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1454A - Fuel vapor treat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uel vapor treat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51454A KR20120051454A KR1020100112897A KR20100112897A KR20120051454A KR 20120051454 A KR20120051454 A KR 20120051454A KR 1020100112897 A KR1020100112897 A KR 1020100112897A KR 20100112897 A KR20100112897 A KR 20100112897A KR 20120051454 A KR20120051454 A KR 201200514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fuel
- engine
- evaporation gas
- shutoff val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025/0845—Electromagnetic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1)와; 상기 연료탱크(1)에서 발생된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 캐니스터(3)와; 상기 연료탱크(1)와 상기 캐니스터(3) 사이를 연결하는 증기관로(5)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차단밸브(7)와; 상기 캐니스터(3)에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관(9)으로 퍼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PCSV(11)와; 상기 차단밸브(7) 및 PCSV(11)를 제어하도록 구비된 컨트롤러(1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중 다른 동력원에 의해 엔진이 멈춰져 있는 시간이 존재하는 차량에서, 연료탱크를 밀폐함으로써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연료증발가스가 캐니스터의 포집량을 초과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연료증발가스를 엔진으로 퍼지하거나 주유를 하는 등 필요한 경우에는 연료탱크의 압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주유 및 필요 상황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uel tank (1); A canister (3) provided to collect fuel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fuel tank (1); A shutoff valve (7)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steam pipe (5) connecting the fuel tank (1) and the canister (3); A PCSV (11) provided to purge the fuel evaporation gas collected in the canister (3) to the intake pipe (9) of the engine; Including the controller 13 provided to control the shut-off valve 7 and the PCSV 11, there is a time that the engine is stopped by other power sourc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such as a hybrid vehicle or a plug-in hybrid vehicle, etc. In a vehicle, the fuel tank is sealed to prevent the fuel evaporation gas of the fuel supplied to the engine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in excess of the canister collection amount, and if necessary, such as purging the fuel evaporation gas into the engine or refueling the fuel. By relieving the pressure of the tank,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fuel and respond to the necessary situ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등에 탑재된 연료장치에서 발생되는 연료증발가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evaporation gas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processing fuel evaporation gas generated from a fuel device mounted on a hybrid vehicle or a plug-in hybrid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차량의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증발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므로, 연료탱크에서 발생된 연료증발가스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적절히 처리되어야 한다.
When the fuel stored in the fuel tank of the vehicle evaporates and is released into the air, the environment is contaminated. Therefore, the fuel evaporation gas generated from the fuel tank must be properly disposed so as not to leak to the outside.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에서는 연료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캐니스터에 포집하였다가, 엔진의 작동중에 PCSV(Perge Control Solenoid Valve)로 엔진의 흡기측으로 퍼지하여 엔진 내에서 연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In a conventional general vehicle, boil-off gas generated from a fuel tank is collected in a canister, and purged in the engine by purging to the intake side of the engine by a PCSV (Perge Control Solenoid Valve) during operation of the engine.
그런데, 최근은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등의 경우에는, 차량의 주행이 엔진은 정지한 상태에서 모터만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므로, 기온이 높은 경우 등에는 연료탱크에서 과다한 연료증발가스가 발생하여 캐니스터의 포집 용량 초과로 대기중으로 방출될 염려가 높아진다.However, in recent years, in the case of a hybrid vehicle or a plug-in hybrid vehicle, driving of the vehicle is often performed only by the motor while the engine is stopped. Therefore, excessive fuel evaporation gas is generated in the fuel tank when the temperature is high. This increases the risk of release into the atmosphere above the canister's capture capacit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중 다른 동력원에 의해 엔진이 멈춰져 있는 시간이 존재하는 차량에서, 연료탱크를 밀폐함으로써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연료증발가스가 캐니스터의 포집량을 초과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a vehicle in which the engine is stopped by another power sourc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such as a hybrid vehicle or a plug-in hybrid vehicle, the fuel tank is sealed by the engin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evaporation gas treat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for preventing the fuel evaporation gas of the supplied fuel from being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in excess of the collection amount of the canist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는The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연료탱크와;A fuel tank;
상기 연료탱크에서 발생된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 캐니스터와;A canister provided to collect fuel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fuel tank;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캐니스터 사이를 연결하는 증기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차단밸브와;A shutoff valv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steam pipe connecting the fuel tank and the canister;
상기 캐니스터에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관으로 퍼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PCSV와;A PCSV provided to purge the fuel evaporation gas collected in the canister to the intake pipe of the engine;
상기 차단밸브 및 PCSV를 제어하도록 구비된 컨트롤러;A controller provided to control the shutoff valve and the PCSV;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제어방법은 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엔진이 작동중인지를 판단하는 엔진작동판단단계와;An engine operat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ngine is in operation;
엔진이 작동중이 아니거나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 압력이 소정압력 미만이라면 상기 차단밸브를 닫는 차단단계와;A shutoff step of closing the shutoff valve if the engine is not operating or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tank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엔진이 작동중이고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기 소정압력 이상이면 상기 차단밸브를 개방하는 개방단계;An opening step of opening the shutoff valve when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tan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control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제어방법은In addition, the control method of the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량에 주유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조건에 의하여 상기 컨트롤러를 웨이크업시키는 웨이크업단계와;A wakeup step of waking up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 condition in which a fueling situation may occur in a vehicle;
주유 요청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요청판단단계와;A reque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fueling request signal;
주유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 주유가 가능한 조건인지 판단하는 주유가능판단단계와;A fueling possible judg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iling is possible when there is a fueling request signal;
주유 요청 신호가 있고 주유가 가능한 조건이면, 상기 차단밸브를 개방하는 밸브개방단계;A valve opening step of opening the shutoff valve when the fueling request signal is present and fueling is possible;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등과 같이 차량의 주행중 다른 동력원에 의해 엔진이 멈춰져 있는 시간이 존재하는 차량에서, 연료탱크를 밀폐함으로써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연료증발가스가 캐니스터의 포집량을 초과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연료증발가스를 엔진으로 퍼지하거나 주유를 하는 등 필요한 경우에는 연료탱크의 압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주유 및 필요 상황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vehicle in which there is a time when the engine is stopped by another power sourc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such as a hybrid vehicle or a plug-in hybrid vehicle, the fuel evaporation gas of the fuel supplied to the engine is sealed by the fuel tank.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discharge to the atmosphere, and to relieve the pressure of the fuel tank when necessary, such as purging fuel evaporation gas into the engine or refueling, so that smooth fueling and necessary situations can be responded to.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of a vehicl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embodiment of FIG. 2;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4.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는 연료탱크(1)와; 상기 연료탱크(1)에서 발생된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 캐니스터(3)와; 상기 연료탱크(1)와 상기 캐니스터(3) 사이를 연결하는 증기관로(5)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차단밸브(7)와; 상기 캐니스터(3)에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관(9)으로 퍼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PCSV(11)와; 상기 차단밸브(7) 및 PCSV(11)를 제어하도록 구비된 컨트롤러(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ure 1, the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of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el tank (1); A canister (3) provided to collect fuel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fuel tank (1); A shutoff valve (7)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steam pipe (5) connecting the fuel tank (1) and the canister (3); A PCSV (11) provided to purge the fuel evaporation gas collected in the canister (3) to the intake pipe (9) of the engine; And a
즉, 상기 연료탱크(1)와 상기 캐니스터(3) 사이의 증기관로(5)를 상기 차단밸브(7)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캐니스터(3)에 연료증발가스의 포집량이 용량을 초과하게 되지 않도록 상기 차단밸브(7)로 연료탱크(1)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캐니스터(3)가 항상 적절히 작동될 수 있도록 하며, 엔진이 작동되어 연료증발가스를 퍼지할 수 있는 경우나 주유시 등과 같이 필요한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차단밸브(7)를 개방하여 상기 연료탱크(1)의 압력을 해소시킴과 아울러 연료증발가스의 퍼지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That is, by allowing the steam pipe 5 between the fuel tank 1 and the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의 상기 차단밸브(7)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 중 하나의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는 바, 연료필러도어를 개방하도록 구비된 필러도어액츄에이터(15) 및 상기 차단밸브(7)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주유스위치(17)를 구비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shut-off
상기 주유스위치(17)는 온되면 상기 필러도어액츄에이터(15)를 동작시켜 상기 연료필러도어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차단밸브(7)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다.
When the
즉, 상기 주유스위치(17)를 운전자가 동작시키면, 직접적으로 그 동작에 의한 전기신호 등이 상기 필러도어액츄에이터(15)로 전달되어 연료필러도어를 개방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차단밸브(7)로 전기신호 등을 제공하여, 상기 차단밸브(7)도 상기 컨트롤러(13)의 개입 없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연료탱크(1) 내부의 압력을 해제시켜서 원활한 주유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That is,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PCSV(11)의 제어도 겸하여 수행하므로 엔진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ECU(Engine Control Unit)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엔진의 시동이 걸려 있지 않은 상황에서 주유 상황이 발생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ECU를 웨이크업시키지 않고도 상기 주유스위치(17)의 동작만에 의해 상기 필러도어액츄에이터(15)와 차단밸브(7)를 개방할 수 있어서 전력 소모를 저감하고 제어로직을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한편, 상기 컨트롤러(13)는 연료탱크(1)에 설치된 압력센서(19)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차단밸브(7)를 개폐하기 위한 판단의 한 인자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트롤러(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엔진이 작동중인지를 판단하는 엔진작동판단단계(S101)와; 엔진이 작동중이 아니거나 상기 연료탱크(1)의 내부 압력이 소정압력 미만이라면 상기 차단밸브(7)를 닫는 차단단계(S102)와; 엔진이 작동중이고 상기 연료탱크(1)의 내부 압력이 상기 소정압력 이상이면 상기 차단밸브(7)를 개방하는 개방단계(S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즉, 기본적으로 엔진이 작동중인 경우에만 상기 차단밸브(7)를 개방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연료탱크(1)의 압력이 상기 소정압력, 예컨대 2.4 KPa 정도, 이상이 되면, 상기 차단밸브(7)를 개방하여, 상기 연료탱크(1)의 내압이 지나치게 높아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basically, the
또한, 상기 개방단계(S103) 수행 후 상기 PCSV(11)가 작동중인지 판단하여, 작동중이 아닌 경우 PCSV(11)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퍼지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퍼지요청단계(S104)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연료탱크(1)로부터 상기 증기관로(5)를 통해 유동하는 연료증발가스를 상기 PCSV(11)를 사용하여 엔진으로 퍼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fter performing the opening step (S103) by determining whether the PCSV (11) is in operation by performing a purge request step (S104) for generating a purge request signal to operate the PCSV (11) when not in operation In order to purge fuel evaporation gas flowing from the fuel tank 1 through the steam pipe 5 to the engine using the
물론, 상기 컨트롤러(13)가 발생시킨 퍼지요청은 당해 컨트롤러(13)가 상기 PCSV(11)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컨트롤러(13)가 자체적으로 PCSV(11)를 개방하여 퍼지를 수행하도록 하는 로직에서 상기 퍼지요청을 상기 PCSV(11)의 퍼지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중요한 판단 인자로 고려하도록 하는 것이다.
Of course, the purge request generated by the
한편, 도 4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의 상기 차단밸브(7)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 중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주유스위치(17)의 신호가 상기 컨트롤러(13)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주유스위치(17)가 온되면, 상기 필러도어액츄에이터(15)를 구동하여 상기 연료필러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차단밸브(7)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shut-off valve (7) of the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is a fueling switch (operated by a user) The signal of 17 is connected to the
즉, 상기 주유스위치(17)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직접 필러도어액츄에이터(15) 및 차단밸브(7)를 구동하는 데에 사용하지 않고, 이를 상기 컨트롤러(13)에서 받아 상기 필러도어액츄에이터(15) 및 차단밸브(7)를 상기 컨트롤러(13)가 구동하도록 한 것이다.
That is,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이 꺼져 있는 상황에서 주유를 하는 경우가 있어서, 엔진의 ECU인 상기 컨트롤러(13)가 엔진이 꺼져 있는 상황에서는 웨이크업될 필요가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제어방법의 실시예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fuel evaporation gas treat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ueling may be performed in a situation where the engine is turned off as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the
즉, 본 실시예의 제어방법은 차량에 주유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조건에 의하여 상기 컨트롤러(13)를 웨이크업시키는 웨이크업단계(S201)와; 주유 요청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요청판단단계(S202)와; 주유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 주유가 가능한 조건인지 판단하는 주유가능판단단계(S203)와; 주유 요청 신호가 있고 주유가 가능한 조건이면, 상기 차단밸브(7)를 개방하는 밸브개방단계(S2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at is,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ke-up step (S201) for waking up the
상기 웨이크업단계(S201)에서는 차량 내에 정당한 스마트키가 존재하는 경우를, 차량에 주유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차량의 도어가 오픈된다거나 하는 것과 같이, 비록 엔진은 정지해 있는 상황이지만,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에서 주유를 시도할 수 있는 상황으로 인식할 수 있을 만한 그 외의 조건들에 의해 상기 주유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wake-up step (S201),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a legitimate smart key in the vehicle, and the condition that the fueling situation may occur in the vehicle is satisfied, or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lthough the engine is stationar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fueling situation is likely to occur due to other conditions that can be recognized as a situation where a legitimate user can try to refuel in the vehicle.
한편, 상기 컨트롤러(13)는 상기 주유가능판단단계(S203)에서 차속이 0인지를 판단하여 주유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차량이 주유를 하기 위해서는 차속이 0인 경우가 일반적인 바, 이와 같은 조건을 더 판단하여, 확실한 주유 상황으로 판단한 후 상기 차단밸브(7)를 개방하여 연료탱크(1)의 내압을 해소시킴으로써 원활한 주유가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order to refuel the vehicle, it is common that the vehicle speed is 0. Further, such conditions are further determined, and after determining that the fuel is in a stable fuel condition, the
물론, 이외에 변속기의 변속단 등을 추가로 확인하여, 주유 가능 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transmission stage of the transmission in addition to check, it may b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fueling.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엔진이 동작중인 경우에는 상기 엔진작동판단단계(S101), 차단단계(S102), 개방단계(S103) 및 퍼지요청단계(S104)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도록 한다.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ngine is operating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3, the engine operation determination step (S101), the blocking step (S102), the opening step (S103) and the purge request step (S104). ) In the same way.
1; 연료탱크
3; 캐니스터
5; 증기관로
7; 차단밸브
9; 흡기관
11; PCSV
13; 컨트롤러
15; 필러도어액츄에이터
17; 주유스위치
19; 압력센서
S101; 엔진작동판단단계
S102; 차단단계
S103; 개방단계
S104; 퍼지요청단계
S201; 웨이크업단계
S202; 요청판단단계
S203; 주유가능판단단계
S204; 밸브개방단계One; Fuel tank
3; Canister
5; Steam pipe
7; Shut-off valve
9; Intake pipe
11; PCSV
13; controller
15; Filler Door Actuator
17; Lubrication switch
19; Pressure sensor
S101; Engine operation judgment stage
S102; Blocking Step
S103; Opening stage
S104; Fuzzy Request Step
S201; Wake-up phase
S202; Request Judgment Step
S203; Judging stage
S204; Valve opening stage
Claims (10)
상기 연료탱크에서 발생된 연료증발가스를 포집할 수 있도록 구비된 캐니스터와;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캐니스터 사이를 연결하는 증기관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비된 차단밸브와;
상기 캐니스터에 포집된 연료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관으로 퍼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 PCSV와;
상기 차단밸브 및 PCSV를 제어하도록 구비된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A fuel tank;
A canister provided to collect fuel evaporation gas generated in the fuel tank;
A shutoff valv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 steam pipe connecting the fuel tank and the canister;
A PCSV provided to purge the fuel evaporation gas collected in the canister to the intake pipe of the engine;
A controller provided to control the shutoff valve and the PCSV;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연료필러도어를 개방하도록 구비된 필러도어액츄에이터와;
상기 필러도어액츄에이터 및 상기 차단밸브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된 주유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주유스위치는 온되면 상기 필러도어액츄에이터를 동작시켜 상기 연료필러도어를 개방함과 아울러, 상기 차단밸브를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ller door actuator provided to open the fuel filler door;
An oiling switch provided to operate the filler door actuator and the shutoff valv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more
The oiling switch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filler door actuator to open the fuel filler door and to open the shutoff valve when the fuel switch is turned on.
Evaporative gas trea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연료필러도어를 개방하도록 구비된 필러도어액츄에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주유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주유스위치가 온되면, 상기 필러도어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상기 연료필러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차단밸브 개방시키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ller door actuator provided to open the fuel filler door;
An oiling switch operated by a user;
It further comprises a;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rive the filler door actuator to open the fuel filler door and to open the shutoff valve when the fueling switch is turned on.
Evaporative gas trea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엔진이 작동중인지를 판단하는 엔진작동판단단계와;
엔진이 작동중이 아니거나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 압력이 소정압력 미만이라면 상기 차단밸브를 닫는 차단단계와;
엔진이 작동중이고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기 소정압력 이상이면 상기 차단밸브를 개방하는 개방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제어방법.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2,
An engine operat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ngine is in operation;
A shutoff step of closing the shutoff valve if the engine is not operating or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tank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An opening step of opening the shutoff valve when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tan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Fuel evaporation gas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comprising a.
상기 개방단계 수행 후 상기 PCSV가 작동중인지 판단하여, 작동중이 아닌 경우 PCSV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퍼지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퍼지요청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4,
A purge reque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CSV is in operation after performing the opening step, and generating a purge request signal for operating the PCSV when not in operation;
Fuel evaporation gas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comprising a further configured.
차량에 주유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조건에 의하여 상기 컨트롤러를 웨이크업시키는 웨이크업단계와;
주유 요청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요청판단단계와;
주유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 주유가 가능한 조건인지 판단하는 주유가능판단단계와;
주유 요청 신호가 있고 주유가 가능한 조건이면, 상기 차단밸브를 개방하는 밸브개방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제어방법.In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3,
A wakeup step of waking up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 condition in which a fueling situation may occur in a vehicle;
A reque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fueling request signal;
A fueling possible judg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iling is possible when there is a fueling request signal;
A valve opening step of opening the shutoff valve when the fueling request signal is present and fueling is possible;
Fuel evaporation gas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comprising a.
상기 웨이크업단계에서는 차량 내에 정당한 스마트키가 존재하는 경우를, 차량에 주유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6,
In the wake-up step, if the legitimate smart key is present in the vehicl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dition in which the fueling situation may occur in the vehicle is satisfi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상기 주유가능판단단계에서는 차속이 0인지를 판단하여 주유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ep of judging the fueling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vehicle speed is zero by determining whether the vehicle speed is 0
A method for controlling a fuel evaporation gas treatment apparatus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엔진이 작동중인지를 판단하는 엔진작동판단단계와;
엔진이 작동중이 아니거나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 압력이 소정압력 미만이라면 상기 차단밸브를 닫는 차단단계와;
엔진이 작동중이고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 압력이 상기 소정압력 이상이면 상기 차단밸브를 개방하는 개방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8,
An engine operation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engine is in operation;
A shutoff step of closing the shutoff valve if the engine is not operating or if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tank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pressure;
An opening step of opening the shutoff valve when the engine is running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uel tank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predetermined pressure;
Fuel evaporation gas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comprising a further configured.
상기 개방단계 수행 후 상기 PCSV가 작동중인지 판단하여, 작동중이 아닌 경우 PCSV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퍼지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퍼지요청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처리장치 제어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A purge reque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PCSV is in operation after performing the opening step, and generating a purge request signal for operating the PCSV when not in operation;
Fuel evaporation gas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comprising a further configur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2897A KR20120051454A (en) | 2010-11-12 | 2010-11-12 | Fuel vapor treat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2897A KR20120051454A (en) | 2010-11-12 | 2010-11-12 | Fuel vapor treat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51454A true KR20120051454A (en) | 2012-05-22 |
Family
ID=4626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2897A Ceased KR20120051454A (en) | 2010-11-12 | 2010-11-12 | Fuel vapor treat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51454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259A (en) * | 2015-06-26 | 2017-01-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controlling method for fuel door of phev vehicle using avn and a controlling apparatus therefor |
-
2010
- 2010-11-12 KR KR1020100112897A patent/KR20120051454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259A (en) * | 2015-06-26 | 2017-01-0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 controlling method for fuel door of phev vehicle using avn and a controlling apparatus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09563C2 (en) | Method of vehicle leakage detection of fuel flow system (versions) and vehicle system | |
US9341538B2 (en) | Evaporated fue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evaporated fuel processing device | |
JP4616739B2 (en) | Method for detecting evaporative fuel emissions in a vehicular fuel vapor control system | |
CN104210356B (en) | The plug-in hybrid vehicle tank depressurization before fueling again | |
JP5998529B2 (en) | Evaporative fuel processor diagnostic device | |
RU2532863C2 (en) | Method of testing of vehicle steam venting system, vehicle with hybrid drive and method of testing of vehicle steam venting system aboard of vehicle | |
RU2666033C1 (en) | Diagnostic device for the evaporated fuel processing device | |
KR101686592B1 (en) | Method for diagnosing leak of a fuel tank,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 |
US9151251B2 (en) |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6251469B2 (en) | Evaporative fuel processor diagnostic device | |
JP2017506717A (en) | Method for removing leaked crankcase fluid from crankcase and crankcase ventilation system | |
US2015033034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of fuel evaporative gas | |
JP6469709B2 (en) | Hydrocarbon vapor redu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 |
KR20090117132A (en) | Vapor Gas Control System | |
JP2004156496A (en) | Evaporated fuel treatment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8631689B2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functional testing of a pressure switch of a tank vent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 |
KR101262487B1 (en) | Evaporation Gas Trea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in Vehicle | |
JP5661246B2 (en) | Power generation control device | |
KR20120051454A (en) | Fuel vapor treating apparatus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328926B2 (en) |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operating a hybrid vehicle | |
CN112012810A (en) | 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ng a positive crankcase ventilation valve | |
JP6001414B2 (en) | Evaporative fuel processing equipment | |
KR100290337B1 (en) | Evaporation gas purg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JP4567534B2 (en) | Vehicle control device | |
JP5927727B2 (en) | Evaporative fuel process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30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9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