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55367A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5367A
KR20120055367A KR1020100117068A KR20100117068A KR20120055367A KR 20120055367 A KR20120055367 A KR 20120055367A KR 1020100117068 A KR1020100117068 A KR 1020100117068A KR 20100117068 A KR20100117068 A KR 20100117068A KR 20120055367 A KR20120055367 A KR 20120055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de pattern
primer layer
touch panel
patter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운천
문원하
오용수
이종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5367A/ko
Publication of KR20120055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367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투명기판(110),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120; primer layer), 프라이머층(120)에 개구부(135)를 갖도록 패터닝되어 형성된 투명전극패턴(130) 및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캐비티(115)에 매립되어 일면이 프라이머층(120)으로 도포되고, 투명전극패턴(13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140)을 포함하는 구성이며, 투명전극패턴(13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140)을 투명전극패턴(130)의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배치함하여 사용자가 투명전극패턴(130)을 인식할 수 없게 함으로써 터치패널(100)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는 컴퓨터가 발달함에 따라 컴퓨터의 보조 장치들도 함께 개발되고 있으며,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그 밖의 개인 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다양한 입력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따라 컴퓨터의 용도가 점점 확대되는 추세에 있는 바, 현재 입력장치 역할을 담당하는 키보드 및 마우스만으로는 효율적인 제품의 구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오조작이 적을 뿐 아니라, 누구라도 쉽게 정보입력이 가능한 기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입력장치에 관한 기술은 일반적 기능을 충족시키는 수준을 넘어서 고 신뢰성, 내구성, 혁신성, 설계 및 가공 관련기술 등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텍스트, 그래픽 등의 정보 입력이 가능한 입력장치로서 터치패널(Touch Panel)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터치패널은 전자수첩,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CRT(Cathode Ray Tube)와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도구이다.
한편, 터치패널의 종류는 저항막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방식(SAW Type; Surface Acoustic Wave Type) 및 인프라레드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다양한 방식의 터치패널은 신호 증폭의 문제, 해상도의 차이, 설계 및 가공 기술의 난이도,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기계적 특성, 내환경 특성, 입력 특성, 내구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전자제품에 채용되는데, 현재 가장 각광받고 있는 방식은 멀티터치(multi touch)가 가능한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과 디지털 저항막식 터치패널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과 디지털 저항막식 터치패널은 투명전극패턴이 고유한 색상을 갖기 때문에 투명전극패턴의 형상이 사용자에게 인식된다. 예를 들어, 투명전극패턴을 막대형으로 패터닝한 경우 사용자는 막대형상을 인식하게 되고, 투명전극패턴을 마름모형으로 패터닝한 경우 사용자는 마름모형상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터치패널은 투명전극패턴으로 인하여 화상표시장치에서 출력하는 화상이 방해를 받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을 투명전극패턴의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투명전극패턴을 인식할 수 없는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에 개구부를 갖도록 패터닝되어 형성된 투명전극패턴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캐비티에 매립되어 일면이 상기 프라이머층으로 도포되고,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더미패턴은 전도성 고분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프라이머층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과 상기 더미패턴의 일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프라이머층, 상기 제1 프라이머층에 형성된 제2 프라이머층, 상기 제2 프라이머층에 개구부를 갖도록 패터닝되어 형성된 투명전극패턴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프라이어층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라이머층으로 도포되고,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더미패턴은 전도성 고분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2 프라이머층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 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을 투명전극패턴의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배치하여 사용자가 투명전극패턴을 인식할 수 없게 함으로써 터치패널의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을 이용하므로 시인성 개선 효과를 극대화하면서도, 프라이머층으로 투명전극패턴과 더미패턴을 절연시킴으로써 투명전극패턴과 더미패턴 사이에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을 절단한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작한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치패널을 절단한 사시도; 및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작한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을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투명기판(110),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120; primer layer), 프라이머층(120)에 개구부(135)를 갖도록 패터닝되어 형성된 투명전극패턴(130) 및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캐비티(115)에 매립되어 일면이 프라이머층(120)으로 도포되고, 투명전극패턴(13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1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투명기판(110)은 투명전극패턴(130), 더미패턴(140)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투명기판(110)은 투명전극패턴(130)과 더미패턴(140)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력과 화상표시장치에서 제공하는 화상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술한 지지력과 투명성을 고려할 때, 투명기판(11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 TAC(Triacetylcellulose) 필름,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필름,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이축연신폴리스틸렌(K레진 함유 biaxially oriented PS; BOPS), 유리 또는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투명기판(110)의 일면에는 투명전극패턴(130)의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캐비티(115)가 음각으로 형성되고, 캐비티(115)에는 더미패턴(140)이 매립된다.
상기 프라이머층(120)은 투명기판(110)의 일면과 투명전극패턴(130)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투명전극패턴(130)과 더미패턴(140)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라이머층(120)은 캐비티(115)에 매립된 더미패턴(140)을 도포하도록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또한, 프라이머층(120)은 폴리오르가노 실록산, 유기 규소 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백금 화합물, 용제 등으로 구성된 프라이머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이때, 프라이머 조성물을 코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라비아 코팅(Gravure Printing), 바 코팅(Bar coating), 리버스 코팅(Reverse coating) 또는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패턴(130)은 입력수단이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서 터치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프라이머층(120)에 형성된다. 여기서, 투명전극패턴(130)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ITO(Indium Thin Oxide)뿐만 아니라 유연성이 뛰어나고 코팅 공정이 단순한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이하, 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투명전극패턴(130)은 스퍼터링(Sputtering), 증착(Evaporation) 등의 건식 공정 또는 딥 코팅(Dip coating), 스핀 코팅(Spin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등의 습식 공정을 이용하여 프라이머층(120)의 전면에 형성한 후, 레이저 공정이나 습식에칭 공정을 통해서 패터닝할 수 있다. 또는, 스크린 인쇄법(Screen Printing), 그라비아 인쇄법(Gravure Printing), 잉크젯 인쇄법(Inkjet Printing) 등의 다이렉트(direct) 패터닝 공정을 이용하여 프라이머층(120)에 투명전극패턴(130)을 직접 패터닝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투명전극패턴(130)은 개구부(135)를 갖도록 패터닝되는데, 도면상 투명전극패턴(130)은 막대형으로 패터닝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투명전극패턴(130)이 막대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름모형, 원형, 사각형 등 당업계의 공지된 모든 패턴으로 패터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투명전극패턴(130)은 고유의 색을 갖으므로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에는 색상 차이와 굴절률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투명전극패턴(130)을 PEDOT/PSS로 형성하는 경우, 투명전극패턴(130)이 푸른색을 띄어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에 색상 차이가 극심하게 발생하여 실용화가 어려웠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더미패턴(140)을 채용하여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의 색상 차이를 없앰으로써, PEDOT/PSS를 이용하여 투명전극패턴(130)을 형성하더라도 사용자가 투명전극패턴(130)을 인식할 수 없다. 더미패턴(140)을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배치하여,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의 색상 차이를 없애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투명전극패턴(130)의 테두리에는 투명전극패턴(13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 전극배선(150; 도 2 참조)이 인쇄된다. 여기서, 전극배선(150)의 재료로는 전기 전도도가 뛰어난 은 페이스트(Ag paste) 또는 유기은으로 조성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도성 고분자, 카본블랙(CNT포함), ITO와 같은 금속산화물이나 금속류 등 저저항(低抵抗) 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더미패턴(140)은 투명전극패턴(130)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터치패널(100)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더미패턴(140)은 투명전극패턴(130)과 동일한 물질(ITO(Indium Thin Oxide) 또는 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을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 등)로 형성하므로, 더미패턴(140)과 투명전극패턴(130)은 동일한 색상과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다. 따라서, 더미패턴(140)을 투명전극패턴(130)의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캐비티(115)에 매립시키면,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의 색생 차이 및 굴절률 차이를 없앨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전극패턴(130)을 PEDOT/PSS로 형성하여 푸른색을 띄는 경우, 더미패턴(140) 역시 PEDOT/PSS로 형성하므로 푸른색을 띄게 되고 투명전극패턴(130)과 굴절률도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더미패턴(140)을 투명전극패턴(130)의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므로,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의 색상 차이 및 굴절률 차이를 없앨 수 있은 것이다. 다만, 더미패턴(140)은 투명전극패턴(130)과 달리 입력수단의 터치좌표를 인식하는 역할을 하지 않으므로, 더미패턴(140)에는 전극배선(150)이 연결될 필요가 없다. 또한, 더미패턴(140)은 일면이 프라이머층(120)으로 도포되어 투명전극패턴(130)과 절연되므로, 투명전극패턴(130)과 단락(Short)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더미패턴(140)은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캐비티(115)에 매립되어 형성되므로, 투명기판(110)으로 삼면이 둘러싸여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더미패턴(140)으로 인하여 프라이머층(120)에 요철(凹凸)이 발생하지 않도록, 더미패턴(140)의 일면(프라이머층(120)에 도포된 면)과 투명기판(110)의 일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더미패턴(140)의 두께와 캐비티(115)의 두께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의 경우, 1층 구조의 투명전극패턴(130)을 이용하여 자기 정전용량방식(Self Capacitive Type) 터치패널 또는 상호 정전용량방식(Mutual Capacitive Type) 터치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작한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110)의 양면에 더미패턴(140)이 매립되고 프라이머층(120)과 투명전극패턴(130) 순으로 형성함으로써, 상호 정전용량방식(Mutual Capacitive Type) 터치패널(20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더미패턴(140)이 매립되고 프라이머층(120)과 투명전극패턴(130) 순으로 형성된 투명기판(110)을 2개 구비하여, 투명전극패턴(130)이 마주보도록 2개의 투명기판(110)을 접착층(160)으로 접착시킴으로써, 상호 정전용량방식(Mutual Capacitive Type) 터치패널(300; 도 4 참조) 또는 디지털 저항막방식(Digital Resistive Type) 터치패널(400; 도 5 참조)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정전용량방식(Mutual Capacitive Type) 터치패널(300; 도 4 참조)의 경우 마주보는 2개의 투명전극패턴(130)이 절연되도록 접착층(160)이 프라이머층(120)의 전면에 부착된다. 반면, 디지털 저항막방식(Digital Resistive Type) 터치패널(400; 도 5 참조)의 경우 입력수단의 압력이 작용하면 마주보는 2개의 투명전극패턴(130)이 접촉할 수 있도록 접착층(160)이 프라이머층(120)의 테두리에만 부착되어 에어갭(170; air-gap)이 구비되고, 입력수단의 압력이 제거되면 투명전극패턴(130)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작한 터치패널(200, 300, 400) 역시 투명전극패턴(130)의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캐비티(115)에 더미패턴(140)을 배치함으로써,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의 색상 차이 및 굴절률 차이를 없앨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치패널을 절단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500)은 투명기판(110),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프라이머층(123), 제1 프라이머층(123)에 형성된 제2 프라이머층(125), 제2 프라이머층(125)에 개구부(135)를 갖도록 패터닝되어 형성된 투명전극패턴(130) 및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제1 프라이어층에 형성되어 제2 프라이머층(125)으로 도포되고, 투명전극패턴(13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1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과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500)의 가장 큰 차이점은 더미패턴(140)의 형성 위치이다. 즉,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더미패턴(140)이 투명기판(110)에 매립되어 형성되는 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500)은 더미패턴(140)이 제1 프라이머층(123) 상에 형성되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하도록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투명기판(110)은 투명전극패턴(130), 더미패턴(140)이 형성될 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투명기판(110)의 일면에는 제1 프라이머층(123), 더미패턴(140), 제2 프라이머층(125), 투명전극패턴(130) 순으로 적층된다.
상기 제1 프라이머층(123)은 투명기판(110)의 일면과 더미패턴(140)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투명기판(110)의 일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프라이머층(125)은 투명전극패턴(130)과 더미패턴(140)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더미패턴(140)을 도포하도록 제1 프라이머층(123)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프라이머층(123)과 제2 프라이머층(125)은 폴리오르가노 실록산, 유기 규소 화합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 유기 주석 화합물, 백금 화합물, 용제 등으로 구성된 프라이머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상기 투명전극패턴(130)은 입력수단이 터치시 신호를 발생시켜 컨트롤러에서 터치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제2 프라이머층(125)에 형성된다. 여기서, 투명전극패턴(130)은 ITO(Indium Thin Oxide) 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이하, 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 등을 포함하는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극패턴(130)은 개구부(135)를 갖도록 패터닝되는데, 투명전극패턴(130)은 고유의 색을 갖으므로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에는 색상 차이와 굴절률 차이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500)은 후술할 더미패턴(140)을 채용하여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의 색상 차이와 굴절률 차이를 없앨 수 있다.
한편, 투명전극패턴(130)의 테두리에는 전극배선(150; 도 7 참조)이 인쇄되어 투명전극패턴(130)으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는다. 여기서, 전극배선(150)의 재료로는 은 페이스트(Ag paste) 또는 유기은으로 조성된 물질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더미패턴(140)은 투명전극패턴(130)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도록 하여 터치패널(500)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더미패턴(140)은 투명전극패턴(13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므로, 더미패턴(140)과 투명전극패턴(130)은 동일한 색상과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다. 따라서, 더미패턴(140)을 투명전극패턴(130)의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제1 프라이머층(123)에 형성하면,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의 색생 차이 및 굴절률 차이를 없앨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전극패턴(130)을 PEDOT/PSS로 형성하여 푸른색을 띄는 경우, 더미패턴(140) 역시 PEDOT/PSS로 형성하므로 푸른색을 띄게 되고 투명전극패턴(130)과 굴절률도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더미패턴(140)을 투명전극패턴(130)의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배치하므로,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의 색상 차이 및 굴절률 차이를 없앨 수 있은 것이다. 한편, 더미패턴(140)은 제2 프라이머층(125)으로 도포되어 투명전극패턴(130)과 절연되므로, 투명전극패턴(130)과 단락(Short)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더미패턴(140)은 제1 프라이머층(123) 상에 형성되므로 투명기판(110)과의 접착력이 강화되어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500)의 경우, 1층 구조의 투명전극패턴(130)을 이용하여 자기 정전용량방식(Self Capacitive Type) 터치패널 또는 상호 정전용량방식(Mutual Capacitive Type) 터치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외에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패널을 제작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작한 터치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판(110)의 양면에 제1 프라이머층(123), 더미패턴(140), 제2 프라이머층(125) 및 투명전극패턴(130) 순으로 형성함으로써, 상호 정전용량방식(Mutual Capacitive Type) 터치패널(60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제1 프라이머층(123), 더미패턴(140), 제2 프라이머층(125) 및 투명전극패턴(130) 순으로 형성된 투명기판(110)을 2개 구비하여, 투명전극패턴(130)이 마주보도록 2개의 투명기판(110)을 접착층(160)으로 접착시킴으로써, 상호 정전용량방식(Mutual Capacitive Type) 터치패널(700; 도 9 참조) 또는 디지털 저항막방식(Digital Resistive Type) 터치패널(800; 도 10 참조)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호 정전용량방식(Mutual Capacitive Type) 터치패널(700; 도 9 참조)의 경우 마주보는 2개의 투명전극패턴(130)이 절연되도록 접착층(160)이 제2 프라이머층(125)의 전면에 부착된다. 반면, 디지털 저항막방식(Digital Resistive Type) 터치패널(800; 도 10 참조)의 경우 입력수단의 압력이 작용하면 마주보는 2개의 투명전극패턴(130)이 접촉할 수 있도록 접착층(160)이 제2 프라이머층(125)의 테두리에만 부착되어 에어갭(170)이 구비되고, 입력수단의 압력이 제거되면 투명전극패턴(130)은 원위치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제작한 터치패널(600, 700, 800) 역시 투명전극패턴(130)의 개구부(135)에 대응하도록 더미패턴(140)을 배치함으로써, 투명전극패턴(130)과 개구부(135) 사이의 색상 차이 및 굴절률 차이를 없앨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패널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터치패널
110: 투명기판 115: 캐비티
120: 프라이머층 123: 제1 프라이머층
125: 제2 프라이머층 130: 투명전극패턴
135: 개구부 140: 더미패턴
150: 전극배선 160: 접착층
170: 에어갭

Claims (9)

  1.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
    상기 프라이머층에 개구부를 갖도록 패터닝되어 형성된 투명전극패턴;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캐비티에 매립되어 일면이 상기 프라이머층으로 도포되고,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더미패턴은 전도성 고분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프라이머층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과 상기 더미패턴의 일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6.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제1 프라이머층;
    상기 제1 프라이머층에 형성된 제2 프라이머층;
    상기 제2 프라이머층에 개구부를 갖도록 패터닝되어 형성된 투명전극패턴;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프라이어층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프라이머층으로 도포되고,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된 더미패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과 상기 더미패턴은 전도성 고분자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EDOT/PSS), 폴리아닐린, 폴리아세틸렌 또는 폴리페닐렌비닐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패턴과 상기 더미패턴은 상기 제2 프라이머층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KR1020100117068A 2010-11-23 2010-11-23 터치패널 Withdrawn KR20120055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068A KR20120055367A (ko) 2010-11-23 2010-11-23 터치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7068A KR20120055367A (ko) 2010-11-23 2010-11-23 터치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367A true KR20120055367A (ko) 2012-05-31

Family

ID=4627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068A Withdrawn KR20120055367A (ko) 2010-11-23 2010-11-23 터치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536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318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20150014242A (ko) * 2013-07-29 2015-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4635992A (zh) * 2015-03-11 2015-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显示装置
CN105739155A (zh) * 2016-04-29 2016-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和触控液晶显示面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9318A (ko) * 2013-07-16 2015-01-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20150014242A (ko) * 2013-07-29 2015-0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CN104635992A (zh) * 2015-03-11 2015-05-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显示装置
US9886114B2 (en) 2015-03-11 2018-02-06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5739155A (zh) * 2016-04-29 2016-07-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和触控液晶显示面板
CN105739155B (zh) * 2016-04-29 2019-03-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基板和触控液晶显示面板
US10295855B2 (en) 2016-04-29 2019-05-2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substrate and touch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2492B2 (ja) タッチパネル用透明導電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56866B1 (ko) 터치패널
KR101156782B1 (ko) 터치패널
KR101109382B1 (ko) 터치패널
KR101119355B1 (ko) 터치패널
KR20130075292A (ko) 터치스크린
KR20140047936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1210224A (ja) タッチパネル
KR20120035490A (ko) 디지털 저항막방식 터치패널
KR20130119763A (ko) 터치패널
JP2013134768A (ja) タッチパネルのセンシング電極パターン
KR20120066272A (ko) 터치스크린
KR101109312B1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2038285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91649A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8920A (ko) 터치패널
KR101077424B1 (ko)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15018532A (ja) タッチセンサ
KR20110121661A (ko) 터치패널
KR101156771B1 (ko) 전도성 투명기판의 제조방법
JP2011175612A (ja) タッチパネル
KR20120055367A (ko) 터치패널
KR20120027996A (ko) 정전용량방식의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6174A (ko) 터치패널
KR20120089133A (ko)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