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260A -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 광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 광 모듈 및 그 구동 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0260A KR20120070260A KR1020100131744A KR20100131744A KR20120070260A KR 20120070260 A KR20120070260 A KR 20120070260A KR 1020100131744 A KR1020100131744 A KR 1020100131744A KR 20100131744 A KR20100131744 A KR 20100131744A KR 20120070260 A KR20120070260 A KR 201200702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ed light
- light
- seed
- light source
- source genera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1218 seg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1 Er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YAHIZSMUZPPFV-UHFFFAOYSA-N erbium Chemical compound [Er] UYAHIZSMUZPPF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95 spect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70 vert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78—WDM optical network architectures
- H04J14/0282—WDM tree architectur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6—Multiwavelength transmi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은 광원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씨앗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및 반사된 씨앗광의 세기를 감쇠시키고, 감쇠된 씨앗광을 광원 생성부로 출력하는 광 감쇠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장 분할 다중화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PASSIVE OPTICAL NETWORK; PON)용 씨앗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중앙 기지국 혹은 가입자단 단말기의 광원으로 사용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가입자망은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가 파장 의존성을 갖지 않는 광원이므로 시스템 차원에서 광송수신 모듈의 재고 보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 같은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는 상하향 전송을 위해 파장 선택을 위한 별도의 씨앗광이 반드시 필요하다.
씨앗광을 구현하기 위해서, 고출력을 갖는 어븀 도핑된 광섬유 증폭기 혹은 고출력 반도체 광 증폭기 등에서 발생되는 광대역의 비간섭성 광을 파장 분할 다중화 전송 규격에 맞도록 광학적으로 협대역폭을 갖는 CW(Continuous Wave) 광원으로 만들어 주기 위해 분광학적으로 분할하여(spectrum slicing) 사용하는 방법과, DFB-LD와 같은 단일 종모드 발진 광원을 어레이 형태로 묶어서 사용하는 방법 등이 고안되어 적용되어왔다.
광대역의 비간섭성 광을 필터 등을 사용해 분광학적으로 분할하여 씨앗 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씨앗광 자체도 파장 무의존성을 가지며, 수동형 광가입자망의 구축시 필수적인 단일 광섬유 양방향 전송에 따른 역반사 잡음에 의한 광파워 페널티등이 작다는 장점이 있으나, 분광학적 분할로 인한 상대 강도 잡음의 증가, 분광학적 분할을 위해 사용된 필터 대역폭에 따른 씨앗광 파워의 감소, 그리고 비교적 넓은 광학적 대역폭으로 인한 분산 페널티등으로 인해 장거리 전송에는 부적합하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반면에 단일 종모드 발진 광원을 씨앗광으로 이용하는 경우는, 씨앗광을 구성하는 각각의 파장에 해당하는 개별 광원을 반드시 구비해야만 하는 재고 보유 문제 및 단일 광섬유 양방향 전송시 역반사에 의한 잡음으로 인해 광파워 페널티가 크다는 문제점 등이 있으나, 좁은 선폭으로 인해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고 상대 강도 잡음 특성이 우수하며, 개별 광원에서 출력되는 광파워를 적은 손실만을 겪으면서 상하향 신호 발생을 위한 광송신기로 입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들어 장거리 전송에 적합한 파장 분할 다중화 수동형 광가입자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반사기를 이용하여 씨앗 광 출력의 일부를 반사시키고, 반사된 씨앗 광을 광원 생성부로 재입력함으로써,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반사에 의한 파워 페널티를 경감시킬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은 광원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씨앗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및 반사된 씨앗광의 세기를 감쇠시키고, 감쇠된 씨앗광을 광원 생성부로 출력하는 광 감쇠기를 포함한다.
광 감쇠기는 광원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씨앗 광의 세기를 감쇠시키고, 감쇠된 씨앗광을 반사기로 출력할 수 있다.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은 광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하고, 제어된 씨앗광을 반사기로 출력하는 편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은 광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씨앗 광 및 광 감쇠기에서 생성된 감쇠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을 일치시킨 후, 감쇠된 씨앗 광을 광원 생성부로 송신하는 편광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은 광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씨앗 광을 다중화하거나 광 감쇠기로부터 수신된 씨앗 광을 역다중화하는 다중화/역다중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은 광원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씨앗 광을 광회선단말기(Optical line termination; OLT) 및 광 감쇠기로 분기시키거나, 수신된 씨앗광을 광원 생성부로 송신하는 광 결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생성부는 단일 종모드 발진 광을 출력하는 레이져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은 광원 생성부에 의해 씨앗광이 생성되는 단계와, 반사기에 의해 생성된 씨앗 광이 반사되는 단계와, 광 감쇠기에 의해 반사된 씨앗 광의 세기가 감쇠되는 단계 및 광 감쇠기에 의해 감쇠된 씨앗 광이 광원 생성부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은 광 감쇠기에 의해 생성된 씨앗광이 감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은 편광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이 일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은 편광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씨앗 광 및 감쇠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이 일치되는 단계 및 편광 제어부에 의해 일치된 씨앗 광이 광원 생성부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은 다중화/역다중화부에 의해 생성된 씨앗 광이 다중화되는 단계 및 다중화/역다중화부에 의해 감쇠된 씨앗 광이 역다중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은 광 결합기에 의해 생성된 씨앗 광이 분기되어 광회선단말기(Optical line termination; OLT) 및 광 감쇠기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 따르면, 씨앗 광의 편광을 제어하고, 반사되는 광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간섭성을 붕괴시켜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에 의한 파워 페널티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다중화/역다중화부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파장을 갖는 씨앗 광을 생성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 가입자망(PON)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앗 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앗 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앗 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앗 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분할 다중화(WDM) 기반 수동형 광 가입자망(PON)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수동형 광 가입자망(PON) 시스템은 씨앗 광모듈(100), 광회선 단말(Optical Line Termination; OLT)(110) 및 광 종단 단말(Optical Network Terminal;ONU)(120)을 포함할 수 있다.
씨앗 광(SEED LIGHT; SL) 모듈(100)은 씨앗 광을 생성할 수 있다. 씨앗 광 모듈(100)은 생성된 씨앗 광을 광회선 단말(110)로 출력할 수 있다.
광회선 단말(OLT)(110)은 씨앗 광을 변환하여 광 망 종단 장치(ONU:Optical Network Unit)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광회선단말기(OLT)(110)는 광 가입자 망의 일부로서 서비스 제공 망 측의 광 종단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회선단말기(OLT)(110)는 광 가입자 망을 다른 시스템과 연결하는 멀티서비스 장치로서 SIPP 장치, 케이블 TV 장치, 전송 장치 및 망 관리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광회선단말기(OLT)(110)는 사용자와 서비스 노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광 종단 단말(Optical Network Terminal;ONU)(120)은 가입자망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측에 설치되는 종단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광망 종단장치(ONU)(120)는 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N-ISDN)의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B-ISDN)의 사용자-망 인터페이스 등 통신용 인터페이스나 영상 신호 인터페이스 등을 이용하여 광섬유망에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앗 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씨앗광 모듈은 광원 생성부(210), 편광 제어부(220), 광 결합기(230), 광 감쇠기(240) 및 반사기(250)를 포함한다.
광원 생성부(210)는 씨앗 광(SL)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생성부(210)는 서로 다른 파장의 연속 광파(Continuous Wave)를 발생시킬 수 있다.
광원 생성부(210)는 단일 종모드 발진 광원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 생성부(210)는 전송 시스템의 채널 용량에 적합하도록 각 개별 광원의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별 광원으로는 DFB-LD(Distributed-Feedback Laser Diode), ECL 혹은 DBR-LD와 같이 전류 주입에 따라 단일 종모드 발진이 가능한 레이저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개별 광원은 기능적으로 장거리 전송에 적합한 매우 좁은 선폭의 빛을 다수 개 제공하는 것이다.
편광 제어부(220)는 광원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편광 제어부(220)는 편광 제어된 씨앗광을 광결합기(230)로 제공할 수 있다.
편광 제어부(220)는 광원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제 1 씨앗 광 및 광 결합기(230)를 통해 반사되어 돌아온 제 2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그 다음, 편광 제어부(220)는 편광 방향이 변경된 제 2 씨앗 광을 광원 생성부(210)로 제공할 수 있다. 편광 제어부(220)로부터 입력된 제 2 씨앗 광에 의해서 간섭이 발생하므로, 광원 생성부(210)에서 생성되는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이 넓어지게 된다.
광 결합기(230)는 광원 생성부(210)에서 생성된 씨앗 광을 광 감쇠기(240) 및 광회선단말기(OLT)(260)로 분기시킬 수 있다.
광 결합기(230)는 반사기(250)에서 반사된 씨앗광을 광 감쇠기(240)를 통해 입력받고, 반사된 씨앗광을 편광 제어부(220)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편광 제어부(220)가 없는 경우, 광 결합기(230)는 반사기(250)에서 반사된 씨앗광을 광 감쇠기(240)를 통해 입력받고, 반사된 씨앗광을 광원 생성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광 감쇠기(240)는 광 결합기(230)로부터 반사기(250) 방향으로 출력된 씨앗 광의 세기를 감쇠시킬 수 있다. 광 감쇠기(240)는 반사기(250)로 입사되는 씨앗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광 감쇠기(240)는 반사기(250)로부터 반사된 씨앗광의 세기를 감쇠시킬 수 있다. 광 감쇠기(240)는 광결합기(230)를 통해 편광 제어부(220)에 입사되는 씨앗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반사기(250)기로 입사되는 씨앗광 또는 반사기(250)로부터 반사된 씨앗광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광 감쇠기(240)는 광원 생성부(210)로 재주입되는 씨앗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반사기(250)는 입력되는 씨앗광 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기(250)는 광 결합기(230)로부터 출력된 씨앗 광을 반사시켜 광 결합기(230)로 다시 입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기(250)는 광 섬유 패치 코드의 페룰 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반사기(250)는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금속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씨앗 광 모듈은 씨앗 광을 편광 제어부를 이용하여 편광 제어 및 광 감쇠기를 이용하여 광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생성되는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에서 장거리 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역반사 잡음에 의한 광 파워 페널티 등을 줄일 수 있다.
씨앗 광 모듈은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을 넓히기 위해 별도의 씨앗 광 생성부를 별도로 추가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씨앗 광 모듈은 기존에 사용되는 씨앗 광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씨앗 광을 궤환하여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을 넓힐 수 있다. 따라서,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을 넓히기 위해 별도의 씨앗 광 생성부를 추가할 필요가 없으므로, 씨앗광 모듈의 구조는 간단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씨앗 광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씨앗광 모듈은 광원 생성부(310), 편광 제어부(320), 다중화/역다중화부(325), 광 결합기(330), 광 감쇠기(340) 및 반사기(350)를 포함한다.
광원 생성부(310)는 씨앗 광(SL)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 생성부(210)는 서로 다른 파장의 연속 광파(Continuous Wave)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수의 씨앗 광을 생성하는 경우, 광원 생성부(310)는 다수의 레이져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다수의 레이져 다이오드로부터 다수의 씨앗 광을 생성할 수 있다. 다수의 씨앗 광의 파장은 각각 다를 수 있다.
편광 제어부(320)는 광원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편광 제어부(320)는 편광 방향이 제어된 씨앗광을 다중화/역다중화부(325)로 제공할 수 있다.
편광 제어부(320)는 광원 생성부(310)에서 생성된 씨앗 광 및 다중화/역다중화부(325)를 통해 반사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 편광 제어부(320)는 일치된 씨앗 광을 광원 생성부(310)로 출력할 수 있다. 편광 제어부(320)로부터 입력된 씨앗 광에 의해서 간섭이 발생하므로, 광원 생성부(310)에서 생성되는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이 넓어질 수 있다.
다중화/역다중화부(325)는 편광 제어부(320)를 통해 출력된 씨앗 광을 파장 분할 다중화할 수 있다. 다중화/역다중화부(325)는 다중화된 씨앗 광을 광 결합기(330)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편광 제어부(320)가 없는 경우, 다중화/역다중화부(325)는 광원 생성부(310)로부터 직접 입력된 씨앗 광을 파장 분할 다중화할 수 있다.
다중화/역다중화부(325)는 광 결합기(330)로부터 출력된 씨앗 광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다중화/역다중화부(325)는 역다중화된 씨앗 광을 편광 제어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만약, 편광 제어부(320)가 없는 경우, 다중화/역다중화부(325)는 역다중화된 씨앗 광을 광원 생성부(310)로 직접 출력할 수 있다.
광 결합기(330)는 광원 생성부(210)로부터 출력된 씨앗 광을 광 감쇠기(340) 및 광회선단말기(OLT)(360)로 분기시킬 수 있다.
광 결합기(330)는 광 감쇠기(340)로부터 입력된 씨앗광을 다중화/역다중화부(325)로 출력할 수 있다.
광 감쇠기(340)는 광 결합기(330)로부터 출력된 씨앗 광의 세기를 감쇠시킬 수 있다. 광 감쇠기(340)는 감쇠된 씨앗 광을 반사기(350)로 입사시킬 수 있다. 광 감쇠기(340)는 반사기(350)로 입사되는 씨앗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광 감쇠기(340)는 반사기(350)에 의해 반사된 씨앗 광의 세기를 감쇠시킬 수 있다. 광 감쇠기(340)는 감쇠된 씨앗광을 광 결합기(330)로 입사시킬 수 있다. 광 감쇠기(340)는 광결합기(330)를 통해 편광 제어부(320)에 입사되는 씨앗 광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광 감쇠기(340)는 광 결합기(330)로부터 입력된 씨앗 광의 세기 및/또는 반사기(350)로부터 입력된 씨앗 광의 세기를 감쇠시킬 수 있다.
반사기(350)는 입력되는 씨앗광 신호를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기(350)는 광 감쇠기(240)로부터 출력된 씨앗 광을 반사시켜 광 결합기(330)로 입사시킬 수 있다.
씨앗 광 모듈은 복수의 채널인 경우에도 씨앗 광을 편광 제어 및 광 궤환함으로써, 생성되는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거리 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역반사 잡음에 의한 광 파워 페널티 등을 줄일 수 있다.
씨앗 광 모듈은 다중화/역다중화부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파장을 갖는 씨앗 광을 생성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광원 생성부가 씨앗 광을 생성할 수 있다. 편광 제어부는 생성된 씨앗 광의 출력 편광 방향을 제어한다(400). 광 결합기는 편광 제어부에 의해 편광 제어된 씨앗 광을 분기할 수 있다(410). 분기된 씨앗 광은 광회선단말기(Optical line termination; OLT) 및 광 감쇠기로 출력될 수 있다. 광 감쇠기는 분기된 씨앗광을 감쇠할 수 있다(420). 반사기는 광 감쇠기를 통해 출력된 씨앗 광을 반사할 수 있다(430). 광 감쇠기는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씨앗 광의 세기를 감쇠시킬 수 있다(440). 감쇠된 씨앗 광은 광 결합기를 통해 편광 제어부로 출력될 수 있다. 즉, 반사기에 의해 반사된 씨앗 광을 편광 제어부로 다시 입력할 수 있다. 편광 제어부는 광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씨앗 광 및 광 결합기를 통해 입력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을 일치시킬 수 있다(450). 편광 제어부는 일치된 씨앗광을 광원 생성부로 출력할 수 있다(460). 편광 제어부로부터 입력된 씨앗 광에 의해서 간섭이 발생하므로, 광원 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씨앗 광의 광학적 대역폭이 넓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광원 생성부에서 다수의 씨앗 광을 생성하는 경우, 다중화/역다중화부는 광원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씨앗 광을 다중화할 수 있다. 또한, 다중화/역다중화부는 광 감쇄기에 의해 감쇠된 씨앗 광을 역다중화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Claims (13)
- 광원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씨앗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및
상기 반사된 씨앗광의 세기를 감쇠시키고, 상기 감쇠된 씨앗광을 상기 광원 생성부로 출력하는 광 감쇠기를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쇠기는,
상기 광원 생성부로부터 입력된 씨앗 광의 세기를 감쇠시키고, 감쇠된 씨앗광을 상기 반사기로 출력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된 씨앗광을 상기 반사기로 출력하는 편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씨앗 광 및 상기 광 감쇠기에서 생성된 상기 감쇠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을 일치시킨 후, 상기 감쇠된 씨앗 광을 상기 광원 생성부로 송신하는 편광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생성부에서 생성된 씨앗 광을 다중화하거나 상기 광 감쇠기로부터 수신된 씨앗 광을 역다중화하는 다중화/역다중화부를 더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씨앗 광을 광회선단말기(Optical line termination; OLT) 및 광 감쇠기로 분기시키거나, 수신된 씨앗광을 상기 광원 생성부로 송신하는 광 결합기를 더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생성부는
단일 종모드 발진 광을 출력하는 레이져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
- 광원 생성부에 의해 씨앗광이 생성되는 단계;
반사기에 의해 상기 생성된 씨앗 광이 반사되는 단계;
광 감쇠기에 의해 상기 반사된 씨앗 광의 세기가 감쇠되는 단계; 및
상기 광 감쇠기에 의해 상기 감쇠된 씨앗 광이 상기 광원 생성부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쇠기에 의해 상기 생성된 씨앗광이 감쇠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편광 제어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이 일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편광 제어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씨앗 광 및 상기 감쇠된 씨앗 광의 편광 방향이 일치되는 단계; 및
편광 제어부에 의해 일치된 씨앗 광이 상기 광원 생성부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다중화/역다중화부에 의해 상기 생성된 씨앗 광이 다중화되는 단계; 및
다중화/역다중화부에 의해 상기 감쇠된 씨앗 광이 역다중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광 결합기에 의해 상기 생성된 씨앗 광이 분기되어 광회선단말기(Optical line termination; OLT) 및 상기 광 감쇠기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광 모듈의 구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1744A KR20120070260A (ko) | 2010-12-21 | 2010-12-21 |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 광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
US13/333,119 US20120155876A1 (en) | 2010-12-21 | 2011-12-21 | Seed light module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assive optical network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1744A KR20120070260A (ko) | 2010-12-21 | 2010-12-21 |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 광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0260A true KR20120070260A (ko) | 2012-06-29 |
Family
ID=4623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1744A KR20120070260A (ko) | 2010-12-21 | 2010-12-21 |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 광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55876A1 (ko) |
KR (1) | KR20120070260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00855A1 (fr) * | 2013-01-10 | 2014-07-11 | France Telecom | Procede et dispositif reflechissant pour realiser la fonction receptrice d'un reseau d'acces optique utilisant un multiplexage en longueur d'onde |
Family Cites Families (3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941738A (en) * | 1988-07-29 | 1990-07-17 | American Telephone And Telegraph Company | Polarization independent optical amplifier apparatus |
US6091743A (en) * | 1998-02-20 | 2000-07-18 | Afc Technologies Inc. | Bandwidth broadened and power enhanced low coherence fiberoptic light source |
JP3457548B2 (ja) * | 1998-09-25 | 2003-10-20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偏波無依存リフレクトメトリー及び偏波無依存リフレクトメータ |
US6867910B2 (en) * | 2001-04-24 | 2005-03-15 | Kyocera Corporation | Wideband ASE light source |
KR100539927B1 (ko) * | 2003-08-12 | 2005-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양방향 파장 분할 다중 시스템 |
KR100605858B1 (ko) * | 2003-10-01 | 2006-07-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파장 주입 광원을 이용한 파장분할다중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
KR100584413B1 (ko) * | 2003-10-13 | 2006-05-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도체 광증폭기를 이용한 광대역 광원 |
US7555220B2 (en) * | 2003-10-22 | 2009-06-30 | Infinera Corporation | Chromatic dispersion compensator (CDC) in a photonic integrated circuit (PIC) chip and method of operation |
KR100539906B1 (ko) * | 2003-11-18 | 2005-12-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광원 |
KR100575966B1 (ko) * | 2003-12-18 | 2006-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광대역 광원 |
KR100605925B1 (ko) * | 2004-01-27 | 2006-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파장분할다중 방식의 수동형 광 가입자망 |
KR100606028B1 (ko) * | 2004-07-07 | 2006-07-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파장분할 다중방식 광통신용 광원 및 광통신 시스템 |
KR100678128B1 (ko) * | 2004-08-20 | 2007-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동형 광 가입자 망 |
KR100678245B1 (ko) * | 2004-12-01 | 2007-02-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수동형 광 가입자 망 |
EP1829171A4 (en) * | 2004-12-22 | 2008-04-30 | Korea Advanced Inst Sci & Tech | BROADBAND LIGHT SOURCE WITH FABRY PEROT LASER DIODES |
KR100785436B1 (ko) * | 2005-09-20 | 2007-12-13 | 한국과학기술원 | 방송 서비스와 통신 서비스를 융합한 파장분할 다중방식수동형 광 가입자망 |
KR100819034B1 (ko) * | 2006-05-11 | 2008-04-0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반사형 반도체 광증폭기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 |
US7576908B2 (en) * | 2006-07-06 | 2009-08-18 | Panasonic Corporation | Fiber device, wavelength convert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US7991291B2 (en) * | 2007-02-08 | 2011-08-02 | Finisar Corporation | WDM PON based on DML |
KR100906399B1 (ko) * | 2007-10-17 | 2009-07-07 | 주식회사 럭스퍼트 | Wdm-pon 광 송신기의 구동 전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KR100921797B1 (ko) * | 2007-12-18 | 2009-10-1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의 수동형 광가입자망 시스템 |
TWI368809B (en) * | 2008-07-08 | 2012-07-21 | Ind Tech Res Inst | Laser source based on fabry-perot laser diodes and seeding method using the same |
US20100046950A1 (en) * | 2008-08-21 | 2010-02-25 | Nortel Networks Limited | Seeding wdm pon system based on quantum dot multi-wavelength laser source |
US20100322624A1 (en) * | 2008-08-22 | 2010-12-23 | 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Bidirectional transmission network apparatus based on tunable rare-earth-doped fiber laser |
KR101190862B1 (ko) * | 2008-12-18 | 2012-10-1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단일 종모드 발진 광원 기반의 씨앗광 모듈 |
US8107167B2 (en) * | 2009-05-04 | 2012-01-31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Spatial-dispersion-free spectral combining of pulsed high peak power fiber laser beams |
US8417118B2 (en) * | 2009-08-14 | 2013-04-09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Colorless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tters |
US8543001B2 (en) * | 2009-10-21 | 2013-09-24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Cascaded injection locking of fabry-perot laser for wave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s |
KR101310455B1 (ko) * | 2009-12-08 | 2013-09-2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파장 분할 다중화 방식 수동형 광가입자망 |
US8606107B2 (en) * | 2010-12-03 | 2013-12-10 | Futurewei Technologies, Inc. | Colorless 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transmitters |
-
2010
- 2010-12-21 KR KR1020100131744A patent/KR2012007026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
- 2011-12-21 US US13/333,119 patent/US20120155876A1/en not_active Abandon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155876A1 (en) | 2012-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ani | Enabling technologies for future scalable and flexible WDM-PON and WDM/TDM-PON systems | |
US10009136B2 (en) | External cavity FP laser | |
EP3008844B1 (en) | Tunable laser with multiple in-line sections | |
US9341774B2 (en) | Optically matched laser array coupling assembly for coupling laser array to arrayed waveguide grating | |
EP2732514B1 (en) | Laser array mux assembly with external reflector for providing a selected wavelength or multiplexed wavelengths | |
EP2904726B1 (en) | Wdm system with externally modulated filtered laser array | |
US9432122B2 (en) | Optical networking unit (ONU) packaging | |
US10418782B2 (en) | Wavelength-selectable laser device providing spatially-selectable wavelenth(s) | |
US9002214B2 (en) | Wavelength-selectable laser device and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same | |
US9768585B2 (en) | Tunable laser including parallel lasing cavities with a common output | |
US8818208B2 (en) | Laser mux assembly for providing a selected wavelength | |
US8233808B2 (en) |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four-wave mixing | |
US20170040774A1 (en) | Extended cavity fabry-perot laser assembly capable of high speed optical modulation with narrow mode spacing and wdm optical system including same | |
El-Nahal et al. |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WDM-PON) technologies for future access networks. | |
JP5662568B2 (ja) | 光学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反射型半導体光増幅器 | |
KR20120070260A (ko) | 파장 분할 다중화 기반 수동형 광가입자망용 씨앗 광 모듈 및 그 구동 방법 | |
US20170195079A1 (en) | Optical transceiver assembly including thermal dual arrayed waveguide grating | |
KR101062395B1 (ko) | 광증폭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