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68356A - 선형 전동기 - Google Patents

선형 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356A
KR20120068356A KR1020100129947A KR20100129947A KR20120068356A KR 20120068356 A KR20120068356 A KR 20120068356A KR 1020100129947 A KR1020100129947 A KR 1020100129947A KR 20100129947 A KR20100129947 A KR 20100129947A KR 20120068356 A KR20120068356 A KR 2012006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module
armature
secondary member
modul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로얄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로얄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로얄모션
Priority to KR1020100129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8356A/ko
Publication of KR2012006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35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02K1/2706Inner rotors
    • H02K1/272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 H02K1/274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 H02K1/2753Inner rotors the magnetisation axis of the magnets being perpendicular to the rotor axis the rotor consisting of two or more circumferentially positioned magnets the rotor consisting of magnets or groups of magnets arranged with alternating polarit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1차 부재 및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형 전동기에서, 상기 1차 부재는 복수의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기자 모듈은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의 자성체 코어 상기 자성체 코어로부터 점대칭으로 돌출하는 4개의 돌극 및 코일로 구성되고 각 돌극 또는 돌극 사이의 자성체 코어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2차 부재는 2개의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두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이 서로 끼우는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각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은 선형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영구 자석 열을 포함하고, 각 영구 자석 열은 복수의 영구 자석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되고, 4개의 영구 자석 열 각각은 서로 다른 돌극 쌍 사이에 놓이고, 상기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들을 영구 자석 세트라 할 때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S개의 전기자 모듈과 2의 배수인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를 한 단위로 하여 진행 자계에 의한 추력이 생성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고, 상기 1차 부재 또는 상기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가동자가 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자가 되어 상기 생성되는 추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형 전동기 {Linear motor}
본 발명은 직선 운동을 발생시키는 선형 전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형 전동기, 즉 리니어 모터는 직선 모양으로 면하는 가동자 및 고정자 사이에 추력(推力)을 발생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영구 자석형 리니어 모터는 가동자 및 고정자 중 어느 한 쪽에 고정 자석을 놓고 나머지 한 쪽에 교번하는 다상 전력을 보내 양자 사이에 전자력이 작용하여 일정 방향으로 추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종래의 리니어 모터는, 회전 모터를 전개하여 직선상에 펼쳐 배치한 구조로 인하여, 전기자 코어의 돌극과 영구 자석 간에는 강력한 자기 흡인력이 발생하여 시스템의 정밀도가 떨어지고, 일정한 공극을 유지하는 안내 기구의 마모가 심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평판형 리니어 모터의 자기 흡인력 문제를 해소하고, 추력을 발생시키는 전기자 코어의 돌극과 이에 대치하는 영구 자석 사이 공극의 유효 면적을 넓힘으로써, 높은 효율의 선형 전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차 부재인 영구 자석 자체의 하중으로 인한 처짐을 해결하여, 장거리 이송이 가능한 선형 전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2차 부재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는 선형 전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2차 부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형 전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플을 줄일 수 있는 선형 전동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1차 부재와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 부재는 복수의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기자 모듈은,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의 자성체 코어, 상기 자성체 코어로부터 점대칭으로 돌출하는 4개의 돌극 및 코일로 구성되고, 각 돌극 또는 돌극 사이의 자성체 코어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2차 부재는, 2개의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두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이 서로 끼우는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각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은 선형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영구 자석 열을 포함하고, 각 영구 자석 열은 복수의 영구 자석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되고, 4개의 영구 자석 열 각각은 서로 다른 돌극 쌍 사이에 놓이고, 상기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들을 영구 자석 세트라 할 때,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S개의 전기자 모듈과 2의 배수인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를 한 단위로 하여 진행 자계에 의한 추력이 생성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고, 상기 1차 부재 또는 상기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가동자가 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자가 되어 상기 생성되는 추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1차 부재 및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 부재는 복수의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기자 모듈은, 자성체 코어, 상기 자성체 코어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극 및 코일로 구성되고, 각 돌극 또는 돌극 사이의 자성체 코어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2차 부재는 복수의 영구 자석 모듈이 서로 끼우는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상기 자성체 코어를 향해 돌출하여 두 돌극 사이에 놓이고, 선형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복수의 영구 자석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되고, 상기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들을 영구 자석 세트라 할 때,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S개의 전기자 모듈과 2의 배수인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를 한 단위로 하여 진행 자계에 의한 추력이 생성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고, 상기 1차 부재 또는 상기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가동자가 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자가 되어 상기 생성되는 추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1차 부재 및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선형 전동기를 복수 개 결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 부재는 복수의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기자 모듈은, 직선 형상의 자성체 코어, 상기 자성체 코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3개 이상의 돌극 및 코일로 구성되고, 각 돌극 또는 돌극 사이의 자성체 코어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2차 부재는 상기 돌극의 개수보다 하나 작은 개수의 영구 자석 모듈을 포함하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상기 두 돌극 사이에 놓이고 선형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복수의 영구 자석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되고, 상기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들을 영구 자석 세트라 할 때,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S개의 전기자 모듈과 2의 배수인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를 한 단위로 하여 진행 자계에 의한 추력이 생성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고, 2개 이상의 1차 선형 전동기의 1차 부재와 2차 부재를 각각 서로 결합시켜, 상기 결합된 1차 부재 또는 상기 결합된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가동자가 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자가 되어 상기 생성되는 추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1차 부재 및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차 부재는 복수의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기자 모듈은, 직선 형상의 자성체 코어, 상기 자성체 코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3개 이상의 돌극 및 코일로 구성되고, 각 돌극 또는 돌극 사이의 자성체 코어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2차 부재는 상기 돌극의 개수보다 하나 작은 개수의 영구 자석 모듈을 포함하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두 돌극 사이에 놓이고 선형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복수의 영구 자석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되고, 상기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들을 영구 자석 세트라 할 때,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S개의 전기자 모듈과 2의 배수인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를 한 단위로 하여 진행 자계에 의한 추력이 생성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고, 상기 1차 부재 또는 상기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가동자가 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자가 되어 상기 생성되는 추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의 각 영구 자석에서 자속이 지나가는 단면은 같은 방향으로 기운 평행 사변형이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이웃하는 영구 자석 모듈과 평행 사변형의 기운 방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각 전기자 모듈에서 이웃하는 돌극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코일이 감기고, 각 영구 자석 세트에서 각 영구 자석은 이웃하는 영구 자석과 서로 다른 극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 자석의 자화 방향은 대응되는 두 돌극을 향한다.
일 실시예에서, 자속이 지나가는 영구 자석의 단면은 직사각형, 평행 사변형, 원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 모듈의 영구 자석의 진행 방향으로의 위치 오프셋이 다른 영구 자석 모듈의 위치 오프셋과 다르되, 상기 영구 자석의 진행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소정 범위에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1차 부재 또는 상기 2차 부재의 길이는 상기 S개의 전기자 모듈과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로 이루어지는 한 단위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상기 S는 상기 소정의 위상차를 결정하는 상수의 배수 중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상수는 3 이상의 홀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영구 자석 결합 모듈에서 두 영구 자석 열 사이에 진행 방향으로 긴 관통 구멍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제 2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은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 케이스를 포함하고, 각 영구 자석 케이스는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 자석 케이스는, 2개의 영구 자석 열을 포함하고, 하나의 영구 자석 열은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지지 않고,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지지 않는 부분의 상기 진행 방향으로의 폭이 끼워지는 부분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 자석 케이스를 상기 관통 구멍에 끼우는 방향이 이웃하는 영구 자석 케이스와 반대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 자석 케이스에서 관통 구멍에 끼워지지 않는 부분과 이웃하는 영구 자석 케이스에서 끼워진 부분이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끼워지는 않는 부분의 폭, 상기 관통 구멍의 폭, 및 상기 관통 구멍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 이상의 영구 자석 모듈이 하나의 결합 모듈을 형성하고, 각 결합 모듈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2차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영구 자석 모듈의 각 영구 자석에서 자속이 지나가는 단면은 같은 방향으로 기운 평행 사변형이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이웃하는 영구 자석 모듈과 평행 사변형의 기운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1차 선형 전동기에 대해서 다른 1차 선형 전동기와 다른 위상의 전원이 1차 부재에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평판형 리니어 모터에서 흔히 발생하는 자기 흡인력에 의해 가이드가 마모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작은 크기로 큰 용량의 추력 또는 빠른 이송 속도를 얻을 수 있고, 또한 각 요소가 모듈화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고,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2차 부재의 하중으로 인한 처짐 문제를 해결하고, 장거리 이송에도 사용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2차 부재의 무게를 줄이고 조립 효율을 높이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추진력의 리플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제조 정밀도를 올릴 수 있고 금형 비용도 절감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밀폐형 선형 전동기의 단면과 영구 자석을 포함한 2차 부재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선형 전동기에서 전기자 모듈과 영구 자석 모듈의 조합에 의해 직선 방향의 추력이 발생하는 원리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선형 전동기에서 자속이 지나가는 영구 자석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예와 평행 사변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도 1의 선형 전동기에서 각 영구 자석 모듈에서 영구 자석의 위치 오프셋이 서로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와 6은 개방형 선형 전동기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선형 전동기에서 2차 부재의 연결부를 변형한 실시예이고,
도 8은 2차 부재의 무게를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선형 전동기의 2차 부재를 변형한 예이고,
도 9는 도 8의 영구 자석 모듈을 조립하여 2차 부재를 형성하는 예이고,
도 10은 도 1의 선형 전동기에서 2차 부재의 연결부 없이 복수의 영구 자석 모듈을 결합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1은 도 5의 개방형 선형 전동기의 2차 부재를 변형한 실시예이고,
도 12는 도 5의 개방형 선형 전동기를 복수 개 결합한 선형 전동기에 대한 실시예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를 구동하는 서보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구동 원리가 출원 번호 10-2010-0081522에 기재된 선형 전동기의 구동 원리와 동일하므로, 먼저 10-2010-0081522에 기재된 원통형 선형 전동기의 구조와 구동 원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출원 번호 10-2010-0081522에 기재된 선형 전동기는, 10-2009-0090806과 10-2009-0099828에 기재된 선형 전동기의 동작 원리를 이용하되, 영구 자석 모듈을 포함하는 2차 부재의 무게를 줄이고 조립 효율을 높이는 변형 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코일을 포함하는 1차 부재와 자속을 가로지르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선형 전동기의 단면과 영구 자석을 포함한 2차 부재를 도시한 것으로, 밀폐형 선형 전동기에 대한 도면이다.
1차 부재는 진행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전기자 모듈(10)로 구성되는데, 각 전기자 모듈(10)은 코어(11), 복수의 돌극(12) 및 코일(13)로 구성되고, 전기자 코어(11)는 각 돌극(12)을 연결하고, 각 돌극(12) 또는 각 돌극(12) 사이의 자성체 코어(11)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13)이 감기게 된다.
2차 부재는, 영구 자석(21)을 포함하는 복수의 영구 자석 모듈(20)과 각 영구 자석 모듈(20)이 연결되는 연결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각 영구 자석 모듈(20)은, 상기 연결부(22)로부터 상기 전기자 모듈(10)의 코어(11)를 향해 돌출하여 두 돌극(12) 사이에 놓이고,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복수의 영구 자석(21)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될 수 있다.
각 전기자 모듈(10)에서 각 돌극(12)에 진행 자계가 형성되도록 코일(13)에 전류가 공급되는데, 돌극(12) 끝에 형성되는 전자극 및 이에 대응되는 영구 자석(54) 사이에 흡인력과 반발력에 의해 진행 추력이 발생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전기자 모듈(10)의 코일(13)에는 다른 전기자 모듈(10)의 코일(13)과는 위상차를 갖는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1차 부재와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는 고정자가 되어 지지 기구에 고정되고 나머지는 가동자가 되는데, 전기자 모듈(10)의 돌극(12)과 영구 자석 모듈(20)의 영구 자석(21) 사이에 일정한 공극이 유지되면서 가동자가 고정자와 상대적으로 진행한다.
각 전기자 모듈(10) 내에서 이웃하는 돌극(12)의 전자석 극성을 서로 다르게 하여 이웃하는 2개의 돌극(12) 쌍에 의해 자속 폐 루프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기자 모듈(10)의 두 돌극(12)과 이에 대응되는 영구 자석(21) 사이에 높은 밀도의 자속이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는 4개의 돌극(12)과 4개의 영구 자석(21)에 의해 4개의 자속 폐 루프가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각 전기자 모듈(10)마다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13)을 각 돌극(12) 또는 각 돌극(12) 사이의 코어(11)에 감되 각 전기자 모듈(10) 내에서 이웃하는 돌극(12)의 전자석 극성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권선 방향을 바꿔 가면서 감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돌극에서 나온 자속이 하나의 영구 자석만을 거쳐 이웃하는 돌극으로 들어가는 구조로, 강자성체인 요크가 없기 때문에 2차 부재를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모듈화할 필요는 없고, 1차 부재만을 모듈화함으로써 진행 방향과 수직인 상태로 자속이 흐르는 자속 폐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추진력의 발생을 위해서,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같은 변위에 있는(진행 방향과 수직으로 자를 때 같은 단면에 있는) 영구 자석들은 이웃하는 영구 자석과 극이 바뀌면서 배치되어야 하고, 원주 방향으로 같은 각도에 있는 영구 자석들(진행 방향으로 나열된 영구 자석들)도 이웃하는 영구 자석과 극이 바뀌면서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돌극에서 나온 자속이 요크 없이 영구 자석을 거쳐 이웃하는 돌극으로 바로 들어가기 때문에, 영구 자석은 자속이 흐르는 이웃하는 두 돌극 사이로 돌출되어야 하고 영구 자석의 자화 방향은 두 돌극을 향해야 한다.
도 1의 왼쪽 전동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에서, 이웃하는 두 돌극(12)을 향해(원주 방향으로) 자화된 영구 자석(21)이 코어(11)를 향하여 돌극(12) 사이로 돌출하고 있는데(4개의 영구 자석(21)이 방사상으로 퍼져서),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45도에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S/N, N/S, S/N, N/S의 자화 방향을 갖는 4개의 영구 자석(21)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어(11)를 향하여 방사상으로 돌출한 4개의 영구 자석(21)은 단면이 원 형태인 연결부(2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오른쪽 2차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같은 각도에 있는 영구 자석들(21)은 진행 방향을 따라 N극과 S극이 교대로 바뀌고 있고, 원주 방향으로 같은 각도에 있는 영구 자석들(21)은 하나의 영구 자석 모듈(20)에 고정된 상태로 단면이 원이고 진행 방향으로 긴 봉 형태의 연결부(2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2)의 단면은 원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주 방향으로 같은 각도에 있는 영구 자석들(21)은, 개별적으로 연결부(22)에 고정될 수도 있으나, 도 1의 2차 부재와 같이 하나의 영구 자석 모듈(20)에 고정되고, 영구 자석 모듈(20)은 연결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전동기 단면은, 원형 링 형상의 코어(11)를 갖는 전기자 모듈(10)에 4개의 돌극(12)이 있고 각 돌극(12) 사이에 4개의 영구 자석(21)이 돌출하고 있는 구조로, 4개의 영구 자석(21)은 각각 대응하는 4개의 영구 자석 모듈(20)에 고정된다. 도 1과 같이 밀폐형 전기 전동기에서, 코어(11)의 형상은 원형 링에 한정되지 않고 폐회로를 이루는 사각형 모양, 팔각형 모양 등의 사각 링, 팔각 링 등도 가능하고, 원형이 아닌 점대칭 또는 선대칭 형태의 다각형도 가능하고, 이웃 전기자 모듈과의 결합을 쉽게 하기 위하여 코어(11)의 귀퉁이나 돌극(12) 말단에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고용량, 고속 등과 같이 많은 자속이 필요하여 전동기의 단면적을 키워야 할 경우, 돌극을 6개 또는 8개 등 2의 배수로 하고 또한 돌극과 같은 개수의 영구 자석 모듈을 갖는 전동기로 변형이 가능하다.
돌극과 영구 자석 사이에 자속이 흐를 때, 돌극과 영구 자석 사이 간격이 좁고, 자속이 돌극과 영구 자석 표면에 직각으로 흐르고, 돌극과 영구 자석 사이 간격이 돌극과 영구 자석이 접하는 표면 전체에서 일정해야 자속 누설을 줄일 수 있다. 돌극과 영구 자석 사이의 간격은 선형 전동기의 정밀도, 속도, 하중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고, 자속이 표면에 직각으로 흐를 수 있도록 영구 자석의 자화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돌극과 영구 자석 사이 간격이 돌극과 영구 자석이 접하는 표면 전체에서 일정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원형 링 형상의 코어(11)로부터 돌출한 돌극(12)에서, 코어(11)에서 가까운 부분에 코일(13)이 감기고 코어(11)에서 먼 단부를 부채꼴 형상으로, 즉 돌극(12)의 단부에서 코어(11)에서 가까운 부분의 호(Arc)가 코어(11)에서 먼 부분의 호보다 길게 하고 영구 자석(21)과 접하는 부분은 두 호의 끝을 직선으로 연결하여 영구 자석(21)과 나란하게 하는 것이 유리하다.
원주 방향으로 같은 각도에 있는 영구 자석들(21)을 고정하는 영구 자석 모듈(20)은 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진행 방향으로 영구 자석(21)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된다. 영구 자석(21)을 영구 자석 모듈(20)의 개구에 고정하는 데에는 종래의 어떠한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2차 부재의 연결부(22)에는 영구 자석 모듈(20)을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홈부가 진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영구 자석 모듈(20)에도 연결부(22)의 홈부에 끼우기 위한 돌출부가 진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영구 자석 모듈(20)의 돌출부를 연결부(22)의 홈부에 끼워 미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선형 전동기가 가동자의 진행 속도가 빠르지 않는 곳에 적용되는 경우, 코일에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가 높지 않기 때문에, 코어가 성층되지 않은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비가 절감되고 보다 내구성이 높은 구조로 양산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선형 전동기에 빠른 이송 속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인가되는 전원의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성층된 형태로 제조된 코어가 사용되어 코어에서 발생하는 와전류 손실과 히스테리시스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2 이상의 전기자 모듈과 2 이상의 영구 자석 모듈의 조합에 의해 진행 방향으로 추력이 발생하는 원리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전기자 모듈(10U, 10V, 10W)에 2개의 영구 자석(21) 세트(여기서 세트는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21) 전체를 가리킴)를 대응시키는 경우, 도 2의 위쪽 그림과 같은 전기자 모듈 3상과 영구 자석 2극의 조합이 된다.
도 2에서, U, V, W는, 도 1의 3개의 전기자 모듈(10U, 10V, 10W)에서 원주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위치에 놓인 돌극을 진행 방향으로 나열한 것이고, S/N은 상기 돌극 U, V, W에 대치되는 위치에 놓인 영구 자석을 나열한 것이다.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단일 위상의 전류를 공급하되, 3상인 경우 이웃하는 모듈과 120도의 위상차를 갖는 전류를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각각에 각각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3상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행 방향으로 번갈아 배치된 영구 자석 S 또는 N의 극 간격을 (1/2 주기 180도)로 할 때, 3개의 전기자 모듈이 2/3(120도)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영구 자석 S극과 N극 사이에 위치하는 돌극 V를 감은 코일에 (+) 방향으로 피크 값(P)의 교류 전류를 흘려 돌극 V가 N극이 될 때, 돌극 U와 W를 감은 코일에는 (-) 방향으로 피크 값(P)/제곱근(2) 크기의 교류 전류를 흘려 돌극 U와 W가 S극이 되므로, N극인 돌극 V가 영구 자석 S극에는 흡인력을 영구 자석 N극에는 반발력을 작용하여 영구 자석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돌극 V의 N극보다는 작은 크기의 자력으로 S극이 된 돌극 U와 W는 각각 영구 자석 S극과 영구 자석 N극에 반발력과 흡인력을 작용하지만 서로 상쇄되어 진행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영구 자석이 2/3 극 간격만큼 이동하여 이번에는 돌극 W가 영구 자석 S극과 N극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이 순간에는 각 돌극의 코일에 위상이 120도 진행한 전류를 흘리고, 돌극 W를 감은 코일에 (+) 방향으로 피크 값(P)의 교류 전류가 흘러 돌극 W가 N극이 되고, 돌극 U와 V를 감은 코일에는 (-) 방향으로 피크 값(P)/제곱근(2) 크기의 교류 전류가 흘러 돌극 U와 V가 S극이 된다. N극이 된 돌극 W가 영구 자석 S극에는 흡인력을 영구 자석 N극에는 반발력을 작용하여 영구 자석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는데, 마찬가지로 돌극 W의 N극보다는 작은 크기의 자력으로 S극이 된 돌극 U와 V는 각각 영구 자석 N극과 영구 자석 S극에 흡인력과 반발력을 작용하지만 서로 상쇄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영구 자석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각 전기자 모듈에 인가되는 3상의 전류가 돌극 U, V, W에 이동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이동 자석에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추력이 발생한다.
도 2의 돌극 U, V, W에는 코일이 같은 형태로 감긴 것으로 가정하고 있어서, 이웃하는 전기자 모듈의 대응되는 위치에 놓인 돌극에 같은 방향으로 코일이 감길 수 있다. 하지만, 이웃하는 전기자 모듈의 대응되는 위치에 놓인 돌극에 반대 방향으로 코일이 감길 수도 있다. 즉, U와 W는 같은 방향으로 코일이 감기고 V는 U, W와 반대 방향으로 코일이 감길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영구 자석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추력을 발생하도록 위상차를 갖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상적인 모델인 경우, 영구 자석을 이동시키는 추력은, 돌극과 영구 자석이 접하는 표면적의 합에 비례하고, 또한 진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기자 모듈의 개수에도 비례하여 커지게 되고,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 돌극을 감는 코일의 권선 수, 영구 자석의 자력 크기 등에도 비례 관계를 갖는다.
도 2의 첫 번째 예는 전기자 모듈 3상과 영구 자석 2극의 기본 조합에 대한 예이고, 도 2의 두 번째 예는 첫 번째 조합의 확장인 전기자 모듈 3상과 영구 자석 4극 조합에 대한 예로 추력이 발생하는 원리는 동일하고, 3상 8극 등의 조합도 가능하다.
일반화하면, 모터 상수의 배수가 되는 전기자 모듈의 수 S와 2(N극과 S극)의 배수인 영구 자석 모듈의 수 P의 조합을 기본으로 추력이 발생하는데, 여기서 모터 상수는 3상 전원으로 전기자를 구동하는 경우 3, 5상 전원으로 구동하는 경우 5로서, 3 이상의 홀수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모터 상수에 의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위상차가 결정된다.
이때, S와 P의 최소 공배수가 커질수록 추력의 리플(ripple)이 줄게 된다. 또한, S와 P의 비를 권선 계수라 하는데 1에 가까울수록 자기 회로의 대칭 효율이 높아서 유리하다. 표 1에 3상 모터의 경우 전기자 모듈과 영구 자석 모듈의 조합 관계가 나열되어 있는데, 9개의 전기자 모듈과 8개 또는 10개의 영구 자석 모듈의 조합이 효율이나 리플 관점에서 유리하다.
전기자 모듈 개수 영구 자석 모듈 개수
3 2 4
6 4 8
9 6 8 10 12
12 8 10 14 16
물론, S개의 전기자 모듈과 P개의 영구 자석 모듈이 공극을 통해 대치하는 부분의 길이(이동 방향으로의 길이)를 모터의 단위 길이라고 할 때, 다수의 전기자 모듈로 구성되는 1차 부재 또는 다수의 영구 자석 모듈로 구성되는 2차 부재 중 어느 한쪽은 단위 길이보다는 길게 구성해야 가동자를 이동시키는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유효 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즉, 1차 부재와 2차 부재가 겹치는 길이를 단위 길이보다 길게(전기자 모듈의 개수를 S개 이상 또는 영구 자석 모듈의 개수를 P개 이상) 구성해야 추력 발생을 위한 유효 거리를 확보하게 되고, 겹치는 길이에 비례하여 추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2상의 전원으로 전동기를 구동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 전기자 모듈을 영구 자석의 극 간격의 절반(/2)만큼 이격시킨 상태에서 90도 위상차가 나는 2상의 전류를 2개의 전기자 모듈에 흘리는 경우에도, 영구 자석을 한쪽으로 이동시키는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선형 전동기의 단면은 각 요소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전기자와 영구 자석에 의해 생기는 자기 흡인력이 상쇄되고, 가동자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에 외력을 발생시키지 않아 가이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1차 부재의 각 전기자 모듈에 진행 방향으로 UVW, UVW, UVW 순서로 3상 전류가 인가될 수도 있고, 대신 UuU, VvV, WwW 순서로 3상 전류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한데, 여기서 소문자는 대문자와 반대 위상의 전류가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1차 부재는 (1차 부재의 코어와 같은 재질인 강자성체로) 서로 연결되지 않고 독립된 전기자 모듈로 구성되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에 제공된다면 각 전기자 모듈에는 독립되고 같은 크기의 자속이 흐르게 되어 각 전기자 모듈을 통해 생성되는 추진력에 편차가 적어 추력에 리플이 적게 된다. 자속이 특정 돌극에 편중되지 않고 각 돌극을 통해 균일하게 분배되어 흐르기 때문에 전기자 모듈의 코어의 단면적이 작더라도 많은 자속을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전기자 모듈 사이에는 서로 독립된 자기 회로에 의한 자속이 흐르게 되므로, 가동자의 진행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는 자속이 없게 되어 진행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만 자속의 흐름이 발생하여 추력과 무관한 누설 자속이 적고, 모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진행 방향으로 극을 바꿔가면서 복수의 영구 자석(21)이 장착된 영구 자석 모듈(20)을 도시한 것으로, 전기자 모듈(10)의 돌극(12)에서 나온 자속 또는 돌극(12)으로 들어가는 자속이 지나가는 영구 자석(21)의 단면이 직사각형인 예와 평행 사변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돌극(12)과 영구 자석(21)을 통과하는 자속의 양은, 돌극(12)에서 나오거나 돌극(12)로 들어가는 자속의 분포가 일정하다고 할 때, 돌극(12)의 표면과 영구 자석(21)의 표면이 서로 겹치는 부분의 면적에 비례하게 된다. 추진력은 자속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2차 부재가 가동자로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영구 자석(21)이 이동하는 동안 돌극(12)과 영구 자석(21)을 통과하는 자속의 양은 돌극(12)과 영구 자석(21)의 표면을 컨벌류션(convolution)한 결과가 되고, 도 3의 오른쪽에 도시되어 있다.
영구 자석(63)을 향한 돌극(12)의 표면을 직사각형(가로가 진행 방향이고 세로가 도 1의 왼쪽 단면에서 내외주 방향)으로 가정할 때, 직사각형 표면의 영구 자석(21)이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극(12)의 직사각형 표면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은 도 3의 오른쪽 위 그림과 같이 사다리꼴이 되어, 두 표면이 겹치기 시작할 때, 두 표면이 완전히 겹칠 때, 완전히 겹친 두 표면이 겹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기 시작할 때, 일부 겹친 두 표면이 전혀 겹치지 않게 될 때 매끄럽지 않게 연결되는 점(두 직선이 만나는 점)이 발생한다.
즉, 추진력은 자속의 변화, 즉 돌극(12)과 영구 자석(21) 표면이 겹치는 면적의 변화에 비례하고, 돌극(12)과 영구 자석(21) 표면이 겹치는 면적을 미분한 값이 추진력과 관계가 있으므로, 도 3의 오른쪽 위 그림과 같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는 점이 있는 경우 그 점에서 추진력에 갑작스런 변화가 발생하고 리플(ripple)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평행 사변형 표면의 영구 자석(21)이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극(12)의 직사각형 표면과 겹치는 부분의 면적은, 도 3의 오른쪽 아래 그림과 같이 전체적으로는 사다리꼴 형상이지만 선과 선이 매끄럽게 연결되어 리플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전기자 모듈(10)의 돌극(12)에서 나온 자속 또는 돌극(12)으로 들어가는 자속이 지나가는 영구 자석(21)의 단면은 직사각형이나 평행 사변형에 한정되지 않고, 마름모, 원형 또는 타원형도 가능하고, 직사각형이나 평행 사변형의 네 귀퉁이를 자른 팔각형 모양도 가능하다.
2차 부재에서, 각 영구 자석 모듈(20)에 고정된 영구 자석(21)은 이웃하는 영구 자석 모듈(20)에 있는 대응하는 영구 자석(21)과 그 극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영구 자석 모듈(20)에 있는 대응하는 영구 자석(21)과 진행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놓이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즉, 도 4에서 영구 자석 모듈 A(20A)에서 영구 자석의 위치 오프셋(OFF_A)과 다른 영구 자석 모듈 B, C, D(20B, 20C, 20D)의 위치 오프셋(OFF _B, OFF _C, OFF _D)이 같은 값이 된다.
이 경우, 2차 부재가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돌극(12)과 영구 자석(21)의 표면이 겹칠 때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는 점(도 3의 오른쪽 위 그림과 같은 점들)이 같은 시간에 발생하여 리플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영구 자석의 위치 오프셋을 각 영구 자석 모듈(20)마다 서로 다르게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 모듈(20)에 대해서 다르게 조절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이웃하는 영구 자석 모듈(20)에 있는 대응하는 영구 자석(21)과 그 극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영구 자석(21)의 폭(진행 방향으로의 길이)에 비해 작은 값을 영구 자석의 위치 오프셋으로 해야 한다. 하나의 영구 자석(21), 즉 S극이나 N극인 한 극의 영구 자석(21)의 폭이 L이라 할 때, OFF _A, OFF _B, OFF _C, OFF _D를 예를 들어, 그 절대 값이 0.1L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이 다른 값을 갖도록 하여, 도 3의 오른쪽 위 그림과 같은 매끄럽게 연결되지 않는 점이 같은 시간에 중복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리플이 커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1차 부재에서 각 전기자 모듈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 전기자 모듈에서 하나 이상 돌극(가능하면 대칭되는 위치의 돌극)의 말단에 소정 모양의 홈을 파고, 홈에 대응되는 모양의 돌출부를 갖고 전기자 모듈 사이의 거리만큼 돌출부가 이격된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각 전기자 모듈을 결합할 수 있다.
또는, 각 전기자 모듈에서 코어 및/또는 하나 이상의 돌극(가능하면 대칭되는 위치의 돌극)의 말단에 구멍을 뚫고, 구멍이 뚫린 스페이서와 관통 볼트를 이용하여 전기자 모듈들을 결합함으로써, 각 전기자 모듈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행 방향에 수직으로 자른 2차 부재의 단면에 대응하도록 홈이 파인 단부 고정자 또는 브라킷을 2차 부재의 양끝에 배치하여, 영구 자석 모듈(20)이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도 5는 개방형 선형 전동기에 대한 변형 실시예이다. 도 5에서, 전기자 모듈(10) 코어(11)가 직선 형태이고, 이에 따라 돌극(12)도 코어(11)에서 직각으로 돌출하고 이웃하는 돌극(12)과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2차 부재의 영구 자석(21)도 나란히 놓인 두 돌극(12) 사이로 직선 형태의 코어(11)를 향해 돌출한다. 진행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영구 자석(21)은 영구 자석 모듈(20)에 고정될 수 있는데, 돌극(12) 사이의 영구 자석 모듈들(20)이 서로 나란히 배열되기 때문에, 일종의 지지 기구인 베이스가 복수의 영구 자석 모듈(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22)의 역할을 하여, 즉 베이스와 연결부(22)가 일체화되어 복수의 영구 자석 모듈(20)이 바로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13)은, 도 5와 같이 각 돌극(12)에서 코어(11)에 가까운 곳(코어(11)를 향해 돌출한 영구 자석(21)이 미치지 않은 위치)에 권선되거나, 도 6과 같이 두 돌극(12) 사이 코어(11)에 권선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의 선형 전동기는 각 전기자 모듈(10)에서 코어(11)와 돌극(12)이 직각을 이루고, 베이스와 영구 자석 모듈(20)도 직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제조 정밀도를 올릴 수 있고 금형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선형 전동기에서 2차 부재의 연결부를 변형한 실시예로, 도 7의 연결부(22')는 진행 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2차 부재가 외부 충격에 변형되더라도 쉽게 원상 복귀될 수 있고, 2차 부재의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8은, 2차 부재의 무게를 줄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선형 전동기의 2차 부재를 변형한 것으로, 영구 자석 모듈이 4개로 구성된 2차 부재에 대한 예이다.
도 1에서는 2차 부재의 각 영구 자석 모듈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한쪽은 선형 전동기의 중심에 위치하는 연결부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전기자 모듈의 코어를 향해 돌출하여 두 돌극 사이에 놓이고, 진행 방향으로 극이 바뀌는 복수의 영구 자석이 배치된다. 하지만, 도 8의 2차 부재에서는 각 영구 자석 모듈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따로 없고, 영구 자석 모듈이 서로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선형 전동기를 진행 방향과 수직으로 자른 단면에서 원주 방향의 각도 차이가 180도가 되는 2개의 영구 자석 모듈(또는 선형 전동기의 단면에서 중심을 지나는 직선(지름)을 공유하는 2개의 영구 자성 모듈)을 하나의 결합 모듈로 하고, 4개의 영구 자석 모듈을 사용하는 2차 부재에서는 2개의 결합 모듈(30A, 30B)이 있게 되고, 2개의 결합 모듈(30A, 30B)을 끼워서 2차 부재를 조립할 수 있다.
즉, 2차 부재에서 원주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각 영구 자석 모듈을 제 1 내지 제 4 영구 자석 모듈(20A, 20B, 20C, 20D)로 할 때, 제 1 영구 자석 모듈(20A)과 제 3 영구 자석 모듈(20C)이 하나의 제 1 결합 모듈(30A)이 되고, 제 2 영구 자석 모듈(20B)과 제 4 영구 자석 모듈(20D)이 제 2 결합 모듈(30B)이 되어, 두 결합 모듈이 끼움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2개의 결합 모듈을 끼워 조립하는 방법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결합 모듈(30A)은,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서로 다른 극의 영구 자석이 위와 아래에 2개 배치되고 진행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영구 자석이 극을 바꾸면서 다수 개 배치, 즉 진행 방향으로 2개의 영구 자석 열이 제 1 결합 모듈의 위와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위와 아래의 영구 자석 열 사이, 즉 제 1 결합 모듈의 중앙에는 제 2 결합 모듈을 끼우기 위한 관통 구멍(33)이 소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다.
제 2 결합 모듈(30B)은 진행 방향으로 분리된 하나 이상 복수 개의 영구 자석 케이스(34)로 구성되고, 각 영구 자석 케이스(34)에는 제 1 결합 모듈과 같이 진행 방향으로 2 열로 나열된 소정 개수의 영구 자석이 배열되고, 각 영구 자석 케이스(34)는 제 1 결합 모듈(30A)의 관통 구멍(33)에 끼워진다. 제 1 결합 모듈(30A)을 진행 방향을 향해 보았을 때 영구 자석 케이스(34a)를 먼저 왼쪽(또는 오른쪽)에서 끼우고 다음 영구 자석 케이스는(34b) 오른쪽(또는 왼쪽)에서 끼우는 것과 같이 진행 방향으로 엇갈리게 끼울 수 있다.
영구 자석 케이스(34)가 제 1 결합 모듈(30A)의 관통 구멍(33)에 끼워질 때, 영구 자석 케이스(34)에서 위와 아래에 위치하는 영구 자석의 중간 위치(영구 자석 케이스에서 점선 위치)에 제 1 결합 모듈(30A)이 위치할 수 있도록, 제 1 결합 모듈(30A)의 관통 구멍(33)에 끼워지는 부분과 끼워지지 않는 부분의 폭(진행 방향으로의 길이)이 다르게 단차를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즉, 영구 자석 케이스(34)에서 끼워지지 않는 부분의 단차가 제 1 결합 모듈(30A)의 관통 구멍(33) 사이에 걸려 영구 자석 케이스(34)가 더 이상 끼워지지 않게 된다. 또한, 임의의 영구 자석 케이스(34a)에서 관통 구멍(33)을 통과한 부분이 반대 방향에서 끼워지는 다음 영구 자석 케이스(34b)에서 관통 구멍(33)을 통과하지 않은 부분과 맞닿을 수 있도록, 영구 자석 케이스(34)에서 단차를 조절할 수 있는데, 끼워지는 부분의 폭(관통 구멍의 크기 또는 폭), 끼워지지 않는 부분의 폭, 관통 구멍 사이의 간격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결합 모듈(30A)와 다수의 영구 자석 케이스(34)가 결합된 이후에 결합 부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결합 강도를 올릴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영구 자석 케이스(34)를 고정하는 장치를 추가로 마련할 수도 있다.
도 8과 도 9는 4개의 영구 자석 모듈을 사용하는 선형 전동기에 대한 예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6개 또는 8개의 영구 자석 모듈을 사용하는 선형 전동기에도 적용이 가능한데, 이 경우 제 1 결합 모듈의 관통 구멍에서 영구 자석 케이스가 끼워지는 깊이 방향의 단면 모양이 달라질 수 있고, 영구 자석 케이스에도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다른 영구 자석 케이스가 끼워질 수 있다.
도 8과 도 9의 2차 부재에도, 영구 자석의 단면 모양을 평행 사변형으로 하거나 영구 자석의 위치 오프셋을 달리하는 도 3과 도 4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선형 전동기에서 2차 부재의 연결부 없이 복수의 영구 자석 모듈을 결합하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진행 방향에서 볼 때 영구 자석 모듈 또는 영구 자석 모듈이 결합된 결합 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각 영구 자석 모듈에 돌출부 및/또는 홈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연결부 없이 영구 자석 모듈끼리, 예를 들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서로 결합시켜 2차 부재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이웃하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구 자석 모듈을 결합하여 결합 모듈을 형성하고 다른 결합 모듈과 돌출부 및/또는 홈부를 통해 결합하여 2차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영구 자석 모듈끼리 또는 결합 모듈끼리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각 영구 자석 모듈 또는 결합 모듈에서 돌출부 및/또는 홈부는 진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진행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일부 구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2차 부재를, 모듈 형태로 조립하지 않고, 영구 자석을 고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개구를 형성한 상태로 주물로 형성하거나 통으로 가공할 수도 있다.
도 11은 직선 형태의 전기자 모듈 코어에서 직각으로 돌출한 돌극 사이에 2차 부재의 영구 자석 모듈이 코어를 향해 돌출한 도 5와 같은 개방형 선형 전동기의 2차 부재를 변형한 실시예이다.
도 11에서 영구 자석 모듈에는, 추진력의 리플을 줄일 수 있도록, 돌극에서 나오거나 돌극으로 들어가는 자속이 통과하는 영구 자석의 단면 모양이 직사각형이 아니라 평행 사변형인 도 3의 실시예가 적용된다.
하지만, 각 영구 자석 모듈의 영구 자석에 같은 방향의 평행 사변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이웃하는 영구 자석 모듈과는 서로 다른 방향의 평행 사변형을 적용하는 점에 차이가 있다. 즉, 제 1 영구 자석 모듈(20A)과 제 3 영구 자석 모듈(20C) 내의 영구 자석의 단면은 오른쪽으로 기운 형태의 평행 사변형이고, 제 2 영구 자석 모듈(20B)과 제 4 영구 자석 모듈(20D) 내의 영구 자석의 단면은 왼쪽으로 기운 형태의 평행 사변형이 된다.
1차 부재가 이동하면서 돌극이 평행 사변형의 예각을 형성하는 날카로운 부분을 지날 쯤 돌극의 한쪽(예를 들어 제 1 영구 자석 모듈(20A))의 영구 자석에서 평행 사변형의 날카로운 부분이 코어에서 가까운 쪽에서 돌극과 접하고 있고 돌극의 다른 쪽(예를 들어 제 2 영구 자석 모듈(20B))의 영구 자석은 평행 사변형의 날카로운 부분이 코어에서 먼 쪽에서 돌극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에 의해 발생하여 돌극의 말단을 향해 진행하는 자속 중에서 일부는 코어에서 가까운 쪽에서 제 1 영구 자석 모듈(20A)의 영구 자석을 향해 진행하고, 다른 일부는 코어에서 먼 쪽에서 제 2 영구 자석 모듈(20B)의 영구 자석을 향해 진행하게 된다.
즉, 코일에 의해 발생한 자속이 코어로부터 길게 돌출한 돌극의 한 곳에 집중되어 흐르지 않고 돌극의 위 아래에 고르게 분포하여 흐르게 된다. 따라서, 코어나 돌극의 두께를 키우지 않고 많은 양의 자속을 흘려 보낼 수 있고, 또한 자속이 분산되어 흐르므로 추진력에 리플이 줄게 된다.
도 11의 영구 자석 모듈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따로 마련하지 않고, 1차 부재의 코어에서 먼 부분에 돌출부 및/또는 홈부를 형성하여 이웃하는 영구 자석 모듈과 결합하여 2차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5의 개방형 선형 전동기를 복수 개 결합한 선형 전동기에 대한 실시예로, 4개의 도 5와 같은 개방형 선형 전동기를 결합하여, 즉 각 선형 전동기의 1차 부재끼리 결합하고 2차 부재끼리도 결합하여, 하나의 선형 전동기를 구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3개, 5개, 6개 또는 8개 등의 도 5의 개방형 선형 전동기를 결합하여 원하는 다양한 모양으로 3각, 4각, 5각, 6각, 8각 선형 전동기를 구현하여 공간 효율을 향상시키고 추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선형 전동기에 인가하는 전원을 조절하여, 예를 들어 같은 3상의 전원을 인가하더라도 서로 위상을 다르게 하여 리플을 줄일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를 구동하는 서보 시스템에 대한 간략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서 선형 전동기를 제외하고 다른 요소는 종래의 선형 전동기에 적용되는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서보 시스템은, 모터에 인가할 전류를 생성하는 구동 앰프, 구동 앰프로부터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 선형 전동기 가동자의 위치 또는 이동 속도를 감지하는 리니어 센서, 전류 센서 및/또는 리니어 센서에서 검출되는 신호를 기초로 제어 명령에 따라 구동 앰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 앰프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바꾸는 컨버터와 모터 구동에 필요한 전류를 생성하는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버터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전동기의 구동 방식에 맞는 전원, 예를 들어 2상 교류 전류, 3상 교류 전류, 2상 정류 전류, 3상 정류 전류 등을 생성하여 선형 전동기의 전기자 모듈에 인가할 수 있는데, 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전류의 진폭, 주파수 등을 바꾸어 가동자의 위치, 속도, 가동자를 이동시키는 추력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 전기자 모듈 11: 코어
12: 돌극 13: 코일
20, 20A, 20B, 20C, 20D: 영구 자석 모듈
21: 영구 자석 22, 22': 연결부
30, 30A, 30B: 결합 모듈 33: 관통 구멍
34, 34a, 34b: 영구 자석 케이스

Claims (18)

1차 부재 및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형 전동기에서,
상기 1차 부재는 복수의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기자 모듈은, 원형 링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의 자성체 코어, 상기 자성체 코어로부터 점대칭으로 돌출하는 4개의 돌극 및 코일로 구성되고, 각 돌극 또는 돌극 사이의 자성체 코어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2차 부재는, 2개의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을 포함하고, 두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이 서로 끼우는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각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은 선형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나열되는 2개의 영구 자석 열을 포함하고, 각 영구 자석 열은 복수의 영구 자석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되고, 4개의 영구 자석 열 각각은 서로 다른 돌극 쌍 사이에 놓이고,
상기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들을 영구 자석 세트라 할 때,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S개의 전기자 모듈과 2의 배수인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를 한 단위로 하여 진행 자계에 의한 추력이 생성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고,
상기 1차 부재 또는 상기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가동자가 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자가 되어 상기 생성되는 추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1차 부재 및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형 전동기에서,
상기 1차 부재는 복수의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기자 모듈은, 자성체 코어, 상기 자성체 코어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극 및 코일로 구성되고, 각 돌극 또는 돌극 사이의 자성체 코어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2차 부재는 복수의 영구 자석 모듈이 서로 끼우는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상기 자성체 코어를 향해 돌출하여 두 돌극 사이에 놓이고, 선형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복수의 영구 자석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되고,
상기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들을 영구 자석 세트라 할 때,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S개의 전기자 모듈과 2의 배수인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를 한 단위로 하여 진행 자계에 의한 추력이 생성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고,
상기 1차 부재 또는 상기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가동자가 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자가 되어 상기 생성되는 추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1차 부재 및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 선형 전동기를 복수 개 결합하여 구성되는 선형 전동기에서,
상기 1차 부재는 복수의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기자 모듈은, 직선 형상의 자성체 코어, 상기 자성체 코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3개 이상의 돌극 및 코일로 구성되고, 각 돌극 또는 돌극 사이의 자성체 코어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2차 부재는 상기 돌극의 개수보다 하나 작은 개수의 영구 자석 모듈을 포함하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상기 두 돌극 사이에 놓이고 선형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복수의 영구 자석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되고,
상기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들을 영구 자석 세트라 할 때,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S개의 전기자 모듈과 2의 배수인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를 한 단위로 하여 진행 자계에 의한 추력이 생성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고,
2개 이상의 1차 선형 전동기의 1차 부재와 2차 부재를 각각 서로 결합시켜, 상기 결합된 1차 부재 또는 상기 결합된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가동자가 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자가 되어 상기 생성되는 추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1차 부재 및 2차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형 전동기에서,
상기 1차 부재는 복수의 전기자 모듈을 포함하고,
각 전기자 모듈은, 직선 형상의 자성체 코어, 상기 자성체 코어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3개 이상의 돌극 및 코일로 구성되고, 각 돌극 또는 돌극 사이의 자성체 코어에 같은 위상의 전류가 흐르는 코일이 감기고,
상기 2차 부재는 상기 돌극의 개수보다 하나 작은 개수의 영구 자석 모듈을 포함하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두 돌극 사이에 놓이고 선형 전동기의 진행 방향으로 복수의 영구 자석이 극을 바꿔 가면서 배치되고,
상기 2차 부재에서 진행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같은 위치에 있는 영구 자석들을 영구 자석 세트라 할 때, 진행 방향으로 배치된 S개의 전기자 모듈과 2의 배수인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를 한 단위로 하여 진행 자계에 의한 추력이 생성되도록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전원이 각 전기자 모듈의 코일에 인가되고,
상기 1차 부재 또는 상기 2차 부재 중 어느 하나가 가동자가 되고 다른 하나가 고정자가 되어 상기 생성되는 추력에 의해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의 각 영구 자석에서 자속이 지나가는 단면은 같은 방향으로 기운 평행 사변형이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이웃하는 영구 자석 모듈과 평행 사변형의 기운 방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전기자 모듈에서 이웃하는 돌극의 극성이 서로 다르도록 코일이 감기고, 각 영구 자석 세트에서 각 영구 자석은 이웃하는 영구 자석과 서로 다른 극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의 자화 방향은 대응되는 두 돌극을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속이 지나가는 영구 자석의 단면은 직사각형, 평행 사변형,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 모듈의 영구 자석의 진행 방향으로의 위치 오프셋이 다른 영구 자석 모듈의 위치 오프셋과 다르되, 상기 영구 자석의 진행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소정 범위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영구 자석 열의 영구 자석의 진행 방향으로의 위치 오프셋이 다른 영구 자석 열의 위치 오프셋과 다르되, 상기 영구 자석의 진행 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소정 범위에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1차 부재 또는 상기 2차 부재의 길이는 상기 S개의 전기자 모듈과 P개의 영구 자석 세트로 이루어지는 한 단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S는 상기 소정의 위상차를 결정하는 상수의 배수 중 하나로 결정되고, 상기 상수는 3 이상의 홀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영구 자석 결합 모듈에서 두 영구 자석 열 사이에 진행 방향으로 긴 관통 구멍 하나 이상이 형성되고, 제 2 영구 자석 결합 모듈은 분리되는 하나 이상의 영구 자석 케이스를 포함하고, 각 영구 자석 케이스는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 케이스는, 2개의 영구 자석 열을 포함하고, 하나의 영구 자석 열은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지지 않고, 상기 관통 구멍에 끼워지지 않는 부분의 상기 진행 방향으로의 폭이 끼워지는 부분의 폭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 케이스를 상기 관통 구멍에 끼우는 방향이 이웃하는 영구 자석 케이스와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 케이스에서 관통 구멍에 끼워지지 않는 부분과 이웃하는 영구 자석 케이스에서 끼워진 부분이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끼워지는 않는 부분의 폭, 상기 관통 구멍의 폭, 및 상기 관통 구멍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2항에 있어서,
2 이상의 영구 자석 모듈이 하나의 결합 모듈을 형성하고, 각 결합 모듈이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2차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3항에 있어서,
각 영구 자석 모듈의 각 영구 자석에서 자속이 지나가는 단면은 같은 방향으로 기운 평행 사변형이고, 각 영구 자석 모듈은 이웃하는 영구 자석 모듈과 평행 사변형의 기운 방향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제 3항에 있어서,
각 1차 선형 전동기에 대해서 다른 1차 선형 전동기와 다른 위상의 전원이 1차 부재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전동기.
KR1020100129947A 2010-12-17 2010-12-17 선형 전동기 Withdrawn KR20120068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947A KR20120068356A (ko) 2010-12-17 2010-12-17 선형 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947A KR20120068356A (ko) 2010-12-17 2010-12-17 선형 전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356A true KR20120068356A (ko) 2012-06-27

Family

ID=4668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947A Withdrawn KR20120068356A (ko) 2010-12-17 2010-12-17 선형 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835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34B1 (ko) * 2012-09-14 2014-03-13 김홍중 선형 전동기
KR101478799B1 (ko) * 2013-07-31 2015-01-07 김홍중 선형 전동기
JP2021083308A (ja) * 2017-01-11 2021-05-27 インフィニトゥム エレクトリッ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軸方向磁界回転エネルギ装置用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11387728B2 (en) 2019-11-06 2022-07-12 Kovery Co., Ltd. Linear motor and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CN114744802A (zh) * 2022-05-20 2022-07-1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具有冷却机构的圆筒型电机
KR20220147861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코베리 전동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734B1 (ko) * 2012-09-14 2014-03-13 김홍중 선형 전동기
KR101478799B1 (ko) * 2013-07-31 2015-01-07 김홍중 선형 전동기
JP2021083308A (ja) * 2017-01-11 2021-05-27 インフィニトゥム エレクトリック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軸方向磁界回転エネルギ装置用のシステムおよび装置
US11387728B2 (en) 2019-11-06 2022-07-12 Kovery Co., Ltd. Linear motor and transport system using the same
KR20220147861A (ko) * 2021-04-28 2022-11-04 주식회사 코베리 전동기
CN114744802A (zh) * 2022-05-20 2022-07-12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具有冷却机构的圆筒型电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2636B1 (ko) 선형 전동기
KR100964538B1 (ko) 선형 전동기
JP5477126B2 (ja) リニアモータ
US5925965A (en) Axial flux reluctance machine with two stators driving a rotor
KR100443590B1 (ko) 리니어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64539B1 (ko) 선형 전동기
CN112769311B (zh) 线性马达和使用该线性马达的运输系统
KR20120068356A (ko) 선형 전동기
JP3360606B2 (ja) リニアモータ
JPH10174418A (ja) リニアモータ
KR101798548B1 (ko) 선형 전동기
US7138734B2 (en) Linear drive unit reducing stress generated in movable part in horizontal direction
KR101865354B1 (ko) 전동기
US20220166302A1 (en) Bipolar linear step motor
US6075774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frame check sequence
KR102612375B1 (ko) 전동기
JPS61277362A (ja) 3相リニア誘導子形同期モ−タ
KR100534109B1 (ko) 리니어 모터
KR100378809B1 (ko) 멀티형 리니어 모터
CN117203439A (zh) 磁性支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