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673A -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1673A KR20120051673A KR1020127003133A KR20127003133A KR20120051673A KR 20120051673 A KR20120051673 A KR 20120051673A KR 1020127003133 A KR1020127003133 A KR 1020127003133A KR 20127003133 A KR20127003133 A KR 20127003133A KR 20120051673 A KR20120051673 A KR 201200516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s
- compound
- ratio
- less
- melt index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8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1 aluminum alkyl compound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30195733 hydrocarbon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4215 Carbon black (E152)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25000003545 alkoxy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8
- 125000000217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claims description 7
- 125000002496 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claims description 7
- 125000001495 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 0.000 claims description 6
- 125000004429 atom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
- 125000005842 heteroatom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6527 (C1-C5)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3
- 125000000008 (C1-C10) 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1949 solid cataly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150000005224 alkoxybenzene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1
- VLKZOEOYAKHREP-UHFFFAOYSA-N n-Hexane Chemical compound CCCCCC VLKZOEOYAKHRE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6
- 238000006116 polymeriz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TWRXJAOTZQYOKJ-UHFFFAOYSA-L Magne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8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1147 magnes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50000003609 titan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CRUILBNAQILVHZ-UHFFFAOYSA-N 1,2,3-trimethoxybenzene Chemical compound COC1=CC=CC(OC)=C1OC CRUILBNAQILV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GYPMBQZAVBFUIZ-UHFFFAOYSA-N 1,2-dimethoxy-4-methylbenze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OC GYPMBQZAVBFUI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ABDKAPXRBAPSQN-UHFFFAOYSA-N veratrole Chemical group COC1=CC=CC=C1OC ABDKAPXRBAPSQ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group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VOITXYVAKOUIBA-UHFFFAOYSA-N triethylaluminium Chemical compound CC[Al](CC)CC VOITXYVAKOUIB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MGWAVDBGNNKXQV-UHFFFAOYSA-N diisobutyl phthalate Chemical compound CC(C)COC(=O)C1=CC=CC=C1C(=O)OCC(C)C MGWAVDBGNNKXQ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430 hydrocarbon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PBKONEOXTCPAFI-UHFFFAOYSA-N 1,2,4-trichlorobenzene Chemical compound ClC1=CC=C(Cl)C(Cl)=C1 PBKONEOXTCPA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AGIQIOSHSMJYJP-UHFFFAOYSA-N 1,2,4-Trimethoxybenzene Chemical group COC1=CC=C(OC)C(OC)=C1 AGIQIOSHSMJYJ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MXFNCKPYCAIQW-UHFFFAOYSA-N 1,2-dimethoxy-3-methylbenze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C1OC WMXFNCKPYCAI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CIZTNZGSBSSRM-UHFFFAOYSA-N 3,4,5-Trimethoxytoluene Chemical compound COC1=CC(C)=CC(OC)=C1OC KCIZTNZGSBSSR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38 BE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MNFDUFMRHMDMM-UHFFFAOYSA-N N-Heptane Chemical compound CCCCCCC IMNFDUFMRHMD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YEMGPIYFIJGTP-UHFFFAOYSA-N O-methyleugenol Chemical compound COC1=CC=C(CC=C)C=C1OC ZYEMGPIYFIJG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trichloride Chemical group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840 aryl radical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753 cycloalk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38 eth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SHDDOUJBYECFT-UHFFFAOYSA-N mercury Chemical compound [Hg] QSHDDOUJBYECF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3 mercur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Natural products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08 n-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2
- JRZJOMJEPLMPRA-UHFFFAOYSA-N olefin Natural products CCCCCCCC=C JRZJOMJEPLMPR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65 solid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JDNKRIXUMDJCW-UHFFFAOYSA-J titanium tetrachloride Chemical compound Cl[Ti](Cl)(Cl)Cl XJDNKRIXUMDJCW-UHFFFAOYSA-J 0.000 description 2
- LFXVBWRMVZPLFK-UHFFFAOYSA-N trioctylalumane Chemical compound CCCCCCCC[Al](CCCCCCCC)CCCCCCCC LFXVBWRMVZPL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62 ultra low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66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GHKFGRVGAQYZNT-UHFFFAOYSA-N 1,2-dibutoxybenzene Chemical group CCCCOC1=CC=CC=C1OCCCC GHKFGRVGAQYZN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BJOFFUIJZDZBE-UHFFFAOYSA-N 1,2-diethoxy-4-methylbenzene Chemical compound CCOC1=CC=C(C)C=C1OCC ABJOFFUIJZDZB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ZYDOKBVZJLQCK-UHFFFAOYSA-N 1,2-diethoxybenzene Chemical group CCOC1=CC=CC=C1OCC QZYDOKBVZJLQ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UIKECLBCZBUCM-UHFFFAOYSA-N 1,2-dipropoxybenzene Chemical group CCCOC1=CC=CC=C1OCCC XUIKECLBCZBU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DPZNOMCNRMUKPS-PTQBSOBMSA-N 1,3-dimethoxybenzene Chemical group COC1=CC=CC(OC)=[13CH]1 DPZNOMCNRMUKPS-PTQBSOBMSA-N 0.000 description 1
- LIKMAJRDDDTEIG-UHFFFAOYSA-N 1-hexene Chemical compound CCCCC=C LIKMAJRDDDTEI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YRPWXOJBNGTMX-UHFFFAOYSA-N 2,3-dimethoxy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2C=C(OC)C(OC)=CC2=C1 XYRPWXOJBNGT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KYBYDHXWVHEJW-UHFFFAOYSA-N N-[1-oxo-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propan-2-yl]-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e-5-carboxamide Chemical compound O=C(C(C)NC(=O)C=1C=NC(=NC=1)NCC1=CC(=CC=C1)OC(F)(F)F)N1CC2=C(CC1)NN=N2 MKYBYDHXWVHEJ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8 Very-low-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083 X-ray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931 aliphat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group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378 aryl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3 batch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484 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C([H])([H])C([H])([H])C([H])([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993 di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98 elastomeric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3728 elastomeric ter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70 eth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685 gas phase polyme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27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820 ha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449 iso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76 keto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81 magnes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740 n-pen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123 n-prop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H])C([H])([H])* 0.000 description 1
- UFWIBTONFRDIAS-UHFFFAOYSA-N naphthalene-acid Natural products C1=CC=CC2=CC=CC=C21 UFWIBTONFRDIA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1624 naphth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048 polymerization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5 polymerization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GWHJZXXIDMPWGX-UHFFFAOYSA-N pseudo-cym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 GWHJZXXIDMPW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PZNOMCNRMUKPS-UHFFFAOYSA-N resorcinol dimethyl ether Natural products COC1=CC=CC(OC)=C1 DPZNOMCNRMUKP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1 soli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3 soli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98 spherical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3 spher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0/02—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2—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with an organo-aluminium compou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0/00—Hom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110/02—Ethe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a) 실질적으로 +4 산화 상태에 있는 Ti 원자, Mg, Cl 및 임의로는 OR 기 및 내부 공여체 (R 은 C1-C20 탄화수소기임) 를 포함하며, 여기서 OR/Ti 몰비가 0.35 이하이고, 내부 공여체/Ti 비는 1 미만인 고체 촉매 성분, (b)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 및 (c) 특정 화학식의 알콕시벤젠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촉매계의 존재 하에서 실시되는, F/E 비가 3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MWD 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본 발명은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에틸렌의 중합 방법 및 이의 올레핀 CH2=CHR (식 중, R 은 탄소수 1 내지 12 의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임) 과의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에서 사용된 촉매계에는 (a) Ti, Mg, 할로겐, 임의 특정량의 OR 기 및 전자 공여체. (b)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 및 특정 부류의 방향족 에테르가 포함된다.
MWD 는 유동학적 거동 및 이에 따른 가공성과 최종 기계적 특성이라는 양자 모두에서 영향을 미치는 에틸렌 중합체의 중요한 특징이다. 특히, 좁은 MWD 를 갖는 중합체는 제조 성형품의 변형 및 수축 문제가 최소화되는 점에서 필름 및 인젝션 몰딩에 적합하다. 에틸렌 중합체에 대한 분자량 분포의 너비는 일반적으로 용융 유동비 F/E [21.6 Kg 의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 지수 (용융 지수 F) 와 2.16 Kg 의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 지수 (용융 지수 E) 간의 비] 로 표시된다. 용융 지수의 측정은 190℃ 에서 ASTM D-1238 에 따라 실시된다.
좁은 MWD 를 갖는 에틸렌 (공)중합체 제조용 촉매는 유럽 특허 출원 EP-A-373999 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촉매는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에 지지되어 있는 티타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고체 촉매 성분, 알킬-Al 화합물 및 화학식 R'OR" 의 모노에테르로부터 선택된 전자 공여체 화합물 (외부 공여체) 을 포함한다. 좁은 MWD 측면에서 양호한 결과는, 오직 고체 성분이 또한 내부 전자 공여체 화합물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 을 포함할 때 수득된다. 촉매 활성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러한 후자의 특징은 공장 운용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그 생산 공장의 경쟁력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중합체를 고수율로 생산할 수 있는 촉매를 갖는 것이 대단히 바람직할 것이다.
JP 3476056 B2: 에틸렌 중합 방법으로, 이의 촉매계가 (A) Mg, Ti, OR 기 및 임의로는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촉매 성분, (B)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 및 (C) 지방족 디에테르 또는 방향족 모노 또는 폴리 에테르를 포함하는 포괄적 산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사용 제조법에 의해 고체 촉매 성분은 비교적 높은 양의 OR 기 및/또는 비교적 높은 양의 내부 공여체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 를 갖는다. 성분 (c) 로서, 실시예 1-4 에서는 1-알릴-3,4-디메톡시벤젠이 사용되었으며, 실시예 5 에서는 1,2,3-트리메톡시벤젠이 사용되었고, 실시예 6-8 에서는 3,4-디메톡시톨루엔이 사용되었다. MWD 의 폭은 기록하지 않았으나, 이는 촉매 활성에 부정적인 영향도 제공하는 내부 공여체 및 OR 기의 존재에 의해 크게 영향받는다.
USP 5,200,502 는 에틸렌/헥센 중합용 TiCl3 또는 VCl3 기재 촉매의 사용과 연관된 촉매 비활성화제로서 1,2-알콕시벤젠의 용도를 기술한다. 수득된 중합체 (표 III) 는 50 내지 70 범위의 용융 유동비 F/E 에 의해 명시된 바 넓은 분자량 분포를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특정 고체 촉매 성분 및 특정 외부 공여체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 촉매계를 제조 가능하다는 점을 이제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5 미만의 F/E 비가 특징적인 좁은 MWD 을 갖는 에틸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 여기서 F/E 는 ASTM D-1238 에 따라 190℃ 에서 21.6 Kg 의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 지수 (용융 지수 F) 와 2.16 Kg 의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 지수 (용융 지수 E) 간 비율이며, 상기 방법은, (a) 실질적으로 +4 산화 상태에 있는 Ti 원자, Mg, Cl 및 임의로는 OR 기 및 내부 공여체 (R 은 C1-C20 탄화수소기임) 를 포함하며, 여기서 OR/Ti 몰 비는 0.35 이하이고, 내부 공여체/Ti 비는 1 미만인 고체 촉매 성분, (b)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 및 (c) 외부 공여체로서의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을 접촉함으로써 수득된 생성물을 포함하는 촉매계의 존재하에서 실시된다:
[식 중,
R2 은 서로 상동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화학식 -OR1의 알콕시기로, R2 기들 중 둘 이상이 함께 연결되어 환을 형성할 수 있고; R1 은 원소의 주기율표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임, 단 R2 중 하나 이상이 -OR1 임].
일반적으로, 화학식 (I) 의 화합물 (c) 에서 두 -OR1 기가 서로 오르토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1,2-디알콕시벤젠, 2,3-알킬디알콕시벤젠 또는 3,4-알킬디알콕시벤젠이 바람직하다. 다른 R2 기들은 바람직하게 수소, C1-C5 알킬기 및 OR1 기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다른 R2 가 알콕시기 OR1 인 경우, 트리알콕시벤젠 유도체가 수득되고, 이 경우에 제 3 의 알콕시는 다른 두 알콕시 부근 (오르토) 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가장 가까운 알콕시기에 대해 메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R1 은 C1-C10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C5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선형 알킬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킬은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및 n-펜틸이다.
다른 R2 중 하나 이상이 C1-C5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인 경우, 알킬-알콕시벤젠이 수득된다. 바람직하게, R2 는 메틸 또는 에틸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R2 중 하나는 메틸이고, 나머지는 수소이다.
바람직한 하부부류 중 하나는 디알콕시톨루엔의 것으로, 이 부류 중에서 바람직한 구성원은 2,3-디메톡시톨루엔, 3,4-디메톡시톨루엔, 3,4-디에톡시톨루엔, 3,4,5 트리메톡시톨루엔이다.
R2 기들 중 둘 이상이 연결되어 환을 형성하는 경우, 다환 알콕시벤젠이 수득된다. 이들 중에서, C1-C10 탄화수소기로 임의 치환된 디- 또는 폴리알콕시 나프탈렌이 바람직하다.
모든 다른 R2 기들이 수소인 경우, R1 기는 C1-C5 알킬기, 바람직하게 메틸, 에틸 및 부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에서, 촉매 성분 (a) 는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 디클로라이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활성 형태인 마그네슘 디클로라이드인 마그네슘 클로라이드에 지지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Ti-할로겐 결합을 갖는 Ti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출원의 문맥에서 용어 마그네슘 클로라이드란 하나 이상의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결합을 갖는 마그네슘 화합물을 의미한다. 활성 형태의 마그네슘 디클로라이드는, 비활성 클로라이드의 스펙트럼에서 보이는 가장 강렬한 회절선 (2.56Å 거리의 격자) 이 강도면에서 감소되고, 2.95Å 의 격자 거리 (d) 에서 떨어지는 반사선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합쳐질 정도로 넓어지는 X-선 스펙트럼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합침이 완결되면 생성된 단일의 브로드 피크가 가장 강렬한 선의 각 보다 낮은 각으로 바뀐 강도 최고치를 갖는다.
본 출원 도처에 글귀 "실질적으로 +4 산화 상태에 있는 Ti 원자" 란, Ti 원자 중 95% 이상이 4 의 원자가를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원자가 상태가 4 미만인 Ti 원자의 함량은 0.1%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존재하지 않는다 (하기 기재된 적용법으로는 검출 불가능).
고체 촉매 성분 (a) 는 원칙적으로 에테르, 에스테르, 아민 및 케톤 중에서 선택된 전자 공여체 화합물 (내부 공여체) 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ED/Ti 비가 0.5 미만, 바람직하게는 0.3 미만이 되는 양 만으로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특히 유리하다고 밝혀냈다.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어느 정도의 함량으로도 포함하지 않는 촉매 성분 (A) 가 가장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티타늄 화합물은 할라이드 또는 화학식 TiXn(ORI)4-n (식 중, 3.65≤n≤4, X 는 할로겐, 바람직하게 염소, RI 는 C1-C10 탄화수소기임) 의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티타늄 화합물은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이다. 존재하는 경우, -ORI 기는 바람직하게 R1 이 메틸, 에틸, n-부틸 또는 이소프로필인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ORI 기의 존재는 티타늄 할로알콕시의 사용으로부터 직접 유래된 것일 수 있거나, 또는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와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기타 화합물간의 교환 반응 결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촉매에서, 70% 이상의 티타늄 원자,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티타늄 원자가 +4 원자가 상태이다.
제조 방법에 따르면, 최종 촉매 성분은 또한 알루미늄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Mg/Al 몰비는 1 내지 35, 바람직하게 3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 4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 4-16 범위일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Al 의 함량은 전형적으로 0.5%wt 초과, 바람직하게는 1%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3.5% 범위에 있다. 바람직하게, Al 의 함량은 Ti 의 함량보다 적다.
알루미늄은 화학식 AlClM2 (식 중, M 은 독립적으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OR1 기 또는 Cl 일 수 있음) 의 화합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할라이드는 알루미늄 클로라이드이다.
상술된 특징에 덧붙여, 고체 촉매 성분 (a) 는 수은 방법으로 측정된 다공성 PF 가 0.40 ㎤/g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g 초과, 통상 0.50-0.80 ㎤/g 범위일 수 있다. 총 다공성 PT 는 0.50-1.50 ㎤/g 범위, 특히 0.60 내지 1.20 ㎤/g 범위일 수 있고, 차이 (PT-PF) 는 0.10 초과, 바람직하게는 0.15-0.50 범위일 수 있다.
BET 방법에 의해 측정된 표면적은 바람직하게 80 미만, 특히 10 내지 70 m2/g 로 이루어진다. BET 방법에 의해 측정된 다공성은 일반적으로 0.10 내지 0.50, 바람직하게 0.10 내지 0.40 ㎤/g 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촉매 성분에서, 1 ㎛ 이하의 다공으로 인한 다공성과 관련하여 평균 다공 반지름 값은 650 내지 1200 Å 범위이다.
고체 성분의 입자는 실질적으로 구형의 형태를 갖추고 있고 평균 지름은 5 내지 150 ㎛, 바람직하게 20 내지 100 ㎛, 더욱 바람직하게 30 내지 90 ㎛ 이다. 실질적으로 구형 형태인 입자로서, 이는 큰 축과 작은 축간 비율이 1.5, 또는 그 미만, 바람직하게는 1.3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상술된 구형 성분의 제조에 적합한 방법은, 화합물 MgCl2.mRIIIOH (식 중, 0.3 ≤m≤1.7, RIII 은 탄소수 1 내지 12 의 알킬, 시클로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임) 을 화학식 Ti(ORI)nX4-n (식 중, n, y, X 및 RI 은 이미 정의된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님) 의 상기 티타늄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a) 를 포함한다.
상기 경우, MgCl2.mRIIIOH 은 Mg 디할라이드의 전구체를 나타낸다. 이들 종류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부가물과 비혼합성인 불활성 탄화수소의 존재 하에서 알코올 및 마그네슘 클로라이드를 혼합, 부가물의 용융 온도 (100-130℃) 에서 교반 조건 하 작동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이어서, 에멀젼을 신속히 켄칭 (quenching) 하여, 구형 입자 형태인 부가물의 고화를 야기한다. 이들 구형 부가물의 제조에 대한 대표적인 방법은 예를 들어 USP 4,469,648, USP 4,399,054, 및 WO98/44009 에 보고되어 있다. 구형화에 대한 또다른 이용가능한 방법은 예를 들어 USP 5,100,849 및 4,829,034 에 기술된 분무 냉각이다. 바람직한 최종 알코올 함량을 갖는 부가물은 직접 부가물 제조 동안에 선택된 함량의 알코올을 바로 이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그러나, 증가된 다공성을 갖는 부가물이 수득되는 경우, 먼저 MgCl2 1 몰 당 알코올 1.7 몰 초과인 부가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열 및/또는 화학적 탈알코올화 공정에 적용시키는 것이 편리하다. 열 탈알코올화 공정은 알코올 함량이 0.3 내지 1.7 범위의 값으로 감소될 때까지 50 내지 150℃ 를 포함하는 온도에서 질소 유동 내에서 실시된다. 이런 종류의 공정은 EP 395083 에 기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탈알코올화 부가물은, 반지름이 0.1 ㎛ 이하인 다공으로 인해 다공성 (수은법으로 측정) 이 0.15 내지 2.5 ㎤/g, 바람직하게 0.25 내지 1.5 ㎤/g 범위인 것을 특징지어진다.
단계 (a) 의 반응에서, 몰비 Ti/Mg 는 화학량론적 이상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비는 3 초과이다. 매우 과다한 티타늄 화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티타늄 화합물은 티타늄 테트라할라이드, 특히 TiCl4 이다. Ti 화합물과의 반응은 냉 TiCl4 (일반적으로는 0℃) 중 부가물을 현탁시킴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혼합물은 80-140℃ 이하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에서 0.5 내지 8 시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시간 동안 유지한다. 과잉의 티타늄 화합물은 여과 또는 침강 및 사이펀 이용에 의해 고온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변형 방법에 따르면, 단계 (a) 는 화학식 AlCl2M (식 중, M 은 독립적으로 이미 정의된 바와 같은 OR1 또는 염소일 수 있음) 의 알루미늄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 실시된다.
알루미늄 화합물, 바람직하게 AlCl3 이 Mg/Al 몰비가 1 내지 35, 바람직하게 3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 4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 4-16 범위일 수 있게 되도록 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된 촉매 성분 (B) 는 가능하게는 할로겐화된 Al-알킬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Al-트리알킬 화합물로 선택되는데 예를 들어, Al-트리메틸, Al-트리에틸, Al-트리-n-부틸, Al-트리이소부틸이 바람직하다. Al/Ti 비는 1 초과이고 일반적으로는 5 내지 800 으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성분들 (A)-(C) 는 반응기 내로 개별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데, 이 반응기 내에서는 중합 조건 하에서 이들의 활성을 이용할 수 있다. 0.1 내지 120 분 범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0 분 범위의 기간 동안 임의로는 소량의 올레핀의 존재하에서 상술된 성분들의 예비-접촉을 실시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비-접촉은 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의 범위의 온도에서 액체 희석제 중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촉매계는 주 중합 공정에서 직접 사용될 수 있거나, 다르게는 사전에 예비-중합될 수 있다. 예비-중합 단계는 통상 주 중합 공정이 기체 상으로 실시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예비중합은 임의의 올레핀 CH2=CHR (식 중, R 은 H 또는 C1-C10 탄화수소기임) 으로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에틸렌, 프로필렌 또는 이의 혼합물을 하나 이상의 α-올레핀과 예비-중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상기 혼합물은 20 몰% 이하의 α-올레핀을 포함하며, 이의 중합체의 양을 고체 성분 1 g 당 약 0.1 g 에서 고체 촉매 성분 1 g 당 최대 약 1000 g 까지 구성한다. 예비 중합 단계는 0 내지 80℃, 바람직하게 5 내지 70℃ 의 온도에서, 액체 또는 기체 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비-중합 단계는 지속 중합법 일부로서 일렬로 실시될 수 있거나 또는 회분 (batch) 법으로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촉매 성분 1 g 당 0.5 내지 20 g 범위의 중합체 양을 생성하도록 에틸렌을 이용한 본 발명의 촉매의 회분식 예비-중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예비-중합 촉매 성분은 또한 주 중합 단계에 사용되기 전에 티타늄 화합물로 추가 처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TiCl4 의 사용이 특히 바람직하다. Ti 화합물과의 반응은 임의로는 액체 희석제와의 혼합된 액체 Ti 화합물 중에서 예비중합된 촉매 성분을 현탁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혼합물은 60-120℃ 로 가열되고, 0.5-2 시간 동안 상기 온도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촉매는 액체- 와 기체-상 방법 모두로 임의 종류의 중합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소형의 입자 크기 (40 ㎛ 미만) 를 갖는 촉매는, 지속 교반 탱크 반응기 또는 루프 반응기에서 실시될 수 있는 불활성 매질 내 슬러리 중합에 특히 적합하다. 대형 입자 크기를 갖는 촉매는 교반 또는 유동층 기체-상 반응기에서 실시될 수 있는 기체-상 중합 방법에 특히 적합하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높은 중합 활성과 함께 F/E 비가 35 또는 그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상술된 에틸렌 동종- 및 공-중합체에 덧붙여, 본 발명의 촉매는 또한, 에틸렌으로부터 유래된 단위의 몰 함량이 80% 초과이고, 탄소수 3 내지 12 인 하나 이상의 α-올레핀과의 에틸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매우 낮은 밀도 및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0.920g/㎤ 미만 내지 0.880 g/㎤ 의 밀도를 갖는 VLDPE 및 ULDPE); 에틸렌으로부터 유래된 단위의 중량 함량이 약 30 내지 70% 인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및 적은 비율의 디엔과의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엘라스토머 삼원중합체 (terpolymer) 를 제조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을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추가 기술하기 위해 하기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특성화
하기의 방법에 따라 특징을 결정한다:
Ti
(적)
의 측정
0.5 g 의 분말 형태 샘플을 고체 CO2 의 존재하에서 100 ml 의 HCl 2.7M 중에서 용해한다. 이렇게 수득된 용액을 이어서 당량점의 지시자로서 NH4SCN (25% 수용액) 을 사용하여, 고체 CO2 의 존재 하에서 FeNH4(SO4)2?12H2O 0.1N 용액으로 부피적정시킨다. 소비된 적정제 부피를 바탕으로 하는 화학량론적 산출은 샘플 내 Ti3+ 의 중량 함량을 제공한다.
용융 지수:
용융 지수 (M.I.) 를 하기의 하중으로 ASTM D-1238 에 따라 190℃ 에서 측정한다:
2.16 Kg, MI E = MI2.16.
21.6 Kg, MI F = MI21.6.
5 Kg, MI P = MI5
비: F/E = MI F/MI E = MI21.6/MI2.16 를 이때 용융 유동비 (MFR) 로서 정의한다.
비: F/P = MI F/MI P = MI21.6/MI5 를 이때 용융 유동비 F/P 비로서 정의한다.
MWD.
분자량 분포를 또한 하기 조건으로 DIN 55672 에 준한 방법에 따라 실시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다:
용매: 1, 2, 4-트리클로로벤젠, 유동: 1 ml/min, 온도: 140℃, PE 표준을 이용한 보정 (calibration).
HDPE 중합 테스트를 위한 일반 절차 (A)
70 ℃ 에서 N2 스트림 하 탈기된 1.5 리터 스테인레스 스틸 오토클레이브에, 500 ml 의 무수 헥산, 기록된 양의 촉매 성분 및 0.17 g 의 트리에틸알루미늄 (TEA) 를 도입하였다. 화합물 (c) 의 몰 양은 몰 비 TEA/공여체가 10 이 되도록 한 양이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75℃ 로 가열하고, 그 후에 3 bar 의 H2 및 7 bar 의 에틸렌을 공급하였다. 중합은 2 시간 지속되었다. 에틸렌을 공급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종말에는, 반응기를 감압시키고 그에 따라 회수된 중합체를 진공 하 70 ℃ 에서 건조시켰다.
HDPE 중합 테스트를 위한 일반 절차 (B)
자석 교반기, 온도 및 압력 지침자, 헥산, 에틸렌 및 수소의 공급선이 장착된 4.5 리터 스테인레스-스틸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고, 60 분 동안 70℃ 에서 순수 질소를 플럭싱 (fluxing) 하여 정제하였다. 이어서, 7.7 ㎤ 의 10 wt/vol% TEA/헥산을 함유하는 1550 ㎤ 의 헥산 용액을 질소 유동 하 30℃ 의 온도에서 도입하였다. 별도의 200 ㎤ 둥근 바닥 유리병에, 50 ㎤ 의 무수 헥산, 1 ㎤ 의 10 wt/vol% TEA/헥산 용액, 소정량의 헥산 중 공여체 성분 용액 및 0.040÷0.070 g 의 고체 촉매를 연속해서 도입하였다. 공여체 첨가량은 첨가된 알루미늄 알킬의 총량에 대해 Al/공여체 몰비가 10 이 되게 하는 양이다. 이들을 함께 혼합하고 10 분 동안 실온에서 숙성하고 질소 유동 하에서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밀폐한 다음 온도를 85℃ 로 상승시키고, 수소 (3 bar 부분압) 및 에틸렌 (7.0 bar 부분압) 을 첨가하였다.
연속적인 교반 하에, 전체 압력을 85℃ 에서 120 분 동안 에틸렌을 공급함으로써 유지하였다. 종말에는, 반응기를 감압시키고, 온도를 30℃ 로 떨어뜨렸다. 회수된 중합체를 질소 유동 하 70℃ 에서 건조시켜 분석하였다.
실시예 1-5 및 비교예 1
고체 성분 (A) 의 제조
약 3 몰의 알코올을 함유하는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및 알코올 부가물을 USP 4,399,054 의 실시예 2 에 기술된 방법에 따르나, 10000 RPM 대신 2000 RPM 으로 작동하여 제조하였다. 부가물을 25% 의 중량 함량의 알코올에 도달할 때까지 50-150 ℃ 의 온도 범위에 걸쳐 질소 스트림 하에서 열 처리하였다.
질소로 퍼징된 2 L 4-목 둥근 플라스크에, 1 L 의 TiCl4 를 0℃ 에 도입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온도에서, 상기에서 기술된 대로 제조되고 25 %wt 의 에탄올을 함유하는 70 g 의 구형의 MgCl2/EtOH 부가물을 교반 하에 첨가하였다. 온도를 2 시간 내에 140 ℃ 로 상승시키고, 60 분 동안 유지하였다. 이어서, 교반을 중단하여, 고체 생성물이 가라앉게 하고, 상청액을 사이펀으로 제거했다. 고체 잔류물을 이어서 80℃ 에서 헵탄으로 1 회 세정하고 25℃ 에서 헥산으로 5 회 세정하고 진공하 30 ℃ 에서 건조시켜 분석하였다. 모든 티타늄 원자는 +4 산화 상태이며, OEt/Ti 몰비는 0.12 였다.
교반기가 제공된 260㎤ 유리 반응기에, 20℃ 의 351.5 ㎤ 의 헥산 및 교반하면서 7 g 의 상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촉매를 20℃ 에서 도입하였다.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헥산 중 5.6 ㎤ 의 트리-n-옥틸알루미늄 (TNOA) (약 370 g/l) 을 서서히 반응기에 도입하고 온도를 10℃ 에 이르게 했다. 10 분 교반 후, 10 g 의 프로필렌을 동일한 온도에서 반응기에 4 시간의 시간 동안 조심스럽게 도입하였다. 반응기 내 프로필렌의 소비를 모니터링하여, 촉매 1 g 당 중합체 1 g 의 이론적인 전환에 도달한 것으로 여겨졌을 때, 중합을 중단하였다. 이어서, 전체 내용물을 여과하고 헥산으로 20℃ 의 온도에서 3 회 세정하였다 (50 g/l). 건조 후 생성 예비-중합된 촉매 (a) 를 분석하여, 촉매 1 g 당 1.1 g 의 폴리프로필렌이 함유된다는 것을 알아냈다.
예비-중합된 고체 촉매 성분 (A) 를, 중합 결과와 함께 표 1 에 나타낸 유형의 화합물 (C) 을 이용하여 일반 절차 (A) 에 따라 에틸렌 중합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 6 및 비교예 2
WO2008/077770 의 실시예 16 에 기재된 바대로 제조된 고체 촉매 성분 (A) 를 중합 결과와 함께 표 1 에 나타낸 유형의 화합물 (C) 를 이용하여 일반 절차 (A) 에 따라 에틸렌 중합에서 이용하였다.
표 1
TMB =1,2,3-트리메톡시벤젠
DMB= 1,2-디메톡시벤젠
DEB= 1,2-디에톡시벤젠
DBB= 1,2-디부톡시벤젠
MEB= 1-메톡시,-2-에톡시-벤젠
DPB= 1,2-디프로폭시벤젠
실시예 7-14 및 비교예 3
구형 지지체의 제조 (부가물 MgCl
2
/EtOH)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및 알코올 부가물을 USP 4,399,054 의 실시예 2 에 기술된 방법에 따르나, 10000 RPM 대신에 2000 RPM 으로 작동시켜 제조하였다. 약 3 몰의 알코올 및 3.1%wt 의 H2O 를 함유하는 부가물은 평균 크기가 약 70 ㎛ 이었다.
부가물을 25% 의 알코올의 중량 함량에 도달될 때까지 50-150℃의 온도 범위에 걸쳐 질소 스트림 하에서 열 처리하였다. 질소로 퍼징된 1.5 L 반응 용기에, 1 L 의 TiCl4 을 25℃ 에서 도입하고, 0℃ 에서 냉각하였다. 이어서, 동일한 온도에서, 25 %wt 의 에탄올을 함유하고 상술된 바와 같이 제조된 100 g 의 구형 MgCl2/EtOH 부가물을 교반 하에서 첨가하였다.
온도를 130℃ 로 90 분 내에 상승시킨 다음 80℃ 로 감소시켰다. 온도를 80℃ 에서 유지하면서, 12.5 g 의 무수 AlCl3 를 교반 하 첨가하였다. 온도를 다시 40 분 내에 135℃ 로 증가시키고, 5 시간 동안 연속적 교반 하에 유지하였다. 이어서, 온도를 90℃ 로 내리고, 교반을 멈추어, 고체 생성물을 30 분 동안 가라앉히고, 상청액을 사이펀으로 제거했다. 그 후, 고체 잔류물을 60℃ 에서 헥산으로 7 회 세정한 다음 진공 하 30 ℃ 에서 건조하여 분석했다. 모든 티타늄 원자는 +4 산화 상태에 있으며, OEt/Ti 몰비는 0.15 였다.
고체 촉매 성분 (A) 를 중합 결과와 함께 표 2 에 나타낸 유형의 화합물 (C) 를 이용하여 일반 절차 (B) 에 따라 에틸렌 중합에서 사용하였다.
표 2
TMB = 1,2,3-트리메톡시벤젠
DMB= 1,2-디메톡시벤젠
1.3-DMB=1,3-디메톡시벤젠
1,2,4-TMB=1,2,4-트리메톡시벤젠
ADMB= 4-알릴, 1,2디메톡시벤젠
DMT= 2,3-디메톡시톨루엔
3.4-DMT= 3,4-디메톡시톨루엔
TMT=3,4,5-트리메톡시톨루엔
DMN=2,3-디메톡시나프탈렌
*) 중합에서, 3 bar 대신에 4 bar 의 수소를 이용했다.
Claims (11)
- F/E 비가 3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좁은 MWD 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으로서, 여기서 F/E 는 ASTM D-1238 에 따라 190℃ 에서 21.6 Kg 의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 지수 (용융 지수 F) 와 2.16 Kg 의 하중으로 측정된 용융 지수 (용융 지수 E) 간 비율이며, 상기 방법은, (a) 실질적으로 +4 산화 상태에 있는 Ti 원자, Mg, Cl 및 임의로는 OR 기 및 내부 공여체 (R 은 C1-C20 탄화수소기임) 를 포함하며, 여기서 OR/Ti 몰 비는 0.35 이하이고, 내부 공여체/Ti 비는 1 미만인 고체 촉매 성분, (b) 알루미늄 알킬 화합물 및 (c) 외부 공여체로서의 하기 화학식 (I) 의 화합물:
[식 중,
R2 은 서로 상동 또는 상이하고, 수소 원자 또는 원소 주기율표의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화학식 -OR1의 알콕시기로, R2 기들 중 둘 이상이 함께 연결되어 환을 형성할 수 있고; R1 은 서로 상동 또는 상이하고, 원소의 주기율표 13-17 족에 속하는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포함하는 C1-C20 탄화수소 라디칼임, 단 R2 중 하나 이상이 -OR1 임]
을 접촉함으로써 수득된 생성물을 포함하는 촉매계의 존재하에서 실시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의 화합물 (c) 에서, 2 개의 -OR1 기가 서로 오르토 위치에 있는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화합물 (c) 가 1,2-디알콕시벤젠, 2,3-알킬디알콕시벤젠 또는 3,4-알킬디알콕시벤젠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I) 의 화합물 (c) 에서, 다른 R2 기는 수소, C1-C5 알킬기 및 OR1 기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다른 R2 가 알콕시기 OR1 인 방법.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 (c) 에서 R1 이 C1-C10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R1 이 C1-C5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다른 R2 이 C1-C5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인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R2 이 메틸 또는 에틸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 제 9 항에 있어서, R2 중 하나가 메틸이고, 나머지는 수소인 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 다른 R2 기 중 둘 이상이 연결되어 환을 형성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09167346.7 | 2009-08-06 | ||
EP09167346 | 2009-08-06 | ||
US27414409P | 2009-08-13 | 2009-08-13 | |
US61/274,144 | 2009-08-1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1673A true KR20120051673A (ko) | 2012-05-22 |
Family
ID=43543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3133A KR20120051673A (ko) | 2009-08-06 | 2010-08-02 |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130031A1 (ko) |
EP (1) | EP2462171A1 (ko) |
JP (1) | JP2013501115A (ko) |
KR (1) | KR20120051673A (ko) |
CN (1) | CN102471402A (ko) |
BR (1) | BR112012002506A2 (ko) |
RU (1) | RU2012108226A (ko) |
WO (1) | WO2011015553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0436A (ko) | 2017-11-03 | 2019-05-13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고밀도 폴리올레핀의 중합용 촉매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20190052864A (ko) | 2017-11-09 | 2019-05-17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용 촉매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607387A1 (en) | 2011-12-23 | 2013-06-26 |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 Pre-polymerized catalyst componen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EP2607386A1 (en) | 2011-12-23 | 2013-06-26 |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 Pre-polymerized catalyst componen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BR102013007969A2 (pt) | 2013-04-03 | 2014-11-11 | Isp Do Brasil Ltda | Composições cosméticas e uso de ciclodextrina |
EP2816062A1 (en) | 2013-06-18 | 2014-12-24 |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 Pre-polymerized catalyst componen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EA034572B1 (ru) | 2014-09-23 | 2020-02-21 | Сабик Глоубл Текнолоджиз Б.В. | Непрерывны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верхвысокомолекулярного полиэтилена |
CN117015558A (zh) | 2021-04-06 | 2023-11-07 | 巴塞尔聚烯烃意大利有限公司 | 用于烯烃聚合的预聚合的催化剂组分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1096661B (it) | 1978-06-13 | 1985-08-26 | Montedison Spa |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in forma sferoidale solidi a temperatura ambiente |
IT1098272B (it) | 1978-08-22 | 1985-09-07 | Montedison Spa | Componenti,di catalizzator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elle alfa-olefine |
US4326988A (en) * | 1980-08-12 | 1982-04-27 | Phillips Petroleum Company | Catalyst, method of producing the catalyst, and polymerization process employing the catalyst |
FI80055C (fi) | 1986-06-09 | 1990-04-10 | Neste Oy |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katalytkomponenter foer polymerisation av olefiner. |
FR2640273B1 (fr) | 1988-12-14 | 1992-09-04 | Atochem | Procede de polymerisation en phase gazeuse de l'ethylene permettant la fabrication de polyethylene lineaire de distribution etroite de masse moleculaire |
IT1230134B (it) | 1989-04-28 | 1991-10-14 | Himont Inc | Componenti e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i olefine. |
JP2879347B2 (ja) | 1989-10-02 | 1999-04-05 | チッソ株式会社 | オレフィン重合用触媒の製法 |
US5200502A (en) | 1992-08-26 | 1993-04-06 |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 Deactivator reagent for olefin polymerization catalysts |
TW302375B (ko) * | 1992-10-05 | 1997-04-11 | Mitsui Petroleum Chemicals Ind | |
ATE259832T1 (de) | 1997-03-29 | 2004-03-15 | Basell Poliolefine Spa | Magnesiumdihalogenid/alkohol adduk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damit hergestellte katalysatorbestandteile |
US6124507A (en) * | 1997-12-10 | 2000-09-26 |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Corporation | Electron donors |
JP3476056B2 (ja) | 1998-02-16 | 2003-12-10 |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 ポリエチレン系重合体 |
IT1301990B1 (it) * | 1998-08-03 | 2000-07-20 | Licio Zambon | Catalizzatori per la polimerizzazione delle olefine. |
EP1518866A1 (en) * | 2003-09-29 | 2005-03-30 |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orous ethylene polymers |
US20090143549A1 (en) * | 2005-03-11 | 2009-06-04 |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 Catalyst Componen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WO2008077770A1 (en) * | 2006-12-22 | 2008-07-03 |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 Catalyst componen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and catalysts therefrom obtained |
JP2010537027A (ja) * | 2007-08-29 | 2010-12-02 |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 オレフィンの重合用の触媒 |
JP2010537028A (ja) * | 2007-08-29 | 2010-12-02 | バーゼル・ポリオレフィン・イタリア・ソチエタ・ア・レスポンサビリタ・リミタータ | オレフィンの重合用の触媒 |
-
2010
- 2010-08-02 KR KR1020127003133A patent/KR2012005167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8-02 JP JP2012523309A patent/JP2013501115A/ja not_active Withdrawn
- 2010-08-02 WO PCT/EP2010/061212 patent/WO201101555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8-02 EP EP10739614A patent/EP2462171A1/en not_active Ceased
- 2010-08-02 US US13/387,106 patent/US2012013003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0-08-02 BR BR112012002506A patent/BR112012002506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08-02 CN CN2010800357502A patent/CN102471402A/zh active Pending
- 2010-08-02 RU RU2012108226/04A patent/RU2012108226A/ru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0436A (ko) | 2017-11-03 | 2019-05-13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고밀도 폴리올레핀의 중합용 촉매 조성물의 제조방법 |
KR20190052864A (ko) | 2017-11-09 | 2019-05-17 |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합용 촉매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20130031A1 (en) | 2012-05-24 |
RU2012108226A (ru) | 2013-09-20 |
JP2013501115A (ja) | 2013-01-10 |
CN102471402A (zh) | 2012-05-23 |
EP2462171A1 (en) | 2012-06-13 |
BR112012002506A2 (pt) | 2016-03-08 |
WO2011015553A1 (en) | 2011-0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51673A (ko) |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에틸렌 중합체의 제조 방법 | |
KR101600341B1 (ko) | 올레핀의 중합용 촉매계 | |
WO2009027270A1 (en) | Catalyst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
KR20120120178A (ko) | 이염화마그네슘-물 부가물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촉매 성분 | |
US20090054608A1 (en) | Process for Preparing Crystalline Ethylene (Co) Polymers | |
WO2009098198A1 (en) | Catalyst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
EP2183288A1 (en) | Catalyst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
US7879959B2 (en) | Catalyst components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
WO2009112399A1 (en) | Catalyst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
JP2012514056A (ja) | オレフィン類の重合用触媒成分及びそれから得られた触媒 | |
KR20070118143A (ko) | 올레핀 중합용 촉매 성분 | |
US20100210798A1 (en) | Catalyst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
EP2440587A1 (en) | Catalyst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
KR20120031175A (ko) | 올레핀 중합용 촉매 성분 및 그로부터 수득된 촉매 | |
US20100324241A1 (en) | Catalyst for the polymerization of olefi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