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57713A - 이동통신 시스템의 드라이브 테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드라이브 테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713A
KR20120057713A KR1020100080946A KR20100080946A KR20120057713A KR 20120057713 A KR20120057713 A KR 20120057713A KR 1020100080946 A KR1020100080946 A KR 1020100080946A KR 20100080946 A KR20100080946 A KR 20100080946A KR 20120057713 A KR20120057713 A KR 20120057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od
measurement
mdt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범
김성훈
정경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713A/ko
Priority to US13/211,606 priority patent/US8989027B2/en
Publication of KR20120057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713A/ko
Priority to US14/606,520 priority patent/US975651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GPP 시스템에서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 측정 주기를 제어할 때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서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에 이용될 무선 채널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시점에서 측정 주기를 DRX 주기와 일치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불연속수신 주기를 결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측정주기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 및 측정주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 상기 측정주기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일치되는 매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 및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드라이브 테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T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 측정 주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서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에 이용될 무선 채널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때, 측정 주기를 DRX 주기와 일치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사용자의 이동성을 확보하면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 통신은 물론 고속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근래에는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중 하나로 3GPP에서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에 대한 규격 작업이 진행 중이다. LTE-A는 2010년 후반 즈음하여 표준 완성을 목표로 해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은 전송 속도를 가지는 고속 패킷 기반 통신을 구현하는 기술이다.
3GPP 표준이 진화함에 따라, 통신 속도를 높이려는 방안 이외에도 수월하게 무선망을 최적화시키려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일반적으로 무선망 초기 구축 시 또는 망 최적화 시,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국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에 대한 무선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야 하며, 이를 드라이브 테스트(Drive Test)라고 한다. 기존의 드라이브 테스트는 주로 측정자가 자동차에 측정 장비를 싣고, 반복적인 측정 업무를 장시간 수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상기 측정된 결과는 분석 과정을 거쳐 각 기지국 또는 기지국 제어국의 시스템 파라메터(Parameter)들을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은 드라이브 테스트는 무선망 최적화 비용 및 운영 비용을 증가시키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드라이브 테스트 (Drive Test)를 최소화하고, 무선 환경에 대한 분석 과정 및 수동설정을 개선시키기 위한 연구가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드라이브 테스트 대신에 단말기는 무선 채널 측정을 하고 있다가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이벤트 (event)가 발생할 때, 해당 무선 채널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게 즉시 전달하거나, 또는 무선 채널 측정 정보 저장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기지국에게 전달한다. 이하단말기가 측정한 무선 채널 측정 정보 및 기타 부가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동작을 MDT 측정 정보 보고라 칭하기로 한다. 이 경우, 단말은 기지국과 통신이 가능하면 상기 채널 측정 결과를 즉시 기지국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즉시 보고가 불가능할 경우, 이를 기록하고 있다가, 차후 통신이 가능하게 되면 기지국에게 기록한 MDT 측정 정보를 보고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된 MDT 측정 정보를 셀 영역 최적화를 위해 이용한다. LTE-A에서는 단말기의 RRC 상태 (UE RRC state)에 따라서 기본적인 MDT 측정 정보 보고 동작을 아래와 [표 1]과 같이 분류한다.
단말기의 RRC 상태에 따른 기본적인 MDT 정보 보고 동작
단말기의 RRC 상태 (RRC state) 단말기의 MDT 측정 정보 보고 동작
대기 모드 (idle mode) 기록 후, 보고 (logging and deferred reporting)
연결 모드 (connected mode) 즉시 보고 (immediate reporting)
상기 [표 1]에서, 단말기가 기지국과 통신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대기 모드 (idle mode)라고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를 연결 모드 (connected mode)라고 한다. MDT의 경우, 단말에서 측정된 채널 정보는 RRC 시그널링 (signaling)으로 전송될 것이므로, 비록 단말이 대기 모드 상태라 하더라도 해당 정보 전송을 위해 연결 모드로 변경할 수 없다. 이 경우, 단말기는 기지국과 연결 모드로 변경될 때까지 채널 측정 정보를 기록만 하고 전송을 연기시킨다. 연결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서 MDT 측정 주기마다 무선 채널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대기 모드에서는 해당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말은 수신단을 구동시켜야 하므로,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상기 MDT 측정 및 MDT 측정정보 보고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3GPP 시스템에서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 측정 주기를 제어할 때,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서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에 이용될 무선 채널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측정 주기를 DRX 주기와 일치시키는 장치 및 방법들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불연속수신 주기를 결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측정주기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 및 측정주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 상기 측정주기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일치되는 매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 및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측정서버가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할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상기 단말의 불연속수신 주기의 배수가 되도록 상기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측정주기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상기 단말이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하는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은, 단말이 불연속수신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과, 채널측정서버가 상기 측정주기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되는 매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 및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 접속되는 시점에서 상기 기록된 무선채널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장치가, 상기 측정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불연속수신 주기 및 수신되는 상기 측정주기를 비교하는 주기비교기와, 불연속수신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주기 비교기의 출력에서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 상기 측정주기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에 일치시키며,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되는 매 측정주기에서 측정을 제어하는 분석 및 지시기와, 상기 분석 및 지시기에 의해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하는 정보 측정기와, 상기 분석 및 지시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무선채널 정보를 기록하는 버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측정서버가 단말의 무선채널정보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장치가,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할 단말을 선택하며, 선택된 상기 단말의 불연속수신 주기의 배수가 되도록 상기 측정주기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측정주기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측정주기 분석기와, 상기 단말이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하는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하도록 상기 구성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채널측정정보를 버퍼에 저장하는 버퍼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에 이용될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할 때, 단말기가 대기모드에서 MDT 측정 주기를 DRX주기에 일치시키므로써,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수신단 구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control plane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LTE 통신시스템에서 SRB(Signaling Radio Bearer) 매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대기 모드에서 기록 후, 보고에서 MDT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DRX 주기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DRX 주기와 MDT 측정 주기의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DRX 수행 시점과 MDT 측정 시점이 불일치하는 시점에서 MDT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뛰어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DRX 수행 시점과 MDT 측정 시점이 불일치하는 시점에서 MDT 측정을 수행하지 않지만 기록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MDT 측정 및 기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또는 MDT 서버에서 MDT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DT 측정 및 기록을 하는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DT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기지국 및 MDT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DRX 주기 등과 같은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3GPP 시스템에서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 측정 주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서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에 이용될 무선 채널 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할 때, 측정 주기를 DRX 주기와 일치시키는 장치 및 방법들을 제안한다.
주기적인 하향링크 파일럿 신호 측정(Periodical downlink pilot measurements)는 연결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서 MDT 측정 주기마다 무선 채널 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상기 대기 모드에서상기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단말은 수신단을 구동시켜야 하므로, 전력 소모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DRX 주기 때, 상기 MDT 측정 정보의 측정을 수행하면 상기와 같은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즉, 단말은 DRX 주기가 돌아오면 하량링크 제어 채널을 디코딩하기 위해 수신단을 구동시시키며. 이 때, 필요한 MDT측정을 같이 수행한다면, 불필요하게 수신단을 구동시켜 전력이 소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MDT 측정 주기는 DRX 주기와 같거나 크게 설정하여, DRX 주기의 정수 배로 정의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는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할 때, DRX 주기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MDT 측정 정보는 RRC 및 NAS 신호들 처리하기 위한 control plane 프로토콜 구조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전달된다. 도 1은 LTE 시스템에서 일반적인 control plane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RC 계층 (105, 155)는 시스템 정보 전송, RRC 연결 제어, 채널 측정 제어 등의 동작을 담당한다. PDCP 계층 (110, 15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RLC 계층(115, 145)은 PDCP PDU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 뒤 ARQ 동작 등을 수행한다. MAC 계층(120, 14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프로토콜 계층 장치에서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헤더가 부가되는데, 예를 들어 RLC 계층(115,145)은 RLC SDU에 일련 번호 등을 포함하는 RLC 헤더를 부가하고, MAC 계층(120,140)은 MAC SDU에 RLC 식별자 등을 포함하는 MAC 헤더를 부가한다. 물리 계층(125, 135)은 MAC PDU를 채널 코딩, 변조하고 OFDM 심볼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130)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130)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볼을 복조,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물리 계층은 또한 상기 MAC PDU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 동작도 수행한다. HARQ는 물리 계층에서 재전송을 수행하고, 재전송된 패킷과 원래 패킷을 연성 결합(soft combining)하는 기법이다.
도 2는 LTE 통신시스템에서 SRB(Signaling Radio Bearer) 매핑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MDT 측정 정보는 Signaling Radio Bearer 2 (SRB2)을 통해 RRC 계층에서 PDCP 계층으로 전달된다. RRC 계층 (205)에서 PDCP 계층 (230)으로 전달되는 RRC 제어 메시지 또는 NAS 메시지(dedicated control and NAS information) (210)는 SRB0 (215), SRB1 (220) 또는 SRB2 (225)을 통해 전달된다. SRB0는 CCCH로 보내지는 RRC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며, 우선 순위가 가장 높다. SRB1은 DCCH로 보내지는 RRC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며, 일부 피기백(Piggyback)된 형태로 전송되는 NAS 메시지를 전달하는데도 사용된다. SRB2는 DCCH로 보내지는 NAS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SRB1과 SRB2로 보내지는 패킷은 모두 무결성 및 암호화(integrity and ciphering) 과정을 통해, 부호화된다. 그리고 SRB1은 SRB2보다 우선 순위가 높다. MDT 측정 정보는 가장 우선 순위가 낮은 SRB2을 통해 전달된다. SRB0~2 이 외에 user plane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 무선 베어러(Data Radio Bearer: (DRB) (250)가 존재한다. DRB로 전달되는 패킷은 암호화 및 ROHC(ciphering 및 ROHC0 (255) 과정을 거쳐 RLC (265)계층으로 전달되며, RLC 계층 (265)은 해당 패킷을 DTCH에 맵핑 (mapping)한다.
대기 모드의 단말기는 주기적으로 또는 측정한 정보가 특정 이벤트가 만족시키는 경우 MDT 측정 정보를 기록한다. MDT 측정 정보를 기록하는 이벤트에 대한 일례는 아래와 같다.
(1) 주기적인 하향링크 파일럿 신호 측정(Periodical downlink pilot measurements)
(2) 서빙 셀의 측정 신호가 기준 값 이하(Serving Cell becomes worse than threshold)
(3) 전송 전력 헤드룸이 기준 값 이하(Transmit power headroom becomes less than threshold)
주기적인 하향링크 파일럿 신호 측정은 단말기가 연결 모드 또는 대기 모드에서 일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한다. 해당 측정 주기 값을 MDT 측정 주기라 칭하며, 기지국이 MDT 구성(configuration)을 통해 단말에게 제공한다. 서빙 셀의 측정 신호가 기준 값 이하와 전송 전력 헤드룸이 기준 값 이하는 특정 조건이 만족할 경우,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측정 및 수집한다.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를 위해 기록되는 MDT 측정 정보로는 아래와 같다.
(1) 서빙 (serving) 셀의 global cell ID 정보(global cell ID)
(2) 서빙 셀의 RSRP 및 RSRQ 측정 정보(measurement results)
(3) 위치 정보(location info.)
(4) 시간 정보(time stamp)
MDT 측정 정보는 기본적으로 서빙 셀의 global cell ID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는 해당 정보가 어느 셀에서 수집되었는지를 알려준다. Global cell ID는 유일하게 (unique) 특정 하나의 셀을 나타낼 수 있어야 한다. 서빙 셀의 무선 채널 상태는 특정 측정 파라미터(measurement results)를 통해 표현될 수 있다. EUTRA에서는 RSRP와 RSRQ, UTRAN에서는 RSCP와 Ec/No, GERAN에서는 Rxlev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EUTRA LTE 시스템을 기본으로 기술하지만, 다른 여러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다. 3GPP에서는 MDT 기능을 LTE와 UMTS에 적용할 예정이다.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MDT 측정 중, 위치 정보(location info.)는 중요한 요소이다. GPS 기반의 위치정보를 얻지 못할 경우에는 인접 기지국들로부터 수신된 신호세기의 집합 (set)을 측정하여 기지국에게 알려주며, 이러한 신호세기의 집합을 RF 핑거프린트(RF fingerprint)라고 한다. RF fingerprint를 수신한 기지국은 인접 기지국들의 위치 정보를 미리 알고 있으며, 인접 셀들의 신호 세기 값들을 신호경로 감쇄 모델에 적용하여, 인접 셀들과 단말기간의 거리를 예측할 수 있다. 인접 기지국들의 위치 정보와 예측된 인접 셀과 단말기간의 거리 값들을 삼각거리측량과 같은 기법에 적용하면, 대략적인 단말기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단말기가 GPS 기반의 위치 정보 획득이 불가능할 경우, RF fingerprint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정보 대신 예측 정보를 기지국에게 전송할 수 있다.
시간 정보(time stamp) 또한 MDT 측정 정보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무선 채널 측정 시 시간 정보가 서비스 영역을 최적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시간대별로 무선 채널 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시간 정보는 연결 모드에서의 즉시 보고보다는 대기 모드에서의 기록 후, 보고에서 더 중요하게 활용된다. 연결 모드에서의 즉시 보고는 보고 바로 전에 측정한 결과가 포함될 것이기 때문에 시간 정보가 크게 중요하지 않는다. 그러나, 대기 모드에서의 기록 후, 보고에서는 시간 정보가 없다면, 언제 측정이 이루어졌는지 전혀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3GPP 표준에서는 연결 모드에서의 즉시 보고에서는 시간 정보가 들어가지 않지만, 대기 모드에서의 기록 후, 보고에서는 시간 정보가 필수 정보로 포함되었다.
시간 정보는 여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 형태라 하면, 단말기는 절대적 시간을 제공해주거나, 상대적 시간을 보고할 수 있다. 절대적 시간은 해당 시간 정보를 보고하기 위해 필요한 bit의 수가 많이 필요하다. 그에 반해 상대적 시간은 필요한 bit의 수가 상대적으로 절대적 시간보다 적을 수 있다. 3GPP 표준에서는 시그널링 오버헤드 (signaling overhead)를 줄이기 위해 상대적 시간 정보를 MDT 측정 정보에 포함시킨다. 기지국은 단말에게 절대적 시간 기준 정보를 제공해주고, 단말은 제공받은 절대적 시간을 기준으로 상대적 시간 스탬프를 각 측정 샘플에 포함시킨다. 또한 MDT 측정 완료 후, 기지국에게 기록한 측정 정보를 보고할 때, 기지국이 앞서 제공했던 절대적 시간 기준 정보도 함께 알려준다. 이는 초기에 절대적 시간 기준 정보를 제공했던 기지국과 보고를 받는 기지국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대기 모드에서 기록 후, 보고에서 MDT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은 단말이 측정구간 (measurement duration) 동안 각 MDT 측정주기(MDT sampling cycle)마다 MDT 측정 및 기록 동작을 수행하며, 2개의 MDT 측정주기(MDT sampling cycle) 간격으로 측정 정보를 기지국에 보고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 (305)은 310단계에서 연결 모드인 단말 (300)에게 MDT를 configure하면서 필요한 정보들을 전달한다. 해당 정보(MDT measurement configuration)는 절대적 시간 기준 정보(absolute timinf), MDT 측정주기(sampling cycle), 측정 구간(measurement duration) 등이 포함된다. 상기 절대적 시간 기준 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MDT 측정주기 (Sampling cycle)는 주기적인 하향링크 파일럿 신호 측정을 위해 사용되며, 제공된 cycle 마다 무선 채널을 측정한다. 상기 측정구간(Measurement duration)은 MDT을 수행하는 총 시간이다. 상기 측정 구간 시간이 지나면, 단말은 MDT 수행을 중지한다.
단말의 RRC 상태가 연결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변경되면, 단말은 315단계에서 MDT 수행을 시작한다(connection release and MDT starts). 이때 단말은 320단계에서 첫번째 MDT 측정 샘플을 수집(first measurement sample taken) 기록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의 상기 MDT 측정 및 기록은 상기 310단계에서 제공받은 MDT 측정주기(sampling cycle)(325)마다 수행된다(323단계, 350단계, 353단계 등). 그리고 상기 단말의 MDT 측정 기록은 각 측정 샘플마다 이루어지며, 앞서 설명한 MDT 측정 정보들이 330-333과 같이 기록된다. 이때 상기 330-333의 측정 샘플(logged sample)은 상기한 바와 같이 global cell ID, measurement results, location info. time stamp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이 335 단계에서 연결 모드(connection recovery)로 들어가면, 단말은 340 단계에서 기록한 MDT 측정 정보가 있거나 또는 없음을 기지국에게 알려준다(indication whether or not there are available logs). 기지국은 상황에 따라 보고를 요청할 수도 있다. 요청이 있을 경우, 지금까지 기록한 MDT 측정 정보를 보고하고 기록된 정보를 삭제한다. 요청이 없을 경우엔 계속 기록 정보를 유지한다.
이후 다시 단말이 345 단계에서 대기 모드로 들어가고, 아직 측정구간(measurement duration)이 지시하고 있는 시간이 지나지 않았다면 계속해서 MDT 동작을 수행하고(connection release and MD starts), 350단계와 같이 MDT 측정 정보를 수집한다(measurement sample taken). 상기 측정구간(Measurement duration)은 연결 모드에서의 시간을 고려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단말은 355단계에서 상기 측정구간(Measurement duration)이 만료되면(MDT measurement duration expired), MDT 수행을 중단한다. 상기 MDT 수행을 중단한 후, 단말은 360 단계에서 연결 모드로 들어가고(connection recovery), 365단계에서 다시 기록한 MDT 측정 정보가 있음을 기지국에게 알려주고, 기지국이 요청할 시 기록한 MDT 측정 정보를 보고하는 과정을 수행한다(including indication, report request/response).
이때 단말기가 대기 모드에서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에 이용될 무선 채널 정보를 주기적으로 MDT측정 및 보고할 때, MDT 측정 주기를 DRX 주기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RX (Discontinuous Reception)은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하향링크의 제어 채널을 계속 모니터링 하는 것을 막아준다. DRX는 연결 모드 및 대기 모드에서 모두 적용되며, 특히 대기 모드에서는 단말의 고유 ID을 이용하여, 기지국이 단말에게 페이징 (paging)을 보내는 시점이 정해진다. 이러한 시점은 주기적으로 돌아오는데, 이 시점마다 단말은 하향링크의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페이징이 존재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이 주기를 DRX 주기라고 칭한다.
도 4는 DRX 주기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단말(405)은 420단계에서 기지국 (410)이 방송하는 시스템 정보 메시지인 SIB2를 수신한다. 상기 SIB2에는 기지국의 DRX 주기(cell specific DRX cycle)를 나타내는 default paging cycle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Default paging cycle 값은 32, 64, 128, 256 프레임 주기 값 중 하나이다. 이때 1 프레임의 시간 크기는 10ms이므로, 32 프레임 주기는 320 ms 마다 DRX 주기가 돌아온다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 (405)은 초기 단말 등록 과정에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 ) (415)에게 425 단계에서 접속요청 메시지(attach request message)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접속 요청당 메시지에는 단말 (405)이 원하는 DRX 주기 값(UE specific DRX cycle)이 포함되어 있다. 이 값 역시 32, 64, 128, 256 프레임 주기 값 중 하나이다. 그리고 MME는 430단계에서 접속 수용 메시지(attach response message)를 전송하여 단말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단말에게 알려준다.
이후 상기 단말 (405)은 435 단계에서 기지국이 제공하는 default paging cycle 값과 해당 단말이 원하는 DRX 주기 값을 비교하고, 이 중 가장 작은 값을 해당 단말 (405)의 DRX 주기로 판단한다(DRX cycle is set to min.(UE specific, Cell specific)). 동시에 MME (415)는 440단계에서 기지국 (410)에게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DRX 주기를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 (410)은 445 단계에서 default paging cycle 값과 해당 단말 (405)이 원하는 DRX 주기 값을 비교하고, 이 중 가장 작은 값을 해당 단말의 DRX 주기로 판단한다(DRX cycle is set to min.(UE specific, Cell specific)). 만약 해당 단말 (405)에게 paging이 온 경우, 기지국(410)은 450 단계에서 결정된 DRX 주기에 맞춰 페이징 메시지를 단말 (405)에게 전송한다. 단말 (405)는 결정된 DRX 주기마다 PDCCH를 모니터링하고 기지국 (410)으로부터 페이징 메시지가 오는지를 확인하고, 존재할 경우 디코딩을 시도한다.
이때 상기 DRX 주기와 상기 MDT 측정 주기가 다른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상기 MDT 측정 주기를 MDT 서버(server)가 결정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MDT 측정주기가 상기 DRX 주기와 같거나 또는 정수배로 결정되는 경우에는 상기 MDT 측정 주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MDT 측정주기가 상기 DRX 주기보다 작거나 또는 정수배를 가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상기 DRX를 결정하는 주체와 상기 MDT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주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DRX 주기와 MDT 측정 주기의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DRX 주기는 단말 (505), 기지국 (510), MME (515) 가 관여하여 결정된다. 이에 반해, MDT 측정 주기는 단말 (505), 기지국 (510), MDT 서버 (520) 가 관여하여 결정된다. 상기 DRX 주기를 결정하는 525단계 - 550단계의 동작은 상기 도 4의 420단계 - 445단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즉, 단말 및 기지국은 각각 기지국 및 단말의 DRX 주기를 비교한 후, 두 DRX 주기 값에서 작은 값을 가지는 DRX 주기를 DRX 주기로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MDT 측정주기의 결정 과정을 살펴보면, MDT 서버 (520)는 555단계에서 MDT 동작을 수행할 단말 (505)을 선택(select a UE to perform MDT)한다. 이후 상기 MDT 서버 (520)은 MDT 동작을 해당 단말 (505)에게 지시하기 위해, 560 단계에서 MDT 측정 정보를 포함한 MDT 구성정보(configuration)을 기지국 (515)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MDT 구성정보는 MDT 샘플링 주기(MDT sampling period)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 (515)은 565 단계에서 단말 (505)에게 MDT 구성정보(configuration)를 전달하고, MDT 동작을 지시한다. 이때 상기 MDT 구성정보(configuration)는 기지국 (515)에서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DRX 주기 및 MDT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두 과정을 비교해보면, 두 주기 값을 결정하는 주체가 서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DRX 주기는 기지국(510)의 디폴트 페이징 주기(default paging cycle, cell specific DRX cycle) 값과 단말(505)이 요청한 DRX 주기 값을 비교하여 결정하지만, MDT 측정 정보는 MDT 서버(520)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MDT 측정 주기는 결정된 DRX 주기의 배수로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DT 측정 주기를 64로 선택하였으나 DRX 주기가 128로 설정된다면, DRX 시점이 아닌 시점에서 MDT 측정이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MDT 측정주기가 상기 DRX 주기보다 작거나 또는 정수배를 가지지 않는 경우, 상기 MDT 측정주기를 상기 DRX 주기에 효율적으로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두 주기가 다를 경우, 상기 MDT 측정주기를 상기 DRX 주기에 일치시키는 방법들을 살펴본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MDT 서버가 MDT 측정 정보를 결정할 때, 해당 단말에 적용된 DRX 주기 정보를 MME에게 요청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MDT 서버는 MME로부터 얻은 해당 단말의 DRX 주기의 정수 배로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605), 기지국(610) 및 MME(615)는 625 단계에서 상기 도 4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면서 하나의 DRX 주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MDT 서버 (620)는 630 단계에서 MDT을 수행할 하나의 단말 (605)를 선정(select a UE to perform MDT)한다. 이후 해당 단말 (605)에 적용되고 있는 DRX 주기를 알기 위해, MDT 서버 (620)은 635단계에서 MME (615)에게 해당 단말 (605)의 DRX 주기를 요청(query DRX cycle)한다. 그러면 상기 MME (615)은 640단계에서 해당 단말 (605)의 DRX 주기를 MDT 서버 (620)에게 알려준다(DRX cycle response). 상기 단말의 DRX 주기를 확인한 후, 상기 MDT 서버 (620)은 645단계에서 상기 단말(605)의 DRX 주기의 정수 배로 MDT 측정 주기를 결정(determine MDT sampling cycle)한다. 즉, 상기 MDT서버(620)은 선택된 단말의 DRX 주기와 같거나 또는 정수배를 가지는 주기로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한다. 이후 상기 MDT 서버 (620)은 650단계에서 기지국 (610)에게 결정한 MDT 측정 주기를 포함한 MDT 구성정보(configuration)를 650 단계에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610)은 655단계에서 해당 단말 (605)에게 상기 MDT 구성정보(configuration)를 전송하고, 상기 단말(605)에 MDT 수행을 지시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단말이 DRX 주기에 맞춰 해당 단말의 MDT 측정 주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단말이 DRX 주기와 MDT 측정 주기를 비교하여, DRX 주기보다 MDT 측정 주기가 더 짧거나, 호환(compatible)되지 않으면, 두 주기가 일치되지 않는 시점에서는 MDT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시점에서의 기록을 건너뛰거나 또는 가장 최근의 측정 결과를 해당 시점의 측정 결과로 재사용하는 것이 있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MDT 주기가 상기 DRX 주기보다 작거나 또는 정수배가 아닌 경우, 두 주기가 일치하는 시점에서 MDT 측정을 수행하며, 일치하지 않는 시점에서는 MDT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시점에서의 기록을 건너뛰거나 또는 가장 최근의 측정 결과를 해당 시점의 측정 결과로 기록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DRX 수행 시점과 MDT 측정 시점이 불일치하는 시점에서 MDT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뛰어넘는 예(skip MDT measurement at the MDT timing)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705는 DRX 주기마다 단말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시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번호 710 및 715는 MDT 측정주기를 나타낸다. 이런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를 받은 MDT 측정 주기는 710와 715에서와 같이 DRX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일어나고 있다. 이때 참조번호 710 시점에서는 DRX 수행 시점과 일치되므로, 단말은 MDT 측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록으로 남긴다. 그러나, 참조번호 715 시점에서는 DRX 가 일어나지 않는다. 이런 경우 상기 단말은 715 시점에서는 MDT 측정 주기가 돌아왔음에도 불구하고 MDT 측정을 수행하지 않으며 기록도 남기지 않는다.
이런 방법은 상기 MDT 측정주기가 DRX 주기보다 더 길고 서로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MDT 측정주기가 DRX 주기의 1.5배인 경우 상기 MDT 측정주기와 DRX 주기는 서로 완전하게 일치되지 않는다.(즉, 호환되지 않는다), 이런 경우, 단말은 상기 MDT 측정주기와 DRX 주기가 일치하는 시점(DRX 주기의 3의 배수가 되는 시점)에서 MDT 측정을 수행하여 기록하고 상기 MDT 측정주기와 DRX 주기가 일치하지 않는 시점에서는 MDT 측정을 스킵(skip)하고 기록도 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7과 같은 방법은 MDT 측정 주기가 DRX 주기보다 짧은 경우, 또는 두 주기가 서로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DRX 수행 시점과 MDT 측정 시점이 불일치하는 시점에서 MDT 측정을 수행하지 않지만 기록을 수행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도 7에서와 동일하게 DRX 수행 시점은 참조번호 805마다 일어나지만, 기지국으로부터 지시를 받은 MDT 측정 주기는 참조번호 810와 815에서와 같이 DRX 주기보다 더 짧은 주기로 일어나고 있다. 이때 참조번호 810 시점에서는 MDT 측정주기가 DRX 수행 시점과 일치되므로, 단말은 MDT 측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기록으로 남긴다. 그러나 참조번호 815 시점에서는 DRX 가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815 시점에서는 MDT 측정 주기가 돌아왔음에도 불구하고, MDT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도 7에서와는 달리 도 8의 방법에서는 단말은 가장 최근의 MDT 측정 결과를 기록으로 대신 남긴다. 상기 도 8과 같은 MDT 측정 및 기록 방법은 중복된 결과를 남기기는 하지만, 기지국으로부터 지시 받은 MDT 측정 주기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도 8과 같은 MDT 측정 및 기록 방법은 상기 도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MDT 측정 주기가 상기 DRX 주기보다 더 길고 정수배를 가지지 않아 서로 호환되지 않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7 및 도 8과 같이 MDT 서버에서 결정한 MDT 측정주기와 다른 주기로 MDT 측정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단말에서 수행하는 MDT 주기 값을 상기 기지국 및 MDT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단말에서 MDT 측정 및 기록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905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디폴트 페이징 주기(default paging cycle) 정보를 포함하는 SIB2 메시지를 수신한다(receive default paging cycle on SIB2 from eNB). 그리고 상기 단말은 910 단계에서 단말이 원하는 DRX 주기를 포함하는 접속요구 메시지를 기지국에게 전달한다(send UE specific DRX cycle during attach). 이후 상기 단말은 915 단계에서 수신된 디폴트 페이징 주기 값 및 단말이 원하는 DRX 주기의 두 주기 값 중 더 작은 값을 DRX 주기로 결정한다(set its DRX cycle with min(default paging cycle, UE specific DRX cycle)). 또한 상기 단말은 92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MDT 측정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며,이 정보에는 MDT 측정 주기 값도 포함되어 있다(receive MDT sampling cycle value on MDT configuaration).
상기 DRX 주기 결정 및 MDT 측정 주기를 수신하면, 단말은 925 단계에서 MDT 측정주기가 DRX 주기의 배수인지를 확인한다(Is the MDT sapmpling cycle the multiple of DRX cycle?). 이때 상기 MDT 측정주기가 DRX 주기와 같거나 배수이면, 상기 단말은 MDT 측정 시점이 될때마다 930단계 및 935단계를 수행하면서 MDT 측정 및 측정 결과를 기록으로 남긴다. 여기서 상기 MDT 측정 주기와 DRX 주기가 동일하면 상기 MDT 측정은 상기 DRX 주기와 동일하게 수행되며, 상기 MDT 측정 주기가 DRX 주기의 2배이면 상기 MDT 측정은 매 짝수 번째 DRX 주기(즉, 2배의 DRX 주기가 되는 시점)에서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MDT 측정 시점이 되면, 상기 단말은 930 단계에서 MDT 측정 시점에서 MDT 측정을 수행하고(perform MDT measurement with MDT sampling cycle), 935 단계에서 측정된 결과들을 기록으로 남긴다(log the MDT measurement).
그러나 상기 925단계에서 MDT 측정주기가 DRX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즉, MDT 측정주기가 DRX 주기보다 짧거나 또는 호환되지 않으면), 상기 단말은 940 단계에서 현재 MDT 측정 시점이 DRX 수행 시점인지를 판단한다(Is current MDT timing same as DRX timing?). 이때 상기 MDT 측정 시점과 DRX 시점의 두 시점이 일치하면, 상기 단말은 상기한 바와 같은 930단계 및 935 단계를 수행하면서 MDT 측정을 수행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긴다. 그러나 상기 상기 MDT 측정 시점과 DRX 시점의 두 시점이 일치하지 않는다면(즉, MDT 측정시점이 DRX 시점이 아니면), 상기 단말은 945 단계에서 상기 도 7 또는 도 8의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수행한다. 도 7에서의 방법을 따른다면 측정과 기록을 하지 않고 건너뛰고(skip MDT measurement at MDT timing), 도 8에서의 방법을 따른다면 측정은 하지 않되 기록은 가장 최근 MDT 측정 결과로 한다(store the latest MDT measurement as MDT measurement at the MDT timing).
<제3 실시 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단말이 MDT 측정 주기와 DRX 주기를 비교한 후, MDT 측정 주기가 DRX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MDT 측정 주기가 DRX 주기보다 짧거나 또는 MDT 측정 주기가 DRX 주기보다 길더라도 정수배가 아니어서 호환(compatible)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에게 적절한 MDT 측정 주기를 알려주고,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주기를 부여 받는 방법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단말이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 (1005)는 기지국 (1010)으로부터 1015 단계에서 MDT 구성정보(configuration)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MDT 구성 정보에는 MDT 측정 주기 값(MDT sampling period)이 포함되어 있다. 이후 단말 (1005)은 1020 단계에서 수신된 MDT 측정 주기와 DRX 주기를 비교한다. 만약 MDT 측정 주기가 DRX 주기보다 짧거나 또는 호환 (compatible)되지 않으면(MDT sampling period < DRX cycle period or not compatible)(즉, MDT 측정 주기가 DRX 주기의정수배가 아닌 경우) 단말 (1005)은 1025 단계에서 단말의 DRX 주기 또는 적절한 MDT 측정 주기(예를들면 DRX 주기의 정수배 주기)를 기지국 (1010)에게 전달한다(send DRX cycle or recommended MDT sampling period). 그러면 상기 기지국 (1010)은 1030 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MDT 서버 (1035)에게 전달한다(forward the message from UE). MDT 서버 (1035)는 1040 단계에서 해당 정보를 바탕으로 적절한 MDT 측정 주기를 재결정한다(reselect MDT sampling period). 이후 MDT 서버 (1035)는 1045 단계에서 변경된 MDT 측정 주기를 기지국 (1010)에게 전달한다(send MDT configuration including new MDT sampling period). 기지국 (1010)은 1050 단계에서 재결정한 MDT 측정 주기를 단말 (1005)에게 전송한다.
상기 도 10은 MDT 서버(1035)가 MDT 샘플링 주기를 재결정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지국 (1010)이 MDT 구성정보(configuration)를 구성하는 시나리오에서는 기지국 (1010)이 MDT 측정 주기를 결정 또는 변경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기지국(1010)은 1025단계에서 수신되는 단말의 DRX 주기 또는 단말이 원하는 MDT 샘플링 주기를 토대로 MDT 샘플링 주기를 재선택하며, 상기 재선택된 샘플링 주기를 단말(1005) 및 MDT 서버(1035)에 통보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기지국 또는 MDT 서버가 긴 주기를 가지고 기록된 MDT 측정 정보가 필요하다면, 미리 DRX 주기와 일치되도록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하여 단말에게 보내 줄 수 있다. 상기 DRX 주기는 미리 정해진 집합에서 하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LTE 표준에서는 32, 64, 128, 256 프레임 주기를 가진 DRX 주기 중 하나를 선택한다. 따라서 MDT 측정 주기가 가장 긴 DRX 주기, 256 프레임 주기보다 더 길어도 무방하다면, 애초에 DRX 주기와 불일치하지 않도록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MDT 측정 정보를 DRX 최대 주기의 배수를 설정한다면, 단말이 어떤 DRX 주기를 가지더라도, 불일치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 또는 MDT 서버에서 MDT 측정 주기를 설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기지국 또는 MDT 서버는 1105단계에서 MDT 측정 주기가 DRX 최대 주기보다 긴지를 확인한다(Is required MDT sampling cycle longer than maximum DRX cycle). 만약 길다면 상기 기지국 또는 MDT 서버는 1105 단계에서 DRX 최대 주기의 배수 중 하나의 값을 MDT 측정 주기의 값으로 설정한다(set MDT sampling cycle to a value among the multiple of maximum DRX cycle). 이후 상기 기지국 또는 MDT 서버는 1115 단계에서 해당 MDT 측정 주기 값을 MDT 구성정보에 포함시키고(include the MDT sampling cycle in MDT configuration) 1120 단계에서 MDT 구성정보를정보는 단말에 전송한다.(send the MDT configuration to UE)
그러나 상기 1105단계에서 필요한 MDT 측정 주기가 DRX 최대 주기보다 짧다면, 상기 기지국 또는 MDT 서버는 상기의 제1실시예 - 제3실시예 중의 한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MDT 측정 주기를 제어한다(use previous described methods(first embodiment - third embodiment) to adapt MDT sampling cycle).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기 (1205)는 MDT 측정 주기와 DRX 주기를 비교하고, 적절한 MDT 측정 주기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기 (1205)는 DRX 주기/MDT 측정 주기를 비교하는 주기 비교기(1220)와 이를 분석하는 분석 및 지시기 (1225)로 구성된다. 상기 주기 비교기 (1220)는 DRX 주기와 MDT 측정 주기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분석 및 지시기 (1225)에 전달한다. 상기 분석 및 지시기 (1225)는 상기 DRX 주기 및MDT 측정 주기의 두 주기가 다른 경우, MDT 측정 주기를 조정하기 위해, 적용한 실시 예에 따라 송수신기 (1210)의 MDT 정보 측정기 (1235)와 버퍼 (1215)를 제어한다. 이를 통해, MDT 측정 시점마다 실제 MDT 측정을 수행할지를 판단하거나, 기지국에게 적절한 MDT 측정 주기를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송수신기 (1210)은 MDT 구성정보 수신기 (1230)와 MDT 정보 측정기 (123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MDT 구성정보 수신기 (1230)는 기지국으로부터 MDT 구성정보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기 (1205)에게 전달한다.상기 MDT 정보 측정기 (1235)는 상기 제어기1205의 제어에 의해MDT 측정을 수행한다. 버퍼 (1215)는 제어기 (1205)에 의해 송수신기 (1210)이 MDT 측정을 수행하면, 그 결과를 기록하여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단말의 MDT 측정 및 기록 동작을 살펴보면, 송수신기(1210)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SIB2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어기1205에 전달하며, 제어기(1205)는 상기 SIB2 메시지에 포함된 기지국의 디폴트 페이징 메시지(default paging message or cell specific DRX cycle)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1205)는 상기 디폴트 페이징 주기와 단말의 DRX 주기 중에서 더 작은 값을 가지는 주기 값을 DRX 주기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기(1210)의 MDT 구성정보 수신기(1230)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MDT 구성정보를 수신하여 제어기(1205)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MDT 구성 정보에는 MDT 측정 주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1205)의 주기비교기(1220)은 상기 DRX 주기 및 MDT 측정주기를 비교하며, 그 비교 결과값을 제어기(1205)의 분석 및 지시기(1225)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분석 및 지시기(1225)는 상기 두 주기의 비교 결과값을 분석하여 단말의 MDT 측정 및 기록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MDT측정 및 기록은 상기한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 중의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MDT 측정 주기가 상기 DRX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즉, 상기 MDT 측정 주기가 상기 DRX 주기 보다 작거나 또는 호환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기(1205)의 분석 및 지시기(1225)는 상기 도 7 또는 도 8과 같이 송수신기(1210)의 MDT정보 측정기(1235)를 제어하여 MDT 측정을 제어하고, 그 측정 결과를 버퍼(1215)에 기록한다. 또한 상기 MDT 측정 주기가 상기 DRX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즉, 상기 MDT 측정 주기가 상기 DRX 주기 보다 작거나 또는 호환되지 않으면), 상기 분석 및 지시기(1225)는 도 10과 같이 송수신기(1210)의 도시하지 않은 송신기를 통해 단말의 DRX 주기 또는 원하는 MDT 샘플링 주기를 기지국에 전송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새로운 MDT 샘플링 주기를 수신하여 MDT 측정 및 기록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새로운 MDT 샘플링 주기는 상기 DRX 주기의 정수배가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MDT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기지국 및 MDT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 기지국 (1305)은 제어기 (1315), 송수신기 (1320), 버퍼 (1325)로 구성되며, MDT 서버 (1310)은 제어기 (1330), 버퍼 (1335)로 구성된다. 기지국 (1305)의 제어기 (1315)의 MDT 측정 주기 제어기 (1340)는 MDT 서버 (1310)의 제어기 (1330)로부터 MDT 구성 정보를 받아 기지국 (1305)의 송수신기 (1320)에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달한다. 또한 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MDT 측정 주기 값이 있을 경우 이를 MDT 서버 (1310)의 제어기 (1330)으로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송수신기 (1320)는 제어 채널 및 MDT 구성정보 송신기 (1350)를 통해 단말에게 MDT 구성 정보를 보내거나, MDT 측정 정보 수신기 (1355)를 통해 단말로부터 MDT 측정 주기 값을 수신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지국 (1305)의 버퍼 (1325)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MDT 측정 정보를 MDT 서버 (1310)의 버퍼 (1335)로 전달하기 전에 임시로 저장 하며, 기지국 제어기 (1315)의 버퍼 제어기 (1345)의 제어를 받는다.기지국 (1305)의 제어기 (1315)에 따라 버퍼( 1325)는 MDT 서버 (1310)로 전달한다.
상기 MDT 서버 (1310)의 제어기 (1330)은 MDT 측정 주기 분석기 (1360)에서 MDT 구성 정보를 구성하여 단말이 MDT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수집된 MDT 측정 정보를 분석하여, MDT 구성 정보를 재구성하는데 사용한다. 버퍼 (1335)는 기지국을 경유해 단말로부터 수집된 MDT 측정 정보를 저장하며, MDT 서버 제어기 (1330)의 버퍼 제어기 (1365)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MDT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MDT서버(1310)의 제어기(1330)은 MDT 측정을 제어할 단말을 선택하며, 또한 선택된 단말의 MDT 측정을 수행하는 MDT 측정 주기(MDT sampling cycle)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1330)은 상기 MDT 측정정보를 포함하는 MDT 구성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1305)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제어기(1330)의 MDT 측정주기 분석기(136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MDT서버(1310)의 제어기(1330)은 상기 MDT 측정 주기를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1330)은 DRX 주기들 중에서 최대 DRX 주기와 같거나 또는 정수배로 MDT 샘플링 주기를 결정한다. 이런 경우, 상기 결정된 MDT 샘플링 주기는 선택된 단말이 사용하는 DRX 주기의 정수배를 가지게 된다.
상기 MDT 샘플링 주기를 포함하는 MDT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기지국(1305)의 제어기(1315)는 송수신기(1320)을 제어하여 상기 수신된 MDT 구성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 즉, 제어기(1315)의 MDT 측정주기 제어기(1340)이 MDT 구성정보 송신기(1350)을 제어하여 상기 MDT 서버(1310)로부터 수신되는 MDT 구성정보를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MDT 서버(1310)에서 상기 단말의 DRX 주기를 고려하지 않고 MDT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MDT 측정주기는 DRX 주기의 정수배가 되지 않을 수 있다(즉, MDT 측정주기가 DRX 주기 보다 작거나 또는 서로 호환되지 않는 경우). 이런 경우 상기 단말은 본 발명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DRX 주기 또는 원하는 MDT 측정주기를 전송하면서 MDT 측정주기의 변경을 요구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1305)의 송수신기(1320)은 이를 수신하며, 제어기(1315)의 MDT 측정주기 제어기(1340)은 이를 MDT 서버(131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MDT 서버의 제어기(1330)는 상기 수신된 단말의 DRX 주기 또는 원하는 MDT 측정주기를 분석하여 새로운 MDT 측정주기를 결정한다. 이후 상기 제어기(1330)은 새로 결정된 MDT 측정주기를 MDT 구성정보에 포함시켜 기지국(1305)에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상기 제어기(1330)의 MDT 측정주기 분석기(136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MDT 측정주기가 결정되면, 상기 단말은 상기 MDT 측정주기에서 MDT 측정 및 측정 결과를 기록한다. 이때 상기 MDT 측정 결과를 저장할 때 측정시간도 함께 저장하며, 이때 측정시간은 MDT 측정을 수행하는 시간이 될 수 있으며, 이 시간은 상대시간 또는 절대 시간으로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은 기지국(1305)에 접속되는 시점(연결모드)에서 상기 기록된 MDT 측정정보를 기지국(1305)에 전송한다. 그러면 기지국 송수신기(1320)의 MDT 측정정보 수신기(1335)는 이를 수신하며, MDT 측정주기 제어기(1340)은 이를 버퍼제어기(1345)에 전달하고, 버퍼제어기(1345)는 이를 버퍼(1325)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MDT 측정주기 제어기(1340)은 상기 수신된 MDT 측정정보를 MDT tjqj(1310)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MDT서버의 버퍼제어기(1330)은 상기 수신되는 MDT 측정정보를 버퍼(1335)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동작은 MDT 서버((1310)이 수행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MDT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동작은 기지국(1305)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 상기 DRX는 불연속수신 주기이며, MDT는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가 될 수 있고, 상기 MDT서버는 채널측정서버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단말은 먼저 불연속수신 주기를 결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측정주기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 및 측정주기를 비교하여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 상기 제2실시예 또는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측정주기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에 일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되는 매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 및 기록한다.
이때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되지 않는 매 측정주기에서 상기 단말은 제2실시예의 도 7과 같이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 및 기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제2실시예의 도 8과 같이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 은 수행하지 않으며 최근 측정된 무선채널정보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주기를 비교할 때,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 제3실시예의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불연속수신 주기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된 측정주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측정주기를 재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이면 매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 및 기록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측정서버가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채널측정서버는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할 단말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단말의 불연속수신 주기의 배수가 되도록 상기 측정주기를 결정하며, 상기 단말이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하는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하도록 상기 결정된 측정주기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채널측정서버가 상기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기 제1실시예의 도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상기 단말의 불연속수신 주기를 질의하여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불연속 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되도록 상기 측정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4실시예의 도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의 최대 불연속수신 주기의 배수 중 하나를 상기 측정주기로 결정할 수 있다..

Claims (13)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불연속수신 주기를 결정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측정주기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 및 측정주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비교과정에서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 상기 측정주기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에 일치시키는 과정과,
    상기 일치되는 매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 및 기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정보를 측정 및 기록하는 과정이,
    상기 측정주기와 불연속수신 주기가 일치하지 않는 시점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 및 기록을 수행하지 않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채널정보를 측정 및 기록하는 과정이,
    상기 측정주기와 불연속수신 주기가 일치하지 않는 시점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하는 동작 은 수행하지 않으며 최근 측정된 무선채널정보를 기록하는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과정에서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 불연속수신 주기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재설정된 측정주기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비교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과정에서 상기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이면 매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 및 기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측정서버가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할 단말을 선택하는 과정과,
    선택된 상기 단말의 불연속수신 주기의 배수가 되도록 상기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측정주기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상기 단말이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하는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이,
    이동성 관리 엔티티에 상기 단말의 불연속수신 주기를 질의하여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된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되도록 상기 측정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과정이,
    상기 단말의 최대 불연속수신 주기의 배수 중 하나를 상기 측정주기로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불연속수신 주기를 결정하는 과정과,
    채널측정서버가 상기 측정주기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되는 매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 및 기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기지국과 접속되는 시점에서 상기 기록된 무선채널정보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불연속수신 주기 및 측정주기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비교과정에서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 상기 측정주기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에 일치시키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측정서버가 측정정보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의 불연속수신 주기의 배수가 되도록 상기 측정주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무선채널정보의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정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불연속수신 주기 및 수신되는 상기 측정주기를 비교하는 주기비교기와,
    불연속수신 주기를 결정하고, 상기 주기 비교기의 출력에서 측정주기가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의 정수배가 아니면 상기 측정주기를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에 일치시키며, 상기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되는 매 측정주기에서 측정을 제어하는 분석 및 지시기와,
    상기 분석 및 지시기에 의해 무선채널 정보를 측정하는 정보 측정기와,
    상기 분석 및 지시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무선채널 정보를 기록하는 버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측정서버가 단말의 무선채널정보 측정주기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할 단말을 선택하며, 선택된 상기 단말의 불연속수신 주기의 배수가 되도록 상기 측정주기를 결정한 후, 상기 결정된 측정주기를 포함하는 구성정보를 생성하는 측정주기 분석기와,
    상기 단말이 불연속수신 주기와 일치하는 측정주기에서 무선채널정보를 측정하도록 상기 구성정보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송신기와,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채널측정정보를 버퍼에 저장하는 버퍼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80946A 2010-08-20 2010-08-20 이동통신 시스템의 드라이브 테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57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946A KR20120057713A (ko) 2010-08-20 2010-08-20 이동통신 시스템의 드라이브 테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US13/211,606 US8989027B2 (en) 2010-08-20 2011-08-17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t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4/606,520 US9756514B2 (en) 2010-08-20 2015-01-27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t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946A KR20120057713A (ko) 2010-08-20 2010-08-20 이동통신 시스템의 드라이브 테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713A true KR20120057713A (ko) 2012-06-07

Family

ID=4559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946A KR20120057713A (ko) 2010-08-20 2010-08-20 이동통신 시스템의 드라이브 테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989027B2 (ko)
KR (1) KR201200577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1180B2 (en) 2010-02-12 2016-03-29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measurements
US9220028B2 (en) 2010-02-12 2015-12-22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perform measurements
US8553563B2 (en) 2010-08-13 2013-10-08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to limit reporting of neighbor cell measurements
KR101705678B1 (ko) * 2010-10-04 201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3gpp 시스템에서 mdt 측정 보고 제어 방법 및 장치
US9185580B2 (en) * 2010-10-10 2015-11-1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a logged measur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49615B2 (en) * 2012-02-06 2015-06-02 Acer Incorporated Method of controlling minimization of drive tests
US9078156B2 (en) 2012-02-06 2015-07-07 Acer Incorporated Method of controlling minimization of drive tests
US20130203406A1 (en) * 2012-02-06 2013-08-08 Acer Incorporated Method of controlling minimization of drive tests
US10231143B2 (en) * 2012-03-16 2019-03-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MDT data collection
CN103327441B (zh) * 2012-03-20 2018-04-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最小化路测方法及装置
US9338681B2 (en) * 2012-08-10 2016-05-1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reporting minimization drive test measurement data
EP2896237B1 (en) * 2012-09-17 2017-08-09 HMD global Oy Measurement configuration and reporting with diverse traffic
CN103686866A (zh) * 2012-09-26 2014-03-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资源调整方法及装置
US9591501B2 (en) * 2012-09-28 2017-03-07 Nokia Technologies Oy Measurement configuration and reporting with diverse traffic
US9813980B2 (en) * 2013-03-22 2017-11-07 Acer Incorporated Methods for assist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in connecting to an access point (AP),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nd base stations using the same
JP6127129B2 (ja) * 2013-03-25 2017-05-10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ユーザ端末、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基地局
KR102071372B1 (ko) * 2013-09-16 2020-01-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포밍을 고려한 drx 제어 방법 및 장치
US9992744B2 (en) 2014-02-24 2018-06-05 Intel Corporation Mechanisms to optimize and align discontinuous reception configuration of device to-device capable user equipment
US20160119896A1 (en) * 2014-10-22 2016-04-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handling of user equipment pages in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ed mode
US9980313B2 (en) * 2014-12-16 2018-05-22 Intel IP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US9743454B2 (en) * 2015-01-06 2017-08-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failed connection requests for devices in an inactive mode
US9918243B2 (en) * 2015-02-05 2018-03-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asurement procedure under adaptive frequency separation
US10433205B2 (en) * 2015-11-04 2019-10-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method therein, computer program, and carrier comprising the computer program for retransmitting an RLC PDU
MX2018009148A (es) * 2016-02-01 2018-11-29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os y aparatos para soportar mdt durante edrx.
US10986693B2 (en) 2018-01-11 2021-04-20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cell measurement
EP3879877A4 (en) 2018-11-09 2022-06-29 Ntt Docomo, Inc. User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US20210409992A1 (en) * 2019-02-14 2021-12-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nhancements to MD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5917B1 (en) * 1999-05-19 2002-09-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station measurements with event-based reporting
WO2007100230A1 (en) * 2006-03-03 2007-09-07 Ktfreetel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quality of wireless network
US8045996B2 (en) * 2006-07-31 2011-10-25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cell RF parameters based on measurements by user equipments
US20080062913A1 (en) * 2006-08-21 2008-03-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ment to periodical reporting criteria for user equipment (UE) positioning
WO2008136651A2 (en) * 2007-05-08 2008-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 power control management in hspa
EP2250767B1 (en) * 2008-01-31 2018-01-03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link inter-frequency and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measurements in cell_fach state with drx
WO2009120120A1 (en) * 2008-03-28 2009-10-0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Network driven l3 control signalling prioritization
CN101572896B (zh) * 2008-04-29 2011-01-26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配置上行探测参考信号的方法和装置
ES2368385T3 (es) 2009-01-29 2011-11-16 Lg Electronics Inc. Esquema de transmisión de señales para una gestión eficaz del canal dedicado mejorado común.
EP2214442B8 (en) * 2009-02-02 2013-06-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coordinating the operations of discontinuous reception and the semi-persistent scheduling.
US8885577B2 (en) * 2009-06-23 2014-11-1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of assigning and managing gaps for reading system information of neighboring cells
KR101707683B1 (ko) * 2009-06-24 2017-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상에서 단말의 측정 보고를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방법
WO2011039969A1 (ja) * 2009-09-29 2011-04-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110292852A1 (en) * 2009-12-15 2011-12-01 Mamadou Kone Method of Optimizing Power Saving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EP2537364B1 (en) * 2010-01-08 2014-11-12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and base node for controlling cell measurements in low activity state
US8768335B2 (en) * 2010-01-27 2014-07-01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a 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for specific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1093665A2 (en) * 2010-01-28 2011-08-0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erforming a 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76045B1 (ko) * 2010-02-09 2016-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로그된 측정 폐기 방법 및 장치
WO2011126420A1 (en) * 2010-04-06 2011-10-1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264954B2 (en) * 2010-04-28 2016-02-16 Qualcomm Incorporated Neighbor relation information management
KR101705672B1 (ko) * 2010-05-04 2017-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정보의 기록 방법 및 장치
US9560539B2 (en) * 2010-08-16 2017-01-3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llowing terminal to report measurement result for MDT to base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9113416B2 (en) * 2010-11-10 2015-08-1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overhead of searcher task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KR101214790B1 (ko) * 2011-03-11 2012-12-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네트워크에서 충돌을 회피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2141636A1 (en) * 2011-04-13 2012-10-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Reducing complexity of pattern-based measure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56514B2 (en) 2017-09-05
US20120044822A1 (en) 2012-02-23
US8989027B2 (en) 2015-03-24
US20150139020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7713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드라이브 테스트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75958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mdt 정보 보고 포맷 및 시간 스탬프 구성 방법 및 장치
KR101705678B1 (ko) 3gpp 시스템에서 mdt 측정 보고 제어 방법 및 장치
US9055505B2 (en)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a terminal transmits a channel estimation result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369907B2 (en) Method of performing a 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for specific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656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channel measurement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9526025B2 (en) Terminal and method for managing cell information in terminal
US9119096B2 (en) Method of performing a 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98790B1 (en) Method of performing a minimization of drive test (mdt) for specific are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29803B1 (ko) 복수의 plmn들에서 mdt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CN101925106B (zh) 一种路测控制方法、装置和系统
WO2012152108A1 (zh) 最小化路测的方法及装置
KR102042581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mdt 측정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WO2014132686A1 (ja) 基地局、移動局、無線品質測定結果受信方法及び無線品質測定結果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