주목해야 할 점으로서, 도장기 본체(6)는 세정액 공급 통로(70)를 갖는다. 이 세정액 공급 통로(70)는, 그 일단부가, 도장기 본체 내의 상술한 도료 공급 통로(44)의 상류 단부 즉 카트리지 수용 오목부(40)에 인접하는 부위에서 도료 공급 통로(44)에 접속되어 있다. 이 도장기 본체 내의 세정액 공급 통로(70)의 타단부(상류 단부)는, 도장기 본체(6)의 상단부의 측면에 개방되어 있고, 이 개구 부분에 제5 역지 밸브(72)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5 역지 밸브(72)는, 종래부터 주지의 고정 밸브 시트와, 스프링 가압된 가동 밸브체로 구성되어 있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두번째로 주목해야 할 점으로서, 도장기 본체(6)는, 카트리지 수용 오목부(40)에 인접하여, 2개의 푸시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74, 76)를 갖고, 이 제1, 제2 액추에이터(74, 76)는 에어에 의해 구동된다. 제1 액추에이터(74)의 푸시 로드(74a)(도 6)는, 도료 카트리지(10)의 제1 역지 밸브(30)(도료 통로)에 대하여 작용하여 제1 역지 밸브(30)를 강제 개방시킨다. 제2 액추에이터(76)의 푸시 로드(76a)는, 도료 카트리지(10)의 제2 역지 밸브(32)(작동액 공급 통로)에 대하여 작용하여, 제2 역지 밸브(32)를 강제 개방시킨다(도 8).As a second point to be noted, the sprayer
도 5, 도 6은 도료 카트리지(10)의 제1 역지 밸브(30)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역지 밸브(30)는 도료 백(12)으로부터 나온 도료가 통과하는 제1 내부 통로(20)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도료 카트리지(10)는, 그 하단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위치하여 상하로 변위 가능한 단차 슬리브(300)를 갖고, 이 가동 슬리브(300)의 하단부에, 제1 역지 밸브(30)의 밸브 시트(30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밸브 시트(302)에 착좌하는 가동 밸브체(304)는 내주 스프링(306)에 의해 밸브 시트(302)에 착좌하는 방향(하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한편, 단차 슬리브(300)는 외주 스프링(30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가동 밸브체(304)의 하단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수용 부재(310)가 형성되고, 이 수용 부재(310)는, 단차 슬리브(30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전술한 제1 액추에이터(74)의 푸시 로드(74a)는 상기 수용 부재(310)에 접촉하여 이것을 밀어 올림으로써, 개폐 밸브로서 채용한 제1 역지 밸브(30)를 강제 개방시킬 수 있다(도 6).5 and 6 show the
도장기 본체(6)의 오목부(40)에는, 상기 단차 슬리브(300)의 하단부 부분 즉 작은 직경 부분(300a)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오목부(40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 오목부(402)의 중심 부분에, 도장기측의 도료 공급 통로(44)가 개방되어 있다. 즉, 제2 오목부(402)의 저면에는, 그 중심 부분에 상기 도료 공급 통로(44)가 개방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오목부(402)의 저면에는, 도료 공급 통로(44)의 개구의 외주에 시일링(404)이 배치되어 있다.In the
도 5 및 도 6은 도장기 본체(6)의 오목부(40)에 도료 카트리지(10)를 위치 결정하고, 로크 수단(42)(도 1)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를 도장기 본체(6)에 고정한 상태를 도시한다. 단차 슬리브(300)의 하단부면과 제2 오목부(402)의 저면 사이에 시일링(404)이 개재되어 있는 것에 주목하기 바란다. 도료 카트리지(10)의 단차 슬리브(300)가 외주 스프링(308)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도료 카트리지(10)를 도장기 본체(6)에 고정함으로써, 단차 슬리브(300)의 하단부면은 시일링(404)에 압박된 상태로 된다. 도료 카트리지(10)의 제1 내부 통로(도료 통로)(20)와, 도장기 본체(6)의 도료 공급 통로(44)의 연결 부위가 시일링(404)에 의해 시일되어 있기 때문에, 도료 카트리지(10)로부터 나온 도료가, 도장기 본체(6)의 카트리지 수용 오목부(40)나 제2 오목부(402)로 돌아 들어가, 이들 오목부(40, 402)를 오염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5 and 6 position the
도 5는 도료 카트리지(10)의 제1 역지 밸브(30)가 스토퍼 밸브의 기능을 발휘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이 도 5의 상태에서는, 제1 역지 밸브(30)가 본래의 역지 밸브의 기능을 발휘하여 도료 카트리지(10)로부터 도료가 유출되는 것을 저지한다[카트리지 내 도료 통로(20)가 폐색].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한편, 도 6은 제1 역지 밸브(30)의 가동 밸브체(304)를 푸시 로드(74a)에 의해 강제적으로 밀어 올려, 제1 역지 밸브(30)를 강제적으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다. 푸시 로드(74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역지 밸브(30)에 관련되어 도장기 본체(6)에 설치된 제1 액추에이터(74)에 의해 동작한다. 제1 액추에이터(74)는 에어에 의해 구동된다. 도 6에 도시한 강제 개방 상태에서는, 개폐 밸브로서 채용한 제1 역지 밸브(30)의 가동 밸브체(304)가 밸브 시트(302)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료 백(12)의 도료는, 그 하단부 개구(12c)로부터 카트리지 내 도료 통로(20)를 통과하여 도료 카트리지(1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카트리지 내 도료 통로(20)가 개방].6 shows the state which forcibly pushed up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도료 카트리지(10)는 상하로 변위 가능한 슬리브(300)를 갖고 있다. 이 슬리브(300)는, 도료 수용실을 구성하는 도료 백(12)의 도료가 유출되는 출구 부분을 구성하고, 또한, 도료 카트리지(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리브(300)의 하단부에 제1 역지 밸브(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주 스프링(308)에 의해 가동 슬리브(300)가 하방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한편, 도장기 본체(6)는, 슬리브(300)의 소경 부분(300a)을 수용하는 제2 오목부(402)를 갖고, 이 제2 오목부(402)의 저면의 중심 부분에, 도장기 본체(6)의 도료 공급 통로(44)의 상단부가 개방되고, 이 개구의 주위에 시일링(404)이 배치되어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도료 카트리지(10)를 도장기 본체(6)에 조립하면, 스프링 가압된 가동 슬리브(300)[소경 부분(300a)]의 하단부면이 시일링(404)에 압접하고, 이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의 도료 출구를 구성하는 슬리브(300)와, 도장기 본체(6)의 도료 공급 통로(44) 사이의 도료 이행 통로가 시일링(404)에 의해 시일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로부터 나온 도료가 제2 오목부(402)의 벽면 등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상기의 구성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를 장착한 상태 그대로 도장기 본체(6)의 도료 공급 통로(44)를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이점은, 실시예의 백식 도료 카트리지(10)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피스톤식의 도료 카트리지나 특허 문헌 7에 개시된 막 펌프를 채용한 도료 카트리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피스톤식이나 막 펌프식의 도료 카트리지에 있어서, 특히 피드 튜브를 생략한 구성의 도료 카트리지이면, 상기의 구조를 채용하는 이점은 크다.By the above structure, the
도 7, 도 8은 도료 카트리지(10)의 제2 내부 통로(작동액 공급 통로)(22)의 제2 역지 밸브(32)를 강제 개방하기 위해서, 도장기 본체(6)에 설치된 제2 액추에이터(76)의 상세도이다. 이 제2 액추에이터(76)는 에어의 출입에 의해 푸시 로드(76a)를 진퇴시키고, 푸시 로드(76a)가 전진함으로써 제2 역지 밸브(32)의 가동 밸브체(320)를 강제적으로 밸브 시트(32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도 8). 이 점에 관해서는, 전술한 제1 액추에이터(74) 및 제1 역지 밸브(30)와 마찬가지이지만, 다음의 점에서 푸시 로드(76a)가 구비된 제2 액추에이터(76)는 특징적인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7 and 8 show a second actuator provided in the sprayer
즉, 도장기 본체(6)의 제2 액추에이터(76)의 푸시 로드(76a)는, 그 상단부면에서 제2 역지 밸브(32)의 가동 밸브체(320)를 강제적으로 밸브 시트(322)로부터 이격시키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도 8), 이 푸시 로드(76a)는, 도장기 본체(6)의 작동액 공급 통로(50)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That is, the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푸시 로드(76a)는, 도장기 본체 내의 작동액 공급 통로(50)의 출구 부분[카트리지 수용 오목부(40)에 면하는 작동액 출구 부분]을 구성하는 슬리브(500)에 의해 포위되고, 이 슬리브(500)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내주면에는 밸브 시트(50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푸시 로드(76a)는, 그 상단부에, 직경 방향으로 팽출한 밸브체(504)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밸브 시트(502) 및 밸브체(504)는 도장기 본체(6)의 작동액 공급 통로(50)의 출구 부분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 기구(506)를 구성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개폐 밸브 기구(506)는, 도 7에 있어서, 푸시 로드(76a)가 상방으로 변위(전진)하면, 당해 푸시 로드(76a)와 일체의 밸브체(504)가 밸브 시트(502)로부터 이격하여 개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푸시 로드(76a)가 상방으로 변위하면, 도료 카트리지(10)의 제2 역지 밸브(32)를 강제 개방한다(도 8의 화살표).In the opening /
푸시 로드(76a)가 하방으로 변위하면, 밸브체(504)가 밸브 시트(502)에 착좌하여 개폐 밸브 기구(506)는 폐쇄 상태로 된다. 물론, 이 푸시 로드(76a)의 후퇴 동작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의 제2 역지 밸브(32)는, 그 본래의 역지 밸브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게 되기 때문에, 이 제2 역지 밸브(32)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로부터 작동액이 누출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When the
푸시 로드(76a)는 그 기단부(도 7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 플랜지(78)를 갖고, 이 플랜지(78)는 스프링(80)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푸시 로드(76a)는, 상시, 하방을 향하여 스프링 가압되고, 이 결과, 개폐 밸브 기구(506)는 스프링(80)에 의해 밸브 폐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The
상기의 구성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가 도장기 본체(6)에 설치되는 과정, 또한, 도장기 본체(6)에 도료 카트리지(10)가 고정되었다고 해도, 제2 액추에이터(76)를 동작시키지 않는 한, 도장기 본체(6)로부터 작동액(절연 시너)이 누출되는 일은 없다. 물론, 도료 카트리지(10)에 있어서도, 제2 역지 밸브(32)에 의해 밀폐 공간(14)(작동액실)으로부터 작동액(절연 시너)이 누출되는 것이 저지된다.By the above structure, even if the
도 1로 다시 되돌아가서, 이 도 1을 참조하여 도장 공정에서의 정전 도장기(2)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장 공정에서는, 제1, 제2 액추에이터(74, 76)가 동작하여 푸시 로드(74a, 76a)가 전진하고, 이 푸시 로드(74a, 76a)의 전진에 의해 제1, 제2 역지 밸브(30, 32)는 강제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카트리지 내 도료 통로(20) 및 카트리지 내 작동액 공급 통로(22)가 모두 개방].Returning to FIG. 1 again, with reference to this FIG. 1, operation | movement of the
(1) 제1 역지 밸브(30)(카트리지 내 도료 통로)는 강제 개방;(1) the first check valve 30 (paint passage in the cartridge) is forced open;
(2) 제2 역지 밸브(32)(카트리지 내 작동액 공급 통로)는 강제 개방.(2) The second check valve 32 (th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in the cartridge) is forcibly opened.
기어 펌프(56)를 ON/OFF 제어하거나, 또는, 통로 전환 밸브(58)를 제어함으로써, 도료 카트리지(10)에 공급하는 작동액(절연 시너)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료 카트리지(10)에 공급하는 작동액에 의해 도료 백(12)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도료 백(12)으로부터 도료를 제어한 상태에서 유출시킬 수 있다. 기어 펌프(56)의 ON/OFF나 통로 전환 밸브(58)의 통로 전환 동작은, 도장기 본체(6)의 트리거 밸브(46)의 개폐에 동기하여 행해진다. 이에 의해 벨 컵(4)에 대한 도료의 공급 개시 및 공급 정지의 제어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By controlling ON / OFF of the
소정의 도장이 완료된 시점에서는, 도료 수용실을 구성하는 도료 백(12)이 완전히 눌러 찌부러뜨려진 상태에 있고, 이때에 도료 백(12)(도료 수용실)의 내부 용적은 최소이며, 따라서 도료 백(12)에 잔류하는 도료의 양은, 종래의 피스톤식의 도료 카트리지와 대비하여 매우 소량이다.At the time when the predetermined painting is completed, the
정전 도장기(2)의 색 교체를 행할 때에는, 도료 카트리지(10)를 도장기 본체(6)로부터 제거하고 다른 색의 도료의 도료 카트리지(10)와 교환하기 전에, 도료 카트리지(10)를 장착한 상태 그대로 도장기 본체(6) 내의 도료 공급 통로(44) 및 벨 컵(4)의 세정이 행해진다.When changing the color of the
도 9는 도장기 본체(6)의 도료 공급 통로(44) 및 벨 컵(4)의 세정 공정을 도시한다. 이 세정 공정에서는, 사용 완료된 도료 카트리지(10)를 도장기 본체(6)에 장착한 상태 그대로 세정이 실시된다. 세정 공정에서는, 제1, 제2 액추에이터(74, 76)의 동작이 해제되어 푸시 로드(74a, 76a)가 후퇴하고, 이에 의해 제1, 제2 역지 밸브(30, 32)는 본래의 역지 밸브의 기능을 발휘하여 카트리지 내 도료 통로(20) 및 작동액 공급 통로(22)를 폐쇄한다.9 shows the cleaning process of the
도장기 본체(6)의 측면에 개방되어 있는 세정액 공급 통로(70)에 세정 노즐(84)이 삽입된다. 이 세정 노즐(84)을 세정액 공급 통로(70)의 입구에 삽입하면, 이 세정액 공급 통로(70)의 입구에 배치되어 있는 제5 역지 밸브(72)가 세정 노즐(84)에 의해 강제 개방된다. 외부 통로 전환 밸브(86)를 동작시킴으로써 세정 노즐(84)로부터 세정액 또는 에어가 압력 하에서 세정액 공급 통로(70)에 공급된다. 이 세정액 또는 에어의 공급에 앞서서, 도장기 본체 내 도료 공급 통로(44)에 개재 장착되어 있는 트리거 밸브(46)는 개방된다. 또한, 세정 노즐(84)로부터의 세정액의 공급 개시와 함께 벨 컵(4)이 회전 구동된다.The cleaning
도장기 본체 내의 도료 공급 통로(44)의 세정 공정에서의 각 밸브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The state of each valve in the washing | cleaning process of the
(1) 제1 역지 밸브(30)(도료)의 강제 개방은 해제(통상의 역지 밸브의 기능);(1) forced opening of the first check valve 30 (paint) is released (function of a normal check valve);
(2) 제2 역지 밸브(32)(작동액 공급)의 강제 개방은 해제(통상의 역지 밸브의 기능);(2) the forced opening of the second check valve 32 (working fluid supply) is released (function of a normal check valve);
(3) 제5 역지 밸브(72)(도장기 본체 내의 세정액)는 세정 노즐(84)에 의해 강제 개방;(3) the fifth check valve 72 (the cleaning liquid in the coating machine body) is forcibly opened by the cleaning
(4) 트리거 밸브(46)는 개방;(4) the
(5) 벨 컵(4)은 회전.(5) The
세정 노즐(84)로부터 압력 하에서 세정액 또는 에어를 공급하면, 이 세정액 또는 에어는, 도장기 본체(6)의 세정액 공급 통로(70)를 통과하여 도장기 본체 내 도료 공급 통로(44)에 유입되고, 이 도료 공급 통로(44)를 통과하여 벨 컵(4)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세정액 또는 에어의 흐름에 의해 도장기 본체 내의 도료 공급 통로(44) 및 벨 컵(4)이 정화된다. 전형적으로는, 세정 노즐(84)로부터 세정액과 에어가 교대로 도장기 본체(6)에 공급된다.When the cleaning liquid or air is supplied from the cleaning
세정액 공급 통로(70)는, 그 하류 단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장기 본체 내 도료 공급 통로(44)의 상류 단부(상단부)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도료 공급 통로(44)에 유입된 세정액 또는 에어는, 도료 카트리지(10)의 하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제1 역지 밸브(30)의 선단까지 도달하여, 이 제1 역지 밸브(30)의 선단부를 정화한다. 제1 역지 밸브(30)는 본래의 역지 밸브의 기능을 발휘하여 카트리지 내 도료 통로(20)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도 5), 카트리지 내 도료 통로(20)와 도장기 본체 내 도료 공급 통로(44)는 제1 역지 밸브(30)에 의해 분리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제1 역지 밸브(30)에 의해 세정액이 도료 백(12)의 내부에 침입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세정액은 전형적으로는 시너이지만, 물에 계면 활성제를 첨가한 세정수이어도 된다.Since the downstream end is connected to the upstream end (upper end) of the
또한, 이 제1 역지 밸브(30)를 내장한 슬리브(300)와, 이 슬리브(300)의 하단부 소경 부분(300a)을 수용하고 있는 제2 오목부(402) 사이에, 슬리브(300)의 선단면이 압접하는 시일링(404)이 개재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도 5), 이 시일링(404)에 의해 규정되는 도료 이행 통로 부분도 세정액 또는 에어에 의해 청정화되는 것은 물론이지만, 도료를 포함하는 세정액에 의해 제2 오목부(402)의 벽면 전체를 오염시켜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세정액에 의해 도장기 본체(6)의 도료 공급 통로(44)뿐만 아니라, 도료 카트리지(10)와의 접속 부분도 청정화할 수 있다. 또한, 도료 카트리지(10)의 도료 출구를 구성하는 슬리브(300)의 선단부도 청정화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에 볼 수 없는 주목해야 할 이점이다. 물론, 이 이점을 발휘하는 구성은, 일반론으로서, 백식의 도료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고, 피스톤식의 도료 카트리지, 막 펌프식의 카트리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벨 컵(4)의 세정에 관하여, 필요하면, 외부로부터 세정액을 벨 컵(4)에 살포하도록 해도 된다. 도장기 본체(6)의 세정이 완료되면, 최후에 에어가 세정 노즐(84)로부터 도장기 본체(6)에 공급되고, 이에 의해 도장기 본체 내의 도료 공급 통로(44) 및 벨 컵(4)에 부착되어 있는 세정액이 제거된다.In addition, between the
도장기 본체(6)의 세정이 완료되면, 다음에, 도장기 본체(6)에 탑재되어 있는 도료 카트리지(10)의 교환이 행해진다. 도장기 본체(6)의 세정 및 시일링(404)의 세정이 완료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색의 도료를 충전한 도료 카트리지(10)를 도장기 본체(6)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도장을 재개할 수 있다.After the washing | cleaning of the sprayer
도장기 본체(6)로부터 제거된 도료 카트리지(10)는, 도료 백(12)의 세정이 실시된다. 도 10은 도료 백 세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 완료된 도료 카트리지(10)는, 백 세정 스테이션(88)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위치 결정은 도장기 본체(6)에 대한 위치 결정과 동일하며, 도료 카트리지(10)가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로크 기구(90)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가 고정된다.The
백 세정 스테이션(88)에는, 도료 카트리지(10)의 제1 내지 제4 역지 밸브(30, 32, 34, 36)에 대응한 제1 내지 제4 푸시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880, 882, 884, 88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내지 제4 푸시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880 내지 886)는, 전술한 도장기 본체(6)의 제1, 제2 푸시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74, 7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백 세정 스테이션(88)에 설치된 당초의 도료 카트리지(10)의 도료 백(12)은 눌러 찌부러뜨려진 상태에 있다. 도료 수용실을 구성하는 도료 백(12)의 세정은, (ⅰ) 도료 백(12)을 확장시켜 도료 수용실의 용적을 확대한다, (ⅱ) 도료 백(12)을 눌러 찌부러뜨려서 도료 수용실의 용적을 작게 한다고 하는 조작을 수반하면서 도료 백(12) 내에 세정액, 에어를 넣고, 또한, 세정액, 에어의 배출이 행해진다. 도료 백(12)의「확장, 눌러 찌부러뜨리기」를 하나의 조로 하여, 이것을 1회로 종료해도 되고, 복수회 반복해도 된다. 물론, 필요하면, 도료 백(12)의 세정에 앞서서, 도료 백(12)을 최대한까지 눌러 찌부러뜨려, 도료 백(12) 내에 잔류하는 도료를 최대한까지 회수하는 것이 좋다.The
도료 백의 확장 공정에서의 각 개폐 밸브 즉 역지 밸브(30, 32, 34, 36)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The states of each open / close valve, i.e.,
(1) 제1 역지 밸브(30)(도료)의 강제 개방은 해제(통상의 역지 밸브의 기능);(1) forced opening of the first check valve 30 (paint) is released (function of a normal check valve);
(2) 제2 역지 밸브(32)(작동액 공급)의 강제 개방은 해제(통상의 역지 밸브의 기능);(2) the forced opening of the second check valve 32 (working fluid supply) is released (function of a normal check valve);
(3) 제3 역지 밸브(34)(세정액 공급)는 강제 개방;(3) the third check valve 34 (cleaning liquid supply) is forced open;
(4) 제4 역지 밸브(36)(작동액 배출)는 강제 개방.(4) The fourth check valve 36 (operating fluid discharge) is forced open.
백 세정 스테이션(88)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원 및 세정액원(시너 또는 물)이 설치되고, 이 에어원 및 세정액원으로부터 에어나 세정액이 공급된다. 에어와 세정액의 전환은 통로 전환 밸브(888)에 의해 행해진다. 이 통로 전환 밸브(888)를 통하여 에어, 세정액이 교대로 도료 카트리지(10)의 제3 내부 통로(세정액 공급 통로)(24)를 통하여 도료 백(12)에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료 백(12)의 출구[하단부 입구부(12c)]의 제1 역지 밸브(30)는 통상의 역지 밸브의 기능을 발휘하여 도료 통로(20)를 폐쇄한 상태에 있다. 도료 카트리지(10)의 제3 내부 통로(세정액 공급 통로)(24)로부터 도료 백(12)의 상단부 입구부(12b)를 통하여 도료 백(12)의 내부에 에어 또는 도료를 공급함으로써 도료 백(12)은 확장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도료 카트리지(10)의 작동액실을 구성하는 밀폐 공간(14)을 채우고 있는 작동액은, 에어 저장부(14a)에 개방되어 있는 제4 내부 통로(26)(작동액 배출 통로)를 통하여 도료 카트리지(10)로부터 강제적으로 또한 수동적으로 밀어내어진다. 도료 카트리지(10)로부터 나온 작동액은 작동액원에 회수된다.The
도료 백(12)의 구체적인 세정 방법으로서, 다음의 예를 들 수 있다.As a specific washing | cleaning method of the
제1 공정(도료 백의 확장 공정) : 제3 내부 통로(세정액 공급 통로)(24)를 통하여 도료 백(12)에 에어를 공급하여 도료 백(12)을 확장시켜, 도료 백(12)의 내부 용적을 거의 최대값까지 확대시킨다. 이에 의해, 도료 백(12)의 본체(12a)를 주름이 없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제1 역지 밸브(30)(도료)는 폐쇄 상태에 있다.First Step (Expansion Step of Paint Bag): Air is supplied to the
제2 공정(세정액 공급 공정) : 세정액을 도료 백(12)에 공급하여 도료 백(12)의 내면을 따라서 세정액을 흘려, 도료 백(12)을 세정한다. 제1 역지 밸브(30)(도료)는 폐쇄 상태에 있다.2nd process (washing liquid supply process): A washing | clean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제3 공정(도료 백의 눌러 찌부러뜨리기 공정) : 도료 백(12)을 눌러 찌부러뜨려, 도료 백(12)의 내부 용적을 축소시켜 도료 백(12)의 세정액을 배출시킨다.Third step (pressing and crushing of the paint bag): The
필요에 따라서, 제2, 제3 공정을 반복한다.If necessary, the second and third steps are repeated.
도료 백(12)의 상기 제3 공정(눌러 찌부러뜨리기 공정)에서의 각 개폐 밸브[역지 밸브(30, 32, 34, 36)]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The state of each open / close valve (return
(1) 제1 역지 밸브(30)(도료)는 강제 개방;(1) the first check valve 30 (paint) is forced open;
(2) 제2 역지 밸브(32)(작동액 공급)는 강제 개방;(2) the second check valve 32 (working fluid supply) was forced open;
(3) 제3 역지 밸브(34)(세정액 공급)의 강제 개방은 해제(통상의 역지 밸브의 기능);(3) forced opening of the third check valve 34 (cleaning liquid supply) is released (function of a normal check valve);
(4) 제4 역지 밸브(36)(작동액 배출)의 강제 개방은 해제(통상의 역지 밸브의 기능).(4) The forced opening of the fourth check valve 36 (operating fluid discharge) is released (function of a normal check valve).
백 세정 스테이션(88)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펌프(89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3 공정(눌러 찌부러뜨리기 공정)에서는, 기어 펌프(890)에 의해 제어된 양의 작동액이 도료 카트리지(10)에 압력 하에서 공급된다. 도료 카트리지(10)의 밀폐 공간(14)(작동액실)에 작동액이 들어가면, 이 작동액에 의해 도료 백(12)이 눌러 찌부러뜨려져, 도료 백(12) 내의 에어 및 세정액이 하단부 입구부(12c)를 통하여 외부로 밀어내어진다. 도 10의 참조 부호 892는 폐액 탱크를 나타내고, 도료 백(12)으로부터 나온 세정액은 폐액 탱크(892)에 수용된다.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도료 백(12)의 확장[도료 백(12)의 내부 용적의 확대], 눌러 찌부러뜨리기[도료 백(12)의 내부 용적의 축소]를 조로 하여, 이것을 1회 또는 복수회 반복하여 도료 백(12)의 내부가 청정화된다. 그리고 최후에 에어를 도료 백(12) 내에 넣어 도료 백(12)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세정액을 배출함으로써, 도료 백(12)의 세정 공정이 종료된다. 도료 백(12)의 세정 공정이 완료된 단계에서는, 도료 백(12)은 눌러 찌부러뜨려진 상태[도료 백(12)의 내부 용적이 최소의 상태]에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pansion of the paint bag 12 (expansion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paint bag 12) and the crushing (reduction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paint bag 12) are performed in a single or multiple times. Repeatedly, the inside of the
도료 백(12)의 세정이 완료된 도료 카트리지(10)는 다음에 도료 백(12)에 도료가 충전된다. 도 11은 도료 충전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세정 후의 도료 카트리지(10)는, 도료 충전 스테이션(92)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위치 결정은 도장기 본체(6)나 백 세정 스테이션(88)과 동일하며, 도료 카트리지(10)가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면 로크 기구(94)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가 고정된다.The
도료 충전 스테이션(92)에는, 도료 카트리지(10)의 제1 내지 제4 역지 밸브 중, 작동액 공급에 관한 제2 역지 밸브(32), 세정액 공급에 관한 제3 역지 밸브(34)를 제외한 제1, 제4 역지 밸브(30, 36)에 대응한 제1, 제4 푸시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920, 92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제4 푸시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920, 922)는, 전술한 도장기 본체(6)의 제1, 제2 푸시 로드가 구비된 액추에이터(74, 7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도료 충전 공정에서의 각 개폐 밸브 즉 역지 밸브(30, 36)의 상태는 다음과 같다.The states of each open / close valve, that is,
(1) 제1 역지 밸브(30)(도료)는 강제 개방;(1) the first check valve 30 (paint) is forced open;
(2) 제4 역지 밸브(36)(작동액 배출)는 강제 개방.(2) The fourth check valve 36 (operating fluid discharge) is forced open.
도료 충전 스테이션(92)에는 도료원의 도료를 도료 백(12)에 압력 하에서 충전하기 위해서 기어 펌프(96)가 설치되어 있고, 이 기어 펌프(96)를 제어함으로써 소정량의 도료가 도료 백(12)의 하단부 입구부(12c)를 통하여 도료 백(12)에 충전된다. 이 기어 펌프(96)의 유량 제어 대신에, 펌프로부터 압력 하에서 도료 백(12)에 공급하는 도료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유량계와, 상기 유량계로 계측한 도료의 양이 소정값에 도달하면 도료 백(12)에의 도료의 공급을 정지하는 유량 제어 밸브의 조합을 채용해도 된다. 도료의 충전에 의해 도료 백(12)은 확장되게 되지만, 밀폐 공간(14)을 채우고 있는 작동액은, 에어 저장부(14a) 및 제4 내부 통로(작동액 배출 통로)(2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 배출된 작동액은 작동액원에 회수된다.The
물론, 도료를 충전하기 전에 도료 카트리지(10)의 세정이 완료되어 있기 때문에, 도료 카트리지(10)에 충전하는 도료의 색은 임의이다. 도료의 충전이 완료된 도료 카트리지(10)는 다음 도장을 위해서 저장된다.Of course, since the cleaning of the
이상, 작동액으로서 절연성 시너를 채용한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물 등의 도전성 액체를 작동액으로서 채용할 때에는, 볼티지 블록 기구를 로봇 아암(1)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at the time of employ | adopting insulating thinner as a working fluid was demonstrated, when employ | adopting electroconductive liquid, such as water, as a working fluid, it is good to provide a voltage block mechanism in the
도 12는 도료 카트리지(10)로부터 도료를 제어한 상태에서 유출시키기 위한 작동액으로서 물을 채용하였을 때의 볼티지 블록 기구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로봇 아암(1)에는, 볼티지 블록 기구가 구비된 작동액 공급 유닛(100)이 탑재되어 있다. 볼티지 블록 기구가 구비된 작동액 공급 유닛(100)은 절연 케이스(102)에 수용되어 있다. 전술한 아암 내 작동액 공급 통로(52)는, 그 일부가 절연 케이스(102)의 내부에 위치하고, 이 아암 내 작동액 공급 통로(52)에 작동액 탱크(104)(물탱크)가 설치되어 있다.FIG. 12 shows an example of a voltage block mechanism when water is used as the working liquid for flowing out of the
전술한 기어 펌프(56)는 작동액 탱크(104)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장 공정에서는, 기어 펌프(56)가 동작하여 작동액 탱크(10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도료 카트리지(10)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도료 카트리지(10)의 도료 백(12)이 눌러 찌부러뜨려져 도료 백(12)의 도료가 유출되고, 이 유출된 도료는 도장기 본체(6)에 공급된다.The
아암 내 작동액 공급 통로(52)의 상류 단부에는 암형 커넥터(10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암형 커넥터(106)는, 볼티지 블록 기구(108)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이 암형 커넥터(106)와 쌍을 이루는 수형 커넥터(110)는, 에어 실린더(112)에 의해 진퇴한다. 도 12에 도시한 상태 즉 수형 커넥터(110)가 암형 커넥터(106)로부터 이탈한 상태에 있어서, 수형 커넥터(110)와 암형 커넥터(106)의 이격 거리 X로서, 에어에 의한 절연 공간을 형성하는 데에 적합한 거리(예를 들어 X=250 내지 300㎜)가 설정된다.A
반대로, 수형 커넥터(110)가 암형 커넥터(106)에 결합되면, 작동액 탱크(물탱크)(104)는, 외부의 작동액원(114)에 연통하고 있다. 작동액 탱크(물탱크)(104)가 소정량보다도 적어지면 작동액원(수원)(114)으로부터 보충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정전 도장기(2)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도장을 행할 때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106)와 수형 커넥터(110)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 있다(고전압 블록 상태). 이에 의해, 정전 도장기(2)에 인가하는 고전압이, 도전성 작동액(물)을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 and 12, when the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변형예를 포함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The following modified example is included.
(1) 도료 카트리지(10)에 내장된 제1 내지 제4 역지 밸브(30 내지 36)는 에어 구동식의 개폐 밸브로 구성해도 된다.(1) The first to
(2)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도료 백(12)은 상하의 입구부(12b, 12c)를 구비하고 있지만, 상단부 입구부(12b)를 생략하고, 하단부 입구부(12c)만을 구비한 도료 백이어도 된다(도 13). 도 13에 도시한 참조 부호 896은 통로 전환 밸브를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도료 백(12)으로 통하는 도료 카트리지 내 통로나, 밀폐 공간(14)(작동액실)으로 통하는 도료 카트리지 내 통로에 개재 장착된 역지 밸브(30 내지 36)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2) In the above embodiment, the
(3)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도료 백(12)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작동액으로 가압하는 방식이 채용되어 있지만,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도료 백(12)에 인접한 작동액 백(8)을 구비한 도료 카트리지이어도 된다. 이 작동액 백(8)은 작동액실을 구성하고, 이 작동액 백(8)에 작동액을 공급하여 작동액 백(8)을 확장함으로써, 도료 백(12)을 눌러 찌부러뜨린다. 작동액 백(8)은 2개의 상하의 입구부(8a, 8b)를 구비하고, 상단부 입구부(8a)로부터 작동액 백 내의 작동액을 배출하고, 한편, 작동액을 하단부 입구부(8b)로부터 작동액 백(8)에 공급함으로써 작동액 백(8)을 확장시킬 수 있다(도 14). 도료 백(12)은,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하에 입구부(12b, 12c)를 구비한 백이어도 되고,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 입구부(12b) 없이 하단부 입구부(12c)만을 갖는 백이어도 된다.(3) In the embodiment of FIG. 1, a method of directly pressurizing the
(4) 백 세정 스테이션(88)에 가진원(28)을 설치하고, 이 가진원(28)에 의해 세정 중인 도료 카트리지(10)를 상하 및/또는 좌우로 진동시키도록 해도 된다(도 13).(4) The
(5) 백 세정 스테이션(88)에 회전 테이블(894)을 준비하고(도 13, 도 15), 이 회전 테이블(894)에 도료 카트리지(10)를 고정하여, 세정 중인 도료 카트리지(10)를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도면 중, 참조 부호 O는 회전 중심축을 나타낸다. 이 회전은, 일방향의 회전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정방향의 회전과 역방향의 회전을 교대로 반복하는 것이 좋다.(5) A rotary table 894 is prepared in the bag cleaning station 88 (FIGS. 13 and 15), and the
이상, 도료 백(12)을 구비한 도료 카트리지(10)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세정 방법은, 피스톤식이나 막 피스톤식의 도료 카트리지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6을 참조하여, 도시된 도료 카트리지(130)는 피스톤(132)을 갖고, 이 피스톤(132)을 사이에 두고, 그 상방에 작동액실(134)이 형성되고, 피스톤(132)의 하방에 도료 수용실(136)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의 (Ⅰ)은 세정 스테이션에 피스톤식 도료 카트리지(130)를 위치 결정한 당초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 세정 스테이션은, 상술한 백 세정 스테이션(88)(도 10)에 대응하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y illustrating the
우선, 도료 카트리지(130)의 작동액실(134)에 카트리지 내 작동액 공급 통로(22)를 통하여 작동액을 공급하여, 피스톤(132)을 도료 수용실(136)의 최심부까지 밀어내려, 도료 수용실(136)에 잔류하는 도료를 회수한다(도 16의 공정 (Ⅱ). 계속해서, 도료 수용실(136)에 세정액을 공급하여 피스톤(132)을 밀어 올린다(도 16의 공정 (Ⅲ). 이것에 수반하여 작동액실(134) 내의 작동액은, 카트리지 내 작동액 배출 통로(26)를 통하여 강제적으로 또한 수동적으로 카트리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작동액은 작동액원으로 복귀된다. 계속해서, 작동액실(134)에 카트리지 내 작동액 공급 통로(22)를 통하여 작동액을 공급하여 피스톤(132)을 밀어내려, 도료 수용실(136)의 세정액을 배출한다(도 16의 공정 (Ⅳ). 도 16의 공정 (Ⅲ) 및 공정 (Ⅳ)에서의 피스톤(132)의 오르내림의 정도는 임의이며, 예를 들어, 피스톤(132)을 최상부까지 밀어 올려도 되고, 그 도중까지에서 피스톤(132)의 밀어 올림을 정지하고, 다음 배출 공정[도 16의 공정 (Ⅳ)]으로 이행해도 된다. 피스톤(132)을 밀어 올리면서 도료 수용실(136)을 세정하는 데에, 세정액과 에어를 교대로 도료 수용실(136)에 공급해도 된다. 또한, 에어에 의해 피스톤(132)을 어느 정도의 높이까지 밀어 올리고, 그 후에 세정액을 도료 수용실(136)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에어와 세정액의 공급 형태의 조합은 임의이며, 실험에 의해 결정하면 된다.First, the work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working
상기의 공정 Ⅲ와 공정 Ⅳ를 1조로 하여, 이것을 1회 또는 복수회 반복해도 된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정 중에 도료 카트리지(130)를 상하 또는 좌우 혹은 상하 및 좌우로 진동을 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정 중에 도료 카트리지(130)를 회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15에서, 도료 카트리지(130)의 작동액실(134)이나 도료 수용실(136)로 통하는 도료 카트리지 내 통로에는, 전술한 백식의 도료 카트리지(10)와 마찬가지로 역지 밸브가 개재 장착되어 있지만, 도 15에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Said process III and process IV may be set as 1 group, and you may repeat this once or multiple times. In addition,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the
본 발명은 정전 도장에 적용된다. 특히, 도장 로봇에 적절하게 적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electrostatic painting. In particular, it is suitably applied to a painting robot.
1 : 도장 로봇의 아암
2 : 정전 도장기
4 : 벨 컵
6 : 도장기 본체
10 : 도료 카트리지
12 : 도료 백(도료 수용실)
12a : 도료 백의 백 본체
12b : 도료 백의 상단부 입구부
12c : 도료 백의 하단부 입구부
14 : 도료 카트리지의 밀폐 공간(작동액실)
20 : 도료 카트리지의 제1 내부 통로(도료 통로)
22 : 도료 카트리지의 제2 내부 통로(작동액 공급 통로)
24 : 도료 카트리지의 제3 내부 통로(세정액 공급 통로)
26 : 도료 카트리지의 제4 내부 통로(작동액 배출 통로)
88 : 백 세정 스테이션
130 : 피스톤식 도료 카트리지
132 : 카트리지의 피스톤
134 : 카트리지의 작동액실
136 : 카트리지의 도료 수용실1: arm of the painting robot
2: electrostatic sprayer
4: bell cup
6: sprayer body
10: paint cartridge
12: Paint bag (paint storage room)
12a: bag body of paint bag
12b: top entrance of the paint bag
12c: lower part entrance part of the paint bag
14: airtight space (working fluid chamber) of the paint cartridge
20: first internal passage (paint passage) of the paint cartridge
22: second internal passag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of the paint cartridge
24: third internal passage (washing liquid supply passage) of the paint cartridge
26: fourth internal passage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of the paint cartridge
88: back washing station
130: piston type paint cartridge
132: Piston of the Cartridge
134: working liquid chamber of the cartridge
136: paint chamber of the cartridge
Claims (10)
상기 작동액실에 작동액을 공급하는 작동액 공급 통로와,
상기 작동액실로부터 작동액을 배출하기 위한 또한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로부터 독립된 작동액 배출 통로와,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1 개폐 밸브와,
상기 작동액 배출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2 개폐 밸브를 갖는, 도료 카트리지.It has a paint containing chamber which can fill paint, and a working liquid chamber which accommodates a working liquid,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and expanding the volume of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Is a paint cartridge which can be rinsed by supplying the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then expand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to discharge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coating chamber. ,
A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A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working liquid from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also independent from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A paint cartridge having a second open / close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discharge passage.
상기 작동액 배출 통로가 상기 작동액실의 상단부에 연통되어 있는, 도료 카트리지.The method of claim 1,
The paint cartridge, wherein the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communicates with an upper end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상기 도료 카트리지가 밀폐 공간을 갖고, 상기 밀폐 공간을 상기 도료 수용실과 상기 작동액실로 구획하는 가동벽을 갖는, 도료 카트리지.The method of claim 2,
The paint cartridge has a sealed space, and has a movable wall for partitioning the sealed space into the paint containing chamber and the working liquid chamber.
상기 가동벽이, 상기 밀폐 공간에 수용되고 또한 상기 도료 수용실을 형성하는 도료 백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료 카트리지.The method of claim 3,
The paint cartridge, wherein the movable wall is constituted by a paint bag that is accommodated in the sealed space and forms the paint containing chamber.
상기 가동벽이, 상기 작동액실을 형성하는 작동액 백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도료 카트리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int cartridge, wherein the movable wall is constituted by a working liquid bag that forms the working liquid chamber.
상기 제1 개폐 밸브가, 상기 도료 카트리지의 하단부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도료 카트리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aint cartridge, wherein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 lower end surface of the paint cartridge.
상기 제1 개폐 밸브가, 제1 고정 밸브 시트와, 상기 제1 고정 밸브 시트에 착좌 가능한 제1 가동 밸브체와, 상기 제1 가동 밸브체를 상기 고정 밸브 시트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도료 카트리지.The method of claim 6,
The said 1st open / close valve is comprised from the 1st fixed valve seat, the 1st movable valve body which can be seated on a said 1st fixed valve seat, and the spring which presses the said 1st movable valve body toward the said fixed valve seat. Paint cartridges.
상기 밀폐 공간에 작동액을 공급하는 작동액 공급 통로와,
상기 밀폐 공간의 상단부로부터 작동액을 배출하기 위한 또한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로부터 독립된 작동액 배출 통로와,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1 개폐 밸브와,
상기 작동액 배출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2 개폐 밸브를 갖고,
상기 제1 개폐 밸브가, 상기 도료 카트리지의 하단부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1 개폐 밸브가, 상기 도료 카트리지의 제1 고정 밸브 시트와, 상기 제1 고정 밸브 시트에 착좌 가능한 제1 가동 밸브체와, 상기 제1 가동 밸브체를 상기 제1 고정 밸브 시트에 착좌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카트리지.It has a paint containing chamber which can fill paint, and a working liquid chamber which accommodates a working liquid,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and expanding the volume of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Is a paint cartridge which can be rinsed by supplying the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then expand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to discharge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coating chamber. ,
A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a working liquid to the sealed space;
A working liquid discharge passage for discharging the working liqui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aled space and also independent of the working liquid supply passage;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It ha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discharge passage,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aint cartridge, and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s configured to seat the first fixed valve seat of the paint cartridge and the first fixed valve seat. A paint cartridge, comprising: a first movable valve body and a spring for pressing the first movable valve body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movable valve seat is seated on the first fixed valve seat.
상기 작동액 백이 상단부 개구와 하단부 개구를 갖고,
상기 도료 카트리지가,
상기 작동액 백의 하단부 개구에 연통하는 작동액 공급 통로와,
상기 작동액 백의 상단부 개구에 연통하는 작동액 배출 통로와,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1 개폐 밸브와,
상기 작동액 배출 통로에 개재 장착된 제2 개폐 밸브를 갖고,
상기 제1 개폐 밸브가, 상기 도료 카트리지의 제1 고정 밸브 시트와, 상기 제1 고정 밸브 시트에 착좌 가능한 제1 가동 밸브체와, 상기 제1 가동 밸브체를 상기 제1 고정 밸브 시트에 착좌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카트리지.It has a paint containing chamber which can fill paint, and a working liquid chamber which accommodates a working liquid,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and expanding the volume of the said paint receiving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Is a paint cartridge which can be rinsed by supplying the working liquid to the working liquid chamber and then expanding the volume of the working liquid chamb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working chamber to discharge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coating chamber. ,
The working fluid bag has a top opening and a bottom opening,
The paint cartridge,
A hydraulic fluid supply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of the lower end of the hydraulic fluid bag;
A hydraulic fluid discharge passage communicating with an upper end opening of the hydraulic fluid bag;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It ha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lve interposed in the working fluid discharge passage,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seats the first fixed valve seat of the paint cartridge, the first movable valve body which can be seated on the first fixed valve seat, and the first movable valve body on the first fixed valve seat. A paint cartridge, comprising: a spring pressurized in a direction.
상기 도장기 본체의 상단부면에 개방하고, 상기 도료 카트리지의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에 연통 가능한 도장기 본체 내의 작동액 공급 통로의 작동액 출구 부분에 설치된 푸시 로드이며, 상기 푸시 로드가 전진함으로써 상기 제1 개폐 밸브의 상기 제1 가동 밸브체를 밀어 올릴 수 있는 액추에이터가 구비된 푸시 로드와,
상기 도장기 본체 내의 작동액 공급 통로의 상기 작동액 출구 부분에 형성된 제2 고정 밸브 시트를 갖고,
상기 푸시 로드가, 그 일부분에, 상기 제2 고정 밸브 시트에 착좌하여 상기 도장기 본체 내의 상기 작동액 공급 통로를 개폐하는 도장기 본체 내 개폐 밸브를 구성하는 제2 밸브체 부분을 갖고,
상기 푸시 로드가 전진하여 상기 제1 가동 밸브체를 밀어 올렸을 때에, 상기 푸시 로드의 상기 제2 밸브체 부분이 상기 제2 고정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도장기 본체 내 개폐 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도장기.The paint cartridg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is an electrostatic sprayer having a detachable sprayer body,
A push rod which is opened at an upper end surface of the sprayer body and is provided at a hydraulic fluid outlet portion of the hydraulic fluid supply passage in the sprayer body which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ydraulic fluid supply passage of the paint cartridge; A push rod equipped with an actuator capable of pushing up the first movable valve body of the on-off valve;
Has a second fixed valve seat formed at said hydraulic fluid outlet portion of the hydraulic fluid supply passage in said sprayer body,
The push rod has a second valve body portion constituting an opening / closing valve in the sprayer body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orking fluid supply passage in the sprayer body by seating on the second fixed valve seat at a portion thereof;
And when the push rod moves forward to push up the first movable valve body, the second valve body portion of the push ro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ed valve seat to open and close the valve in the sprayer body. Electrostatic spray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218333A JP5596950B2 (en) | 2009-09-23 | 2009-09-23 | Paint cartridge for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and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including the same |
JPJP-P-2009-218333 | 2009-09-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2375A true KR20120072375A (en) | 2012-07-03 |
Family
ID=4379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10209A Withdrawn KR20120072375A (en) | 2009-09-23 | 2010-09-21 | Paint cartridge for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and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5596950B2 (en) |
KR (1) | KR20120072375A (en) |
CN (1) | CN102639248B (en) |
TW (1) | TW201130567A (en) |
WO (1) | WO2011037113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96951B2 (en) * | 2009-09-23 | 2014-09-24 |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 Paint cartridge and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
CN104379266B (en) * | 2012-12-26 | 2018-06-12 | 丰田自动车株式会社 | Taic coating device and electrostatic painting method |
DE102014001327A1 (en) * | 2014-02-04 | 2015-08-06 | Harald A. Sonnleitner | valve cartridge |
EP3283231B1 (en) * | 2015-04-15 | 2020-07-29 | Apson Lackiertechnik GmbH | Colour change system |
WO2017138531A1 (en) * | 2016-02-12 | 2017-08-17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Coating device |
TWI650180B (en) * | 2017-07-26 | 2019-02-11 |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 Liquid material extrusion device and liquid chamber seat clutching method and mechanism thereof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211036A (en) * | 2002-01-17 | 2003-07-29 | Asahi Sunac Corp | Painting equipment |
WO2003099455A1 (en) * | 2002-05-23 | 2003-12-04 | Abb K.K. | Cartridge for coating |
JP4220302B2 (en) * | 2002-05-23 | 2009-02-04 | Abb株式会社 | Coating cartridge |
EP1666157B1 (en) * | 2003-08-27 | 2012-10-17 |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and method of cleaning the same |
CN100408200C (en) * | 2003-09-12 | 2008-08-06 | 托利尼迪工业株式会社 | Coating machine |
JP4462880B2 (en) * | 2003-09-12 | 2010-05-12 |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 Coating machine |
US20080314313A1 (en) * | 2005-04-13 | 2008-12-25 | Ghaffar Kazkaz | Canister with a Resilient Flexible Chamber for Electrostatic Applicators |
WO2008065794A1 (en) * | 2006-11-30 | 2008-06-05 | Abb K.K. | Paint filling device for cartridge |
JP2008212869A (en) * | 2007-03-06 | 2008-09-18 | Trinity Ind Corp | Paint filling device |
JP4357552B2 (en) * | 2007-08-31 | 2009-11-04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Paint filling device |
JP5467798B2 (en) * | 2009-05-13 | 2014-04-09 |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 Paint cartridge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JP5596951B2 (en) * | 2009-09-23 | 2014-09-24 |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 Paint cartridge and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
JP5586110B2 (en) * | 2009-09-23 | 2014-09-10 | ランズバーグ・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 Cleaning method of paint cartridge and paint bag for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
-
2009
- 2009-09-23 JP JP2009218333A patent/JP559695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9-17 TW TW099131665A patent/TW201130567A/en unknown
- 2010-09-21 WO PCT/JP2010/066335 patent/WO201103711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9-21 KR KR1020127010209A patent/KR20120072375A/en not_active Withdrawn
- 2010-09-21 CN CN201080042981.6A patent/CN102639248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596950B2 (en) | 2014-09-24 |
JP2011067712A (en) | 2011-04-07 |
WO2011037113A1 (en) | 2011-03-31 |
CN102639248A (en) | 2012-08-15 |
CN102639248B (en) | 2015-04-22 |
TW201130567A (en) | 2011-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85784A (en) | Method of washing paint cartridge for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and paint bag | |
KR20120072376A (en) | Coating cartridge and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 |
KR20120072375A (en) | Paint cartridge for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and electrostatic co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
WO2011013680A1 (en) | Electrostatic coating device for conductive coating material | |
CN102861702B (en) | Coating material supply system and coating supply method | |
KR20130039755A (en) | Paint filling device for cartridge and paint filling method for cartridge | |
CN102574143B (en) | Method of supplying paint to a paint cartridge | |
US20180318856A1 (en) | Electrostatic coating device and electrostatic coating method | |
KR20120072374A (en) | Electrostatic coating machine employing removable paint cartridge | |
JP4220302B2 (en) | Coating cartridge | |
EP2274568B1 (en) | Cleaning fluid cartridge | |
JP5928797B2 (en) | Paint supply system and paint supply method | |
JP2006187732A (en) | Cartridge tank and coating machine | |
WO2003099455A1 (en) | Cartridge for coating | |
JP3689837B2 (en) | A set of paint and cleaning couplers | |
JP3823277B2 (en) | Small quantity paint feeding system | |
KR20200055641A (en) | Paint spray gu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4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