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68107A -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와 매체의 융합에 의한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와 매체의 융합에 의한 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107A
KR20120068107A KR1020100128733A KR20100128733A KR20120068107A KR 20120068107 A KR20120068107 A KR 20120068107A KR 1020100128733 A KR1020100128733 A KR 1020100128733A KR 20100128733 A KR20100128733 A KR 20100128733A KR 20120068107 A KR20120068107 A KR 20120068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arbon nanotube
heating element
carbon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010B1 (ko
Inventor
김운학
Original Assignee
김운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학 filed Critical 김운학
Priority to KR1020100128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0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01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52Domestic applications
    • H05B1/0275Heating of spaces, e.g. rooms, wardrob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일러는 발열체, 제어장치, 순환장치, 본체로 구성되어 있다. 본발명품은 현장여건에 따라 얼마든지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는 대형보일러인 산업용이나 농업용에도 얼마든지 적용가능한 기술이다. 기존의 탄소 발열체에 비해 적은 전력으로 보다 높은 발열량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이 극대화되었다. 이를 위해 크게 세 가지의 핵심적인 사항이 있다. 첫째,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외줄로 격자모양으로 직조한다. 원하는 발열량을 얻기 위해 최적화된 두께, 길이, 폭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둘째,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의 변화를 안정적으로 진정시키고, 열 발생을 돕고, 열을 흡수하지 않고 외부로 효과적으로 발산시킬 소재가 필요했다. 본 발명에서는 다량의 음이온을 발산시키는 세라믹봉을 맥반석, 게르마늄석, 점토, 알루미나를 혼합 만들었다. 셋째,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탄소의 산화를 막기 위하여 매체를 사용하였다. 이 셋이 합하여 고효율의 발열체를 이루게 되었다. 이 셋의 적절한 조화가 이루어 지지 않을 때는 발열량이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가져 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한 고온의 열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제어장치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효율적인 제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본 발명품의 보일러는 다른 보일러에 비해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잔고장이 발생할 여지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와 매체의 융합에 의한 전기보일러 {Electric boiler of fusion according to carbon nanotube fiber heating element and medium }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를 이용하여 난 방수와 온수를 생산하는 전기 보일러이다.
1.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가 주류였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전기 보일러가 여러 가지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나 시장의 부응에는 제대로 대응치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가정용 전기보일러의 최소한 10Kw/h에서 수십Kw 이상의 전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누진세의 적용을 받으면 운영비가 올라가 경제성에서 문제가 있어서 주로 누진세의 적용을 받지 않는 상업용이나 공업용에 한정되어 사용되고 있다.
2. 최근 탄소필름난방이 주목을 받고 있으나 공기를 만나면 고온에서 산화되는 문제점과 습기에 의한 단락의 문제, 전자파발생, 온수사용 불 가능이라는 난제를 안고 있어서 일반 가정용으로는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탄소를 이용한 난방장치는 산화를 막기 위하여 필름을 코팅해서 바닥에 시공하고 있으나 습기로 의한 단락현상이나, 전자파, 온수사용 불가능 그리고 점차 줄어드는 효율 등이 극복하기 어려운 과제이다.
3. 탄소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을 매체를 통하여 간접가열방식으로 내부의 물에 전달할 때는 소요시간이 길고 높은 효율이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기 보일러의 발열체 주변에는 고온에 의한 기포와 기화현상에 의한 열효율저하가 문제이다. 탄소 발열체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때문에 고온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고, 고온발열체로 사용시에는 탄소재료를 산소로부터 차단한 가운데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고온의 탄소 발열체를 사용하는 경우 발열체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변화를 고려해야 한다.
4. 일반적인 전기보일러의 열원 중에 니크롬선을 사용하는 경우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급격한 열효율저하, 많은 전력소모량, 표면부식이 잘된다는 것이 문제다.
5. 본 발명은 위에 제시된 여러 문제를 일시에 해결하며, 99㎡를 기준으로 소비전력 3kw/h미만을 사용하여 온수와 난방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보일러이다.
1. 기존의 탄소 발열체는 150도의 고온 이상으로 올릴 수 없었다. 그 이유는 150도 이상 도달하면 발열체가 급속히 산화하여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2.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가 고온을 낼 때 지지체는 변형과 뒤틀림, 열팽창과 수축에 강하고, 안정적이며,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여 매체를 통하여 신속히 외부로 열을 전달하고, 방출되는 다량의 음이온은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산화방지와 발열을 도와주고, 높은 순발력과 효율 달성이 가능한 소재로 개발하고자 한다.
3.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이 고온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기포와 기화에 의한 효율저하를 방지하고자 한다. 발열체 주변에는 필연적으로 많으나 적으나 차이가 있을 뿐 고온의 기포 발생이 필수적이다. 이것이 열손실로 이어져서 보일러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는데, 이 손실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4. 전기보일러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모하는 구조이기에 누진세의 적용을 받는 가정용에는 적합하지 않았으나 난방면적 99㎡를 기준으로 3kw/h미만을 사용하여 온수와 난방을 동시에 충족시키는 효율을 달성하고자 한다.
1. 일반적인 탄소나노튜브섬유는 발열을 내는 소재이기는 하지만 다량의 발열을 내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그러나 이를 특수한 방법으로 직조하여 띠를 만들면 단시간에 대량의 발열을 낼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섬유 한 가닥을 사용하여 격자형 모양으로 반복해서 직조한다. 직조의 폭은 최소한 2㎠- 10㎠, 길이는 40㎠-100㎠, 폭은 0.1㎠-2㎠의 범위 내에서 직조되어야 효율적인 발열을 할 수 있다. 단 섬유 자체가 끊어진 것을 연결하거나, 매듭을 지어서 묶어서는 안 된다. 이렇게 제작된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는 최고 600도까지 발열이 가능하며, 이때 산화방지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은 매체를 사용하였다.
2.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의 기능을 완벽하게 지원할 소재로 세라믹 봉을 사용하였다. 금속성의 소재는 열을 흡수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세라믹은 열을 흡수하지 않고 반사하는 훌륭한 단열재이며, 열에 강하여 변형이 거의 없다. 이러한 특징은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 주는 최적의 소재이다. 세라믹봉은 맥반석 15%, 게르마늄석 20%, 점토 45%, 알루미나 20%를 혼합하여 1800도에서 12시간 소성 한다. 이렇게 제조된 세라믹 봉은 다량의 음이온을 방출하여 탄소나노튜브섬유가 고온을 발생시키는데 시너지 효과를 준다.
3.본 발명은 수 백도로 상승하는 열원이기 때문에 기포 발생과 기화현상으로 에너지 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당연하지만 열원 주위에 물을 빠른 속도로 흐르게 하여 기포 발생을 최소화 함으로서 이를 극복하였다. 그래도 발생한 고온의 기포는 보충 수 탱크로 연결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열을 회수함으로 손실되는 열을 최소화한다.
4.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는 일반적인 전기 발열체에 비해 고효율을 달성하였기 때문에 적은 소비전력으로도 충분한 열량을 얻을 수 있다. 난방면적 99㎡를 기준으로 3kw/h미만을 소비하는 것은 충분한 경제성이 있다.
일반적인 탄소 발열체는 약 150도를 넘으면 공기 중에 산화하거나 기능을 상실하게 되기 때문에 고온으로 발열시키기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 탄소 발열체의 열효율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약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고온의 열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어서 열 효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렇게 제작된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 봉은 가정용 보일러에 적용하여 기존의 가스 보일러나, 기름 보일러를 대체할 수 있으며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로 제작된 보일러의 효과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1) 가스, 기름 같은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폭발위험이 전혀 없다.
2)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Co2 발생이 획기적으로 적다.
3) 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가스 중독사고의 위험성이 전혀 없다.
4) 설치면적이 비교적 적다.
5) 소음이 적어서 보일러실이 아니라도 어디든지 설치가 가능하다.
6) 연료배관이나 연료탱크가 필요 없어 부대비용이나 기기값이 비교적 저렴하다.
7) 에너지원인 전기가 가스, 기름보다 비교적 저렴하다.
8) 복잡한 연소시스템이 없고 제어가 비교적 용이하여 잔고장 발생 요인이 적고 유지보수가 비교적 용이하다.
도면1. 특수 직조 된 탄소나노튜브섬유와 지지체인 세라믹을 결합하고, 매체가 들어있는 봉에 결합시킨 발열봉의 도면.
A. 전기단자 -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다.
B. 세라믹 봉 -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지지해주고 열을 외부로 반사해준다.
C. 매체 -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산화를 방지하고 발생한 열을 외부로 전달해 준다.
D. 탄소나노튜브섬유 - 열을 발생시킨다.
E. 동 봉 - 매체의 열을 물에 전달한다.
F. 순환펌프 - 물을 강제 순환시킨다.
G. 물 - 열을 흡수하여 난방과 온수에 사용된다.
H. 발열봉 통 - 발열장치를 감싸고 보호하며, 수로역할을 한다.
도면2.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직조방법에 관한 도면.
A. 한가닥으로 격자모양의 섬유를 직조하여 양쪽 끝에 나온 시작 끈과 마침 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도면3.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 봉을 사용한 전기보일러 개념도 도면
A. 접속단자 - 전원을 공급한다.
B. 컨트롤박스 - 보일러 각 부위의 온도와 동작을 조절한다.
C. 발열봉 - 열원으로서 보일러에 열을 공급한다.
D. 가열 수로 - 발열통 주위에 물이 흐르면서 기포 생성을 억제하며, 가열하는 장치이다.
E. 수통 - 순환펌프의 물이 발열봉에 접촉하게 하는 장치이다.
F. 본체 - 보일러의 본체로 단열 된 상태를 유지한다.
G. 순환펌프 - 보일러 내의 순환과 온수공급을 위한 장치이다.
H. 파이프 - 온수를 공급하는 파이프이다.
I. 리턴 파이프 - 사용된 용수가 회수되는 파이프이다.
J. 보충수 탱크 - 용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K. 바이패스 배관 - 보일러에서 발생한 고온의 공기를 보충 수 탱크로 배출한다.
1. 보일러를 제작함에 있어 사용하는 물의 양과 난방의 면적, 환경 등에 적합한 가장 효율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직조를 최적화할 필요가 있다. 적용대상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발열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탄소나노튜브섬유의 폭0.2㎝-10㎝, 두께0.1㎝-2㎝, 길이20㎝-100㎝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조합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한 가닥의 탄소나노튜브섬유를 격자 모양으로 직조하여 필요한 만큼의 두께, 폭, 넓이, 길이를 최적화하여 직조하는 것이다. 이때 끊어진 것을 매듭지어 연결해서 사용해서는 안되며, 처음부터 끝까지 연결된 외줄의 섬유로 직조되어야 원하는 발열을 얻을 수 있다.
2.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서는 금속성의 재료는 부적합하다. 금속성의 재료는 고온의 열을 견지지 못하고, 열팽창과 수축에 의한 변형과, 열을 내부로 흡수함으로 보일러의 순발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지탱하는 봉은 반드시 세라믹 봉이어야 한다. 세라믹은 다른 소재보다 단열성능이 우수하여 열을 발열체의 열이 신속히 외부로 전달되게 하며, 기타 전기 발열체의 단점인 순발력을 탁월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세라믹은 열에 의한 변형과 수축 팽창이 거의 없어서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준다.
3. 적용 대상에 최적화된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재원에 따라 세라믹 봉에 홈을 내어 가공한다. 이는 탄소나노튜브섬유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열 발산을 최적화하기 위함이다.
4.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섬유가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게 하는 것이 핵심요소이다. 최고 600도의 고온으로 상승하더라도 산화를 막을 방법이 필수적이다. 일반적으로 탄소는 150도를 넘으면 산화되어 그 기능을 지속하지 못한다. 이것이 탄소 발열체의 한계였으나 본 발명의 매체를 이용한 발열법은 150도 이상의 고온상태로 장시간 운전하여도 안전하게 보호된다. 그 이유는 탄소나노튜브섬유와 공기의 접촉을 근본적으로 매체가 차단함으로 산화를 막는다.
5. 발열봉의 밑부분에서 순환펌프를 이용하여 물을 순환시키고, 이때 적정온도로 가열된 물은 물탱크에 저장되었다가 사용된다.
6. 고온으로 달구어진 세라믹 봉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 프로그램과 한눈에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제어 창을 갖춘 컨트롤 박스가 필요하다.
없음

Claims (2)

  1. 효율적인 열 발생을 위한 탄소나노튜브섬유의 직조 조합의 범위에 대하여
    ( 폭 0.2㎝-10㎝, 두께 0.1㎝-2㎝, 길이 200㎝-1,000㎝)
  2. 세라믹 봉 제작방법 (맥반석 15%, 게르마늄석 20%, 점토 45%, 알루미나 20%)
KR1020100128733A 2010-12-15 2010-12-15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Expired - Fee Related KR101331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733A KR101331010B1 (ko) 2010-12-15 2010-12-15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733A KR101331010B1 (ko) 2010-12-15 2010-12-15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107A true KR20120068107A (ko) 2012-06-27
KR101331010B1 KR101331010B1 (ko) 2013-11-19

Family

ID=46686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7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331010B1 (ko) 2010-12-15 2010-12-15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0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862A (zh) * 2019-10-31 2020-09-01 深圳烯湾科技有限公司 碳纳米管发热织物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91336A (zh) * 2019-11-26 2020-03-17 衡阳凯新特种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工业炉的氮化硅加热棒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734B1 (ko) * 2004-07-23 2007-05-02 주식회사 하이카본 탄소섬유 히터를 이용한 전기 보일러
KR20090074843A (ko) * 2007-09-21 2009-07-08 주식회사 한진에너지 카본섬유 히터를 이용한 보일러
KR100983203B1 (ko) 2008-06-19 2010-09-20 이상덕 카본히터봉이 장착된 보일러
KR20100024168A (ko) * 2008-08-25 2010-03-05 전순희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약탕기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15862A (zh) * 2019-10-31 2020-09-01 深圳烯湾科技有限公司 碳纳米管发热织物及其制备方法
WO2021081887A1 (zh) * 2019-10-31 2021-05-06 深圳烯湾科技有限公司 碳纳米管发热织物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010B1 (ko)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23314B (zh) 用于储存热能的方法和设备
KR20160035905A (ko) 상변화물질을 이용하는 축열탱크
KR20120068107A (ko)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와 매체의 융합에 의한 전기보일러
CN111219882A (zh) 固体蓄热装置
JP2006336886A (ja) 複合式ヒータおよび該複合式ヒータを備えた暖房システム
TWI548854B (zh) 逆流熱虹吸向下傳熱裝置
CN206670038U (zh) 一种中低温地热锅炉
KR101463861B1 (ko) 복합 온수 생성 기능을 갖는 태양열 온수 보일러
KR20120106209A (ko) 합성유계 열매체유를 사용하는 난방장치
EP3130875B1 (en) System for storage of electrical energy
KR20120068106A (ko) 탄소나노튜브섬유 발열체와 매체의 융합에 의한 발열 시스템
CN210740510U (zh) 一种运用槽式太阳能光热转换采暖循环系统
KR20110116358A (ko) 열효율을 증대시킨 전기보일러용 온수탱크
KR200215989Y1 (ko) 전기 보일러
CN207569850U (zh) 一种新型余热锅炉的换热面
KR102308796B1 (ko)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원심탄소자력 열발생장치
CN222811739U (zh) 一种固体电蓄热蒸汽锅炉
KR100738374B1 (ko) 진공 전기 보일러
CN213067221U (zh) 储热装置
CN217560433U (zh) 一种混凝土蓄热供工业蒸汽系统
CN104075336A (zh) 一种能量回收装置
CN203823789U (zh) 一种燃气余热回收装置
KR20040041129A (ko) 난방용 파이프
KR102157099B1 (ko) 할로겐히터를 이용한 보일러
KR20080062418A (ko) 히트파이프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8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