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60853A -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853A
KR20120060853A KR1020127007039A KR20127007039A KR20120060853A KR 20120060853 A KR20120060853 A KR 20120060853A KR 1020127007039 A KR1020127007039 A KR 1020127007039A KR 20127007039 A KR20127007039 A KR 20127007039A KR 20120060853 A KR20120060853 A KR 20120060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information
elevator
control unit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0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05568B1 (en
Inventor
도모노리 조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0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8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56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에 알림 지령을 보내, 표시시키는 점검 정보의 내용의 약칭과 표시 데이터를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전환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에 표시시킨다.In the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sends a notification command to the platform apparatus control means when the notification mode is set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and alternates the abbreviation of the contents of the inspection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nd the display data at regular intervals. It is switched and displayed on the car position indicator.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본 발명은 건물의 관리자나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 등에 엘리베이터 칸 상태를 알림(표시?음성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alerting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notifying (displaying and sounding) a car state to a building manager or an elevator maintenance worker.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재해나 고장 검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이 층 사이에 정지하는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감시반이나 보수 도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관리자나 엘리베이터 보수 작업원 등이 보수 정보나 에러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된다.In a conventional elevator, when an abnormality such as a car stops between floors due to a disaster or a failure is detected, a supervisor or an elevator maintenance worker can check maintenance information or error information by using a monitoring panel or a maintenance tool. do.

또한, 본건에 관련하는 선행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 내 상황 확인 시스템이 있다. 이 종래의 엘리베이터 칸 내 상황 확인 시스템에서는 작업원이 휴대 전화 등으로부터 정보 센터에 공중 통신 회선을 통해서 통신함으로써, 이상 정지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상황을 그 작업원이 확인 가능해진다.Moreover, as a prior art concerning this case, there exists a cage | basket | car situation confirmation system shown by patent document 1, for example. In this conventional situation check system in a car, the worker can confirm the situation in the car which stopped abnormally by the worker communicating with the information center from a mobile phone etc. via a public communication line.

[특허 문헌 1]특개 2009-5164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51641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감시반이나 보수 도구 등의 전용 기기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작업원이 관리반의 설치 개소(예를 들면 건물의 관리실이나 기계실)로 이동하거나 전용 기기의 세팅 등을 실시하거나 하는데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이상 정지했을 때에, 복구 작업을 조기에 착수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onfirm the state of the car, a dedicated device such as a monitoring panel or a maintenance tool is required. For this reason, it may take time for a worker to move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a control panel (for example, the management room of a building or a machine room), or to set a dedicated apparatus. For this reason,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as mentioned above, when an abnormal stop was carried out, a recovery operation may not be started ear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보수 도구 등의 전용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작업원 등이 엘리베이터 칸 상태를 승강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Comprising: It aims at obtaining the elevator notification apparatus which a worker etc. can confirm a car state in a boarding point, without using exclusive equipment, such as a repair tool.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표시 제어장치는,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통상 알림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알림 모드에 의해,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내용을 제어하는 알림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조작반의 승강장 호출 버튼이 소정의 모드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점검용의 정보인 점검 정보를 작업원에게 알리기 위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상기 통상 알림 모드로부터 상기 알림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에 상기 점검 정보를 알림 시키는 것이다.The display control apparatus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notific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contents of a platform notification means provided in a platform by a plurality of notification modes including a normal notification mode for informing a user of information about driving of a car.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is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for informing the worker of the inspec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the inspection of the elevator, in response to the platform call button of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platform receiving a predetermined mode switching operation. The notification mode is switched from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and the platform notification means is notified of the inspec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보수 도구 등의 전용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작업원 등이 엘리베이터 칸 상태를 승강장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s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a worker etc. can confirm a car state in a boarding point, without using exclusive equipment, such as a repair too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점검 정보 알림 모드에서의 점검 정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층상 표시기의 표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8의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알림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boarding point of the elevator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nspection information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y state of a layer display.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notification controller of FIG. 1.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notification controller of FIG. 1.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notification controller of FIG. 1.
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notification controller of FIG. 8.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orm for implementing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ront view which shows the boarding point of the elevator by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2에 있어서, 건물에는 복수의 엘리베이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고 있다.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각은, 엘리베이터 칸(10)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하나의 엘리베이터에 대응하는 승강장(1)을 표시한다.1 and 2, a plurality of elevators (not shown) are provided in the building. Each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has a car 10. 1, the boarding point 1 corresponding to one elevator of a some elevator is displayed.

건물의 각층의 승강장(1)에는 승강장 출입구를 개폐하는 승강장 도어(2)와 승강장 조작반(3)이 마련되고 있다. 승강장 조작반(3)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층상 표시기;4), 승강장 호출 버튼(5), 음성 출력 수단으로서의 아나운스 장치(스피커;6),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 및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을 가지고 있다.The boarding point 1 of each floor of a building is provided with the boarding point door 2 and the boarding point operating panel 3 which open and close a boarding point entrance and exit.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includes a car position indicator (floor indicator) 4, a platform call button 5, an announce device (speaker) 6 as a voice output means, a platform equipment control means 7 and a platform button detection means ( 8) have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는 예를 들면, 2자리수의 세그먼트 표시기, 또는 도트 매트릭스 표시기이며, 적어도 2자리수의 영숫자를 표시 가능하다. 승강장 호출 버튼(5)은 그 승강장 층에서 상방으로의 승강장 호출 시에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UP 승강장 호출 버튼(5A)과 그 승강장 층에서 하방으로의 승강장 호출 시에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을 포함하고 있다.The car position indicator 4 is, for example, a two-digit segment indicator or a dot matrix indicator, and can display at least two alphanumeric characters. The platform call button 5 is the UP platform call button 5A operated by the user when calling the platform from the landing floor upward and the DOWN platform call operated by the user when calling the platform from the landing floor downward. The button 5B is included.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및 아나운스 장치(6)에 접속되고 있다.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및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에 접속되고 있다. 각층의 승강장(1)의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 및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에 접속되고 있다.The boarding point device control means 7 is connected to the cage position indicator 4 and the announce apparatus 6. The boarding point button detection means 8 is connected to the UP boarding point call button 5A and the DOWN boarding point call button 5B. The boarding point device control means 7 and the boarding point button detection means 8 of the boarding point 1 of each floor are connected to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2. As shown in FIG.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로부터의 알림 지령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10)의 가장 가까운 층을 나타내는 문자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시킨다. 또한,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은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로부터의 알림 지령에 기초한 내용을, 아나운스 장치(6)에 음성 아나운스로서 출력시킨다. 이 음성 아나운스의 일례로서는 엘리베이터 칸(10)이 승강장 층에 도착했다 등이 있다.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승강장 호출 버튼(5)의 조작 상황을 검출 가능하다. 또한,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검출한 승강장 호출 버튼(5)의 조작 상황을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에 알린다.The boarding point device control means 7 displays the letter which shows the nearest floor of the cage | basket | car 10 on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indicator 4 based on the notification instruction | command from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boarding point device control means 7 outputs the content based on the notification instruction | command from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2 to the announce apparatus 6 as a voice announce. One example of this voice announce is that the car 10 has arrived on the landing floor. The boarding point button detection means 8 can detect the operation status of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5. In addition, the boarding point button detection means 8 informs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2 o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detected boarding point call button 5.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는 운전 제어부(13) 및 알림 제어부(14)를 가지고 있다. 운전 제어부(13)는 복수의 운전 모드에 의해,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즉 군관리 제어를 실시한다). 이 운전 모드에는 통상 운전 모드, 화재 관제 운전 모드, 지진 관제 운전 모드 및 자가 발전 관제 운전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운전 제어부(13)는 통상 운전 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을 제어하고 있을 때,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조작된 것에 대응하여, 승강장 호출 등록을 실시한다.The elevator control device 12 has a driving control unit 13 and a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The operation control unit 13 collectively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car 10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by the plurality of operation modes (that is, group management control is performed). This operation mode includes a normal operation mode, a fire control operation mode, an earthquake control operation mode, and a self-generation control operation mode. When the driving control unit 13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ar 10 in the normal driving mode, the driving control unit 13 registers the landing call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landing call button 5.

게다가 운전 제어부(13)는 엘리베이터의 각종 안전 장치(예를 들면 조속기나 지진 감지기 등: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종 안전 장치가 작동한 것을 검출 가능하다. 또한, 운전 제어부(13)는 각종 안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의 재기동이 가능한지 여부에 대해서 판정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3 can detect that various safety devices have been operated based on signals from various safety devices (for example, governors, earthquake detectors, and the like: not shown) of the elevator. In addition, the driving control unit 13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levator can be restarted based on signals from various safety devices.

또한, 운전 제어부(13)는 엘리베이터 칸(10)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기, 또는 권상기에 장착된 엔코더 등(둘다 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그 엘리베이터 칸(10)이 승강로에서 도어 존 내에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 가능하다. 게다가 운전 제어부(13)는 엘리베이터 칸(10)에 탑재된 엘리베이터 칸 부하 검출 수단(11)을 통하여, 그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부하를 검출 가능하다. 또한, 운전 제어부(13)는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부하를 검출한 경우에는 그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한다고 판정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3 is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car position detector provided in the car 10, the encoder mounted on the hoisting machine, etc. (both not shown), so that the car 10 can open the door in the hoistwa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exists in the zone.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13 can detect the load in the car 10 through the car load detection means 11 mounted on the car 10. Moreover, when the operation control part 13 detects the load in the cage | basket | car 10, it determines that a user exists in the cage | basket | car 10.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로부터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 상황의 정보를 받는다.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 상황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및 아나운스 장치(6)에 알림(표시?음성 출력)시키는 내용을 제어한다. 즉,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및 아나운스 장치(6)의 알림 내용을 결정해,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에 알림 지령을 보낸다.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receives information on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car 10 from the driving control unit 13. In additio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content of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and the announce device 6 to be notified (displayed to voice output) based on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car 10. That is,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determines the notification content of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indicator 4 and the announce apparatus 6, and sends a notification command to the boarding point apparatus control means 7. As shown in FIG.

여기서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은 복수의 알림 모드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및 아나운스 장치(6)의 알림 내용을 제어한다. 이 알림 모드에는 통상 알림 모드와 점검 정보 알림 모드가 포함되어 있다. 통상 알림 모드란,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 상황, 즉 현재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나, 승강장 호출 등록 상황을 승강장의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모드이다. 점검 정보 알림 모드란, 엘리베이터의 점검용의 정보, 즉 점검 정보를 엘리베이터의 점검 작업원 등에게 알리기 위한 알림 모드이다. 점검 정보의 일례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낸다.The boarding point device control means 7 controls the notification content of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indicator 4 and the announce apparatus 6 by a some notification mode. This notification mode includes a normal notification mode and a check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is a notification mode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boarding point of the driving situation of the car 10, that is, the current car position and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situation.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is a notification mode for informing the inspection worker of the elevator of information for inspection of the elevator, that is, inspection information. An example of inspection information is shown in FIG.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가 이상 검출 또는 재해 검출을 한 후(이상 검출 플래그 성립 후)에,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소정의 모드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통상 알림 모드에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알림 모드를 전환한다. 이 모드 전환 조작이란, 예를 들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일정시간(예를 들면, 3초 이상) 길게 눌리는 조작이다.In addition, after the operation control unit 13 detects an abnormality or a disaster detection (after the abnormality detection flag is established),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has the UP platform call button 5A or the DOWN platform call button 5B in a predetermined mode. In response to receiving the switching operation, the notification mode is switched from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is, for example, an operation in which the UP platform call button 5A or the DOWN platform call button 5B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or longer).

게다가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에 알림 지령을 보내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한 점검 정보의 내용의 약칭(2 문자의 영문자)과 표시 데이터(2자리수의 숫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교대로 바꾸어,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nds a notification command to the boarding point device control unit 7, and abbreviated the content of the displayed inspection information (2). The English letter of a letter) and display data (a two-digit number) are alternately ch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is displayed.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소정의 정보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정보 전환 조작이란, 예를 들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일정시간(예를 들면 3초 이상) 길게 눌리는 조작이다. 점검 정보 전환 처리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시키는 점검 정보의 내용을,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에서 다른 정보로 전환하는 처리이다.In addition,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the inspection information corresponds to whether the UP landing platform call button 5A or the DOWN landing calling button 5B has received a predetermined information switching operation. Perform the switching process. The information switching operation is, for example, an operation in which the UP platform call button 5A or the DOWN platform call button 5B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or longer).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ocess is a process of switching the contents of the inspec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to other information.

게다가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소정의 지정호기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호기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지정호기 전환 조작이란, 예를 들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비교적 단시간(예를 들면, 3초 미만) 눌리는 조작이다. 호기 전환 처리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시키는 점검 정보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알림 대상인 엘리베이터)를,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에서 다른 엘리베이터로 전환하는 처리이다.In addition,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notification mode as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in response to the UP landing platform call button 5A or the DOWN landing calling button 5B receiving a predetermined designated breath switching operation, exhalation switching is performed. Run the process. The designated breath changeover operation is, for example, an operation in which the UP platform call button 5A or the DOWN platform call button 5B is pressed for a relatively short time (for example, less than 3 seconds). The exhalation switching process is a process of switching the elevator (an elevator subject to not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cage position indicator 4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to another elevator.

여기서,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RAM 및 하드 디스크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도시하지 않음)로 구성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의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운전 제어부(13) 및 알림 제어부(14)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한,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7) 및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8)은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2 can be comprised with the computer (not shown) which has an arithmetic processing unit CPU, a memory | storage part (ROM, RAM, a hard disk, etc.), and a signal input / output part. A program for realizing the functions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13 and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computer of the elevator control device 12. In addition, the boarding point device control means 7 and the boarding point button detection means 8 can be comprised with a microcomputer.

다음에,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7은 도 2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도 6의 단계 S202~208은 도 5의 단계 S200에 있어서의 호기 전환 처리를 나타내고, 도 6의 단계 S212~218은, 도 5의 단계 S200에 있어서의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단계 S300에 있어서의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나타낸다. 도 5~7에 있어서, 우선,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에 의해서 재해 또는 고장이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01).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에 의해서 재해 또는 고장이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통상 알림 모드를 계속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will be described. 5 to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operations of the notification controller 14 of FIG. 2. 6 shows the exhalation switching process in step S200 of FIG. 5, and step S212-218 of FIG. 6 shows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ocess in step S200 of FIG. FIG. 7 shows the check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in step S300 of FIG. 5. 5-7, first,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confirms whether the disaster or failure was detected by the operation control part 13 (step S101).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tinues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when it is confirmed by the operation control unit 13 that no disaster or failure is detected.

다음에, 알림 제어부(14)는 운전 제어부(13)에 의해서 재해 또는 고장이 검출된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일정시간 눌렸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02).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일정시간 눌리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통상 알림 모드를 계속한다.Next, when the control unit 13 confirms that a disaster or a failure is detected by the driving control unit 13,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whether the platform call button 5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step S102). At this time,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platform call button 5 has not been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tinues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일정시간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통상 알림 모드에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이행한다(단계 S103).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를 "0"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호기 번호를 "1"로 설정한다(단계 S104).On the other hand, when confirming that the platform call button 5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hifts from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to the check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step S103). T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to "0" and sets the breath number to "1" (step S104).

이 후에,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렸는지를 확인해(단계 S105),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호기 전환 처리 또는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00). 여기서, 도 6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단계 S105에서) 일정시간 길게 눌렸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1).After that,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whether the landing platform call button 5 is pressed again (step S105), and confirms that the landing platform calling button 5 is pressed again. The process is executed (step S200). Here, in FIG. 6,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checks whether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5 was pressed for a fixed time (in step S105) (step S201).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단계 S105에서) 일정시간 길게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단계 S105에서)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의 종류를 확인한다(단계 S202).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에 "1"을 가산한다(단계 S203).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이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에서 "1"을 감산한다(단계 S204).If it is confirmed that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5 is press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step S105),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executes a breath switching process. And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confirms the kind of boarding point call button 5 pressed (in step S105) (step S202). At this time, when confirming that the pressed platform call button 5 is the UP platform call button 5A,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adds " 1 " to the breath number (step S203). On the other hand,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pressed landing call button 5 is the DOWN landing call button 5B,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ubtracts "1" from the flight number (step S204).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의 가산 또는 감산을 한 후에, 호기 번호가 전(全) 호기수의 값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5).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가 전 호기수의 값을 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의 값을 "1"로 설정하고(단계 S206), 호기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After the addition or subtraction of the exhalation number,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hecks whether the exhalation number exceeds the value of all the exhalation numbers (step S205).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value of the exhalation number to "1" when confirming that the exhalation number exceeds the value of all the exhalation numbers (step S206), and ends the exhalation switching process.

이에 대해서,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가 전 호기수의 값을 넘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가 "0" 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07).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가 "0"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번호에 전 호기수의 값을 설정하고(단계 S208), 호기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호기 번호가 "0"이 아닌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대로 호기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exhalation number has not exceeded the value of all the exhalation numbers,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whether or not the exhalation number is "0" (step S207). At this time, when confirming that the exhalation number is "0",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value of all the exhalation numbers to the exhalation number (step S208), and ends the exhalation switch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breath number is not "0",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ends the breath switching process as it is.

다음에,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단계 S105에서) 비교적 단시간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02의 NO 방향).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단계 S105에서)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의 종류를 확인한다(단계 S212).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에 "1"을 가산한다(단계 S213).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눌린 승강장 호출 버튼(5)이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에서 "1"을 감산한다(단계 S214).Next, when notifying that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5 is pressed for a relatively short time (in step S105),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executes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ocess (NO direction in step S202). And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confirms the kind of boarding point call button 5 pressed (in step S105) (step S212). At this time, when confirming that the pressed platform call button 5 is the UP platform call button 5A,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adds "1"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step S213). On the other hand,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pressed landing call button 5 is the DOWN landing call button 5B,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ubtracts "1" from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step S214).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의 가산 또는 감산을 한 후에,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3"을 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15).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3"을 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를 "0"으로 설정하고(단계 S216),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Then, after the addition or subtraction of the check information parameter,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hecks whether the check information parameter exceeds "3" (step S215). At this time, when confirming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exceeds "3",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to "0" (step S216), and ends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ocess.

이에 대해서,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3"을 넘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17).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 미만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에 "1"을 설정하고(단계 S218),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 미만이 아닌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대로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does not exceed "3", it confirms whether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is less than "0" (step S217). At this time, when confirming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is less than "0",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1"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step S218), and ends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oc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is not less than " 0 ", it ends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ocess.

다음에, 도 5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14)는(단계 S105에서)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리지 않았던 것을 확인한 경우, 호기 전환 처리가 종료한 경우, 또는 점검 정보 전환 처리가 종료한 경우에,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00). 이 도 7에 나타내는 점검 정보 선택 처리에서는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3" 중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301~S303).Next, in FIG. 5,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platform call button 5 has not been pressed again (in step S105), when the exhalation switching process ends, or when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ocess ends. Next, the inspection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is executed (step S300).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shown in FIG. 7,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whether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is "0 to 3" (steps S301 to S303).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0"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단계 S301의 YES 방향), "DR" 및 운전 모드 코드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04).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is "0" (YES direction in step S301), it displays the "DR" and the driving mode code alternately on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step S304). ).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then ends the check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1"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단계 S302의 YES 방향), "FL" 및 엘리베이터 칸(10)의 가장 가까운 층을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04).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In addition,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is "1" (YES direction in step S302), "FL" and the nearest floor of the car 10 are sent to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Displayed alternately (step S304).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then ends the check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게다가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2"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단계 S303의 YES 방향), 엘리베이터 칸(10)이 도어 존 내에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운전 제어부(13)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한다(단계 S306).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이 도어 존 내에 정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DZ" 및 "OK"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07).Furthermore,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is "2" (YES direction in step S303), the control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13 determines whether the car 10 is stopped in the door zone. It confirms based on the information (step S306). At this tim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r 10 is stopped in the door zon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alternately displays "DZ" and "OK" on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step S307).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이 도어 존 내에 정지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DZ" 및 "NG"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08). 이 후(단계 S307 또는 S308의 후)에,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ar 10 is not stopped in the door zon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alternately displays "DZ" and "NG" on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step S308). After this (after step S307 or S308),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ends the check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on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파라미터가 "3"인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단계 S303의 NO방향),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운전 제어부(13)로부터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한다(단계 S309).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HU" 및 "NG"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10).In addition,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confirms that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is "3" (NO direction of step S303), it controls from the operation control part 13 whether a user exists in the cage | basket | car 10. It confirms based on the information (step S309). At this time, when confirming that the user exists in the car 10,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alternately displays "HU" and "NG" on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step S310).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HU" 및 "OK"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교대로 표시시킨다(단계 S311). 이 후(단계 S310 또는 S311의 후)에, 알림 제어부(14)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is not present in the car 10,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alternately displays "HU" and "OK" on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step S311). After this (after step S310 or S311),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ends the check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on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그리고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선택 처리를 종료한 후에, 승강장 호출 버튼(5)의 미조작 상태가 일정시간(예를 들면 1분간) 계속되었는지 여부와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렸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06).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이 재차 눌린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호기 전환 처리 또는 점검 정보 전환 처리를 실행해,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호출 버튼(5)의 미조작 상태가 계속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알림 모드를 통상 알림 모드로 이행해(S107),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After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finishes the inspection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wheth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platform call button 5 has been continu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 minute) and whether the platform call button 5 is pressed again. It is confirmed whether or not (step S106). At this time, when confirming that the platform call button 5 is pressed agai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executes the exhalation switching process or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ocess, and repeats the same operatio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noperated state of the platform call button 5 continues,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hifts the notification mode to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S107), and repeats the same operation.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의하면, 알림 제어부(14)는 승강장 조작반(3)이 모드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알림 모드를 통상 알림 모드에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전환하고, 점검 정보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알림 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보수 도구 등의 전용 기기를 이용하는 일 없이, 작업원 등이 엘리베이터 칸(10) 상태를 승강장(1)에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witches the notification mode from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in response to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3 receiving the mode switching operation. The check information is notified to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By this structure, the worker etc. can confirm the state of the cage | basket | car 10 in the boarding point 1, without using exclusive equipment, such as a repair tool.

또한,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시에 승강장 조작반(3)이 소정의 정보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의 알림 내용을,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로부터 다른 정보로 전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원이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을 조작하는 것에 따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의 알림 내용의 정보를 바꿀 수 있어 작업원 등이 각종 정보를 승강장(1)에서 확인할 수 있다.Moreover,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respond | corresponds to the board | substrate operation panel 3 receiving predetermined | prescribed information switching operation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and the notification content of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indicator 4 is contained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 from one of the information to the oth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s the operator operates the UP platform call button 5A or the DOWN platform call button 5B, the information of the notification contents of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can be changed, and the worker or the like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in the platform 1.

게다가 알림 제어부(14)는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시에 승강장 조작반(3)이 소정의 지정호기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의 알림 대상인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에서 다른 엘리베이터로 전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원이 조작 장소를 이동하는 일 없이, 각 호기에 관한 점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Moreover,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respond | corresponds to the board | substrate operation panel 3 receiving predetermined designation changeover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about which elevator of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indicator 4 is an object of notification. Switch from one elevator to another. By this structure, the inspection information about each machine can be confirmed, without a worker moving an operation place.

또한, 알림 제어부(12)는 통상 알림 모드에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전환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승강장 조작반(3)이 조작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점검 정보 알림 모드에서 통상 알림 모드로 알림 모드를 전환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점검 정보 알림 모드를 자동적으로 해제할 수 있어, 작업원이 해제 조작을 생략하고 복구 작업을 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2 switches from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and confirms that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3 is not op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2 switches the notification mode from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to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do. By this configuration,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can be released automatically, and the worker can skip the release operation and start the recovery operation.

또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 예를 들면 아나운스 장치(6)에, 1호기의 정보를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표시하고 있다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시켜도 괜찮다. 또한, 아나운스 장치(6)에 도 3에 나타내는 점검 정보 내용의 아나운스를 시켜,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대상인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 번호를 표시시켜도 괜찮다. 즉, 음성 출력으로 점검 정보를 작업원 등에 알려도 괜찮다.In addition, in Embodiment 1, you may make the announce apparatus 6 announce that the information of the 1st unit is displayed on the cage | basket | car position indicator 4, for example. In addition, you may make the announce apparatus 6 announce the content of the inspection information shown in FIG. 3, and may display the car number of the target car on the cage position indicator 4. As shown in FIG.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inform the worker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by the audio output.

또한, 실시 형태 1에서는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의 누름 시간(길게 눌렸는지 여부)에 따라서, 알림 내용 전환 처리와 호기 번호 전환 처리를 구별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승강장 조작반이 정상인용의 UP 승강장 호출 버튼 및 DOWN 승강장 호출 버튼과 휠체어 이용자용의 UP 승강장 호출 버튼 및 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정상인용의 UP?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호기 번호의 값을 증감해도 괜찮다. 이 경우에는 휠체어 이용자용의 UP?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의 조작에 따라 점검 정보 파라미터의 값을 증감해도 괜찮다.In addition, in Embodiment 1, notification content switching process and exhalation number switching process we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press time (whether it was pressed long) of UP platform call button 5A or DOWN platform call button 5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whe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has an UP platform call button and a DOWN platform call button for a normal person, and an UP platform call button and a DOWN platform call button for a wheelchair user. You may increase or decrease the value of an exhalation number according to operation of the UP and DOWN platform call buttons. In this case, the value of the inspection information parameter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UP and DOWN platform call button for wheelchair users.

실시 형태 2.Embodiment 2.

실시 형태 1에서는 알림 제어부(14)가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에,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 중 어느 1개를 표시시켰다. 이에 대해서, 실시 형태 2에서는 알림 제어부(14)가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 내에 나열하여 표시시킨다.In Embodiment 1,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displayed the car position indicator 4 any one of the som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In contras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lists and displays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i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9.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있어서, 실시 형태 2의 승강장 조작반(3)은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부가하여, 디스플레이 장치(9)를 더 가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9)는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10)이 통상 운전 모드 시에,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설치된 방범 카메라(도시하지 않음)의 촬영 화상이나, 건물의 세입자에 대한 광고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Fig.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ystem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8,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of Embodiment 2 further has the display apparatus 9 in addition to the structure of Embodiment 1. As shown in FIG. The display device 9 i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monitor.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9 displays a photographed image of a security camera (not shown) installed in the car 10, an advertisement for a tenant of a building, and the like, when the car 10 is in a normal driving mode. It is to display. 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in the first embodiment.

다음에,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8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의 개요는 실시 형태 1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과 같다. 또한,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알림 제어부(14)의 점검 정보 전환 처리(도 5에 나타내는 단계 S200의 일부)에 상당하는 동작이 생략 되고 있다(도 9의 단계 S400).Next, operation | movement of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Embodiment 2 is demonstrated.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controller 14 of FIG. 8. 9, the outline | summary of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2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1st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Embodiment 2, operation | movement corresponded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switching process (part of step S200 shown in FIG. 5) of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Embodiment 1 is abbreviate | omitted (step S400 of FIG. 9). ).

게다가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알림 제어부(14)의 점검 정보 선택 처리(도 5에 나타내는 단계 S300)에 상당하는 동작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한 후에, 지정호기의 운전 모드와,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의 가장 가까운 층과,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의 도어 존 내의 판정 결과와,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의 이용자의 검출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시킨다(단계 S401).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다.In addition, i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of the second embodiment,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step S300 shown in FIG. 5) of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of the first embodiment is different. Specifically, after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the operation mode of the designated unit, the closest floor of the car 10 of the designated unit, and the cage 10 of the designated unit. The determination result in the door zone and the detection result of the user in the car 10 of the designated unit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9 so as to be displayed (step S401). The subsequent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와 같은 실시 형태 2의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의하면, 알림 제어부(14)가,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했을 때에, 점검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 내에 나열하여 표시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원에게 한 번에 알리는 정보량을 증대하기 때문에, 작업원이 엘리베이터 칸(10) 상태를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second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ar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9. List them and display them. This configuration increases the amount of information notified to the worker at one time, so that the work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car 10 at once.

또한, 실시 형태 2에서는 알림 제어부(14)가 지정호기에 관한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모든 정보(4 종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시켰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알림 제어부(14)가 지정호기에 관한 점검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정보 중, 2 종류 이상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시켜도 괜찮다.In addition, in Embodiment 2,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displayed all the information (four types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about a designated machine by listing them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9.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may list and display two or more kinds of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9 among a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on the designated unit.

또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14)가 복수의 호기에 관한 점검 정보에 있어서의 임의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에 나열하여 표시시켜도 괜찮다.In addition, in Embodiment 2,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may display arbitrary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9 in arbitrary information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regarding a plurality of machines.

실시의 형태 3.Embodiment 3.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알림 제어부(14)가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때에는 아나운스 장치(6)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다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출력시킨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의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같다.In the third embodiment,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when the user confirms that the user exists in the car 10 of the designated unit, the user is notified to the announce apparatus 6. Outputs an announce that it exists.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Embodiment 3 is the same as that of Embodiment 2. As shown in FIG.

다음에, 실시의 형태 3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실시의 형태 3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의 개요는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과 같다. 또한, 실시의 형태 3의 알림 제어부(14)의 동작에서는 실시 형태 2의 알림 제어부(14)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 장치(9)에 점검 정보를 표시시킨 후의 동작이 상이하다.Next, operation | movement of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Embodiment 3 is demonstrated. 10 is a flow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he outline | summary of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Embodiment 3 is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Embodiment 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operation | movement of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Embodiment 3, operation | movement after displaying the inspection information on the display apparatus 9 in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of Embodiment 2 differs.

구체적으로, 알림 제어부(14)는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여, 점검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9)의 화면 내에 표시시킨 후(단계 S400의 후)에,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500). 이때, 알림 제어부(14)는 그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다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아나운스 장치(6)에 출력시킨다(단계 S501). 한편, 알림 제어부(14)는 그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아나운스 출력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2와 같다.Specifically,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sets the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displays the inspec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9 (after step S400), and then enters the cage 10 of the designated unit.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user exists (step S500). At this time,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onfirms that the user exists in the car 10, the announcer 6 sends an announce to the announcer 6 that the user exists in the car 10 of the designated unit. To output (step S501).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user does not exist in the cage | basket | car 10,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does not perform an announce output. The subsequent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상기와 같은 실시의 형태 3의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에 의하면, 알림 제어부(14)가 알림 모드를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하고 있는 경우에, 지정호기의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을 때에는 아나운스 장치(6)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다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출력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음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감금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작업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10) 내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작업원에게 우선적으로 주의를 촉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device of the elevator of the above Embodiment 3,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sets the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it confirms that a user exists in the cage | basket | car 10 of a designated machine. When doing so, the announce device 6 outputs an announce that a user exists. With this configuration, the worker can be notified whether or not the user's confinement has occurred by using the voice. Therefore, the worker can be preferentially urged that the user exists in the car 10.

또한,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실시 형태 2의 동작에, 도 10에 나타내는 단계 S500, S501을 더한 동작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실시 형태 1의 동작에, 도 10에 나타내는 단계 S500, S501를 더해도 괜찮다.In addition, in Embodiment 3, operation which added the operation of Embodiment 2 to step S500, S501 shown in FIG. 10 was demonstrated. However, steps S500 and S501 shown in FIG. 10 may be added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알림 제어부(14)가 지정호기 이외의 호기의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도, 그 엘리베이터 칸 안에 이용자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그 호기 번호와 함께 이용자가 엘리베이터 칸 안에 존재하는 취지의 아나운스를 출력시켜도 괜찮다.In addition, in Embodiment 3, when the notification control part 14 confirms that a user exists in the cage | basket | car even about elevators of other than a designated breathing machine, a user exists in the cage | basket | car with the breathing number. You may output an announce to the effect.

게다가 실시 형태 1~3에서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가 복수의 엘리베이터의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10)의 운전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엘리베이터 제어장치(12)가 단체(單體)의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을 제어하는 구성이어도 괜찮다. 이 경우, 알림 제어부(14)의 호기 선택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Furthermore, in Embodiments 1-3, the structure which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2 controls operation of each cage | basket | car 10 of several elevator was demonstrated. However, the structure which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12 controls operation | movement of a single car can be good. In this case, the breath selection process of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14 can be omitted.

또한, 실시 형태 1~3에서는 UP 승강장 호출 버튼(5A) 또는 DOWN 승강장 호출 버튼(5B)이 일정시간 길게 눌리는 조작이 모드 전환 조작이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일정시간(5초 정도) 내에 상층측 호출 버튼을 연속해 복수 회 누르고, 하층측 호출 버튼을 연속해 복수 회 누르는 등의 조작을 모드 전환 조작이라고 해도 좋다.In addition, in Embodiments 1 to 3,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UP platform call button 5A or the DOWN platform call button 5B for a predetermined time was a mode switching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even if the upper call button is pressed a plurality of times in succession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bout 5 seconds), the operation such as pressing the lower call button several times in succession is also referred to as a mode switching operation. good.

게다가 실시 형태 1~3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4)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9)를 승강장 알림 수단으로서 이용했다. 그렇지만, 이 예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홀 랜턴이나, 호출 버튼 등에 이용되는 발광 수단에 점멸?점등 표시를 시켜도 괜찮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점멸?점등 패턴의 종류(점멸?점등 주기)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상태를 작업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UP 승강장 호출 버튼과 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의 양방을 점멸?점등시켜서, UP 승강장 호출 버튼과 DOWN 승강장 호출 버튼의 점멸?점등 패턴의 조합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상태를 작업원에게 알릴 수도 있다. 게다가 홀 랜턴의 상층측과 하층측의 양방의 점멸?점등 패턴의 조합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상태를 작업원에게 알릴 수도 있다.Moreover, in Embodiment 1-3, the cage position indicator 4 or the display apparatus 9 was used as a board | substrate notification mea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means used for the hall lantern, the call button, or the like may be flashed or lit. In this case, for example, the operator can be informed of the elevator state by the kind of the flashing / lighting pattern (flashing-lighting cycle).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be notified of the elevator status by the combination of the blinking and lighting patterns of the UP landing platform call button and the DOWN landing platform call button by blinking and lighting both the UP landing site call button and the DOWN landing site call button. In addition, the operator can be notified of the elevator state by the combination of the blinking and lighting patterns of both the upper floor and the lower floor of the hall lantern.

1 : 승강장 2 : 승강장 도어
3 : 승강장 조작반 4 : 엘리베이터 칸 위치 표시기
5 : 승강장 호출 버튼 6 : 아나운스 장치
7 : 승강장 기기 제어 수단 8 : 승강장 버튼 검출 수단
9 : 디스플레이 장치 10 : 엘리베이터 칸
11 : 엘리베이터 칸 부하 검출 수단 12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3 : 운전 제어부 14 : 알림 제어부
1: platform 2: platform door
3: platform operation panel 4: car position indicator
5: platform call button 6: announce device
7: platform equipment control means 8: platform button detection means
9: display device 10: elevator car
11 car load detection means 12 elevator control device
13: operation control unit 14: notification control unit

Claims (6)

엘리베이터 칸의 운전에 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통상 알림 모드를 포함한 복수의 알림 모드에 의해,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내용을 제어하는 알림 제어부
를 구비하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로서,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승강장에 마련된 승강장 조작반의 승강장 호출 버튼이 소정의 모드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엘리베이터의 점검용의 정보인 점검 정보를 작업원에게 알리기 위한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상기 통상 알림 모드로부터 상기 알림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에 상기 점검 정보를 알림 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Notification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notification contents of platform notification means provided in the platform by a plurality of notification modes including a normal notification mode for informing a user of information about driving of a car.
As a notification device of an elevator having a,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is a check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for informing the worker of inspec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for checking the elevator in response to the boarding point call button of the board operating panel provided in the boarding area receiving a predetermined mode switching operation. An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for switching the notification mode from a mode and informing the boarding point notification means of the inspection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검 정보에는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시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이 소정의 정보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에서 다른 정보로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내용을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heck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switch the notification contents of the platform notification means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 to another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receiving a predetermined information switching operation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Notification device of the elevato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복수의 엘리베이터이며,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시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이 소정의 지정호기 전환 조작을 받은 것에 대응하여,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의 알림 대상인 엘리베이터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엘리베이터 중 어느 하나의 엘리베이터에서 다른 엘리베이터로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or is a plurality of elevators,
In response to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receiving a predetermined designated breathing switch operation in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hange the elevator to another elevator from one of the plurality of elevators to the elevator that is the notification target of the platform notification means. Notification device of the elevator to switch to.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은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상기 점검 정보에는 복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시에, 상기 복수의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내에 나열하여 표시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form notification means is a display device,
The check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formation,
And the notification controller controls the plurality of pieces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in the check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알림 수단은 문자를 표시 가능한 문자 표시 수단과 음성 출력 수단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 시에,
상기 점검 정보를 상기 문자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존재하는 이용자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내에 존재하는 이용자를 검출한 취지의 음성 아나운스를 상기 음성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arding point notification means includes a text display means capable of displaying text and a sound output means,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in the check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Display the check information on the character display means;
The elevator notification device, when detecting the user existing in the car, outputs an audio announce from the voice output means to detect the user present in the c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제어부는 상기 통상 알림 모드에서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로 상기 알림 모드를 전환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이 조작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경우에는 상기 점검 정보 알림 모드에서 상기 통상 알림 모드로 상기 알림 모드를 전환하는 엘리베이터의 알림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otification control unit switches the notification mode from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to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and then,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is not opera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from the inspection information notification mode to the normal notification mode. Notification device in the elevator to switch the notification mode.
KR1020127007039A 2009-11-02 2009-11-02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Expired - Fee Related KR10130556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8759 WO2011052090A1 (en) 2009-11-02 2009-11-02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853A true KR20120060853A (en) 2012-06-12
KR101305568B1 KR101305568B1 (en) 2013-09-09

Family

ID=4392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0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305568B1 (en) 2009-11-02 2009-11-02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497738B1 (en)
JP (1) JP5558484B2 (en)
KR (1) KR101305568B1 (en)
CN (1) CN102574661B (en)
WO (1) WO201105209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012A (en) * 2020-05-19 2021-11-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inspection contro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7897B2 (en) * 2011-06-08 2015-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for electronic safety
JP5442679B2 (en) * 2011-08-18 2014-03-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control device
JP5547244B2 (en) * 2012-06-29 2014-07-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JP2015168501A (en) * 2014-03-06 2015-09-2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JP5963321B2 (en) * 2014-06-05 2016-08-0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alarm system
CN108750844B (en) * 2018-05-21 2020-06-26 日立楼宇技术(广州)有限公司 Elevator type identification method and system, identification device, and readable storage medium
US20230109305A1 (en) * 2020-02-19 2023-04-06 Inventio Ag Not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levator operation mod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7101B2 (en) * 1998-08-05 2004-08-2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management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2002060155A (en) * 2000-08-22 2002-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for hydraulic elevator
JP4112273B2 (en) * 2002-05-15 2008-07-0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system
JP4557524B2 (en) * 2003-10-07 2010-10-0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6151576A (en) * 2004-11-29 2006-06-15 Mitsubishi Electric Corp Cage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JP2006321604A (en) * 2005-05-18 2006-11-30 Kuma Lift Gijutsu Kenkyusho:Kk Luggage elevator
JP2007276940A (en) * 2006-04-05 2007-10-25 Toshiba Elevator Co Ltd Landing position indicator control device and landing position indicator display system
JP2008273704A (en) * 2007-05-01 2008-11-13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Control device of elevator and method of repairing elevator
JP2009051641A (en) 2007-08-28 2009-03-12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System for checking in-car state of elevator when abnormality occu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3012A (en) * 2020-05-19 2021-11-2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Elevator inspection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58484B2 (en) 2014-07-23
WO2011052090A1 (en) 2011-05-05
EP2497738B1 (en) 2017-03-15
EP2497738A1 (en) 2012-09-12
KR101305568B1 (en) 2013-09-09
EP2497738A4 (en) 2014-12-31
CN102574661B (en) 2015-04-01
JPWO2011052090A1 (en) 2013-03-14
CN102574661A (en)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568B1 (en) Notification device of elevator
US7621378B2 (en) System for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and method of controlled operation of elevator in case of fire
JP5516743B2 (en) Monitor control unit
KR100896872B1 (en) Elevator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ng elevator
JP5516742B2 (en) Elevator monitor controller
CN102123931B (en) Rescue operation system for elevator
EP1975109A1 (en) Management device for evacuation, used for elevator
JP5911339B2 (en) Elevator rescu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JP5615104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10047402A (en) Elevator
JP2004359405A (en) Elevator remote rescue method in case of earthquake
JP4932399B2 (en) Elevator rescue operation device
JP2010013254A (en) Control device of passenger conveyer
JP6049389B2 (en) Elevat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unusable notification method
WO2022059096A1 (en) Emergency communication system for elevator
JP5935433B2 (en) Elevator fire operation system
CN102689827B (en) Elevator system
JP6610409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notification system
JP2003335460A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8050113A (en) Rescue operation device in case of earthquake in elevator
EP3287406A1 (en) Building occupant evacuation
JP2012144330A (en) Elevator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JPH08113438A (en) Cage position informing device for elevator
JP2007186324A (en) Elevator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