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61641A -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 Google Patents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641A
KR20120061641A KR1020100123015A KR20100123015A KR20120061641A KR 20120061641 A KR20120061641 A KR 20120061641A KR 1020100123015 A KR1020100123015 A KR 1020100123015A KR 20100123015 A KR20100123015 A KR 20100123015A KR 20120061641 A KR20120061641 A KR 20120061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brake
inner diameter
diameter portion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0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34661B1 (en
Inventor
최명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3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4661B1/en
Priority to DE102011051487.2A priority patent/DE102011051487B4/en
Priority to CN201110192097.7A priority patent/CN102465728B/en
Priority to US13/181,136 priority patent/US8813696B2/en
Publication of KR20120061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6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4661B1/en
Priority to US14/255,782 priority patent/US9447708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4Tappets; Push rods
    • F01L1/143Tappets; Push rods for use with overhead 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20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 F01L1/22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 F01L1/24Adjusting or compensating clearance automatically, e.g. mechanically by fluid means, e.g. hydraul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6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br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02Valve drive
    • F01L1/04Valve drive by means of cams, camshafts, cam discs, eccentrics or the like
    • F01L1/047Camshafts
    • F01L1/053Camshafts overhea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 밸브 리프트 및 밸브 개폐 타이밍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은 상부에 소경부와 하부에 상기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 대경부가 형성된 브레이크 피스톤; 하단에 밸브 헤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과 결합하는 밸브 스템; 캠축의 캠과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타단을 기준으로 선회 운동을 하며 상기 밸브 스템과 브레이크 피스톤을 상하 왕복 운동시키는 스윙암;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이 상측으로 움직일 때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제1브레이크 유닛; 그리고 상기 스윙암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윙암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스윙암의 타단이 하측으로 움직일 때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제2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capable of changing the valve lift and valve opening and closing timing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gine.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e piston having a large diameter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at the top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at the bottom; A valve head is formed at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of the valve stem is coupled to the brake piston; And a roller in contact with the cam of the camshaf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rake piston, the swing arm pivoting about the other 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and reciprocating the valve stem and the brake piston up and down. ; A first brake unit surrounding the brake piston and configured to brake when the brake piston moves upward; And a second brake unit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selectively moving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up and down, and configured to brake when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moves downward.

Description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ELECTRO-HYDRAULIC VALVE TRAIN}ELECTRO-HYDRAULIC VALVE TRAIN}

본 발명은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 밸브 리프트 및 밸브 개폐 타이밍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capable of changing the valve lift and valve opening and closing timing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gine.

내연기관(internal combustion engine)은 연소실(combustion chamber)에 연료와 공기를 받아들여 이를 연소함으로써 동력을 형성한다.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캠축(camshaft)의 구동에 의해 흡기밸브(intake valves)를 작동시키고, 흡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 흡입되게 된다. 또한, 캠축의 구동에 의해 배기밸브(exhaust valve)를 작동시키고 배기밸브가 열려있는 동안 공기가 연소실에서 배출되게 된다.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generates fuel by receiving fuel and air in a combustion chamber and burning it. When inhaling air, intake valves are operated by driving a camshaft, and air is suck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while the intake valve is open. In addition, the exhaust valve is operated by the camshaft and air is discharg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while the exhaust valve is open.

그런데, 최적의 흡기밸브/배기밸브 동작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리프트(lift) 또는 밸브 오프닝/클로징 타임이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엔진의 회전속도에 따라 적절한 밸브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밸브를 구동시키는 캠의 형상을 복수개로 설계하거나, 밸브가 엔진회전수에 따라 다른 리프트(lift)로 동작하도록 구현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variable valve lift; VVL)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However, the optimum intake valve / exhaust valve operation depends 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That is, an appropriate lift or valve opening / closing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In order to implement a proper valve oper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engine, a variable valve lift for designing a plurality of cams for driving the valve, or to operate the valve in accordance with the engine rotational speed different lift (lift) ( Variable valve lift (VVL) devices are being studied.

한편, 종래에 유압을 이용하여 밸브 닫힘 시기를 조절하는 EHV(electro hydraulic valve train)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on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EHV) that controls the closing timing of the valve by using a hydraulic pressure continues.

이러한 EHV는 유압의 해소 타이밍을 조절하여 밸브 열림/닫힘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밸브의 리프트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The EHV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valve opening / closing timing by adjusting the release timing of the hydraulic pressure, bu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eparate device is required to adjust the lift of the valve.

또한, 종래의 EHV는 캠축의 구동에 의하여 오일 펌프가 유압을 형성하였고, 이 유압을 EHV에 공급하기 위하여 밸브의 상측에 EHV, 오일 펌프, 그리고 유압 라인을 구비하였다. 따라서, 스윙암을 사용하는 기존의 엔진에 종래의 EHV를 적용하기 위하여는 엔진의 구조를 변경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EHV, the oil pump generates hydraulic pressure by driving the camshaft, and in order to supply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EHV, an EHV, an oil pump, and a hydraulic line ar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valve.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conventional EHV to an existing engine using a swing ar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engine must be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밸브부와 피벗부에 각각 브레이크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엔진의 구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서도 적용 가능한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provides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that can be applied with little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engine by attaching brake units to the valve portion and the pivot portion, respectively.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윙암의 피벗부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밸브 리프트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which can change the valve lif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ivot of the swingar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은 상부에 소경부와 하부에 상기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 대경부가 형성된 브레이크 피스톤; 하단에 밸브 헤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과 결합하는 밸브 스템; 캠축의 캠과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타단을 기준으로 선회 운동을 하며 상기 밸브 스템과 브레이크 피스톤을 상하 왕복 운동시키는 스윙암;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이 상측으로 움직일 때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제1브레이크 유닛; 그리고 상기 스윙암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윙암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스윙암의 타단이 하측으로 움직일 때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제2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e piston having a large diameter portion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at the top and the small diameter portion at the bottom; A valve head is formed at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of the valve stem is coupled to the brake piston; And a roller in contact with the cam of the camshaf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rake piston, the swing arm pivoting about the other 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and reciprocating the valve stem and the brake piston up and down. ; A first brake unit surrounding the brake piston and configured to brake when the brake piston moves upward; And a second brake unit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selectively moving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up and down, and configured to brake when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moves downward.

상기 제1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소경부가 위치하는 제1내경부와, 상기 제1내경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가 위치하는 제2내경부가 구비된 제1하우징; 상기 대경부의 상단과 상기 제1내경부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브레이크 챔버; 그리고 상기 제1브레이크 챔버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며, 상기 대경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닫히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rake unit may include a first housing having a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at which the small diameter portion is located and a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and at which the large diameter portion is located; A first brake chamber form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large diameter part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diameter part; And a first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chamber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selectively closed by the large diameter part, and formed in the housing.

상기 제1브레이크 챔버에 공급된 유압은,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이 상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의 상측 움직임을 저지하며 상기 대경부와 상기 제2내경부 사이를 통해 제1브레이크 챔버에서 유출될 수 있다.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first brake chamber may prevent the upward movement of the brake piston when the brake piston moves upward, and may flow out of the first brake chamber through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

제2브레이크 유닛은 중공 형상이며, 제3내경부와 상기 제3내경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내경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4내경부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 상기 스윙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3내경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마스터 피스톤;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3내경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내경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중단부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피스톤; 상기 마스터 피스톤,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 그리고 상기 제3내경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챔버;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상단부의 하단과 상기 제3내경부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브레이크 챔버; 상기 피스톤 챔버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공급 라인; 그리고 상기 제2브레이크 챔버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며,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상단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닫히는 제3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A second housing having a hollow shape and formed under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and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and including a fourth inner diameter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A master pist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and inserted into the third inner diameter to move; A top e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ster cylinder and inserted into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to be movable; and a stop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d part and inserted to move to the fourth inner diameter part; Slave piston; A piston chamber formed by the master piston, the slave piston, and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A second brake chamber formed between a low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slave piston and a lower end of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A second supply line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piston chamber; And a third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brake chamber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and selectively closed by an upper end of the slave piston.

상기 제2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피스톤 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 피스톤을 항시 상기 스윙암을 향하여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rake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pring disposed in the piston chamb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at always pushes the master piston toward the swing arm.

상기 제2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3내경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상측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rak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opper fixed to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to support the first spring and limit an upward movement of the slave piston.

상기 제2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중단부의 외주면과 하단면을 연결하며 상기 제2브레이크 챔버에 연결되어 제2브레이크 챔버의 유압을 유출시키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rake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 portion of the slave pist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brake chamber to discharg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cond brake chamber.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하단면 사이에는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을 항시 상기 마스터 피스톤을 향하여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이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A second spr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ave pist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at always pushes the slave piston toward the master piston.

상기 제2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를 상기 제2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랫칭 피스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rake unit may further include a latching piston for selectively fixing the master cylinder to the second housing.

상기 랫칭 피스톤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3내경부에는 상기 랫칭 피스톤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랫칭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latching piston may be mounted to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in the master cylinder, and a latching groove into which the latching piston is selectively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상기 랫칭 홈은 상기 랫칭 피스톤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4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는 상기 유압에 대항하는 탄성력을 상기 랫칭 피스톤에 제공하는 랫칭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The latching groove may be connected to a fourth supply line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latching piston, and a latching spring may be mounted inside the master cylinder to provide the latching piston with an elastic force against the hydraulic pressur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 트레인의 밸브부와 피벗부에 각각 브레이크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밸브 열림/닫힘 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윙암 타입의 밸브 트레인이 장착되는 기존의 엔진 구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도,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을 장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valve opening / closing timing can be adjusted by mounting the brake unit to the valve portion and the pivot portion of the valve train, respec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with little modification to the existing engine structure in which the swing arm type valve train is mounted.

더 나아가, 스윙암의 피벗부에 장착된 브레이크 유닛이 피벗부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밸브 리프트를 변화시킬 수 있다. Furthermore, the brake unit mounted on the pivot portion of the swing arm can change the valve lift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ivot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의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을 구성하는 제2브레이크 유닛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의 밸브가 완전히 열렸을 때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에서 제1브레이크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에서 제2브레이크 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의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brake unit constituting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when the valve of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lly opened.
4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brake unit in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brake unit in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1)은 스윙암 타입의 엔진에 적용된다. 즉, 실린더 헤드(3)의 상부에 스윙암(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스윙암(10)의 상부에는 캠축(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윙암(10)의 일단에는 브레이크 피스톤(45)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이 브레이크 피스톤(45)의 하단에는 밸브 스템(20)의 상단부가 결합되어 있고, 스윙암(10)의 상부에는 상기 캠축(2)의 캠(4)에 접촉하는 롤러(7)가 롤러 축(5)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캠축(2)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캠(4)에 접촉하는 롤러(7)에 의하여 상기 스윙암(10)은 그 타단을 기준으로 선회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45)에 결합된 상기 밸브 스템(20)은 상하로 움직이며 흡기구 또는 배기구를 열거나 닫게 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45)의 하부에는 스프링 시트(12)가 배치되어 상기 스윙암(10)의 일단이 아래로 움직이면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45)의 하단이 상기 스프링 시트(12)를 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시트(12)와 상기 실린더 헤드(2) 사이에는 밸브 스프링(14)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 스템(20)의 하측 움직임은 상기 캠(4)에 의하여 발생되고, 밸브 스템(20)의 상측 움직임은 상기 밸브 스프링(14)에 의하여 발생한다.As shown in FIG. 1,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applied to a swingarm type engine. That is, the swing arm 1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head 3, and the cam shaft 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arm 10. In addition, a brake piston 45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wing arm 10, and an upper end of the valve stem 20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brake piston 45, and a swing arm 10. In the upper part of the roller 7 which contacts the cam 4 of the cam shaft 2 is connected rotatably via the roller shaft 5. Therefore, when the cam shaft 2 is rotated, the swing arm 10 is rotated based on the other end by the roller 7 in contact with the cam (4). Accordingly, the valve stem 20 coupled to the brake piston 45 moves up and down to open or close the inlet or exhaust ports. In addition, a spring seat 12 is disposed below the brake piston 45 so that when one end of the swing arm 10 moves downward, the lower end of the brake piston 45 pushes the spring seat 12. The valve spring 14 is interposed between the spring seat 12 and the cylinder head 2. Accordingl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valve stem 20 is generated by the cam 4, and the upward movement of the valve stem 20 is generated by the valve spring 14.

상기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1)은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45), 상기 밸브 스템(20), 제1브레이크 유닛(40), 그리고 제2브레이크 유닛(50)을 포함한다.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1 comprises the brake piston 45, the valve stem 20, the first brake unit 40, and the second brake unit 50.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45)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 두 개의 원기둥이 일체로 연결된 형상이다.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45)의 상부에는 직경이 작은 소경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45)의 하부에는 직경이 큰 대경부(28)가 형성되어 있다. The brake piston 45 has a shape in which two cylinder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re integrally connected. A small diameter portion 26 having a small diameter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rake piston 45,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28 having a large diameter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rake piston 45.

밸브 스템(20)의 상단은 브레이크 피스톤(45)에 결합되어 있으며, 밸브 스템(20)의 하단에는 흡기구 또는 배기구를 막는 밸브 헤드(22)가 형성되어 있다. An upper end of the valve stem 20 is coupled to the brake piston 45, and a valve head 2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alve stem 20 to block an inlet or exhaust po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레이크 유닛(40)은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45)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45)이 상측으로 움직일 때(즉, 밸브가 닫힐 때) 브레이크 작동을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제1브레이크 유닛(40)은 제1하우징(46), 제1브레이크 챔버(44), 그리고 제1공급 라인(4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first brake unit 40 surrounds the brake piston 45, and brakes when the brake piston 45 moves upward (ie, when the valve is closed). For this purpose, the first brake unit 40 comprises a first housing 46, a first brake chamber 44, and a first supply line 42.

제1하우징(46)은 수평으로 연장된 긴 파이프 형상이다. 제1하우징(46)은 상기 실린더 헤드(3)의 상단에 볼트 등으로 결합되거나, 상기 실린더 헤드(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하우징(46)의 일측부의 내면은 그 상측에 구비된 제1내경부(47)와 상기 제1내경부(47)의 하측에 구비된 제2내경부(49)를 포함한다. 상기 제1내경부(47)의 직경은 상기 제2내경부(49)의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1내경부(47)에는 상기 소경부(26)가 위치하고, 상기 제2내경부(49)에는 상기 대경부(28)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1내경부(47)의 직경은 상기 소경부(26)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고 상기 제2내경부(49)의 직경은 상기 대경부(28)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하우징(46)은 상기 스윙암(10)의 일단과 상기 스프링 시트(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The first housing 46 has a long pipe shape extending horizontally. The first housing 46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head 3 by a bolt or the like,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ylinder head 3. An inner surface of one side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46 includes a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47 provided above and a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49 provided below the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47. The diameter of the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47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49, the small diameter portion 26 is located in the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47, the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49 The large diameter portion 28 is located.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47 is almost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26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49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28. 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46 is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swing arm 10 and the spring seat 12.

제1브레이크 챔버(44)는 상기 대경부(28)의 상단과 상기 제1내경부(47)의 하단(즉, 상기 제1내경부(47)와 상기 제2내경부(49) 사이의 단차진 면)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브레이크 챔버(44)의 체적은 브레이크 피스톤(45)의 움직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The first brake chamber 44 has an en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large diameter portion 28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47 (that is, between the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47 and the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49). Formed between the dust-proof surface. Therefore, the volume of the first brake chamber 44 is chang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rake piston 45.

제1공급 라인(42)은 상기 제1하우징(46)의 내부에 상기 제1하우징(4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브레이크 챔버(44)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공급 라인(42)은 실린더 헤드(3)에 형성된 오일 라인(48)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오일 라인(48)은 오일 펌프 또는 오일 컨트롤 밸브 등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공급 라인(42)은 오일 펌프 또는 오일 컨트롤 배브로부터 유압을 공급받으며, 이 공급 받은 유압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1브레이크 챔버(44)에 공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밸브 헤드(22)가 흡기구 또는 배기구를 연 상태에서는, 상기 제1공급 라인(42)은 상기 제1브레이크 챔버(44)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한다. 이 상태에서 밸브 스템(20)과 브레이크 피스톤(45)이 상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대경부(28)가 상기 제1공급 라인(42)을 닫게 되고 제1브레이크 챔버(44)에 남아 있는 오일은 브레이크 피스톤(45)의 상측 움직임을 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밸브 스템(20)과 브레이크 피스톤(45)이 더 상측으로 움직이면 제1브레이크 챔버(44)에 남아 있는 오일은 대경부(28)와 제2내경부(49) 사이의 틈을 통해 제1브레이크 챔버(44) 밖으로 유출되게 되고, 이 오일은 제1공급 라인(42) 또는 제2내경부(49)에 형성된 별도의 배출 라인을 통하여 오일 저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The first supply line 42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46 inside the first housing 46 a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chamber 44. The first supply line 42 is connected to an oil line 48 formed on the cylinder head 3, which is connected to an oil pump or an oil control valve. Accordingly, the first supply line 42 receives hydraulic pressure from an oil pump or oil control barb, and selectively supplies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first brake chamber 44. More specifically, in a state in which the valve head 22 opens the inlet or exhaust port, the first supply line 42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chamber 44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When the valve stem 20 and the brake piston 45 move upward in this state, the large diameter portion 28 closes the first supply line 42 and the oil remaining in the first brake chamber 44 is braked. The upward movement of the piston 45 is prevented. In this state, when the valve stem 20 and the brake piston 45 move upward, the oil remaining in the first brake chamber 44 is remov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large diameter portion 28 and the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49. The oil is discharged out of the first brake chamber 44, and the oil is transferred to the oil reservoir through a separate discharge line formed in the first supply line 42 or the second inner diameter 49.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레이크 유닛(50)은 상기 스윙암(10)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윙암(10)의 타단을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스윙암(10)의 타단이 하측으로 움직일 때 브레이크 작동을 한다. 상기 제2브레이크 유닛(50)은 제2하우징(51), 마스터 피스톤(52), 슬레이브 피스톤(72), 피스톤 챔버(94), 제2브레이크 챔버(80), 스토퍼(70), 제1,2스프링(66, 74), 제2,3공급 라인(68, 76), 그리고 배출 라인(78)을 포함한다.1 and 2, the second brake unit 50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10, moves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10 up and down, and moves the swing arm ( When the other end of 10) moves downward, brake is applied. The second brake unit 50 includes a second housing 51, a master piston 52, a slave piston 72, a piston chamber 94, a second brake chamber 80, a stopper 70, a first, Two springs 66, 74, second and third supply lines 68, 76, and discharge line 78.

상기 제2하우징(51)은 중공의 원통 형상이다. 상기 제2하우징(51)은 실린더 헤드(3)의 상단에 장착되거나 상기 실린더 헤드(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51)의 내면은 그 상측에 구비된 제3내경부(55)와, 상기 제3내경부(55)의 하측에 구비된 제4내경부(57)를 포함한다. 상기 제3내경부(55)의 직경은 상기 제4내경부(57)의 직경보다 크다.The second housing 51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second housing 51 may be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cylinder head 3 or integrally formed with the cylinder head 3.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51 includes a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provided above and a fourth inner diameter portion 57 provided below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The diameter of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ourth inner diameter portion 57.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은 그 상단이 상기 스윙암(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단은 상기 제3내경부(55)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은 상기 제3내경부(55)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의 내부에는 횡방향으로 랫칭 실린더(54)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랫칭 실린더(54)에는 랫칭 피스톤(58a, 58b)이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한, 상기 랫칭 실린더(54)의 중간부에는 격벽(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56)과 상기 랫칭 피스톤(58a 58b) 사이에는 상기 랫칭 피스톤(58a 58b)을 제3내경부(55)를 향하여 항시 밀어주는 랫칭 스프링(60a, 60b)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내경부(55)에는 상기 랫칭 피스톤(58a, 58b)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랫칭 홈(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랫칭 홈(64)은 상기 랫칭 스프링(60a, 60b)의 탄성력에 대항하는 유압을 상기 랫칭 피스톤(58a, 58b)에 공급하기 위한 제4공급 라인(62)에 연결되어 있다. 랫칭 스프링(60a, 60b)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랫칭 피스톤(58a, 58b)이 상기 랫칭 홈(64)에 삽입되어 있으면,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은 상기 제3내경부(55)에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오일 펌프 또는 오일 컨트롤 밸브에서 상기 제4공급 라인(62)으로 유압이 공급되면, 이 유압은 상기 랫칭 피스톤(58a, 58b)을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의 내부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은 상기 제3내경부(55)로부터 해방되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The upper end of the master piston 5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10, and the lower end of the master piston 52 is inserted to be movable to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55. In addition, the master piston 52 may be selectively fixed to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For this purpose, a latching cylinder 54 i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master piston 52, and latching pistons 58a and 58b are inserted into the latching cylinder 54 so as to be movable. In addition, a partition wall 56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latching cylinder 54, and the latching piston 58a 58b is dispos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56 and the latching piston 58a 58b. There is a latching spring (60a, 60b) is always pushed toward the (). In addition,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is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64 into which the latching pistons 58a and 58b are selectively inserted, and the latching groove 64 is formed of the latching springs 60a and 60b. It is connected to a fourth supply line 62 for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against elastic force to the latching pistons 58a and 58b. When the latching pistons 58a and 58b are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s 64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atching springs 60a and 60b, the master piston 52 is fixed to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55. . In this state, when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from the oil pump or the oil control valve to the fourth supply line 62, the hydraulic pressure pushes the latching pistons 58a and 58b into the master piston 52. Accordingly, the master piston 52 is released from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은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은 상기 제2하우징(51)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은 상단부(82)와 이 상단부(82)에 일체로 연결된 중단부(84)를 구비한다. 상기 상단부(82)의 직경은 상기 중단부(84)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상단부(82)는 상기 제3내경부(55)에 위치하고, 상기 중단부(84)는 상기 제4내경부(57)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상단부(82)의 직경은 제3내경부(55)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며, 상기 중단부(84)의 직경은 상기 제4내경부(57)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의 내부에는 중단부(84) 외주면과 하단면을 연결하는 연결 라인(86)이 형성되어 있다. The slave piston 72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ster piston 52. The slave piston 72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side the second housing 51. The slave piston 72 has an upper end 82 and a stop 84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82. The upper end portion 82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top portion 84, the upper end portion 82 is located at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and the stop portion 84 is disposed at the fourth inner portion portion 57. )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portion 82 is almost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the diameter of the stop portion 84 is almost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fourth inner diameter portion (57). As shown in FIG. 3, a connection line 86 is formed in the slave piston 72 to conne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 portion 84.

피스톤 챔버(94)는 상기 마스터 피스톤(52),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 그리고 상기 제3내경부(55)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 챔버(94)는 제2공급 라인(68)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2공급 라인(68)을 통하여 피스톤 챔버(94)에 공급된 유압은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이 하강하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 역시 하강하게 된다. The piston chamber 94 is formed by the master piston 52, the slave piston 72, and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55. The piston chamber 94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ly line 68 to receive hydraulic pressur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piston chamber 94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68 is applied to the slave piston 72 when the master piston 52 descends. Thus, the slave piston 72 is also lowered.

상기 피스톤 챔버(94)의 하부에는 스토퍼(70)가 배치된다. 이 스토퍼(70)는 상기 제3내경부(55)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의 상승 움직임을 제한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70)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피스톤 챔버(94)의 유압이 슬레이브 피스톤(72)에 가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70)와 마스터 피스톤(52)의 하단 사이에는 제1스프링(66)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제1스프링(66)은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에 항시 상측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가한다. A stopper 70 is disposed below the piston chamber 94. The stopper 70 is fixed to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55, thereby limi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slave piston 72. The stopper 7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piston chamber 94 can be applied to the slave piston 72. In addition, a first spring 66 is interposed between the stopper 70 and the lower end of the master piston 52. The first spring 66 always applies an upward force to the master piston 52 upwards.

제2브레이크 챔버(80)는 슬레이브 피스톤의 상단부(82)의 하단과 상기 제3내경부(55)의 하단부(즉, 상기 제3내경부(55)와 상기 제4내경부(57) 사이의 단차진 면)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제2브레이크 챔버(80)의 체적은 슬레이브 피스톤(72)의 움직임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이 하강하면 제2브레이크 챔버(80)의 체적은 감소하고,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이 상승하면 제2브레이크 챔버(80)의 체적은 증가한다.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이 하강하면 제2브레이크 챔버(80) 내의 오일은 상기 연결 라인(86)을 통하여 제2브레이크 챔버(80) 외부로 배출되며 브레이크 작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연결 라인(86)의 직경은 충분히 작아야 한다. 또한, 상기 제2브레이크 챔버(80)는 제3공급 라인(76)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제3공급 라인(76)으로부터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받는다. 즉,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이 하강하면 제3공급 라인(76)이 닫히고 슬레이브 피스톤(72)이 상승하면 제3공급 라인(76)이 열리게 된다. The second brake chamber 8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d 82 of the slave piston and the lower end of the third inner diameter 55 (ie, between the third inner diameter 55 and the fourth inner diameter 57). Formed between the stepped faces). The volume of the second brake chamber 80 depends on the movement of the slave piston 72. That is, when the slave piston 72 descends, the volume of the second brake chamber 80 decreases, and when the slave piston 72 rises, the volume of the second brake chamber 80 increases. When the slave piston 72 is lowered, the oil in the second brake chamber 8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brake chamber 80 through the connection line 86 to perform a brake operation. For this purpose,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line 86 should be small enough. In addition, the second brake chamber 80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third supply line 76 to selectively receive hydraulic pressure from the third supply line 76. That is, when the slave piston 72 is lowered, the third supply line 76 is closed, and when the slave piston 72 is raised, the third supply line 76 is opened.

제2스프링(74)은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과 제2하우징(51) 사이에 개재되어 피스톤 챔버(94)의 유압에 대항하는 탄성력을 항시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72)에 가한다. The second spring 74 is interposed between the slave piston 72 and the second housing 51 to apply an elastic force against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piston chamber 94 to the slave piston 72 at all times.

배출 라인(78)은 상기 제2하우징(51)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슬레이브 피스톤(72)이 하강하면 제2브레이크 챔버(80) 내의 오일은 슬레이브 피스톤의 중단부(84)와 제4내경부(57) 사이의 틈을 통해 제2브레이크 챔버(80) 외부로 유출되고, 이 오일은 중력에 의하여 제2하우징(51)의 하부로 흘러 간다. 그 후, 상기 오일은 배출 라인(78)을 통하여 오일 저장소로 흘러가게 된다.
The discharge line 78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cond housing 51. When the slave piston 72 descends, the oil in the second brake chamber 80 flows out of the second brake chamber 80 through a gap between the stop portion 84 and the fourth inner diameter 57 of the slave piston. This oil flows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housing 51 by gravity. The oil then flows through the discharge line 78 to the oil reservoir.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의 작동을 설명한다. 3 to 5, the operation of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밸브 헤드(22)가 흡기구 또는 배기구를 완전히 연 상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캠축(2)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 밸브 스템(20)과 브레이크 피스톤(45)이 상측으로 움직이며 대경부(28)가 제1공급 라인(42)을 닫게 되고 제1브레이크 챔버(44)에 남아 있는 오일은 브레이크 피스톤(45)의 상측 움직임을 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밸브 스템(20)과 브레이크 피스톤(45)이 상측으로 더 움직이면 제1브레이크 챔버(44)에 남아 있는 오일은 대경부(28)와 제2내경부(49) 사이의 틈을 통해 제1브레이크 챔버(44)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이 때, 밸브가 닫히는 속도가 늦어지며 램프가 형성되게 된다.3 shows a state in which the valve head 22 completely opens the inlet or exhaust port. In this state, when the camshaft 2 rotates as shown in FIG. 4, the valve stem 20 and the brake piston 45 move upwards, and the large diameter part 28 closes the 1st supply line 42. FIG. The oil remaining in the first brake chamber 44 preven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brake piston 45. In this state, if the valve stem 20 and the brake piston 45 further move upward, the oil remaining in the first brake chamber 44 is removed through the gap between the large diameter portion 28 and the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49. 1 break out of the chamber 44. At this time, the closing speed of the valve is slowed down and a ramp is formed.

캠축(2)이 회전할 때 제2브레이크 유닛(50)이 스윙암(10)의 타단부를 지지하지 않는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오일 컨트롤 밸브(100)는 제4공급 라인(62)을 통하여 랫칭 피스톤(58a, 58b)에 유압을 가하게 되면, 랫칭 피스톤(58a, 58b)은 랫칭 홈(64)에서 빠지고 랫칭 실린더(54)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마스터 피스톤(52)은 상기 제3내경부(55)로부터 해방된다.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brake unit 50 does not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10 when the cam shaft 2 rotates is shown in FIG. 5. As shown in FIG. 5, when the first oil control valve 100 applies hydraulic pressure to the latching pistons 58a and 58b through the fourth supply line 62, the latching pistons 58a and 58b are latched grooves ( 64) and inserted into the latching cylinder (54). Thus, the master piston 52 is released from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이 상태에서, 제2오일 컨트롤 밸브(110)는 상기 제2공급 라인(68)을 통하여 상기 피스톤 챔버(94)에 오일을 공급한 후 상기 제2공급 라인(68)을 닫는다. In this state, the second oil control valve 110 supplies oil to the piston chamber 94 through the second supply line 68 and then closes the second supply line 68.

이 상태에서, 캠축(2)이 회전하며 스윙암(10)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마스터 피스톤(52)이 하방향으로 움직이며 피스톤 챔버(94) 내의 오일을 가압하고, 피스톤 챔버(94) 내의 오일은 슬레이브 피스톤(72)에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슬레이브 피스톤(72)은 하측으로 움직이며 슬레이브 피스톤의 상단부(82)가 제3공급 라인(76)을 닫게 되고 제2브레이크 챔버(80)에 남아 있는 오일은 슬레이브 피스톤(72)의 하측 움직임을 저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슬레이브 피스톤(72)이 하측으로 더 움직이면 제2브레이크 챔버(80)에 남아 있는 오일은 연결 라인(86)을 통하여 제2브레이크 챔버(80)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이 때, 슬레이브 피스톤(72)의 하강 속도가 늦어지며 램프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마스터 피스톤(52)이 하측으로 움직이므로 스윙암(10)의 타단도 하측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스윙암(10)의 선회 움직임의 기준이 움직이게 되며 밸브 리프트가 변화하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camshaft 2 rotates and the swing arm 10 is pushed downward, the master piston 52 moves downward to pressurize the oil in the piston chamber 94, and in the piston chamber 94 The oil exerts a force on the slave piston 72. Thus, the slave piston 72 moves downward and the upper end 82 of the slave piston closes the third supply line 76 and the oil remaining in the second brake chamber 80 moves downward of the slave piston 72. Will stop. In this state, when the slave piston 72 further moves downward, the oil remaining in the second brake chamber 80 flows out of the second brake chamber 80 through the connection line 86. At this time, the descending speed of the slave piston 72 is slowed to form a ramp. In addition, since the master piston 52 moves downward,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10 also moves downward. Thus, the reference of the swing movement of the swing arm 10 is moved and the valve lift is chang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1)과 마스터 피스톤(52)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dentical except for the structures of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1 and the master piston 5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1)에서 마스터 피스톤(52)을 제3내경부(55)에 선택적으로 고정 하는 구조물(랫칭 피스톤, 랫칭 스프링, 랫칭 실린더 등)이 포함되지 않는다. 대신,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은 피스톤 챔버(94)에 공급된 유압, 제1,2스프링(66, 74)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경우, 마스터 피스톤(52)이 제3내경부(55)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캠축(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마스터 피스톤(52)은 상하로 움직이게 되며 이에 따라 슬레이브 피스톤(72)도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In the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latching piston, latching spring, latching cylinder, etc.) for selectively fixing the master piston 52 to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55 is not included. Do not. Instead, the master piston 52 is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ydraulic, first and second springs 66 and 74 supplied to the piston chamber 94. In this case, since the master piston 52 is not fixed to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55, the master piston 52 moves up and down as the camshaft 2 rotates, so that the slave piston 72 also moves up and down. Will move.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Claims (11)

상부에 소경부와 하부에 상기 소경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 대경부가 형성된 브레이크 피스톤;
하단에 밸브 헤드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과 결합하는 밸브 스템;
캠축의 캠과 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며,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되,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타단을 기준으로 선회 운동을 하며 상기 밸브 스템과 브레이크 피스톤을 상하 왕복 운동시키는 스윙암;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을 감싸고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이 상측으로 움직일 때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제1브레이크 유닛; 그리고
상기 스윙암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윙암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스윙암의 타단이 하측으로 움직일 때 브레이크 작동을 하는 제2브레이크 유닛;
을 포함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A brake piston having a small diameter portion at an upper portion and a large diameter portion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small diameter portion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valve head is formed at a lower end, and an upper end of the valve stem is coupled to the brake piston;
And a roller in contact with the cam of the camshaf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brake piston, the swing arm pivoting about the other en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am and reciprocating the valve stem and the brake piston up and down. ;
A first brake unit surrounding the brake piston and configured to brake when the brake piston moves upward; And
A second brake unit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and selectively moving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up and down, and configured to brake when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moves downward;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소경부가 위치하는 제1내경부와, 상기 제1내경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대경부가 위치하는 제2내경부가 구비된 제1하우징;
상기 대경부의 상단과 상기 제1내경부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브레이크 챔버; 그리고
상기 제1브레이크 챔버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며, 상기 대경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닫히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공급 라인;
을 포함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rake unit is
A first housing having a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at which the small diameter portion is located and a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first inner diameter portion and at which the large diameter portion is located;
A first brake chamber form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large diameter part and an upper end of the first inner diameter part; And
A first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first brake chamber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selectively closed by the large diameter part, and formed in the housing;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레이크 챔버에 공급된 유압은,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이 상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브레이크 피스톤의 상측 움직임을 저지하며 상기 대경부와 상기 제2내경부 사이를 통해 제1브레이크 챔버에서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The method of claim 2,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to the first brake chamber prevents upward movement of the brake piston when the brake piston moves upward, and flows out of the first brake chamber through the large diameter portion and the second inner diameter portion. Electric-hydraulic valve train.
제1항에 있어서,
제2브레이크 유닛은
중공 형상이며, 제3내경부와 상기 제3내경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내경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4내경부를 포함하는 제2하우징;
상기 스윙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3내경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마스터 피스톤;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3내경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4내경부에 움직일 수 있도록 삽입되는 중단부를 포함하는 슬레이브 피스톤;
상기 마스터 피스톤,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 그리고 상기 제3내경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피스톤 챔버;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상단부의 하단과 상기 제3내경부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브레이크 챔버;
상기 피스톤 챔버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2공급 라인; 그리고
상기 제2브레이크 챔버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며,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상단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닫히는 제3공급 라인;
을 포함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brake unit
A second housing having a hollow shape and formed under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and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and including a fourth inner diameter portion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A master piston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wing arm and inserted into the third inner diameter to move;
A top e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master cylinder and inserted into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to be movable; and a stop part integral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upper end part and inserted to move to the fourth inner diameter part; Slave piston;
A piston chamber formed by the master piston, the slave piston, and the third inner diameter portion;
A second brake chamber formed between a lower end of the upper end of the slave piston and a lower end of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A second supply line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piston chamber; And
A third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brake chamber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and selectively closed by an upper end of the slave pisto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피스톤 챔버에 배치되어 상기 마스터 피스톤을 항시 상기 스윙암을 향하여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second brake unit further comprises a first spring disposed in the piston chamber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at always pushes the master piston towards the swing ar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제3내경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1스프링을 지지하고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상측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second brake unit further includes a stopper fixed to the third inner diameter part to support the first spring and to limit upward movement of the slave pist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중단부의 외주면과 하단면을 연결하며 상기 제2브레이크 챔버에 연결되어 제2브레이크 챔버의 유압을 유출시키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brake un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line conne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p portion of the slave pist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 brake chamber to discharge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second brake cha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과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의 하단면 사이에는 상기 슬레이브 피스톤을 항시 상기 마스터 피스톤을 향하여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housing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ave piston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hat always pushes the slave piston toward the master piston.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레이크 유닛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를 상기 제2하우징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랫칭 피스톤을 더 포함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 to 8,
The second brake unit further comprises a latching piston for selectively securing the master cylinder to the second hous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랫칭 피스톤은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서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3내경부에는 상기 랫칭 피스톤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랫칭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latching piston is mounted so as to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side the master cylinder, the third inner diameter is a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ing groove is formed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latching pist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랫칭 홈은 상기 랫칭 피스톤에 유압을 공급하는 제4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마스터 실린더 내부에는 상기 유압에 대항하는 탄성력을 상기 랫칭 피스톤에 제공하는 랫칭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유압 밸브 트레인.
The method of claim 10,
The latching groove is connected to a fourth supply line for supplying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latching piston, the master cylind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ing spring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against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latching piston is mounted -Hydraulic valve train.
KR1020100123015A 2010-11-12 2010-12-03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ctive KR101234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15A KR101234661B1 (en) 2010-12-03 2010-12-03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DE102011051487.2A DE102011051487B4 (en) 2010-11-12 2011-06-30 Electrohydraulic valve control
CN201110192097.7A CN102465728B (en) 2010-11-12 2011-07-05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US13/181,136 US8813696B2 (en) 2010-11-12 2011-07-12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US14/255,782 US9447708B2 (en) 2010-11-12 2014-04-17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015A KR101234661B1 (en) 2010-12-03 2010-12-03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641A true KR20120061641A (en) 2012-06-13
KR101234661B1 KR101234661B1 (en) 2013-02-19

Family

ID=46612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015A Active KR101234661B1 (en) 2010-11-12 2010-12-03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4661B1 (e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916A (en) * 1991-12-13 1993-06-29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Valve mechanism
JPH062519A (en) * 1992-06-15 1994-01-11 Aisin Seiki Co Ltd Engine valve gear
KR100217458B1 (en) * 1996-11-26 1999-09-01 류정열 Engine brake device for vehicle exhaust valve control
KR19980074550A (en) * 1997-03-26 1998-11-05 김영귀 Exhaust brak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4661B1 (en)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860B1 (en) Control arrangement for a gas exchange valve in a piston eng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gas exchange valve in a piston engine
CN102414403A (en) Dedicated rocker arm engine brake
KR101209740B1 (en) Engine that is equipped with variable valve device
KR101154412B1 (en) Hydraulic variable vavlve lift apparatus
EP2722499B1 (en) Variable valve timing apparatus
US9447708B2 (e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KR101198799B1 (en) Engine that is equipped with variable valve device
EP217122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alves
EP3137743B1 (en) Valve timing system
KR101091635B1 (en)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US20120042840A1 (en) Electro-hydraulic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KR101001809B1 (en) Gas exchange valve actuator
KR101234661B1 (e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KR101163702B1 (e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US8596234B2 (en) Electro-hydraulic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CN104100326B (en) For the device to the pneumatic operation type equipment conveying compressed air in motor vehicles
FI121245B (en) Control Arrangement for Valve Actu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sing Movement of Valve Actuator
KR101145631B1 (en) Electro-hydraulic variable valve lift apparatus
KR102201991B1 (en) Variable valve timing apparatus
KR101382327B1 (en) Variable valve lift device
KR20200071518A (en) Oil control valve
TWI479076B (en) Engine variable valve lift mechanism
JP2004190552A (en) Oil passage switching device in rocker arm and valve mechanism
JP3443514B2 (en) Actuator for operating exhaust valve of engine brake device
KR101499449B1 (en) Electro hydraulic typed variable valve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