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46910A -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6910A
KR20120046910A KR1020100107682A KR20100107682A KR20120046910A KR 20120046910 A KR20120046910 A KR 20120046910A KR 1020100107682 A KR1020100107682 A KR 1020100107682A KR 20100107682 A KR20100107682 A KR 20100107682A KR 20120046910 A KR20120046910 A KR 20120046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user
li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후정
강수남
손은경
이관재
이동휘
이승희
이충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46910A/ko
Publication of KR2012004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6910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포 장치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해 두고 이의 목록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선택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단말기에 한꺼번에 다운로드 및 설치하도록 배포 장치가 배포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APPLICATION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및 이의 목록을 그룹사별로 배포 장치에 구축하고 사용자의 단말기로 해당 소속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중 선택하여 이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요청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각 그룹사의 배포 장치로부터 한꺼번에 다운로드 및 설치하여 제공받는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및 이동 통신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 기술은 현대인의 생화 패턴을 바꾸어 놓고 있다.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단말기가 보급되어 웹 사이트를 이용한 정보 습득, 전자 상거래를 통한 상품 구매, E-mail을 통한 소식의 교환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음성 통화 위주의 서비스만 제공하였으나, 최근 이동 단말기를 통해서도 인터넷이 가능해 지면서 음성 통화 서비스뿐만 아니라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처럼, 이동 통신 서비스가 발전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도 초기의 음성 통화 위주의 휴대 전화 개념에서 벗어나, 캠코더, 카메라 및 MPS 플레이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로 진화하게 되었다. 또한, 이동 단말기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가 지원할 수 있는 장치들의 개발이 촉진되고 있고, 각 장치들을 응용한 이동 단말기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활용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각 장치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즉, 문자 서비스에 있어서 여러 가지 이모티콘을 넣을 수 있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부터 이동 단말기로 촬영한 사진 및 동영상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거나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음악 파일을 저장하고 재생해 주는 애플리케이션까지 그 종류가 다양해 지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은 현재 이동 통신사에서 주로 제공하고 있지만, 이동 단말기의 운영 체제가 안드로이드(android) 기반으로 활성화되면서 이동 통신사 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제공 업체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로 인해, 애플리케이션의 종류가 무수히 방대해 지면서,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는 데에 불편함이 따르고 있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려면 애플리케이션의 하나를 선택하여 이의 다운로드를 완료한 다음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하였다. 이처럼,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씩만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요되는 시간도 길고 사용자로 하여금 조작의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을 한꺼번에 동시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많은 애플리케이션을 동시 배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휴대 가능한 단말기를 기업 내에서 PC 대용으로 사용할 때 PC와 동일하게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을 선별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업용 오피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시스템은, 각 그룹사별 오피스(OFFIC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배포하는 배포 장치; 상기 각 그룹사별로 오피스 서비스를 위해 설치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및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한 배포 DB; 및 상기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선택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배포 DB에 해당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조회하여 제공받고, 제공받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운로드 장치는, 기업용 오피스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담당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업용 오피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상기 단말기로 한꺼번에 전송하되, 상기 단말기가 다운로드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단말인지의 여부를 조회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만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말기는, 각 그룹사별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배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와 관련된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인스톨러를 탑재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 탑재된 인스톨러가 실행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배포 장치에 접속하여 각 그룹사별로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로 제공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외부의 다운로드 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한꺼번에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말기에서의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방법은, (a)사용자의 단말기에서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인스톨러를 실행하여 배포 장치로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b)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배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 및 관계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c)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표시부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중 선택하는 단계; 및 (d)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다중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다운로드 장치로 요청하고 요청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다운로드 장치로부터 한꺼번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방법은, (a)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목록이 요청되면 배포 장치가 배포 DB에 저장된 해당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b) 다운로드 장치가 상기 배포 장치에서 제공한 애플리케이션 목록 중 원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배포 DB에 해당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조회하여 제공받는 단계; (c)상기 다운로드 장치가 상기 배포 DB로부터 제공받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중 선택하여 한꺼번에 다운로드 및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그룹사별로 기업의 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어 그룹사 구성원들로 하여금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때 사용자 인증에 성공한 경우만 가능하게 설정함으로써 무분별한 다운로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배포 DB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 그룹사별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보여주고 이의 메뉴 조작을 위한 화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참고로, 이하에서 언급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단말기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특정 기업의 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포 DB에 저장된 정보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시스템은 사용자의 단말기(100)와 배포 장치(200), 배포 DB(300), 다운로드 장치(400), 단말정보 관리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통신망을 통해 배포 장치(200) 및 다운로드 장치(400)에 접속이 가능하고, 다운로드 장치(400)에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면 배포 장치(200)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스마트 폰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가 적합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단말기라면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PC, PDA, 디지털 카메라, 웹 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100)의 구성은 하기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배포 장치(2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제공하고, 다운로드 장치(400)로부터 다운로드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이 있으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배포 장치(200)는 각 단말기(100)가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및 이의 상세 정보,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각 애플리케이션별로 설치 가능한 단말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배포 DB(30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배포 장치(200)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목록이 요청되면 배포 DB(300)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하여 해당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이때, 배포 DB(300)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그룹사별로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배포 장치(200)에서 해당 그룹사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그룹사별 구성원들에게만 특화하여 배포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사는 기업 단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룹사에는 자회사 외 동일 계열의 관계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그룹사에 포함되는 여러 관계사들을 소그룹으로 구분하고, 소그룹은 관계사뿐만 아니라 작은 의미로서 그룹사 내 여러 부서를 포함한다.
이처럼, 각 그룹사, 또는 그룹사 내 소그룹에 해당하는 구성원들에게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서는 그룹사 또는 소그룹에 속하는 구성원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배포 장치(200)는 부가적으로, 각 그룹사의 인사 DB와 연동하여 해당 그룹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가입자 정보에 따라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배포 DB(300)에 저장된 정보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포 DB(300)는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310)와, 가입자에 관한 정보(320), 단말 정보(330),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340)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310)는 해당 그룹사 내 소그룹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별로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전체(All: 312), 베스트(Best: 314), 신규 등록(New: 316), 버전 업데이트(Update: 318) 등 배열 방식에 따라 여러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소그룹별로 해당 애플리케이션 및 이의 상세 정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312)는 각 그룹별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목록을 가나다 또는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고, 베스트(314)는 각 그룹별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횟수가 높은 순위부터 베스트 3, 5, 10 등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배열한 카테고리이며, 신규 등록(316)은 각 그룹별로 신규 등록된 애플리케이션을 배열한 목록이다. 버전 업데이트(318)는 버전이 업데이트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의미한다. 여기서, 베스트(314), 신규 등록(316), 버전 업데이트(318)는 일정 기간을 정해두고, 일정 기간내에서는 해당 정보들을 유지하였다가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신규 등록(316) 및 버전 업데이트(318)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전체(312)로 갱신하고, 베스트(314)는 다시 베스트 순위를 산정하여 갱신할 수 있다. 베스트 순위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횟수 또는 조회 횟수 등을 고려하여 산정할 수 있다.
가입자에 관한 정보(320)는 각 그룹사에 소속되는 가입자의 정보 즉, 소속되는 소그룹, 직급 등을 포함한 인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기본적인 인사 정보는 해당 그룹사의 인사 DB와 연동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단말 정보(330)는 해당 그룹사에서 제공하는 각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단말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340)는 사용자의 단말기(100)가 다운로드한 이력을 저장한 것으로, 해당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다운로드 요청 정보를 다운로드 장치(400)로부터 제공받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다운로드 이력은 다운로드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와 단말기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340)는 각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베스트(314)를 선정할 때 통계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는 단말기(100)에서 해당 소그룹의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표시할 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의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배포 DB(300)는 배포 장치(200)와 별도 구비될 수 있고, 또는 배포 장치(200) 내에 구축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운로드 장치(400)는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즉, 사용자의 단말기(100)로부터 다수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한 다수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DB(300)에 조회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다운로드 장치(400)는 단말정보 관리장치(500)에 사용자의 단말기(100)에 대한 정보를 직접 조회하여 사용자의 단말기(100)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단말기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예를 들어, 다운로드 장치(400)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로부터 다중 선택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단말기(100)가 설치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여 설치 가능한 것만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가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 불가임을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 장치(400)는 사용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면 배포 DB(300)에 이의 다운로드 이력 정보를 전송하여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등을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통신망을 통해 배포 장치(도 1의 200) 및 다운로드 장치(도 1의 400)에 접속하여 각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키 패널이 구비되어 키 패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20)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 및 애플리케이션의 선택 등 인스톨에 관련된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다.
표시부(140)는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요청 및 선택 등 인스톨에 관련된 화면을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준다.
저장부(150)는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을 위한 설치 프로그램(152: 이하 인스톨러)를 탑재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50)는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미리 저장해 둘 수 있다. 이는 인스롤러가 실행되면 저장부(15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바로 읽음으로써 각 장치와의 연동 없이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은 전원 온/오프시나 정해둔 일정 주기, 사용자의 요청 등 이벤트 발생시마다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한편, 입력부(120)로부터 인스톨러(152)의 실행이 요청되면 저장부(150)에 탑재된 인스톨러(152)를 읽어 와 실행한 다음, 배포 장치(도 1의 200) 또는 저장부(150)로부터 단말기가 속한 그룹사 또는 그룹사의 소그룹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과 화면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목록과 화면 구성 정보를 표시부(140)로 전달하고,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다운로드 장치(400)로 전달하여 다운로드를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을 한꺼번에 다운로드 받는다.
화면 구성 정보는 그룹사별, 카테고리별로 다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소속해 있는 그룹사 또는 관계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해 주는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 목록 표시 화면, 현 그룹사 외 다른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해 주기 위한 보기 옵션 메뉴 화면,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보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보기 화면,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다운로드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의 화면 구성에 대해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그럼, 이렇게 구성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기(100)가 통신망을 통해 웹 사이트의 배포 장치(200)에 접속한다(S101).
단말기(100)는 접속한 배포 장치(200)로부터 인스톨러를 제공받는다(S102).
이를 위해 배포 장치(200)는 단말기(100) 내에 인스톨러가 다운로드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즉, 단말기(100)가 배포 장치(200)에 접속하게 되면 배포 장치(200)는 단말기(100)에 애플리케이션의 인스톨을 위한 인스톨러가 다운로드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단말기(100)에 이미 인스롤러가 존재하면 다운로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신규 가입된 단말기이거나 인스톨러가 존재하지 않는 단말기(100)이면 배포 장치(200)로부터 인스톨러를 제공받아 다운로드한다.
이후, 단말기(100)가 인스톨러를 실행한다(S103).
인스톨러의 실행과 동시에 단말기(100)는 배포 장치(200)에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요청한다(S104). 이때, 단말기(100)는 배포 장치(200)로 애플리케이션 목록의 요청 정보와 함께 단말 정보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배포 장치(200)는 수신한 단말 정보를 배포 DB(300)에 조회하여 가입자의 등록 여부를 조회하고 이를 통해 단말기(100)가 속한 그룹사를 확인한다(S105).
그리고, 배포 장치(200)는 확인한 그룹사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정보를 조회하여 조회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정보와 화면 구성 정보를 해당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06, S107).
단말기(100)는 배포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 정보를 화면 구성 정보와 함께 표시한다(S108). 표시된 단말기의 화면은 도 5의 [10]화면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도 5의 [10]화면을 참조하면,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을 전체(ALL), 베스트(BEST), 신규 등록(NEW)과 같이 세 개의 카테고리(11)로 표시하고, 이 카테고리(11)는 단말기가 속한 즉, 단말기의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를 기준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속한 그룹사가 'AAA'과 같이 자회사의 경우 그룹 공통 항목(12) 및 관계사의 그룹 애플리케이션(13), 관계사 특화(14)까지 모든 어플리케이션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단말기가 관계사(그룹사의 소그룹)에 소속된 경우 그룹 공통 항목(12)을 제외하고 소그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목록만 표시된다.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신규 등록, 버전 업데이트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에는 식별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렇게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 표시 화면에서, 메뉴 조작을 통해 단말기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중 선택한다(S109, S110).
단말기(100)는 다중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다운로드 장치(400)로 요청하고, 다운로드 장치(400)는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배포 DB(300)에 조회하면서 단말정보 관리장치(500)에 요청한 단말기(100)에 대한 단말 정보를 조회한다(S111 내지 S113).
조회한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다운로드 장치(400)는 배포 DB(300)에 다운로드 가능한 단말인지를 확인한다(S114).
다운로드 가능한 단말기이면 다운로드 장치(400)는 해당 단말기(100)로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중 전송하고, 배포 장치(200)에 다운로드 이력을 저장한다(S115,S117).
이후, 단말기(100)는 다운로드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애플리케이션을 한꺼번에 동시 다운로드하고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받는다(S116).
상기의 과정에서 메뉴 조작(S109)을 위한 화면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에는 초기 화면에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하는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 목록 표시 화면(10)을 표시한다.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 목록 표시 화면(10)은 단말기가 속한 AAA'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그룹 공통 항목(12) 및 특정 관계사에 해당하는 애플리케이션(13), 관계사 특화(14)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세부적으로 각 분류를 전체(ALL), 베스트(BEST), 신규 등록(NEW)과 같이 세 개의 카테고리(11)로 구분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소속된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을 전체로 또는 다운로드 횟수가 많은 순위인 베스트로, 또는 신규 등록 등 원하는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에서 다른 그룹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확인하고 싶으면 보기 옵션(22)을 표시한 보기 옵션 메뉴 화면(20)을 표시한다. 보기 옵션 메뉴 화면(20)을 통해 그룹사의 변경이 가능하다.
보기 옵션 메뉴 화면(20)에서 해당 보기 옵션 메뉴(22)를 실행하면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 'AAA' 외 다른 그룹 관계사1, 관계사2, 관계사3, 관계사4 등의 목록이 표시되고 표시된 목록에서 원하는 그룹(소그룹)을 선택할 수 있는 소그룹 선택 화면(30)을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현재 단말기에 표시된 그룹사 외 다른 그룹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확인할 수가 있다.
상기 보기 옵션 메뉴 화면(20)에서 원하는 그룹을 선택하면 선택한 그룹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배포 장치로부터 읽어 와 해당 소그룹의 애플리케이션 목록 표시 화면(40)을 표시한다. 이의 표시 방법은 초기 화면인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 목록 표시 화면(10)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정보와 함께 다운로드 실행이 가능한 메뉴가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상세 정보 화면(50)을 표시한다. 이러한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고 다운로드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보기 옵션 메뉴 화면(20)에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전체 카테고리에서 베스트 카테고리로, 또는 신규 등록 카테고리로 변경하여 카테고리별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은 도 6의 [60], [70]에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상기 화면들에서 애플리케이션 목록은 각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애플리케이션명, 애플리케이션 소속 그룹명, 등록일(YY.MM.DD), 버전, 다운로드 건수, 설치 여부(단말기에 이미 설치된 경우 '설치됨'으로 표시됨)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미지 정보가 없는 경우 dummy로 표시하고, 이미지에 신규 등록 또는 버전 업데이트에 대한 식별 아이콘을 첨부할 수 있다. 신규 등록 또는 버전 업데이트 정보는 1개월간 유지되며 기간이 경과하면 해당 식별 아이콘은 삭제된다.
따라서, 상기의 화면들을 통해 기업에 필요한 오피스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자신이 소속된 그룹의 애플리케이션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종래 모바일용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는 서버로부터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씩 선택하고 다운로드 함에 따라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은 배포 장치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해 두고 이의 목록을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선택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의 단말기에 한꺼번에 다운로드 및 설치하도록 배포함으로써 모바일 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기업용 오피스(office)에 활용시 구성원들에게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제공하고 구성원들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한꺼번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로 적용함으로써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다.
100: 단말기 200: 배포 장치
300: 배포 DB 400: 다운로드 장치
500: 단말정보 관리장치 310: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
320: 가입자에 관한 정보 330: 단말 정보
340: 사용 이력에 관한 정보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입력부 130: 제어부
140: 표시부 150: 저장부
152: 인스톨러(installer)

Claims (16)

  1. 각 그룹사별 오피스(OFFICE)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배포하는 배포 장치;
    상기 각 그룹사별로 오피스 서비스를 위해 설치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및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한 배포 DB; 및
    상기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사용자의 단말기가 선택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배포 DB에 해당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조회하여 제공받고, 제공받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다운로드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용 오피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포 장치는,
    각 그룹사의 인사 DB와 연동하여 해당 그룹사에 등록된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가입자 정보에 따라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용 오피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시스템.
  3. 기업용 오피스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담당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기업용 오피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데이터베이스에 조회하여 상기 단말기로 한꺼번에 전송하되,
    상기 단말기가 다운로드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단말인지의 여부를 조회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만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기업용 오피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는 단말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장치는,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 다운로드 이력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횟수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로드 장치.
  6. 각 그룹사별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배포 장치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와 관련된 조작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와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인스톨러를 탑재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 탑재된 인스톨러가 실행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배포 장치에 접속하여 각 그룹사별로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구성하여 상기 표시부로 제공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면 외부의 다운로드 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한꺼번에 다운로드받아 설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은,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 또는 관계사의 모든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하는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 목록 표시 화면, 현 그룹사 외 다른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해 주기 위한 보기 옵션 메뉴 화면,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보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보기 화면,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다운로드 화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 목록 표시 화면은,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그룹 공통 항목, 특정 관계사, 관계사 특화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상기 분류를 배열 방식에 따라 전체, 베스트, 신규 등록의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은, 각 애플리케이션의 이미지, 애플리케이션명, 애플리케이션 소속 그룹명, 등록일(YY.MM.DD), 버전, 다운로드 건수, 설치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a)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각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위한 인스톨러를 실행하여 배포 장치로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상기 배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 및 관계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표시부에 표시된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중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다중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다운로드 장치로 요청하고 요청한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다운로드 장치로부터 한꺼번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 및 관계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할 때 화면 구성 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구성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 및 관계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카테고리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하는 그룹사별 애플리케이션 목록 표시 화면, 현 그룹사 외 다른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제공해 주기 위한 보기 옵션 메뉴 화면, 애플리케이션의 목록에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보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상세 보기 화면,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는 다운로드 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각 화면에서 메뉴 조작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방법.
  13. (a)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소속된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목록이 요청되면 배포 장치가 배포 DB에 저장된 해당 그룹사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b) 다운로드 장치가 상기 배포 장치에서 제공한 애플리케이션 목록 중 원하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배포 DB에 해당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조회하여 제공받는 단계;
    (c)상기 다운로드 장치가 상기 배포 DB로부터 제공받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배포 장치는 각 그룹사의 인사 DB와 연동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해당 그룹사에 등록된 가입자인지를 확인하고 가입자의 정보에 따라 설치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다운로드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다운로드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단말인지 여부를 조회하여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만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다운로드가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다운로드 불가임을 알려 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하여 단말 조회를 하기 전에 단말정보 관리 장치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단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업용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방법.
KR1020100107682A 2010-11-01 2010-11-01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 Ceased KR20120046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82A KR20120046910A (ko) 2010-11-01 2010-11-01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7682A KR20120046910A (ko) 2010-11-01 2010-11-01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6910A true KR20120046910A (ko) 2012-05-11

Family

ID=4626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682A Ceased KR20120046910A (ko) 2010-11-01 2010-11-01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469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496A1 (ko) * 2015-04-03 2016-10-0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보안 기능이 추가된 애플리케이션 배포 방법,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496A1 (ko) * 2015-04-03 2016-10-06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보안 기능이 추가된 애플리케이션 배포 방법,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US10216941B2 (en) 2015-04-03 2019-02-26 Line Corporation Method of distributing application with security featur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appli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4488B2 (en) Web content distribution to personal cellular telecommunications devices
CN101448247B (zh) 在远程设备上更新数据
US8838087B1 (en) Provisioning system and methods for interfaceless phone
CN105812479B (zh) 使用权限的请求方法和装置及获取方法和装置
US20210258210A1 (en) Data driven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device settings
CN101895873A (zh) 移动终端的Java应用的更新方法、服务器和移动终端
CN101296044A (zh) 管理用户日程表的设备和方法
CN102932325A (zh) 应用程序的注册用户
CN103906034A (zh) 移动应用提供方法、服务器
CN101330674A (zh) 一种动态更新手机软件菜单的方法
EP2635073A1 (en) Access point selection based on number of successful connections
CA2674405C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y of retail-channel-specific content to a media device
JP2010198473A (ja) 携帯端末およ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転送方法
JP5520262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システム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提供方法
KR20120046910A (ko) 기업 오피스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배포 시스템 및 방법
JP4531037B2 (ja)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方法
JP6445346B2 (ja) 広告サーバ、広告システム及び分配方法
KR20120043382A (ko)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시스템 및 방법
JP5769786B2 (ja) サーバ、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1753590A (zh) 一种用于远程管理应用的装置和方法
JP6070182B2 (ja) 端末装置、コンテンツサーバ、コンテンツ閲覧システム、閲覧履歴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10232A (ko) 문자 메시지 대량 전송방법
KR101418038B1 (ko) 웹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72971B1 (ko) 이웃 연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5826A (ko) 단말간 애플리케이션 이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9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