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235A - Transfer system using pressurized capsule - Google Patents
Transfer system using pressurized caps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6235A KR20120066235A KR1020100127475A KR20100127475A KR20120066235A KR 20120066235 A KR20120066235 A KR 20120066235A KR 1020100127475 A KR1020100127475 A KR 1020100127475A KR 20100127475 A KR20100127475 A KR 20100127475A KR 20120066235 A KR20120066235 A KR 201200662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ort
- capsule
- pipe
- terminal
- transf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4—Conveying the articles in carriers having a cross-section approximating that of the pipe or tube; Tube mail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4—Conveying the articles in carriers having a cross-section approximating that of the pipe or tube; Tube mail systems
- B65G51/24—Swit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1/00—Conveying articles through pipes or tubes by fluid flow or pressure; Conveying articles over a flat surface, e.g. the base of a trough, by jets located in the surface
- B65G51/04—Conveying the articles in carriers having a cross-section approximating that of the pipe or tube; Tube mail systems
- B65G51/36—Other devices for indicating or controlling movements of carriers, e.g. for supervising individual tube sections, for counting carriers, for reporting jams or other operating difficul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21—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by modifying the orientation or position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화물운송수단인 화물차나 선박, 비행기 등에 비해 환경친화적이면서 교통량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화물차 운송에 비해 도심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24시간의 화물 이송을 가능하게 하며, 물류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게 하는 무공해 물류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출발지 터미널에서 도착지 터미널까지 연결되도록 시공된 메인 이송배관과; 상기 메인 이송배관 내부에서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가압용 유체의 압력에너지에 의해 메인 이송배관을 따라 이송되는 운송캡슐과; 상기 출발지 터미널 및 상기 메인 이송배관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용 이송배관의 내부로 가압용 유체를 분사하여 가압용 유체의 압력에너지가 상기 운송캡슐의 후면부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운송캡슐이 메인 이송배관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가압설비;를 포함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이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transport system, which is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red to a conventional freight transport vehicle such as a truck, a ship, and a plane, and can quickly transport cargo regardless of the traffic volume, without harming the beauty of the city compared to transportation of a truck.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 pollution-free logistics transfer system that enables 24 hours freight transfer and significantly reduces logistics cos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ain transport pipe constructed to be connected from the departure terminal to the arrival terminal; A transport capsule which is transported along the main transport pipe by the pressure energy of the pressurized fluid while the cargo is loaded in the main transport pipe; The transport capsule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tarting terminal and the main transport pipe, and the pressurized fluid is injected into the tunnel transport pipe so that the pressure energy of the pressurized fluid acts on the rear side of the transport capsule. Disclosed is a logistic conveying system using a pressurized conveying capsule comprising a pressurizing facility to be conveyed alo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화물운송수단인 화물차나 선박, 비행기 등에 비해 환경친화적이면서 교통량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지상의 미관을 최대한 해치지 않으면서 24시간의 화물 이송이 가능하며, 물류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는 무공해 물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transport system, more specifically,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red to conventional freight transport means such as a truck, a ship, a plane, etc. can be transported quickly regardless of the traffic volume, if not hurt the aesthetics of the ground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transport freight 24 hours a day, and it relates to a pollution-free logistics transfer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logistics costs.
오늘날 화물이나 서류 등을 어느 장소까지 배달하거나 전달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화물운송방법으로는 자동차나 기차를 이용한 육상운송방법과,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운송방법과,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Cargo transportation methods used to deliver or deliver cargo or documents to any place can be classified into land transportation using automobiles or trains, air transportation using airplanes, and marine transportation using ships. .
이러한 화물운송방법에 있어서 화물차를 이용한 육상운송방법은 운송비용이 가장 저렴하고 육지로 연결된 곳에서 주로 사용되는 화물운송방법이고, 화물을 운송하고자 하는 곳이 육지가 아닌 섬이나 해외 등과 같이 바다(해상)를 건너야 할 경우에는 비행기를 이용한 항공운송방법이나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방법이 이용되고 있다.In such a freight transportation method, a land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freight vehicle is a freight transportation method that is mainly used at a place where transportation cost is the lowest and connected by land, and the place where the cargo i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sea (sea, etc.) In case of crossing), air transportation by plane or sea transportation by ship is used.
특히, 섬이나 해외 등과 같이 바다를 건너야 하는 화물운송에서는 비행기를 이용한 화물운송이 가장 신속하고 안전하기는 하나, 화물운송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고, 비행기 이착륙 시설이 없는 근해의 섬 등에는 적용이 불가하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argo transportation that needs to cross the sea, such as islands or overseas, transportation by plane is the fastest and safest, but it requires a lot of costs for cargo transportation. Not applicable
따라서, 해안 인근의 섬 등에는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방법은 배의 느린 이동속도로 인해 운송시간이 많이 소요된다.Therefore, the marine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ship is mainly used on the island near the coast, the marine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ship takes a lot of transport time due to the slow moving speed of the ship.
또한 화물차 등의 자동차를 이용하는 육상운송방법은 도로의 교통량이 늘어남에 따라 제시간에 화물을 목적지까지 운송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화물차 자체가 많은 공해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교통의 흐름을 막거나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등 이용에 있어 문제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In addition, the land transportation method using a car such as a truck is difficult to transport the cargo to the destination on time as the traffic volume on the road increases, and the truck itself not only causes a lot of pollution, but also prevents the flow of traffic or aesthetics of the city. It is true that there is a problem in use such as hatching.
더욱이 화물차가 번잡한 도심 구간을 이동하게 되면 물류운송시간의 손실이 매우 막대하고, 이러한 시간적 손실은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유발하여 물류비용을 크게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In addition, when the truck moves through the busy downtown area, the loss of logistics transportation time is enormous, and this time loss causes additional cost, which greatly increases the logistics cost.
더구나 최근에는 화물차의 도심 진입을 시간제로 통제하거나 대규모 화물차의 도심 출입을 봉쇄하는 등 많은 정책들이 수행되고 있다.
Moreover, in recent years, many policies have been carried out, such as controlling the entry of trucks into the city part-time or blocking the entry of large trucks into the ci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종래의 화물운송수단인 화물차나 선박, 비행기 등에 비해 환경친화적이면서 교통량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화물차 운송에 비해 도심의 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24시간의 화물 이송을 가능하게 하며, 물류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게 하는 무공해 물류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nvironmentally friend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freight transport means such as a truck, a ship, a plane, and can transport the cargo quickly regardless of the traffic volume, compared to the truck transpor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non-hazardous logistics transfer system that enables 24 hours of freight transfer without compromis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significantly reduces logistics cos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출발지 터미널에서 도착지 터미널까지 연결되도록 시공된 메인 이송배관과; 상기 메인 이송배관 내부에서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가압용 유체의 압력에너지에 의해 메인 이송배관을 따라 이송되는 운송캡슐과; 상기 출발지 터미널 및 상기 메인 이송배관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용 이송배관의 내부로 가압용 유체를 분사하여 가압용 유체의 압력에너지가 상기 운송캡슐의 후면부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운송캡슐이 메인 이송배관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가압설비;를 포함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transport pipe constructed to be connected from the departure terminal to the arrival terminal; A transport capsule which is transported along the main transport pipe by the pressure energy of the pressurized fluid while the cargo is loaded in the main transport pipe; The transport capsule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tarting terminal and the main transport pipe, and the pressurized fluid is injected into the tunnel transport pipe so that the pressure energy of the pressurized fluid acts on the rear side of the transport capsule. It provides a logistic conveying system using a pressurized conveying capsule comprising a; pressurizing facility to be transported along.
여기서, 상기 메인 이송배관의 도중에 내부단면적이 확장된 형태의 방향전환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방향전환터미널에서 분기된 분기형 이송배관의 종단에 별도의 추가적인 도착지 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운송캡슐에는 방향전환터미널 내부에서 방향전환하여 목적지가 되는 도착지 터미널의 분기형 이송배관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전환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a direction change terminal having an extended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main transfer pipe, and an additional destination terminal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branch transfer pipe branched from the direction change terminal, and the transport capsule has a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redirection device for moving in the divergent transfer pip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to the destination by changing the direction inside the conversion terminal.
또한 상기 운송캡슐의 외부면에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바코드가 부착되고, 상기 바코드의 운송정보는 방향전환터미널 입구측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독출되어 중앙제어시스템에 입력되며, 상기 중앙제어시스템은 운송캡슐과 통신하여 운송캡슐이 목적지가 되는 도착지 터미널로 연결된 분기형 이송배관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전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ar code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transport capsule to provide transport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port information of the bar code is read out by a bar code reade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redirection terminal and inputted to the central control system. The central control system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edirection device in communication with the transport capsule so that the transport capsule can be guided to the branch transfer pipe connected to the destination terminal to the destination.
또한 상기 방향전환장치는 운송캡슐의 선단에 정, 역 구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운송캡슐의 선단부에 내장되어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구동시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direction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peller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transport capsule to enable forward, reverse driving, and an actuator for rotating the propeller is built in the front end of the transport capsule.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는 구동축에 상기 프로펠러가 장착되고 운송캡슐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력을 받아 구동되는 전기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tu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eller is mounted on the drive shaft is an electric motor driven by the power of the battery built in the transport capsule.
또한 상기 도착지 터미널의 입구측에는 운송캡슐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가압용 유체를 분사하여 운송캡슐이 도착지 터미널에 진입 및 도착 직전에 운송캡슐의 속도를 줄여주는 역가압설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let sid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 pressure injection equipment for reducing the speed of the transport capsule immediately before the arrival and arrival of the transport capsule by the injection of the pressurized fluid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travel direction.
또한 상기 역가압설비는 가압용 유체인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가압기와, 상기 가압기의 출구단에서 이송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가압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이송배관 주변을 따라 운송캡슐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유도한 뒤 토출구를 통해 이송배관 내부로 토출하는 가압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verse pressurizing device is a pressurizer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ir, which is a pressurizing fluid,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veying pipe at the outlet of the pressurizer,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pressurizer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veying pip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ure pipe for inducing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conveying pipe through the discharge port.
또한 상기 운송캡슐의 외부면에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바코드가 부착되고, 상기 바코드의 운송정보가 메인 이송배관 도중의 방향전환터미널 입구측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독출되어 중앙제어시스템에 입력되며, 상기 중앙제어시스템은 운송캡슐의 바코드 정보에 따라 역가압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bar code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transport capsule to provide transport information including destination information, and the transport information of the bar code is read out by a bar code reader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redirection terminal during the main transport piping, thereby providing central control. Entered into the system, the central control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ack pressure facility accor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또한 상기 운송캡슐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전체적인 외형이 유선형 선단부를 가지는 탄환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port capsule has an inner space for loading the cargo while the overall appearance is manufactured in a bullet shape having a streamlined front end,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 is installed.
또한 상기 가압설비는 가압용 유체인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가압기와, 상기 가압기의 출구단에서 메인 이송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가압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메인 이송배관 주변을 따라 운송캡슐의 진행방향으로 유도한 뒤 토출구를 통해 메인 이송배관 내부로 토출하는 가압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surization equipment is a pressurizer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ir, which is a pressurizing flui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main conveying pipe at the outlet end of the pressurizer and the air supplied from the pressurizer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conveying pipe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essure pipe for inducing and discharge into the main transport pipe through the discharge port.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에 의하면, 화물이 적재된 운송캡슐을 공기의 압력에너지를 이용하여 지중 또는 해저의 이송배관을 통해 운송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화물운송수단인 화물차나 선박, 비행기 등에 비해 환경친화적이면서 교통량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지상의 미관을 최대한 해치지 않으면서 24시간의 화물 이송이 가능하며, 물류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는 무공해 물류 이송 시스템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logistic transport system using a pressure-feeding caps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method for transporting the transport capsule loaded with cargo through the transport pipe of the ground or seabed using the pressure energy of air, It is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than freight vehicles, ships, and airplanes, and can carry cargos quickly regardless of traffic volume, and can transport freight for 24 hours without damaging the aesthetics of the ground as much as possible.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pollution-free logistics transport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에서 해저를 통과하여 물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운송캡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에서 이송배관 내에 위치된 운송캡슐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 이송배관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고, (b)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에서 가압설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가압에 의해 운송캡슐이 추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에서 공기 가압에 의해 이송된 운송캡슐이 방향전환터미널에서 목적지인 터미널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에서 역가압설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출발지 터미널에 구비되는 가압설비와 게이트의 배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송배관에 구비되는 가압설비와 게이트, 릴리스 밸브의 배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a pressure transfer caps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logistics transport is made through the seabed in the logistics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used in the logistics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ort capsule located in the transport pipe in the logistics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based on the transport pipe, (b) is a cross-sectional view.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urization equipment in the logistics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port capsule is pushed by the pressuriza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nsport capsule conveyed by air pressure in a logistics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rom a redirection terminal to a destination terminal.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everse pressure installation in the logistics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the pressurization facility and the gate provided in the departure terminal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ate of the pressurization facility and the gate, the release valve provided in the transfer pip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100)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100)에서 해저를 통과하여 물류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된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또한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100)에서 이용되는 운송캡슐(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4는 도어(131)를 개방한 상태의 운송캡슐(30)을 도시한 것이다.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30 used i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에서 이송배관 내에 위치된 운송캡슐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a)는 이송배관을 기준으로 하는 종단면도이고, (b)는 횡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port capsule located in the transport pipe in the logistics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based on the transport pipe, (b) is a cross-sectional view.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100)에서 가압설비(111,1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가압에 의해 운송캡슐(130)이 추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In addition,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equipment (111, 112) in the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100)에서 공기 가압에 의해 이송된 운송캡슐(30)이 방향전환터미널(102)에서 목적지인 도착지 터미널(103a,103b)로 이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방향전환터미널(102)을 통과한 운송캡슐(130)이 원래의 목적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추가 가압되는 상태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In addition, Figure 7 is a state in which the transport capsule 30 transported by air pressure i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건이나 서류 등의 각종 화물(1)을 적재한 운송캡슐(130)을 공기의 압력에너지를 이용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채용한 것이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a pressurized transfer capsule, a method of transporting a
이러한 본 발명의 물류 이송 시스템(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발지 터미널(101)에서 도착지 터미널(104)까지 연결되도록 시공된 메인 이송배관(105)과; 상기 메인 이송배관(105) 내부에서 화물(1)을 적재한 상태로 가압용 유체의 압력에너지에 의해 메인 이송배관(105)을 따라 이송되는 운송캡슐(130)과; 상기 출발지 터미널(101) 및 상기 메인 이송배관(105)의 도중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메인 이송배관(105)의 내부로 가압용 유체를 분사하여 가압용 유체의 압력에너지가 상기 운송캡슐(130)의 후면부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운송캡슐(130)이 메인 이송배관(105)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가압설비(111,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물류 이송 시스템(100)에서 물류 이송의 도착지가 되는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은 복수개가 될 수 있고, 이 경우 메인 이송배관(105)에서 각각의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로 분기되는 분기지점에 운송캡슐(130)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방향전환터미널(102)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방향전환터미널(102)에서 각각의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로 분기 연결되는 분기형 이송배관(106)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may be a plurality of
즉, 메인 이송배관(105)의 도중에 내부단면적이 확장된 형태의 방향전환터미널(102)이 설치되고, 상기 방향전환터미널(102)에서 분기된 분기형 이송배관(106)의 종단에 각각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이 설치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middle of the
또한 각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의 입구측에는 운송캡슐(130)이 메인 이송배관(105)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통과하여 도착지 터미널에 진입 및 도착하기 직전에 운송캡슐(130)의 속도를 줄이기 위한 역가압설비(12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t the inlet side of each of the
상기 역가압설비(1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의 입구측 이송배관(15,106)에 설치되어 운송캡슐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가압용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운송캡슐(130)의 속도를 줄여주는 구성을 가진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출발지 터미널(101)과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은 화물이 출발되고 도착되는 각 도시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고, 이 경우 화물을 탑재한 운송캡슐(30)의 이송통로가 되는 메인 이송배관(105)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은 도시 간을 연결하는 터널형 관을 시공하여 구성되는 직선형 관로가 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물론, 상기한 본 발명의 물류 이송 시스템(100)이 보다 협소한 개념으로 마을과 마을 사이, 건물과 건물 사이의 화물을 운송하는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는 육지와 섬, 또는 보다 광의 개념으로 대륙과 대륙 사이의 이송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above-described
이 경우에도 기본 구성요소, 즉 출발지와 도착지에 건설되는 터미널(101,103a,103b,104), 출발지 터미널(101)과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이송배관(105)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 출발지 가압설비(111), 중간가압설비(112), 역가압설비(123) 등의 구성이 동일하게 구비된다. In this case, too, the main components, that is, the
또한 상기 메인 이송배관(105)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은 출발지 터미널(101)에서 도착지 터미널(104)까지 운송캡슐의 이송통로로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중이나 지상, 해저 등에 시공되는 것으로, 도 1은 지중이나 지상에 메인 이송배관(105,106)을 설치한 실시예를, 도 2는 해저에 메인 이송배관(105)을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다.In addition, the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이송배관(105)을 해저에 설치한 경우 바다를 사이에 두고 있는 섬과 육지, 대륙과 대륙 간의 운송이 가능해진다. As shown in FIG. 2, when the
물론, 도 2의 구성에서도 도 1에 도시된 방향전환터미널(102)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 복수개의 도착지 터미널(103a,103b)을 설치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Of course, even in the configuration of FIG. 2,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ystem by installing the
또한 메인 이송배관(105)과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해저가 아닌 강이나 호수의 바닥 또는 바닥 아래의 지중을 통과하도록 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veying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이송배관(105)과 분기형 이송배관(106)은 소정 직경(예, 2m)의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관(Prestressed Concrete Pipe)를 지중에 매립하거나 지상에 고정 설치하여 시공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관을 하나의 통로를 형성하도록 연결하여 시공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ain conveying
바람직하게는, 가압공기의 압력으로 매우 큰 내압(예, 최대 10kgf/㎠)이 걸리게 되므로 고압에도 견딜 수 있는 코어식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관(Core type Prestressed Concrete Pipe)을 사용하여 시공될 수 있다.Preferably, since a very large internal pressure (eg, up to 10 kgf / cm 2) is applied to the pressure of the pressurized air, it may be constructed using a core type prestressed concrete pipe that can withstand high pressure.
도 1의 구성에서, 도면부호 104의 도착지 터미널은 도면부호 103a, 103b의 도착지 터미널과 마찬가지로 방향전환터미널(102)에서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통해 연결된 또 하나의 도착지 터미널로도 볼 수 있으나, 메인 이송배관(105)의 종단에 설치된 도착지 터미널로도 볼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the
이 경우 방향전환터미널(102)은 메인 이송배관(105)의 도중에 설치된 것이 되고, 이 방향전환터미널(102)에서 분기된 두 분기형 이송배관(106)의 종단에 각각 도착지 터미널(103a,103b)이 설치된 것이 된다. In this case, the
이에 도 1에서 방향전환터미널(102)과 도면부호 104의 도착지 터미널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에는 메인 이송배관을 나타내는 도면부호 105와 분기형 이송배관을 나타내는 도면부호 106을 병기하여 나타내었다. Accordingly, in Fig. 1, the pipe connecting the
상기 가압설비(111,112)는 메인 이송배관(105) 내부로 운송캡슐(130)의 이송을 위한 유체의 압력에너지를 가하게 되는 구성부로서, 출발지 터미널(101)에 구비되는 출발지 가압설비(111)와 더불어, 메인 이송배관(105)에 설치되어 운송캡슐(130)의 이송을 위해 추가적인 유체의 압력에너지를 가하게 되는 복수개의 중간가압설비(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시한 각 분기형 이송배관(106)에도 중간가압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illustrated in FIG. 1, intermediate pressurization equipment may be installed in each
또한 상기 운송캡슐(130)은 화물 탑재 및 이송용 장치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길이(예, 7m) 및 직경(예, 1.5m)을 갖는 원형 단면의 원통형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송배관(105,106) 내에서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고 마찰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이송배관(105,106)의 내벽면에 구름이동하는 복수개의 바퀴(133,133a)가 장착된 구조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운송캡슐(130)은 예시된 바와 같이 화물(1)을 적재할 수 있는 내부공간(132)을 가지면서 전체적인 외형이 유선형 선단부를 갖는 탄환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운송캡슐(30)에 장착되는 바퀴는 운송캡슐(130)의 하부면에 장착되어 운송캡슐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이송배관(105,106)의 바닥면을 구름이동하는 주 추진바퀴(133)와, 운송캡슐(130)의 상부면에 장착되어 이송배관(105,106)의 상부 내벽면을 구름이동하는 보조바퀴(133a)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heel is mounted on the transport capsule 30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결국, 이들 바퀴(133,133a)의 구름이동에 의해 운송캡슐(130)은 이송배관(105,106)의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속 이동하는 운송장치가 될 수 있으며, 고속 이동시에 운송캡슐(130)과 이송배관(105,106) 내벽면 간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운송캡슐(30)은 내부공간(132)에 화물(1)을 적재하거나 내부공간(132)의 화물(1)을 외부로 적하할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132)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131)가 설치된 구조로 구비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 capsule 30 loads the
아울러, 상기 운송캡슐(130)은 방향전환장치를 구비하는데, 이는 방향전환터미널(102)에서 목적지가 되는 도착지 터미널(103a,103b)이 연결된 분기형 이송배관(106)으로 운송캡슐(130)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는데 사용된다(도 7 참조).In addition, the
즉, 상기 방향전환장치는 선택된 분기형 이송배관(106)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운송캡슐(130)의 이동방향을 전환시켜주는 장치인 것이다.That is, the redirection device is a device for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상기 방향전환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운송캡슐(130)의 선단에는 방향전환을 위하여 정, 역 구동이 가능한 프로펠러(135)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운송캡슐(130)의 선단부에는 상기 프로펠러(135)를 회전구동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redirection device, first, the front end of the
상기 프로펠러(135)의 회전구동을 위한 액츄에이터는 구동축에 상기 프로펠러(135)가 장착되고 운송캡슐(130)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력을 받아 구동되는 전기모터가 될 수 있다.An actuator for rotating the
상기와 같은 방향전환장치에서 프로펠러(135)의 회전방향에 따라 운송캡슐(130)은 방향전환터미널(102) 내에서 좌우 어느 한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는데, 예컨대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좌측으로,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우측으로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프로펠러(135)가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운송캡슐이 원하는 방향으로 방향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본 발명에서 운송캡슐(130)은 이송배관(105) 내에서 공기의 가압으로 고속 주행하다가 방향전환터미널(102) 내에 진입한 상태에서는 속도가 줄어들게 되는데, 저속상태의 운송캡슐(130)이 날개가 없는 원형 단면의 원통형 구조이므로 선단부의 프로펠러(135)가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렇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선택된 분기형 이송배관(106)으로 진입한 뒤 원하는 도착지 터미널에 최종 도착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state of change is made to enter the selected
상기 운송캡슐(130)은 가볍고 고강도를 갖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경량, 고강도의 금속소재 또는 FRP 등의 복합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 화물적재공간(132)의 용량이나 화물적재 허용 중량 등은 주로 운송되는 화물(1)의 종류나 시스템의 용량 및 운송비용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운송캡슐(130)의 외부면에는 목적지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바코드(139)가 부착되며, 바코드(139)의 운송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향전환터미널(102)의 입구측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기(141)에 의해 독출되어 중앙제어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 입력되게 된다.Then, a
아울러,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송캡슐(130)이 원형 단면의 유선형 몸체를 가지는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메인 이송배관(105)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은 원형 단면을 갖는 배관으로 시공될 수 있고(도 5 참조), 이때 메인 이송배관(105)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의 내경을 운송캡슐(130)의 외경에 대략 일치되는 크기로 시공하여, 운송캡슐(130)이 그 후측에 작용하는 공기 등 가압용 유체의 가압력(가압설비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 추진될 때 장거리 이송될 수 있는 충분한 힘이 운송캡슐(130)에 작용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가압설비(111,112)에 대해 설명하면, 가압설비(111,112)는 가압용 유체로서 고압의 공기를 운송캡슐(130)의 후측으로 분사하여 운송캡슐(130)이 메인 이송배관(105) 또는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운송캡슐(130)을 뒤에서 가압해주는(밀어주는) 구성부이다.Next, referring to FIG. 6, the pressurizing
이렇게 가압설비(111,112)가 고압으로 공기(가압용 유체)을 운송캡슐(130)의 후측으로 분사하여 운송캡슐(130)을 밀어줌으로써, 가압용 유체의 압력에너지가 운송캡슐(130)의 후면부에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에너지에 의해 운송캡슐(130)이 메인 이송배관(105)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따라 이송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설비(111,112)는 가압용 유체인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공급하는 가압기(113)와, 상기 가압기(113)의 출구단에서 메인 이송배관(105) 또는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가압기(113)에서 공급되는 가압용 유체를 메인 이송배관(105) 또는 분기형 이송배관(106) 주변을 따라 운송캡슐(130)의 진행방향으로 유도한 뒤 토출구(115)를 통해 메인 이송배관(105) 또는 분기형 이송배관(106) 내부로 토출하는 가압관(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surization equipment (111, 112) is a
상기 가압기(113)는 공기를 고압으로 공급할 수 있는 송풍기 또는 압축기, 고압 펌프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가압관(114)은 가압기(113)의 출구단에서 메인 이송배관(105) 또는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둘러싸도록 연장 설치되는 관으로서, 가압관(114)의 토출구(115)가 메인 이송배관(105) 또는 분기형 이송배관(106)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된다.The
이로써 가압기(113)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가압관(114)을 통해 메인 이송배관(105) 또는 분기형 이송배관(106)의 내부로 분사될 수 있게 되며,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에너지로 운송캡슐(130)을 밀어줄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air supplied by the
또한 역가압설비(123)는 각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8은 역가압설비(123)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구성상으로는 상기한 출발지 가압설비(111)나 중간가압설비(112)의 구성과 비교할 때 크게 차이가 없다.In addition, the
다만, 역가압설비(123)는 메인 이송배관(105) 또는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통해 도착지 터미널(103a,103b,104)로 진입하는 운송캡슐(130)의 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설비로서, 특히 공기의 압력에너지를 가압관(125)을 통해 도착지 터미널로 진입하는 운송캡슐(130)의 전면부에 작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However, the
즉, 가압기(124)가 고압으로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게 되면, 가압기(124)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가압관(125) 및 그 토출구(125a)를 통해 메인 이송배관(105) 또는 분기형 이송배관(106) 내부로 분사되고, 이때 고압의 공기가 운송캡슐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분사되어 운송캡슐(130)의 전면부에 작용되게 된다. That is, when the
이와 같이 고압의 공기가 역방향으로 분사되면서 그 압력에너지가 운송캡슐(130)의 전면부에 작용하게 되어, 고속으로 진입하는 운송캡슐(130)의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되고, 속도가 저감된 운송캡슐(130)이 안정적으로 도착지 터미널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As the high-pressure air is injec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ressure energy acts on the front portion of the
한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도착지 터미널(103a,103b)로 연장된 분기형 이송배관(106)이 메인 이송배관(105)에서 분기되는 지점에는 내부단면적이 확장된 형태의 방향전환터미널(102)이 건설되는데, 이 방향전환터미널(102)의 입구측에는 운송캡슐(130)의 외부면에 부착된 바코드(139)의 정보를 읽어들이는 바코드 리더기(141)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7, the branched
상기 바코드 리더기(141)에 의해 읽혀진 바코드(139) 정보는 중앙제어시스템으로 입력되고, 이러한 바코드(139) 정보로부터 중앙제어시스템은 도착된 운송캡슐(130)을 주변의 도착지 터미널(103a,103b)을 목적지로 하는 운송캡슐(130)과, 그렇지 않은 운송캡슐로 구분하여 인식하게 된다.The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방향전환터미널(102)의 경우 내부단면적이 확장된 형태를 가지므로 그 입구측의 메인 이송배관(105)에서부터 진입 직전상태인 운송캡슐(130)의 속도 저하가 이루어지는데, 방향전환터미널(102)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운송캡슐(130)이 그 속도가 완전히 낮아진 저속상태로 방향전환터미널(102)을 통과하게 된다. In more detail, since th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이때, 중앙제어시스템은 바코드 리더기(141)를 통해 획득한 정보로부터 방향전환터미널(102) 내부로 진입한 운송캡슐(130)이 해당 방향전환터미널(102)에서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통해 부근의 도착지 터미널(103a,103b)로 이송되어야 할 운송캡슐인지, 아니면 방향전환터미널(102)을 그대로 통과하여 중간가압설비(112)에 의해 추가적으로 추진된 뒤 또 다른 도착지 터미널(104)로 이송되어야 할 운송캡슐인지를 구분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system is a
만약 부근의 도착지 터미널(103a,103b)로 분기 이송되어야 할 운송캡슐(130)이라면 분기형 이송배관(106)으로 운송캡슐(130)을 방향전환시켜 유도하는 소정의 제어 과정을 진행한다.If the
이 과정에서는 중앙제어시스템이 방향전환터미널(102) 내부에 설치된 통신모듈과 해당 운송캡슐(130) 내부에 설치된 통신모듈 간의 통신을 통해 운송캡슐(130)의 프로펠러(135)를 구동시켜 도착지 터미널(103a,103b)로 연결된 분기형 이송배관(106)쪽으로 운송캡슐(130)을 방향전환시키게 된다.In this process, the central control system drives the
이때, 상기 프로펠러(135)는 방향전환터미널(102)에서 분기형 이송배관(106)쪽으로 운송캡슐(130)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장치가 되며, 프로펠러(135)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구동에 따라 운송캡슐(130)의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전환되면서, 원하는 목적지가 되는 도착지 터미널(103a,103b)로 연결된 분기형 이송배관(106)쪽으로 운송캡슐(130)의 이동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이에 운송캡슐(130)은 프로펠러(135)의 회전에 의해 방향전환된 후 해당 분기형 이송배관(106) 내부로 유도된 뒤 도착지 터미널(103a,103b)로 이송되게 된다.The
결국,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통해 이송된 운송캡슐(130)은 역가압설비(123)에 의해 속도가 다시 저하되어 도착지 터미널(103a,103b) 내부로 진입한 뒤 완전히 정지되어 화물(1) 운송을 마치게 된다.As a result, the
이 과정에서 상기 중앙제어시스템은 운송캡슐(130)의 바코드(139) 정보에 따라 특정의 도착지 터미널(103a,103b)로 운송캡슐이 최종 안내될 수 있게 운송캡슐 내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프로펠러(135)의 회전방향을 제어하게 되고, 또한 해당 도착지 터미널(103a,103b)측에 설치된 역가압설비(123)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central control system controls the driving of the actuator in the transport capsule so that the transport capsule can be finally guided to
상기 역가압설비(123)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압은 고속으로 진입한 운송캡슐(130)의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만 형성되어 공급되며, 이때 과도한 공기압을 공급할 경우 운송캡슐(130)이 도착지 터미널(103a,103b)로 진입하지 못할 수도 있는 바, 운송캡슐(130)이 속도 저하 후 도착지 터미널(103a,103b)에서 정지될 수 있는 수준의 적절한 역가압만을 제공하도록 역가압설비(123)의 공급 압력이 설정되어야 한다.The air pressure supplied by the
반면, 방향전환터미널(102)에서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통해 연결된 도착지 터미널(103a,103b)을 목적지로 하지 않는 다른 운송캡슐(130)의 경우에는 방향전환 없이 방향전환터미널(102)을 통과하도록 하며, 방향전환터미널(102)을 그대로 통과한 운송캡슐(130)은 메인 이송배관(105)에 설치된 중간가압설비(112)에 의해 재추진된 뒤 역가압설비(123)의 작동에 의해 해당 목적지 터미널로 안전하게 도착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도 1 및 도 7의 실시예에서, 도면부호 103a와 103b의 도착지 터미널이 메인 이송배관(105)의 중간에서 분기형 이송배관(106)을 통해 연결된 중간지의 터미널이라면, 도면부호 104는 메인 이송배관(105)이 연장되어 그 연장된 단부 위치에 설치되는 도착지 터미널이 된다.1 and 7, if the
상기와 같이 메인 이송배관(105)의 단부에 설치된 도착지 터미널(104) 입구측에는 별도의 바코드 리더기(141)가 설치될 수 있으며, 바코드 리더기(141)에 의해 획득된 바코드 정보로부터 운송캡슐(130)이 도착지 터미널(104)의 진입 직전 위치를 인식한 중앙제어시스템이 도착지 터미널(104)의 역가압설비(123)를 작동시켜 운송캡슐(130)의 속도를 저하시키고, 이에 속도가 저하된 상태로 운송캡슐(130)이 도착지 터미널(104) 내에 진입하여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한편, 출발지 터미널(101)과 이송배관(메인 이송배관(105)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에는 전동식으로 개폐되는 게이트(117)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117)는 운송캡슐(13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가압설비(111,112)의 전측에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본 발명에서 이송배관(메인 이송배관(105) 및 분기형 이송배관(106))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릴리스 밸브(release valve)(116)가 설치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출발지 터미널(101)에 구비되는 가압설비(111)와 게이트(117)의 배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송배관(105)에 구비되는 가압설비(112)와 게이트(117), 릴리스 밸브(116)의 배치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the
이 중 도 9는 운송캡슐(130)이 출발지 터미널(101) 내 화물적재장에 정지한 상태에서 화물을 적재한 뒤 출발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9 및 도 10에서는 가압설비(111,112)를 간략히 도시하였다(실제는 도 6과 같이 구성될 수 있음).Of these, Figure 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먼저, 도 9의 실시예는 출발지 터미널(101)에 2개의 가압설비(출발지 가압설비)(111)가 설치된 것으로서, 각 가압설비(111)의 전측에 게이트(117)가 설치되며, 이 게이트(117)는 가압설비(111)의 작동시 전측의 공기 통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구성이 된다. First, in the embodiment of FIG. 9, two pressurizing equipments (departure pressurizing equipments) 111 are installed at the
이러한 구성에서 화물적재장 전측의 게이트(117)(도면상 좌측의 게이트)가 열린 상태에서 운송캡슐(130)이 화물적재장에 진입하고 나면, 상기 화물적재장 전측의 게이트(117)가 닫힌 상태에서 화물적재장 전측의 가압설비(111)(도면상 좌측의 가압설비)가 작동하여 운송캡슐(130)을 가압시키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이에 운송캡슐(130)이 추진되어 출발하게 되면 열린 상태로 있는 화물적재장 후측의 게이트(117)(도면상 우측의 게이트)를 통과하게 되고, 이어 운송캡슐(130)이 통과한 상기 화물적재장 후측의 게이트(117)가 닫혀진 뒤, 화물적재장 후측의 가압설비(111)(도면상 우측의 가압설비)가 작동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이로써 운송캡슐(130)은 출발지 터미널(101)의 두 가압설비(111)에 의해 출발한 후 메인 이송배관(10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As a result, the
이러한 구성에서 출발지 터미널(101)에도 바코드 리더기(141)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바코드 리더기(141)가 운송캡슐(130)의 바코드(도 3에서 도면부호 139임) 정보를 감지하게 될 경우 중앙제어시스템에 신호를 전송하게 되고, 이에 운송캡슐(130)이 바코드 리더기(141)가 설치된 위치를 지날 때 후측에 위치된 게이트(117)를 닫아준 뒤 운송캡슐 후측의 가압설비(111)를 작동시키게 된다.In this configuration, the
이와 같이 중앙제어시스템이 바코드 리더기(141)의 검출정보를 기초로 하여 게이트(117)와 가압설비(111)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uch, the central control system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이러한 중앙제어시스템의 제어는 이송배관(10,106)에 설치되는 중간가압설비(112) 및 게이트(117)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는데, 도 10의 구성에서 바코드 리더기(141)가 운송캡슐(130)의 바코드 정보를 감지하게 되면, 운송캡슐 후측의 게이트(117)를 닫아준 뒤 운송캡슐 후측의 가압설비(112)를 작동시키게 된다. The control of the central control system may be similarly applied to the case of the
이러한 제어는 이송배관(105,106)에 설치되는 모든 중간가압설비(112)와 그 전측에 설치되는 모든 게이트(117)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is control may be equally applied to all the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배관(105,106)에 복수개의 릴리스 밸브(116)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운송캡슐(130)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게이트(117) 및 중간가압설비(112)의 전측(상류측)에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이송 시스템(100)은 보다 환경친화적인 차세대 물류 이송 시스템으로서, 화물이 적재된 운송캡슐(130)을 공기의 압력에너지를 이용하여 운송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화물운송수단인 화물차나 선박, 비행기 등에 비해 환경친화적이면서 교통량에 상관없이 신속하게 화물을 운송할 수 있고, 지중 또는 해저에 설치 가능하여 지상의 미관을 최대한 해치지 않으면서 24시간의 화물 이송이 가능하며, 물류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는 무공해 물류 이송 시스템으로의 활용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Modified form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화물 100 : 물류 이송 시스템
101 : 출발지 터미널 102 : 방향전환터미널
103a, 103b, 104 : 도착지 터미널 105 : 메인 이송배관
106 : 분기형 이송배관 111 : 출발지 가압설비
112 : 중간가압설비 113 : 가압기
114 : 가압관 115 : 토출구
116 : 릴리스 밸브 117 : 게이트
123 : 역가압설비 124 : 가압기
125 : 가압관 125a : 토출구
130 : 운송캡슐 131 : 도어
132 : 내부공간(화물적재공간) 135 : 프로펠러
139 : 바코드 141 : 바코드 리더기1: cargo 100: logistics transport system
101: departure terminal 102: direction change terminal
103a, 103b, 104: destination terminal 105: main conveying piping
106: branch transfer pipe 111: starting pressurization equipment
112: intermediate pressure equipment 113: pressurizer
114: pressure tube 115: discharge port
116: release valve 117: gate
123: reverse pressure equipment 124: pressurizer
125:
130: transport capsule 131: door
132: internal space (cargo space) 135: propeller
139: barcode 141: barcode reader
Claims (15)
상기 이송배관 내부에서 화물을 적재한 상태로 가압용 유체의 압력에너지에 의해 이송배관을 따라 이송되는 운송캡슐과;
상기 출발지 터미널 및 상기 이송배관의 도중에 설치되고, 상기 터널용 이송배관의 내부로 가압용 유체를 분사하여 가압용 유체의 압력에너지가 상기 운송캡슐의 후면부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운송캡슐이 이송배관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가압설비;
를 포함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A transfer pipe constructed to be connected from the departure terminal to the arrival terminal;
A transport capsule which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pipe by the pressure energy of the pressurized fluid in a state in which cargo is loaded in the transport pipe;
It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tarting terminal and the conveying pipe, by injecting the pressurized fluid into the interior of the transport pipe for the tunnel so that the pressure energy of the pressurized fluid acts on the back of the transport capsule is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pipe Pressurized equipment to ensure;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a pressure-feeding capsule comprising a.
상기 이송배관의 도중에 내부단면적이 확장된 형태의 방향전환터미널이 설치되고,
상기 방향전환터미널에서 분기된 분기형 이송배관의 종단에 별도의 추가적인 도착지 터미널이 설치되며,
상기 운송캡슐에는 방향전환터미널 내부에서 방향전환하여 목적지가 되는 도착지 터미널의 분기형 이송배관으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전환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iddle of the conveying piping is installed a direction change terminal of the internal cross-sectional area is expanded,
A separate additional destination terminal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branched transfer pipe branched from the redirection terminal,
The transport capsule is a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a pressure transfer type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direction device for moving in the divergent transfer pip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to the destination by changing the direction inside the redirection terminal.
상기 운송캡슐의 외부면에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바코드가 부착되고, 상기 바코드의 운송정보는 방향전환터미널 입구측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독출되어 중앙제어시스템에 입력되며, 상기 중앙제어시스템은 운송캡슐과 통신하여 운송캡슐이 목적지가 되는 도착지 터미널로 연결된 분기형 이송배관으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방향전환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ort capsule is attached with a bar code for providing transport information includ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transport information of the bar code is read by a bar code reader installed at the entrance side of the redirection terminal is input to the central control system, The central control system communicates with the transport capsul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redirection device so that the transport capsule can be guided to the branched transport pipe connected to the destination terminal to be the destination, the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the pressure transfer type capsule .
상기 방향전환장치는 운송캡슐의 선단에 정, 역 구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프로펠러와, 상기 운송캡슐의 선단부에 내장되어 상기 프로펠러를 회전구동시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redirection device is a pressure transfer ty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peller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transport capsule to enable forward and reverse driving, and an actuator built in the front end of the transport capsule to rotate the propeller Logistics transfer system using capsules.
상기 액츄에이터는 구동축에 상기 프로펠러가 장착되고 운송캡슐에 내장된 배터리의 전력을 받아 구동되는 전기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actuator is a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a pressure-feeding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eller is mounted on the drive shaft and is driven by the power of the battery built in the transport capsule.
상기 도착지 터미널의 입구측에는 운송캡슐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가압용 유체를 분사하여 운송캡슐이 도착지 터미널에 진입 및 도착 직전에 운송캡슐의 속도를 줄여주는 역가압설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Pressurized transfer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side of the destination terminal is sprayed with a pressurized flui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duce the speed of the transport capsule immediately before the transport capsule enters and arrives at the destination terminal. Logistics transfer system using capsules.
상기 역가압설비는 가압용 유체인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가압기와, 상기 가압기의 출구단에서 이송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가압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이송배관 주변을 따라 운송캡슐 진행방향의 역방향으로 유도한 뒤 토출구를 통해 이송배관 내부로 토출하는 가압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리 이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reverse pressuriz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pressurizer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ir, which is a pressurizing fluid,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conveying pipe at an outlet end of the pressurizer to guide the air supplied from the pressurizer in a reverse direc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along the conveying pipe periphery. Physical transport system using a pressurized transfer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urizing pipe for discharging into the conveying pipe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운송캡슐의 외부면에는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운송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바코드가 부착되고, 상기 바코드의 운송정보가 메인 이송배관 도중의 방향전환터미널 입구측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독출되어 중앙제어시스템에 입력되며, 상기 중앙제어시스템은 운송캡슐의 바코드 정보에 따라 역가압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port capsule is attached with a bar code for providing transport information includ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transport information of the bar code is read by a bar code reader installed at the inlet side of the direction change terminal during the main transport piping central control system Entered in, the central control system is a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a pressurized transfer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back pressure facility according to the barcode informa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상기 이송배관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릴리스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ransfer pipe is a logistics transfer system using a pressurized transfer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ease valve for discharging the air is installed.
상기 운송캡슐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전체적인 외형이 유선형 선단부를 가지는 탄환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port capsule has a inner space for loading the cargo while the overall appearance is manufactured in a bullet shape having a streamlined front end portion, and the logistics transport using a pressure-feeding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 is installed system.
상기 가압설비는 가압용 유체인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가압기와, 상기 가압기의 출구단에서 메인 이송배관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가압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메인 이송배관 주변을 따라 운송캡슐의 진행방향으로 유도한 뒤 토출구를 통해 메인 이송배관 내부로 토출하는 가압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essurization equipment is provided with a pressurizer for compressing and supplying air, which is a pressurizing fluid, and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main conveying pipe at the outlet end of the pressurizer to guide the air supplied from the pressurizer along the periphery of the main conveying pip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transport capsule. Logistics conveying system using a pressurized transfer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urizing pipe for discharging into the main conveying pipe through the discharge port.
출발지 터미널과 이송배관에서 상기 운송캡슐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가압설비의 전측에는 중앙제어시스템에 의해 개폐 제어되는 게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는 가압설비의 작동시 전측의 공기 통로를 차단할 수 있도록 닫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1,
Gates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central control system on the front side of the pressurization facility based o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transport capsule at the starting terminal and the transfer pipe, and the gate is closed to block the air passages at the front side when the pressurization facility is operated. Logistics transfer system using a pressure-feeding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losing.
상기 운송캡슐의 외부면에는 바코드가 부착되고, 상기 바코드의 정보가 출발지 터미널과 이송배관에 설치된 바코드 리더기에 의해 감지되어 중앙제어시스템에 입력되며, 상기 중앙제어시스템은 게이트가 닫혀진 뒤 가압설비가 작동되도록 게이트와 가압설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2,
A barcode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transport capsule, and the information of the barcode is detected by a barcode reader installed at a departure terminal and a transfer pipe and input to a central control system. The central control system operates a pressurization facility after the gate is closed. Logistics transfer system using a pressurized transfer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gate and the pressurization equipment.
상기 이송배관은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관(Prestressed Concrete Pipe)을 연결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transport pipe is a logistics transport system using a pressurized transport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restressed concrete pipe (Prestressed Concrete Pipe).
상기 이송배관은 코어(Core)식 프리스트레스드 콘크리트관으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압 이송식 캡슐을 이용하는 물류 이송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4,
The transfer pipe is a logistics transfer system using a pressurized transfer caps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is a core (Core) pre-stressed concrete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7475A KR20120066235A (en) | 2010-12-14 | 2010-12-14 | Transfer system using pressurized caps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7475A KR20120066235A (en) | 2010-12-14 | 2010-12-14 | Transfer system using pressurized caps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6235A true KR20120066235A (en) | 2012-06-22 |
Family
ID=4668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7475A Ceased KR20120066235A (en) | 2010-12-14 | 2010-12-14 | Transfer system using pressurized caps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66235A (en)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05471A1 (en) * | 2014-01-10 | 2015-07-16 | Aslan Ali Pirli | High speed transportation vehicle-capsule isolated from external influences |
KR20160120531A (en) | 2015-04-08 | 2016-10-18 | 베솜 주식회사 | Transfer system using capsule for transfering |
KR20160120526A (en) | 2015-04-08 | 2016-10-18 | 베솜 주식회사 | Closed-loop type transfer system using capsule |
CN107117445A (en) * | 2017-07-14 | 2017-09-01 | 文安县朔翰塑料制品有限公司 | A kind of capsule car |
KR20170117067A (en) * | 2015-02-17 | 2017-10-20 | 블랙 & 소렌젠 에이피에스 | Blood sample transport system |
CN107292570A (en) * | 2017-07-18 | 2017-10-24 | 林旭伟 | Logistics system |
CN109051814A (en) * | 2018-09-07 | 2018-12-21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Cold Chain Logistics pipeline transportation buffer system |
CN109516212A (en) * | 2018-11-21 | 2019-03-26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Cold Chain Logistics conduit pipe pneumatically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ystem and method |
CN109631406A (en) * | 2019-01-09 | 2019-04-16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railway Cold Chain Logistics pipe-line system machine for collecting load with refrigerating plant |
KR20190075437A (en) * | 2017-12-21 | 2019-07-01 | 주식회사 코인즈 | transfer apparatus of sample carrier |
CN111591767A (en) * | 2020-04-26 | 2020-08-28 | 四川虫洞科技有限公司 | A Pneumatic Logistics Transmission Control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
CN114391002A (en) * | 2021-09-08 | 2022-04-22 | 张鲁国 | Pipeline transportation system with power optimization and transportation method |
US11390470B1 (en) | 2021-12-01 | 2022-07-19 | Cooley Enterprises, LLC | Clean energy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
US11565884B1 (en) | 2021-12-01 | 2023-01-31 | Cooley Enterprises, LLC | Clean energy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using a track and cable |
US11827249B2 (en) | 2021-12-01 | 2023-11-28 | Cooley Enterprises, LLC | Clean energy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using a hydro system |
-
2010
- 2010-12-14 KR KR1020100127475A patent/KR2012006623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69407B2 (en) | 2014-01-10 | 2018-05-15 | Aslan Ali Pirli | High speed transportation vehicle-capsule isolated from external influences |
WO2015105471A1 (en) * | 2014-01-10 | 2015-07-16 | Aslan Ali Pirli | High speed transportation vehicle-capsule isolated from external influences |
KR20170117067A (en) * | 2015-02-17 | 2017-10-20 | 블랙 & 소렌젠 에이피에스 | Blood sample transport system |
KR20160120531A (en) | 2015-04-08 | 2016-10-18 | 베솜 주식회사 | Transfer system using capsule for transfering |
KR20160120526A (en) | 2015-04-08 | 2016-10-18 | 베솜 주식회사 | Closed-loop type transfer system using capsule |
CN107117445A (en) * | 2017-07-14 | 2017-09-01 | 文安县朔翰塑料制品有限公司 | A kind of capsule car |
CN107292570B (en) * | 2017-07-18 | 2023-07-25 | 林旭伟 | Logistics system |
CN107292570A (en) * | 2017-07-18 | 2017-10-24 | 林旭伟 | Logistics system |
KR20190075437A (en) * | 2017-12-21 | 2019-07-01 | 주식회사 코인즈 | transfer apparatus of sample carrier |
CN109051814A (en) * | 2018-09-07 | 2018-12-21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Cold Chain Logistics pipeline transportation buffer system |
CN109051814B (en) * | 2018-09-07 | 2024-02-20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Cold chain logistics pipeline transportation buffer system |
CN109516212A (en) * | 2018-11-21 | 2019-03-26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Cold Chain Logistics conduit pipe pneumatically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system and method |
CN109631406A (en) * | 2019-01-09 | 2019-04-16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railway Cold Chain Logistics pipe-line system machine for collecting load with refrigerating plant |
CN109631406B (en) * | 2019-01-09 | 2024-03-15 |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Railway cold chain logistics pipeline system container with refrigerating device |
CN111591767A (en) * | 2020-04-26 | 2020-08-28 | 四川虫洞科技有限公司 | A Pneumatic Logistics Transmission Control Syste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
CN114391002A (en) * | 2021-09-08 | 2022-04-22 | 张鲁国 | Pipeline transportation system with power optimization and transportation method |
US11390470B1 (en) | 2021-12-01 | 2022-07-19 | Cooley Enterprises, LLC | Clean energy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
US11565884B1 (en) | 2021-12-01 | 2023-01-31 | Cooley Enterprises, LLC | Clean energy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using a track and cable |
US11827249B2 (en) | 2021-12-01 | 2023-11-28 | Cooley Enterprises, LLC | Clean energy integrated transportation system using a hydro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66235A (en) | Transfer system using pressurized capsule | |
US11772914B2 (en) | Transportation system | |
US4023500A (en) | High-speed ground transportation system | |
US7685953B2 (en) | System for rapid, secure transport of cargo by sea, and monohull fast ship and arrangement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on a ship | |
TW388740B (en) | A cargo handl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cargo and a baggage handling system for transporting baggage | |
CN106605033A (en) | Automated parking system for vehicles | |
GB2567252A (en) | Underground distribution system for distribution of goods in an urban environment | |
WO2012101535A2 (en) | A magnetic levitation or suspension vehicle | |
US6102331A (en) | Operation of airports | |
US7575197B2 (en) | Mobile transporter servicing unit for an operational ground support system | |
KR102273793B1 (en) | Smart logistics transfortation system | |
JPH02175463A (en) | Cyber highway system | |
CN109436806B (en) | Flexible cold chain logistics pipeline transportation collector | |
CA2635447C (en) | Crane return | |
KR101282942B1 (en) | Automatic transportation system between logistics depots | |
US9221520B2 (en) | Module for making ambidromic crossover equipment (FAM) | |
CN114391002A (en) | Pipeline transportation system with power optimization and transportation method | |
RU2347733C2 (en) | Pneumotransport device | |
FR2487284A1 (en) | MERCHANT SHIP | |
CN204279181U (en) | Under-well bi-directional travels side discharging car | |
WO2001081146A1 (en) | Moebius train | |
JPH05500449A (en) | Magnetic levitation orbit transportation system for automobiles | |
CN108116296B (en) | Electric vehicle-carrying shortcut transport system | |
CN105599775A (en) | Platform ferry device for high-speed vehicles in evacuated tube transport | |
KR101250442B1 (en) | Distribution methods using ground lift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9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6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