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9874A - A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tandem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 Google Patents
A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tandem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9874A KR20120049874A KR1020127003327A KR20127003327A KR20120049874A KR 20120049874 A KR20120049874 A KR 20120049874A KR 1020127003327 A KR1020127003327 A KR 1020127003327A KR 20127003327 A KR20127003327 A KR 20127003327A KR 20120049874 A KR20120049874 A KR 201200498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rope
- pair
- sheave
- crane
- trolle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2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oisting or lowering heavy load carriers, e.g. freight containers, railway wag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1/00—Trolleys or crabs, e.g. operating above runways
- B66C11/16—Rope, cable, or chain drives for trolleys; Combinations of such drives with hoist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04—Auxiliary devices for controlling movements of suspended loads, or preventing cable sl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컨테이너를 차례대로 독립적이거나 동시에 호이스팅하고 내리기 위하여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용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이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for twin lift cargo container processing for hoisting and unloading a pair of containers, independently or simultaneously, one after the oth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로 배와 해안가 사이에서 카고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해 카고 컨테이너 처리 공정에서 사용되는 부둣가에서의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상기 크레인에 의해 병진 운동되는 카고 컨테이너 리프팅 스프레더 장치용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의해 상기 두 카고 컨테이너를 동시에 독립적으로 올리고 내리기 위해 동시에 수행되는 연속 운동을 위해 개별 리프팅 스프레더에 의해 두 카고 컨테이너를 결합하기 위한 트윈 컨테이너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컨테이너는 한 위치에 매달려서 크레인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primarily to cranes at a dockside used in cargo container handling processes for transferring cargo containers between ships and seafronts.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rope living system for a cargo container lifting spreader device which is translated by the cran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in container lift device for combining two cargo containers by separate lifting spreaders for simultaneous movements performed simultaneously to independently raise and lower the two cargo containers simultaneously by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In this regard, the container is suspended in a position and transpor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 crane.
부둣가에서 카고 컨테이너 이송 선박에 선적하고 하역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서는 다양한 타입의 카고 컨테이너 처리 갠트리 크레인 또는 키이 크레인이 여러 방면으로 개발되어왔다. 그 이유는, 선박 회사들이 각각의 선박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정박 공정(선적 및 하역 공정)에 관하여 항구에서 선박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싶어하기 때문이다.Various types of cargo container handling gantry cranes or tall cranes have been developed in the prior art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container transfer vessels at docksides. The reason is that ship companies want to reduce the time spent on ships in ports with regard to the anchoring process (shipping and unloading process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each ship.
키이 크레인 컨테이너 처리 속도는 사이클 속도(cycle rate)로 측정된다. 불안정한 키이 크레인 작업은 선박 상의 컨테이너의 하역 위치에 따라 컨테이너를 상이한 거리에 이동시켜 사이클 속도를 변경시키게 한다. 예를 들어, 키이 크레인이 선박의 빔(beam)을 가로질러 거리가 떨어진 각각의 컨테이너 칼럼을 선적하거나 또는 하역하기 때문에, 호이스트(hoist)는 각각의 연속적인 컨테이너 칼럼에 대해 외부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긴 거리만큼 이동되고 내려가며 선적물에 더 깊이 위치된 각각의 컨테이너에 대해 더 길게 호이스팅된다. 각각의 연속적인 컨테이너에 대해, 호이스트용 고정 시간과 증가된 운동 거리는 컨테이너 처리 시간을 증가시켜 이에 따라 사이클 시간이 증가된다. 선박의 작동 중단 시간(down time)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선박에 더 신속하게 선적하고 하역할 수 있게 하여 구현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 지속이 노력이 기울여져 왔으며 이런 점에서 볼 때 본 발명의 다중 컨테이너 처리 공정은 또 다른 개선예이다.The tall crane container processing speed is measured by cycle rate. Unstable key crane operation causes the container to be moved at different distances to change the cycle speed depending on the container's unloading position on the vessel. For example, as a tall crane ships or unloads each container column at a distance across the ship's beam, the hoist is relatively more outward relative to each successive container column. Hoisted for each container moved and descended a long distance and located deeper in the shipment. For each successive container, the fixed time for the hoist and the increased movement distance increase the container processing time and thus the cycle time. Improving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ship's down time is realized by enabling ships to be unloaded and unloaded on board the ship substantially. Sustained efforts have been made for this purpose and in this respect the multi-container treatment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improvement.
하지만, 선박의 작동 중지 시간을 줄이기 위한 특별한 목적, 이유 및 필요조건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되었던, 종래 기술에 기술된 카고 컨테이너 처리 크레인의 다수의 디자인, 구성 및 형태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에서는 기본적으로 익숙하고, 원하며, 명백하고 잘 알려진 방법들과 기계장치의 형상, 조합, 및 기기로 구성된 장치들과 기기들이 사용된다. 이것은 공지되어 있고 관련 종래 기술을 고려한 하기 내용으로부터 자명하게 될 것이다.However, despite the many designs, configurations and forms of the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described in the prior art, which have been developed to implement special purposes, reasons and requirements for reducing the downtime of a vessel, the specification is basically Familiar, desired, obvious and well-known methods and devices and devices consisting of machine shapes, combinations, and devices are used. This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is known and takes into account related prior art.
도 1을 보면, 부둣가(dockside)에서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선박 정박 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제 1 컨테이너 처리 기기는 부두 에지(13)를 따라 레일 위에서 이동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이 크레인(11)을 포함한다. 접이식 붐(boom) 또는 갠트리(15)가 부두 및 선박(17)과 같은 2개 이상의 픽업(pick up) 및 하역 위치 사이에서 연장된다. 작동 위치에서의 갠트리는 부두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칸틸레버되어(cantilevered) 정박된 선박까지 연장된다. 크레인은 갠트리 위에 장착된 레일 상에서 왕복 운동을 위해 상부에 장착된 이송 트롤리 또는 트롤리(19)들을 가진다. 하역되었거나 또는 하역되어야 하는 카고 선적 컨테이너는 선박 선적 정박지에 인접한 야적장(stacking yard)에 일시적으로 보관된다.1, there is shown a vessel berthing process that is typically performed at the dockside. The first container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one or more
선적 공정에서, 섀시 트럭, 트레일러 트럭 또는 무인운반차량(automatically guided vehicle; AGV)와 같은 카고 컨테이너 운반차량(21)은 컨테이너(23)를 야적장으로부터 부둣가로 운반한다. 부둣가에서, 키이 크레인은 부둣가의 컨테이너 운반차량으로부터 혹은 중간 버퍼 메커니즘 또는 크레인으로부터 카고 컨테이너(23)를 들어올려 이 카고 컨테이너(23)를 선박(17)까지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선박 격실(shipboard cell) 안에 내려놓는다. 선박 하역 공정은 이와 정반대로 작동되는데, 키이 크레인이 선박 위로부터 선박 카고 컨테이너에 접근하여 이 카고 컨테이너를 부둣가로 이동시켜 지면 또는 부둣가 운반차량 혹은 중간 버퍼 컨테이너 계류 메커니즘으로 운반한다.In the shipping process, a cargo
사이클 속도를 떨어뜨리고 정박 공정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박과 부둣가 사이에서 두 컨테이너를 동시에 이송하기 위한 크레인이 개발되었다. 1970년대에, 두 컨테이너를 끝에서 끝까지(end to end) 동시에 또는 탠덤 방식으로(in tandem)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전임 회사에 의해 본 양수인에게 특허등록되었다(Zweifel씨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번호 3, 536,351호). 그 뒤, 다수의 변형예들이 뒤따랐다.In order to reduce the cycle speed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mooring process, a crane has been developed for simultaneously transporting two containers between the ship and the dockside. In the 1970s, a system for processing two containers from end to end simultaneously or in tandem was patented to the assignee by a former company (US Patent No. 3 to Zweifel et al.). , 536,351). Subsequently, a number of variants followed.
이러한 디자인이 가지는 문제점은, 컨테이너의 길이가 늘어나고 가변적인 길이를 가진 컨테이너가 사용되었을 때 발생하였다. 표준 길이인 20 피트의 컨테이너가 사용되었을 때에는, 크레인인 한 쌍의 컨테이너를 끝에서 끝까지 쉽게 들어올렸다. 하지만, 보통 컨테이너의 길이가 40 피트에 달할 때에는, 몇몇 이유들로 인해, 종래 기술의 특허에 기술된 키이 크레인 장치에 의해, 이러한 길이를 가진 두 컨테이너가 끝부터 끝에서 들어올려 질 수 없다. 컨테이너는 리프팅 스프레더의 단부를 지나 20 피트 이상 연장되어 한 단부의 오직 20 피트만 각각 스프레더에 의해 결합된다. 선적물은 너무 크다. 그 외의 다른 탠덤 스프레더에서 또 다른 컨테이너 없이 오직 하나의 20 피트 짜리 컨테이너를 들어올리면, 크레인 갠트리에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한다. 크레인은 이러한 불균형 현상을 처리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이 자명하지만, 이는 보강된 클인 구조 또는 상이한 크레인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The problem with this design arises when the container is lengthened and a container of variable length is used. When a standard 20-foot container was used, a pair of cranes, the crane, was easily lifted from end to end. However, when a container usually reaches 40 feet in length, for some reason, with the tall crane device described in the prior art patent, two containers of this length cannot be lifted from end to end. The container extends more than 20 feet past the end of the lifting spreader so that only 20 feet of one end are each joined by the spreader. The shipment is too big. Lifting only one 20 foot container without another container from any other tandem spreader will cause a serious imbalance in the crane gantry. It is obvious that cranes are designed to handle this imbalance, but this requires a reinforced crane structure or a different crane design.
일찍이, 두 컨테이너의 트윈 리프팅 방식이 상기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밟혀졌다. 일본 특허 S54-6267호(1979년)는 이러한 것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하지만, 카고 컨테이너 처리용 탠덤 또는 트윈 리프트 방법들에 대한 컨테이너 처리 사이클 속도는 사이클 시간을 줄이기 위해 더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된 트윈 리프팅 카고 컨테이너 처리 크레인은 실질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자인과 통상적인 사상으로부터 출발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선박 정박 공정의 효율성을 추가로 높이기 위해 일차적으로 개발된 와이어 로프 리빙 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이하고도 개선된 방식으로 종래 기술의 방법들과 장치에 비해 더 저렴한 기계장치를 구현하였다.Earlier, the twin lifting scheme of two containers was stepped on to solve this imbalance problem. Japanese Patent S54-6267 (1979) describes this. However, container handling cycle rates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tandem or twin lift methods can be further improved to reduce cycle times. The twin lifting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consider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substantially starts from the design and conventional idea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in this process provides a wire rope living device developed primarily to further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vessel anchoring process. do. Accordingly, inexpensive machinery has been realized in a different and improved manner compared to prior art methods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추가로 크레인 사이클 시간을 줄이기 위해 실질적으로 향상되고 개선된 변형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을 사용하여 동시적이고 독립적으로 컨테이너를 올리고 내릴 수 있게 됨으로써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크레인의 효율성을 추가로 증가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antially improved and improved variant to further reduce crane cycle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can be raised and lowered simultaneously and independently using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furthe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twin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전술한 것과 같이,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키이 트레인 및 정박 공정 타입의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명백한 결점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고 항구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신규한 키이 크레인 공정용 트윈 리프트 크레인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상기 신규한 트윈 리프트 크레인 구조물은 카고 컨테이너 선박 정박 공정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re are known and known drawbacks in the prior art of twin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key train and anchoring process types and are still used in por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vel twin lift crane structure for a tall crane process. The new twin lift crane structure can be us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cargo container ship anchoring process.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임의의 종래 기술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도 종래 기술의 키이 크레인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이 예측하거나, 제안하거나 혹은 암시하지 못하는,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모든 이점들과 정박 공정에서 신규한 카고 컨테이너 처리 방법의 신규한 특징들을 가지는 신규한 트윈 리프트 크레인 장치 및 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gener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ll the advantages and anchoring processes of the prior art mentioned above are not predicted, suggested or implied by any prior art tall crane wire rope living systems,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It is to provide a novel twin lift crane device and function with the novel features of the novel cargo container handling method.
본 발명은 싱글 와이어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크레인용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을 포함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상기 크레인은 픽업 및 하역 위치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동시에 이송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한 쌍의 카고 컨테이너를 매달고 상기 크레인의 수평방향 갠트리를 따라 왕복운동 하도록 장착된 한 쌍의 평행하게 정렬된 컨테이너 이송 트롤리를 사용하는데, 컨테이너를 독립적으로 올리고 내릴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트롤리 및 크레인용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으로서 정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comprising a wire rope living system for a single wire twin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The device comprises a pair of parallel aligned container transfer trolleys mounted to hung a pair of cargo containers at the bottom and reciprocating along the crane's horizontal gantry to simultaneously transport containers between pick-up and unloading positions. It has the ability to raise and lower containers independently and is defined as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for trolleys and cranes.
본 발명의 더 중요한 특징들은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기 위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광범위하게 다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첨부된 청구항의 주된 주제를 형성하는 또 다른 특징들도 있다.More important features of the invention are covered extensive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order that the invention may be better understood. There are also other features that form the subject matter of the claims described and appended hereto.
청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구체예들을 기술하기 전에,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서 예시되어 있고 기술되어 있는 구성요소들을 배열하고 구성의 세부사항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그 외의 다른 구체예들에서도 실시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기술하려는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도 이해해야 한다.With regard to the claims, before describing one or mor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arrangement and arrangement of the component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ther embodiments and may be performed in a variety of way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invention and not of limitation.
이에 따라, 당업자는 본 발명의 몇몇 목적들을 수행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따른 사상이 그 외의 다른 형태, 구조, 방법, 및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쉽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하기 청구항들은 이에 해당하는 균등한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readily used to design other forms, structures, methods, and systems for carrying out some of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llowing claims should be considered to include equivalent construc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또한, 첨부된 요약의 목적은 미국특허청 및 대중 특히 과학자, 엔지니어 및 이러한 특허와 법률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이 본 특허출원에 기술된 기술적 내용 핵심과 성질들을 신속하게 알 수 있게 함이다. 본 요약문도 본 발명을 청구항으로만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appended summary is to provide a quick overview of the technical content cores and properties described in this patent application to US Patent Office and the public, particularly scientists, engineers, and users unfamiliar with these patents and legal ter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summary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only to the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신규하고 개선된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키이 크레인용 와이어 오프 리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therefore an importan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and improved twin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wire off living system for tall cran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이한 길이를 가진 컨테이너를 동시에 이송할 수 있는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키이 크레인용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rope living system for twin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tall cranes capable of simultaneously transporting containers having different length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의해 컨테이너를 독립적으로 올리고 내릴 수 있는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크레인용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 rope living system for a twin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that can lift and lower a container independently by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테이너를 매달고 있는 두 리프팅 스프레더 또는 이송 트롤리 사이에서 상호연결할 필요가 없는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win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which does not need to be interconnected between two lifting spreaders or transfer trolleys that are hanging container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의해 트윈 리프트 크레인에 의해 카고 컨테이너를 독립적으로 올리고 내리기 위한 신규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ovel method for independently raising and lowering cargo containers by twin lift cranes by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본 발명의 그 외의 다른 목적들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에 관해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이 고려될 때 자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when the apparatus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sider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선박 정박 공정의 통상적인 키이 크레인을 도시한 측면 입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크레인용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을 도시한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고 컨테이너 싱글 와이어 로프 트윈 리프트 리빙 시스템의 절반을 도시한 대표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키이 크레인용 싱글 와이어 로프 트윈 리프트 리빙 시스템용 성능 차트.1 is a side elevational view of a typical tall crane of a ship mooring proces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re rope living system for a twin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presentative perspective view of one half of a cargo container single wire rope twin lift liv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formance chart for a single wire rope twin lift living system for a tall cran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기술하기 위해 도면들을 참조해 보면,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해당 도면에서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o describ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과 도 2는 일반적으로 부둣가(dockside)에서의 선박 정박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제 1 카고 컨테이너 처리 장치는 선적지(shipping port)에서 부둣가에 위치된 선박(17)의 빔(beam)을 가로질러 부두의 에지(13)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이 크레인(11)들로 구성된다. 키이 크레인이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대해 가장 논리적이며 주된 사용법이지만,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시스템도 철도 야적장 브리지 크레인(railroad stacking yard bridge crane) 및 부둣가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스트래들 크레인(straddle crane)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키이 크레인(quay crane)"은 위와 같은 카고 컨테이너 처리 크레인의 대안의 타입들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1 and 2 generally show the vessel mooring process at the dockside. The first cargo container handling apparatus comprises one or more
본 발명의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은 키이 크레인(11)에 의해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를 처리하기 위해 제공되는데, 상기 시스템에 의해 키이 크레인이 2개의 카고 컨테이너(23)를 동시에 들어올리고, 이동되며, 내릴 수 있다. 용어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single wire rope reeving system)"은 밑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The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for handling a twin lift cargo container by a tall crane (11), by which the tall crane simultaneously lifts, moves and unloads two cargo containers (23). Can be. The term "single wire rope reeving system" will be described further below.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것과 같이, "트윈 리프팅(twin lifting)"에 영향을 끼치기 위하여, 크레인의 갠트리(15) 상에 있는 수평 레일을 따라 독립 또는 조절 왕복운동을 위해 한 쌍의 평행 정렬된 카고 컨테이너 이송 트롤리(19)가 장착된다. 상기 이송 트롤리는 각각의 트롤리가 그 밑에 한 쌍의 리프팅 스프레더(25A 및 25B) 중 한 리프팅 스프레더를 독립적으로 매달고 있기 때문에 카고 컨테이너 리프팅 스프레더 서스펜션 트롤리(cargo container lifting spreader suspension trolley)로 불린다. 상기 스프레더는 카고 컨테이너(23)를 픽업 및 하역 위치들 사이에서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결합하고 이동시키도록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라 새롭고 신규한 일체형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으로 카고 컨테이너(23)를 독립적으로 올리고 내리도록 사용된다.As contemplated herein, a pair of parallel aligned cargo containers for independent or controlled reciprocating motion along a horizontal rail on the
오직 하나의 카고 컨테이너가 탠덤 리프트 스프레더(tandem lift spreader)에 의해 올라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프-밸런스(off-balance) 대신 하나 또는 두 개의 컨테이너가 동시에 올라가던지 간에, 2개의 카고 컨테이너(23)들은 로드가 크레인 갠트리의 중심 밑에서 균형을 맞추고 집중되도록 평행하게 나란하게 정렬되도록 배열되는 개별 리프팅 스프레더(25)에 의해 결합된다. 평행하게 정렬된 트롤리/리프팅 스프레더 조합은 카고 컨테이너가 크레인 이송 트롤리에 의해 올라갈 때 크레인 갠트리 하에서 중량이 균형있게 분산됨에 따라 상이한 길이의 카고 컨테이너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트윈 리프트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Two
본 발명의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은 이송 트롤리(19)가 갠트리 레일(15) 상에 있는 트롤리의 왕복 운동 방향과 동일 직선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왕복 운동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일체형으로 운동하기 위해 형성되던지 간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트롤리는 독립적 또는 상호연결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기계장치 하우스(27) 내에 위치된 와이어 로프 트롤리 구동 드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싱글 또는 개별 와이어 로프 구동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통상적으로 조절된다. 트롤리 구동 드럼용 컴퓨터 제어장치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 충돌을 방지하고 매달린 로드가 안전하지 못하게 흔들리는 것을 고정시키기 위해 트롤리의 동력학적 상태와 위치를 모니터링한다.The wire rope liv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hether the
도 2와 도 3을 참조해 보자. 차례대로 나란하게 평행으로 정렬된 컨테이너를 결합하기 위해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의해 스프레더 서스펜션 트롤리(19)로부터 개별 리프팅 스프레더(25) 쌍들이 매달린다. 카고 컨테이너들 사이의 공간은 트롤리가 갠트리(15) 상에서 독립적으로 수평 운동할 수 있는 경우 (충돌하고 컨테이너가 흔들리는 것을 제외하고는) 무의미하다. 싱글 와이어 로프 시스템에 무관하게 스프레더를 호이스팅(hoisting)하고 내리는 것은 본 발명의 기능이다. (헤드블록에 의해) 스프레더를 매달고 있는 와이어 로프 리빙은 스프레더 서스펜션 트롤리 상에 장착된 플리트 통과 시브(fleet through sheave)(31)와 키이 크레인(11)의 갠트리 상에 배열된 와이어 로프 시브 구동 드럼(29)으로부터 구동된다.See FIG. 2 and FIG. 3. Separate pairs of lifting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로프 리빙은 각각의 도면이 복잡하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명확하게 도시될 수 없다. 실질적인 리빙은 도 3에 보다 정밀하게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헤드블록/리프팅 스프레더 조합 상의 시브 위치에 대해 상기와 같은 문제가 도 3에서도 발생한다. 도 2를 참조하라. 플리트 통과 시브(37)의 위치는 헤드블록(43)의 코너에 장착된 내부에서 더욱 정확하게 도시된다. 도 3에서, 시브(37)는 공기 중에 매달려 있는 상태로 잘못 도시되어 있으며 스트레치된(잘못) 연결에 의해 (스프레더 내에 일체로 구성되고/제거된 헤드블록의 코너에 연결된 대신) 스프레더(25)의 코너에 정확하게 연결되어 스핀들된다(spindled).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에 배열되고 정확하게 장착된 시브를 가진 헤드블록은 도 3에 표시된 와이어 로프 리빙 배열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도 3으로부터 제거되어 있다.The wire rope living shown in FIG. 2 cannot be shown clearly because each figure is complex and small in size. Substantial living is shown more precisely in FIG. 3. However, the same problem arises in FIG. 3 for the sieve position on the headblock / lifting spreader combination. See FIG. 2. The position of the
하지만, 이러한 도면 문제들은 무의미한데, 이 기술이 40년 되었으며 카고 컨테이너 처리 기술에서 잘 개발되고 당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프팅 스프레더(25)를 매달고 헤드블록(43)이 리프팅 스프레더와 결합하기 위해 트롤리(19) 상에 있는 시브와 와이어 로프 리빙 모두가 키이 크레인 카고 컨테이너 처리 기계장치를 표준화한다.However, these drawing problems are meaningless because this technique is 40 years old and well developed in cargo container handling techniques and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oth the sheave and wire rope living on the
일반적으로, 와이어 로프 시브 구동 드럼(29)들은 키이 크레인의 갠트리(15)의 쇼어사이드(shoreside)에 배열된 기계장치 하우스(27) 내에 장착된다. 대안으로, 시브 구동 드럼은 트롤리의 한 단부 상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러한 디자인은 특히 칸틸레버 디자인으로 구성되는 경우 크레인 갠트리 상에 상대적으로 더 무거운 로드를 가하게 되는 결점을 가진다. 상기 드럼이 보통 크레인 서포트 레그 위에 위치된 멀리 있는 기계장치 하우스 대신 트롤리 상에 장착되는 경우, 드럼은 사실 하기 청구항들의 용어를 위해 키이 크레인의 갠트리 상에 여전히 장착된다. 실제로, 구동 드럼은 갠트리 상에 장착된 균등한 것일 수 있으며 시브에 의해 갠트리로 라우팅되는(routed) 와이어 로프와 크레인 상의 어느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배열은 본 발명의 사상 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이지 못할 것이다.Generally, the wire rope sheave drive drums 29 are mounted in a
도 2와 도 3을 참조해 보자. 도 3은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의 한 절반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대한 리빙 시스템의 거울 상이 스프레더(25)와 트롤리(19)의 다른 단부와 결합된다. 크레인 갠트리(15) 상에서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29)에 의해 구동되는 트윈 리프트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은 각각 막다른 단부(35)인(deadended) 갠트리 단부로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로프(33A 및 33B)를 작동시킨다. 각각의 와이어 로프 쌍들은 양 리프팅 스프레더(25A 및 25B)의 맞은편 단부에 매달린다. 이 경우, 싱글 와이어 로프 시스템은 2개의 트롤리의 매달린 스프레더를 올리고 내리는 것을 독립적이고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개별 구동 모터를 사용하여 두 개의 개별 와이어 로프 시스템을 가진다기보다는 하나의 와이어 로프 시스템이 구동되어 두 개의 트롤리에 의해 로드를 개별적으로 올리고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See FIG. 2 and FIG. 3. 3 shows one half of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The mirror image of the living system for FIG. 3 is combined with the
스프레더(25)와 트롤리(19)의 각각의 단부에서, 와이어 로프(33A 및 33B) 쌍들은 트롤리 상에서 플리트 통과 시브(31)까지 연장되고(reeved), 리프팅 스프레더 헤드블록(43)의 코너에 장착된 플리트 통과 시브(37) 주위에서 상기 시브 밑으로, 트롤리 밑에 매달고, 트롤리로 지지하며(back up), 상부에 추가적인 플리트 통과 시브(31)까지 연장되고, 막다른 단부(35)인 갠트리(15)의 단부로 연장된다.At each end of the
와이어 로프 시브 구동 드럼(41)을 구동하는 한 쌍의 모터(39)는 기계장치 트롤리(19A)로 불리는 이송 트롤리(19) 중 하나의 맞은편 단부에 장착된다. 각각의 시브 구동 드럼은 트롤리의 맞은편 단부에서 와이어 로프(33A 및 33B)의 쌍들 중 하나의 와이어 로프를 조절하고 둥근 타입의 플리트로 구성된다. 트롤리 상의 시브 구동 드럼은 각각의 랩된(wrapped) 둥근 와이어 로프를 이동시키고 기계장치 하우스(27) 내에 배열된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29)에 대해 개별적으로 조절되어 회전 속도는 메인 구동 드럼과 무관하고 리프팅 스프레더는 독립적으로 올라가고 내려갈 수 있다.A pair of
트롤리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키고/이동시키는 트롤리에 고정된 와이어 구동 로프를 가지는, (기계장치 하우스 내에) 갠트리의 단부에 장착된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과 트롤리 구동 모터의 개별 세트는 도시되지 않는다. 대안으로, 트롤리는 서로에 대해 고정되어 거리가 떨어진 방식으로 상호연결될 수 있으며 트롤리 구동 모터의 한 세트를 위한 필요성과 비용을 줄이지만 결과적으로는 크레인의 기능 또는 성능을 줄이게 된다. 트롤리 구동 모터는 트롤리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트롤리의 휠을 직접 구동시키지만 이는 갠트리 디자인 하중을 증가시킬 것이며 이에 따라 갠트리의 디자인 중량과 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이송 트롤리 구동 드럼의 어떠한 디자인에서도, 컴퓨터 안전 제어장치로 인해 트롤리가 갠트리의 단부와 충돌하거나 또는 갠트리의 단부를 타격하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A separate set of wire rope drive drums and trolley drive motors mounted at the ends of the gantry (within the machinery house) with wire drive ropes fixed to the trolley to operate / move the trolley independently are not shown. Alternatively, the trolleys can be fixed relative to each other and interconnected in a distanced manner, reducing the need and cost for a set of trolley drive motors, but consequently reducing the function or performance of the crane. The trolley drive motor can be mounted on the trolley and directly drive the wheel of the trolley, but this will increase the gantry design load and thus increase the design weight and cost of the gantry. In any design of the transfer trolley drive drum, computer safety controls prevent the trolley from colliding with or hitting the end of the gantry.
어떤 방식으로 싱글 와이어 로프 컨테이너 서스펜션 시스템이 작동하는 지에 대한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을 위해 도 3을 참조해 보자. 제 1 상태에서, 기계장치 트롤리(19A) 상에 시브 구동 와이어 로프 드럼(41)이 고정되어 있으며, 양 트롤리(19)가 제동되어 있고(레일 상에서 움직이는 것으로부터 고정되어 있고),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은 작동되는데, 시브 구동 드럼과 기계장치 트롤리 하에서 리프팅 스프레더(25A)가 올라가거나 내려간다. 제 2 상태에서, 양 트롤리는 제동되어 있고, 갠트리 상의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29)과 기계장치 트롤리 상의 시브 구동 드럼(41)은 둘 다 작동되어 같은 속도로 와이어 로프 쌍(33A 및 33B)을 이동시키는데, 패시브 트롤리(19B) 하에서 리프팅 스프레더(25B)는 올라가거나 내려간다.An example of how the single wire rope container suspension system works is shown. See FIG. 3 for explanation. In the first state, the sheave drive
따라서, 트롤리의 독립형 속도 제어장치와 일체로 구성된, 시브 구동 드럼과 메인 구동 드럼 사이의 선택가능한 차동 속도(differentail speed)로 인해, 두 개의 트롤리가 독립적으로 이동하는 동안 리프팅 스프레더가 독립적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갈 수 있게 한다.Thus, due to the selectable differential speed between the sheave drive drum and the main drive drum,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stand alone speed control of the trolley, the lifting spreader can rise or fall independently while the two trolleys move independently. To be able.
도 4를 보면, 본 발명을 사용하는 키이 크레인용 싱글 와이어 로프 트윈 리프트 리빙 시스템에서의 상대 속도비에 대한 성능 차트가 도시되어 있다. V1 및 V2는 카고 컨테이너 리프팅 스프레더의 수직방향 호이스트 속도이다. V3는 와이어 로프 드럼(29)에 의해 조절되는 로프 속도를 나타낸다. V4는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41)에 의해 조절되는 로프 속도를 나타낸다. 트롤리 횡단(trolley traversing) 경우, V4는 트롤리 횡단 속도(Vt)에 의해 조절된다. 이 시스템은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의해 카고 컨테이너 처리 크레인에 의한 독립적인 탠덤 리프팅을 가능하게 한다.4, there is shown a performance chart for relative speed ratio in a single wire rope twin lift living system for a tall cran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V1 and V2 are the vertical hoist speeds of the cargo container lifting spreader. V3 represents the rope speed regulated by the
이러한 차동 속도는 충돌을 방지하고 컨테이너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트롤리의 가속도와 속도를 제어하는 컴퓨터-제어식 안전 프로그램과 조합된 아날로그 슬라이딩 속도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운전실(operator cab) 내에 핸드(스틱) 스로틀(hand(stick) throttle)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운전자가 분리된 두 트롤리용 속도 조절장치와 리프팅 스프레더를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용 제어장치를 가지는 지점에 추가적인 컴퓨터 제어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컨테이너와 결합하고 컨테이너를 선박 격실(shipboard cell) 내 또는 부둣가에서 운반차량(transporter) 상에 내리기 위하여 리프팅 스프레더의 정밀한 컴퓨터 센서 조절 위치가 사용되며 상기 시스템 내에 포함된다.This differential speed is a hand (stick) throttle in the operator cab that includes an analog sliding speed control combined with a computer-controlled safety program that controls the acceleration and speed of the trolley to prevent collisions and minimize container shaking. can be controlled by hand (stick) throttle. Additional computer controls may be included at the point where the driver has separate speed controls for the two trolleys and controls for buttons for moving the lifting spreader up and down. A precise computer sensor adjustment position of the lifting spreader is used and included in the system to engage the container and to lower the container onto a transporter in a ship cell or dockside.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에 의한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용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픽업 및 하역 위치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동시에 이송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한 쌍의 카고 컨테이너를 매달고 크레인의 수평방향 갠트리를 따라 왕복운동 하도록 장착된 한 쌍의 평행하게 정렬된 컨테이너 이송 트롤리를 가진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쌍의 동기적으로 구동된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이 크레인의 갠트리 상에 장착되어 제공되는데, 상기 각각의 구동 드럼은 막다른(deadended) 갠트리의 단부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와이어 로프를 작동시킨다. 와이어 로프 쌍들은 와이어 로프에 의해 트롤리 하부에 매달린 리프팅 스프레더 헤드블록 상에 플리트 통과 시브를 통하고 상기 트롤리 상의 플리트 통과 시브를 통해 리빙된다(reeved). 각각의 와이어 로프 쌍은 스프레더의 마주보는 두 단부를 매단다(suspend). 한 쌍의 모터 구동 와이어 로프 시브 구동 드럼이 트롤리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한 쌍의 와이어 로프를 구동하고 트롤리 중 한 트롤리의 마주보는 단부에 장착되어 제공된다. 트롤리 상의 시브 구동 드럼은 기계장치 하우스 내에 배열된 메인 구동 드럼에 무관한 회전 속도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리프팅 스프레더는 독립적으로 올라가고 내려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method of operating a wire rope living system for processing a twin lift cargo container by a crane. The method comprises a single wire with a pair of parallel aligned container transfer trolleys mounted to suspend a pair of cargo containers at the bottom and reciprocate along the crane's horizontal gantry to simultaneously transport containers between pickup and unload positions. Providing a rope living system. A pair of synchronously driven main wire rope drive drums are provided mounted on the crane's gantry, each drive drum having a pair of wire ropes extending outwardly to the end of a deadended gantry. It works. The wire rope pairs are reeved through the pleat passing sheave on the lifting spreader headblock suspended by the wire rope and through the pleat passing sheave on the trolley. Each wire rope pair suspends two opposite ends of the spreader. A pair of motor driven wire rope sheave drive drums is provided for driving a pair of wire ropes at each opposite end of the trolley and mounted at opposite ends of one of the trolleys. The sheave drive drum on the trolley can have a rotational speed independent of the main drive drum arranged in the mechanism house, where the lifting spreader can be raised and lowered independently.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과 시브 구동 와이어 로프 드럼의 회전 속도는 아날로그 핸드 스로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대안으로,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과 시브 구동 와이어 로프 드럼의 회전 속도는 컴퓨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ain wire rope drive drum and the sheave drive wire rope drum can be adjusted by analog hand throttle. Alternatively,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ain wire rope drive drum and the sheave drive wire rope drum can be adjusted by a computer.
본 명세서에서는 탠덤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용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이 매우 상세하게 예시되고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 내용에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범위가 결정된다.While the wire rope living system for tandem lift cargo container processing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great detail herei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is defined 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상기 리빙 시스템은:
- 상기 크레인의 갠트리 상에 장착된 동기적으로 구동된 한 쌍의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은 막다른(deadended) 갠트리의 단부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와이어 로프를 작동시키고, 상기 와이어 로프 쌍들은 와이어 로프에 의해 상기 트롤리 하부에 매달린 리프팅 스프레더 헤드블록 상에 플리트 통과 시브(fleet through sheave)를 통하고 상기 트롤리 상의 플리트 통과 시브를 통해 연장되며(reeved), 상기 각각의 와이어 로프 쌍은 상기 스프레더의 마주보는 두 단부를 매달고(suspend);
- 상기 트롤리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한 쌍의 와이어 로프를 구동하고 상기 트롤리 중 한 트롤리의 마주보는 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와이어 로프 시브 구동 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트롤리 상의 상기 시브 구동 드럼은 기계장치 하우스 내에 배열된 상기 메인 구동 드럼에 무관한 회전 속도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리프팅 스프레더는 독립적으로 올라가고 내려갈 수 있는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A wire rope living system for a single wire twin lift cargo container by a crane, wherein the crane hangs a pair of cargo containers at the bottom to reciprocate the container between pickup and unloading positions and reciprocates along the horizontal gantry of the crane. A wire rope living system having a pair of parallel aligned container transport trolleys mounted to
The living system is:
A pair of synchronously driven main wire rope drive drums mounted on the gantry of the crane, each main wire rope drive drum extending outwardly to the end of a deadended gantry Activate the pair of wire ropes, the wire rope pairs extend through a pleat through sheave on a lifting spreader headblock suspended by a wire rope under the trolley and through a pleat through sheave on the trolley ( each pair of wire ropes suspends two opposite ends of the spreader;
A pair of wire rope sheave drive drums driving a pair of wire ropes at each opposite end of the trolley and mounted at opposite ends of one of the trolleys, the sheave drive drum on the trolley A wire rope living system that can have a rotational speed independent of the main drive drum arranged in a machinery house, wherein the lifting spreader can be raised and lowered independently.
상기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과 상기 시브 구동 와이어 로프 드럼의 회전 속도는 아날로그 핸드 스로틀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on speed of the main wire rope drive drum and the sheave drive wire rope drum is controlled by an analog hand throttle.
상기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과 상기 시브 구동 와이어 로프 드럼의 회전 속도는 컴퓨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And a rotation speed of the main wire rope drive drum and the sheave drive wire rope drum is controlled by a computer.
상기 방법은:
- 픽업 및 하역 위치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동시에 이송시키기 위하여 하부에 한 쌍의 카고 컨테이너를 매달고 상기 크레인의 수평방향 갠트리를 따라 왕복운동 하도록 장착된 한 쌍의 평행하게 정렬된 컨테이너 이송 트롤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 상기 크레인의 갠트리 상에 장착된 한 쌍의 동기적으로 구동된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구동 드럼은 막다른(deadended) 갠트리의 단부로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와이어 로프를 작동시키며, 상기 와이어 로프 쌍들은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해 상기 트롤리 하부에 매달린 리프팅 스프레더 헤드블록 상에 플리트 통과 시브를 통하고 상기 트롤리 상의 플리트 통과 시브를 통해 연장되며(reeved), 상기 각각의 와이어 로프 쌍은 상기 스프레더의 마주보는 두 단부를 매달고(suspend);
- 상기 트롤리의 각각의 마주보는 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 로프를 구동하며 상기 트롤리 중 한 트롤리의 마주보는 단부에 장착된 한 쌍의 와이어 로프 시브 구동 드럼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 상의 상기 시브 구동 드럼은 기계장치 하우스 내에 배열된 메인 구동 드럼에 무관한 회전 속도를 가질 수 있는데, 여기서 리프팅 스프레더는 독립적으로 올라가고 내려갈 수 있는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의한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방법.In the twin lift cargo container processing method by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The method is:
Providing a pair of parallel aligned container transfer trolleys mounted to suspend a pair of cargo containers at the bottom and reciprocate along a horizontal gantry of the crane to simultaneously transport containers between pick-up and unloading positions. Includes;
Providing a pair of synchronously driven main wire rope drive drums mounted on the gantry of the crane, each drive drum extending outwardly to an end of a deadended gantry; Operating a pair of wire ropes, the wire rope pairs reeved through a pleat passing sheave on a lifting spreader headblock suspended by the wire rope through the pleat passing sheave on the trolley, Each pair of wire ropes suspends two opposite ends of the spreader;
Providing a pair of wire rope sheave drive drums for driving the pair of wire ropes at each opposite end of the trolley and mounted at opposite ends of one of the trolleys, The sheave drive drum may have a rotational speed independent of the main drive drum arranged in the machinery house, wherein the lifting spreader can be raised and lowered independently by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상기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과 상기 시브 구동 와이어 로프 드럼의 회전 속도는 아날로그 핸드 스로틀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의한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on speed of the main wire rope drive drum and the sheave drive wire rope drum is controlled by an analog hand throttle.
상기 메인 와이어 로프 구동 드럼과 상기 시브 구동 와이어 로프 드럼의 회전 속도는 컴퓨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와이어 로프 리빙 시스템에 의한 트윈 리프트 카고 컨테이너 처리 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otation speed of the main wire rope drive drum and the sheave drive wire rope drum is controlled by a computer, the twin lift cargo container processing method by a single wire rope liv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US2009/050599 WO2011008200A1 (en) | 2009-07-14 | 2009-07-14 | A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tandem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9874A true KR20120049874A (en) | 2012-05-17 |
Family
ID=4344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03327A KR20120049874A (en) | 2009-07-14 | 2009-07-14 | A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tandem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EP (1) | EP2454184A4 (en) |
KR (1) | KR20120049874A (en) |
CN (1) | CN102548889A (en) |
SG (1) | SG177504A1 (en) |
WO (1) | WO2011008200A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8285A (en) * | 2015-06-16 | 2016-12-2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hatch cover and a container ship hav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490667B (en) * | 2011-10-11 | 2015-07-29 | 科世达(上海)管理有限公司 | A kind of automobile central control system |
RU2644568C2 (en) | 2012-07-13 | 2018-02-13 | КОУНКРЭЙНС Глобал Корпорейшен | Device for container transportation |
US9786397B2 (en) | 2012-07-13 | 2017-10-10 |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 Cask transport assembly |
FI124474B (en) * | 2013-03-01 | 2014-09-15 | Konecranes Oyj | Lift repair arrangement in a hoist lift truck |
CN103612982B (en) * | 2013-11-22 | 2016-02-03 |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 Load trolley amplitude changing system of crane and crane |
CN104249973B (en) * | 2014-10-11 | 2016-08-24 | 华电重工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dolly winding system up and down |
CN104340865A (en) * | 2014-10-21 | 2015-02-11 | 太重(天津)滨海重型机械有限公司 | Crane and lifting operation mechanism thereof |
CN105000480A (en) * | 2015-07-17 | 2015-10-28 | 润邦卡哥特科工业有限公司 | Container crane with double main trolleys |
US11655107B2 (en) | 2021-09-10 | 2023-05-23 | Stackloading Systems Ltd. | Systems and methods for moving containers between vehicles and platform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70986A (en) * | 1994-01-03 | 1996-11-05 | Paceco Corp. | Cargo container transfer system for cranes |
US6631816B1 (en) * | 1999-03-18 | 2003-10-14 |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 Hoist |
CN100545076C (en) * | 2003-07-30 | 2009-09-30 |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Container crane capable of lifting dual 40 feet box |
-
2009
- 2009-07-14 KR KR1020127003327A patent/KR20120049874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9-07-14 EP EP09847428A patent/EP2454184A4/en not_active Withdrawn
- 2009-07-14 SG SG2012000501A patent/SG177504A1/en unknown
- 2009-07-14 CN CN2009801605668A patent/CN102548889A/en active Pending
- 2009-07-14 WO PCT/US2009/050599 patent/WO2011008200A1/en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8285A (en) * | 2015-06-16 | 2016-12-26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A hatch cover and a container ship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454184A1 (en) | 2012-05-23 |
WO2011008200A1 (en) | 2011-01-20 |
SG177504A1 (en) | 2012-02-28 |
CN102548889A (en) | 2012-07-04 |
EP2454184A4 (en) | 2013-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49874A (en) | A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tandem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 |
US7559429B1 (en) |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twin lift cargo container handling | |
US6250486B1 (en) | Integrated balanced wire rope reeving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 |
US5538382A (en) | Variable level lifting platform for a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 |
US547818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containers between a ship and a dock | |
US3945503A (en) | Crane with a variable center rope suspension system | |
US20030106870A1 (en) | Buffer bridge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 |
US5570986A (en) | Cargo container transfer system for cranes | |
US5186342A (en) | Integrated passive sway arrest system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 |
JP4312055B2 (en) | Buff straddle crane | |
CA1275072A (en) | Suspended load positioning stabilizing system | |
US5603598A (en) | Guide chut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 |
US6685418B2 (en) | Buffer jib cran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operations | |
JP2009242082A (en) | Container crane | |
US6604904B2 (en) | Method for buffer crane operation in cargo container handling | |
JP4477205B2 (en) | Suspension device for suspended loads | |
EP0827934B1 (en) | A guide chut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 |
KR100222497B1 (en) | A guide chut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 |
EP0952955B1 (en) | Crane | |
JP2019023118A (en) | Bridge crane | |
JP3298488B2 (en) | Container crane | |
AU710704B2 (en) | A guide chut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 |
RU121801U1 (en) | DEVICE FOR UNLOADING BULK CARGOES FROM GANWAGONS | |
JPS6382295A (en) | container adjustment device | |
KR19980039998U (en) | Container transporter with rope trolle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2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