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61475A -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 Google Patents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1475A
KR20120061475A KR1020100122806A KR20100122806A KR20120061475A KR 20120061475 A KR20120061475 A KR 20120061475A KR 1020100122806 A KR1020100122806 A KR 1020100122806A KR 20100122806 A KR20100122806 A KR 20100122806A KR 20120061475 A KR20120061475 A KR 2012006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ope
fuel economy
stage turbo
engine
val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상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1475A/ko
Publication of KR2012006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475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3/00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being super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013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with exhaust-driven pump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이 무부하 상태이고 연비 개선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EGR 밸브 및 웨이스트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엔진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 하여, 불필요한 펌핑로스를 저감 시키고 무부하 상태에서 차량의 이동거리를 극대화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이 내리막 노면을 주행할 경우에, 노면의 기울기를 기울기 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기울기가 제1기준 기울기보다 크고,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이 스테핑 되지 않은 오프 상태인 무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2단 터보 시스템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의 개도를 증가 시키는 단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IMPROVEMENT METHOD FOR FUEL RATIO AND EFFICIENCY OF TWO STAGE TURBO SYSTEM OF ENGINE}
본 발명은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차량이 무부하 상태이고 연비 개선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EGR 밸브 및 웨이스트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엔진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 하여, 불필요한 펌핑로스를 저감 시키고 무부하 상태에서 차량의 이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2단 터보 시스템은 흡입공기를 2번에 걸쳐서 압축하여, 엔진의 연소실로 공급하므로, 엔진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직렬 연결된 고압 및 저압 터보를 통해 효율을 극대화하여 배기가스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2단 터보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로, 엔진(11)의 배기 매니폴드(11a) 및 흡기 매니폴드(11b)에 연결된 고압측 터보 장치(12)와 이에 직렬 연결된 저압측 터보 장치(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엔진(11)의 배기 매니폴드(16)로부터 토출되는 배기가스의 유동에너지를 이용하여 고압측 터보 장치(12)의 고압측 터빈(TB1)과 저압측 터보장치(13)의 저압측 터빈(TB2)이 회전한다. 이를 통해 저압측 터보장치(13)의 저압측 컴프레셔(CP2)에서 1차적으로 공기를 가압하고, 고압측 터보 장치(12)의 고압측 컴프레셔(CP1)에서 2차적으로 공기를 가압하여 인터쿨러(510)를 통해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11b)로 공급한다.
엔진(11)이 고속 운전 상태로 접어들게 되면, 배기 매니폴드(11a)로부터 토출되는 유량에 비해서 고압측 터보 장치(12)의 용량이 부족하므로, 고압측 터빈(TB1)에 장착된 웨이스트 게이트 밸브(WG)를 개방하여 배기가스를 바이패스 시키게 된다.
그리고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15)가 개방되면,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15)에 의해 재순환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 재순환 쿨러(16)를 통해 냉각되어,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11b)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2단 터보 시스템은 무부하 주행시의 엔진 진동 토크가 증가하게 되며, 연비 저감을 위한 주행시에도 구동력 저항으로 인해서 주행 거리 손실이 발생되어 연비 개선 효과를 저감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무부하 상태이고 연비 개선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EGR 밸브 및 웨이스트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엔진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 하여, 불필요한 펌핑로스를 저감 시키고 무부하 상태에서 차량의 이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는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르막 주행시 EGR 밸브 및 웨이스트 밸브를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하여 엔진의 부스팅 능력을 증가시키고 공연비를 향상시켜서, 차량의 출발 성능이 향상되고 미연소 연료에 의한 배기가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은 차량이 내리막 노면을 주행할 경우에, 노면의 기울기를 기울기 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기울기가 제1기준 기울기보다 크고,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이 스테핑 되지 않은 오프 상태인 무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2단 터보 시스템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의 개도를 증가 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제1기준 기울기보다 크고 상기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클러스터에 차량이 연비 모드로 주행함을 표시하기위해 연비 모드 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상기 무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연비 모드 스위치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연비 모드 스위치가 온이면 상기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의 개도를 증가 시키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제1기준 기울기보다 작거나, 상기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이 스테핑되어 있을 경우, 2단 터보 시스템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를 밸브 개도 맵핑 로직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차량이 오르막 노면을 주행할 경우에, 노면 기울기를 기울기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차속센서에서 차속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기울기가 제2기준 기울기보다 큰지 여부와, 차속이 기준 차속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제2기준 기울기보다 크고 상기 차속이 기준 차속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2단 터보 시스템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를 닫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제2기준 기울기보다 작거나, 상기 차속이 상기 기준 차속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2단 터보 시스템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를 밸브 개도 맵핑 로직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은 차량이 무부하 상태이고 연비 개선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EGR 밸브 및 웨이스트 밸브의 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엔진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 하여, 불필요한 펌핑로스를 저감 시키고 무부하 상태에서 차량의 이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은 오르막 주행시 EGR 밸브 및 웨이스트 밸브를 완전히 닫히도록 제어하여 엔진의 부스팅 능력을 증가시키고 공연비를 향상시켜서, 차량의 출발 성능이 향상되고 미연소 연료에 의한 배기가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엔진의 2단 터보 시스템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개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성능 개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이 내리막 노면을 주행할 경우, 차량에 장착된 센서(Tilt Sensor)를 통해, 차량의 기울어진 기울기인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의 기울기(A)를 측정(S1)한다.
그리고 이러한 노면 기울기(A)는 엔진 제어기로 전송되며, 엔진 제어기는 측정된 기울기가 제1기준 기울기(B)보다 더 큰지 여부와,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이 스테핑 되지 않은 오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S2)한다. 즉, 엔진제어기는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을 오프 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로 차량이 제1기준 기울기(B) 이상의 경사로를 내리막 주행 하는 무부하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S2)한다. 여기서 엔진 제어기는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 기울기(A)가 제1기준 기울기(B)이하이거나,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 중 적어도 하나의 페달이 스테핑 되고 있다면 차량이 무부하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엔진 제어기에서 차량이 무부하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EGR 밸브(Ve) 및 웨이스트 밸브(WG)는 엔진 제어기에 설정되어 있는 매핑 로직에 의해서 제어(SD)된다.
이와 같이 엔진 제어기에서 차량이 무부하 조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연비 개선을 원할 경우 온 시켜서 차량을 연비 모드로 구동시키기 위한 연비 모드 스위치(Sw)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S3)한다. 이러한 연비 개선 스위치는 운전자의 제어에 의해서 온 또는 오프 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이 무부하 상태인데 연비 모드 스위치(Sw)가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EGR 밸브(Ve) 및 웨이스트 밸브(WG)는 엔진 제어기에 설정되어 있는 매핑 로직에 의해서 제어(SD)된다.
그리고 차량이 무부하 상태이며 연비 개선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불필요한 펌핑 로스 저감을 위해 EGR 밸브(Ve) 및 웨이스트 밸브(WG)의 개도를 증가시킨다. 즉, 차량이 무부하 상태이며 연비 개선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EGR 밸브(Ve) 및 웨이스트 밸브(WG)의 개도를 엔진제어기에 설정되어 있는 매핑 로직의 개도에 비해서 더 크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차량이 무부하 상태이고 연비 개선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EGR 밸브(Ve) 및 웨이스트 밸브(WG)의 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엔진의 마찰 손실을 최소화 하여, 불필요한 펌핑로스를 저감 시키고 무부하 상태에서 차량의 이동거리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차량이 오르막 노면을 주행할 경우, 차량에 장착된 센서(Tilt Sensor)를 통해, 차량의 기울어진 기울기인 차량이 주행하는 노면의 기울기(A)를 측정(SA)한다.
그리고 이러한 노면 기울기(A)는 엔진 제어기로 전송되며, 차속 센서에서는 차량의 현재 주행 차속(X)을 측정(SB)한다.
그리고 측정된 차속(X)은 엔진 제어기로 전송되며, 엔진 제어기는 측정된 기울기(A)가 제2기준 기울기(C)보다 더 큰지 여부와, 차속(X)이 기준 차속(Y)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SC)한다. 즉, 엔진 제어기는 차량이 오르막을 저속으로 주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측정된 기울기(A)가 제2기준 기울기(C)보다 작거나 차속(X)이 기준 차속(Y)이상이라면 EGR 밸브(Ve) 및 웨이스트 밸브(WG)는 엔진 제어기에 설정되어 있는 매핑 로직에 의해서 제어(SD)한다.
그리고 측정된 기울기(A)가 제2기준 기울기(C)보다 크고, 차속(X)이 기준 차속(Y)보다 작다면, 주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EGR 밸브(Ve) 및 웨이스트 밸브(WG)를 완전히 닫히도록(full-closed) 제어(SE)한다. 즉, 차량이 오르막을 저속 주행할 경우 EGR 밸브(Ve) 및 웨이스트 밸브(WG)를 완전히 닫히도록(full-closed) 제어하여, EGR 밸브(Ve) 및 웨이스트 밸브(WG)를 통해 재순환 되는 배기가스를 제거하여, 오르막 주행시 엔진의 부스팅(boosting)능력을 증가시키고 공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출발 성능이 향상되고 미연소 연료에 의한 배기 가스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A; 측정된 기울기 B; 제1기준 기울기
C; 제2기준 기울기 X; 측정된 차속
Y; 기준 차속

Claims (6)

  1. 차량이 내리막 노면을 주행할 경우에, 노면의 기울기를 기울기 센서를 통해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기울기가 제1기준 기울기보다 크고,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이 스테핑 되지 않은 오프 상태인 무부하 상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무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2단 터보 시스템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의 개도를 증가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제1기준 기울기보다 크고 상기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클러스터에 차량이 연비 모드로 주행함을 표시하기위해 연비 모드 램프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부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연비 모드 스위치가 온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연비 모드 스위치가 온이면 상기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의 개도를 증가 시키는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제1기준 기울기보다 작거나, 상기 엑셀 및 브레이크 페달이 스테핑되어 있을 경우, 2단 터보 시스템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를 밸브 개도 맵핑 로직을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5. 차량이 오르막 노면을 주행할 경우에, 노면 기울기를 기울기 센서를 통해 측정하고 차속센서에서 차속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기울기가 제2기준 기울기보다 큰지 여부와, 차속이 기준 차속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제2기준 기울기보다 크고 상기 차속이 기준 차속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2단 터보 시스템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를 닫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기울기가 상기 제2기준 기울기보다 작거나, 상기 차속이 상기 기준 차속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2단 터보 시스템의 웨이스트게이트 밸브와 배기가스 재순환 밸브를 밸브 개도 맵핑 로직을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KR1020100122806A 2010-12-03 2010-12-03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Ceased KR201200614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806A KR20120061475A (ko) 2010-12-03 2010-12-03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806A KR20120061475A (ko) 2010-12-03 2010-12-03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475A true KR20120061475A (ko) 2012-06-13

Family

ID=46612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806A Ceased KR20120061475A (ko) 2010-12-03 2010-12-03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14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318A (ko) *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전 제어방법
CN116291921A (zh) * 2023-03-30 2023-06-23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egr阀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6318A (ko) * 2012-12-28 2014-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발전 제어방법
CN116291921A (zh) * 2023-03-30 2023-06-23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egr阀的控制方法、装置及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7822B2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669955B2 (en) Engine control device
US9169770B2 (en) Engine system
WO2013164987A1 (ja) 過給式エンジ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23022854A (ja) ハイブリッド車両
CN101849091A (zh) 内燃机控制装置
US1034468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gine control
CN107013318B (zh) 混合增压系统及其控制方法、车辆
JP5051008B2 (ja) ターボチャージャ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0145318B2 (en) Drive unit for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fitted with such a drive unit and computer software produc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JP6112397B2 (ja) 内燃機関の過給機制御装置
CN111417772B (zh) 车辆用内燃机的控制方法以及控制装置
JP2007092757A (ja) 車両用エンジンの排ガス再循環装置
KR20120061475A (ko) 엔진의 이단 터보 시스템의 연비 및 성능 개선 방법
JP2011174470A (ja) 車両の制御装置
JP4965603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6331690B2 (ja) ガソリンエンジンの制御装置
EP1350937A2 (en) Energy regener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1241713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15214920A (ja) 車両
US20140373818A1 (en) Air supply system
JP2012246800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6763489B2 (ja) 車両用内燃機関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EP1367237A1 (en) Vehicular control apparatus and vehicular control method
JP2012007505A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4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