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0452A -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60452A KR20120060452A KR1020100121969A KR20100121969A KR20120060452A KR 20120060452 A KR20120060452 A KR 20120060452A KR 1020100121969 A KR1020100121969 A KR 1020100121969A KR 20100121969 A KR20100121969 A KR 20100121969A KR 20120060452 A KR20120060452 A KR 2012006045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 composite
- shear connection
- reinforced concrete
- horizontal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이에 본 발명은 합성용 강재의 수직판이 수평판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형성되어 철근콘크리트 빔의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강합성빔에 있어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강재의 장점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특히 합성용 강재를 제작함에 있어 상단에 파형 전단연결부를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제작상의 효율성을 증진시킨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제공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종래 I형 강재를 이용한 거더교의 사시도,
도 3, 도 4 및 도 5는 종래 전단연결부의 설치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합성용 강재의 실시예들에 대한 사시도,
도 8,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합성용 강재와 철근콘크리트 빔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합성용 강재와 철근콘크리트 빔을 이용한 강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사시도이다.
120: 수직판 130: 파형 전단연결부
200: 철근콘크리트 빔 210: 상부플랜지
230: 내부철근 240: 긴장재
300: 교량하부구조 310: 교대
A: 강합성빔
Claims (17)
-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에 파형 전단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합성용 강재; 및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포함하는 빔으로써 상기 합성용 강재가 빔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합성용 강재의 수직판이 빔의 저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전단연결부에 의하여 합성용 강재가 빔과 일체화되도록 하는 철근콘크리트 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빔의 저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된 합성강재는 수평판이 철근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빔의 저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된 합성강재는 수평판이 철근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에 접하도록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용 강재의 수직판은 수평판 상면 중앙에 1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용 강재의 수직판은 수평판 상면 중앙에 2개 이상의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용 강재의 수직판은 수평판 상면 중앙에 2개가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되, 상기 2개의 합성용 강재 수직판은 수평판의 양 측단 상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판이 철근콘크리트 빔의 하부플랜지 양 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플랜지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되 수평판이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톱니 형태의 파형 전단연결부로 형성되어, 파형 전단연결부 사이사이에 철근콘크리트 빔의 내부철근이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빔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는 합성용 강재가 형성되기 이전에 긴장 후 정착되어 철근콘크리트 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빔의 상부플랜지는 횡방향으로 확폭된 폭을 가져 교량의 슬래브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 수평판; 및 상기 수평판 상면에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단에 파형 전단연결부가 다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직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합성용 강재; 및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포함하는 빔으로써 상기 합성용 강재가 빔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되, 상기 합성용 강재의 수직판이 빔의 저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전단연결부에 의하여 합성용 강재가 빔과 일체화되도록 하는 철근콘크리트 빔;을 포함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을 제작하고,
상기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을 교대 및 교각을 포함하는 교량하부구조에 거치하고,
상기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의 상부플랜지 상면에 포장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빔의 저면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된 합성강재는
수평판이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삽입시키거나, 수평판이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에 접하도록 삽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용 강재의 수직판은 수평판 상면 중앙에 1개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용 강재의 수직판은 수평판 상면 중앙에 2개 이상의 복수개가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용 강재의 수직판은 수평판 상면 중앙에 2개가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하되, 상기 2개의 합성용 강재 수직판은 수평판 양 측단 상면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판이 빔의 하부플랜지 양 측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부플랜지 내부까지 연장되도록 하되 수평판이 빔의 하부플랜지 저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부는 상방으로 돌출된 톱니 형태의 파형 전단연결부로 형성되어, 파형 전단연결부 사이사이에 빔의 내부철근이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콘크리트 빔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가 더 형성되도록 하여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되, 상기 긴장재는 합성용 강재가 형성되기 이전에 긴장 후 정착되어 철근콘크리트 빔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969A KR101228135B1 (ko) | 2010-12-02 | 2010-12-02 |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1969A KR101228135B1 (ko) | 2010-12-02 | 2010-12-02 |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60452A true KR20120060452A (ko) | 2012-06-12 |
KR101228135B1 KR101228135B1 (ko) | 2013-01-31 |
Family
ID=4661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1969A Active KR101228135B1 (ko) | 2010-12-02 | 2010-12-02 |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8135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94747A (zh) * | 2014-09-23 | 2015-01-21 | 同济大学 | 一种双塔混合梁斜拉桥体系及其施工方法 |
CN104532738A (zh) * | 2014-12-24 | 2015-04-22 | 福州大学 | 一种提高混凝土t型梁桥横向抗震性能的装置及施工方法 |
CN105064199A (zh) * | 2015-07-30 | 2015-11-18 |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 预制拼装钢桁腹混凝土组合桥梁及其制备方法 |
CN105569271A (zh) * | 2016-02-19 | 2016-05-11 | 中南大学 | 一种钢-混凝土结构的复合型剪力连接件及其制作安装方法 |
CN105887648A (zh) * | 2016-04-21 | 2016-08-24 |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 一种采用分层开孔板连接件的钢-混凝土部分预制叠合梁结构及其制作工艺 |
CN107447663A (zh) * | 2017-07-31 | 2017-12-08 |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 一种表面无孔式木栈道 |
KR20180033743A (ko) * | 2016-09-26 | 2018-04-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반단면데크를 이용한 강합성거더교 시공방법 |
KR20180090153A (ko) * | 2017-02-02 | 2018-08-10 | 정경진 | 층고저감형 개량형 철골보 구조 |
CN112176850A (zh) * | 2020-09-30 | 2021-01-05 | 长沙理工大学 | 一种钢-uhpc组合结构剪力连接件及其制作安装方法 |
KR102707466B1 (ko) * | 2024-05-22 | 2024-09-20 | 풍산종합건설(주) | 상판 일체형 합성거더의 제조방법, 이로써 제작된 상판 일체형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체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22688B1 (ko) * | 2021-12-20 | 2024-01-09 | 이노스텍 주식회사 | 거더의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의 보강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82147A (ja) * | 1985-10-04 | 1987-04-15 | 佐藤鉄工株式会社 | プレストレス合成桁の製造方法 |
JP2002213047A (ja) * | 2001-01-16 | 2002-07-31 | Nippon Steel Corp | 帯状鋼板ジベルとそれを用いた形鋼及び合成構造 |
JP2007254974A (ja) * | 2006-03-20 | 2007-10-04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形鋼を用いた鋼・コンクリートの複合構造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橋とこの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橋の施工方法 |
KR101092499B1 (ko) * | 2008-12-08 | 2011-12-13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웨이브형상의 전단연결재 |
-
2010
- 2010-12-02 KR KR1020100121969A patent/KR101228135B1/ko active Active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94747B (zh) * | 2014-09-23 | 2016-05-18 | 同济大学 | 一种双塔混合梁斜拉桥体系及其施工方法 |
CN104294747A (zh) * | 2014-09-23 | 2015-01-21 | 同济大学 | 一种双塔混合梁斜拉桥体系及其施工方法 |
CN104532738A (zh) * | 2014-12-24 | 2015-04-22 | 福州大学 | 一种提高混凝土t型梁桥横向抗震性能的装置及施工方法 |
CN105064199A (zh) * | 2015-07-30 | 2015-11-18 | 苏交科集团股份有限公司 | 预制拼装钢桁腹混凝土组合桥梁及其制备方法 |
CN105569271A (zh) * | 2016-02-19 | 2016-05-11 | 中南大学 | 一种钢-混凝土结构的复合型剪力连接件及其制作安装方法 |
CN105887648B (zh) * | 2016-04-21 | 2018-06-19 |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 一种采用分层开孔板连接件的钢-混凝土部分预制叠合梁结构及其制作工艺 |
CN105887648A (zh) * | 2016-04-21 | 2016-08-24 |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 一种采用分层开孔板连接件的钢-混凝土部分预制叠合梁结构及其制作工艺 |
KR20180033743A (ko) * | 2016-09-26 | 2018-04-04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프리캐스트 반단면데크를 이용한 강합성거더교 시공방법 |
KR20180090153A (ko) * | 2017-02-02 | 2018-08-10 | 정경진 | 층고저감형 개량형 철골보 구조 |
CN107447663A (zh) * | 2017-07-31 | 2017-12-08 |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 一种表面无孔式木栈道 |
CN107447663B (zh) * | 2017-07-31 | 2023-11-03 |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 一种表面无孔式木栈道 |
CN112176850A (zh) * | 2020-09-30 | 2021-01-05 | 长沙理工大学 | 一种钢-uhpc组合结构剪力连接件及其制作安装方法 |
KR102707466B1 (ko) * | 2024-05-22 | 2024-09-20 | 풍산종합건설(주) | 상판 일체형 합성거더의 제조방법, 이로써 제작된 상판 일체형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체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8135B1 (ko) | 2013-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8135B1 (ko) | 상단에 전단연결부가 형성된 합성용 강재를 이용한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134460B1 (ko) | 래티스 철근을 이용한 강재빔 및 그 시공방법 | |
KR101272116B1 (ko) | 파형강판 복부 피에스씨 거더의 파형강판 복부와 콘크리트의 결합구조 | |
KR100947306B1 (ko) | 콘크리트 전단연결부를 갖는 합성형 교량 구조 및 그시공방법 | |
KR100963579B1 (ko) | 트러스근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 |
KR101329434B1 (ko) | 슬릿형 웨브를 갖는 프리스트레스 합성보 | |
KR20180058971A (ko) | 아치 웨브 2중판을 갖는 충진콘크리트 강박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 |
KR101347939B1 (ko) | 횡방향 부재를 이용한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복부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합성구조 | |
KR101300296B1 (ko) | 스템형상을 갖는 격벽교대 일체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대 교량의 급속 시공방법 | |
KR101196005B1 (ko) | 긴장재를 사용하지 않는 철근콘크리트 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 |
KR101286112B1 (ko) | 수직강관을 복부재로 이용한 합성거더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 |
KR20190012766A (ko) | 탑u형 래티스 합성보 | |
KR101160763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보 | |
KR100870068B1 (ko) |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 |
KR100811203B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빔 | |
KR101321699B1 (ko) | 이중관을 이용한 강합성 트러스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 |
KR100676627B1 (ko) |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 |
KR101212259B1 (ko) | 파형 굴곡판으로 형성된 보강재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및 그 제작방법 | |
KR100969357B1 (ko) | 하부가 개방되고 지지격벽을 구비한 피에스씨 거더 및 이를 이용한 단순교 또는 연속교 시공방법 | |
KR101191545B1 (ko) | 다수 개의 캡 플레이트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 |
KR101447537B1 (ko) | 연속화모듈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연속화 방법 | |
KR20110065731A (ko) | 강재 조립보 및 그를 이용한 강콘크리트 합성보 | |
KR100830238B1 (ko) |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 |
KR102330324B1 (ko) | 에이피씨 거더 | |
KR20060038665A (ko) |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의 전단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전단보강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1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