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첫번째 광의의 측면에서, 바이오리액터에 대한 CO 함유 기질의 공급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미생물(carboxydotraphic microorganisms)에 의해 기질을 발효시켜 1종 이상의 알코올(들) 및/또는 산(들)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제1 시점과 제2 시점에서 바이오리액터 중의 산의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산 수준의 변화는 기질 공급의 변화를 초래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산 수준이 증가하면 기질 공급이 증가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산 수준이 감소하면 기질 공급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두번째 광의의 측면에 따라, 산(들) 및/또는 알코올(들)을 비롯한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하여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미생물에 의해 바이오리액터에서 CO 함유 기질의 발효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기질은 바이오리액터 중에서 산 수준이 소정의 역치 농도들 사이에서 유지되도록 제공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 공급은 산 농도의 변화에 응답하여 자동 제어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산 수준은 발효 브로쓰 1 L 당 소정의 역치 농도인 1-10 g (즉 1-10 g/L) 사이로 유지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산 수준은 발효 브로쓰 1 L 당 소정의 역치 농도 2-8 g 사이로 유지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산 수준은 배양물의 pH를 측정함으로써 구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발효는 연속식으로 행한다.
본 발명의 세번째 광의의 측면에서, 최적의 기질 공급 수준 및/또는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CO 함유 기질의 발효에 의해 소망되는 알코올:산 생성물의 비율이 얻어지도록 하는 수준 또는 실질적으로 그에 지향된 수준으로 바이오리액터 중의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미생물의 배양체에 기질을 공급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여러 측면들의 특정 구체예에서, 산은 아세테이트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알코올은 에탄올이다.
본 발명의 네번째 광의의 측면에서, 기질을 미생물 발효시켜 생성물을 생산하는 전체적인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기질을 실질적으로 최적 수준에 지향되도록, 최적 수준 또는 최적 범위 내로 미생물 배양체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CO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생성물은 산(들) 및/또는 알코올(들)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알코올(특히 에탄올)은 산(특히 아세테이트)의 부수적인 생산 없이 생산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발효 배지의 pH가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또는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기질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발효 도중 산(들)의 농도에 실질적으로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공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pH가 소망하는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제공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소망되는 범위는 최적 작동 pH의 ±0.5 유닛이다. 일반적으로, 기질은 pH가 5-6 범위; 또는 5.1-5.9 범위; 또는 5.2-5.8 범위; 또는 5.3-5.7 범위; 또는 5.4-5.6 범위; 또는 실제로 5.5에서 유지되도록 제공된다.
다섯번째 광의의 측면에서,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기질의 미생물 발효의 전체적인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pH를 모니터링하여 pH 변화에 기초하여 기질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CO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 공급은 pH가 일정한 값으로 또는 소정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조절되거나 또는 소정의 변화율로 변화하도록 조절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방법은 pH의 감소에 응답하여 기질 공급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별법으로, 상기 방법은 pH 증가에 응답하여 기질 공급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이 방법은 공지의 분석법에 의해 발효 브로쓰에서 대사산물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여섯번째 광의의 구체예에서,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기질의 미생물 발효의 전체적인 효율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실질적으로 최적 수준에 가까운 수준, 최적 수준 또는 최적 범위로 기질을 미생물 배양체에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CO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생성물은 산(들) 및/또는 알코올(들)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생성물은 산:알코올의 소망되는 생성물 비율이 적어도 1:1; 또는 적어도 1:2; 또는 적어도 1:3; 또는 적어도 1:4; 또는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1:10; 또는 적어도 1:20이 되도록 생산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알코올(특히 에탄올)은 산(특히 아세테이트)의 부수적인 생산 없이 생산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수소가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도록 기질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수소가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소비되는 기질의 적어도 0.5mol%; 또는 적어도 1.0mol%; 또는 적어도 1.5mol%; 또는 적어도 2.0mol%의 수준으로 생산되도록 기질이 제공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별법으로, 기질은 미생물 배양체에 의한 CO 비흡수율 (specific CO uptake)이 1분당 바이오매스 1 그램 당 소비된 CO의 양이 0.6-1.5 mmol (mmol/g/min) 사이로 유지되도록 하는 양으로 제공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이 CO를 포함하는 경우, 기질 이용성이 최적량을 상회하여 (또는 최적 범위를 상회하여) 증가함에 따라, 과량의 CO가 하이드로게나제 효소(들)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실제로 H2 생성이 방지된다. 하이드로게나제 효소(들)이 억제되면 미생물은 과도한 환원력을 내지 못하기 때문에, 성장 억제 및/또는 미생물 사멸과 같은 배양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일곱번째 광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기질의 미생물 발효의 전반적인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생산된 수소를 모니터링하여 수소 생산에 기초해서 기질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CO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 제공은 미생물 배양체에 의한 수소 생산량이 배양체에 의해 소비된 기질의 적어도 0.5 mol%, 적어도 1.0 mol%; 또는 적어도 1.5 mol%; 또는 적어도 2.0 mol%가 되도록 조절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 공급은 수소 생산량이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소비된 기질의 적어도 0.5mol%; 또는 적어도 1.0mol%; 또는 적어도 1.5mol%; 또는 적어도 2.0mol%의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증가된다. 이에 더하여 또는 별법으로, 기질 공급은 수소 생산량이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소비된 기질의 적어도 0.5mol%; 또는 적어도 1.0mol%; 또는 적어도 1.5mol%; 또는 적어도 2.0mol%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감소되거나 유지되거나 또는 실제로 항상적일 수 있다.
여덟번째의 광의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라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기질의 미생물 발효의 전반적인 효율 개선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CO 함유 기질을 미생물 배양체의 비흡수율(specific uptake)이 분당 바이오매스 1 그램 당 CO 소비량이 0.6-1.5 mmol (mmol/g/min)이 되도록 CO 함유 기질을 미생물 배양체에 제공하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CO를 함유하는 이 기질은 비흡수율이 실제로 0.8 - 1.2 mmol/g/min이 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CO 함유 기질은 가스상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이 가스상 기질은 산업 공정의 부산물로서 얻어지는 가스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산업 공정은 철금속 산물 제조, 비철금속 산물 제조, 퍼트롤륨 정제 공정, 바이오매스의 기화 공정, 석탄의 기화 공정, 전력 생산, 카본 블랙 생산, 암모니아 생산, 메탄올 생산 및 코크 제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예컨대 6%와 같이 CO 농도가 낮은 기질 역시도 적합하며 특히 H2와 CO2 역시도 존재하는 경우 적합할 수 있다.
여러가지 측면의 특정 구체예에서, CO 함유 기질은 일반적으로 CO를 큰 비율로, 예컨대 적어도 약 20 부피% 내지 약 100 부피%의 CO, 40 부피% 내지 95 부피%의 CO, 40 부피% 내지 60 부피%의 CO 및 45 부피% 내지 55 부피%의 CO를 함유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부피 기준으로 CO를 약 25%, 또는 약 30%, 또는 약 35%, 또는 약 40%, 또는 약 45%, 또는 약 50% CO, 또는 약 55%, 또는 약 60% 함유한다.
여러가지 측면의 특정 구체예에서, 발효 공정에 의해 생산되는 알코올은 에탄올이다. 발효 반응은 아세테이트를 생산할 수도 있다.
여러가지 측면의 특정 구체예에서, 발효 반응은 1종 이상의 아세트산 생산균 (acetogenic bacteria) 균주에 의해 수행된다. 좋기로는 아세트산 생산균은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무렐라(Moorella) 및 카복시도데르무스(Carboxydothermus), 예를 들어,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Clostridium autoethanogenum), 클로스트리듐 륭달리(Clostridium ljungdahlii), 및 무렐라 써모아세티카(Moorella thermoacetica)로부터 선택된다. 한가지 구체예에서, 아세트산 생산균은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이다.
본 발명은 아홉번째 광의의 측면에서,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기질의 미생물 발효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소망되는 발효를 수행하기 위한 바이오리액터, 소망되는 발효 공정 동안 발효 브로쓰의 pH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 및 기질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이 장치는 CO를 함유하는 기질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절 수단은 만일 pH가 소정의 값이나 범위로부터 일탈할 경우 기질 공급에 대한 한가지 이상의 조정 수단을 제공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장치는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프로세싱 수단은 기질 공급이 pH의 변화에 응답하여 자동적으로 조절되도록, 조절 수단에 연결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 공급은 pH가 감소하면 증가된 기질의 양이 공급되고 및/또는 pH가 증가하면 더 적은 양의 기질이 공급되도록 조절된다.
열번째 광의의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생성물을 생산하기 위한 기질의 미생물 발효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는 소망하는 발효를 수행하기 위한 바이오리액터, 소망하는 발효 공정 동안 생산되는 수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수단 및 기질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장치는 CO 함유 기질을 제공하도록 설정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측정 수단은 발효 과정 동안 소비된 기질의 양도 측정한다. 필요에 따라, 측정 수단은 H2생산량/CO소비량 비율을 구할 수 있도록 프로세싱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조절 수단은 H2생산량/CO소비량 비율이 소정의 값이나 범위를 벗어날 경우 기질 공급에 대한 한가지 이상의 조정 수단을 제공하도록 설정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프로세싱 수단은 기질 공급이 H2 생산량 및/또는 H2생산량/CO소비량 비율의 변화에 응답하여 자동 조절될 수 있도록, 조절 수단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열한번째 광의의 측면에서:
i. CO 함유 기질의 발효를 수행하도록 설정된 바이오리액터
ii. 측정 수단; 및
iii. 조절 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생물 발효를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여기서 조절 수단은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에 응답하여 CO를 포함하는 기질의 공급을 조절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측정 수단은 발효 과정 중 생산된 1종 이상의 산(들)의 양을 측정하도록 설정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측정 수단은 발효시 pH를 측정하도록 설정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측정 수단은 발효시 H2의 생산량을 측정하도록 설정된다.
이상 본 발명의 광의로 정의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고로 한 구체예들 역시도 포괄하는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측면에 따라, 기질의 미생물 발효의 총괄적인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기질을 실질적으로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에 근접하게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CO를 포함하며 아세트산 생산균과 같은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세균에 제공된다. 적절한 혐기 조건 하에서, 클로스트리듐 오노에타노게눔, 클로스트리듐 륭달리, 클로스트리듐 락스달레이 및 클로스트리듐 카르복시디보란스와 같은 아세트산 생산균은 CO 함유 기질을 산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생성물로 전환시킨다.
CO 함유 기질과 같은 기질을 미생물 배양체에 최적 수준 또는 최적 수준에 가깝게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공급하면 본 발명에 그 개시내용 전체가 참조 병합된 PCT/NZ2010/000009에 설명된 바와 같이 최적의 미생물 성장 및/또는 소망되는 대사산물 생산이 달성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예를 들어, 기질을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미생물을 함유하는 미생물 배양체에 최적 수준에 가까운 수준 또는 최적 수준으로 공급하면 미생물 성장이 양호해질 뿐만 아니라 1종 이상의 알코올과 같은 바람직한 생성물이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생물 성장 및 목적하는 생성물의 생산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기질은 실제로 발효 과정 내내 연속적으로 미생물 배양체에 최적 농도로 또는 최적 농도에 근접한 농도로 제공되어야만 한다. 최적 공급을 일탈하면 성장이 둔화되고 덜 바람직한 생성물이 생산되거나 심한 경우 미생물 성장이 저해되거나 미생물이 사멸될 수도 있다.
특정 이론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나, 기질, 특히 CO 함유 기질의 적어도 일부는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산화되어 대사산물의 생산 및/또는 세포 성장시 사용될 수 있는 에너지(환원 당량: reducing equivalents)를 생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기질 공급을 증가시키면 대사산물의 생산 및/또는 성장에 이용가능한 환원 당량이 증가된다. 일반적으로, 기질이 제한된 배양에 있어서는, 미생물 배양체가 성장 및 산(들)과 같은 생성물을 생산하도록 하기 위해 환원 당량이 이용된다. 그러나, 기질 공급이 증가됨에 따라, 미생물은 부가적인 환원 당량을 생산하는데 부가적인 기질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다시 산(들)과 같은 생성물(들)을 알코올(들)과 같은 바람직한 생성물로 환원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기질 공급이 최적 수준으로 근접할수록, 알코올(들)의 양이 산(들)의 양에 비해 증가하는데 이는 미생물이 환원 당량을 더 증가된 양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구체예에서 미생물 배양체는 성장하여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들)을 생산하게 된다.
1종 이상의 미생물에게 기질이 제공되는 기질 공급량 또는 수준은 실제로 기질로부터 수성 발효 브로쓰로의 질량 전달속도(mass trasfer rate)와 연관되어 있다. 가스에서 액체로의 질량 전달은 다음의 3가지 주요 변수들의 함수이다:
1. 농도추진력(concentration driving force): 특정한 가스상 성분의 분압은 그 성분이 용액내로 추진될 수 있는 속도에 실질적으로 비례한다.
2. 인터페이스 표면적(interfacial surface area): 가스상과 액체상 사이의 인터페이스 표면적이 클수록 질량 전달 기회도 높아진다. 특히, 인터페이스 표면적은 일반적으로 가스 홀드업 및 기포 크기의 함수이다.
3. 전달계수(trasfer coefficient): 장치의 전달계수는 여러가지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실무상, 대개 가장 큰 영향은 액체상과 가스상 사이의 상대 속도이다. 상대속도(및 따라서 질량전달)는 일반적으로 교반 또는 기타 혼합을 통해 난류(turbulence)를 증가시키으로써 증가된다.
당업자라면 기질의 용액 내로의 질량 전달 증가 방법을 익히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기질 공급 또는 수단은 1가지 이상의 수단 예컨대: 기질이 바이오리액터에 공급되는 속도를 증가시키거나, 기질의 분압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교반 탱크 바이오리액터의 교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 또는 특정 바이오리액터의 특징적인 질량전달을 증가시키는 등에 의하여 증가될 수 있다. 가스상 기질의 발효시 미생물에 대한 질량 전달을 촉진하기 위한 많은 기구와 장치가 알려져 있다.
최적 수준을 향해 생성물로의 전환을 위하여 미생물 배양체가 이용할 수 있는 기질의 양을 증가시키면 산(들)에 비해 알코올(들)의 생산량이 증가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생성물들은 배양체에 의해 적어도 1:1; 또는 적어도 1:2; 또는 적어도 1:3; 또는 적어도 1:4; 또는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1:10; 또는 적어도 1:20의 바람직한 산:알코올의 생성물 비율이 되도록 생산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정상 상태에서, CO 함유 기질의 정상 상태 연속 발효에 의해 아세테이트 및/또는 알코올을 비롯한 생성물들이 생산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정상 상태에서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을 향해 공급되면, 아세테이트는 발효 브로쓰 중에서 10g/L 미만, 또는 9g/L 미만, 또는 8g/L 미만, 또는 7g/L 미만, 또는 6g/l 미만, 또는 5g/L 미만의 농도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알코올(특히 에탄올)은 산(특히 아세테이트)의 부수적인 생산 없이 생산된다. 그러나, 기질이 과도한 이용성(과잉 공급에 의한)은 성장 억제 및/또는 미생물 사멸과 같은 배양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정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배양체의 생존능과 성장능력 및 에탄올과 같은 바람직한 대사산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을 향해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기질이 제공되도록, 기질, 특히 CO 함유 기질의 미생물 발효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최적 수준(또는 범위)는 미생물 집단의 크기로 인해 시간이 지나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구체예에서, 배양체가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들)을 2 g/g 바이오매스/일 미만, 또는 1.5g/g/일 미만 또는1.2g/g/일 미만, 또는 1g/g/일 미만의 특이 속도로 생산하면,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을 향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미생물 배양체의 크기와 관계없이 기질 공급을 최적화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뱃치 또는 유가식(fed-batch) 발효의 경우, 미생물 배양체는 성장기 동안 대수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따라서, 기질은 실질적으로 최적의 기질량이 연속적으로 제공되도록 증가된 양으로 공급되어야만 한다. 이에 더해서 또는 별법으로 연속식 배양의 경우, 기질은 지속가능한 미생물 성장과 소망되는 대사산물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장기간에 걸쳐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을 향해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제공되어야만 한다. 신선한 배지 공급 속도, 온도, pH, ORP, 배양체 생존능과 같은 작업 조건의 작은 변화가 바이오매스 수준의 변화를 유발하고 따라서 기질 요구사항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기질은 바이오매스의 변화와 관계 없이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을 향해 공급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 따라, 최적화 방법은 발효 배지의 pH를 모니터링하고 pH의 측정치 또는 경시적인 pH 변화에 기초하여 기질의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배지의 pH가 소정의 변화 속도로 또는 소정의 변화 속도를 향해 또는 소정의 변화 속도 범위 내에서 변화하도록 발효 배지 중의 미생물 배양체에 제공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변화 속도는 0에 근접하며, 몇몇 구체예에서는 배지의 pH가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소정 범위 내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에서, 제한된 기질 공급 기간 동안, 아세톤 생산균은 아세트산을 비롯한 생성물을 생산한다. 따라서, 기질 제한된 아세톤생산 배양체를 함유하는 발효 배지의 pH는 염기 첨가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한 저하될 것이다. 본 발명에 그 개시 내용이 참조로 병합된 WO2009/113878에 설명된 바와 같이, CO 함유 기질이 과잉공급되면, 아세테이트가 알코올로 변환되고 pH는 산 첨가에 의해 조절되지 않는 한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최적의 성장 및/또는 알코올 생산 조건 하에서,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산성 대사산물이 생산되거나 소비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최적의 알코올 생산성은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들)의 공동생산과 연관이 있다. 따라서,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성 대사산물이 생산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효 브로쓰의 pH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생성물은 배양체에 의해 산:알코올의 생성물 비율이 바람직하게 적어도 1:1; 또는 적어도 1:2; 또는 적어도 1:3; 또는 적어도 1:4; 또는 적어도 1:5 ; 또는 적어도 1:10; 또는 적어도 1:20이 되도록 생산되며 pH는 미생물 배양체에 의한 산 생산 결과로 변화될 것이다.
발효 브로쓰의 pH는 1종 이상의 산이나 염기 또는 이들의 조합의 소비 또는 생산고 같은 여러가지 영향으로 인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생물이 성장하는 동안 미생물 배양체에 의한 질소 고정으로 인해 pH가 저하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과 같은 일산화탄소 영양 미생물은 질소를 NH3의 형태로 흡수할 수 있는데 이는 경시적으로 발효 브로쓰의 pH 저하를 초래한다. 포스페이트 및/또는 락테이트와 같은 다른 대사산물 역시도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생산 및/또는 소비될 수 있으므로, 발효 브로쓰의 pH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아세테이트는 일반적으로 아세톤 생산균에 의한 발효시 중요한 생산물이고, 일반적으로 pH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기질을 최적 농도로 또는 최적 농도가 되도록 또는 최적 농도 범위에서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pH 변화를 소정의 변화 속도로 또는 소정의 변화 속도가 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정 구체예에 따라, 어떤 주어진 미생물 배양쳬에 대한 소망되는 pH 변화 속도는 대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의 성장 및/또는 소망되는 대사산물 생산을 위해 최적량의 기질을 미생물 배양체에 공급하여 pH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산성 및/또는 염기성 성분들이 미새물 배양체에 의해 생산 및/또는 소비되어, 경시적으로 pH가 변화된다. 이러한 (소정의) 또는 측정된 pH 변화 속도는 이번에는 후속적인 발효 공정에서 미생물 배양체에 대한 기질 공급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이 최적 공급된 미생물 배양체는 성장하여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 및 산 (예컨대 아세테이트)을 비롯한 대사산물을 생산한다. 대사산물의 정상상태 생산기간 동안, 산(들)의 생산량은 실제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pH 변화 속도가 실제로 일정하게 된다. 만일 pH가 소정의 변화 속도보다 빨리 저하되면, 배양체에 의해 더 많은 산(들)이 생산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질 공급을 최적 수준이 되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만일 pH가 소정의 변화 속도보다 느리게 저하되면, 산(들)이 배양체에 의해 보다 느린 속도로 생산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질 공급을 최적 속도가 되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 만일 pH가 증가하면 배양체에 의해 산(들)이 소비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으므로 기질 공급을 최적 속도가 되도록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실제로 일정한 pH를 유지하기 위해 산 또는 염기를 첨가함으로써 pH 변화를 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서는, 발효시 첨가되는 산/염기 비율을 이용하여 최적 기질 공급량을 구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놀랍게도 미생물 성장과 알코올 생산은 pH를 소정 수준으로 또는 소정 범위로 유지시킴으로써, 기질, 특히 CO 함유 기질을 소망되는 수준으로 공급함으로써 최적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성 대사산물의 실질 생산이나 소비가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pH를 소정 수준으로 또는 소정 범위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pH의 변화속도는 0에 가깝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기질 공급을 증가시켜야 한다. 반대로, 만일 발효시, pH가 증가하기 시작하면,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들)이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들)로 순전환(net conversion)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으며 배양체에 기질이 과다공급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기질 공급을 감소시켜야 한다.
이러한 조절 방법은 배양체의 기질 요구사항이 경시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성장중인 미생물 배양체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예를 들어, 만일 배양체가 뱃치 공정으로 성장한 경우, 어떤 한 시점에서의 기질의 최적 수준은 나중 시점에서는 기질의 제한량(limiting amount)가 될 수 있다. 대수 성장기에서는, 요구되는 기질의 최적량 역시도 실제로 대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여겨진다. 연속식 공정에서는 정상상태에서조차, 다이나믹 배양 상태는 미생물 배양체의 작은 변화에 응답하여 최적 수준이나 최적 수준이 되도록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기질 공급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질의 최적 공급은 또한 발효 공정상의 요구조건에 따라 달라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뱃치식 발효(또는 연속 배양의 뱃치상 스타트업)에서는 아세테이트가 순생산 또는 소비되지 않도록 하여 pH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도록 기질을 공급하는 것이 소망될 수 있다. 연속식 공정에서는, 안정한 배양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아세테이트를 소량으로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소망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별법으로, 아세테이트 및 예컨대 락테이트와 같은 기타 산 또는 NH3과 같은 염기와 같은 대사산물의 축적 및/또는 소비를 공지 기술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대사산물 수준에 응답하여 기질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선택적 프로브(들) 예컨대 전류측정 프로브를 이용하는 GC, HPLC, GCIR, GCMS, LCMS, NIR 또는 당업자에게 익숙한 기타 분석법과 같은 다양한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발효조 내의 아세테이트 및/또는 락테이트 농도를 주기적으로 그리고 실제로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대사산물의 농도를 바이오리액터 중의 발효 배지 중에서 및/또는 바이오리액터에 존재하는 배지에서 (예컨대 연속식 발효로부터의 생성물 스트림) 모니터링하여 배지 중에서 측정된 대사산물에 기초하여 기질 수준을 최적화하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아세테이트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여 배지 중에 축적되기 시작하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기질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만일 아세테이트 농도가 소정의 또는 예정된 역치 미만으로 저하하면, 기질 공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정상상태에서,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이 되도록 제공되면, 아세테이트는 소정 농도 범위 즉 약 1-10g/L, 또는 약 2-8g/L, 또는 약 3-7g/L, 또는 약 4-6g/L으로 유지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정상 상태에서, 기질이 최적 농도로 또는 최적 농도가 되도록 제공되면, 아세테이트는 발효 브로쓰에서 약 10g/L, 또는 약 9g/L, 또는 약 8g/L, 또는 약 7g/L, 또는 약 6g/l, 또는 약 5g/L으로 유지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배양체가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들)을 2g/g 바이오매스/일 미만, 또는 1.5g/g/일 미만 또는 1.2g/g/일 미만, 또는 1g/g/일 미만의 특이 속도로 생산하면, 기질을 최적 수준으로 또는 초적 수준이 되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배지의 pH를 표시자로서 이용하여 배양체에 실질적으로 최적량의 기질을 공급하거나 또는 적어도 최적 범위로 기질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지를 소망되는 pH에서 또는 소정의 pH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기질 공급, 특히 CO 함유 기질 공급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 따라, 미생물 발효를 개선하는 방법은 미생물 배양체에 의한 수소(H2) 생산을 모니터링하여 H2 생산에 기초하여 기질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CO를 함유하되 H2는 최소량으로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는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이 되도록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제공되면 H2가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미생물에 의해 생산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제한된 기질 공급 기간 동안,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과 같은 일산화탄소 영양 세균은 기질의 일부를 산(들) 및 소량의 알코올(들)과 가튼 생성물로 변환시키고 추가 부분은 세포 물질(성장)의 혐기적 생산에 지향된다. 이러한 제한된 기질 공급 기간 동안, H2는 실제로 생산되지 않는다. 놀랍게도, 기질 공급이 최적 수준이 되도록 증가되는 경우,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과 같은 일산화탄소 영양세균이 기질의 일부를 산(들) 및 알코올(들)과 같은 생성물로 전환시키고, 또 다른 일부는 세포 재료로 전환시키겨 또 다른 일부는 H2로 전환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 특히 CO 함유 기질이 최적 수준 또는 최적 수준이 되도록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제공되면, 에탄올과 같은 목적하는 대사산물에 더해 H2가 생산된다. 또한, CO 함유 기질을 과잉공급하면 하이드로게나제 효소(들)이 억제됨으로 해서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는 H2의 양이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는 H2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기질을 최적 농도로 또는 최적 농도 근방으로 또는 최적 농도 범위로 제공할 수 있다.
기질이 CO를 포함하는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 이용성이 최적량 (또는 최적 수준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과량의 CO가 하이드로게나제 효소(들)을 억제하게 되고 실제로 H2 생산이 방지된다. 하이드로게나제 효소(들)이 억제됨에 따라, 미생물들은 과량의 환원력을 발산하지 못하게 됨으로 해서, 성장 억제 및/또는 미생물 사멸과 같은 배양상의 문제점이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는 수소는 배양체에 실제로 기질이 최적량으로 공급되는지 또는 적어도 최적 범위로 공급되는지를 나타내는 표시자로서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생물 배양체에 의한 수소 생산을 이용하여 미생물 배양체에 공급되는 기질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수소 생산이 관찰될 때까지, 기질 제한된 배양체에 대한 기질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소 생산이 개시되면, 경시적으로 수소 생산이 유지되도록 기질 공ㄱ브을 조절할 수 있다. 미생물 배양체가 성장함에 따라, 기질 공급을 증가시켜 수소 생산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방법은 성장하는 미생물 배양체에서 특히 중요한데, 이는 배양체의 기질 요구사항이 경시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떤 한 시점에서의 기질의 최적 수준은 만일 배양체가 성장한다면, 나중 시점에서는 기질의 제한량이 될 수 있다. 대수 성장기 동안에는, 필요한 기질의 최적량 역시도 실제로 대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여겨진다.
하이드로게나제 효소는 가역적이기 대문에, 미생물 배양체는 수소를 함유한느 기질 스트림의 수소 성분을 에너지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최적화 방법은 CO를 함유하되, 수소는 최소량 함유하거나 실제로 함유하지 않는 기질을 이용한다.
정의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하기의 용어들은 하기와 같이 정의된다:
발효 공정에 대하여 사용되는 용어 "효율을 증가시키는", "증가된 효율" 등은 하기의 것들 중 하나 이상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발효를 촉매하는 미생물의 성장 속도, 소비되는 기질(예, 일산화탄소)의 체적 당 생성되는 원하는 생성물(예, 알코올)의 체적, 원하는 생성물의 생성 속도 또는 생성 수준, 및 발효의 다른 부산물과 비교한 원하는 생성물의 상대적 비율. 마찬가지로, "최적화(optimisation)"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주어진 일련의 발효 조건들에서 최대 효율이 되도록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기질" 등은 일산화탄소가 예를 들어 성장 및/또는 발효를 위한 한 종 이상의 균주에 이용가능하게 되는 어떠한 기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일산화탄소를 함유하는 가스상 기질"은 일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어떠한 가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가스상 기질은 충분한 비율,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 부피% 내지 약 100 부피%의 CO를 함유하게 된다.
발효 생성물의 문맥에서, 본 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산"은 카르복시산 및 관련 카르복시산염 음이온, 예를 들어, 본 원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발효액에 존재하는 유리 아세트산과 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발효액에서 카르복시산염에 때한 분자 산의 비율은 그 시스템의 pH에 의존한다. 용어 "아세테이트"는 아세테이트 단독 및 분자 또는 유리 아세트산과 아세테이트의 혼합물, 예를 들어, 본원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발효액에 존재하는 아세테이트와 유리 아세트산의 혼합물 모두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액에서 아세테이트에 대한 분자 아세트산의 비율은 그 시스템의 pH에 의존한다.
용어 "바이오리액터"는 하나 이상의 용기 및/또는 탑 또는 배관 장치로 구성되는 발효 장치로서, 연속 교반 텡크 반응기(CSTR), 고정 셀 반응기(ICR), 살수층 반응기(TBR), 이동층 바이오필름 반응기(MBBR), 버블 칼럼, 가스 리프트 발효조, 중공 섬유 막 반응기(HFMBR)와 같은 막 반응기, 정적 혼합기, 또는 기-액 접촉에 적당한 다른 용기 또는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질량 전달(mass transfer)"라는 용어는 원자나 분자 특히 기질의 원자나 분자의 가스상으로부터 수용액으로의 전달과 관련한 것이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경우, 본 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발효하는", "발효 공정" 또는 "발효 반응" 등은 공정의 성장 단계 및 생성물 생합성 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원에서 더욱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바이오리액터는 제 1 성장반응기 및 제 2 발효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효 반응에 금속 또는 조성물을 첨가하는 것은 이러한 반응기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첨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 즉, 일차 기질로서 CO를 이용한 에탄올/아세테이트의 제조에 초점을 둔 것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알코올 및/또는 산의 제조에 적용할 수 있고 당업자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다른 기질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 및 수소를 함유하는 가스상 기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틸산염, 프로피온산염, 카프로산염,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제조하기 위한 발효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수소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생성물들은 무렐라(Moorella), 클로스트리디아(Clostridia), 루미노코커스(Ruminococcus), 아세토박테리움(Acetobacterium), 유박테리움(Eubacterium), 부티로박테리움(Butyribacterium), 옥소박터(Oxobacter), 메타노사시나(Methanosarcina), 및 디설포토마큐럼(Desulfotomaculum) 유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를 통해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는 하나 이상의 공업적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가스 흐름을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이러한 공정으로는 제강 공정, 특히 높은 CO 함량 또는 예정 수준(즉, 5%) 이상의 CO 함량을 갖는 가스 흐름을 제조하는 공정이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 따라, 아세트산생성 세균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바이오리액터에서 산 및/또는 알코올, 특히 에탄올 또는 부탄올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내연 기관을 갖는 엔진의 가스 흐름을 비롯한 여러 가지 산업 및 폐가스 흐름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또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동일 또는 상이한 미생물들을 이용하는 것들을 비롯한 다른 발효 반응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한 특정 구체예 및/또는 적용으로 제한되지 않고 더욱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는데, 예를 들어, 가스 흐름의 소스는 제한되지 않고, 그의 적어도 한 성분이 발효 반응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 가스 및 고체적 CO-함유 공업적 배연 가스와 같은 가스상 기질로부터 에탄올 및 다른 알코올의 제조 및/또는 총괄 탄소 포착을 개선하기 위한 특별한 이용가능성이 있다.
발효
가스상 기질로부터 에탄올 및 다른 알코올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시적인 공정으로는 그 개시내용이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는 WO2007/117157호, WO2008/115080호, US 6,340,581호, US 6,136,577호, US 5,593,886호, US 5,807,722호 및 US 5,821,111호에 기재된 것들이 있다.
다수의 일산화탄소 영양 혐기성 세균들이 n-부탄올 및 에탄올을 비롯한 알코올 및 아세트산으로의 CO의 발효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이러한 세균의 예로는 WO 00/68407호, EP 117309호, US 특허 제 5,173,429호, 5,593,886호 및 6,368,819호, WO 98/00558호 및 WO 02/08438호에 기재된 것들을 비롯한 클로스트리듐 륭달리, 클로스트리듐 카복시디보란스(Liou 외,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33: pp 2085-2091), 클로스트리듐 라그스달리(WO/2008/028055) 및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Abrini 외, Archives of Microbiology 161: pp 345-351)의 균주와 같은 클로스트리듐 속의 세균이 있다. 다른 적당한 세균으로는 무렐라 속 HUC22-1(Sakai 외, Biotechnology Letters 29: pp 1607-1612)를 비롯한 무렐라 속 및 카복시도세무스 속(Svetlichny, V.A., Sokolova, T.G. et al (1991), Systematic and Applied Microbiology 14: 254-260)의 세균이 있다. 다른 예로는 무렐라 서모아세티카, 무렐라 서모오토트로피카, 루미노코커스 프로덕터스, 아세토박테리움 우디, 유박테리움 리모섬, 부티리박테리움 메틸로트로피컴, 옥시박터 페니기(Oxobacter pfennigii), 메티노사시나 바케리(Methanosarcina barkeri), 메타노사시나 아세티보란스, 디설포토마컬럼 쿠즈네소모가 있다(Simpa 외, Critical Reviews in Biotechnology, 2006 Vol. 26. Pp41-65). 또한, 당업자가 이해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일산화탄소 영양세균 및/또는아세트산생성 혐기성 세균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종 이상의 세균의 혼합 배양액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한가지 예시적인 미생물은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은 기탁번호 19630하에서 독일 생물자원 센터(DSMZ)에 기탁된 균주의 특성을 갖는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은 DSMZ 기탁번호 DSMZ 10061의 특징을 갖는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세균을 배양하는 것은 혐기성 세균을 이용하여 기질을 배양 및 발효하는 분야에서 알려진 임의의 수의 공정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기법들이 하기의 실시예에서 기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발효에 가스상 기질을 이용하는 하기의 논문들에 일반적으로 기재된 공정을 이용할 수 있다: (i) K. T. Klasson 외, (1991). Bioreactors for synthesis gas fermentations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5; 145-165; (ii) K. T. Klasson 외, (1991). Bioreactor design for synthesis gas fermentations. Fuel. 70. 605-614; (iii) K. T. Klasson 외, (1992). Bioconversion of synthesis gas into liquid or gaseous fuels.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14; 602-608; (iv) J. L. Vega 외, (1989). Study of Gaseous Substrate Fermentation: Carbon Monoxide Conversion to Acetate. 2. Continuous Culture. Biotech. Bioeng. 34. 6. 785-793; (v) J. L Vega 외, (1989). Study of gaseous substrate, fermentations: Carbon monoxide conversion to acetate. 1. Batch culture.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34. 6. 774-784; (vi) J. L Vega 외, (1990). Design of Bioreactors for Coal Synthesis Gas Fermentations.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3. 149-160. 상기 논문들은 모두 본 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발효는 연속 교반 탱크 반응기(CSTR), 고정 셀 반응기, 가스 리프트 반응기, 버블 칼럼 반응기(BCR), 막 반응기, 예를 들어 중공 섬유 막 반응기 (HFMBR) 또는 살수층 반응기(TBR)와 같은 어떤 적당한 바이오리액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구체예에서, 상기 생물 반응기는 미생물이 배양되는 제 1 성장 반응기, 및 상기 성장 반응기로부터의 발효액이 공급되고 발효 생성물(예, 에탄올 및 아세테이트)의 대부분이 생성되는 제 2 발효 반응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구체예에 따라, 발효 반응을 위한 탄소원은 CO를 함유하는 가스상 기질이다. 상기 기질은 공업적 공정의 부산물로 얻어지거나 자동차 배기 가스와 같은 또 다른 소스로부터 얻어지는 CO-함유 폐가스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공업적 공정은 제강 공장과 같은 제1철 금속 생성물의 제조, 비제1철 생성물의 제조, 석유 정제 공정, 석탄의 기화, 전력 생산, 카본 블랙 생산, 암모니아 생산, 메탄올 생산 및 코크스 제조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상기 CO-함유 가스는 대기로 방출되기 전에 임의의 편리한 방법을 이용하여 공업적 공정으로부터 포착할 수 있다. 상기 CO-함유 기질의 조성에 따라, 상기 기질을 발효 공정에 도입하기 전에 이를 처리하여 분진 입자와 같은 임의의 원치 않는 불순물들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스상 기질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여과 또는 세정할 수 있다.
별법으로, 상기 CO-함유 기질은 바이오매스의 기화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기화 공정은 공기 또는 산소를 제한적으로 공급하면서 바이오매스를 부분적으로 연소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가스는 주로 CO 및 H2를 포함하고, 최소 체적의 CO2, 메탄, 에틸렌 및 에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탕수수로부터 설탕 또는 옥수수 또는 곡물로부터 전분과 같은 식량의 추출 및 가공 동안에 얻어지는 바이오매스 부산물 또는 임업에서 발생되는 비식품 바이오매스를 기화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CO-함유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CO-함유 기질은 주요 비율의 CO, 예를 들어 적어도 약 20 부피% 내지 약 100 부피%, 40 내지 95 부피%, 40 내지 70 부피%, 및 40 내지 65 부피% CO를 함유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기질은 25 부피%, 30 부피%, 35 부피%, 45 부피%, 또는 50 부피% CO를 포함한다.
상기 기질이 수소를 함유할 필요는 없지만, H2의 존재는 본 발명에 따른 생성물 형성에 해롭지 않아야 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상기 기질 흐름은 저농도의 H2, 예를 들어, 5% 미만, 4% 미만, 3% 미만, 2% 미만 또는 1% 미만의 H2를 포함하거나 수소가 실질적으로 없다. 또한, 상기 기질은 일정량의 CO2, 예를 들어 약 1 부피% 내지 약 80 부피% CO2, 또는 1 부피% 내지 약 30 부피% CO2를 함유할 수도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pH를 이용하여 기질 공급을 조절할 경우, 기질은 H2를실질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수소가 존재하면 총괄적인 알코올 생산 효율이 개선된다. 예를 들어,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H2:CO를 약 2:1 또는 1:1 또는 1:2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일산화탄소를 가스 상태로 발효 반응에 첨가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이러한 상태의 기질의 첨가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산화탄소는 액체 상태로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를 일산화탄소 함유 가스로 포화시키고 그 액체를 바이오리액터에 첨가할 수 있다. 이는 표준 방법을 이용하여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해 마이크로버블 분산 발생기(Hensirisak 외, Scale-up of microbubble dispersion generator for aerobic fermentation; Applied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Volume 101, Number 3 / October, 2002)를 사용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가스/액체 인터페이스를 통한 유효한 질량 전달이 일어나도록, 가스상 기질을 1종 이상의 미생물을 함유하는 수성 발효 브로쓰에 공급한다. CO함유 기질의 수성 발효 브로쓰 내로의 질량전달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많은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방법 모두가 개별적으로 명시되는 것과 같은 취지로 본 발명에 모두 병합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CO 함유 기질의 질량전달 속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기질이 최적 속도로 또는 최적 속도가 되도록 제공되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세균의 성장 및 CO에서 알코올로의 발효를 일으키기 위하여, CO 함유 기질 가스 외에도 적당한 액체 영양 배지를 바이오리액터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양 배지는 사용되는 미생물의 성장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비타민 및 미네랄을 함유한다. 단독 탄소원으로 CO를 이용한 에탄올의 발효에 적당한 혐기성 배양액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적당한 배양액이 전술한 미국특허 제 5,173,429호 및 593,886호 및 WO 02/08438호, WO2007/115157호, WO2008/115080호 및 WO2009/022925 호에 기재되어 있다.
발효는 원하는 발효가 일어나는 적절한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CO에서 에탄올로의 발효). 고려되어야 하는 반응 조건은 압력, 온도, 가스 유속, 액체 유속, 배지의 pH, 배지의 산화환원 전위, 교반 속도(연속 교반형 탱크 반응기를 이용하는 경우), 접종 수준, 액체상의 CO를 확실히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최대 가스 기질 농도, 및 생성물 억제를 회피하기 위한 최대 생성물 농도가 있다. 적당한 조건은 WO02/08438호, WO07/117157호, WO08/115080호 및 WO2009/022925 호에 기재되어 있다.
최적 반응 조건은 사용되는 특정 미생물에 부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그러나, 특정 구체예에서, 발효는 주변 압력보다 높은 압력에서 실시된다. 증가된 압력에서 조작하면, 에탄올의 제조를 위한 탄소원으로 미생물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기체상에서 액체상으로의 CO 전달 속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는 바이오리액터가 상압이 아닌 승압에서 유지되는 경우 체류 시간(입력 가스 유량으로 나눈 바이오리액터내 액체 체적으로 정의됨)이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성 배지 내로의 CO의 질량전달 속도는 CO 함유 가스상 기질의 분압과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불활성 성분과 같은 원치 않는 성분의 제거 또는 부화(enrichment)에 의해 가스 흐름 중의 CO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질량전달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서, CO의 분압은 가스상 기질 흐름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승압에서 가스에서 에탄올로의 발효를 수행하는 이점이 설명되어 왔다. 예를 들어, WO 02/08438호는 150 g/l/day 및 369 g/l/day의 에탄올 생산성을 가정하여 각각 30 psig 및 75 psig의 압력하에서 수행되는 가스에서 에탄올로의 발효를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대기압에서 유사한 배지 및 입력 가스 조성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발효는 하루에 리터당 10 내지 20 배 적은 에탄올을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CO-함유 가스 기질의 도입 속도는 액상에서 CO의 농도가 확실히 제한되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CO가 제한된 조건의 결과 에탄올이 배양액에 의해 소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생성물의 회수
발효 반응의 생성물은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회수할 수 있다. 예시적인 방법으로는 WO07/117157호, WO08/115080호, US 6,340,581호, US 6,136,577호, US 5,593,886호, US 5,807,722호 및 US 5,821,111호에 기재된 것들이 있다. 그러나, 간략히 예를 들면, 분별 증류 또는 증발 및 추출 발효와 같은 방법을 통해 발효액으로부터 에탄올만을 회수할 수 있다.
발효액으로부터 에탄올을 증류하면 에탄올과 물의 공비 혼합물(즉, 95% 에탄올 및 5% 물)이 얻어진다. 무수 에탄올은 당업계에서 알려져 있는 분자체 에탄올 탈수 기술을 이용하여 차후에 얻어질 수 있다.
추출 발효 과정은 발효 유기체에 대한 저독성 위험을 방지하는 수혼화성 용매를 이용하여 묽은 발효액으로부터 에탄올을 회수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형태의 추출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올레일 알코올이다. 올레일 알코올은 발효조에 연속적으로 도입되기 때문에, 이러한 용매는 발효조의 상부에 층을 형성하고, 상기 층은 원심분리기를 통해 연속적으로 추출 및 공급된다. 다음에, 물 및 세포가 상기 올레일 알코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발효조로 귀환되는 반면에 올레일 함유 용매가 플래시 증발 장치로 공급된다. 상기 에탄올의 대부분은 증발 및 응축되는 반면에 상기 올레일 알코올은 비휘발성이고 회수되어 발효에 재사용된다.
또한, 발효 반응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아세테이트는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발효액으로부터 회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활성탄 필터를 포함하는 흡착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적당한 분리 장치를 이용하여 발효액으로부터 미생물 세포를 우선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성물 회수를 위해 세포가 없는 발효액을 발생하는 다수의 여과 기반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다음에, 얻어지는 세포가 없는 에탄올 함유 및 아세테이트 함유 투과물은 활성탄을 함유하는 칼럼을 통과하여 아세테이트가 흡착된다. 염 형태(아세테이트)이 아닌 산 형태(아세트산)의 아세테이트는 활성탄에 더욱 용이하게 흡착된다. 따라서, 발효액의 pH는 활성탄 칼럼에 통과하기 전에 3 미만으로 감소시켜서 아세테이트의 대부분을 아세트산 형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탄에 흡착된 아세트산은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용리시켜 회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을 이용하여 결합 아세테이트를 용리시킬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발효 공정 그 자체에 의해 생성되는 에탄올을 이용하여 아세테이트를 용리시킬 수 있다. 에탄올의 비점은 78.8 ℃ 이고 아세트산의 비점은 107 ℃ 이므로, 에탄올 및 아세테이트는 증류와 같은 휘발성 기반 방법을 이용하여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발효액으로부터 아세테이트를 회수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368,819호 및 6,753,170호는 발효액으로부터 아세트산의 추출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용매 및 공용매계를 기재하고 있다. 에탄올의 추출 발효에 대하여 기재된 올레일 기반 용매계의 예로서, 미국특허 제 6,368,819호 및 6,753,170호에 기재된 계는 아세트산 생성물을 추출하기 위하여 발효 미생물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서 발효액과 혼합될 수 있는 수비혼화성 용매/공용매 계이다. 다음에, 상기 아세트산 생성물을 함유하는 용매/공용매는 증류를 통해 발효액으로부터 분리된다. 다음에, 제2 증류 단계를 이용하여 용매/공용매 계로부터 아세트산을 정제할 수 있다.
발효 반응의 생성물(예컨대 에탄올과 아세테이트)는 발효 바이오리액터로부터 브로쓰 부분을 연속적으로 제거하여, 브로쓰로부터 미생물 세포를 제거하고 (간편하게 여과에 의한다),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qmfhTM로부터 1종 이상의 생성물을 회수함으로써, 발호 브로쓰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에탄올의 경우 증류에 의해 간편하게 회수할 수 있으며 아세테이트는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활성 챠콜 상에 흡착시키는 방식으로 회수할 수 있다. 분리된 미생물 세포는 발효 바이오리액터로 되돌릴 수 있다.에탄올과 아세테이트를 제거하고 남은 무세포 삼출물 역시도 발효 바이오리액터로 되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을 바이오리액터에 되돌리기에 앞서서, 영양 배지를 보충하기 위해 이 무세포 삼출물에 부가적인 영양 성분 (예컨대 비타민 B)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챠콜에 대한 아세트산의 흡착을 증대시키기 위해 브로쓰의 pH가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정되는 경우, 이를 바이오리액터에 되돌리기 전에, 발효 바이오리액터 중의 브로쓰의 pH와 유사한 pH가 되도록 재조정하여야만 한다.
기질 공급 조절
본 발명의 몇가지 측면에 따라, 기질의 미생물 발효의 총괄적 수율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기질을 실제로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을 향햐도록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CO를 함유하며 아세톤생산균과 같은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균에게 제공된다. 적절한 혐기성 조건 하에서, 클로스트리듐 오노에타노게눔, 클로스트리듐 륭달리, 클로스트리듐 락스달레이 및 클로스트리듐 카르복시디보란스와 같은 아세트산 생산균은 CO 함유 기질을 산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생성물로 전환시킨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배양체의 생존능 및 에탄올과 같은 바람직한 대사산물의 생산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을 향하여 또는 최적 수준 범위가 되도록 제공함으로써 기질, 특히 CO 함유 기질의 미생물 발효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미생물 배양체가 생성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질의 양을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 범위가 되도록 증가시키면 미생물 성장 속도, 대사산물의 성장 속도 및/또는 산(들)에 비해 알코올(들)의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생성물은 배양에 의해 산:알코올의 바람직한 생산 비율이 적어도 1:1; 또는 적어도 1:2; 또는 적어도 1:3; 또는 적어도 1:4; 또는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1:10; 또는 적어도 1:20의 비율로 생산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알코올(특히 에탄올)은 산(특히 아세트산)의 부수적 생산 없이 생산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미생물 배양체는 기질 흡수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기질 공급이 과다하면 성장 억제 및/또는 미생물 사멸과 같은 배양상의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다.
CO 함유 기질은 일반적으로 가스상 형태로 제공되며 미생물 배양체의 CO 이용능은 발효 시스템의 질량전달 특성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발효 브로쓰 중에 현탁된 미생물 배양체가 CO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능은 온도, 브로쓰 조성, 가스 공급속도, 가스 조성, CO 증기압, 혼합 등과 같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몇가지 인자에 의존한다. 따라서, 미생물 발효시 이용가능한 CO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기질 공급속도의 증가 및/또는 기계적으로 교반된 바이오리액터의 교반속도 증가와 같은, 장치의 질량전달 특성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배양체의 생존능, 미생물 성장 및/또는 알코올과 같은 소망되는 생성물의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배양체는 기질을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이 되도록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이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CO 공급이 부적절한 (준최적:sub-optimal) 미생물 배양체는 잘 성장하지 않고, 생존능도 낮으며 및/또는 산(들) 특히 아세테이트와 같이 덜 바람직한 생성물을 주로 생산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성장속도와 대사산물의 생산 속도 역시도 적정량 또는 최적량의 기질이 공급된 미생물 배양체에 비해 실제로 낮을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미생물 배양체는 기질 흡수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기질 공급이 과다하면 성장 억제 및/또는 미생물 사멸과 같은 배양상의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다.
미생물 배양체가 생성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질의 양을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 범위가 되도록 증가시키면 산(들)에 비해 알코올(들)의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알코올(특히 에탄올)은 산(특히 아세테이트)의 부수적 생산 없이 생산된다.
본 발명은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이 되도록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기질, 특히 CO 함유 기질을 공급하는 것을 조절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발효 배지의 pH를 일정 수준으로 또는 일정 범위로 또는 소정의 변화 속도로 유지시킴으로써, 기질을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제공한다.
미생물 배양체가 생성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질의 양을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 범위가 되도록 증가시키면 산(들)에 비해 알코올(들)의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미생물 배양체는 최적의 작업 동안 pH가 변화하도록 1종 이상의 산 및/또는 염기 성분을 생산하거나 소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기질은 pH 변화가 실제로 소정의 변화 속도로 변화하거나 또는 소정의 변화 속도가 되도록 변화하도록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유지가능한 미생물 성장 및 소망되는 대사산물의 생산은 경시적으로 pH의 순변화(net change)가 일어나도록, 1종 이상의 산 및/또는 염기의 생산 및/또는 소비와 연관될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과 같은 일산화탄소 영양미생물은 알코올(예컨대 에탄올)과 산(예컨대 아세테이트)을 동시에 생산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생성물은 배양체에 의해 산:알코올의 바람직한 생산 비율이 적어도 1:1; 또는 적어도 1:2; 또는 적어도 1:3; 또는 적어도 1:4; 또는 적어도 1:5; 또는 적어도 1:10; 또는 적어도 1:20의 비율이 되도록 생산된다. 뿐만 아니라, NH3과 같은 염기성 성분의 소비와 연관된 pH 변화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정상 상태의 연속 발효가 일어나는 동안, 일정한 pH를 유지하는데 적합한 pH를 갖는 신선한 배지를 지속적으로 첨가하거나 염기를 첨가하는 것을 통해 pH를 조절하지 않는 한, pH의 순감소(net decrease)가 일어날 것이다.
발효장치의 pH는 일반적으로 아세테이트 및/또는 락테이트와 같은 산 화합물의 생산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보다 덜하기는 하지만 NH3, 포스페이트등과 같은 염기성 또는 산성 화합물의 소비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pH 변화 속도는 산성/염기성 화합물의 이러한 생산 속도 및/또는 소비 속도에 의존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아세톤생산 미생물은 대사산물로서 아세테이트를 생산하며 이는 경시적인 pH 변화에 있어서 최대의 변화에 책임이 있는 것이다.
주어진 발효 장치에서, pH 변화 속도는 기질이 최적 속도로 공급될 경우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예컨대,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미생물의 배양체에 기질이 최적 수준 또는 최적 수준을 향해 제공되면, 에탄올과 아세테이트가 특정 속도로 생산될 수 있다. 발효 브로쓰의 pH는 아세테이트 존재량에 따라 달라지며 이보다 덜하기는 하나 NH3과 같은 다른 존재하는 산이나 염기 성분의 양에도 영향을 받는다. pH의 변화 속도는 발효 브로쓰의 완충능력과 개시시점의 pH에 의해 의존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예를 들어,잘 완충된 발효 브로쓰 중의 아세테이트 축적은 pH 변화를 작게 및/또는 느리게 유발할 것이다. 반대로, 실질적으로 완충된 발효 브로쓰 중의 아세테이트 축적은 pH 변화를 크게 및/또는 빠르게 유발할 것이다. 따라서, 최적 기질 공급시 pH의 변화 속도는 주어진 발효 장치에 예정된다.
또한 pH 변화가 작으면 발효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산 생산을 통한 pH 변화는 NH4OH와 같은 염기의 첨가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작동하는 발효 장치의 pH는 최적의 pH 작동 파라미터 내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의 최적 작동 pH는 실험적으로 약 5-5.5인 것으로 측정되어 왓다. 특정 구체예에서, 소망되는 범위는 최적 작동 pH의 ±0.5 유닛이다. 여러가지 일산화탄소 영양세균의 최적 작업 PH는 Henstra et al .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 2007, 18:200-206에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기질 공급의 제어는 여러가지 대체적인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것은 pH 변화 속도를 측정하거나, pH 변화를 저지하는데 필요한 산/염기의 양을 측정하거나 또는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는 아세테이트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정상상태 조건 하에서, 산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생산되어, 발효 브로쓰 내에서 실제로 일정한 농도가 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미생물에 의하여 기질을 1종 이상의 알코올(들) 및/또는 산(들)을 포함하는 생성물을 생산하도록 발효시킴에 있어서, 바이오리액터에 대한 CO 함유 기질의 공급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제1 시점과 제2 시점에서의 바이오리액터 중의 산 수준을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여기서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산 수준이 변화하면 변화가 기질 공급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산(아세테이트)의 수준이 경시적으로 증가하면, 산 생산을 둔화시켜 경시적으로 산을 소망하는 수준 또는 범위로 되돌리도록, 기질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산 수준이 감소하면, 기질 공급을 감소시켜, 산 생산을 촉진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아세테이트는 발효 브로쓰 1 L당 약 10g/L, 또는 약 9g/L, 또는 약 8g/L, 또는 약 7g/L, 약 6g/L, 또는 약 5g/L의 실제로 일정한 농도로 유지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아세테이트는 소정 농도 범위, 예컨대 발효 브로쓰 1 L 당 약 1-10g/L, 또는 약 2-8g/L, 또는 약 3-7g/L, 또는 약 4-6g/L의 농도 범위로 유지된다.
또한, 특정 구체예에서, 아세테이트와 같은 1종 이상의 산(들)의 생산 속도는 발효 브로쓰 중의 미생물 농도에 의존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특정 구체예에서, 아세테이트의 특이적 생산성은 2g/g 바이오매스/일 미만, 또는 1.5g/g/일 미만, 또는 1.2g/g/일 미만, 또는 1g/g/일 미만으로 유지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정 구체예에서, 알코올(특히 에탄올)은 산(특히 아세테이트)의 부수적인 생산 없이 생산된다. 따라서, 기질, 특히 CO 함유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제공되면, 배지 중의 산 농도(들)의 순변화는 일어나지 않고 배지의 pH는 실제로 일정하게 남아있다. 이러한 구체예에서는, pH의 변화속도는 약 0이다.
본 발명의 그 개시내용 전체가 병합된 Gaddy의 미국특허 7,285,402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생성물 비율은 부분적으로 배지 조성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소망되는 생성물 비율은 발효 장치마다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최적 수준의 기질 공급과 연계된 pH 변화 속도 역시도 변할 것이다.
만일 발효의 어떤 단계에서든 배양이 기질 제한적이 되면, 배양체는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들)을 생산하여 발효 브로쓰의 pH가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순 아세테이트 축적이 중단되어 pH가 안정화되도록 기질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별법으로, 만일 기질이 과잉공급되면, 아세테이트가 에탄올로 변환됨에 따라 산(들)의 순 소비가 일어나서 pH가 증가된다. 따라서, 산의 순소비가 중단되어 pH가 안정화되도록 기질 공급을 감소시켜야 한다. 장기간동안 기질이 과다공급되면 성장 억제 및/또는 미생물 사멸과 같은 배양상의 문제점이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pH가 소망되는 범위로 유지되도록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특정 발효를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pH 또는 pH 범위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특정 구체예에서, 예컨대 생성물을 생산하는데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이 이용되는 경우, 기질은 pH가 5-6 사이; 또는 5.1-5.9 사이; 또는 5.2-5.8 사이; 또는 5.3-5.7 사이; 또는 5.4-5.6 사이; 또는 실제로 5.5에서 유지되도록 제공된다.
pH는 공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발효시의 pH를 측정하는데는 일반적으로 전극 프로브가 이용되며 이러한 프로브의 예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음 조건 하에서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1. 제한된 기질(limited substrate):
배양체는 성장하는데 충분하고 생성물(주로 산(들))을 생산하는데 충분한 기질을 갖지만 소망되는 생성물(예컨대 알코올(들))은 충분한 양으로 생산하지 않는다. pH는 소장의 변화 속도보다 빠르게 저하된다. 따라서, 기질 공급을 최적 수준을 향해 증가시킨다.
2. 최적 기질 공급(optimal substrate supply)
배양체는 성장하는데 충분하고 생성물 특히 알코올(들)과 같은 소망되는 생성물을 고속으로(최적의 생산속도에서 또는 적어도 최적의 생산속도를 향해) 생산하는데 충분한 기질을 갖는다. pH는 소정의 변화 속도로 변화한다. 따라서, 기질 공급을 최적 수준으로 유지한다.
3. 기질의 과잉공급(oversupply of substrate)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들)이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로 변환된다. 성장 억제 및 미생물 사멸이 일어날 수 있다. pH는 소정의 변화 속도보다 느리게 저하되거나 또는 증가한다. 따라서, 최적 수준이 되도록 기질 공급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전술한) 시나리오 1의 미생물 배양의 경우에는 pH가 안정화하거나 소정 수준으로 복귀되도록 기질의 양을 증가시켜 공급하여야 한다. 이러한 배양은 시나리오 2에서와 같이 최적량의 기질이 공급되도록 고려한다. 뱃치 조건 하에서는, 배양체가 다시 제한적이 될 때까지 계속 성장할 것으로 고려되며, 성장하는 배양체에 경시적으로 기질 양을 증가시켜서, pH가 소정의 범위로 또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만일, 하시라도 기질이 과잉공급되면 (시나리오 3), pH가 증가하여 효과적인 성장 및 대사산물 생산이 재개되기에 최적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기질 공급을 감소시켜야 한다.
락테이트와 같은 다른 산성 대사산물은 특히 기질이 과잉광급되는 동안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구체예에서, 이 방법은 pH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더해서 발효 배지 중의 대사산물의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바효 배지 중의 대사산물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적절한 방법을 잘 알 것이다. 그러나, 예시적으로, GC, GCIR, GCMS, LCMS, HPLC, NIR과 같은 분석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측면에 따라, 기질의 미생물 발효의 총괄 효율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기질 공급을 실제로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이 되도록 또는 최적 범위내로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은 CO를 포함하며 아세톤생산균과 같은 1종 이상의 일산화탄소 영양균에게 제공된다. 적절한 혐기성 조건 하에서, 클로스트리듐 오노에타노게눔, 클로스트리듐 륭달리, 클로스트리듐 락스달레이 및 클로스트리듐 카르복시디보란스와 같은 아세트산 생산균은 CO 함유 기질을 산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생성물로 전환시킨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배양체의 생존능 및 에탄올과 같은 바람직한 대사산물의 생산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을 향하여 또는 최적 수준 범위가 되도록 제공함으로써 기질, 특히 CO 함유 기질의 미생물 발효를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CO 함유 가스는 H2를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으며, 예컨대, H2를 5% 미만, 또는 4% 미만, 또는 3% 미만, 또는 2% 미만, 또는 1% 미만 또는 0% 함유한다.
CO 함유 기질은 일반적으로 가스상 형태로 제공되며 미생물 배양체의 CO 이용능은 발효 시스템의 질량전달 특성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발효 브로쓰 중에 현탁된 미생물 배양체가 CO를 이용할 수 있는 이용능은 온도, 브로쓰 조성, 가스 공급속도, 가스 조성, CO 증기압, 혼합 등과 같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몇가지 인자에 의존한다. 따라서, 미생물 발효시 이용가능한 CO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기질 공급속도의 증가 및/또는 기계적으로 교반된 바이오리액터의 교반속도 증가와 같은, 장치의 질량전달 특성의 개선을 필요로 한다.
배양체의 생존능, 미생물 성장 및/또는 알코올과 같은 소망되는 생성물의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배양체는 기질을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이 되도록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이용할 수 있어야만 한다. CO 공급이 부적절한 (준최적:sub-optimal) 미생물 배양체는 잘 성장하지 않고, 생존능도 낮으며 및/또는 산(들) 특히 아세테이트와 같이 덜 바람직한 생성물을 주로 생산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성장속도와 대사산물의 생산 속도 역시도 적정량 또는 최적량의 기질이 공급된 미생물 배양체에 비해 실제로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질이 실제로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을 향하여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제공되도록 기질을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제공하도록, 기질, 특히 CO 함유 기질을 공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미생물 발효를 개선시키는 방법은 미생물 배양에 의한 수소 생산을 모니터링하여 수소 생산에 기초해서 기질 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이 최적량으로 (또는 기질이 최적 수준 범위로) 공급된 미생물 배양체는 성장하여, 알코올과 같은 소망되는 생성물을 최적 속도로 생산할 것이다. 소망되는 대사산물 생산 비율에 더해서, 미생물 배양체는 수소도 생산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소는 소량, 예컨대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소비되는 기질의 약 0.5-5 mol%의 양으로 생산된다. 특정 구체예에서, 수소의 생산량이 배양체에 의해 소비되는 기질의 약 1-3%로 유지될 때 미생물 배양체에 기질의 최적량이 제공된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음 조건 하에서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1. 제한된 기질:
배양체는 성장하는데 충분하고 생성물(주로 산(들))을 생산하는데 충분한 기질을 갖지만 소망되는 생성물(예컨대 알코올(들))은 충분한 양으로 생산하지 않는다. 수소는 무시할만한 양으로 생산되거나 전혀 생산되지 않는다.
2. 최적 기질 공급:
배양체는 성장하는데 충분하고 생성물 특히 알코올(들)과 같은 소망되는 생성물을 고속으로(최적의 생산속도에서 또는 적어도 최적의 생산속도를 향해) 생산하는데 충분한 기질을 갖는다. 수소가 생산된다.
3. 기질의 과잉공급
성장 억제 및 미생물 사멸이 일어날 수 있다. 수소가 생산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는 수소는 배양체에 실제로 최적량의 기질이 공급되고 있는지 또는 적어도 최적 수준 범위로 공급되고 있는지를 알려주는 표시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미생물 배양체에 의한 수소 생산은 미생물 배양체에 대한 기질 공급을 조절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소 생산이 관찰될 때까지 기질 제한 배양체에 대한 기질 공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소 생산 개시 후, 기질 공급을 조절하여 경시적으로 수소 생산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시나리오 1의 미생물 배양의 경우에는 수소가 배양체에 의해 생산될 때가지 기질의 양을 증가시켜 공급하여야 한다. 이러한 배양은 시나리오 2에서와 같이 최적량의 기질이 공급되도록 고려한다. 뱃치 조건 하에서는, 배양체가 다시 제한적이 될 때까지 계속 성장할 것으로 고려되며, 성장하는 배양체에 경시적으로 기질 양을 증가시켜서, H2 생산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만일, 하시라도 기질이 과잉공급되면 (시나리오 3), H2 생산이 중단되어 효과적인 성장 및 대사산물 생산이 재개되기에 최적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기질 공급을 감소시켜야 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시나리오 1과 3에서 소량의 수소가 생산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는 수소의 양은 배양체가 이용할 수 있는 기질의 양이 최적 수준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증가하거나 감소함에 따라, 증가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미생물 배양체가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을 포함하는 경우, 기질 제한 동안 CO의 비흡수율(specific CO uptake)는 일반적으로 1분에 바이오매스 1 그램 당 0.3-0.6 mmol의 CO가 소비되는 것이다 (mmol/g/분). 이러한 기질 제한 조건 하에서는,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을 함유하는 미생물 배양체는 H2를 전혀 또는 최소량으로 생산한다 (소비된 기질의 0.5 mol% 미만으로). 기질 이용능이 증가함에 따라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는 H2는 배양체에 의해 소비된 CO의 적어도 0.5mol%; 또는 적어도 1.0mol%; 또는 적어도 1.5mol%; 또는 적어도 2.0mol%로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배양체의 비흡수율은 약 0.6 mmol/g/분을 상회하도록 증가된다. 본 발명에 설명된 조건하에서, 클로스트리듐 오토에타노게눔을 함유하는 미생물 배양체는 비흡수율이 적어도 0.6 mmol/g/분으로, 그러나 1.2 mmol/g/분 미만으로 유지될 때 최적의 기질 공급을 갖는다. 비흡수율이 1.2 mmol/g/분을 초과하도록 증가하면, 기질이 과다공급되어 H2 생산이 감소하므로 기질 공급은 감소되어야 한다. 만일 기질 공급이 감소되지 않으면, 성장 억제 및 세포 사멸이 일어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장치 100의 대표적인 개략도이다. 기질 흐름 1은 적절한 도관 3을 통해 바이오리액터 2 내부로 유입된다. 기지리 흐름 1은 CO를 포함하며 특정 구체예에서는 기질 흐름이 강철의 탈탄(decarburisation)과 같은 산업공정으로부터의 폐가스 흐름이다. 기질 흐름 1은 일정하게 공급된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흐름일 수 있지만, 이 흐름의 양은 경시적으로 변할 수 있다.
바이오리액터 2는 원하는 발효 반응을 수행하여 생성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라, 바이오리액터 2는 CO를, 1 종 이상의 산 및/또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생성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바이오리액터 2는 하나 이상의 탱크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탱크는 하나 이상의 공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상이한 발효 반응들을 비롯한, 특정의 발효 공정 및/또는 상이한 반응들에서 동일한 반응 및/또는 상이한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산 및/또는 알코올과 같은, 바이오리액터 2에서 생성된 생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회수 공정을 통해 회수될 수 있다.
발효 배지의 pH는 pH 측정 수단 4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조정 수단 5를 이용하여 바이오리액터 2 및/또는 기질 흐름 1 중의 미생물 배양체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 해서, pH 변화에 응답하여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이 되도록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공급되도록, 미생물 배양체를 유지 또는 통과시킬 수 있다. 배양체에 제공되는 CO 수준을 조정하는 것은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의 방법에 의한다, 즉: 발효 브로쓰의 CO 농도를 변화시키거나; 기질 흐름의 조성을 변화시키거나; 기질 흐름의 압력을 변화시키거나; 발효 브로쓰의 교반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그것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별법으로, 장치 100은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범위 내로 미생물 배양체에 공급되도록, 발효 브로쓰의 pH를 조정하도록 설정된 임의의 프로세싱 수단 6과 조절 조정 수단 5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조정 수단 5는 필요하다면 연속적으로 조정하거나 또는 불연속적인 시점에서 조정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4는 바이오리액터 2 중의 아세테이트와 같은 산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측정 수단이다. 산의 농도가 소정의 역치보다 큰 것으로 측정되면, 조정 수단 5는 바이오리액터 2에 대한 기질 공급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바이오리액터 2 중의 산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여하한 측정 수단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예를 들자면, HPLC, GCMS, LCMS 및/또는 NIR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장치 100의 대표적인 개략도이다. 기질 흐름 1은 적절한 도고나 3을 통해 바이오리액터 2 내부로 유입된다. 기지리 흐름 1은 CO를 포함하며 특정 구체예에서는 기질 흐름이 강철의 탈탄(decarburisation)과 같은 산업공정으로부터의 폐가스 흐름이다. 기질 흐름 1은 일정하게 공급된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흐름일 수 있지만, 이 흐름의 양은 경시적으로 변할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기질 흐름은 H2를 거의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으며, 예컨대 H2를 5% 미만, 또는 4% 미만, 또는 3% 미만, 또는 2% 미만, 또는 1% 미만 또는 0% 함유한다.
바이오리액터 2는 원하는 발효 반응을 수행하여 생성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구체예에 따라, 바이오리액터 2는 CO를, 1 종 이상의 산 및/또는 알코올을 포함하는 생성물로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바이오리액터 2는 하나 이상의 탱크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탱크는 하나 이상의 공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 상이한 발효 반응들을 비롯한, 특정의 발효 공정 및/또는 상이한 반응들에서 동일한 반응 및/또는 상이한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산 및/또는 알코올과 같은, 바이오리액터 2에서 생성된 생성물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회수 공정을 통해 회수될 수 있다.
발효 반응에서 소비되지 않은 기질 흐름 성분들과 발효 반응의 모든 부산물, 예컨대 CO2 및 H2는 배출구 7을 통해 바이오리액터 2를 빠져나간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측정 수단 8은 배출구 4를 통해 바이오리액터 2를 빠져나가는 배출 흐름 중의 H2 및 임의로 CO 및 CO2 농도를 측정하도록 설정된다. 특정 구체예에서는, 미생물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는 수소의 양이 측정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조정 수단 9를 이용하여 바이오리액터 2 및/또는 기질 흐름 1 중의 미생물 배양체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으로 해서,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최적 수준이 되도록 또는 최적 수준 범위로 공급되도록, 미생물 배양체를 유지 또는 통과시킬 수 있다. 배양체를 유지 또는 통과시키기 위해 조정하는 것은 다음 중 한가지 이상의 방법에 의한다, 즉: 발효 브로쓰의 CO 농도를 변화시키거나; 기질 흐름의 조성을 변화시키거나; 기질 흐름의 압력을 변화시키거나; 발효 브로쓰의 교반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그것이다. 이에 더하여 또는 별법으로, 장치 101은 기질이 최적 수준으로 또는 최적 범위 내로 미생물 배양체에 공급되도록, 배출 흐름의 수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임의의 프로세싱 수단 6과 조정 수단 9를 포함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인 시점에서 바이오리액터 2로부터 방출되는 수소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면 조정 수단 9는 연속적으로 또는 불연속적적인 시점에서 조정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배양체에 의해 생산되는 수소를 측정하기 위한 모든 수단을 이용할 수 있으나, 특정 구체예에서는; 바이오리액터 2 및 임의로 기질 흐름 1로부터 빠져나오는 흐름의 H2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한가지 이상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한다. 한가지 구체에에서, 바이오리액터 2로부터 방출되는 흐름 중의 H2 농도를 측정하는 수단은 Varian CP-4900 마이크로 GC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