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306A - Propulsion device using fluid flow - Google Patents
Propulsion device using fluid flo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9306A KR20120069306A KR1020100130803A KR20100130803A KR20120069306A KR 20120069306 A KR20120069306 A KR 20120069306A KR 1020100130803 A KR1020100130803 A KR 1020100130803A KR 20100130803 A KR20100130803 A KR 20100130803A KR 20120069306 A KR20120069306 A KR 201200693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fluid flow
- line
- flow
- curv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7/00—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 B62D37/02—Stabilising vehicle bodies without controlling suspension arrangements by aerodynamic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3/00—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23/06—Influencing air flow over aircraft surfa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generating vort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64C3/10—Shape of w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10—Drag redu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기구 상면에 발생하는 와류를 외측으로 신속하게 배출하여 추진기구가 장치된 제품의 추력을 더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유입선과 제1유출선 사이에 하부로 곡면진 유체저장면을 형성하여 유체저장면 상부에 유체저장공간을 조성한 유체저장부와; 외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유입선과 제2유출선 사이에 하부로 곡면진 유체흐름면을 형성하여 유체흐름면 상부에 유체흐름공간을 조성하고, 상기 제2유출선과 인접된 유체흐름면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평평하게 형성한 유체흐름부와; 이 유체흐름부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유체를 분리시킨 상태로 흐름을 유도하여 추력을 더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이드날개가 더 구비되는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pulsion mechanism using a fluid f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 flow to quickly discharge the vortex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pulsion mechanism to the outside to improve the thrust of the product equipped with the propulsion mechanism more efficiently It relates to a propulsion mechanism using.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uid storage unit to form a fluid storage space on the top of the fluid storage surface by forming a curved fluid storage surface downward between the first inlet line and the first outlet line; A fluid flow surface curved downward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inflow line and the second outflow line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to form a fluid flow space above the fluid flow surface, and the fluid flow surface adjacent to the second outflow line is directed outward. A fluid flow part gradually formed flat toward the head; It i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luid flow portion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guide blade for inducing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is separated to further improve the thru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추진기구 상면에 발생하는 와류를 외측으로 신속하게 배출하여 추진기구가 장치된 제품의 추력을 더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pulsion mechanism using a fluid flow,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uid flow to quickly discharge the vortex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pulsion mechanism to the outside to improve the thrust of the product equipped with the propulsion mechanism more efficiently It relates to a propulsion mechanism using.
베르누이 정리는 유체가 흐르는 속도와 압력, 높이의 관계를 수량적으로 나타낸 법칙으로, 점성과 압축성이 없는 이상적인 유체가 규칙적으로 흐르는 경우에 유체의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합이 일정하다는 데에서 유도된다.Bernoulli's theorem is a quantitative la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locity, pressure, and height of a fluid, derived from the constant sum of potential and kinetic energies of the fluid when the ideal fluid without viscous and compressibility flows regularly. .
이 법칙에 따르면, 유체의 속력이 증가하면 압력이 낮아지고, 반대로 유체의 속력이 감소하면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으로, 실생활 및 주변 환경에서 많은 부분에 적용되고 있고, 그 적용예 또한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law, as the speed of the fluid increases, the pressure decreases. On the contrary, when the speed of the fluid decreases, the pressure increases, and it is applied to many parts in the real lif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ve.
이와 같은 베르누이 법칙의 대표적인 적용예로써, 도 1과 같은 비행기의 날개를 들 수 있는데, 보통 비행기의 날개는 단면으로 보면 아랫면은 직선을 그리고 윗면은 위로 볼록한 곡선으로 형성된다.As a representative application of such Bernoulli law, the wing of the plane as shown in Figure 1 can be mentioned, usually the wing of the plane is formed in a curved line convex upper side and upper side convex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즉, 날개에서 바람을 받는 처음 지점과 유체가 다시 만나는 끝 지점에는 같은 유체가 흐르게 되는데, 동일 시간동안 같은 지점으로 똑같이 도달하기 위해서는 날개의 윗면에 위치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더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고, 이 때문에 아랫면의 공기에 비해 윗면의 공기의 흐름 속도가 증가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same fluid flows at the wing's first point where the wind meets and at the end point where the fluid meets again.In order to reach the same point for the same time, the air on the top of the wing has to travel relatively longer distances, For this reason, the flow rate of the air on the upper surface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air on the lower surface.
이러한, 속도차이로 인해 윗면의 압력이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아랫면의 압력이 윗면보다 높아지게 됨으로써, 아랫면에서 윗면으로 향하는 힘(양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이 힘으로 비행기가 이륙하게 되는 것이다.Due to this speed difference, the pressure on the upper surface is lowered, and the pressure on the lower surface is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so that a force (lift)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is generated and the plane takes off with this force.
그러나, 이와 같은 베르누이 법칙을 이용한 통상의 날개는 비행기를 이륙시키는 양력 발생 작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비행기를 제외한 자동차 및 선박과 같은 이동수단의 추력 배가 작용과는 거리가 먼 것이다.However, such a wing using Bernoulli's law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t-generating action of taking off the plane, and is far from the thrust doubled action of vehicles and vehicles except for the plane.
도 2는 캐비티 플로우(cavity flow)가 플로우 스테이션(flow station)에서 발생되는 와류를 도면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2 is a schematic depiction of vortices in which a cavity flow is generated at a flow station.
도 3a에 정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이 있을 때에 유체의 흐름이 그 자리에서 회전하면서 불완전한 상태로 와류를 발생시키는 상태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유체의 흐름방향을 측면에서 각도의 변화를 주는 경우에 유체의 흐름방향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안정되게 유도시키는 상태를 도면으로 나타낸 것이다.3A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ow of the fluid rotates in place and generates a vortex in an incomplete state when the flow of the fluid is in the forward direction in FIG. 3A, and FIG. Figur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to guide the user in a stable direction.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특허출원 2010-87061호로 추진기구 상면에 발생하는 와류를 외측으로 신속하게 배출하여 추진 능력을 갖도록 한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를 제안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0-87061 has proposed a propulsion mechanism using a fluid flow to discharge the vortex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pulsion mechanism to the outside quickly to have a propulsion capacity.
본 발명은 이러한 추진기구에 있어서 추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pulsion mechanism using a fluid flow to further improve the thrust in such a propulsion mechanis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유체가 유입되는 전방의 제1유입선과 유체가 유출되는 후방의 제1유출선 사이에 하부로 곡면진 유체저장면을 형성하여 유체저장면 상부에 유체저장공간을 조성하고, 상기 유체저장면 일측에 격벽을 형성한 유체저장부와;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y forming a curved fluid storage surface to the lower side between the first inlet line of the front inflow of the fluid and the first outflow line of the rear in which the fluid flows to the top of the fluid storage surface A fluid storage unit configured to form a fluid storage space in and forming a partition on one side of the fluid storage surface;
상기 제1유입선 단부에 연접된 제2유입선을 외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제1유출선 단부에 연접된 제2유출선을 외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입선과 제2유출선 사이에 하부로 곡면진 유체흐름면을 형성하여 유체흐름면 상부에 유체흐름공간을 조성하며, 상기 제2유입선과 제2유출선 사이의 길이를 외측을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출선과 인접된 유체흐름면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평평하게 형성한 유체흐름부와;A second inflow lin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inflow line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rearward, and a second outflow lin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inflow line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rearward, and the second inflow line and the second outflow line A curved fluid flow surface is formed between the lines to form a fluid flow space above the fluid flow surface, and the length between the second inflow line and the second outflow line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outside. 2, the fluid flow surface adjacent to the outflow line has a fluid flow portion that is gradually flattened toward the outside;
이 유체흐름부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유체를 분리시킨 상태로 흐름을 유도하여 추력을 더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이드날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luid flow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wing is further provided to further improve the thrust by inducing the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is separat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유체가 유입되는 전방의 제1유입선과 유체가 유출되는 후방의 제1유출선 사이에 하부로 곡면진 유체저장면을 형성하되 상기 유체저장면과 연접한 제1유출선의 일부를 상부로 곡면지게 형성하여 유체저장면 상부에 유체저장공간을 조성하고, 상기 제1유입선과 제1유출선의 단부를 서로 연접하게 형성한 유체저장부와; On the other hand,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forming a curved fluid storage surface to the bottom between the first inlet line in the fluid flow in and the first outflow line in the rear in which the fluid flows out of the first in contact with the fluid storage surface A fluid storage part which forms a part of the outflow line to be curved upward to form a fluid storage space on the fluid storage surface, and forms end portions of the first inflow line and the first outflow lin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제1유입선 단부에 연접된 곡선 형상의 제2유입선을 외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제1유출선 단부에 연접된 곡선 형상의 제2유출선을 외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입선을 후방을 향하여 휘어지게 형성하면서 제2유입선과 제2유출선 사이에 하부로 곡면진 유체흐름면을 형성하여 유체흐름면 상부에 유체흐름공간을 조성하며, 상기 제2유입선과 제2유출선 사이의 길이를 외측을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출선과 연접한 유체흐름면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평평하게 형성한 유체흐름부와;The second inflow line of the curved shap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inlet line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rearward, and the second outflow line of the curved shap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outflow line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rearward, 2 forming an inflow line bent backwards to form a fluid flow surface curved downward between the second inflow line and the second outflow line to form a fluid flow space above the fluid flow surface, the second inflow line and the second inflow line A length between the outlet lines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outside, and the fluid flow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outlet line is gradually flattened toward the outside;
이 유체흐름부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유체를 분리시킨 상태로 흐름을 유도하여 추력을 더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이드날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luid flow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wing is further provided to further improve the thrust by inducing the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is separated.
여기서, 상기 유체저장공간에 유입하고자 하는 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체저장면 좌우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한다.Here, as the flow rate to be introduced into the fluid storage space increases,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uid storage surface is longer.
그리고, 상기 유체흐름공간에서 흐르는 유체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할수록 유체흐름면 좌우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한다.Further,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uid flow surface is formed, the more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flowing in the fluid flow space is increased.
또한, 상기 제1,2유입선에 닿게 되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제2유입선에 연접한 유체흐름면의 곡면을 하부로 더 휘어지게 형성한다.In addition, as the velocity of the fluid reaching the first and second inlet lines increases, the curved surface of the fluid flow surface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line is further curved downward.
또, 상기 제1,2유입선에 닿게 되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유체흐름면의 후방 경사각을 후방을 향하여 더 경사지게 형성한다.In addition, as the velocity of the fluid reaching the first and second inlet lines increases, the rear inclination angle of the fluid flow surface is further inclined toward the rear side.
상기 가이드날개는 2개 이상 복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orm two or more guide wings.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유체저장공간 및 유체흐름공간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가 소용돌이 상태로 흘러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유체흐름공간이 유체흐름면의 끝부분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유체를 유체흐름면의 끝부분으로 빠르게 유출시킬 수 있으며, 유체흐름면의 형태가 끝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유체의 흐름 속도를 높여 추진기구가 형성된 이동수단의 추력 및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the fluid flowing into the fluid storage space and the fluid flow space flows in a vortex state to increase the pressure, the fluid flow space is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end of the fluid flow surface Consisting of the fluid can be quickly flowed to the end of the fluid flow surface, the structure of the fluid flow surface toward the end consists of a gradually formed structure, t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fluid means of moving means formed It is effective to improve the thrust and propulsion of the.
더욱이, 유체저장면과 유체흐름면의 좌우 길이의 변경을 통해 유체흐름면을 따라 유출되는 유체의 양과 유체의 흐름 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고, 특히 유체 유입속도에 따라 유체흐름면에 형성된 곡면의 휨 정도와 유체흐름면의 후방 경사도를 변경 형성하여 유체 유입량과 유체 흐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수단의 추력 향상에 한층 효과가 있는 것이다.Furthermore, by changing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luid storage surface and the fluid flow surfac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amount of fluid flowing out along the fluid flow surface and the flow rate of the fluid, in particular, the bending of the curved surface formed on the fluid flow surface according to the fluid inflow velocity By changing the degree and the rear inclination of the fluid flow surface can increase the fluid inflow amount and the fluid flow rate, there is a further effect in improving the thrust of the vehicle.
한편, 유체흐름부의 출구측에 가이드날개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와류가 끝부분에서 더 빠르게 분산되도록 유도하는 것에 의해 추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by forming the guide blade on the outlet side of the fluid flow por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thrust by inducing the vortex to be dispersed more quickly at the end.
도 1은 일반적인 비행기 날개에서의 유체 흐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캐비티 플로우가 플로우 스테이션에서 발생되는 와류상태를 예시한 설명도.
도 3a는 유체의 흐름이 정방향일때에 불완전한 와류로 형성되는 상태를 예시한 설명도.
도 3b는 유체의 흐름이 경사진 방향일 때에 안정적인 와류가 형성되는 상태를 예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추진기구의 제1실시예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도시한 A - A선 내지 D - D선의 단면도.
도 6는 도 5d에 도시한 D - D선 단면에서 유체흐름면이 더 휘어진 상태의 D' - D'선 단면도.
도 7 도 4에 도시한 유체저장부의 형상을 길게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유체흐름부의 형상을 길게 도시한 평면도.
도 9은 도 4에 도시한 유체흐름부의 형상을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추진기구의 제2실시예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a와 도 11b는 도 10에 도시한 E - E선과 F - F선의 단면도.
도 12은 도 11b에 도시한 F - F선 단면에서 유체흐름면이 더 휘어진 상태의 F' - F'선 단면도.
도 13는 도 10에 도시한 유체저장부의 형상을 길게 도시한 평면도.
도 14은 도 10에 도시한 유체흐름부의 형상을 길게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도 10에 도시한 유체흐름부의 형상을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도시한 평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uid flow structure in a typical airplane wing.
2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vortex state in which a cavity flow is generated at a flow station;
3A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complete vortex is formed when a fluid flow is in a forward direction;
3B is an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able vortex is formed when the flow of the fluid is in an inclined direc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opul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s A-A to D-D shown in FIG.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 of the state where the fluid flow surface is more bent in the cross-section D-D shown in FIG. 5D.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luid storage unit shown i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luid flow portion shown in FIG. 4 elongated.
9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luid flow portion shown in Figure 4 obliquely toward the rear.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econd embodiment of a propuls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E-E and F-F lines shown in FIG.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flow surface is bent further in the line F—F shown in FIG. 11B. FIG.
FIG. 13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luid storage unit shown in FIG.
14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luid flow portion shown in FIG.
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fluid flow portion shown in FIG. 10 inclined backwar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는 일정한 힘을 받아 움직이는 여러 이동수단 중 유체와 마찰되는 각 이동수단의 외측 프레임 부분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선박, 잠수함, 비행기,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에 상기 추진기구의 구조가 적용되어 각 이동수단의 추력을 배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The propulsion mechanism using the fluid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the outer frame portion of each of the moving means friction with the fluid of the various moving means moving under a constant force, in particular in a moving means such as ships, submarines, airplanes, automobiles, etc. The structure of the propulsion mechanism is applied to serve to double the thrust of each moving means.
즉, 본 발명의 추진기구를 자동차에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자동차 보닛의 중앙을 기준으로 도 4 또는 도 10의 추진기구를 보닛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ropul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pplied to an automobile, the propulsion mechanism of FIG. 4 or 10 may be symmetric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nnet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vehicle bonnet.
한편,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의 제1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유체저장부(10)와, 유체흐름부(20)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s 4 to 9 is shown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opulsion mechanism using the fluid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argely composed of a
도 4 내지 도 5d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유체저장부(10)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추진기구 일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전면에 제1유입선(11)을 형성하되, 상기 제1유입선(11)의 일측 단부가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1유입선(11) 후방에는 유체가 유출되는 제1유출선(12)을 형성한다.4 to 5D, the
그리고, 상기 제1유입선(11)과 제1유출선(12) 사이에는 단면 형상이 유선형의 곡면을 갖도록 하부로 곡선지게 유체저장면(13)을 형성하여, 상기 유체저장면(13) 상부에 유체저장공간(14)을 조성한다. 또한, 유체저장면(13) 일측에는 제1유입선(11) 일측 단부와 제1유출선(12) 일측 단부 사이를 수평되게 마감하여 격벽(15)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도 7과 같이 상기 유체저장공간(14)에 유입하고자 하는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유입선(11)과 제1유출선(12)의 길이를 늘려 유체저장면(13) 좌우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체저장부(10)에 모여지는 유체를 더 신속하고 많이 유체흐름부(20)로 흘려보낼 수 있게 된다.Here, in order to increase the amount of fluid to be introduced into the
계속해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한 유체흐름부(20)는 대략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추진기구 타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전면에 제2유입선(21)을 형성하되, 상기 제2유입선(21)의 일측 단부는 제1유입선(11)과 연접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2유입선(21)의 타측 단부는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4 to 6, the
그리고, 상기 제2유입선(21) 후방에는 유체가 유출되는 제2유출선(22)을 형성하되, 상기 제2유출선(22)의 일측 단부는 제2유출선(22)과 연접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2유출선(22)의 타측 단부는 제2유입선(21)의 타측 단부와 연접 형성하면서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한다.A
아울러, 도 5a 내지 도 5d와 같이 상기 제2유입선(21)과 제2유출선(22) 사이에는 단면 형상이 유선형의 곡면을 갖도록 하부로 곡선지게 유체흐름면(23)을 형성하여, 상기 유체흐름면(23) 상부에 유체흐름공간(24)을 조성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5A to 5D, the
또한, 상기 유체흐름면(23)을 형성하는 제2유입선(21)과 제2유출선(22) 사이는 외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출선(22)과 연접한 유체흐름면(23)은 외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유체흐름면(23)을 따라 외측으로 흐르는 와류가 끝부분에 모아져 분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여기서, 도 8과 같이 상기 유체흐름공간(24)에서 흐르는 유체의 흐름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2유입선(21)과 제2유출선(22)의 길이를 늘려 유체흐름면(23) 좌우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체흐름부(2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더 증가시킴은 물론 유체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Here, in order to increase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flowing in the
또한, 도 6과 같이 제1유입선(11)과 제2유입선(21)에 닿게 되는 유체가 빠른 속도로 유체저장공간(14) 및 유체흐름공간(24) 내부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제2유입선(21)에 연접한 유체흐름면(23)의 곡면을 하부로 더 곡선지게 형성하여 유체흐름공간(24)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2유입선(21)에 닿게 되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유체흐름면(23)의 곡면은 하부로 더 휘어지게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flui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또, 도 9와 같이 상기 제1유입선(11)과 제2유입선(21)에 닿게 되는 유체가 빠른 속도로 유체저장공간(14) 및 유체흐름공간(24) 내부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유체흐름면(23)의 경사각(θ)을 후방을 향하여 더 경사지게 형성하여 유체흐름공간(24)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2유입선(11)(21)에 닿게 되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유체흐름면(23)의 후방 경사각(θ)은 더욱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flui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여기서, 도 5d 및 도 6에서와 같이 유체흐름부(20)의 출구측에 가이드날개(27)들이 복수로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된다.Here, as shown in FIGS. 5D and 6, a plurality of
이 가이드날개(27)들은 와류가 끝부분에서 분산되면서 더 빠르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se guide
유체의 흐름이 빠르게 이동될 경우 압력은 낮아져서 추력을 더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f the flow of fluid moves quickly, the pressure is lowered to further improve the thrust.
도면에서는 가이드날개(27)가 2개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2개 이상 다수개 복수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하다.Although the drawings illustrate that two
한편,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의 제2실시예에 대해 도시한 것으로, 크게 유체저장부(30)와, 유체흐름부(40)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s 10 to 15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opulsion mechanism using the fluid flow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argely composed of a
도 10 내지 도 11b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유체저장부(30)는 대략 끝이 뾰족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추진기구 일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전면에 제1유입선(31)을 형성하고, 상기 제1유입선(31) 후방에는 유체가 유출되는 제1유출선(32)을 형성하되, 상기 제1유입선(31) 단부와 제1유출선(32) 단부는 서로 접하도록 형성한다.Looking specifically through FIGS. 10 to 11b, first, the
그리고, 도 11a와 같이 상기 제1유입선(31)과 제1유출선(32) 사이에는 단면 형상이 유선형의 곡면을 갖도록 하부로 곡선지게 유체저장면(33)을 형성하고, 상기 유체저장면(33)과 연접한 제1유출선(32)의 일부를 상부로 곡선지게 형성하여, 상기 유체저장면(33) 상부에 유체저장공간(34)을 조성한다.And, as shown in Figure 11a between the
여기서, 상기 유체저장공간(34)에 유입하고자 하는 유체의 양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3과 같이 제1유입선(31)과 제1유출선(32)의 길이를 늘려 유체저장면(33) 좌우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체저장부(30)에 모여지는 유체를 더 신속하고 많이 유체흐름부(40)로 흘려보낼 수 있게 된다.Here, in the case of increasing the amount of fluid to be introduced into the
계속해서,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한 유체흐름부(40)는 대략 끝이 뾰족한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추진기구 타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유체가 유입되는 전면에 자연스러운 곡선 형상으로 제2유입선(41)을 형성하되, 상기 제2유입선(41)의 일측 단부는 제1유입선(31)과 연접 형성하고, 상기 제2유입선(41)의 타측 단부는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S. 10 to 12, the
그리고, 상기 제2유입선(41) 후방에는 유체가 유출되는 제2유출선(42)을 형성하되, 상기 제2유출선(42)의 일측 단부는 제1유출선(32)과 연접 형성하고, 상기 제2유출선(42)의 외측 단부는 제2유입선(41)의 외측 단부와 서로 연접하게 형성하면서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한다.A
아울러, 도 11b와 같이 상기 제2유입선(41)과 제2유출선(42) 사이에는 단면 형상이 유선형의 곡면을 갖도록 하부로 곡선지게 유체흐름면(43)을 형성하고, 상기 제2유입선(41)을 후방을 향하여 상부로 휘어지게 형성하여 유체흐름면(43) 상부에 유체흐름공간(44)을 조성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B, between the
또한, 상기 유체흐름면(43)을 형성하는 제2유입선(41)과 제2유출선(42) 사이는 외측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출선(42)과 연접한 유체흐름면(43)은 외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평평하게 형성함으로써, 유체흐름면(43)을 따라 외측으로 흐르는 와류가 끝부분에 모아져 분산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addition, between the
여기서, 상기 유체흐름공간(44)에서 흐르는 유체의 흐름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제2유입선(41)과 제2유출선(42)의 길이를 늘려 유체흐름면(43) 좌우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체흐름부(4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더 증가시킴은 물론 유체의 흐름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ing in the
또한, 제1유입선(31)과 제2유입선(41)에 닿게 되는 유체가 빠른 속도로 유체저장공간(34) 및 유체흐름공간(44) 내부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도 12와 같이 제2유입선(41)에 연접한 유체흐름면(43)의 곡면을 하부로 더 곡선지게 형성하여 유체흐름공간(44)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2유입선(41)에 닿게 되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유체흐름면(43)의 곡면은 하부로 더 휘어지게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flui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또, 상기 제1유입선(31)과 제2유입선(41)에 닿게 되는 유체가 빠른 속도로 유체저장공간(34) 및 유체흐름공간(44) 내부에 유입되는 경우에는, 도 15와 같이 유체흐름면(43)의 경사각(θ)을 후방을 향하여 더 경사지게 형성하여 유체흐름공간(44)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제1,2유입선(31)(41)에 닿게 되는 유체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유체흐름면(43)의 후방 경사각(θ)은 더욱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flui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여기서, 도 11b 및 도 12 에서와 같이 유체흐름부(40)의 출구측에 가이드날개(47)들이 복수로 유체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된다.Here, as shown in FIGS. 11B and 12, a plurality of
이 가이드날개(47)들은 와류가 끝부분에서 분산되면서 더 빠르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These guide
유체의 흐름이 빠르게 이동될 경우 압력은 낮아져서 추력을 더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If the flow of fluid moves quickly, the pressure is lowered to further improve the thrust.
도면에서는 가이드날개(47)가 2개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2개 이상 다수개 복수로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 하다.Although the drawings illustrate that two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추진기구를 선박, 비행기,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수단의 프레임에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이동수단의 진행방향을 향하여 형성하게 된다.The propuls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frame of a moving means such as a ship, an airplane, a car, and the like, and is formed in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means.
이와 같이, 추진기구가 형성된 상태에서 이동수단이 일방으로 진행하게 되면, 제1유입선(11)(31)과 제2유입선(21)(41)에 유체가 부딪히면서 유체저장공간(14)(34)과 유체흐름공간(24)(44) 내부로 유체가 유입된다.In this way, when the moving means proceeds to one side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pulsion mechanism is formed, the fluid in the fluid storage space (14) while hitting the first inlet line (11) (31) and the second inlet line (21) (41) ( 34 and the fluid flow into the fluid flow space (24, 44).
이처럼, 유체저장공간(14)(34)과 유체흐름공간(24)(44) 내부에 유입되는 유체는 소용돌이를 일으키면서 와류가 발생하게 되고, 베르누이 법칙에 따라 유체저장공간(14)(34)과 유체흐름공간(24)(44)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As such, the fluid flowing into the
이와 함께, 제1실시예에 도시한 추진기구의 경우에는 유체저장공간(14)에 유입되는 소용돌이 상태의 유체가 격벽(15)에 부딪히면서 유체흐름공간(14)으로 흐르게 되어 더욱 많은 양의 유체를 유체흐름공간(14)으로 흘려보낼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제2실시예에 도시한 추진기구의 경우에는 유체저장공간(34)에 유입되는 유체가 제1유출선(32)에 형성된 곡면에 부딪히면서 유체흐름공간(44)으로 흐르게 되어 더욱 많은 양의 유체를 유체흐름공간(44)으로 흘려보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opulsion mechanism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luid in the vortex state flowing into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유체저장공간(14)(34)에서 유입되는 유체와 함께 제2유입선(21)(41)을 통해 유입되는 소용돌이 상태의 유체는 유체흐름공간(24)(44)이 유체흐름면(23)(43)의 끝부분을 향하여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베르누이 법칙에 따라 유체는 넓은 공간에서 좁은 공간으로 빠르게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유체를 유체흐름면(23)(43)의 끝부분으로 빠르게 유출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fluid in the vortex state flowing through the
또한, 이와 같이 유출되는 소용돌이 상태의 유체는 제2유출선(22)(42)의 형태가 끝부분으로 향할수록 점차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유체흐름면(23)(43)의 끝부분에서는 와류가 모아져 분산이 되고, 이로 인해 유체의 흐름 속도를 향상시켜 추진기구가 형성된 이동수단의 추력 및 추진력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vortex fluid flowing out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that is gradually flattened as the shape of the
아울러, 유체저장면(13)(33)의 좌우의 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하거나, 유체흐름면(23)(43)의 좌우의 길이를 더욱 길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유체저장공간(14)(34) 또는 유체흐름공간(24)(44)에 유입되는 유량이 증가하면서, 유체흐름면(23)(43)을 따라 외측으로 유출되는 유체의 양이 많아짐은 물론 유체가 더욱 빠른 속도로 유출되면서 이동수단의 추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luid storage surfaces 13 and 33 are formed longer, or whe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fluid flow surfaces 23 and 43 are longer, the
한편, 유체흐름부(20)(4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날개(27)(47)들에 의해 와류가 끝부분에서 분산되면서 더 빠르게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결과로 추력을 보다 더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또한, 이동수단의 속도가 빨라 추진기구 전면에 부딪히는 유체의 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제2유입선(21)(41)과 연접한 유체흐름면(23)(43)의 곡면을 하부로 더 휘어지게 형성하거나 유체흐름면(23)(43)을 후방을 향하도록 더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유체흐름면(23)(43)을 따라 배출되는 유체의 속도를 높여, 이동수단의 추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peed of the moving means is high and the velocity of the fluid hitting the front of the propulsion mechanism is high, the curved surface of the fluid flow surfaces 23 and 43 in contact with the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10, 30 : 유체저장부 11, 31 : 제1유입선
12, 32 : 제1유출선 13, 33 : 유체저장면
14, 34 : 유체저장공간 15 : 격벽
20, 40 : 유체흐름부 21, 41 : 제2유입선
22, 42 : 제2유출선 23, 43 : 유체흐름면
24, 44 : 유체흐름공간 θ : 경사각10, 30:
12, 32:
14, 34: fluid storage space 15: bulkhead
20, 40:
22, 42:
24, 44: fluid flow space θ: inclination angle
Claims (7)
상기 제1유입선(11) 단부에 연접된 제2유입선(21)을 외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제1유출선(12) 단부에 연접된 제2유출선(22)을 외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입선(21)과 제2유출선(22) 사이에 하부로 곡면진 유체흐름면(23)을 형성하여 유체흐름면(23) 상부에 유체흐름공간(24)을 조성하며, 상기 제2유입선(21)과 제2유출선(22) 사이를 외측을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출선(22)과 인접된 유체흐름면(23)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평평하게 형성한 유체흐름부(20)와;
이 유체흐름부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유체를 분리시킨 상태로 흐름을 유도하여 추력을 더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이드날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
A curved fluid storage surface 1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flow line 11 in front of the fluid flowing in and the first outflow line 12 in the rear in which the fluid flows outward, thereby forming a curved fluid storage surface 13 on the top of the fluid storage surface 13. A fluid storage part 10 having a fluid storage space 14 and having a partition 15 formed at one side of the fluid storage surface 13;
The second inflow line 21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inflow line 11 is formed to be inclined to the outside rearward, and the second outflow line 22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irst outflow line 12 to the outside rearward. It is formed to be inclined, but the fluid flow surface 24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inlet line 21 and the second outlet line 22 is formed to be a curved fluid flow surface (23) above the fluid flow surface (23) The second inflow line 21 and the second outflow line 22 is gradually formed narrower toward the outside, the fluid flow surface 23 adjacent to the second outflow line 22 is the outer side A fluid flow portion 20 gradually formed flat toward the side;
Propulsion mechanism using a fluid flow i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luid flow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blade for inducing the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is separated to further improve the thrust.
상기 제1유입선(31) 단부에 연접된 곡선 형상의 제2유입선(41)을 외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상기 제1유출선(32) 단부에 연접된 곡선 형상의 제2유출선(42)을 외측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입선(41)을 후방을 향하여 휘어지게 형성하면서 제2유입선(41)과 제2유출선(42) 사이에 하부로 곡면진 유체흐름면(43)을 형성하여 유체흐름면(43) 상부에 유체흐름공간(44)을 조성하며, 상기 제2유입선(41)과 제2유출선(42) 사이의 길이를 외측을 향할수록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되, 상기 제2유출선(42)과 연접한 유체흐름면(43)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평평하게 형성한 유체흐름부(40)와;
이 유체흐름부의 출구측에 형성되어 유체를 분리시킨 상태로 흐름을 유도하여 추력을 더 향상시키도록 하는 가이드날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흐름을 이용한 추진기구.
A curved fluid storage surface 33 is formed downward between the first inflow line 31 in front of the fluid and the first outflow line 32 in the rear of the fluid, and the fluid storage surface 33 A portion of the first outlet line 32 which is connected is formed to be curved upward to form a fluid storage space 34 on the fluid storage surface 33, and the first inlet line 31 and the first outlet line ( A fluid storage part 30 having the ends of the ends 32 connected to each other;
A curved second inflow line 41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inflow line 31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 and rearward, and a second curved outflow line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outflow line 32 ( 42 is formed to be inclined outwardly rearward, but the second inflow line 41 is formed to be bent backwards, and the fluid flow surface curved downward between the second inflow line 41 and the second outflow line 42. And forming a fluid flow space 44 on the fluid flow surface 43, and gradually narrowing the length between the second inflow line 41 and the second outflow line 42 toward the outside. A fluid flow surface 43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outlet line 42 and gradually flattened toward the outside thereof;
Propulsion mechanism using a fluid flow is form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luid flow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guide blade for inducing the flow in a state in which the fluid is separated to further improve the thrust.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luid storage surfaces 13 and 33 increases as the flow rate to be introduced into the fluid storage spaces 14 and 34 increases. Propulsion mechanism using fluid flow.
The second inflow line (21) (4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2, wherein the velocity of the fluid that reaches the first and second inflow lines (11) (21) (31) (41) increases. Propulsion mechanism using a fluid flow, characterized in that the curved surface of the fluid flow surface (23) (43) connected to the lower to form more bent.
The fluid flow plane (23) (43)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velocity of the fluid that reaches the first and second inflow lines (11) (21) (31) (41) increases as the velocity of the fluid (23) (43) increases. Propulsion mechanism using a fluid flow,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the rear inclination angle (θ) more inclined toward the rea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0803A KR101171654B1 (en) | 2010-12-20 | 2010-12-20 | Propulsion device using fluid flo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0803A KR101171654B1 (en) | 2010-12-20 | 2010-12-20 | Propulsion device using fluid flow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9306A true KR20120069306A (en) | 2012-06-28 |
KR101171654B1 KR101171654B1 (en) | 2012-08-07 |
Family
ID=46687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0803A KR101171654B1 (en) | 2010-12-20 | 2010-12-20 | Propulsion device using fluid flo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165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21653A1 (en) * | 2012-08-03 | 2014-02-06 | Kim Nak Hwe | Propulsion device using fluid flow |
KR102201205B1 (en) * | 2019-08-30 | 2021-01-08 | 정요한 | Ship posture stabilization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05661B1 (en) | 2009-09-08 | 2011-01-05 | 김낙회 | Propulsion Mechanism Using Fluid Flow |
-
2010
- 2010-12-20 KR KR1020100130803A patent/KR101171654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21653A1 (en) * | 2012-08-03 | 2014-02-06 | Kim Nak Hwe | Propulsion device using fluid flow |
KR102201205B1 (en) * | 2019-08-30 | 2021-01-08 | 정요한 | Ship posture stabiliz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1654B1 (en) | 2012-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5661B1 (en) | Propulsion Mechanism Using Fluid Flow | |
Koike et al. | Research on aerodynamic drag reduction by vortex generators | |
ES2370756T3 (en) | METHOD AND APPLIANCE TO IMPROVE MOTOR LIFTING IN AN AIRCRAFT. | |
RU2565641C2 (en) | Structure reducing aerodynamic drag of body in fluid, its use, body containing such structure, flow channel, jet engine, and drive containing such body, film for such body | |
US20110274875A1 (en) | Passive drag modification system | |
JPS63170195A (en) | Aerofoil | |
KR101171654B1 (en) | Propulsion device using fluid flow | |
CN206704327U (en) | A kind of structured non-smooth surface for controlling air-flow | |
CN108116617A (en) | Structure for reducing ship navigation resistance and application thereof | |
KR20200122307A (en) | Device for reducing drag force of transverse duct outlet flow | |
CN102549274B (en) | Wing structure and fairing device | |
KR101104881B1 (en) | Ships with hulls designed for reduced flow resistance | |
JP2008247146A (en) | Inner fender for vehicle | |
RU2007111210A (en) | METHOD FOR USING ENVIRONMENTAL FLOW ENERGY AND ENERGY COMPLEX FOR ITS IMPLEMENTATION | |
CN107839770A (en) | A kind of bionical attachment device of car tail bottom shark fins and its mounting arrangements method | |
KR102260442B1 (en) | Propulsion efficiency enhancing apparatus | |
KR100807410B1 (en) | Cooling water discharge structure considering ship's viscous resistance and backflow | |
KR20140018036A (en) | Propulsion device using fluid flow | |
KR20140036402A (en) | Propeller boss cap with fin | |
KR20160087005A (en) | Wing device for reducing bilge vortex of ship | |
GB2372018A (en) | Controlling airflow around a vehicle | |
US7357351B2 (en) | Linear shock wave absorber | |
RU43249U1 (en) | SCREW SCREW | |
Tarada et al. | Technologies for the Improvement of Jetfan Installation Factors | |
KR101400314B1 (en) | wheel with pinwhe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7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7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7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