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58978A -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 - Google Patents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978A
KR20120058978A KR1020100120531A KR20100120531A KR20120058978A KR 20120058978 A KR20120058978 A KR 20120058978A KR 1020100120531 A KR1020100120531 A KR 1020100120531A KR 20100120531 A KR20100120531 A KR 20100120531A KR 20120058978 A KR20120058978 A KR 20120058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aterial
outer diameter
inner diameter
mounting groove
r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선
송명길
김명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카하니핀 커넥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카하니핀 커넥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카하니핀 커넥터
Priority to KR102010012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8978A/ko
Priority to US13/305,766 priority patent/US20120223488A1/en
Publication of KR2012005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978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16J15/10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 F16J15/1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homoge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 플랜지 금구(fitting) 등에 이용되는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오링(O-ring)의 형태에서 벗어나 특정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금구 플랜지로부터의 빠짐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 후 유지고정을 위한 추가 공정을 불필요하고, 뛰어난 밀봉 유지/보존력을 구비할 수 있는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의 내경측과 외경측 중 적어도 하나는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과 상응하는 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거나,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경측과 외경측을 연결하는 양측면에는 다른 부분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대경부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SEALING MATERIAL ON HYDRAULIC FLANGE}
본 발명은 유압 플랜지 금구(fitting) 등에 이용되는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오링(O-ring)의 형태에서 벗어나 특정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금구 플랜지로부터의 빠짐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조립 후 유지고정을 위한 추가 공정을 불필요하고, 뛰어난 밀봉 유지/보존력을 구비할 수 있는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씰링재의 일종인 오링은 원형의 단면을 가진 환상의 고무제 등의 팩킹이다. 이러한 오링은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작은 공간에 장착할 수 있으며 취급이 간단하고 고압 하에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여 기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전 산업 분야에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링 씰링재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a)는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오링 씰링재(1)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환형(環形)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오링이 금구 플랜지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a)는 일반적인 오링(1)이 금구 플랜지(2)의 오링홈(3)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오링(1)이 설치된 금구 플랜지(2)와 어댑터(2')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인 오링은 조립 시 플랜지(2)의 오링홈(3)에 삽입 후, 특히 상대 어댑터(2')와의 체결을 위하여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충격 등에 의해 오링(1)이 쉽게 이탈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이탈로 인하여 조립 작업성이 저하되고, 오염 등에 의하여 오링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링이 플랜지(2)의 오링홈(3)에 삽입 시 비틀림 장착으로 인하여 씰링 성능이 저하되거나, 삽입된 후, 어댑터와의 체결시 오링의 변형 및 손상으로 인하여 실링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 일반적인 오링이 금구 플랜지에 설치된 구성에서 유압이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오링의 경우, 오링(1)이 설치된 금구 플랜지(2)와 상대 어댑터(2')가 결합된 후, 유압이 작용할 경우, 화살표 방향으로 오링이 변형하게 되고(오링홈 내에 공간 형성), 이에 따라 누유가 발생하는 등 완벽한 기밀 성능을 확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편, 도 4는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구 플랜지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구 플랜지(2)의 홈의 일측 선단부(원으로 나타낸 B 참조)를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시킨 돌출 형상(즉, 캡티브 형상(captive shape))으로 가공해야만 했다.
이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오링의 경우는 그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구 플랜지를 별도로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씰링재의 개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조립성을 극대화하고, 씰의 이탈 문제를 완벽하게 방지하며, 금구 플랜지와 어댑터의 체결 시 씰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구로의 삽입 시 비틀림 장착을 방지하고, 압착력에 의한 응력을 최적화하여 내구성 및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탈 방지를 위한 추가 공정 또는 별도의 구성을 불필요하며, 유지/보존력을 향상시키고, 누유를 방지할 수 있는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르면,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의 내경측과 외경측 중 적어도 하나는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과 상응하는 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르면,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의 내경측과 외경측 중 적어도 하나는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서, 상기 내경측과 외경측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경측과 외경측을 연결하는 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측면에는 다른 부분의 측면 간의 거리보다 긴 거리를 갖는 대경부(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내경측 또는 외경측은 상기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경부는 상기 외경측보다 내경측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르면,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는 반경방향 내측을 형성하는 내경면; 반경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외경면; 및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고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면에는 평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증가하게 돌출하는 테이퍼면에 의해 형성되는 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따르면,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는 반경방향 내측을 형성하는 내경면; 반경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외경면; 및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고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면 간의 거리를 t1이라고 할 때, 상기 양측면에는 상기 t1의 거리보다 큰 거리(t2)를 갖는 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관점 또는 제4 관점에서,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은 상기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따르면,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는 반경방향 내측을 형성하는 내경면; 반경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외경면; 및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고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관점에서, 상기 양측면의 직선부와 대경부 사이에는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증가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대경부는 상기 외경면보다 내경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경부는 상기 씰링재 장착홈의 깊이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플랜지용 씰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씰링재의 형상 개선을 통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용이하여 조립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둘째, 씰링재의 형상 개선을 통하여 씰링재의 이탈 문제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금구 플랜지와 어댑터의 체결 시 씰링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여 씰링 성능을 향상시키고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씰링재의 형상 개선을 통하여 금구로의 삽입 시 비틀림 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압착력에 의한 응력을 최적화하여 내구성 및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섯째, 이탈 방지를 위한 추가 공정 또는 별도의 구성을 불필요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일곱째, 유지/보존력을 향상시키고, 누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링 씰링재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의 (a)는 정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오링이 금구 플랜지에 설치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의 (a)는 일반적인 오링이 금구 플랜지의 오링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오링이 설치된 금구 플랜지와 어댑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
도 3은 종래 일반적인 오링이 금구 플랜지에 설치된 구성에서 유압이 작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오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구 플랜지의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씰링재가 금구 플랜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씰링재가 금구 플랜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반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씰링재가 설치된 금구 플랜지와 어댑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재가 설치된 금구 플랜지와 이에 결합된 어댑터 사이에서 유압이 작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관점에 따른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는, 본질적으로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의 내경측과 외경측 중 적어도 하나는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과 상응하는 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는, 본질적으로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의 내경측과 외경측 중 적어도 하나는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씰링재는 상기 내경측과 외경측을 연결하는 측면(양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측면에는 다른 부분의 측면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거나 돌출된, 또는 다른 부분의 측면 간의 거리보다 긴 거리를 갖는 대경부(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씰링재에서, 상기 대경부와 다른 측면을 연결하는 측면은 테이퍼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씰링재(유압 플랜지용 씰링재)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씰링재가 금구 플랜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씰링재가 금구 플랜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반 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씰링재가 설치된 금구 플랜지와 어댑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씰링재(100)는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로서, 특히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단면 형상에서 특정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씰링재(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구(200)(도 8 참조)의 씰링재 장착홈(210)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로서, 중심에서 바라본 경우, 반경방향 안쪽면을 형성하는 내경측(110), 반경방향 바깥쪽면을 형성하는 외경측(120) 및 상기 내경측(110)과 외경측(120)을 연결하는 측면(130)을 갖고 형성된다.
상기 내경측(110)이나 외경측(120) 또는 모두는 상기 씰링재 장착홈(210)의 대응하는 면과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면, 또는 씰링재 장착홈(210)의 대응하는 면에 면접촉하는 면(이하, 각각 "내경면(110)"과 "외경면(120)"이라 칭함)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씰링재(100)는 내경면(110)과 외경면(120)의 반경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길이(t1)는 그 씰링재(100)가 장착될 씰링재 장착홈(210)의 방향방향으로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씰링재 장착홈으로의 삽입 후 밀착력이 증대되고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내경면(110)으로부터 외경면(120)까지 소정의 길이(R), 즉 반경방향으로 소정의 치수(R)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길이(R)는 그 씰링재(100)가 장착될 씰링재 장착홈(210)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내경면(110)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하겠지만 유압 가압시 변형량이 최소화되고, 유압에 의한 균일한 수직 압착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외경면(120)은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후술하겠지만 유압 가압시 변형량이 최소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씰링재(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경면(110)과 외경면(120)을 연결하는 측면(130)에서 다른 부분의 측면에 비하여 두께가 두껍거나 돌출되는, 또는 다른 부분의 측면 간의 거리보다 긴 거리(t2>t1)를 갖는 대경부(또는 돌출부)(1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측면(130)은 내경면(110)과 외경면(120)을 연결함에 있어서 직선부(131)와 대경부(140)를 갖고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130)은 씰링재(100)가 장착되는 씰링재 장착홈(210)의 깊이보다 큰 폭을 갖는 대경부(140)를 갖고 형성된다.
상기 씰링재(100)가 장착된 금구 플랜지(200)와 이 금구 플랜지와 결합하는 상대물(즉, 어댑터)(200')(도 8 참조)이 체결된 후, 상기 대경부(140)는 압착 응력을 제공하여 초기 씰링 기능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 대경부(140)는 외경면(120)보다 내경면(110)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경면(110) 측으로부터의 유압 작용 시 초기 씰링 기능을 신뢰성있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씰링재(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의 측면(130)에서 직선부(131)와 대경부(140)는 연결하는 부위가 테이퍼면(150)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씰링재(100)에서, 상기 측면(130)에서 대경부(140)에 연결되는 소정 범위의 측면은 테이퍼면(150)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대경부(140)는 측면의 직선부(131)로부터 외측으로 증가하는 테이퍼면(150)에 의해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테이퍼면(150)은 유압 작용이나 어댑터와의 체결 시 그 테이퍼면(150)의 밀착력이 압력에 따라 증가함에 따라 씰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배형 테이퍼면으로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씰링재(100)는 일 예로 내유성 고무 및 열가소성 수지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유체와 맞게 내유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질 또는 적용 대상에 적절한 다양한 재질이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씰링재가 설치된 금구 플랜지와 이에 결합된 어댑터 사이에서 유압이 작용할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유압이 작용하게 되면, 씰링재(100)는 씰링재 장착홈에 각 벽과 어댑터의 일면으로 압착력에 의한 응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응력의 최적화를 통해 내구성과 내압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씰링재는 씰링재의 형상 개선을 통하여 조립이 편리하고 용이하여 조립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기존 오링과 같이 비틀림 장착되지 않게 밀착 삽입되어 씰링재의 이탈 문제를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씰링재의 삽입 이후에는 쉽게 이탈되는 기존 오링과 달리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여 강제 탈거하기 전에는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추후 이탈 방지를 위한 추가 공정이나 별도의 구성(즉. 장착홈의 형상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제작성을 향상시키고 제작 비용을 절감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씰링재는 금구 플랜지와 어댑터의 체결 시 씰링재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여 씰링 성능을 향상시키고 누유를 방지할 수 있고, 유지/보존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어댑터와의 체결시 씰링재의 변형 및 손상으로 인하여 실링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씰링재
110: 내경측(내경면)
120: 외경측(외경면)
130: 측면
131: 직선부
140: 대경부(돌출부)
150: 테이퍼면
200: 금구 플랜지
200': 어댑터

Claims (14)

  1.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의 내경측과 외경측 중 적어도 하나는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과 상응하는 면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2.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의 내경측과 외경측 중 적어도 하나는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에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측과 외경측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측과 외경측을 연결하는 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측면에는 다른 부분의 측면 간의 거리보다 긴 거리를 갖는 대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내경측 또는 외경측은 상기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상기 외경측보다 내경측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7.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는
    반경방향 내측을 형성하는 내경면;
    반경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외경면; 및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고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면에는 평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증가하게 돌출하는 테이퍼면에 의해 형성되는 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8.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는
    반경방향 내측을 형성하는 내경면;
    반경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외경면; 및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고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면 간의 거리를 t1이라고 할 때, 상기 양측면에는 상기 t1의 거리보다 큰 거리(t2)를 갖는 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은 상기 씰링재 장착홈의 대응하는 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11. 금구의 씰링재 장착홈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씰링재에 있어서,
    상기 씰링재는
    반경방향 내측을 형성하는 내경면;
    반경방향 외측을 형성하는 외경면; 및
    상기 내경면과 외경면을 연결하고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양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면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대경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의 직선부와 대경부 사이에는 외측으로 테이퍼지게 증가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13. 제7항, 제8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상기 외경면보다 내경면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14. 제4항, 제7항, 제8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상기 씰링재 장착홈의 깊이보다 큰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씰링재.
KR1020100120531A 2010-11-30 2010-11-30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 Ceased KR20120058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31A KR20120058978A (ko) 2010-11-30 2010-11-30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
US13/305,766 US20120223488A1 (en) 2010-11-30 2011-11-29 Sealing material on hydraulic fl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531A KR20120058978A (ko) 2010-11-30 2010-11-30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978A true KR20120058978A (ko) 2012-06-08

Family

ID=46610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531A Ceased KR20120058978A (ko) 2010-11-30 2010-11-30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223488A1 (ko)
KR (1) KR2012005897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9770A (ja) * 2013-03-05 2014-09-18 Nok Corp シールリング
CN104279326A (zh) * 2014-10-31 2015-01-14 无锡市新颖密封材料厂 抗变形的密封圈
USD836186S1 (en) * 2016-07-05 2018-12-18 Valqua, Ltd. Seal member for a pressure vessel
CN110159760A (zh) * 2019-04-29 2019-08-2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密封件、端面密封结构及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3068A (en) * 1952-09-16 1957-02-26 Douglas Aircraft Co Inc Packing ring
US2813729A (en) * 1955-07-05 1957-11-19 Chiksan Co Swivel joint seal with pressure actuated seal
GB970389A (en) * 1963-02-14 1964-09-23 Cross Mfg Co 1938 Ltd Improvements in piston rings and piston-and-ring assemblies
NO133599L (ko) * 1967-09-20
US4174846A (en) * 1977-03-15 1979-11-20 Parker-Hannifin Corporation Sealing ring
US4328972A (en) * 1980-12-10 1982-05-11 Parker-Hannifin Corporation Seal r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171027A (en) * 1992-01-31 1992-12-15 Parker-Hannifin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fluid seal
SE9402643L (sv) * 1994-08-05 1995-10-02 Skega Ab Tätningsring
US5799953A (en) * 1995-05-25 1998-09-01 American Variseal Capped spring-energized seal
EP0835398B1 (en) * 1995-06-27 2004-11-24 Kalsi Engineering, Inc. Skew and twist resistant hydrodynamic rotary shaft seal
US5738358A (en) * 1996-01-02 1998-04-14 Kalsi Engineering, Inc. Extrusion resistant hydrodynamically lubricated multiple modulus rotary shaft seal
EP1175574A1 (en) * 1999-04-26 2002-01-30 Kalsi Engineering, Inc. Rotary seal with improved dynamic interface
US6409180B1 (en) * 2000-04-21 2002-06-25 Perkinelmer, Inc. Metallic seal
JP4292321B2 (ja) * 2001-12-07 2009-07-08 内山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
JPWO2004007937A1 (ja) * 2002-07-12 2005-11-10 内山工業株式会社 ガスケット
US6827353B2 (en) * 2003-03-24 2004-12-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Externally supported wide tolerance seal
US7484776B2 (en) * 2005-07-14 2009-02-03 Stinger Wellhead Protection, Inc. High-pressure threaded union with metal-to-metal seal, and metal ring gasket for same
US8246055B2 (en) * 2008-02-29 2012-08-21 Zodiac Pool Systems, Inc. Multi-lobed seal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23488A1 (en)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2660B2 (en) Gasket
JP5692504B2 (ja) ガスケット
JP5826490B2 (ja) 流体継手および流体継手用リテーナ
US6173969B1 (en) Sealing ring
EP2589841B1 (en) Squeeze gasket
JPWO2015137491A1 (ja) ガスケット
EP3392533B1 (en) Sealing device
KR102051990B1 (ko) 커플링 및 시일
CN101324272A (zh) 密封装置
KR20120058978A (ko) 유압 플랜지용 씰링재
JPWO2020026893A1 (ja) 密封装置及びガスケット
JP2014173732A (ja) スリップヨークアセンブリ
US20170234433A1 (en) Mechanical seal
JP6356069B2 (ja) 台形溝内の傾斜接触シールの配置構造
US20130020795A1 (en) Pipe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preventing longitudinal movement of coupling rings
JP5822246B2 (ja) スリップヨークアセンブリ
JP6135326B2 (ja) 密封構造及びガスケットの製造方法
US20150115547A1 (en) Seal with Tabs for Retaining Energizing Member
KR101111717B1 (ko) 파이프 연결 조인트 구조
KR20090001795U (ko) 가스켓 홈이 형성된 배관의 메탈링
EP3631272B1 (en) Pipe coupling comprising a seal with interlocking layers for range of pipe diameters
DK179957B1 (en) Sealing system and protective mounting sleeve with integrated seal cover
CN102748403B (zh) 一种法兰式液压联轴器
KR100535577B1 (ko) 배기파이프의 연결 구조
CN110691930B (zh) 密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311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0422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206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