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55825A -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 Google Patents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825A
KR20120055825A KR1020100117237A KR20100117237A KR20120055825A KR 20120055825 A KR20120055825 A KR 20120055825A KR 1020100117237 A KR1020100117237 A KR 1020100117237A KR 20100117237 A KR20100117237 A KR 20100117237A KR 20120055825 A KR20120055825 A KR 20120055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unit
chamber
pump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343B1 (ko
Inventor
김성순
Original Assignee
김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순 filed Critical 김성순
Priority to KR1020100117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3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용 인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바닥 아치부에 대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인솔에 관한 기술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면측 뒷굽부와 중간부에 함몰된 뒷굽 설치홈과 중간 설치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뒷굽 설치홈에 삽입되는 펌핑부와 상기 중간 설치홈에 삽입되는 가압부가 연결튜브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튜브 내부에 체크밸브가 마련되는 지압유닛; 상기 펌핑부와 가압부의 가장자리를 덮으면서 상기 본체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압유닛을 고정시키게 되는 보조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INSOLE WITH THE FUNCTION OF MASSAGE}
본 발명은 신발용 인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발바닥 아치부에 대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인솔에 관한 기술이다.
신발을 구성하는 주요한 구성요소의 하나가 인솔이며, 인솔 상면에 발바닥이 접촉된다. 보통 사람의 발바닥은 중간부분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으며 이 부위를 아치부라 부른다.
발바닥에는 많은 지압점들이 있으며 신발을 착용하고 보행할 때 아치부에 대한 지지 및 자극이 이루어지면 신체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위해 인솔 자체의 중간부위를 볼록하게 형성하여 발바닥 아치부를 받쳐주도록 하는 인솔이 있다.
한편, 보행시에 보통 발 뒷굽부가 가장 먼저 지면에 착지되기 때문에 충격이 많이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관계로 운동화를 비롯한 대부분의 신발들은 발 뒷굽부를 두껍게 하여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뒷굽부에 별도의 에어쿠션을 설치하여 충격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발들도 많이 있다.
사람마다 체중이나 발의 모양 등이 다르기 때문에 발바닥에 대한 지압도 사용자에 맞게 그 강도를 조정할 필요성이 높다. 동시에 사용상 편리해야 하는바, 탈부착 가능한 인솔에 발바닥 아치부에 대한 지압 기능 및 강도 조정 기능이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기능도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인솔에 발바닥 아치부에 대한 지압 기능 및 강도 조정 기능이 제공되는 기술은 없었고, 동시에 보행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복합된 인솔은 알려진 바가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솔 자체에 발바닥 아치부에 대한 자극을 줄 수 있도록 하되,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특성을 고려하여 지압 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발 뒷굽부에 작용하는 보행시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은, 저면측 뒷굽부와 중간부에 함몰된 뒷굽 설치홈과 중간 설치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뒷굽 설치홈에 삽입되는 펌핑부와 상기 중간 설치홈에 삽입되는 가압부가 연결튜브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튜브 내부에 체크밸브가 마련되는 지압유닛; 상기 펌핑부와 가압부의 가장자리를 덮으면서 상기 본체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압유닛을 고정시키게 되는 보조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펌핑부는, 바닥면에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에어홀이 형성되되, 상기 에어홀 주위로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홀이 막히지 않게 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튜브의 일단과 연결되는 하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상측 중심부에 적층 연결되되 상기 하부챔버와 연통되는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의 저면에 마련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챔버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 상면에 볼록한 형태로 결합되는 커버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재의 중심부에 천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밸브가 결합되고 상기 천공홀 주위는 함몰되어 상기 배기밸브의 누름부가 상기 바닥재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챔버는, 볼록한 돔 형상의 하체와 상체가 가장자리에서 열융착 접합되며, 상기 하체의 중심부는 개구되어 상기 하부챔버의 커버재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펌핑부는, 내부에 쿠션블럭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은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특성 등에 맞게 아치부에 대한 지압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뒷굽부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도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가압부는 하부챔버와 상부챔버가 중심부에서 연결되어 적층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부챔버에 의한 발바닥 아치부에 대한 압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지압유닛의 저면측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지압유닛의 상면측 사시도.
도 6은 지압유닛의 단면도.
도 7은 지압유닛의 작동관계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지압유닛의 저면측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5는 지압유닛의 상면측 사시도이고, 도 6은 지압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7은 지압유닛의 작동관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100)은 본체(110), 지압유닛(120) 및 보조덮개(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인솔(100)의 기본적인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보통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성형된다. 본체(110)의 저면측 뒷굽부와 중간부에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는 뒷굽 설치홈(H1)과 중간 설치홈(H2)이 형성된다. 여기서 중간부는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응하는 위치로 인솔 전체를 기준으로 할 때 대략 중간 정도의 위치에 해당되는 지점을 말한다.
본체(110) 저면에 형성되는 뒷굽 설치홈(H1)과 중간 설치홈(H2)에 지압유닛(120)이 설치되는데, 지압유닛(120)은 크게 펌핑부(120a), 가압부(120b)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튜브(120c)로 이루어진다.
연결튜브(120c) 내부에는 일방향으로만 열릴 수 있는 체크밸브(CV)가 내장되어 있고, 사용자가 펌핑부(120a)를 반복적으로 누르게 되면 공기가 체크밸브(CV)를 통해서 가압부(120b)로 공급된다. 연결튜브(120c)에 체크밸브(CV)가 내장되기 때문에 가압부(120b)로 공급된 공기는 배출되지 않고 가압부(120b)를 팽창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체(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뒷굽 설치홈(H1)과 중간 설치홈(H2) 사이에는 연결튜브(120c)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연결튜브 홈(H3)이 형성되도록 한다.
지압유닛(120)은 본체(110) 저면에 고정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덮개(130)에 의해 지압유닛(120)이 감싸여진 채 본체(110)에 보조덮개(130)를 부착시킴으로써 지압유닛(120)이 이탈되지 않고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덮개(130)는 펌핑부(120a)와 가압부(120b)의 가장자리를 덮으면서 본체(110)에 결합되며, 따라서 펌핑부(120a)와 가압부(120b)의 하부측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보조덮개(130) 하부측으로 노출된 펌핑부(120a)를 눌러 가압부(120b)로 공기를 공급하며, 가압부(120b)에 충진되는 공기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는 후술할 배기밸브(EV)를 통해 가압부(120b)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펌핑부(120a)의 내부는 소정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바닥면에 공기가 유출입되는 개구된 에어홀(121)이 형성된다. 사용자가 에어홀(121)을 막고서 누르게 되면 펌핑부(120a)의 내부 공기는 체크밸브(CV)를 거쳐서 가압부(120b)로 이동된다. 사용자가 펌핑부(120a)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다시 펌핑부(120a) 내부에 에어홀(121)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되고 재차 에어홀(121)을 막고 누르면 가압부(120b)로 새로운 공기가 공급된다.
즉, 펌핑부(120a)의 에어홀(121)은 평상시에는 항상 열려 있고 에어홀(121)이 막힌 상태에서 가압되어야만 가압부(120b)로 공기를 공급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신발에 인솔(100)을 끼워 보행하는 상태에서는 펌핑부(120a)의 펌핑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보행시 펌핑부(120a)의 에어홀(121)이 막히지 않도록 해야 하는바, 에어홀(121) 주위에 다수의 돌기(122)들을 두어서 펌핑부(120a)에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돌기(122)들 사이 사이로 펌핑부(120a) 내부의 공기가 에어홀(121)을 통과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펌핑부(120a) 내부에는 스폰지와 같은 쿠션블럭(123)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하는데, 보행시 펌핑부(120a)에 작용하는 하중은 쿠션블럭(123)을 통해 어느 정도 완화가 되는 효과가 있고 압축되었던 펌핑부(120a)가 빠르게 복원되도록 한다. 즉, 펌핑부(120a)는 기본적으로 가압부(120b)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지만 보행시 뒷굽쪽에 가장 많은 하중이 걸리게 되는데, 펌핑부(120a) 내부에 쿠션블럭(123)을 두면 보행시의 충격도 줄여줄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펌핑부(120a)와 연결튜브(120c)를 통해 연결되는 가압부(120b)는 펌핑부(120a)의 펌핑 작용에 의해 공기가 충진되어 팽창되며, 사용자는 자신에 맞게 적당량의 공기를 가압부(120b)에 충진하여 사용토록 한다. 가압부(120b)는 본체(110) 저면의 중간 설치홈(H2)에 위치되어 보행시 발바닥의 아치부에 대한 지지 및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부(120b)는 하부챔버(C1)와 상부챔버(C2) 및 배기밸브(EV)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하부챔버(C1)와 상부챔버(C2)는 상하 적층 연결되어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하며, 연결튜브(120c)의 일단은 하부챔버(C1)와 연결된다. 하부챔버(C1)의 저면에는 배기밸브(EV)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가압부(120b)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챔버(C1)는 바닥재(124)와 커버재(125)로 이루어지며, 바닥재(124)는 편평한 판상체이고 그 상면에 볼록한 형태의 커버재(125)가 결합된다. 그리고 바닥재(124)의 중심부에는 천공홀(A)을 형성시키고 천공홀(A)에 배기밸브(EV)를 설치하도록 한다. 필요에 따라 바닥재(124)의 저면으로 노출되는 배기밸브(EV)의 누름부(P)를 눌러 가압부(120b)의 공기를 배출해야 하지만 보행 중에 누름부(P)가 눌려져서는 않된다. 따라서 천공홀(A) 주위는 함몰되게 하여 배기밸브(EV)의 누름부(P)가 바닥재(124)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한다.
보행중에도 배기밸브(EV)의 누름부(P)는 인솔(100) 하부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가압부(120b)의 공기는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고, 사용자가 인솔(100)을 신발로부터 빼내어 누름부(P)를 손으로 누르면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가압부(120b)를 구성하는 상부챔버(C2)는 볼록한 돔 형상의 하체(126)와 상체(127)가 각 가장자리에서 열융착으로 접합됨으로써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하체(126)는 하부챔버(C1)의 커버재(125)와 연통되게 연결되는데, 하체(126)의 중심부와 커버재(125)의 중심부는 각각 개구되어 있고 개구된 부위를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하부챔버(C1)와 상부챔버(C2)간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부(120b)를 구성하는 하부챔버(C1)와 상부챔버(C2)를 각각 하나씩 두어서 적층되게 하였지만, 3개 이상의 챔버를 적층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적층 연결되는 구조의 가압부(120b)는 납작한 형태로 작은 체적을 갖는 상부챔버(C2)에 의해 발바닥의 아치부를 자극하게 되며, 비교적 고르게 압력이 분포되어 발바닥 아치부의 특정 영역에만 하중이 집중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되는 하부챔버(C1)와 상부챔버(C2)의 연결구조에 의해 쿠션기능을 제공하게 되어 발바닥 아치부에 대한 지압은 물론이고 적절한 충격흡수도 이루어지게 한다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의 구체적인 사용예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운동화의 인솔로 제공되는 경우 인솔(100)을 신발 내부에 삽입하기 전에 사용자는 인솔 저면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된 펌핑부(120a)의 에어홀(121)을 손으로 막은 상태로 누르면 체크밸브(CV)를 통해 펌핑부(120a)의 공기가 가압부(120b)로 이동되고, 이후 손을 떼었다가 다시 펌핑부(120a)의 에어홀(121)을 막은 채 누르게 되면 다시 공기가 가압부(120b)로 주입된다.
이처럼 사용자는 적당량의 공기가 가압부(120b)로 주입되게 한 후 인솔(100)을 신발에 삽입하여 신발을 신도록 한다. 가압부(120b)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보행을 하게 되면 사용자의 발바닥 아치부는 가압부(120b)에 의해 받쳐지면서 지압 작용을 받게 된다.
한편, 가압부(120b)에 공기가 지나치게 많이 주입되어 발바닥의 아치부에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인솔을 꺼내어 배기밸브(EV)의 누름부(P)를 눌러 가압부(120b)의 내부 공기를 소정량 배출하도록 한다.
보행시 펌핑부(120a)는 지면과 접촉시 발생되는 하중을 흡수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고 가압부(120b) 역시 적층구조로 하부챔버(C1)와 상부챔버(C2)가 형성되기 때문에 보행시 완충작용도 겸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은 인솔을 포함하는 다양한 신발에 사용될 수 있다.
100 : 인솔 110 : 본체
H1 : 뒷굽 설치홈 H2 : 중간 설치홈
H3 : 연결튜브 홈 120 : 지압유닛
120a: 펌핑부 120b: 가압부
120c: 연결튜브 121 : 에어홀
122 : 돌기 123 : 쿠션블럭
124 : 바닥재 125 : 커버재
126 : 하체 127 : 상체
CV : 체크밸브 EV : 배기밸브
P : 누름부 A : 천공홀
C1 : 하부챔버 C2 : 상부챔버
130 : 보조덮개

Claims (5)

  1. 신발 인솔에 있어서,
    저면측 뒷굽부와 중간부에 함몰된 뒷굽 설치홈과 중간 설치홈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뒷굽 설치홈에 삽입되는 펌핑부와 상기 중간 설치홈에 삽입되는 가압부가 연결튜브로 연결되되, 상기 연결튜브 내부에 체크밸브가 마련되는 지압유닛;
    상기 펌핑부와 가압부의 가장자리를 덮으면서 상기 본체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압유닛을 고정시키게 되는 보조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바닥면에 공기가 유출입될 수 있는 에어홀이 형성되되, 상기 에어홀 주위로 다수의 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에어홀이 막히지 않게 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연결튜브의 일단과 연결되는 하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상측 중심부에 적층 연결되되 상기 하부챔버와 연통되는 상부챔버 및 상기 하부챔버의 저면에 마련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챔버는,
    바닥재와 상기 바닥재 상면에 볼록한 형태로 결합되는 커버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닥재의 중심부에 천공홀이 형성되어 상기 배기밸브가 결합되고 상기 천공홀 주위는 함몰되어 상기 배기밸브의 누름부가 상기 바닥재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챔버는,
    볼록한 돔 형상의 하체와 상체가 가장자리에서 열융착 접합되며, 상기 하체의 중심부는 개구되어 상기 하부챔버의 커버재와 연통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내부에 쿠션블럭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KR1020100117237A 2010-11-24 2010-11-24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KR101241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237A KR101241343B1 (ko) 2010-11-24 2010-11-24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237A KR101241343B1 (ko) 2010-11-24 2010-11-24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825A true KR20120055825A (ko) 2012-06-01
KR101241343B1 KR101241343B1 (ko) 2013-03-11

Family

ID=4660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237A KR101241343B1 (ko) 2010-11-24 2010-11-24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34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01B1 (ko) * 2012-06-07 2013-02-06 김성현 신발용 인솔
KR20160073676A (ko) * 2014-12-17 2016-06-27 (주)한신코리아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KR101890340B1 (ko) * 2017-06-26 2018-08-22 김성현 신발용 인솔
WO2018151336A1 (ko) * 2017-02-14 2018-08-23 (주)한신코리아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CN108626304A (zh) * 2017-03-15 2018-10-09 德晃有限公司 可调压囊体装置
KR102363223B1 (ko) * 2021-09-24 2022-02-14 박희정 지압슬리퍼
CN114794657A (zh) * 2022-03-28 2022-07-29 北京京成兴华医疗科技有限公司 按摩鞋垫以及按摩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2078B1 (ko) * 2023-12-19 2024-08-05 조휘준 거북목과 낙상 예방에 도움이 되는 기능성 인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652A (ko) * 1995-08-08 1997-03-27 임성조 에어튜브를 이용한 발바닥맛사지신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501B1 (ko) * 2012-06-07 2013-02-06 김성현 신발용 인솔
KR20160073676A (ko) * 2014-12-17 2016-06-27 (주)한신코리아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WO2018151336A1 (ko) * 2017-02-14 2018-08-23 (주)한신코리아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CN108626304A (zh) * 2017-03-15 2018-10-09 德晃有限公司 可调压囊体装置
KR101890340B1 (ko) * 2017-06-26 2018-08-22 김성현 신발용 인솔
KR102363223B1 (ko) * 2021-09-24 2022-02-14 박희정 지압슬리퍼
CN114794657A (zh) * 2022-03-28 2022-07-29 北京京成兴华医疗科技有限公司 按摩鞋垫以及按摩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343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1343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KR101008305B1 (ko) 에어백을 갖는 신발 안창
EP2106714A2 (en) Shoe sole with tunnel-type air chambers
US20070068037A1 (en) Shoe Ventilation and Shock Absorbtion Mechanism
KR100969814B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지압용 신발깔창
KR100907740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102010241B1 (ko)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ITMI962479A1 (it) Calzatura con sottopiede o intersuola adattabile alla conformazione del piede dell'utente
KR100916592B1 (ko) 지압 및 공기순환 기능이 구비된 신발 깔창
KR20090004785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100969715B1 (ko) 신발용 인솔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100932018B1 (ko) 중공쿠션돌기가 부착된 신발창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KR100986676B1 (ko) 에어펌프식 족궁지지체를 구비한 신발
KR101149489B1 (ko) 신발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충격완화 신발
CN213820083U (zh) 组合鞋垫
KR20090117607A (ko) 중공쿠션돌기가 구비되는 신발창과 이를 위한 제조금형 및 제조방법
KR100870190B1 (ko)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3단계 지압효과를 발휘하는신발바닥창
KR20110007867U (ko) 신발 내부의 땀 및 열 배출이 원활한 안창
KR20110034568A (ko) 반발탄성을 지닌 중공쿠션돌기가 내장된 바닥창
JP2008067953A (ja) 履物
KR102184411B1 (ko) 충격 흡수부재를 갖는 신발 밑창
KR100759938B1 (ko)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KR20120003291U (ko) 공기이동이 가능한 듀얼 에어백을 갖는 아치서포트 기능성 인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3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