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696A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8696A KR20120068696A KR1020110120698A KR20110120698A KR20120068696A KR 20120068696 A KR20120068696 A KR 20120068696A KR 1020110120698 A KR1020110120698 A KR 1020110120698A KR 20110120698 A KR20110120698 A KR 20110120698A KR 20120068696 A KR20120068696 A KR 201200686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cus position
- imaging optical
- optical system
- focus
- contrast evalu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39—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wo 2D image sensors having a relative position equal to or related to the interocular d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cu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포커스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 2개의 촬상 광학계(1)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포커스 위치를 제어하는 것이며, 상기 초점 위치 검출부가 초점 위치를 검출하기 전에 일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와, 타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소정량만큼 벗어나도록 구성된 포커스 위치 제어부(63)와,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가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각 촬상 광학계에 대응시켜서 출력되는 2개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에 근거하여, 상기 피사체에 포커싱하는 초점 위치가 각 촬상 광학계의 현재의 포커스 위치에 대하여 어느 쪽 방향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초점 위치 방향 판별부(64)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적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 전체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포커싱 동작에 관련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포커싱 동작 대기 상태에서의 각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초점 위치 방향 획득 후의 각 포커스 렌즈의 동작 및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획득 상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포커스 위치 획득 후의 각 포커스 렌즈의 동작 및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획득 상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포커싱 피사체가 움직였을 시의 각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도 7의 상태에서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다른 2개의 피사체가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본 촬영 개시 후의 각 포커스 렌즈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영 중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종래의 콘트라스트 AF중의 촬상 광학계의 동작 및 그 문제점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다른 종래의 콘트라스트 AF중의 촬상 광학계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종래의 더블 렌즈 카메라에서의 콘트라스트 AF를 고속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다른 종래의 더블 렌즈 카메라에서의 다른 종래의 콘트라스트 AF를 고속화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
1 : 촬상 광학계
2 : 촬상 소자
61 : 콘트라스트 평가값 출력부
62 : 초점 위치 검출부
63 : 포커스 위치 제어부
64 : 초점 위치 방향 판별부
Claims (12)
- 촬상 장치에 있어서,
포커스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2개의 촬상 광학계와,
각 촬상 광학계에 의해 형성되는 피사체상을 화상으로 변환하는 2개의 촬상 소자와,
각 화상 중의 피사체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각각 출력하는 콘트라스트 평가값 출력부와,
복수의 포커스 위치에서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에 근거하여 상기 피사체에 포커싱하는 포커스 위치인 초점 위치를 검출하는 초점 위치 검출부와,
포커스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초점 위치 검출부가 초점 위치를 검출하기 전에 일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와, 타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소정량 만큼 벗어나도록 제어하는 포커스 위치 제어부와,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가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각 촬상 광학계에 대응시켜서 출력되는 2개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에 근거하여, 상기 피사체에 포커싱하는 초점 위치가 각 촬상 광학계의 현재의 포커스 위치에 대하여 어느 쪽의 방향에 있는 지를 판별하는 초점 위치 방향 판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위치 방향 판별부가,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와, 각 포커스 위치에 대응시켜서 출력되는 2개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으로부터, 포커스 위치의 변화에 의한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증감 경향을 판별하고, 상기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초점 위치가 있는 것으로 판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위치 제어부가, 초점 위치 검출에 관련되는 동작이 개시되기 까지는,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소정량만큼 벗어나게 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 촬상 광학계 만으로 촬영을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포커스 위치 제어부가, 타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일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보다 소정량만큼 선행시켜서,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초점 위치 측으로 주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위치 제어부가, 상기 초점 위치 검출부에 의해 초점 위치가 검출되어 있고, 또한, 본 촬영이 개시될 때까지의 대기 기간에는,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상기 초점 위치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벗어나게 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기간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위치 제어부가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상기 초점 위치의 전후에 있고, 또한, 각 포커스 위치에 대응하는 각 화상의 피사체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각각 동일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포커스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 2개의 촬상 광학계와, 각 촬상 광학계에 의해 형성되는 피사체상을 화상으로 변환하는 2개의 촬상 소자와, 각 화상 중의 피사체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을 각각 출력하는 콘트라스트 평가값 출력부와, 복수의 포커스 위치에서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에 근거하여 상기 피사체에 포커싱하는 포커스 위치인 초점 위치를 검출하는 초점 위치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에 이용되는 촬상 방법에 있어서,
포커스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초점 위치 검출부가 초점 위치를 검출하기 전에 일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와, 타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소정량만큼 벗어나도록 제어하는 포커스 위치 제어 과정과,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가 벗어나 있는 상태에서, 각 촬상 광학계에 대응시켜서 출력되는 2개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에 근거하여 상기 피사체에 포커싱하는 초점 위치가 각 촬상 광학계의 현재의 포커스 위치에 대하여 어느 쪽의 방향에 있는 지를 판별하는 초점 위치 방향 판별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위치 방향 판별 과정에 있어서,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와, 각 포커스 위치에 대응시켜서 출력되는 2개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으로부터, 포커스 위치의 변화에 의한 콘트라스트 평가값의 증감 경향을 판별하고, 상기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증가하는 방향에 초점 위치가 있는 것으로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위치 제어 과정에 있어서, 초점 위치 검출에 관련되는 동작이 개시되기까지는,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소정량만큼 벗어나게 한 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 촬상 광학계 만으로 촬영을 수행할 경우에는, 상기 포커스 위치 제어 과정에서, 타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일측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보다 소정량만큼 선행시켜서,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초점 위치 측으로 주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위치 제어 과정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위치 검출부에 의해 초점 위치가 검출되고 있고, 또한, 본 촬영이 개시되기까지의 대기 기간에는,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를 상기 초점 위치에 대하여 소정량만큼 벗어나게 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기간 중에는, 상기 포커스 위치 제어 과정에 있어서 각 촬상 광학계의 포커스 위치가, 상기 초점 위치의 전후에 있고, 또한, 각 포커스 위치에 대응하는 각 화상의 피사체의 콘트라스트 평가값이 각각 동일해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3/325,776 US8836767B2 (en) | 2010-12-17 | 2011-12-14 |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281153A JP2012128298A (ja) | 2010-12-17 | 2010-12-17 |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
JPJP-P-2010-281153 | 2010-12-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8696A true KR20120068696A (ko) | 2012-06-27 |
Family
ID=4664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20698A Ceased KR20120068696A (ko) | 2010-12-17 | 2011-11-18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12128298A (ko) |
KR (1) | KR2012006869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6291A (ko) * | 2014-05-01 | 2015-11-11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초점 조절장치, 그 제어방법, 및 촬상장치 |
KR20170083872A (ko) * | 2016-01-11 | 2017-07-19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카메라의 초점 조절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55986B1 (en) * | 2014-03-21 | 2018-08-22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 focus in an imaging device as well as a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34167A (ja) * | 1991-11-12 | 1993-05-28 | Canon Inc | 撮像装置 |
JP2005062237A (ja) * | 2003-08-12 | 2005-03-10 | Fujinon Corp |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
JP4533735B2 (ja) * | 2004-12-07 | 2010-09-0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立体画像撮影装置 |
-
2010
- 2010-12-17 JP JP2010281153A patent/JP2012128298A/ja active Pending
-
2011
- 2011-11-18 KR KR1020110120698A patent/KR20120068696A/ko not_active Ceas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26291A (ko) * | 2014-05-01 | 2015-11-11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초점 조절장치, 그 제어방법, 및 촬상장치 |
KR20170083872A (ko) * | 2016-01-11 | 2017-07-19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카메라의 초점 조절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2128298A (ja) | 2012-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36767B2 (en) |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 |
JP5388544B2 (ja) | 撮像装置およびそ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 |
US8988579B2 (en) | Imaging apparatus | |
US8760567B2 (en) |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o reduce auto-focus time | |
JP2012173531A (ja) | 撮像装置、およ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
JP2006201282A (ja) | デジタルカメラ | |
CN104620075B (zh) | 多被摄体的距离测量装置以及方法 | |
JP2009225072A (ja) | 撮像装置 | |
JP6006024B2 (ja) |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8937679B2 (en) | Imaging device including an optical view finder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live view image | |
WO2013183406A1 (ja) | 撮像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 |
JPWO2013038863A1 (ja) | 単眼立体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896763B2 (ja) | 光学機器および自動焦点調節を行う方法 | |
JP2006162991A (ja) | 立体画像撮影装置 | |
CN102893196B (zh) | 三维成像装置和三维成像装置的自动聚焦调节方法 | |
KR20140014288A (ko) | 촬상 장치 | |
JP2014027436A (ja) | 被写体追尾装置及び撮像装置 | |
JP5409483B2 (ja) | 撮像装置 | |
JP2007225897A (ja) | 合焦位置決定装置及び方法 | |
JP5580486B2 (ja) | 画像出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120068696A (ko)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
JP5366693B2 (ja) |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101805006B1 (ko) |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 |
JP6624789B2 (ja) | 合焦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撮像装置 | |
US10321042B2 (en) |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or focus detection using focus detection area based on defocus amou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801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