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490A - Lighting fixture - Google Patents
Lighting fix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7490A KR20120057490A KR1020110049781A KR20110049781A KR20120057490A KR 20120057490 A KR20120057490 A KR 20120057490A KR 1020110049781 A KR1020110049781 A KR 1020110049781A KR 20110049781 A KR20110049781 A KR 20110049781A KR 20120057490 A KR20120057490 A KR 201200574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lighting
- support
- head
- illumin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46—Frameless sh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26—Pivoted ar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personal use, e.g. hand-he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의 조도 및 칼라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조명장치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야간에는 취침 등 또는 무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그 구성은, 각종 테이블 또는 해당지면에 위치되어 지지되는 베이스(100)와, 그 베이스 상에 상향하도록 세워 설치된 지주(200)와, 그 지주의 상단에 회동부(320)를 중심으로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며 빛이 조사되는 조명부(310)를 갖는 헤드(300)로 이루어진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200)에는 상기 헤드(300)를 지주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조명부를 결합시키는 홈 형태의 포켓(210)이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to variously select the illuminance and color of the lighting, and can be used as an upholstery when not used as a lighting device, and can be used as a bedtime or no lighting at night. Write,
The structure is the base 100 which is located and supported on various tables or the corresponding ground, the support 200 which stands upright on the base, and the up-down direction centering on the rotation part 320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In the illumination device consisting of a head 300 having a lighting unit 310 rotated and irradiated with light, the support 200 has a groove-shaped pocket for rotating the head 300 in the support direction and then combining the lighting unit ( 21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의 조도 및 칼라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조명장치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야간에는 취침 등 또는 무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ght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to variously select the illuminance and color of the lighting, can be used as an upholstery when not used as a lighting device, and can be used as a bedtime light or no light at night. .
각종 테이블 또는 해당지면에 위치되어 사용되는 조명장치 즉 전기스탠드는 사무실이나 가정 등에서 주로 제한된 영역을 보다 밝게 조명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종류로는 램프의 종류에 따라 인버터스탠드, 할로겐스탠드, 백열램프스탠드로 구분되며, 스탠드를 제작한 소재의 종류에 따라서는 도자기스탠드, 스틸스탠드, 목재스탠드, 합성수지스탠드로 구분되고, 사용용도에 따라서는 장식 스탠드, 침대용 스탠드, 테이블용 스탠드, 학생용 스탠드, 사무용 스탠드 등으로 분류된다.Lighting devices used in various tables or the corresponding ground, that is, electric stands are mainly used to illuminate limited areas more brightly in offices and homes, etc. In the types of lamps, inverter stands, halogen stands, and incandescent lamps are used. It is divided into lamp stand, and it is divided into ceramic stand, steel stand, wood stand, and synthetic resin stand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 for which the stand is manufactured.Decorative stand, bed stand, table stand, student stand, office stand depending on the usage. It is classified as a stand.
이러한 전기스탠드는 램프와 상기 램프 둘레를 감싸는 등갓으로 이루어진 전등부와, 상기 전등부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지지하는 몸체부로 구성된다.The electric stand is composed of a lamp unit comprising a lamp and a lampshade surrounding the lamp, and a body unit rotatably coupling / supporting the lamp unit.
그러나 종래의 전기스탠드는 사용자의 시력보호 또는 단지 조명을 비추는데만 국한되게 개발되어 그 기능이 한정되고 조명등으로서의 역할 이외의 다른 기능을 기대할 수 없어서 보다 특이함과 다양함을 요구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실정이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electric stand is developed only to protect the eyesight of the user or merely illuminate the light, so that its functions are limited, and the purchase of modern consumers who demands more uniqueness and variety because they can not expect any other function than the role of the lamp. Needs could not meet the situ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 충족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야간에는 발광부를 이용한 취침 등 및 무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둘째, 조명장치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실내 장식품으로 활용할 수 있고, 셋째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 및 칼라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경우 각 과목에 적합한 조도와 조명칼라를 구현시켜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meeting the needs of consumer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ly, at night, using a light emitting unit, etc., and can be used as a bedless part. Third, by providing a user with various illumination intensity and color of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ing unit, students can provide illumination device that can improve learning ability by implementing illumination and illumination color suitable for each subject.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각종 테이블 또는 해당지면에 위치되어 지지되는 베이스와, 그 베이스 상에 상향하도록 세워 설치된 지주와, 그 지주의 상단에 회동부를 중심으로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며 빛이 조사되는 조명부를 갖는 헤드로 이루어진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에는 상기 헤드를 지주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조명부를 결합시키는 홈 형태의 포켓이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Characteristic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se is located on the various tables or the corresponding ground, and the support is installed upright on the base,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centered on the rotating part on the top of the support In the illumination device consisting of a head having a lighting unit that is rotated in the direction and irradiated with light, the support is formed with a groove-shaped pocket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to rotate the head in the support direction and then coupled the lighting unit.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첫째,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 및 칼라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선택하여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경우 각 과목에 적합한 조도와 조명칼라를 구현시켜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 야간에는 발광부를 이용한 취침 등 및 무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셋째, 조명장치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실내 장식효과를 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by allowing the user to select and adjust the illumination and color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ing unit in a variety of ways, students implement learning ability by implementing the appropriate illumination and illumination color for each subject It can be improved, and secondly, it can be used as a bedlight and no light using a light emitting unit at night, and thir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duce an interior decoration effect when not used as a ligh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서 헤드를 회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서 헤드를 포켓에 결합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서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발췌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서 인터페이스부의 입력방식에 따른 조명부의 발광상태를 나타낸 발췌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서 조명부와 균형유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균형유지부 확대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rotating the head in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ead coupled to the pocket in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cerp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rface unit in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tract showing the light emitting state of the lighting unit according to the input method of the interface unit in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ghting unit and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in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balance maintaining unit 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is separated from the ligh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테이블 또는 해당지면에 위치되어 지지되는 베이스(100)와, 그 베이스 상에 상향하도록 세워 설치된 지주(200)와, 그 지주의 상단에 회동부(320)를 중심으로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며 빛이 조사되는 조명부(310)를 갖는 헤드(300)로 이루어진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주(200)에는 상기 헤드(300)를 지주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조명부를 결합시키는 홈 형태의 포켓(210)이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베이스(100)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최하부에 위치되는 것으로써, 해당 지면이 평평한 곳이면 상기 지주(200)와 조명부(310)를 안전하게 지지하며 지탱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형상에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The
한편 상기 베이스(100)의 어느 한 곳에는 본원발명의 조명장치에서 전기를 필요로 하는 구성 품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선(110)이 설치되는데, 그 전원공급선(110)은 베이스(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지주(200)나 헤드(300) 중 어느 한 곳에 설치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any one of the
또 상기 베이스(100) 상에는 지주(200)가 상향하도록 세워 설치되는데, 그 세워 설치되는 지주(200)의 외관 형상은 장식미를 연출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며, 단 상기 지주(200)에는 헤드(300)를 회동시킨 후 조명부(310)를 결합 안착시킬 수 있는 홈 형태의 포켓(210)을 상기 지주(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킨다.In addition, on the
이는 본 발명의 조명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300)를 지주(200) 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포켓(210)에 조명부(310)를 결합함으로써 헤드균형유지부(330)가 지주(200)의 상부에 그 지주(200)와 연이어지도록 상향되게 위치되어 실내 장식품으로써의 기능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when the illumin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the
상기 조명부(310)가 포켓(210)에 결합되면, 베이스(100)를 기점으로 지주(200)의 하부에서부터 헤드균형유지부(330)의 상단에 이르기까지 그 직경이 점차적으로 작이지는 하나의 기둥 즉 인공위성 형상을 유지함으로 실내의 장식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상기 본 발명의 조명부(310)가 포켓(210)에 결합된 후 인공위성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베이스(100)의 형상과 지주(200)의 형상 및 헤드(3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조명장치를 연출하여 실내의 장식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Maintaining the satellite shape after the
한편 상기 헤드(300)의 형상 즉 조명부(310)의 반대쪽(헤드(300)의 후면) 형상은 상기에서 설명한 조명부(310)가 포켓(210)에 결합된 후 지주(200)의 형상을 해치지 않도록 지주(200)의 형상과 조화가 이루어지게 형성시켰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또 상기 헤드(300)의 후면에는 조명부(310)를 상기 포켓(210)에 결합시켰을 때 조명부(310)에서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노출되어 취침 등 또는 무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발광부(340)가 형성됨으로써 조명부의 기능 외에 취침 등 또는 무부 등 등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식의 효과 연출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 발광부(340)의 형태는 조명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시킬 수도 있고, 또 다양한 무늬모양을 일정간격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발광부(340)의 주위에 방사형의 무늬 모양을 연출시킬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본 발명의 헤드(30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320)를 중심으로 일 측에는 조명부(310)가 형성되고, 타 측에는 조명부(310)의 균형을 잡아주는 헤드균형유지부(330)가 형성되는데, 상기 헤드균형유지부(330)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조명부(310)를 포켓(210)으로부터 인출하여 헤드(300)를 사용에 필요한 각으로 유지시키게 되면 상기 조명부(310)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상기 헤드(300)의 유지각이 유지되지 못하고 포켓(210)방향으로 회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함으로 이를 해소하기 위함이다.In the
상기와 같은 헤드균형유지부(330)의 구성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가능한 커버(331)가 형성되고, 헤드균형유지부(330)의 내부에 중량체(33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지는바,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고, 그 외에도 조명부(310)의 무게를 감안한 헤드균형유지부(330)를 형성시켜 조명부(310)를 포켓(210)으로부터 인출하여 헤드(300)를 사용에 필요한 각으로 유지시켰을 때 그 유지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6 and 7, as shown in FIGS. 6 and 7, a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100) 또는 지주(200) 중 어느 선택된 일 측 또는 양측 모두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 환경에 따라 상기 조명부(310)의 조명조도 및 조명칼라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인터페이스부(400)를 형성시켜 실내를 다양한 조명조도 및 조명칼라로 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특히 공부하는 학생이나 기타 업무할 때에 해당 학습의 각 과목 및 업무형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조명조도 및 조명칼라를 조절하여 조사되게 함으로써 학습 및 업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실내의 분이기를 다양하게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ny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상기 인터페이스부(400)의 구성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명부(310)의 조명칼라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터치스크린부(410)와, 실내 환경에 따라 조명부(310)의 조도 및 칼라를 조절하는 터치스위치부(420)로 구분 형성되는데, 상기 터치스크린부(410)의 작동에 따른 조명부(310)의 조명칼라 조절과, 터치스위치부(420)의 작동에 따른 조명부(310)의 조도 및 칼라 조절기술은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임으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 설명은 생각한다.As shown in FIG. 4, the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부(4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00)의 포켓(210) 선택된 곳에 설치하고, 터치스위치부(420)는 베이스(100)의 표면 선택된 곳에 설치되는데, 그 터치스위치부(420)에는 조명장치의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와, 이미 설정된 조도 및 조명칼라가 조명부(310)로 조사되게 하는 해당 스위치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1 and 2, the
그리고 상기 조명부(310)는 그 조명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램프(311)와, 그 램프를 보호함과 동시에 램프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빛 확산패널(312)이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램프(311)는 모든 램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엘이디(LED)램프를 사용함이 좋다.The
또한 상기 헤드(300)가 설치되는 지주(200)의 상부에는 회동부(320)을 형성시켜 그 회동부(320)를 중심으로 헤드(300)의 회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부(32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200)의 상부 양측에 헤드(30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브래킷(220)이 상호 마주보도록 상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그 연장 형성된 지지브래킷(220)에 회동 축(321)을 형성시켜 헤드(300)의 양 측면과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헤드(300)가 회동 축(321)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동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단 본 발명에서 회동부(320)의 구성은 지지브래킷(220)과 회동 축(321)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헤드(300)가 회동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가능하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한편 상기 조명부(310)는 자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그 구조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에 회전부재(350)가 설치되고 그 회전부재(350)는 헤드균형유지부(330)와 연결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31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고자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부재(350)를 축으로 조명부(310)가 회전되면서 조명부(31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재(350)의 구체적인 구성은 조명부(310)의 후방에 회전 축(351)이 설치되고, 그 회전 축(351)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균형유지부(330)의 전방에 회전축안착부(333)를 형성시켜 그 회전축안착부(333)에 회전 축(351)을 회전가능하게 안착 설치함으로써 조명부(310)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의 회전부재(350) 구성은 상기 회전 축(351)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조명부(310)가 자전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rotating
본 발명의 조명장치 구성에서 베이스(100)와 지주(200)를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헤드(300)와 지주(200)도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기 빛 확산패널(312)도 헤드(300)로부터 필요에 따라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In the lighting devic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조명장치는 조명부에서 조사되는 조명의 조도 및 칼라를 사용자가 다양하게 선택하여 조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경우 각 과목에 적합한 조도와 조명칼라를 구현시켜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야간에는 발광부를 이용한 취침 등 및 무부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조명장치의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실내의 장식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igh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user to variously adjust and use the illumination and colo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unit, and in the case of students, to improve learning ability by implementing illumination and illumination color suitable for each subject. It can be used at night, such as bedtime and lightless using the light emitting unit, and when not using the function of the lighting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tilized as an ornament of the room.
100: 베이스 200 : 지주
210 : 포켓 220 : 지지브래킷
300 : 헤드 310 : 조명부
311 : 램프 312 : 빛 확산패널
320 : 회동부 321 : 회동 축
330 : 헤드균형유지부 331 : 커버
332 : 중량체 340 : 발광부
350 : 회전부재 400 : 인터페이스부
410 : 터치스크린부 420 : 터치스위치부100: base 200: prop
210: pocket 220: support bracket
300: head 310: lighting unit
311
320: rotating part 321: rotating shaft
330: head balance holding unit 331: cover
332: weight 340: light emitting unit
350: rotating member 400: interface
410: touch screen unit 420: touch switch unit
Claims (13)
상기 지주(200)에는 상기 헤드(300)를 지주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조명부를 결합시키는 홈 형태의 포켓(210)이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Base 100, which is positioned and supported on various tables or corresponding grounds, and struts 200 installed upright on the base, and are rotat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bout the pivot 320 at the upper end of the struts. In the illumination device consisting of a head 300 having an illumination unit 310 to be irradiated,
Illumin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200)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is a pocket 210 of the groove shape for coupling the lighting unit after the head 300 is rotated in the support direction.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wherein the shape of the lighting device after the lighting unit 310 is coupled to the pocket 210, the head balance maintenance from the bottom of the support 200 from the base 100 Ligh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ingle columnar shape integrated up to the top of the portion (33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49781A KR20120057490A (en) | 2010-11-26 | 2011-05-25 | Lighting fix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2207 | 2010-11-26 | ||
KR1020110049781A KR20120057490A (en) | 2010-11-26 | 2011-05-25 | Lighting fix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7490A true KR20120057490A (en) | 2012-06-05 |
Family
ID=4660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49781A KR20120057490A (en) | 2010-11-26 | 2011-05-25 | Lighting fix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57490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92221A1 (en) * | 2012-12-14 | 2014-06-19 | Chung Sang Min | Dimm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
CN109058801A (en) * | 2018-06-28 | 2018-12-21 | 安徽省欧球信息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its touch device |
KR102439215B1 (en) * | 2021-11-24 | 2022-09-01 | 이주현 | Magnetic Levitation IoT Lighting Device |
-
2011
- 2011-05-25 KR KR1020110049781A patent/KR2012005749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092221A1 (en) * | 2012-12-14 | 2014-06-19 | Chung Sang Min | Dimm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
US9351377B2 (en) | 2012-12-14 | 2016-05-24 | Sang Min Chung | Dimm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
US9668323B2 (en) | 2012-12-14 | 2017-05-30 | Sang Min Chung | Dimm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
CN109058801A (en) * | 2018-06-28 | 2018-12-21 | 安徽省欧球信息技术有限公司 | A kind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 and its touch device |
KR102439215B1 (en) * | 2021-11-24 | 2022-09-01 | 이주현 | Magnetic Levitation IoT Light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6343B1 (en) | A Lighting Device | |
CN202858237U (en) | Table with light | |
KR20120057490A (en) | Lighting fixture | |
CN108514216A (en) | Shine tables and chairs apparatus | |
CN209622703U (en) | The freely adjustable flexible desk lamp of irradiating angle | |
CN204665186U (en) | A kind of LED module type wall lamp of adjusting irradiation angle | |
CN205137263U (en) | Decorative ceiling lamp | |
CN203709522U (en) | Suspended dining table | |
CN206036764U (en) | Lamination formula illumination lamps and lanterns with adjustable | |
CN203743968U (en) | Floor lamp | |
CN206280825U (en) | A lamp with projection function | |
KR200477713Y1 (en) | A bench having lighting | |
CN209165112U (en) | Effectual desk of eyeshield uses LED lamp | |
CN209042088U (en) | A wall lamp that is convenient to change the light range | |
CN202511227U (en) | Foldable LED (Light Emitting Diode) emergency lamp | |
CN113898893A (en) | An ambient light simulation device for design | |
CN102889482A (en) | Small night lamp | |
CN206257511U (en) | LED suspended table lamps | |
CN201606733U (en) | Desk lamp with rotatable lamp holder | |
CN207438260U (en) | A kind of multifunctional ceramic desk lamp | |
CN206708878U (en) | A spotlight with explosion-proof function | |
CN208703665U (en) | A kind of multipurpose table-lamp | |
CN209146867U (en) | Multipurpose home decoration wall lamp | |
CN209558172U (en) | A kind of anti-dazzle ceiling lamp | |
CN215112244U (en) | Sunset lamp shade capable of controlling color by color film c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5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5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3041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10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