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5816A - Robot bonucer - Google Patents
Robot bonuc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5816A KR20120045816A KR1020100107633A KR20100107633A KR20120045816A KR 20120045816 A KR20120045816 A KR 20120045816A KR 1020100107633 A KR1020100107633 A KR 1020100107633A KR 20100107633 A KR20100107633 A KR 20100107633A KR 20120045816 A KR20120045816 A KR 201200458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module
- axis motion
- lower plate
- guide rail
- horizont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7—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resiliently suspended or supported, e.g. baby bounc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47D9/057—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driven by electric mo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11—Baby bounc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로봇바운서가 제공된다. 제공된 로봇바운서는 개방공간이 상부에 마련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공간을 통해 그 일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로 돌출된 승하강축; 상기 승하강축의 상단에 연결바를 매개체로 연결된 시트; 상기 본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축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축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승하강축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이 상부플레이트와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신축링크체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높이구동체를 포함하는 Z축 모션 모듈; 상기 Z축 모션 모듈의 하부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된 수평가이드체와, 상기 수평가이드체를 안내하는 수평가이드레일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체로 구성된 X축 모션 모듈; 상기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가이드레일 하부에 설치된 수직가이드체와, 상기 수직가이드체를 안내하는 수직가이드레일 및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을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구동체로 구성된 Y축 모션 모듈; 및 상기 본체의 소정부에 구비되며, 상기 높이구동체와 상기 수평구동체와 상기 수직구동체의 선택적인 구동과 이들의 구동시간 및 속도조절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구비된 콘트롤부; 로 구성된다.Robot bouncers are provided. The provided robot bouncer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open space provided thereon; A lifting shaft, a part of which is projected upward through the open space of the main body; A sea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via a connecting bar;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in a state embedded in the main body to move the elevating shaf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lower plate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hafts and the lower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A Z-axis motion module including an elastic link member interconnecting upper and lower plates and a height driver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to move the upper plate up and down; X axis consisting of a horizontal guide body installed under the lower plate of the Z axis motion module, a horizontal guide rail for guiding the horizontal guide body, and a horizontal driving body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to move the lower plat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Motion module; A vertical guide body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guide rail of the X-axis motion module, a vertical guide rail for guiding the vertical guide body, and a vertical guide bod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guide rail to move the horizontal guide rail forward and backward; Configured Y-axis mo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provid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control circuit unit for controlling the selective driving of the height driver, the horizontal driver and the vertical driver, and their driving time and speed adjustment. It consists of.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운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를 시트에 눕힌 상태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시트를 바운싱시켜서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는 로봇바운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unc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bouncer that gives comfort to the infant by bounce the sheet in various directions while the infant is lying on the sheet.
주지하다시피, 바운서는 아기를 놓을 수 있는 시트(의자)를 진동시키거나 바운드시키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As is well known, a bouncer means a device for vibrating or binding a seat (chair) on which a baby can be placed.
이와 같은 바운서의 선행 기술은 다양한 타입의 시트를 제안하고 있다.The prior art of such a bouncer proposes various types of sheets.
미국 특허 번호 제 6,574,806호는 크랭크 아암 내지 시트(의자)의 상단에 크랭크 아암과 스트랩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의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U. S. Patent No. 6,574, 806 describes a device for vibrating a seat (chair) comprising a crank arm and a strap member on top of the crank arm to the seat (chair).
미국 특허 번호 제 5,342,113호는 모터와 샤프트에 의해 구동된 회U.S. Patent No. 5,342,113 describes a drive driven by a motor and a shaft.
전 아암을 포함하는 시트(의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A device for vibrating a seat (chair) comprising a forearm is described.
미국 특허 번호 제 6,774,589호는 양방향으로 의자 위의 자기성 부재를 끌어당기는 작용을 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시트(의자)를 진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U. S. Patent No. 6,774, 589 describes a device for vibrating a seat (chair) comprising a solenoid which acts to pull the magnetic element on the chair in both directions.
상기의 선행 기술들 중 미국 특허 번호 제 6,574,806호와 제 5,342,113호는 각, 각 크랭크 아암 또는 회전 아암을 이용하여 시트(의자)를 승, 하강시키는 진동구조를 채택하고 있고, 미국 특허 번호 제 6,774,589호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시트를 평면상에서 전, 후 또는 좌, 우로 회동시키는 진동구조를 채택하고 있어서 시트에 놓인 유아가 안락감을 느끼기에는 한계가 뒤따른다. 다시 말하면, 상기의 선행 기술들은 유아가 놓이는 시트를 승, 하강하거나 평면에서 전, 후 또는 좌?우로 회동하도록 작동함에 따라서 단순한 동작에 의해 시트에 놓인 유아, 특히 뒤척임이 심하고 예민한 유아의 경우에는 안락감을 느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Among the above prior arts, US Pat. Nos. 6,574,806 and 5,342,113 employ a vibrating structure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seat (chair) by using each crank arm or a rotating arm, and US Pat. No. 6,774,589. It uses a vibration structure that rotates the seat forward, backward or left and right on a plane using solenoids, which limits the comfort of the infant lying on the seat. In other words, the above prior arts operate to move the seat on which the baby is placed to move up, down, or to rotate forward, backward, or left and right in a plane, so that the child is placed comfortably in a simple mo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severe torsion and sensitive infants.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feel.
한편, 미국 공개 특허 US 2007-0262627 A1에서는 시트를 평면상에서 상, 하 또는 전, 후 또는 좌, 우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종래에 비해 다양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유아용 모션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의 미국 공개 특허 US 2007-0262627 A1은 시트의 상?하 동작, 전, 후 동작 및 좌, 우 동작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 동작을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유아에게 안락감을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On the other hand, US Patent Publication US 2007-0262627 A1 has been proposed a motion device for infants that can implement a variety of operations compared to the prior art by configuring the sheet to be operated in a plane up, down or before, after, left, right. However, the above-mentioned U.S. Patent Application US 2007-0262627 A1 is not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perform the upper and lower motions, the front and rear motions, and the left and right motions of the seat, but to provide comfort to the infant as it is configured to perform each motion individually. There is a limit to thi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바운서들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general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bouncer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트의 상?하 동작, 좌, 우 동작 및 전, 후 동작을 동시에 구현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한가지 동작 또는 두 가지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아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모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유아에게 최대한의 안락감을 줄 수 있는 로봇바운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the upper and lower motions, the left and right motions and the front and rear motions of the seat at the same time as well as to configure one or two motions as need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fant It is to provide a robot bouncer that can give the maximum comfort to the infant by enabling a variety of motion to fi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각 동작을 구현함에 있어, 속도조절 및 시간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필요에 따라 시트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이러한 각도조절을 통해 유아를 다양한 형태로 누일 수 있는 로봇바운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in implementing each opera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speed and time, and to change the angle of the seat as needed, as well as to lie the infant in various forms through such angle adjustment To provide a robot bouncer.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As a 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개방공간이 상부에 마련된 본체;A main body having an open space provided thereon;
상기 본체의 개방공간을 통해 그 일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로 돌출된 승하강축;A lifting shaft, a part of which is projected upward through the open space of the main body;
상기 승하강축의 상단에 연결바를 매개체로 연결된 시트;A sea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via a connecting bar;
상기 본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축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축을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승하강축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이 상부플레이트와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 하부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신축링크체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높이구동체를 포함하는 Z축 모션 모듈;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in a state embedded in the main body to move the elevating shaf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lower plate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hafts and the lower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A Z-axis motion module including a stretchable link body interconnecting upper and lower plates and a height driving body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to move the upper plate up and down;
상기 Z축 모션 모듈의 하부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된 수평가이드체와, 상기 수평가이드체를 안내하는 수평가이드레일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체로 구성된 X축 모션 모듈;X axis consisting of a horizontal guide body installed under the lower plate of the Z axis motion module, a horizontal guide rail for guiding the horizontal guide body, and a horizontal driving body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to move the lower plat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Motion module;
상기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가이드레일 하부에 설치된 수직가이드체와, 상기 수직가이드체를 안내하는 수직가이드레일 및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을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구동체로 구성된 Y축 모션 모듈; 및A vertical guide body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guide rail of the X-axis motion module, a vertical guide rail for guiding the vertical guide body, and a vertical guide bod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guide rail to move the horizontal guide rail forward and backward; Configured Y-axis motion module; And
상기 본체의 소정부에 구비되며, 상기 높이구동체와 상기 수평구동체와 상기 수직구동체의 선택적인 구동과 이들의 구동시간 및 속도조절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구비된 콘트롤부; 를 포함하는 로봇바운서를 구비한다.A control uni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including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elective driving of the height driver, the horizontal driver and the vertical driver, and their driving time and speed control; It includes a robot bouncer comprising a.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시트는 유아를 바르게 눕힐 수 있는 오목면과 유아를 엎어지게 눕힐 수 있는 볼록면이 구비되도록 타원형플레이트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구조로 구성할 수 있고, 이 시트를 소정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시트와 상기 연결바의 결합부위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힌지축과 이 힌지축에 나사고정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각도조절체를 설치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heet can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oval plate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concave surface for lying down the infant and the convex surface for lying down the infant, the sheet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order to rotate the seat and the connecting bar of the coupling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er consisting of a hinge shaft having a thread and a stopper screwed to the hinge shaft.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는 상기 오목면과 상기 볼록면에 섬유 및 합성수지로 된 쿠션층을 마련할 수 있고, 상기 오목면과 상기 볼록면에는 유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띠를 설치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heet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 layer made of fibers and synthetic resin on the concave surface and the convex surface, and the seat belt may be provided on the concave surface and the convex surface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infant.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Z축 모션 모듈의 높이구동체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원화하는 교차축기어 및 이 교차축기어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교차축기어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작동시키는 제1, 제2링크체로 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eight driver of the Z-axis motion module is a drive motor, a cross shaft gear for dualiz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nd the cross shaft gear transmitted from the cross shaft gear in a state connected to the cross shaft gear and the upper plate. It can be configured as a first and second link body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into a linear motion to move the upper plate up and down.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구동체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편에 나사결합된 볼스크류 및 이 볼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orizontal drive body of the X-axis motion module includes a guide piec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 ball screw screwed to the guide piece, and a drive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ball screw. can do.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구동체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orizontal drive body of the X-axis motion module includes a rack gea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a drive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can do.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구동체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로드 및 이 로드를 전개, 수축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horizontal drive body of the X-axis motion module may include a rod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hydraulic cylinder that expands and contracts the rod.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Y축 모션 모듈의 수직구동체는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의 소정부에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와, 이 볼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vertical drive body of the Y-axis motion module may include a ball screw screw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and a drive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ball screw.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Y축 모션 모듈의 수직구동체는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의 소정부에 설치된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vertical drive body of the Y-axis motion module includes a rack gea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a drive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can do.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Y축 모션 모듈의 수직구동체는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로드 및 이 로드를 전개, 수축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vertical drive body of the Y-axis motion module may include a rod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and a hydraulic cylinder that expands and contracts the r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는 X축, Y축, Z축 모션 모듈에 의해 시트의 상?하 동작, 좌, 우 동작 및 전, 후 동작을 동시에 구현하거나 필요에 따라 한가지 모션 또는 두 가지 모션을 선택할 수 있고, 각 모션 모듈의 속도 및 구동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유아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모션을 구현할 수 있어, 유아에게 최대한의 안락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봇바운서는 시트가 오목면 또는 볼록면을 갖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시트의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서 유아를 다양한 형태로 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ultaneously implements the upper and lower motions, the left and right motions, and the front and rear motions of the seat by the X-axis, Y-axis, and Z-axis motion modules, or one motion or two as necessary. Branch motion can be selected, and the motion and speed of each motion module can be controlled to implement various mo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fant, thereby providing maximum comfort to the infant. In addition, the robot bounc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concave surface or a convex surface and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ange such a shee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lie the infant in various for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의 핵심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의 핵심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의 핵심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에 있어, 시트의 위치변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에 있어, Z축 모션 모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에 있어, X축 모션 모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에 있어, Y축 모션 모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에 있어,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구동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에 있어, Y축 모션 모듈의 수직구동체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에 있어,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구동체와 Y축 모션 모듈의 수직구동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for explaining the key components of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key components of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for explaining the key components of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for explaining the position change state of the seat in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Z-axis motion module in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X-axis motion module in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Y-axis motion module in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rizontal drive of the X-axis motion module in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vertical drive of the Y-axis motion module in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horizontal drive body of the X-axis motion module and the vertical drive body of the Y-axis motion module in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봇바운서(1)는 본체(2)와, 승하강축(31), 시트(3), Z축 모션 모듈(4), X축 모션 모듈(5), Y축 모션 모듈(6) 및 콘트롤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the
상기 본체(2)는 상부에 개방공간(21)이 마련된 함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체(2)는 상기의 각 모션 모듈(4,5,6)의 구동시 움직임에 의해 본체(2)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에 비해 하부에 넓은 면적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개방공간(21)은 상기의 각 모션 모듈(4,5,6)들의 구동과 대응하게 움직이는 승하강축의 동작공간인데, 이러한 개방공간(21)은 유연소재, 예컨대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된 유연소재를 덮개(22)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덮개(22)는 상기 승하강축(31)의 소정부와 상기 본체(2)의 소정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상기 승하강축(31)은 원형봉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승하강축(31)은 상기 본체(2)의 개방공간(21)을 통해 그 일부가 상기 본체(2)의 상부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승하강축(31)의 상단에는 연결바(32)를 매개체로 시트(3)가 연결된다. The lifting and lowering
이때, 상기 연결바(32)는 "V"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연결바(32)와 시트(3)와의 결합부위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힌지축(371 : 시트에 마련됨.)과 이 힌지축(371)에 나사고정되는 스토퍼(372)로 구성되는 각도조절체(37)를 두어 시트(3)를 소정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또한, 상기 시트(3)는 금속제 또는 고강도합성수지재 등으로 된 타원형 플레이트(35)를 소정각도로 절곡한 구조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트(3)는 상부면이 유아를 바르게 눕힐 수 있는 오목면(33)으로 구성되고, 하부면은 유아를 엎어지게 눕힐 수 있는 볼록면(34)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시트(3)는 유아에게 쿠션감에 의한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상기 오목면(33)과 상기 볼록면(34)에 섬유 및 합성수지로 된 쿠션층(36)을 마련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오목면(33)과 볼록면(34)에는 유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띠(38), 예컨대 일반적으로 유아의 엉덩이 부분에 체결되어 유아를 구속하며, 섬유재로 된 띠가 버클 등에 의해 장, 탈착되는 안전띠(3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시트(3)는 상기한 각도조절체(37)에 의해 소정각도로 위치변경이 가능함에 따라 유아가 좋아하는 자세에 맞게 시트(3)의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형태변경이 가능한 것이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상기 Z축 모션 모듈(4)은 상기 본체(2)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축(31)의 하단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Z축 모션 모듈(4)은 상기 승하강축(31)의 하부가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41)와, 이 상부플레이트(41)와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플레이트(42)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41,42)를 상호 연결하는 신축링크체(43), 예컨대 "X" 형태로 연결되는 신축링크체(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승하강축(31)이 연결된 상기 상부플레이트(41)는 상기 신축링크체(43)에 가이드 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는 동작구조를 갖는다. The Z-
아울러, 상기 Z축 모션 모듈(4)은 상기 상부플레이트(41)를 승하강 구동시키기 위한 높이구동체(44)가 상기 하부플레이트(42)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높이구동체(44)는 구동모터(441), 예컨대 감속기가 포함되어 있는 구동모터(441)와, 이 구동모터(441)의 동력을 이원화하는 교차축기어(442), 즉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441)와 연결된 구동베벨기어(442a)와 이 구동베벨기어(442a)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구동베벨기어(442a)에 대하여 수직된 양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 제2종동베벨기어(442b)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교차축기어(4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높이구동체(44)는 상기 교차축기어(442)에 있어, 제1,제2종동베벨기어(442b)에 그 일단이 각, 각 연결되고, 그 타단은 상기 상부플레이트(41)에 연결되는 제1, 제2링크체(443,443'), 예컨대 2개의 관절로 이루어진 제1, 제2링크체(443,44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Z축 모션 모듈(4)은 상기 높이구동체(44)의 구동모터(441) 회전력이 구동베벨기어(442a)와 제1, 제2종동베벨기어(442b)를 통해 제1, 제2링크체(443,443')에 전달되고, 상기 제1, 제2링크체(443,443')는 상기 제1, 제2종동베벨기어(442b)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상부플레이트(41)를 승하강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승하강축(31)을 상,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In addition, the Z-
X축 모션 모듈(5)은 상기 Z축 모션 모듈(4)의 하부플레이트(42)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X축 모션 모듈(5)은 상기 하부플레이트(42)의 하부 소정부에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통상의 롤러 및 바퀴 등이 적용되는 수평가이드체(51)와, 상기 수평가이드체(51)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하부플레이트(42)의 하부에 나란한 형태로 배열되는 수평가이드레일(52)와, 상기 하부플레이트(42)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42)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체(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평구동체(53)는 상기 하부플레이트(42)의 하부면, 예컨대 상기 수평가이드레일(52)의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편(531)과, 상기 가이드편(531)에 나사결합된 볼스크류(532) 및 이 볼스크류(532)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5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구동모터(533)는 상기 수평가이드레일(52)들의 사이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534)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편(531)과 상기 볼스크류(532)는 통상의 LM가이드시스템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X축 모션 모듈(5)은 상기 수평구동체(53)의 볼스크류(532)가 구동모터(533)에 의해 정, 역회전하여 가이드편(531)을 이동시킴에 따라 이 가이드편(531)이 연결된 하부플레이트(42)를 좌, 우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Z축 모션 모듈(4)을 평면상에서 좌, 우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된다. The
Y축 모션 모듈(6)은 상기 X축 모션 모듈(5)의 수평가이드레일(52) 하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Y축 모션 모듈(6)은 상기 수평가이드체(51)와 대응하는 구조의 수직가이드체(61)와, 상기 수직가이드체(61)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수평가이드체(5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수직가이드레일(62)과, 상기 수평가이드레일(52)에 연결되어 이 수평가이드레일(52)을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구동체(6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구동체(63)은 상기 수평가이드레일(62)의 소정부, 예컨대 상기 X축 모션 모듈(5)의 수평구동체(53)가 설치되는 반대편 위치하는 수평가이드레일(52)의 끝단부에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631)와, 이 볼스크류(631)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632), 즉 상기 본체(2)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되는 구동모터(6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Y축 모션 모듈(6)은 상기 수직구동체(63)의 볼스크류(631)가 구동모터(632)에 의해 정, 역회전하여 수평가이드레일(52)을 이동시킴에 따라 이 수평가이드레일(52)에 연결된 하부플레이트(42)를 전, 후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볼 때 상기 Z축 모션 모듈(4)을 평면상에서 전, 후 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게 된다. The Y-
상기 콘트롤부(7)는 상기 본체(2)의 소정부,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2)의 정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콘트롤부(7)는 제어회로부, 즉 상기 높이구동체(44)와 상기 수평구동체(53)와 상기 수직구동체(63)의 선택적인 구동과 이들의 구동시간 및 속도조절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441,533,632)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회로들을 포함하는 제어회로부(71)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콘트롤부(7)는 각 모션 모듈(4,5,6)의 구동을 선택하는 제어버튼(72)들과 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73)를 포함하며, 음악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통상적인 재생수단(기록매체에 의해 음악파일을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기기에 연결되어 제공되는 음악파일의 재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 미도시됨.)) 및 음악파일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수단(도면에 미도시됨.)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부(7)의 제어회로부(71)는 적외선방식 또는 그 밖의 방식으로 신호를 전달받는 통상의 리모트콘트롤시스템(도면에 미도시됨.)을 탑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리모트콘트롤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리모콘에 의해 각 모션 모듈 및 재생수단의 제어가 가능한 것이다.The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바운서의 각 구성요소 간 작동상태와 이에 따른 상호작용에 대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Thus, i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tat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each component of the robot bou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로봇바운서(1)는 보호자가 시트(3)를 각도조절체(37)를 통해 유아가 좋아하는 자세에 맞게 조절한 상태에서 유아를 시트(3)에 눕힐 수 있다. 이는 유아가 바로 누운 자세를 선호할 경우 오목면(33)이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하고 엎어 누운 자세를 선호할 경우에는 볼록면(34)이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시트(3)의 위치를 변경하는 작업을 의미하며(도 3 참조), 이렇게 오목면(33) 또는 볼록면(34)이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도 시트(3)를 각도조절체(37)에 의해 소정각도로 각도변경하는 것은 가능하다. 6 to 8, the robot bounc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seats the infant in the state in which the protector adjusts the seat (3) to the infant's favorite posture through the angle adjuster (37) Can be laid on. This i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유아를 시트에 누인 후, 보호자는 콘트롤부(7)를 통해 유아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는 모션 모듈(4,5,6), 예컨대 X축, Y축, Z축 모션 모듈(4,5,6)을 선택하여 각 모션(4,5,6)을 구동시킴으로써 각 모션 모듈(4,5,6)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바운싱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X,Y,Z축 모션 모듈(4,5,6)은 도 6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높이구동체(44)와, 수평구동체(53)와, 수직구동체(63)의 구동에 의해 시트(3)의 상?하 동작과 평면상에서의 좌, 우 동작 및 전, 후 동작을 개별적으로 동시에 구현할 수 있고, 보호자의 선택에 따라 한가지 모션 모듈 또는 두 가지 모션 모듈을 조합하여 시트를 바운싱시킬 수 있다. After laying the infant on the seat, the guardian can provide comfort to the infant via the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로봇바운서(1)는 유아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모션을 구현할 수 있어서, 최대한의 안락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부(7)를 통해 각 모션 모듈(4,5,6)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구동시간 또한 조절할 수 있어서 보호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로봇바운서(1)는 각 모션 모듈(4,5,6)의 구동과 동시에 콘트롤부(7)에서는 "자장가"와 같은 음악파일을 재생함으로써 유아가 숙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한편, 본 발명의 로봇바운서(1)에 있어, X축, Y축 모션 모듈(5,6)의 수평구동체(53)와 수직구동체(63)는 다양한 구동방식, 예컨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랙/피니언 구동방식 또는 유압구동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X축 모션 모듈(5)의 수평구동체(53')은 상기 하부플레이트(42)의 하부면에 랙기어(531')를 설치하고, 이 랙기어(53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32')를 구동모터(533')에 의해 정역회전시켜서 X축 모션 모듈(5)의 좌,우방향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전술한 Z축 모션 모듈(4)의 교차축기어(534') 구조를 적용하여 구동모터(533')의 회전력을 피니언기어(532')에 전달하게 되며, 랙기어(531')는 피니언기어(532')의 위치에 대응한 구조를 채택하게 된다.9 and 10, the
또한, Y축 모션 모듈(6)의 수직구동체(63')은 상기 수평가이드레일(52)의 소정부에 랙기어(631')를 설치하고, 이 랙기어(63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632') 및 상기 피니언기어(632')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633')를 설치함으로써 Y축 모션 모듈(6)의 전, 후방향 이동을 구현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vertical drive body 63 'of the Y-
도 11을 참조하면, X축 모션 모듈(5)의 수평구동체(53")은 상기 하부플레이트(42)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로드(531") 및 이 로드(531")를 전개, 수축하는 유압실린더(5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Y축 모션 모듈(6)의 수직구동체(63")은 상기 수평가이드레일(52")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로드(631") 및 이 로드(631")를 전개, 수축하는 유압실린더(6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532",632")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원(도면에 미도시됨.)은 본체(2)의 소정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각 구동체(53",63")의 로드(531".631")를 전개, 수축시킴으로써 X축 모션 모듈(5)과 Y축 모션 모듈(6)의 이동을 구현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1,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든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 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given specific examples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r change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defined in principle by the claims that follow.
1 : 로봇바운서 2 : 본체
3 : 시트 4 : Z축 모션 모듈
5 : X축 모션 모듈 6 : Y축 모션 모듈
7 : 콘트롤부 21 : 개방공간
22 : 덮개 31 : 승하강축
32 : 연결바 33 : 오목면
34 : 볼록면 35 : 타원형플레이트
36 : 쿠션층 37 : 각도조절체
38 : 안전띠 41 : 상부플레이트
42 : 하부플레이트 43 : 신축링크체
44 : 높이구동체 51 : 수평가이드체
52 : 수평가이드레일 53,53',53" : 수평구동체
61 : 수직가이드체 62 : 수직가이드레일
63,63',63" : 수직구동체 71 : 제어회로부
72 : 제어버튼 73 : 디스플레이
371 : 힌지축 372 : 스토퍼
441 : 구동모터 442 : 교차축기어
442a : 구동베벨기어 442b : 종동베벨기어
443,443' : 제1, 제2링크체 531 : 가이드편
532 : 볼스크류 533 : 구동모터
534 : 고정플레이트 531' : 랙기어
532' : 피니언기어 533' : 구동모터
534' : 교차축기어 531" : 로드
532" : 유압실린더 631 : 볼스크류
632 : 구동모터 631' : 랙기어
632' : 피니언기어 633' : 구동모터
631" : 로드 632 " : 유압실린더 1: robot bouncer 2: main body
3: sheet 4: Z-axis motion module
5: X axis motion module 6: Y axis motion module
7: control unit 21: open space
22: cover 31: lifting shaft
32: connecting bar 33: concave surface
34: convex surface 35: oval plate
36: cushion layer 37: angle adjuster
38: seat belt 41: upper plate
42: lower plate 43: expansion link body
44: height driving body 51: horizontal guide body
52:
61: vertical guide body 62: vertical guide rail
63,63 ', 63 ": Vertical driver 71: Control circuit part
72: Control Button 73: Display
371: hinge axis 372: stopper
441: drive motor 442: cross shaft gear
442a: Driven
443,443 ': First and second link bodies 531: Guide
532
534: Fixed Plate 531 ': Rack Gear
532 ': Pinion gear 533': Drive motor
534 ':
532 ": Hydraulic Cylinder 631: Ball Screw
632: drive motor 631 ': rack gear
632 ': Pinion gear 633': Drive motor
631 ":
Claims (10)
상기 본체의 개방공간을 통해 그 일부가 상기 본체의 상부로 돌출된 승하강축;
상기 승하강축의 상단에 연결바를 매개체로 연결된 시트;
상기 본체에 내장된 상태에서 상기 승하강축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하강축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승하강축이 고정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이 상부플레이트와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된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상,하부플레이트를 상호 연결하는 신축링크체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시키는 높이구동체를 포함하는 Z축 모션 모듈;
상기 Z축 모션 모듈의 하부플레이트 하부에 설치된 수평가이드체와, 상기 수평가이드체를 안내하는 수평가이드레일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좌, 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구동체로 구성된 X축 모션 모듈;
상기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가이드레일 하부에 설치된 수직가이드체와, 상기 수직가이드체를 안내하는 수직가이드레일 및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을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구동체로 구성된 Y축 모션 모듈; 및
상기 본체의 소정부에 구비되며, 상기 높이구동체와 상기 수평구동체와 상기 수직구동체의 선택적인 구동과 이들의 구동시간 및 속도조절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부가 구비된 콘트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A main body having an open space provided thereon;
A lifting shaft, a part of which is projected upward through the open space of the main body;
A seat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via a connecting bar;
I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shaft in a state embedded in the main body to move the elevating shaft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lower plate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shafts and the lower plat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A Z-axis motion module including an elastic link member interconnecting upper and lower plates and a height driver connected to the upper plate in a state of being installed on the lower plate to move the upper plate up and down;
X axis consisting of a horizontal guide body installed under the lower plate of the Z axis motion module, a horizontal guide rail for guiding the horizontal guide body, and a horizontal driving body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to move the lower plat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Motion module;
A vertical guide body installed below the horizontal guide rail of the X-axis motion module, a vertical guide rail for guiding the vertical guide body, and a vertical guide bod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guide rail to move the horizontal guide rail forward and backward; Configured Y-axis motion module; And
A control unit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control unit including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elective driving of the height driver, the horizontal driver and the vertical driver, and their driving time and speed control; Robot bouncer comprising a.
상기 시트는 유아를 바르게 눕힐 수 있는 오목면과 유아를 엎어지게 눕힐 수 있는 볼록면이 구비되도록 타원형플레이트가 소정각도로 절곡된 구조로 구성되고, 이 시트를 소정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시트와 상기 연결바의 결합부위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힌지축과 이 힌지축에 나사고정되는 스토퍼로 구성되는 각도조절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shee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oval plate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have a concave surface for laying the infant down and a convex surface for laying the infant upside down, and the sheet can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Robotic boun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ngle adjuster consisting of a hinge shaft having a screw thread and a stopper screwed to the hinge shaft is installed 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bar.
상기 시트는 상기 오목면과 상기 볼록면에 섬유 및 합성수지로 된 쿠션층을 마련되고, 상기 오목면과 상기 볼록면에는 유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띠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at is provided with a cushion layer made of fibers and synthetic resin on the concave surface and the convex surface, the concave surface and the convex surface is a robot bounc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 belt is install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infant.
상기 Z축 모션 모듈의 높이구동체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동력을 이원화하는 교차축기어 및 이 교차축기어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교차축기어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승하강작동시키는 제1, 제2링크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height driver of the Z-axis motion module includes a drive motor, a cross shaft gear for dualizing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and a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ross shaft gear in a state connected to the cross shaft gear and the upper plate in a linear motion. A robot bouncer, comprising: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body configured to convert the upper plate to move up and down.
상기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구동체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편과, 상기 가이드편에 나사결합된 볼스크류 및 이 볼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drive body of the X-axis motion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uide piece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 ball screw screwed to the guide piece and a drive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ball screw Robot bouncer.
상기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구동체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actuator of the X-axis motion module includes a rack gear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a drive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Bouncer.
상기 X축 모션 모듈의 수평구동체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로드 및 이 로드를 전개, 수축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drive body of the X-axis motion module is a robot bouncer comprising a rod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 hydraulic cylinder to expand and contract the rod.
상기 Y축 모션 모듈의 수직구동체는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의 소정부에 나사결합되는 볼스크류와, 이 볼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drive body of the Y-axis motion module is a robot bouncer comprising a ball screw screw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and a drive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ball screw.
상기 Y축 모션 모듈의 수직구동체는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의 소정부에 설치된 랙기어와, 이 랙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actuator of the Y-axis motion module includes a rack gea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and a drive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inion gear. Bouncer.
상기 Y축 모션 모듈의 수직구동체는 상기 수평가이드레일의 소정부에 설치되는 로드 및 이 로드를 전개, 수축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actuator of the Y-axis motion module includes a rod install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horizontal guide rail and a hydraulic cylinder that expands and contracts the r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7633A KR20120045816A (en) | 2010-11-01 | 2010-11-01 | Robot bonuc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7633A KR20120045816A (en) | 2010-11-01 | 2010-11-01 | Robot bonuc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5816A true KR20120045816A (en) | 2012-05-09 |
Family
ID=4626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7633A Ceased KR20120045816A (en) | 2010-11-01 | 2010-11-01 | Robot bonuc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45816A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075B1 (en) * | 2013-12-16 | 2014-06-05 | 송병무 | Baby bouncer |
GB2522782A (en) * | 2014-01-16 | 2015-08-05 | Wonderland Nursery Goods | Infant chair apparatus |
WO2018111033A1 (en) * | 2016-12-15 | 2018-06-21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Infant comfort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icro-vibr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U2018264016B1 (en) * | 2018-02-14 | 2019-07-11 | Ruoey Lung Enterprise Corp. | Base Seat for Bed, Chair or Sofa |
KR102086521B1 (en) * | 2019-08-13 | 2020-03-09 | 주식회사 굿텍 | Baby bouncer |
CN111288262A (en) * | 2020-03-24 | 2020-06-16 | 埃思科蔓(杭州)电气有限公司 | Instrument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r for transformer substation |
US20220388166A1 (en) * | 2019-10-25 | 2022-12-08 |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 Compensating unit for an automation system |
US11805922B1 (en) * | 2022-09-21 | 2023-11-07 | Suzhou Lucky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 Baby care device |
EP4501179A1 (en) * | 2023-08-02 | 2025-02-05 | TJ(fujian) Industrial Co., Ltd. | Electric baby bouncer |
-
2010
- 2010-11-01 KR KR1020100107633A patent/KR20120045816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4075B1 (en) * | 2013-12-16 | 2014-06-05 | 송병무 | Baby bouncer |
GB2522782A (en) * | 2014-01-16 | 2015-08-05 | Wonderland Nursery Goods | Infant chair apparatus |
CN104825009A (en) * | 2014-01-16 | 2015-08-12 |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 Children's seat |
GB2522782B (en) * | 2014-01-16 | 2016-09-07 | Wonderland Nursery Goods | Infant chair apparatus |
US9743779B2 (en) | 2014-01-16 | 2017-08-29 |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 Infant chair apparatus |
WO2018111033A1 (en) * | 2016-12-15 | 2018-06-21 |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Infant comfort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icro-vibr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U2018264016B1 (en) * | 2018-02-14 | 2019-07-11 | Ruoey Lung Enterprise Corp. | Base Seat for Bed, Chair or Sofa |
KR102086521B1 (en) * | 2019-08-13 | 2020-03-09 | 주식회사 굿텍 | Baby bouncer |
US20220388166A1 (en) * | 2019-10-25 | 2022-12-08 | Schunk Gmbh & Co. Kg Spann- Und Greiftechnik | Compensating unit for an automation system |
CN111288262A (en) * | 2020-03-24 | 2020-06-16 | 埃思科蔓(杭州)电气有限公司 | Instrument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r for transformer substation |
US11805922B1 (en) * | 2022-09-21 | 2023-11-07 | Suzhou Lucky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 Baby care device |
EP4501179A1 (en) * | 2023-08-02 | 2025-02-05 | TJ(fujian) Industrial Co., Ltd. | Electric baby bounc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45816A (en) | Robot bonucer | |
US10675999B2 (en) | Active vibration isolation system | |
EP2641511B1 (en) | Child swing apparatus | |
CN101299949B (en) | Child motion device | |
TWI587968B (en) | Support device, support unit system and support unit control system | |
CN102894731A (en) | Children's motion device | |
JP6345119B2 (en) | Nursing bed and method of changing its shape | |
JP6734012B2 (en) | Nursing bed | |
US11779509B2 (en) | Massage machine | |
CN105581562A (en) | Driving device of electric cradle | |
US9750350B2 (en) | Bouncing and swiveling infant support structure | |
KR20160000210A (en) | Baby Rocking Bed | |
JP4114692B2 (en) | Massage machine | |
CN211023968U (en) | Self-adaptive shaking massage device | |
KR20060079587A (en) | Automatic Shaking Device for Crib | |
TW202116233A (en) | Infant care apparatus | |
ES2537734T3 (en) | Vibration system and method of a bed | |
CN104510246B (en) | A kind of baby's head dummy prevents flat machine | |
CN117715567A (en) | Baby nursing device | |
KR20110084702A (en) | Baby cradle device | |
JP6871754B2 (en) | Seat drive | |
JP2018015065A (en) | Waist part exercise machine | |
EP1762212A1 (en) | Structure of magnetic levitation bed | |
JP6034178B2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 |
CN104720418A (en) | Multifunctional entertainment sof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208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2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