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60769A - 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 Google Patents

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0769A
KR20120060769A KR1020110128198A KR20110128198A KR20120060769A KR 20120060769 A KR20120060769 A KR 20120060769A KR 1020110128198 A KR1020110128198 A KR 1020110128198A KR 20110128198 A KR20110128198 A KR 20110128198A KR 20120060769 A KR20120060769 A KR 20120060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mold
pattern
raised
ridg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데이비드 케시 길
Original Assignee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턴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1012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0769A/en
Publication of KR20120060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769A/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25G1/102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the shape being specially adapted to facilitate handling or improve 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02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39/026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9/00Shaping by casting, i.e. introducing the moulding material into a mould or between confining surfaces without significant moulding pressure; Apparatus therefor
    • B29C39/2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39/26Moulds or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9/00Machines or devices for polish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ools made of soft or flexible material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solid or liquid polishing ag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도구 손잡이용 가요성 몰딩 그립은 인접 영역 위에 융기하는 부분들의 표면 상에 패턴을 가지고, 융기부분들의 표면들은 가공패턴화된다. 가공패턴화된 융기부들은 중간의 부드러운 부분 위로 약 0.5mm 내지 2mm의 범위 내에서 연장한다. 융기부들 각각의 영역은 중간 공간의 영역의 약 100 내지 200%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융기부들의 패턴은 다각형, 원형, 계란형 및 타원형 패턴과 같은 패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몰드에서 융기부들을 형성하고, 몰드에서부터 제거한 후 융기부들 위에 가공패턴화된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The flexible molding grip for the tool handle has a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raised portions over the adjacent area, and the surfaces of the raised portions are processed patterned. The process patterned ridges extend in the range of about 0.5 mm to 2 mm over the middle soft portion. The region of each of the ridges may be in the range of about 100-200% of the region of the intermediate space. The pattern of ridges may include patterns such as polygonal, circular, oval and oval patterns. The method includes forming ridges in the mold, removing them from the mold, and forming a processed patterned surface over the ridges.

Description

부분적으로 가공패턴된 표면을 가지는 가요성 그립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본 발명은 여기에서 전체가 참조로 통합되고 또한 데이비드 케이스 길에 의한 "부분적으로 가공패턴된 표면을 가지는 가요성 손잡이"라는 제목으로 2010년 12월 2일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1/418,96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출원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U.S. Provisional Patent Application Ser. No. 61 / 418,964, filed Dec. 2, 2010 entitled "Flexible Handle with Partially Processed Surface", which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It is an application claiming priority.

본 발명은 공구와 스포츠 용품과 같은 도구 손잡이 상에 채용되는 유형의 가요성 그립(flexible grip)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grip of the type employed on tool handles such as tools and sporting goods.

가요성 그립은 종종 망치와, 손도끼와, 도끼와, 그리고 테니스 라켓, 골프 클럽과 같은 스포츠 용품과 같은 손 공구(hand tools)의 고형 또는 중공 손잡이 위에 조립된다. 상기 응용들을 위한 가요성 그립은 보통, 도구 손잡이의 그립부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핸드홀드(hand hold)에 탄성 또는 "부드러운" 촉감을 주기 위하여 고무, 탄성중합체 재료 또는 높게 가소성이 부여되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몰딩된다.Flexible grips are often assembled on solid or hollow handles of hammers, hand axes, axes and hand tools such as sporting goods such as tennis rackets and golf clubs. Flexible grips for such applications are usually such as rubber, elastomeric materials or highly plasticized plastic materials to give an elastic or “soft” touch to the hand hold applied individually to the grip portion of the tool handle. Molded with a flexible material.

지금까지, 가요성 재료로 몰딩된 그립은, 그립의 필요한 마감과 외관에 따라 주형시에 직조된 표면(textured surface), 또는 부드러운 또는 "광택(shiny)" 표면이 제공되어 왔다. 또한, 장식적인 디자인 로고를 제공하기 위해 또는 그립에 미학적인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요입된(recessed) 패턴 또는 디자인에 제공된 그립의 부분들을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To date, grips molded from flexible materials have been provided with a textured surface, or a smooth or “shiny” surface at the time of molding, depending on the required finish and appearance of the grip. It is also known to provide portions of the grips provided in a recessed pattern or design to provide a decorative design logo or to give the grip an aesthetic appearance.

부드러운 또는 "광택" 그립의 장점은, 충분히 연한 재료 위에 적용되었을 때, 예컨대 망치 또는 골프 클럽의 경우에서처럼 힘과 속도로 도구를 휘두를 때에, "끈적거림"("tachy" 또는 "sticky")을 사용자에게 주어, 사용시에 사용자의 손에서 그립의 마찰적인 유지를 개선한다는 것이다.The advantage of soft or "glossy" grips is that when applied over sufficiently soft material, the user may use "tachy" or "sticky" when swinging the tool with force and spe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hammer or golf club. To improve the frictional retention of the grip in the user's hand when in use.

그러므로, 도구를 위한 가요성 그립의 그립력과 미학적인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수단을 제공할 것이 요구되어 왔다.Therefore, there has been a need to provide a method or means that can improve the grip and aesthetic appearance of a flexible grip for a tool.

본 발명은 조금 융기하여 교번하여 배치되는 (alternate or interspersed) 영역이 형성되는 표면 상에 패턴을 가지는, 고무, 탄성중합체 또는 높게 가소성이 부여되는 플라스틱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몰딩되는 유형의 도구 손잡이용 가요성 그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tool handles of the type molded into a flexible material such as rubber, elastomer or highly plasticized plastic having a pattern on the surface on which alternate or interspersed areas are form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lexible grip.

융기부들의 표면은, 부드러움이 제공되는 융기부들 사이에 요입된 영역(recessed areas)를 가지도록 몰딩한 후, 즉 광택표면 처리한 후에 버프연마(buffing)와 같은 처리를 통해 가공패턴화 된다. 가공패턴화 된 융기부들은 약 0.5mm 내지 2mm의 범위 내에서 패턴 중 요입된 부드러운 부분들 위로 연장한다. 버프연마 처리된 융기부들에 채용되는 패턴들은, 사용자에게 개선된 그립특성을 제공하고 또한 요입된 광택부와 촉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결합(tactiley discernable engagement)를 유지하기 위하여 요입된 광택부 영역의 약 100% 내지 200%의 범위 내에서 융기영역을 생성한다.The surface of the ridges is processed patterned through a process such as buffing after molding to have recessed areas between the ridges provided with softness, i.e. after polishing the surface. The machined patterned ridges extend over the recessed soft portions of the pattern within the range of about 0.5 mm to 2 mm. Patterns employed in buff polished ridges provide improved grip characteristics to the user and also maintain a tactiley discernable engagement with the indented polish. Create ridges in the range of about 100% to 200%.

본 발명에 따른 도구 손잡이용 가요성 그립은, 그립의 그립력과 미학적인 외관이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flexible grip for a tool han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grip force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grip.

도 1은 도구의 손잡이 상에 조립된 본 발명의 가요성 그립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그립에 채용되는, 한 형태의 가공 패턴의 일부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선 6-6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그립에 대한 다른 형태의 가공 패턴의 평면도.
도 8은 도 1의 그립에 대한 다른 형태의 가공 패턴의 평면도.
도 9는 도 1의 그립에 대한 다른 형태의 가공 패턴이 평면도.
도 10은 도 8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grip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ed on a handle of a tool.
FIG. 2 is a plan view of a part of a form of a processing pattern employed in the grip of FIG.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4 shows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4-4 of FIG.
5 shows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5-5 of FIG.
FIG. 6 shows a portion of the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6-6 of FIG. 2; FIG.
7 is a plan view of another form of processing pattern for the grip of FIG.
8 is a plan view of another form of processing pattern for the grip of FIG.
9 is a plan view of another form of processing pattern for the grip of FIG.
FIG. 10 shows a portion of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10-10 of FIG. 8.

도 1을 참조하면, 가요성 그립(10)은 관형 부재의 형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도구 핸들(12)의 단부 위에 조립된다. 도 1에서 그립(10)의 첨단은 밀폐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밀폐된다. 그립(10)은,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고 또한 그립의 표면 위에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패턴(14)를 사용한다. 패턴 또는 그립(14)은 도 1에서 육각형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는 융기부(16)들을 가진다. 융기부(16)들 간의 영역은 육각형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약한 홈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있고 또한 음영으로 도시되고 그리고 참조번호 18이 부여된다. 도 1의 실시예(10)에 채용된 패턴은 도 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융기부들은 도 1의 음영 육각형 영역(16)에 대응하고 또한 육각형 형상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대향하는 정점들을 가지는 육각형으로 나타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lexible grip 10 is assembled over the end of the tool handle 12 which is widely used in the form of a tubular member. The tip of the grip 10 in FIG. 1 is sealed or substantially sealed. The grip 10 uses only a portion 14 of which is shown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nd which continues continuously over the surface of the grip. The pattern or grip 14 has ridges 16 described in FIG. 1 as having a hexagonal configuration. The area between the ridges 16 is shown to have a weak groove to provide a hexagonal configuration and is also shown shaded and given with reference numeral 18. The pattern employed in the embodiment 10 of FIG. 1 is shown in detail in FIG. 7 wherein the ridges are interconnected by a straight line corresponding to the shaded hexagonal area 16 of FIG. 1 and also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hexagonal shape. It is shown as a hexagon with opposite vertices.

본 발명에서, 그립(10)은 융기영역의 패턴을 형상하도록 구성된 몰드 표면들을 가지는 몰드에 경화되지 않은 고무 또는 다른 경화성 재료를 삽입하고, 몰드에서 그립을 경화함으로써 형성된다. 다르게는, 육각형 이외의 다각형 형성, 예컨대 팔각형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10 is formed by inserting an uncured rubber or other curable material into a mold having mold surfaces configured to shape a pattern of raised areas and curing the grip in the mold. Alternatively, polygonal formations other than hexagons may be employed, for example octagonal shapes.

본 발명에서, 그립(10)은 융기부들의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몰드 표면을 가지는 몰드에 고무 또는 다른 경화성 재료를 삽입하고, 몰드에서 그립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융기영역(16)의 표면은 광택이 나도록 몰드될 수 있고, 그리고 몰드로부터 그립을 제거한 후 그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공패턴화 마감을 제공하고 또한 그립에 요망하는 외관을 제공하기 위해 버프연마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융기부(16)들 각각의 영역이 요입부(18)들 각각의 영역의 약 100 내지 200%의 범위 내에 있도록 패턴(14)을 형성하는 것이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서, 약 2mm 내지 10mm 의 범위 내에서 횡단 표면 크기 또는 폭과 약 0.5mm 내지 2mm 의 범위 내에서 폭을 가지는 융기부(16)를 형성하도록 몰드를 구성하는 것이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10 is formed by inserting a rubber or other curable material into a mold having a mold surface configured to form a pattern of ridges and curing the grip in the mold. The surface of ridge 16 may be molded to be polished, and after removal of the grip from the mold, it may be buffed to provide a patterned finish to improve grip and to provide a desired appearance to the grip. Can b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found satisfactory to form the pattern 14 such that the area of each of the ridges 16 is in the range of about 100 to 200% of the area of each of the recesses 18.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found satisfactory to configure the mold to form a ridge 16 having a transverse surface size or width in the range of about 2 mm to 10 mm and a width in the range of about 0.5 mm to 2 mm.

도 2 내지 6을 참조하면, 그립(10)에 채용되는 패턴의 다른 실시예가 참조번호 20으로 표시되고 또한 중간에 요입된 부분을 가지는 직물 외관(woven appearance)를 제공하는 직사각형 구성의 융기영역을 포함한다. 문자 X로 십자-교차선으로 표시되고, 직각으로 배열되며 참조번호 22가 부여되는 작은 정사각형 영역들이 영역(24 및 26)들의 교차점에 제공되고 또한 많은 양으로 요입된다. 참조번호 24로 표시되고, 이격된 평행선들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는 영역들은 가공패턴(직조) 외형을 가지도록 버프연마 처리된 표면을 가지는 융기부들이고, 그리고 참조번호 26으로 표시되는 부분들은 광택 마감처리된 요입된 영역을 나타낸다. 참조번호 24로 표시되는 부분들은, 도 5에서 참조문자 "h"로 표시되는 양만큼 참조번호 26으로 표시되는 영역들에서부터 융기한다. 본 발명에서, 치수 "h"는 그립에 원하는,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는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약 0.5mm 내지 2mm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With reference to FIGS. 2-6, another embodiment of the pattern employed in the grip 10 includes a raised area of rectangular construction, which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0 and also provides a woven appearance with a recessed portion in the middle. do. Small square regions, denoted by the cross-hairs of the letter X, arranged at right angles and given the reference numeral 22, are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regions 24 and 26 and are also incorporated in large quantities. Areas indicated at 24 and described as having spaced parallel lines are ridges having a buffed surface to have a processing pattern (weave) contour, and portions indicated at 26 are polished Indicates indented areas. The portion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4 are raised from the region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6 by the amount indicated by the reference character "h" in FI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mension "h" has been found to be satisfactory in the range of about 0.5 mm to 2 mm in order to give the grip a desired, tactile perception.

도 4, 5 및 6을 참조하면, 패턴(20)의 랩(wrap)과 웨프트(weft) 사이에 정사각형을 형성하는 중간 영역(22)들의 관계가, 가공패턴된 융기부(24)들과 요입부(26)들의 교차점의 중간의 정사각형 부분(22)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영역(22)들은 약 "h"의 깊이를 가질 수 있다.4, 5 and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mediate regions 22 forming a square between the wrap and the weft of the pattern 20 is defined by the ridges 24 having the processed pattern. It is shown to occur only in the square portion 22 in the middle of the intersection of the recesses 2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gions 22 may have a depth of about "h".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그립(10)에 대한 다른 형태의 가공패턴이 참조번호 30으로 설명되어 있고 또한 동일 직경의 융기된 원형 영역(24)의 열로 형성되는 패턴을 포함하고, 중간의 요입된 원형 영역(32)은 상기 원형의 융기된 영역(34)에 의해 둘러싸인다. 다르게는, 원형의 융기된 영역은 다른 형상, 예컨대 타원형 또는 계란형을 가질 수 있다. 영역(34)은 도 10에 도시된 참조문자 "h"만큼 또한 앞서 기술한 범위 내에서 표면(32)에서부터 융기된다.With reference to FIG. 8, another form of processing pattern for the grip 10 of FIG. 1 is described by reference numeral 30 and also includes a pattern formed by rows of raised circular regions 24 of the same diameter, The concave circular region 32 is surrounded by the circular raised region 34. Alternatively, the circular raised areas may have other shapes, such as oval or oval. The area 34 is raised from the surface 32 by the reference letter “h” shown in FIG. 10 and also within the above-described range.

본 발명에서, 융기영역(34)과 요입된 영역(32) 각각을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명되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found that it is satisfactory to form each of the raised areas 34 and the concave areas 32 with almost the same size.

도 9를 참조하면, 도 1의 그립에 대하 다른 형태의 육각형 패턴이 참조번호 40으로 도시되어 있고 또한 다수의 요입된 육각형 영역(42)을 가지는 바, 영역 각각은 참조번호 44로 표시되는 대응하는 육각형 융기부들에 의해 그의 여섯 측면들이 둘러싸인다. 도 9에서, 융기영역(44)은 그의 대향하는 정점들을 연결하는 선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융기부(44)들 각각은 다른 형태와 관련해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h"만큼 요입부(42)에서부터 융기한다.With reference to FIG. 9, another form of hexagonal pattern for the grip of FIG. 1 is shown at 40 and has a plurality of recessed hexagonal regions 42, each of which corresponds to a corresponding 44. Its six sides are surrounded by hexagonal ridges. In FIG. 9, the ridge 44 is described as having a line connecting its opposite vertices.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ridges 44 protrudes from the recess 42 by " h "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other forms.

그러므로, 본 발명은 손잡이를 가지는 도구, 특히 큰 힘과 속도로 스윙되는 도구들을 위한 가용성 그립을 기술한다. 그립은 동일 영역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패턴과 그리고 유사하게 구성되는 중간 부분들로부터 약간 융기하는 구성을 가지는 표면으로 몰딩되고; 그리고, 융기부분의 표면은 손으로의 유지력을 개선하기 위해 버프연마와 같은 통해 가공패턴화 된다. 표면의 융기부분들은, 원형, 계란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패턴은 그립의 주변부를 포함한다. 광택 표면을 가질 수 있어서 끈적한 그립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융기부들과 요입부들을 사용자는 촉감으로 인지할 수 있거나 또는 느낄 수 있다. 융기부들은 광택 표면을 가지도록 몰딩되어, 몰드로부터 제거되면 가공패턴화된 표면을 제공하도록 버프연마 처리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fusible grip for tools with handles, in particular tools swinging at great force and speed. The grip is molded into a surface having a pattern that includes portions of the same area and a slightly raised configuration from intermediate portions that are similarly constructed; Then, the surface of the ridge is patterned through processing such as buff polishing to improve the holding force by hand. The ridges of the surface may be constructed in a pattern such as a circle, oval, oval or polygon and the pattern also includes the periphery of the grip. The user can perceive or feel ridges and indentations that can have a glossy surface to provide a sticky grip action. The ridges may be molded to have a glossy surface and buffed to provide a processing patterned surface when removed from the mold.

명백하게, 상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한다면 다른 수정안들과 대안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한은, 위와 같은 모든 수정안들과 대안들과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Obviously,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ther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s may exist if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is read and understoo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such modifications, alternatives and equivalents as long as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1)

(a) 도구 손잡이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단부와;
(b) 상기 개방단부 말단의 밀폐단과; 그리고
(c) 가공패턴화된 면을 가지는 다수의 이격된 융기표면들과, 그리고 가공패턴화되지 않은 융기부들 중간의 공간들을 일체적으로 가지도록 구성되는 외측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지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는 관형 부재를 포함하는 도구 손잡이용 몰딩 그립.
(a) an open end for receiving a tool handle;
(b) a closed end of the open end; And
(c) having a plurality of spaced apart ridges having a machined patterned surface and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periphery configured to integrally have spaces in between the unpatterned ridges,
Molding grip for tool handle comprising a tubular member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패턴화된 표면들은 몰딩 후에 버프연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The grip of claim 1, wherein the processing patterned surfaces are formed by buffing after mo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표면들은 관형 그립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The grip of claim 1, wherein the raised surfaces surround a perimeter of the tubular gr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분들은 약 0.5mm 내지 2mm의 범위 내에서 융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The grip of claim 1, wherein the ridges are raised within a range of about 0.5 mm to 2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표면들은 중간표면 영역의 약 100 내지 200%의 범위 내에서 융기표면들 각각의 영역을 가지는 패턴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립.The grip of claim 1, wherein the raised surfaces are arranged in a pattern having areas of each of the raised surfaces within a range of about 100-200% of the intermediate surface area. 부분적으로 가공패턴화된 표면을 가지는 가요성 그립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법은:
(a) 그립 상에 융기부분으로 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구성된 표면을 가지는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b) 상기 몰드에 그립을 몰딩하여 경화시키고 그리고 몰드로부터 경화된 그립을 제거하는 단계와; 그리고
(c) 경화된 그립의 융기부분들의 표면에 가공패턴화된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적으로 가공패턴화된 표면을 가지는 가요성 그립을 제작하는 방법.
In a method of making a flexible grip having a partially patterned surface, the method includes:
(a) providing a mold having a surface configured to form a ridged pattern on the grip;
(b) molding and curing the grip on the mold and removing the cured grip from the mold; And
(c) providing a machined patterned surface to the surface of the raised portions of the hardened gri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약 0.5mm 내지 2mm의 범위 내에서 융기되는 그립 상의 융기부를 형성하도록 몰드의 표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providing the mold comprises configuring the surface of the mold to form a ridge on the grip that is raised within the range of about 0.5 mm to 2 m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패턴화된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는 그립의 융기표면들을 버프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forming the fabricated patterned surface comprises buffing the raised surfaces of the gri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그립의 주변을 둘러싸는 그립 상의 융기 표면부분으로 된 패턴을 형성시키도록 몰드의 표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providing the mold comprises configuring the surface of the mold to form a pattern of raised surface portions on the grip that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grip.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융기표면 중간의 공간들의 약 100 내지 200%의 범위 내에서 융기표면들 각각의 영역을 가지는 패턴으로 그립 상의 융기표면들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몰드의 표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providing the mold comprises forming a pattern of raised surfaces on the grip in a pattern having a region of each of the raised surfaces within a range of about 100 to 200% of the spaces in the middle of the raised surface. Forming a surface of the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를 제공하는 단계는 광택 표면을 가지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몰드의 표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providing the mold comprises configuring the surface of the mold to form a pattern having a glossy surface.
KR1020110128198A 2010-12-02 2011-12-02 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Ceased KR201200607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198A KR20120060769A (en) 2010-12-02 2011-12-02 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1/418,964 2010-12-02
KR1020110128198A KR20120060769A (en) 2010-12-02 2011-12-02 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769A true KR20120060769A (en) 2012-06-12

Family

ID=46611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198A Ceased KR20120060769A (en) 2010-12-02 2011-12-02 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076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4164B2 (en) 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485050B2 (en) Micropattern grip surface
US20080163463A1 (en) Tool handle
AU2014253556B2 (en) Handl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handle
US6772994B1 (en) Pry bar handle
RU2372960C2 (en) Reinforced shockproof sports handl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US20060282936A1 (en) Grip enhancing structure having vacuum adhesion micro, miniature_suction cup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AU9636698A (en) A handle with concave/convex profile
KR20120060769A (en) Flexible grip with partially textured surface and method of making same
TWI628058B (en) Hand operated tool and method for making a hand tool having a gripping surface with a variable friction pattern
EP2058033A1 (en) Flexible grip and method of making same
TW200942379A (en) Hollow plastic blowing tool box
JP4825186B2 (en) Rhythmic gymnastics clu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8772801B (en) Anti-skid handle
JP3115094U (en) Finger wear
JP7606762B2 (en) Golf Club Grips
KR200336540Y1 (en) a foot corneous elimination goods
KR200428474Y1 (en) Nail polisher
WO2005028213A3 (en) Manufacturing a pencil having gripping grooves
JP4851614B1 (en) toothbrush
CN201061880Y (en) Horticultural tool handle
PL10750S2 (en) Toothbrush
KR20100112505A (en) The bamboo-shaped functional gr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8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