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2038A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ng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2038A KR20120052038A KR1020100113480A KR20100113480A KR20120052038A KR 20120052038 A KR20120052038 A KR 20120052038A KR 1020100113480 A KR1020100113480 A KR 1020100113480A KR 20100113480 A KR20100113480 A KR 20100113480A KR 20120052038 A KR20120052038 A KR 201200520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
- upper plate
- light
- plate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19194 Arabidops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8100 Brassica rap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1292 Brassica rap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28527 Ceratopteris richard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4—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 A01G7/045—Electric or magnetic or acoustic treatment of plants for promoting growth with electric ligh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생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프레임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간격을 조절 할 수 있도록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하고, 생장중인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그 위에 올려 지지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며 빛을 하향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받침플레이트 사이의 화분수용공간을 감싸며 상기 조명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화분수용공간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식물 생장 장치는, 광원에 대한 식물의 이격거리가 쉽게 조절 가능하므로, 식물의 생장에 따른 크기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광량을 조사할 수 있고, 또한 반사시트로 감싸여 있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대부분이 식물에 전달되므로 소비전력 대비 광조사 효율이 높고, 다수의 광원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사량을 필요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으며, 화분의 흙에 꼽혀 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막대에 눈금자가 부착되어 식물의 생장에 따른 길이의 측정이 매우 간편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th apparatus. It comprises an upper plate which is horizontally supported on the frame; A support plate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so as to adjust a gap of the upper plate, and supporting a plant pot on which the growing plant is planted and supported thereon; An illumination unit mounted to the upper plate and irradiating downward light; A reflection sheet surrounding the pot receiving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unit to the pot receiving space; It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In the plant growth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lant to the light source can be easily adjusted, irrespective of the size change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it is always possible to irradiate a constant amount of light, and also to be wrapped in a reflective sheet Since most of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plant, the light irradiation efficiency is high compared to the power consumption. The ruler is attached to the supporting rod to measure the length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물 생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growth apparatus.
여러 가지 환경조건을 부여하여 해당 조건에서의 식물 생장에 관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된 식물 생장 장치에는, 초등학교의 과학교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간이형 장치로부터, 유전학, 분자생물학, 세포학, 식물생화학 등의 연구를 위한 대학이나 연구소 등에서 사용하는 고가의 연구 장치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Plant growth devices designed to give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experiments on plant growth under these conditions include genetics, molecular biology, cytology, and plants from simple classes that can be used in science classrooms or at home. It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ways from expensive research devices used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for biochemistry research.
상기한 연구소급 생장 장치는, 식물에 일정한 광량을 제공하고 온도와 습도를 정밀 제어함은 물론 식물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완벽히 차단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연구 소스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무겁고 부피가 크며 이동이 불편하고 특히 가격이 고가이므로, 학생들이 학습용도로 교실이나 가정에서 자유롭고 부담없이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laboratory-grade growth device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reliable research source by providing a constant amount of light to the plant, precisely controll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s well as completely blocking the plant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but it is heavy, bulky and mobile. This is inconvenient and especially expensive, the disadvantage is that students can not use freely in the classroom or at home for learning purposes.
한편,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식물 생장 장치는, 나무판자나 두꺼운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생장 장치는 판자나 종이 또는 플라스틱 박스의 내부 천장에 조명을 설치하고 상기 조명의 아래에 화분을 배치하는 구조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plant growth apparatuses currently sold on the market are those made of wooden boards, thick paper, or plastic. Such a growing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lighting is installed on an inner ceiling of a plank, paper or plastic box and a flower pot is placed under the lighting.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생장 장치는, 광원으로부터 식물에 조사되는 광량이 대부분 약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광량이 약할 경우 식물에 조사되는 빛이 충분치 않아 식물이 광합성을 제대로 할 수 없다.By the way, the conventional growth apparatus described above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amount of light irradiated to the plant from the light source is mostly weak. If the amount of light is weak, there is not enough light to be irradiated on the plant, so the plant cannot photosynthesize properly.
이에 더하여 종래 생장 장치는, 광원에 대한 식물의 위치 조절을 쉽게 할 수 없다는 문제도 갖는다. 가령 식물이 생장하여 키가 점차 커지면, 고정된 광원과 식물과의 간격이 점차 줄어들어 식물이 받게되는 광량이 증가하게 되는데, 종래의 생장 장치는 이러한 점이 고려되지 않아 식물이 생장할수록 식물에 점차 큰 광량이 조사된다. 즉 생장기간 동안 식물에 균일한 광량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rowth apparatus also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lant with respect to the light source. For example, as the plant grows and grows taller,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light source and the plant decreases gradually,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received by the plant. The conventional growth device does not take this into consideration. This is investigated. That is, it does not provide a uniform amount of light to the plant during the growth period.
또한 장치가 나무나 종이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므로 24시간 연속광을 제공하는 조건에서 광원인 전구가 과열될 경우 장치의 변형이나 화재의 위험성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vice is made of wood, paper or plastic, there is a risk of deformation or fire if the light bulb, which is a light source, is overheated under conditions that provide continuous light for 24 hours.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광원에 대한 식물의 이격거리가 쉽게 조절 가능하므로, 식물의 생장에 따른 높이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광량을 조사할 수 있고, 또한 반사시트로 감싸여 있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대부분이 식물에 전달되므로 소비전력 대비 광조사 효율이 높고, 다수의 광원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사량을 필요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으며, 화분의 흙에 꽂아 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막대에 눈금자가 부착되어 식물 생장 길이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식물 생장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distance of the plant to the light source can be easily adjusted, irrespective of the height change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can always irradiate a constant amount of light, and also wrapped with a reflective sheet Since mos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plant, the light irradiation efficiency is high compared to the power consumption, and multiple light sources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so that the amount of irradia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eed, and the plant is inserted into the soil of the pot to support the plan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growth apparatus that can easily measure the length of plant growth by attaching a ruler to the supporting r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 생장 장치는, 다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되, 상부플레이트에 대한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생장시킬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그 위에 올려 지지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며 빛을 하향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받침플레이트 사이의 화분수용공간을 감싸며 상기 조명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화분수용공간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lant growth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ame comprising a plurality of pillars; An upper plate horizontally supported on the frame; A support plate which is supported by the frame an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so as to allow adjustment of a gap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and supports a planter on which a plant to be grown is planted thereon; An illumination unit mounted to the upper plate and irradiating downward light; A reflection sheet surrounding the pot receiving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unit to the pot receiving space; It is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 생장 장치는, 전방으로 개방된 박스의 형태를 취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생장시킬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지지하는 판상부재로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부에 설치되며 빛을 하향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조명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t growth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asing taking the form of an open box forward; It is provided in the casing, the plate-like member for supporting the potted plant planted to grow, a support plate which is vertically adjustable in the casing;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at an inner upper side of the casing and irradiating light downwardly; A reflection sheet attached to an inner wall of the casing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아울러, 상기 조명부는,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의 형광등기구와, 상기 형광등기구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빛을 조사하는 백색, 황색, 청색, 적색, 녹색의 칼라형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igh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horizontally arranged fluorescent light fixtures, and white, yellow, blue, red, green color fluorescent light selectively fitted to the fluorescent light fixture to irradiate light.
또한, 상기 콘트롤러에는 상기 각 형광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fluorescent lamps are arranged.
또한, 상기 화분은; 물을 저장하는 아우터포트와, 식물이 식재된 흙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아우터포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하측부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인너포트와,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포트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빨아들여 인너포트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llen is; An outer port for storing water, an inner port for accommodating soil planted therein, the inner port formed inside the outer port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lower side thereof, and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at the outer 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supply unit for sucking the stored water to supply the inside of the inner pot.
또한, 상기 화분에는; 흙에 꽂혀 고정된 상태로 바인더에 의해 식물의 줄기와 결합하여 식물을 지지하고, 그 측부에는 식물의 키를 측정하는 눈금자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스케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tted pla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cale is attached to the stem of the plant by the binder in a fixed state and fixed to the soil, the sid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cale attached to the ruler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nt.
아울러, 상기 지지스케일의 상단부에는, 다른 지지스케일의 하단부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ca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fixed by fitting the lower end of the other support scale.
또한, 상기 식물은 속성배추(Rapid-cycling Brassica rap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pid-cycling Brassica rapa .
또한, 상기 식물은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nan)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t is Arabidopsis thalinan ).
또한, 상기 식물은 C-Fern(Ceratopteris richardii)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ant is C-Fern ( Ceratopteris richardii ).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식물 생장 장치는, 광원에 대한 식물의 이격거리가 쉽게 조절 가능하므로, 식물의 생장에 따른 크기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광량을 조사할 수 있고, 또한 반사시트로 감싸여 있기 때문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대부분이 식물에 전달되므로 소비전력 대비 광조사 효율이 높고, 다수의 광원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조사량을 필요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으며, 화분의 흙에 꽂혀 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막대에 눈금자가 부착되어 식물의 생장에 따른 길이의 측정이 매우 간편하다.In the plant growth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lant to the light source can be easily adjusted, irrespective of the size change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it is always possible to irradiate a constant amount of light, and also to be wrapped in a reflective sheet Since mos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plant, the light irradiation efficiency is high compared to the power consumption, and the multiple light sources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so that the amount of irradiat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need, and the plant is inserted into the soil of the pot to support the plant. The ruler is attached to the supporting rod to measure the length according to the growth of the pla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장치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생장 장치의 측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콘트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화분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4의 화분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지지스케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식물 생장 장치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excision of the plant growt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de structure of the growth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 1.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eparate pot shown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t shown in FIG. 4.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support sca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ot of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lant growt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ront view of the plant growth apparatus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식물 생장 장치는 학습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더 나아가 대규모 식물 속성 재배 용도로 응용될 수 도 있다.Basically, the plant growth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learning as well as further applications for large-scale plant property cultiv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장치를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생장 장치의 측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콘트롤러의 정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lant growt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side structure of the growth apparatus shown in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controller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장치는, 네 개의 기둥(23)을 포함하는 프레임(11)과, 상기 프레임(11)의 기둥(23) 상단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3)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3)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플레이트(27)와, 상기 받침플레이트(27)의 아래에 고정되는 하부플레이트(17)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3)의 저면에 설치되는 조명부(15)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3)와 하부플레이트(17)의 사이 공간을 둘러 감싸는 반사시트(25)와, 상기 조명부(15)를 제어하는 콘트롤러(33)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ant growth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상기 기둥(23)은 네 개가 하나의 세트로서,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부플레이트(13)와 하부플레이트(17)를 그 상하단부에 갖는다.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3,17)는 기둥(23)에 완전히 고정되어 기둥(23)의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수평의 지지력을 제공한다.The
또한 상기 기둥(23)에는 다수의 구멍(23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3a)은 기둥(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다. 상기 구멍(23a)에는 후술할 고정노브(29)의 볼트부(29a)가 결합된다. 상기 구멍(23a)은 받침플레이트(27)를 원하는 고도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받침플레이트(27)의 위치 조절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상부플레이트(13)는 기둥(23)의 상단부에 고정된 평판으로서 그 저면에 조명부(15)를 갖는다. 상기 조명부(15)는 다섯 개의 형광등기구(15a)와, 상기 각 형광등기구(15a)에 끼워지는 형광램프(15c)로 구성된다. 상기 형광램프(15c)는 공지의 T5형 형광등으로서, 백색, 황색, 청색, 적색, 녹색 중 선택된 칼라의 형광램프이다. The
상기 형광등기구(15a)는 상부플레이트(13)의 저면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며, 전력선(15b)을 통해 콘트롤러(33)에 연결된다. 상기 콘트롤러(33)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각 형광등기구(15a)에 공급한다. 특히 상기 각 형광등기구(15a)는 이웃 형광등기구(15a)와 접속되지 않고 콘트롤러(33)에 직결된다. 따라서 선택된 임의의 형광램프만 점등 또는 소등할 수 도 있고, 전체 형광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The
경우에 따라 각각의 형광등기구(15a)를 콘트롤러(33)에 독립적으로 직결시키기 않고, 다섯 개의 형광등기구(15a)를 직렬로 연결하고 하나의 형광등기구만 콘트롤러(33)에 접속시킬 수 도 있다.In some cases, five
상기 콘트롤러(33)는 받침플레이트(27)와 하부플레이트(17) 사이의 공간인 하부공간(21)에 수납된 상태로, 외부의 전력을 상기 형광등기구(15a)로 전달하는 전력분배의 역할을 한다.The
상기 콘트롤러(33)의 전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섯 개의 온오프스위치(33d)와, 메인스위치(33e)와, 온도표시창(33b)과, 습도표시창(33c)이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3, five on-
상기 온오프스위치(33d)는 상기한 각각의 형광등기구(15a)에 일대일 대응하며, 자신과 접속되어 있는 형광등기구(15a)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온오프스위치(33d)를 조작함에 의해 원하는 형광등기구(15a)로의 전력 공급을 결정할 수 있다.The on-off
또한 상기 메인스위치(33e)는 외부로부터 전력선(33a)을 통해 콘트롤러(33)로 공급되는 전력을 온오프 하기위한 스위치이다. 상기 메인스위치(33e)를 통해 조명부(15)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In addition, the
상기 온도표시창(33b)은 현재의 실온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창이다. 현재의 실내 온도를 알아내기 위하여 프레임의 내외부에 다수의 온도센서(미도시)가 배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온도센서는 감지한 온도정보를 콘트롤러(33)로 전달하여 콘트롤러(33)로 하여금 현재의 온도를 나타내 보이게 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습도표시창(33c)은 실내의 습도를 나타내는 표시창으로서, 프레임의 주변에 배치된 다수의 습도센서(미도시)로부터 콘트롤러(33)로 전달된 습도정보를 관찰자에게 나타내 보인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받침플레이트(27)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3)와 하부플레이트(17)의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평판으로서, 사각판 평태의 평판부(27a)와, 상기 평판부(27a)의 네 꼭짓점 부위에 형성된 홀더부(27b)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평판부(27a)의 상부는 화분(31)들이 위치하는 화분수용공간(19)이고, 평판부(27a) 아래는 상기 콘트롤러(33)가 수납되는 하부공간(21)이다. 상기 하부공간(21)에는 콘트롤러(33) 이외의 다른 필요한 장비나 기구 등을 비치할 수 있다.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홀더부(27b)는 수직의 파이프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로 상기 기둥(23)을 통과시킨다. 또한 상기 각 홀더부(27b)에는 고정노브(29)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노브(29)는 상기 홀더부(27b)를 통해 기둥(23)의 구멍(23a)에 끼워지는 볼트부(29a)와, 상기 볼트부(29a)를 축회전 시키는 손잡이부(29b)로 이루어진다. The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29b)를 돌려 볼트부(29a)를 (끼워져 있던) 구멍(23a)으로부터 빼낸 상태로 받침플레이트(27)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한 후, 상기 볼트부(29a)를 조절된 높이에서의 구멍(23a)에 삽입함으로써 받침플레이트(27)의 고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after turning the
이와 같이 받침플레이트(27)의 고도를 조절하는 것은, 상기 조명부(15)에 대한 식물(A)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식물(A)이 성장함에 따라 키가 커지면 식물(A)과 조명부(15)의 거리가 가까워져 조사 광량이 증가하므로, 받침플레이트(27)를 이를테면 한 단계씩 내려줘야 일정한 광조사가 구현된다.In this way, to adjust the altitude of the
한편, 상기 화분수용공간(19)과 하부공간(21)의 3면은 반사시트(25)에 의해 둘러 쌓여있다. 상기 반사시트(25)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시트형 부재로서 상기 형광램프(15c)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화분수용공간(19)의 내부로 집중시킨다. 하부공간(21)에도 반사시트(25)를 감은 것은 받침플레이트(27)를 하부로 이동시킬 것을 대비한 것이다. 상기 화분수용공간(19)을 감싸고 있는 반사시트(25)는 형광램프(15c)로부터 조사된 빛을 화분(31)측으로 반사하여 빛의 손실을 방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hree sides of the
경우에 따라 상기 반사시트(25)를 대신하는 광반사 능력을 갖는 다른 형태의 부재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In some cases, other types of members having a light reflecting ability instead of the
상기 평판부(27a)에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화분(31)에는 식물(A)이 심어져 있다. 상기 식물(A)은 화분의 흙으로부터 영양분과 물을 공급받음과 동시에 조명부(15)로부터 빛을 받아 생장한다. 또한 상기 식물(A)은 쓰러지지 않도록 바인더(도 4의 39)로 지지스케일(37)에 묶는다.Plants A are planted in a plurality of
특히 생장 관찰을 위한 식물 재료로서, 속성 생장을 하는 속성배추(Rapid-cycling Brassica rapa),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nan), C-Fern(Ceratopteris richardii)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In particular, as a plant material for observing growth, fast-cycling brassica rapa ), Arabidopsis thalinan ), C-Fern ( Ceratopteris richardii ) and the like.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화분을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화분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eparate pot shown in Figure 1,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t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화분(31)은, 얼마간의 물(W)이 수용되어 있는 아우터포트(pot)(31a)와, 상기 아우터포트(31a)의 내부에 앉혀지며 흙(31c)이 채워져 있고 하측부에 관통슬릿(31d)이 형성되어 있는 인너포트(31b)와, 상기 관통슬릿(31d)에 걸쳐지되 그 일부가 물(w)에 적셔지고 나머지 부분은 인너포트(31b)에 수용되어 있는 흡습지(35)를 구비한다.As shown, the
상기 관통슬릿(31d)은 물(w)의 수위보다 높이 위치하여 물이 관통슬릿(31d)을 통해 직접 들어갈 염려가 없다.The through
상기 흡습지(35)는 아우터포트(31a)에 공급되어 있는 물을 빨아들여 인너포트(31b)의 흙(31c)에 공급하는 수분공급부이다. 상기 흡습지(35)를 대신하여 헝겊을 적용할 수 도 있다.The
한편, 상기 흙(31c)에는 지지스케일(37)이 꽂혀 식물(A)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스케일(37)은, 흙(31c)에 그 하단의 묻힘부(37c)가 삽입된 상태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고정막대(37a)와, 상기 고정막대(37a)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눈금자(37b)로 이루어진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눈금자(37b)는 식물(A)의 키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하단부가 묻힘부(37c)의 바로 상부에 위치하여, 묻힘부(37c)를 흙(31c)에 삽입했을 때 흙의 토면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식물(A)을 지지하는 고정막대(37a)에 눈금자(37b)를 부착함으로써, 식물(A)의 키를 측정하기가 한결 간편하다.The ruler (37b) is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nt (A), the lower end thereof is located directly above the buried portion (37c), the soil surface when the buried portion (37c) is inserted into the soil (31c) Located in By attaching the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식물(A)은 바인더(39)에 의해 지지스케일(37)에 지지된다. 상기 지지스케일(37)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바인더(39)를 통해 식물(A)을 지지하여, 가령 식물이 중력의 영향으로 하부로 늘어지거나 옆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 4, the plant A is supported by the
도 6은 상기 도 4의 화분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지지스케일의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type of support scale that can be applied to the pot of FIG.
식물(A)의 키가 계속 자라 지지스케일(37)의 길이보다 길어지면, 더 이상 식물의 키를 측정할 수 없으므로, 지지스케일(37)을 수직으로 연장할 수 있다.If the height of the plant A continues to grow and become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이를 위해 상기 지지스케일(37)의 상단부에 결합홈(37d)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37d)은 다른 지지스케일(37)의 묻힘부(37c)가 끼워지는 홈으로서, 묻힘부(37c)를 그 내부에 고정하여 두 개의 지지스케일(37)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킨다.To this end, a
도 6에 도시한 지지스케일(37)은 도 5의 지지스케일(37)과 달리 원통의 형태를 취하지만, 흙에 꽂혀 식물(A)을 지지할 수 있는 한 지지스케일(37)의 세부 구성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Th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한 식물 생장 장치의 정면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plant growth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front view of the plant growth apparatus shown in FIG.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abov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식물 생장 장치는,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는 하부플레이트(17)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7)의 테두리부 중 3개의 테두리부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측벽부(45)와, 상기 측벽부(45)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13)와, 상기 측벽부(45)의 내향면에 부착되는 반사시트(25)와, 상기 측벽부(45)의 내향면에 수평으로 대향 배치되는 다수의 고정브라켓(43)과, 상기 고정브라켓(43) 중 선택된 고정브라켓(43에 지지되는 받침플레이트(27)를 포함한다. 도면부호 41은 생장 장치를 운반할 때 사용하는 손잡이이다. 상기 손잡이(41)에 의해 생장 장치를 매우 간편히 휴대할 수 있다.As shown, the plant growth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the
상기 상하부플레이트(13,17)와 측벽부(45)는 전방으로 개방된 케이싱(49)을 구성한다.The upper and
상기 받침플레이트(27)는 상하부플레이트(13,17) 사이의 공간을 화분수용공간(19)과 하부공간(21)으로 구획한다. 상기 화분수용공간(19)에는 식물(A)이 심어진 다수의 화분(31)이 놓여지며, 하부공간(21)에는 콘트롤러(33) 등이 수납된다. 상기 화분수용공간(19)에 배치된 식물은 형광램프(15c)에서 조사된 빛을 받아 생장한다.The
아울러 상기 식물의 생장 정도에 따라, 받침플레이트(27)를 다수의 고정브라켓(43) 중 적당한 높이의 고정브라켓(43)으로 옮겨 배치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27)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해서는, 받침플레이트(27)를 마치 서랍을 개방하듯이 외부로 당겨 빼내고 원하는 고도의 고정브라켓(43)에 맞춘 후 밀어 넣으면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growth of the plant, the supporting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through the specific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is possible for a person with ordinary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11:프레임 13:상부플레이트 15:조명부
15a:형광등기구 15b:전력선 15c:형광램프
17:하부플레이트 19:화분수용공간 21:하부공간
23:기둥 23a:구멍 25:반사시트
27:받침플레이트 27a:평판부 27b:홀더부
29:고정노브(knob) 29a:볼트부 29b:손잡이부
31:화분 31a:아우터포트 31b:인너포트
31c:흙 31d:관통슬릿 33:콘트롤러
33a:전력선 33b:온도표시창 33c:습도표시창
33d:온오프스위치 33e:메인스위치 35:흡습지
37:지지스케일 37a:고정막대 37b:눈금자
37c:묻힘부 37d:결합홈 39:바인더
41:손잡이 43:고정브라켓 45:측벽부
49:케이싱11: Frame 13: Top plate 15: Lighting
15a: fluorescent
17: lower plate 19: potted space 21: lower space
23:
27:
29:
31:
31c:
33a:
33d: on / off
37:
37c: buried
41: handle 43: fixing bracket 45: side wall
49: Casing
Claims (10)
상기 프레임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되, 상부플레이트에 대한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부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생장시킬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그 위에 올려 지지하는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장착되며 빛을 하향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받침플레이트 사이의 화분수용공간을 감싸며 상기 조명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화분수용공간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A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pillars;
An upper plate horizontally supported on the frame;
A support plate which is supported by the frame an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so as to allow adjustment of a gap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and supports a planter on which a plant to be grown is planted thereon;
An illumination unit mounted to the upper plate and irradiating downward light;
A reflection sheet surrounding the pot receiving sp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support plate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ing unit to the pot receiving space;
And a controller disposed under the support plate and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며, 생장시킬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지지하는 판상부재로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한 받침플레이트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부에 설치되며 빛을 하향 조사하는 조명부와;
상기 케이싱의 내벽면에 부착되어 상기 조명부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시트와;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A casing taking the form of a box opened forward;
It is provided in the casing, the plate-like member for supporting the potted plant planted to grow, a support plate which is vertically adjustable in the casing;
An illumination unit installed at an inner upper side of the casing and irradiating light downwardly;
A reflection sheet attached to an inner wall of the casing and reflecting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unit.
상기 조명부는,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의 형광등기구와, 상기 형광등기구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빛을 조사하는 백색, 황색, 청색, 적색, 녹색의 칼라형광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ighting unit,
And a plurality of fluorescent lamps arranged horizontally, and colored fluorescent lamps of white, yellow, blue, red, and green, which are selectively fitted to the fluorescent lamps and irradiate light.
상기 콘트롤러에는 상기 각 형광등기구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is a plant growt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is arranged to control the respective fluorescent lamps.
상기 화분은;
물을 저장하는 아우터포트와,
식물이 식재된 흙을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아우터포트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하측부에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는 인너포트와,
상기 관통구에 설치되어 상기 아우터포트에 저장되어 있는 물을 빨아들여 인너포트의 내부로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ollen is;
The outer port which saves water,
Inner pot to accommodate the planted soil, which is installed in the outer port and the through-hole is formed in the lower side thereof,
And a water supply unit installed at the through hole and sucking water stored in the outer port and supplying the water into the inner port.
상기 화분에는;
흙에 꽂혀 고정된 상태로 바인더에 의해 식물의 줄기와 결합하여 식물을 지지하고, 그 측부에는 식물의 키를 측정하는 눈금자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스케일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In the flowerpot;
The plant growth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scale is attached to the stem of the plant by a binder in a fixed state and fixed to the soil, the side is further provided with a support scale attached to the ruler for measuring the height of the plant.
상기 지지스케일의 상단부에는, 다른 지지스케일의 하단부를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scale, plant growth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to be fixed by fitting the lower end of the other support scale.
상기 식물은 속성배추(Rapid-cycling Brassica ra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ant is a fast growing plant (Rapid-cycling Brassica rapa )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t growth device.
상기 식물은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na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ant is Arabidopsis thalinan ) plant growth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식물은 C-Fern(Ceratopteris richardi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생장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plant is C-Fern ( Ceratopteris richardii ) plant growth apparatu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3480A KR101224217B1 (en) | 2010-11-15 | 2010-11-15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3480A KR101224217B1 (en) | 2010-11-15 | 2010-11-15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2038A true KR20120052038A (en) | 2012-05-23 |
KR101224217B1 KR101224217B1 (en) | 2013-01-21 |
Family
ID=46268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3480A KR101224217B1 (en) | 2010-11-15 | 2010-11-15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24217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4361B1 (en) * | 2013-09-10 | 2015-06-04 | 최경진 | Light source height adjuster device for Plant cultivation system |
JP2018061442A (en) * | 2016-10-11 | 2018-04-19 | 昭和電工株式会社 | Plant cultivation device |
WO2021002806A1 (en) * | 2019-07-03 | 2021-01-07 |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 Plant growth structure |
JP2021097686A (en) * | 2016-08-31 | 2021-07-0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reflection sheet |
CN114404813A (en) * | 2022-01-06 | 2022-04-29 | 罗忠祥 | Efficient weight loss system and its working method based on plant energy to reduce hung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8033B1 (en) * | 2014-03-06 | 2015-07-22 | 코오롱이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lant culture with reflection paths of sunlight |
US11959626B2 (en) * | 2021-08-12 | 2024-04-16 | Ganlian TONG | Shelf light for plant growth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264273B (en) * | 2002-04-22 | 2006-10-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Plant culture device for ship and its using method |
KR200309893Y1 (en) | 2003-01-24 | 2003-04-16 | 전정호 | water culture |
KR100866578B1 (en) * | 2007-05-30 | 2008-11-03 | 최광연 | Plant growers |
KR101040580B1 (en) * | 2008-09-19 | 2011-06-13 | 대한민국 | Raising Seedings of Multistage Apparatus |
-
2010
- 2010-11-15 KR KR1020100113480A patent/KR10122421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4361B1 (en) * | 2013-09-10 | 2015-06-04 | 최경진 | Light source height adjuster device for Plant cultivation system |
JP2021097686A (en) * | 2016-08-31 | 2021-07-0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reflection sheet |
JP2018061442A (en) * | 2016-10-11 | 2018-04-19 | 昭和電工株式会社 | Plant cultivation device |
WO2021002806A1 (en) * | 2019-07-03 | 2021-01-07 |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 Plant growth structure |
CN114404813A (en) * | 2022-01-06 | 2022-04-29 | 罗忠祥 | Efficient weight loss system and its working method based on plant energy to reduce hun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24217B1 (en) | 2013-0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4217B1 (en)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
US10219446B2 (en) | Plant growing apparatus | |
CN203788814U (en) | Multilayer shelf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s and plant cultivating system | |
KR101650057B1 (en) | Fish tank and LED lighting using plant cultivation device | |
JP5095348B2 (en) | Lighting equipment for plant cultivation | |
KR102176107B1 (en) | Device for cultivating plants | |
KR102696662B1 (en)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
KR102137860B1 (en) | The Device of the Multiple Vertical Planting Vegetation | |
JP6279362B2 (en) | Plant cultivation unit and plant cultivation facility | |
JP5218777B2 (en) | Rack for plant cultivation | |
KR20160065236A (en) | Indoor LED growing apparatus and tray | |
KR20190137201A (en) | Election type garden system | |
KR20180058334A (en) | Illumination apparatus for pot | |
KR101334723B1 (en) | Vegetation rope and apparatus for hydroponics using the same | |
JP2016041016A (en) | Plant cultivation unit and plant cultivation facility | |
CN204119857U (en) | Model plant growth management system | |
JP2012147749A (en) | Interior hydroponic culture apparatus | |
KR101427814B1 (en) | Water level measuring device of flower pot | |
KR101260430B1 (en) |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CN106332768A (en) | Efficient illumination cultivation device for gardens | |
JP2013051891A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 |
CN205455148U (en) | Microalgal culture system | |
TW201532511A (en) | Plant cultivation lamp | |
CN211458215U (en) | A breeding device is kept apart to small-size plant for plant quarantine | |
KR20090083079A (en) | Heating in the hou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2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