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58706A - 이종물질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이종물질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8706A
KR20120058706A KR1020100120102A KR20100120102A KR20120058706A KR 20120058706 A KR20120058706 A KR 20120058706A KR 1020100120102 A KR1020100120102 A KR 1020100120102A KR 20100120102 A KR20100120102 A KR 20100120102A KR 20120058706 A KR20120058706 A KR 2012005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pace
discharge
main body
container
fol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정민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민,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정민
Priority to KR102010012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8706A/ko
Priority to PCT/KR2011/009238 priority patent/WO2012074301A2/ko
Priority to MX2013006117A priority patent/MX357252B/es
Priority to AU2011337425A priority patent/AU2011337425A1/en
Priority to CN201180066387.5A priority patent/CN103391886B/zh
Priority to US14/124,079 priority patent/US11053061B2/en
Priority to EP20110845373 priority patent/EP2647584A4/en
Priority to BR112013013671A priority patent/BR112013013671A2/pt
Priority to JP2013541924A priority patent/JP2014501671A/ja
Publication of KR2012005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706A/ko
Priority to JP2017146657A priority patent/JP2017193381A/ja
Priority to JP2019109819A priority patent/JP2019147629A/ja
Priority to US17/241,812 priority patent/US20210245947A1/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16Rigid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2807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 B65D51/281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the closure presenting means for placing the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ct with the main contents by acting on a part of the closure without removing the closure, e.g. by pushing down, pulling up, rotating or turning a part of the closure, or upon initial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additional article or materials being releas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an element enclosing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83Cylindrical or polygonal containers, e.g. bottles, with two or more substantially axially offset, side-by-side compartments for simultaneous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using a soft material and a rigid material, e.g. making articles with a sea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1)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종물질 배출장치
(2)발명의 목적
종래의 기술로는, 상방의 접철부를 압박하면 하방의 천공부가 박판을 파괴하도록 한 기술이 있었으며, 본 발명은 이를 개선하고자 한다.
(3)발명의 구성
용기목에 결합하는 본체의 상방에 접철부를 두고, 상기한 접철부를 압박하면 하방에 있는 저장공간의 저장공간밀폐면이 파괴되면서 저장공간의 내용물이 용기 내부로 낙하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별도의 소재로 이중사출성형하여 접철성과 복원성을 향상시킨 이종물질 배출장치이다.
(4)발명의 효과
접철부가 하방으로 접철된 후 인위적인 압박이 해제되면 즉시 복원되는 바, 절철부의 상방에 별도의 배출대를 형성하기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종물질 배출장치{omitted}
본 발명은 이종물질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종물질 배출장치는, 본 발명인의 것으로서, 일본특허 3,432,533호가 있다.
상기 일본특허 3,432,533호(1992.09.10 일본특허출원)의 경우(도면 37 내지 도면 40 참조) 돔 형태의 접철부에 수용부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를 압박하면 접철부가 하방으로 접철되며, 이와 동시에 돔 형태의 저장공간에 있던 이종물질이 용기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기술이며, 본 발명은 상기한 돔 형태의 접철부를 실리콘 등 연질의 재질로 이중 사출 성형하여 복원성과 베리어성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는, 본체의 상부에 절철이 되는 접철부를 두고, 상기한 접철부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의 내부 하방에 있는 수용부 내부의 저장공간에 있던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는 과정에 저장공간밀폐면이 파괴되면서 낙하 혼합되는 이종물질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본체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형성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다색 사출 성형기에 의해서 사출 성형되어지는 것이며, 아울러 상기 접철부는 실리콘 등 연질의 수지로 성형하여 복원성과 베리어성을 극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내용물 배출부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내용물 배출부는, 접철부의 상방에 본체구부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에는 상하 이동형 배출대를 조립하며, 상기 배출대를 들어 올리면 배출공이 열리고, 상기 배출대를 내리면 배출공이 밀폐되도록 구성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접철부를 압박하여 이종물질을 혼합시킨 후 그 혼합된 이종물질을 배출대를 통해 배출하는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은 본체의 종단면도를 보인 것이고,
도 2 는 본체에 배출대와 덮개를 조립한 배출장치의 저장공간에 이종물질 넣는 일 방법을 예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3 은 배출장치가 용기목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4 는 배출장치의 접철부를 압박하여 저장공간의 내용물을 낙하 혼합시키는 장면을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5 는 배출대를 들어 올려 혼합된 내용물을 배출하는 일 방법을 예시한 요부 절개된 일 정면도이며,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배출장치가 용기목의 규격이 다른 또 다른 용기목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8 은 본체의 상측결합부가 얇고 탄력적으로 형성된 것을 보인 본체의 종단면도.
도 9 는 본체의 본체구부가 변형된 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10 은 본체의 용기나사산걸림부가 다르게 설계된 것을 보인 종단면도.
도 11 은 배출장치의 상측결합부가 연질수지로 성형된 것을 보인 것으로, 배출장치가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로서, 저장공간이 복수로 되어 있는 것을 보인 종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를 보인 것으로서, 도 13 은 배출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4 는 배출장치의 상방에 결합된 덮개의 사용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15 는 배출장치의 체크벨브를 보인 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를 보인 각각의 종단면도.
내용물이 든 용기(500)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1)는, 본체(100)의 상부에 절철이 되는 접철부(F)를 두고, 상기한 접철부(F)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F)의 내부 하방에 있는 수용부(101) 내부의 저장공간(102)에 있던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F)를 압박하는 과정에 저장공간밀폐면(103)이 파괴되면서 낙하 혼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F)는 본체(100)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철부(F)는 다색 사출 성형기에 의해서 사출 성형되어지는 것이 좋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100)에 조립되거나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철부(F)는 실리콘 등 연질의 수지로 성형되는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철부(F)는 복원성과 베리어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좋은 예이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F)의 상방에는 내용물 배출부를 형성한 것이며,상기 내용물 배출부는, 접철부(F)의 상방에 본체구부(104)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104)에는 상하 이동형 배출대(200)를 조립하며, 상기 배출대(200)를 들어 올리면 하부배출공(105)이 열리고, 상기 배출대(200)를 내리면 하부배출공(105)이 밀폐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접철부(F)의 상부 저부에는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저장공간개방부(106)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저장공간개방부(106)의 하단에는 저장공간밀폐면(103)을 파괴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칼날 형태의 단부를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단부의 일부는 상기 저장공간밀폐면(103)이 완전 분리되지 않도록 무딘 형태로 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 과 같은 본체(100)는 용기에 결합되는 상측결합부(107)를 두고, 상기 상측결합부(107)의 내벽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용기목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나사산을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하측에는 용기목의 큰 나사산에 결합 가능한 제1나사산(108)을, 그리고 그 상측에는 상기 제1나사산(108)에 결합되는 용기목의 나사산 보다 더 작은 나사산에 결합되는 제2나사산(109)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본체(100)의 수용부(101) 외부 상측부에는 용기목의 내경에 밀착되어 밀폐되는 용기목밀폐면(110)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배출공(105)의 주위 내벽부에는 상기 연질의 접철부(F)와 같은 재질로 배출대밀폐면(111)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본체구부(104)의 내부 상부배출공(112)을 중심으로는 상하 작동형 배출대(200)를 조립한 것이며, 상기 배출대(200)의 하단부에는 배출대밀폐부(201)를 두고, 상기 배출대밀폐부(201)가 배출대밀폐면(111)을 벗어나면 수용부(101)의 저장공간(102)과 연통 가능한 배출대밀폐공(202)을 상기 배출대밀폐면(111)의 상방으로 하나 이상 형성한 것이다.(도 3 참고)
이와 같은 배출장치(1)는,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수용부(101)의 저장공간(102)에 액체나 분말을 넣고, 상기한 상태에서 수용부(101)의 하단부를 알루미늄 박판 등 연포장 재질을 활용하여 저장공간밀폐면(103)을 형성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도 3 참고)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용부(101)에 액체나 분말이 든 배출장치(1)는 내용물이 든 용기목(500)에 결합되는데, 이때에는 상측결합부(107)의 내벽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용기목의 용기나사산(501)에 걸려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2나사산(109)이 용기나사산(501)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배출장치(1)는 상부의 덮개(300)를 제거하고, 배출대(200) 또는 배출대(200)가 있는 접철부(F)를 하방으로 압박하면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접철부(F)가 접히면서 하향되고, 동시에 저장공간개방부(106)의 단부가 저장공간밀폐면(103)을 파괴하며, 이와 같은 과정에 저장공간(102)에 있던 이종물질은 용기(500)의 내부 공간으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 4 와 같은 과정에 접철부(F)는 즉시 복원되어지며, 상기한 상태에서 배출대(200)를 들어 올리면 배출대밀폐부(201)가 배출대밀폐면(111)을 벗어나고, 동시에 배출대배출공(202)이 열리게 되는 것이며,(도 5 참고) 상기한 상태에서 용기(500)를 일측으로 기울이면 용기(500) 내부의 혼합된 내용물이 하부배출공(105)과 배출대배출공(20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배출장치(1)는 각기 다른 용기목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 대응하는 용기목은 용기목의 크기가 크게 다르지 않고 나사산의 형태나 나사산의 크기가 근사치로 상이한 것에 적합한 것으로, 도 3을 참고하면, 도 3의 용기(500)는 26.2(또는 26MM라 칭함)MM의 용기를 약 4배의 크기로 확대한 도면이다.
상기한(도 3을 참고) 용기(500)의 용기나사산(501)에는 상측결합부(107)의 내벽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09)이 걸려 고정되고, 제1나사산(108)은 스커트걸림부(502)의 상단 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배출장치(1)의 하측부(113)는 병뚜껑의 스커트(S)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것이다.
배출장치(1)의 다른 적용으로서, 도 6은 배출장치(1)를 26.78MM의 용기목에 결합한 것으로 보인 것이며, 이때에는 용기(500)의 나사산(503)에 에 제2나사산(109)이 걸리고, 제1나사산(108)은 스커트걸림부(504)와 용기나사산(504)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배출장치(1)의 또 다른 적용으로서, 도 7은 배출장치(1)를 표준인 28MM의 용기목에 결합한 상태를 보인 것으로(도 6 및 도 7의 용기목은 4배 정도 확대된 도면임), 제1나사산(108)이 용기나사산(505)에 정상적으로 걸리고 제2나사산(109)은 용기나사산(505)에 의해 일부 확장되는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출장치(1)는 최소 3가지 정도의 각기 다른 용기목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도 있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은 발명인이 선행으로 특출하였다.
다른 실시로서(도 8 참고), 본 발명의 배출장치(1)가 각기 다른 용기목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제1나사산(108)과 제2나사산(109)이 있는 상측결합부(107)의 두께를 얇게 하여 용기나사산에 보다 탄력적으로 적응하도록 보인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9 참고), 본체구부(104)를 중심으로 결합되는 배출대가 상하 이동은 물론, 회전 방식으로도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배출대가 회전 방식으로 작동하기 위한 배출대결합부(114)를 둘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접철부(F)의 상단에 접철방지부(115)를 두어 상기 본체구부(104)에 배출대를 결합하는 과정에 접철부(F)가 접철되지 않게 하는 것이며, 이때에는 일련의 기계장치로서 접철방지부(115)를 고정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10), 상기 상측결합부(107)의 내벽부에는 크기가 각기 다른 용기나사산걸림부(116,117,118)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 용기나사산걸림부(116,117,118)는 용기나사산(앞서 설명한 용기(500)의 용기나사산(501,503,505))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체결이 가능하도록 용기나사산걸림부(116,117,118)의 각각의 크기를 1MM 내외로 하고, 상기한 용기나사산걸림부(116,117,118)는 원형 상에서 반복되어 형성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용기나사산걸림부(116,117,118)는 탄력적이며, 본체(100)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거나, 별도 제작된 후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11), 배출장치(1)의 상측결합부(107) 상에 접철부(F)와 같은 재질로(본체(100)와는 물성이 다른) 연질수지성형부(119)를 형성한 것이며, 상기한 것의 특징은, 배출장치(1)를 용기(500)에 결합하게 되면 탄력이 좋은 연질수지성형부(119)가 제1나사산(108) 또는 제2나사산(109)을 용기나사산에 더욱 밀착시키면서 결합력을 우수하게 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12), 배출장치(1)의 접철부(F) 하방에는 저장공간(102)과 제2저장공간(120)을 두고, 상기 저장공간(102)과 제2저장공간(120)의 사이를 저장공간밀폐면(103)으로 처리하며, 상기 제2저장공간(120)의 하부는 제2저장공간밀폐면(121)으로 밀폐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것의 사용 시에는, 덮개(300)를 제거하고, 접철부(F)를 압박하면, 저장공간개방부(106)가 저장공간밀폐면(103)과 제2저장공간밀폐면(121)을 순차적으로 파괴하고, 동시에 저장공간(102)과 제2저장공간(120)에 있던 내용물은 용기(500)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13, 도 14, 도 15),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1)는, 본체(100)의 측면부에는 용기에 결합되는 상측결합부(107)를 두고, 상부에는 절철이 되는 접철부(F)를 두며, 상기한 접철부(F)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F)의 내부 하방에 있는 수용부(101) 내부의 저장공간(102)에 있던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F)를 압박하는 과정에 저장공간밀폐면(103)이 열리면서 낙하 혼합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F)의 상부에는 하부배출공(105)과 체크벨브(122)를 두고, 상기한 접철부(F)에는 상기 하부배출공(105)을 밀폐시키는 덮개밀폐부(401)가 있는 덮개(400)를 조립한 것이며, 상기 덮개(400)는 덮개밀폐부(401)를 안내부(402)를 통해서 상부로 들어 올리고, 상기한 덮개밀폐부(401)는 연결부(404)에 의해서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배출장치(1)는,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덮개제거부(403)를 당겨 덮개밀폐부(401)를 감싸고 있는 부분을 제거한 다음에(도 14 참고) 덮개밀폐부(401)를 압박하면 접철부(F)가 하부로 접철됨과 동시에 저장공간개방부(106)가 저장공간밀폐면(103)을 파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안내부(402)를 들어 올려 하부배출공(105)이 열리게 하면 체크벨브(122)가 도 15에서 보인 바와 같이 노출되는 것이며, 상기한 체크벨브(122)는 일예로, 용기에 압력을 가하면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절단선이 벌어지면서 배출공이 일시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체크벨브(122)는 접철부(F)가 형성되는 과정에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16), 내용물이 든 용기(500)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1)는, 본체(100)의 측면부에는 용기에 결합되는 상측결합부(107)를 두고, 상부에는 배출대(200)를 결합하는 용도의 본체구부(123)를 두고, 상기한 본체구부(123)를 중심으로는 배출대(200)의 배출대결합부(204)가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한 배출대결합부(204)가 본체구부(123) 상에서 일정 회전하면 상부의 밀폐면(203)이 열리도록 본체(100)의 내부 측벽부에서 연결부(124)로 연결된 밀폐돌기(125)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배출대(200)의 상면부 저부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밀폐면제거부(205)를 두고, 상기한 밀폐면제거부(205)는 하부공간(126)에 함몰되게 보호되며, 그 외의 주위는 저장공간밀폐면(103)으로 보호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시에는, 도 16과 같은 상태에서, 배출대(200)를 회전시키면 본체구부(123)를 중심으로 배출대(200)가 회전하는 과정에 밀폐면제거부(205)가 하부공간(126)을 벗어나려는 과정에 경사지게 된 부위의 저장공간밀폐면(103)을 제거하고 이어 배출대(200)가 더욱 회전하는 과정에 저장공간밀폐면(103)을 파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저장공간(102)에 있던 이종물질이 용기(500) 내부의 공간에 낙하 혼합되는 것이며, 참고적으로, 상기 하부공간(126)의 저부에 위치한 저장공간밀폐면(103)는 미절취 된 체로 수용부(101)의 저부에 연결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17), 내용물이 든 용기(500)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 배출장치(1)는, 상측결합부(107)가 있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102)이 있는 수용부(101)와, 상기 수용부(101)의 하부에는 함몰된 형의 하부공간(126)을 두고, 상기한 하부공간(126)을 주위하여는 절취선(128)으로 구획된 밀폐면(127)을 형성함과, 상기 밀폐면(127)의 저부에는 제2저장공간(129)을 두고, 그 하방부는 제2저장공간밀폐면(131)으로 밀폐한 것이며,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본체구부(123)를 두며, 상기한 본체구부(123)를 중심으로는 회전이 가능한 작동부(250)를 둠과, 상기한 작동부(250)의 상부 저부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밀폐면제거부(205)를 두되. 상기한 밀폐면제거부(205)의 하단은 본체(100)의 함몰된 하부공간(126)까지 연장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시에는, 도 17과 같은 상태에서 작동부(250)를 회전시키면 밀폐면제거부(205)가 작동부(250)와 함께 회전하면서 밀폐면(127)을 하방으로 밀면서 절취선(128)을 파괴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에 밀폐면(127)은 하부공간(126)을 기준으로 일정 원을 그리면서 저장공간(102)이 열리고, 또한 상기 밀폐면(127)이 열리는 과정에 밀폐면(127)의 저부에 형성된 절취돌기(130)가 제2저장공간밀폐면(131)을 절취하여 상기 제2저장공간(129)에 있던 내용물이 용기(500)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도면(도 17)에서 점선으로 보인 바와 같이, 혼합된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동부(250)의 상방에 배출대(200) 등 기타 배출 수단을 부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로서(도 18), 용기의 내용물 배출방향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방치(1)는, 수용부(101)의 저장공간(102) 하부가 저장공간밀폐면(103)으로 밀폐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는 접철부(F)가 있는 결합부(260)가 결합되며, 상기한 접철부(F)의 상부 저부에는 하단으로 길게 연장된 저장공간개방부(261)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F)는 결합부(260)와 다른 재질인 연질의 수지로 성형된 것이며, 상기 접철부(F)의 상방에는 배출 수단인 배출대(200)를 부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공간밀폐면(103)의 하방에는 제2저장공간(132)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저장공간(132)은 제2저장공간밀폐면(133)으로 밀폐한 것이다.(도 19 참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 시에는, 도 18과 같은 상태에서 접철부(F)를 압박하면 저장공간개방부(261)가 내려가고, 동시에 저장공간밀폐면(103)이 파괴되면서 저장공간(102)에 있던 이종물질이 용기(500) 내부로 낙하 혼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혼합된 내용물은 상방의 배출대(200)를 통해 배출하거나 또는 결합부(260)를 본체(100)에서 제거한 상태에서 본체(100)의 상방부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저장공간(102)은 깔때기 형으로 되어 있고, 그 하방에 또 하나의 다른 제2저장공간(132)을 둔 관계로 다른 이종물질을 동시에 보관할 수 있는 것을 보인 것이 도 19와 같으며, 상기한 것의 사용 시에는 접철부(F)를 압박하여 동시에 저장공간밀폐면(103)과 제2저장공간밀폐면(133)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깔때기 형으로 된 저장공간(102)의 하방에 제2저장공간(132)을 형성한 바, 내용물의 혼합성이 양호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발명의 이종물질 배출장치는 특수한 음료나 특한 먹는 물, 주류 등 다양한 제품에 엑기스나 파우더 등의 내용물을 낙하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내용물을 분리하였다가 혼합하는 화공약품이나 기타 생활용품 등에 다양하게 접목될 수 있는 것이다.
1 : 배출장치 100 : 본체
101 : 수용부 102 : 저장공간
103 : 저장공간밀폐면 104,123 : 본체구부
105 : 하부배출공 106,261 : 저장공간개방부
107 : 상측결합부 108 : 제1나사산
109 : 제2나사산 110 : 용기목밀폐면
111 : 배출대밀폐면 112 ; 상부배출공
113 : 하측부 115 : 접철방지부
116,117,118 : 용기나사산걸림부 119 : 연질수지성형부
120,129,132 : 제2저장공간 121,131,133 : 제2저장공간밀폐면
122 : 체크벨브 124,404 : 연결부
125 : 밀폐돌기 126 : 하부공간
127,203 : 밀폐면 128 : 절취선
130 : 절취돌기 200 : 배출대
201 : 배출대밀폐부 202 : 배출대배출공
205 : 밀폐면제거부 250 : 작동부
260 : 결합부 300,400 : 덮개
401 : 덮개밀폐부 402 : 안내부
403 : 덮개제거부 500 : 용기
501,503,505 : 용기나사산 502,504 : 스커트걸림부
F : 접철부 S : 스커트

Claims (19)

  1.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는, 본체의 측면부에는 용기에 결합되는 상측결합부를 두고, 상부에는 절철이 되는 접철부를 두며, 상기한 접철부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의 내부 하방에 있는 수용부 내부의 저장공간에 있던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는 과정에 저장공간밀폐면이 열리면서 낙하 혼합되는 이종물질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본체와 다른 연질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다색 사출 성형기에 의해서 사출 성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실리콘 등 연질의 수지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복원성과 베리어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내용물 배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 배출부는, 접철부의 상방에 본체구부를 두고, 상기 본체구부에는 상하 이동형 배출대를 조립하며, 상기 배출대를 들어 올리면 배출공이 열리고, 상기 배출대를 내리면 배출공이 밀폐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부 저부에는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저장공간개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결합부의 내벽부에는 크기가 각기 다른 용기나사산걸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나사산걸림부는 용기나사산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체결이 가능하도록 용기나사산걸림부의 크기를 1MM 내외로 하고, 상기한 용기나사산걸림부는 원형 상에서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장치의 상측결합부에는 본체와 물성이 다른 연질수지성형부로 둔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하방에는 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을 두고, 상기 저장공간과 제2저장공간의 사이를 저장공간밀폐면으로 처리하며, 상기 제2저장공간의 하부는 제2저장공간밀폐면으로 밀폐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2.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는, 본체의 측면부에는 용기에 결합되는 상측결합부를 두고, 상부에는 절철이 되는 접철부를 두며, 상기한 접철부를 압박하면 상기 접철부의 내부 하방에 있는 수용부 내부의 저장공간에 있던 이종물질이 상기 접철부를 압박하는 과정에 저장공간밀폐면이 열리면서 낙하 혼합되는 이종물질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부에는 하부배출공과 체크벨브를 두고, 상기한 접철부에는 상기 하부배출공을 밀폐시키는 덮개밀폐부가 있는 덮개를 조립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덮개밀폐부는 안내부에 의해서 상부로 들어 올리고, 상기한 덮개밀폐부는 연결부에 의해서 본체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4.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는, 본체의 측면부에는 용기에 결합되는 상측결합부를 두고, 상부에는 배출대를 결합하는 용도의 본체구부를 두며, 상기한 본체구부를 중심으로는 배출대의 배출대결합부가 결합되는 것이고, 상기한 배출대결합부가 본체구부 상에서 일정 회전하면 상부의 밀폐면이 열리도록 본체의 내부 측벽부에서 연결부로 연결된 밀폐돌기를 형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한 배출대의 상면부 저부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밀폐면제거부를 두고, 상기한 밀폐면제거부는 하부공간에 함몰되게 보호되며, 그 외의 주위는 저장공간밀폐면으로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5. 내용물이 든 용기의 구부에 결합되는 이종물질 배출장치는, 상측결합부가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저장공간이 있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하부에는 함몰된 형의 하부공간을 두고, 상기한 하부공간을 주위하여는 절취선으로 구획된 밀폐면을 형성함과, 상기 밀폐면의 저부에는 제2저장공간을 두고, 그 하방부는 제2밀폐면으로 밀폐한 것이며,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본체구부를 두며, 상기한 본체구부를 중심으로는 회전이 가능한 작동부를 둠과, 상기한 작동부의 상부 저부에서 하방으로 길게 연장된 밀폐면제거부를 두되. 상기한 밀폐면제거부의 하단은 본체의 함몰된 하부공간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6. 용기의 내용물 배출방향에 결합되는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방치는, 수용부의 저장공간 하부가 저장공간밀폐면으로 밀폐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접철부가 있는 결합부가 결합되며, 상기한 접철부의 상부 저부에는 하단으로 길게 연장된 저장공간개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결합부와 다른 재질인 연질의 수지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의 상방에는 배출 수단인 배출대를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밀폐면의 하방에는 제2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저장공간은 제2저장공간밀폐면으로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한 이종물질 배출장치.

KR1020100120102A 2010-11-30 2010-11-30 이종물질 배출장치 Withdrawn KR20120058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02A KR20120058706A (ko) 2010-11-30 2010-11-30 이종물질 배출장치
US14/124,079 US11053061B2 (en) 2010-11-30 2011-11-30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MX2013006117A MX357252B (es) 2010-11-30 2011-11-30 Aparato para recibir materiales heterogéneos.
AU2011337425A AU2011337425A1 (en) 2010-11-30 2011-11-30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CN201180066387.5A CN103391886B (zh) 2010-11-30 2011-11-30 用于容纳异质材料的设备
PCT/KR2011/009238 WO2012074301A2 (ko) 2010-11-30 2011-11-30 이종물질 수용장치
EP20110845373 EP2647584A4 (en) 2010-11-30 2011-11-30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BR112013013671A BR112013013671A2 (pt) 2010-11-30 2011-11-30 aparelho para receber materiais heterogêneos
JP2013541924A JP2014501671A (ja) 2010-11-30 2011-11-30 異種物質収容装置
JP2017146657A JP2017193381A (ja) 2010-11-30 2017-07-28 異種物質収容装置
JP2019109819A JP2019147629A (ja) 2010-11-30 2019-06-12 異種物質収容装置
US17/241,812 US20210245947A1 (en) 2010-11-30 2021-04-27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02A KR20120058706A (ko) 2010-11-30 2010-11-30 이종물질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706A true KR20120058706A (ko) 2012-06-08

Family

ID=46172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102A Withdrawn KR20120058706A (ko) 2010-11-30 2010-11-30 이종물질 배출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1053061B2 (ko)
EP (1) EP2647584A4 (ko)
JP (3) JP2014501671A (ko)
KR (1) KR20120058706A (ko)
CN (1) CN103391886B (ko)
AU (1) AU2011337425A1 (ko)
BR (1) BR112013013671A2 (ko)
MX (1) MX357252B (ko)
WO (1) WO2012074301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830A3 (ko) * 2012-08-16 2014-04-10 이수재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101468504B1 (ko) * 2013-04-16 2014-12-09 배성진 음용수병에 장착되는 캡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4516T3 (es) * 2012-08-12 2016-03-23 Bevaswiss Ag Sistema de cierre con cápsula rellenable estanca al oxígeno y botón de apertura
CN103434743A (zh) * 2013-08-17 2013-12-11 珠海中富工业集团有限公司 瓶盖组件及具有其的容器瓶
CN103434744A (zh) * 2013-08-17 2013-12-11 珠海中富工业集团有限公司 瓶盖组件及具有其的容器瓶
CN103420024B (zh) * 2013-08-17 2017-02-15 珠海中富工业集团有限公司 瓶盖组件及具有其的容器瓶
DE102014113391A1 (de) * 2014-05-07 2015-11-12 Gizmo Packaging Limited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n Behälter
EP3241778B1 (en) * 2014-12-29 2020-07-29 Mauro Andres Canziani Hoffa Closing assembly for a container, such as a bottle, removable cartridge and method of production
US10822135B2 (en) * 2015-12-03 2020-11-03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US10456787B2 (en) 2016-08-11 2019-10-29 Instrumentation Laboratory Company Reagent component dispensing caps for reagent containers used in automated clinical analyzers
US10585021B2 (en) 2016-08-11 2020-03-10 Instrumentation Laboratory Company Dual chamber reagent mixing container
EP3502010A1 (en) * 2017-12-19 2019-06-26 Clariant Healthcare Packaging (France) SAS Flow-limiting device and cap for a container including same
CN110027797A (zh) * 2018-01-12 2019-07-19 大连尚净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储液瓶盖及其安装和使用方法
CN111115001A (zh) * 2018-10-31 2020-05-08 惠州启中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加料按压止流饮料瓶盖
US11072489B2 (en) * 2019-08-14 2021-07-27 Pepsico, Inc. Beverage-ingredient cartridge and cap for beverage-ingredient cartridge
PL244752B1 (pl) * 2020-01-17 2024-03-04 Gerresheimer Boleslawiec Spolka Akcyjna Pojemnik, zwłaszcza do leków
US11498729B1 (en) * 2022-03-02 2022-11-15 Jennifer Dianne Hugo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960A (en) 1934-03-20 1935-08-13 Brooke L Jarrett Alarm and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3156369A (en) * 1962-09-19 1964-11-10 Ethicon Inc Bicameral container
US3220588A (en) * 1964-09-17 1965-11-30 Lipari Michael Compartmental dispensing receptacle with accessories
US3347410A (en) 1966-08-31 1967-10-17 Schwartzman Gilbert Mixing assemblies for applicators
US3521745A (en) * 1968-07-31 1970-07-28 Gilbert Schwartzman Mixing package
US3768697A (en) * 1971-04-20 1973-10-30 Braun Co W Multi-product dispenser package
US3743520A (en) * 1971-09-03 1973-07-03 J Croner Compartmented beverage container
US4467931A (en) * 1983-06-20 1984-08-28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Tamper indicating closure
GB2190892B (en) * 1986-05-29 1990-02-14 Metal Box Plc Retortable packages
US9132950B1 (en) * 2011-05-27 2015-09-15 Michael R. Anderson Extended twist blast
JP3432533B2 (ja) 1991-12-05 2003-08-04 ジョン ミン リ 合成樹脂製瓶栓具
CN2280669Y (zh) * 1996-05-27 1998-05-06 贾俊杰 防伪瓶盖及配套的防伪瓶
US6045004A (en) * 1998-03-20 2000-04-04 Aptargroup, Inc. Dispensing structure with dispensing valve and barrier penetrator
US5950819A (en) * 1998-05-08 1999-09-14 Sellars; Andy Storage, admixing, and dispensing system
US6003728A (en) * 1998-10-22 1999-12-21 Aptargroup, Inc. Dispensing structure with an openable member for separating two products
US6305576B1 (en) 2000-01-19 2001-10-23 Nalge Nunc International Corporation Cartridge for aseptically holding and dispensing a fluid material, and a container and method for aseptically holding and mixing the fluid material
KR20000059152A (ko) * 2000-07-18 2000-10-05 이정민 액체 주출용 뚜껑의 배출관 구조
JP3989689B2 (ja) * 2001-02-28 2007-10-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液混合注出容器
JP2003118766A (ja) * 2001-10-10 2003-04-23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針刺し栓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275874T3 (es) * 2002-04-30 2007-06-16 BORMIOLI ROCCO & FIGLIO S.P.A. Capsula que contiene una sustancia para mezclar en botellas que contienen liquidos presurizados.
WO2004000678A1 (en) * 2002-06-25 2003-12-31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Mixing vial
JP2005138901A (ja) * 2003-07-29 2005-06-02 Mokku Co Ltd ボトルキャップおよびボトル
JP2005231633A (ja) * 2004-02-17 2005-09-02 Nippon Tansan Gas Co Ltd 原料封入カプセル
KR20050008612A (ko) * 2004-12-28 2005-01-21 이정민 이종물질을 수용한 내마개 작동형 배출대
JP2007001650A (ja) * 2005-06-27 2007-01-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容器
KR20070065169A (ko) * 2005-12-19 2007-06-22 이정민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JP5269325B2 (ja) * 2006-01-31 2013-08-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剤混合容器
KR20070094691A (ko) * 2006-03-18 2007-09-21 이성재 냉각기용 이종물질 수용장치
DE102006017605A1 (de) * 2006-04-12 2007-10-18 Georg Menshen Gmbh & Co. Kg Behälterverschluss mit einliegender Kapsel
KR20070110757A (ko) * 2006-05-15 2007-11-20 이성재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의 이종물질 혼합 방법
US8459445B2 (en) * 2006-07-21 2013-06-11 Menicon, Co., Ltd. Colored contact lens primary packaging
US8453833B2 (en) * 2006-08-15 2013-06-04 Granite State Product Development LLC Apparatus for internal mixture of substances
JP3130480U (ja) * 2007-01-12 2007-03-29 有限会社エム・エイチ ボトルキャップ
US8672154B2 (en) * 2008-02-14 2014-03-18 Belcap Switzerland Ag Fillable closure device with triggering pushbutton
US8590700B2 (en) * 2008-04-17 2013-11-26 Tai-Her Yang Sleeved to press-open type storage device with a prestressed to open closure
US7874420B2 (en) 2009-02-09 2011-01-25 Darren Coon Affixable dispensing capsule
JP3150322U (ja) * 2009-02-24 2009-05-07 勁能生技開發股▲ふん▼有限公司 ドリンクシェイカー
KR101569493B1 (ko) * 2009-03-16 2015-12-30 이태근 병뚜껑
KR20100122825A (ko) * 2009-05-13 2010-11-23 이성재 이종물질 수용장치
US8443970B2 (en) 2010-01-19 2013-05-21 Karma Culture, Llc Dispensing capsu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830A3 (ko) * 2012-08-16 2014-04-10 이수재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CN104736449A (zh) * 2012-08-16 2015-06-24 李成宰 具有软性折叠部的异种物质容纳装置
KR101468504B1 (ko) * 2013-04-16 2014-12-09 배성진 음용수병에 장착되는 캡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47584A4 (en) 2014-06-11
CN103391886B (zh) 2016-08-31
JP2019147629A (ja) 2019-09-05
EP2647584A2 (en) 2013-10-09
MX2013006117A (es) 2013-12-02
US20140110282A1 (en) 2014-04-24
BR112013013671A2 (pt) 2017-09-26
JP2014501671A (ja) 2014-01-23
US11053061B2 (en) 2021-07-06
US20210245947A1 (en) 2021-08-12
AU2011337425A1 (en) 2013-07-18
MX357252B (es) 2018-07-03
WO2012074301A3 (ko) 2012-10-11
WO2012074301A2 (ko) 2012-06-07
JP2017193381A (ja) 2017-10-26
CN103391886A (zh)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8706A (ko) 이종물질 배출장치
RU240319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упорки емкости с вложенной капсулой
KR102414324B1 (ko) 단일-부분 패키지, 사용 및 조제 기계
US20040115317A1 (en) Method for opening sealed containers for foodstuff products
US9896258B2 (en) Device having accommodation portion open via main body for accommodating dissimilar materials
AU2002249501A1 (en) Method for opening sealed containers for foodstuff products
KR20070085762A (ko) 다중격실용기 및 그를 위한 뚜껑
KR20130022369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101569493B1 (ko) 병뚜껑
KR20150037802A (ko) 병뚜껑
KR20130031753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480321Y1 (ko) 혼합용 용기
KR20090041265A (ko) 고형 및 액상물질을 분리 수용하는 용기
KR20200000319A (ko) 두 가지 내용물의 혼합이 용이한 혼합용기
KR20220032178A (ko)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용기마개
KR200261338Y1 (ko) 가압된 원액용기가 내장된 음료용기
KR20100045350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80014112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080082413A (ko) 가압형 배출장치를 갖는 이종물질 수용용 배출장치
KR101074905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180132578A (ko) 접철형 이종물질 수용장치
EP3760555A1 (en) Bottle capping device adapted for the storage of a substance packaged in a capsule and contained in a cavity therein
KR101074920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100049466A (ko)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210011567A (ko) 복수의 사선가이드부가 구비된 음료 혼합용 접철식 이종물질 수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