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69887A - 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by body - Google Patents

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by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887A
KR20120069887A KR1020100131212A KR20100131212A KR20120069887A KR 20120069887 A KR20120069887 A KR 20120069887A KR 1020100131212 A KR1020100131212 A KR 1020100131212A KR 20100131212 A KR20100131212 A KR 20100131212A KR 20120069887 A KR20120069887 A KR 20120069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source
sound
listening
vib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승룡
Original Assignee
한승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룡 filed Critical 한승룡
Priority to KR102010013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887A/en
Publication of KR2012006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887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에 따른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는 음원 신호에 대한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상기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진동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학교 교구재용 출력장치를 사용해 출력함으로써, 청각 장애로 인해 음악을 청취할 수 없는 장애 학생들에게도 음악을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해 받아들이게 하여 음악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An apparatus capable of listening to sound through a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dio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udio signal for reproduction of a sound source signal, a vibration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signal, and the audio signal, And 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of the vibration signal and the video signal, and outputting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using an output device for school teaching aids, thereby listening to music due to hearing impairment.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do not have music can receive music through various sensory organs, allowing them to experience music indirectly.

Figure P1020100131212
Figure P1020100131212

Description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 수 있는 장치{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by body}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by body}

본원발명은 음향을 몸을 통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으로, 소리를 들을 수 없어 음악을 이해하기 어려운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소리를 대체하는 신호를 통해 음악을 간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vention that enables the sound to be recognized through the body, and relates to an invention that allows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ho are unable to hear the music to experience the music indirectly through a signal that replaces the sound for the hearing impaired students. will be.

청각장애인에게 음악이란 존재는 접하기 힘든 영역으로 인식된다. 정확한 소리를 듣지 못함으로 인해 음악을 이해하거나 공감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인류 문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문화의 절반을 차지하는 음악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없다는 것은 청각장애 이상의 아픔을 주는 제2의 장애에 해당한다. 또한, 학교 교육에서 음악 수업의 진행시에 청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음악을 체험할 수 없기 때문에 음악 교육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For the hearing impaired, music is perceived as an area that is difficult to encounter. The reality is that you cannot understand or empathize with music because you do not hear the correct sound. The inability to understand music,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human civilization and occupies half of culture, is a second disorder that causes more than hearing impairment.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in understanding music education because the hearing impaired cannot experience music during the progress of music lessons in school educ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청각 장애로 인해 음악을 청취할 수 없는 장애인들에게 몸을 통해 음악을 간접적으로 인식 및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향 청취 제공을 위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vention for providing audible listening for the hearing impaired to enable the indirect recognition and experience of music through the body to people with disabilities who can not listen to music due to hearing impairment.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는, 음원 신호에 대한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상기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진동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학교 교구재용 출력장치를 사용해 출력한다. 상기 진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음원 신호의 음 높이, 속도 및 세기에 따라 각각 다른 진동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음원 신호를 수집하는 음원 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capable of listening to sound through th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o signal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reproduction audio signal for the sound source signal, the vibration signal for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signal And 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from among the generator and the audio signal and the vibration signal, and outputs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using an output device for school teaching materials. The vibration signal generator generates different vibra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pitch, speed, and intensity of the sound source signal.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ound source signal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sound source signal.

본원발명은 음악을 청취할 수 없는 청각 장애인들에게도 음악을 몸을 통해 받아들이게 하여 음악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청각 장애인에게도 음악을 간접적으로 이해할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교육 기회를 동일하게 보장하고, 음악과의 괴리감을 극복할 수 있고, IT 기술을 이용해 보다 적극적으로 장애인들에게 음악을 배우고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 및 교육환경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hearing impaired, who cannot listen to music, to accept the music through the body so that the music can be indirectly experienced. It also provides the hearing impaired with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music indirectly, ensur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overcoming gaps with music, and using IT technology to more actively learn and understand music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xpand opportunities and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 listening through various sensory org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 listening through various sensory org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 listening through various sensory org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음원 기기(1000)는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 등의 건반 악기나 바이올린, 첼로 등의 현악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소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악기를 포함한다. 음원 기기(1000) 내에는 음원 신호 수집부(1002),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 진동 신호 생성부(1006),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 및 신호 전송부(1010)를 구비한다.The sound source device 1000 includes a keyboard instrument such as a piano, a digital piano, or a string instrument such as a violin or a cello, and includes all kinds of analog and digital instruments capable of producing sound. The sound source device 1000 includes a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1002, an audio signal generator 1004, a vibration signal generator 1006, a video signal generator 1008, and a signal transmitter 1010.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음원 신호를 수집하고, 수집된 음원 신호를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 진동 신호 생성부(1006),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로 각각 출력한다.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음원 신호로서 디지털 음원 신호를 수집한다. 예를 들어,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디지털 피아노 등의 음원 기기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음원 신호를 직접 수집할 수 있고, 또한 외부로부터 디지털 음원 신호를 연결 잭 등의 연결 수단을 통해 수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음원 신호는 음원 수집에 따른 음질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음원의 활용에 유용하다.The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1002 collects the sound source signals and outputs the collected sound source signals to the audio signal generator 1004, the vibration signal generator 1006, and the video signal generator 1008, respectively. The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1002 collects a digital sound source signal as a sound source signal. For example, the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1002 may directly collect a digital sound source signal provided from a sound source device such as a digital piano, and may also collect a digital sound source signal from the outside through a connection means such as a connection jack. . Such a digital sound source signal can minimize the sound quality damage due to the sound source collection, it is useful for the use of the sound source.

한편,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음원 신호로서 아날로그 음원 신호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음원 기기(1000)가 디지털 기기가 아닌 아날로그 악기인 경우에 이 아날로그 악기에서 생성되는 음원 신호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음원 신호 수집부(1002)는 아날로그 음원 신호의 수집을 위해 음원 수집용 마이크를 구비한다. 아날로그 음원 신호의 수집을 위해 고성능의 음원 수집용 마이크를 사용함으로써, 음원 수집시에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ound source signal collection unit 1002 may collect an analog sound source signal as a sound source signal. When the sound source device 1000 is an analog instrument rather than a digital device, the sound source signal generated by the analog instrument is collected. To this end, the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1002 includes a microphone for collecting sound sources for collecting the analog sound signal. By using a high performance sound source microphone for the collection of the analog sound source sign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noise that may occur when collecting the sound source.

음원 신호 수집부(1002)로부터 음원 신호를 제공받으면,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는 음원 신호에 대한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신호를 신호 전송부(1010)로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는 음원 신호의 재생을 위해 음원을 가공하고, 가공된 음원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는 피아노 소리에서 노이즈를 제거할 수도 있고, 특정의 박자 등을 피아노 소리에 추가할 수도 있고, 별도의 음향 신호를 추가할 수도 있다.When the sound sour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1002, the audio signal generator 1004 generates an audio signal for reproduction of the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s the generated audio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er 1010. The audio signal generator 1004 processes a sound source to reproduce the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s the processed sound source signal. For example, the audio signal generator 1004 may remove noise from the piano sound, add a specific beat to the piano sound, or add a separate sound signal.

음원 신호 수집부(1002)로부터 음원 신호를 제공받으면, 진동 신호 생성부(1006)는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진동 신호를 신호 전송부(1010)로 출력한다. 진동 신호 생성부(1006)는 음원 신호의 음 높이, 속도 및 세기에 따라 각각 다른 진동 신호를 생성한다. 진동 신호 생성부(1006)는 음원 신호를 분석하여 음원 신호의 음 높이, 속도 및 세기에 따라 약속된 진동 패턴에 해당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피아노 반주의 경우에 진동 신호 생성부(1006)는 각 피아노 건반에 해당하는 음에 대응하여 약속된 진동 패턴을 생성한다.When the sound sourc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1002, the vibration signal generator 1006 generates a vib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signal, and outputs the generated vibration signal to the signal transmitter 1010. The vibration signal generator 1006 generates different vibra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pitch, speed, and intensity of the sound source signal. The vibration signal generator 1006 analyzes the sound source signal and generates a vib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romised vibra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itch, speed, and intensity of the sound source sig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piano accompaniment, the vibration signal generator 1006 generates a promised vibration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sound corresponding to each piano keyboard.

신호 전송부(1010)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 진동 신호 생성부(1006),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로부터 각각 수신된 오디오 신호, 진동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오디오 신호 출력부(1100), 진동 신호 출력부(1200) 및 비디오 신호 출력부(1300)로 각각 전송한다. 이를 위해, 신호 전송부(1010)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각각의 신호를 전송한다. 신호 전송부(1010)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한다. The signal transmitter 1010 may output an audio signal, a vibration signal, and a video signal received from the audio signal generator 1004, the vibration signal generator 1006, and the video signal generator 1008, respectively. The vibration signal output unit 1200 and the video signal output unit 1300 are respectively transmitted. To this end, the signal transmitter 1010 transmits each signal through at least one of wired and wireless networks. The signal transmitter 1010 includes interface means for transmitting signals by wired and wireless networks.

신호 전송부(101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면, 오디오 신호 출력부(110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용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출력용 스피커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기기와 별개의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고, 영상 기기에 내장되어 있는 스피커일 수도 있다. 오디오 신호 자체는 청각 장애인이 감지할 수 있는 신호는 아니지만, 미약하게라도 음향을 감지할 수 있는 자에게는 유효한 오디오 정보에 해당할 것이다.When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010 is received, the audio signal output unit 1100 outputs the audio signal through an output speaker. The output speaker may be configured as a device separate from the video device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or may be a speaker built in the video device. The audio signal itself is not a signal that can be sensed by the hearing impaired, but it may correspond to audio information valid for a person who can sense sound in a weak way.

신호 전송부(1010)로부터 전송된 진동 신호를 수신하면, 진동 신호 출력부(1200)는 진동 신호를 청각 장애인이 인식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를 위해, 진동 신호 출력부는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진동 매체를 구비한다. 진동 매체는 밴드 타입, 의류 부착 타입, 악세서리 타입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밴드 타입의 진동 매체는 사용자의 머리, 목, 손목, 허벅지, 배, 가슴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밴드형의 형태를 갖는 진동 전달수단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의류 부착 타입의 진동 매체는 의류 외피 또는 내피에 진동 매체를 부착하여, 청각 장애인이 의류를 통해 전해지는 진동 신호에 의해 음원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람의 목이나 손목 등 기타 신체 부위에 착용할 수 있는 악세서리 형태의 진동 매체로 구현할 수도 있다.When the vibr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010 is received, the vibration signal output unit 1200 outputs the vibration signal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recognize it. To this end, the vibration signal output unit includes a vibration medium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The vibrating medium corresponds to any one or more of a band type, a clothes attachment type, and an accessory type. For example, the band-type vibration medium may exemplify a vibration transmission means having a band-shaped form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head, neck, wrist, thigh, belly, ches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vibration attachment medium of the clothing attachment type attaches the vibration medium to the clothing envelope or the endothelium,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person can recognize the sound source signal by the vibration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clothing. In addition, it can be implemented as an accessory-type vibration medium that can be worn on other parts of the body such as the neck or wrist of a person.

이상과 같이, 음원 신호를 청각 장애인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것의 보완책으로 음원 신호에 대한 원래의 오디오 신호 이외에, 진동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특정 음원 신호를 받아 몇 가지 패턴으로 분류하여 각 진동신호와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그것을 해당 매체로 신호를 송신하고, 해당 매체는 수신된 신호음에 따라 영상 기기를 통해 비주얼하게 표시함으로 음원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진동매체는 수신된 신호음에 따라 음향의 변화를 직접 진동을 통해 전달함으로 감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ake it easy for the hearing impaired person to recognize the sound source signal, a vibration signal and a video signal are provided in addition to the original audio signal for the sound source signal. It receives a specific sound source signal, classifies it into several patterns, converts it into each vibration signal and a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rresponding medium, and the medium visually displays the change in the sound source by visually displaying it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ound. The vibration medium transmits a change in sound according to the received signal sound through direct vibration so that it can be understood sensibly.

도 1은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음원 신호 수집부(1002), 오디오 신호 생성부(10040, 진동 신호 생성부(1006), 비디오 신호 생성부(1008) 및 신호 전송부(1010)를 음원 기기(1000) 내에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음원 기기(1000) 내에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구비함으로써, 음원 신호를 즉시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된 음원 신호로부터 각각의 오디오 신호, 진동 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신호 전송부(1010)를 통해 전송하여 최종적으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1 illustrates a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1002, an audio signal generator 10040, a vibration signal generator 1006, and a video signal generator 1008 corresponding to components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 listening through various sensory organs. And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010 integrally included in the sound source device 1000. The sound source signal can be immediately collected by providing each component of the device for providing sound listening in the sound source device 1000. In addition, each audio signal, a vibration signal, and a video signal are generated from the collected sound source signals, and the generated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1010 to be finally output.

이러한 본원 발명인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Such an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 listening through various sensory orga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for clarity,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2-음원신호 수집부 1004-오디오신호 생성부 106-진동신호 생성부1002-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1004-Audio Signal Generator 106-Vibration Signal Generator

Claims (13)

음원 신호에 대한 재생용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생성부;
상기 음원 신호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진동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진동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학교 교구재용 출력장치를 사용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An audio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n audio signal for reproduction of the sound source signal;
A vibration signal generator for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signal; And
It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t least one signal of the audio signal, the vibration signal,
Device for listening to the sound through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using the output device for school teaching materi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신호 생성부는
상기 음원 신호의 음 높이, 속도 및 세기에 따라 각각 다른 진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ibration signal generating unit
Apparatus for listening to sound through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different vibr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pitch, speed and intensity of the sound sourc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를 수집하는 음원 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ound source signal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sound sourc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를 수집하는 음원 신호 수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ound source signal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the sound source sig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수집부는
상기 음원 신호로서 디지털 음원 신호 및 아날로그 음원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And at least one of a digital sound source signal and an analog sound source signal as the sound source signa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신호 수집부는
상기 아날로그 음원 신호의 수집을 위해 음원 수집용 마이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ound source signal collector
Apparatus for listening to sound through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for collecting the analog sound source signal provided with a microphone for the sound source col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교 교구재용 출력장치는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신호 전송부를 통해 전송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put device for school teaching materials
An audio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tter; And
And a video sign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ideo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신호 출력부는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진동 매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vibration signal output unit
A device capable of listening to sound through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ibration medium which can be worn on the bod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매체는
밴드 타입, 의류 부착 타입, 악세서리 타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vibrating medium is
Device for listening to the sound through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band type, clothing attachment type, accessory ty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 출력부;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생성부에서 생성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udio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audio signal generated by the audio signal generator; And
And a video signal output unit configured to output the video signal generated by the video signal genera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오디오 신호, 상기 진동 신호 및 상기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 device capable of listening to sound through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audio signal, the vibration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rough any one or more of a wired and wireless networ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는
상기 음원 신호를 제공하는 음원 기기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evice provides sound listening through the various sensory organs.
Apparatus for listening to sound through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ted with the sound source device for providing the sound source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감각 기관을 통한 음향 청취를 제공하는 장치는
휴대용 통신 기기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몸을 통해 음향 청취를 할수있는 장치.
The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device provides sound listening through the various sensory organs.
A device capable of listening to sound through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ntegrated with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20100131212A 2010-12-21 2010-12-21 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by body Withdrawn KR201200698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212A KR20120069887A (en) 2010-12-21 2010-12-21 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by bod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212A KR20120069887A (en) 2010-12-21 2010-12-21 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by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887A true KR20120069887A (en) 2012-06-29

Family

ID=46687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212A Withdrawn KR20120069887A (en) 2010-12-21 2010-12-21 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by bod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88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4982A1 (en)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Electric toothbrush for outputting melody through vibr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4982A1 (en)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Electric toothbrush for outputting melody through vibra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6201B2 (en) Wearable sound
JP4940956B2 (en) Audio transmission system
US20150332659A1 (en) Sound vest
US12361917B2 (en) Enhanced system, method, and devices for capturing inaudible tones associated with content
Petry et al. MuSS-bits: sensor-display blocks for deaf people to explore musical sounds
US20170245070A1 (en) Vibration signal generation apparatus and vibration signal generation method
WO2018038235A1 (en) Auditory training device, auditory training method, and program
WO2015105091A1 (en) Musical-performance-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musical-performance-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US1213635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20131695A (en) 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for a hearing-impaired person
Coleman Comparison of microphone and neck-mounted accelerometer monitoring of the performing voice
KR20100056603A (en) Apparatus for providing sound hearing by various sensory organs
KR20210007748A (en) Musical instrument ensemble performance system based on digital program
KR10221240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udio signal and vibration signal based on audio signal
KR20120069887A (en) Apparatus capable of hearing sound by body
Sdraulig et al. Recent audio scores: Affordances and limitations
Ganis et al. Tickle Tuner-Haptic Smartphone Cover for Cochlear Implant Users’ Musical Training
Enns Physiology, Neurology, and Sound Technologies
CN102625210A (en) Earphone enabling people to hear own voice
CN113490982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nhanced music or speech or sound audio perception by tactile stimulation
CN206021703U (en) Acoustics comprehensive demonstration instrument
CN104537919B (en) A kind of modularity musical sound teaching system transmitted based on distributed wireless
Maté-Cid Vibrotactile perception of musical pitch
Cheng et al. Pedagogical approaches in music and audio education for deaf and hard-of-hearing students
CN117396830A (en) Haptic transmission system, haptic transmission device, haptic transmission program, and haptic transmiss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