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3727A - Pipe for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 water percolation, pipe utility conduit and rainwater heat storage - Google Patents
Pipe for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 water percolation, pipe utility conduit and rainwater heat stor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43727A KR20120043727A KR1020120039268A KR20120039268A KR20120043727A KR 20120043727 A KR20120043727 A KR 20120043727A KR 1020120039268 A KR1020120039268 A KR 1020120039268A KR 20120039268 A KR20120039268 A KR 20120039268A KR 20120043727 A KR20120043727 A KR 201200437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plate
- facility
- heat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8000005325 percolation Methods 0.000 title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1 power line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claims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ZSJDYOACSA-N Heavy water Chemical compound [2H]O[2H] XLYOFNOQVPJJNP-ZSJDYOAC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1 protect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5 natura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2 phase chan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20—Geothermal collectors using underground water as working fluid; using working fluid injected directly into the ground, e.g. using injection wells and recovery w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00—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 E03B1/04—Methods or layout of installation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supply
- E03B1/041—Greywater supply systems
- E03B2001/047—Greywater supply systems using rain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흘러 보내거나 저류하거나 땅속으로 침투시키는 기능 관로인 한편 내부에 상수도,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및 각종 케이블 등을 추가 설치하는 지하 공동구 역할을 하며 저류되어 있는 빗물 등을 열에너지 치환매개로 활용할 수 있는 빗물 열 집열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시설물의 외벽에 생기는 압력 및 과다한 하중을 외벽이 버틸 수 있게 구성된 격벽을 일정하게 내부에 배치한 격벽구조체로써 조립이 쉽고 작업이 빨라 시공성이 좋으며 우수한 구조적 강도를 갖으며 유연하여 연약지반에 별도의 시공 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지진에 강한 유수(流水), 빗물 저장, 빗물 침투 등의 역할을 하는 기능 관로 및 지하 공동구 및 빗물 열 집열고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pipe that flows, stores, or penetrates rainwater, while acting as an underground cavity for installing tap water, power lines, gas lines, communication lines, and various cables therein. It is to provide a rainwater collection cabinet that can be utilized.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tion structure having a constant wall structured to allow the outer wall to withstand the pressure and excessive load generated on the exterior of the facility. The assembly is easy and the work is quick and easy to construct, and has excellent structural strength and is flexible. It can be installed without additional construction, and it is about functional pipelines and underground joint holes and rainwater heat collectors that play a role in earthquake-resistant water, rainwater storage, and rainwater penetr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첫째, 빗물을 유수(流水)하고 저장하고 지하수에 침투시키는 관로; 둘째, 여러 가지 시설물 파이프 등을 동시에 지하에 설치하여 관리하는 지하 공동구; 셋째, 빗물을 냉난방시스템 열원으로 이용하게 하는 빗물 열 집열고 등의 역할을 하는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은 빗물을 흘러 보내거나 저장하여 중수도로 활용하거나 땅속으로 침투시켜 지하수 자원 확보 및 보호를 하며, 여러 가지 상수도,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및 각종 케이블 등을 비용이 많이 들지 않으면서 안전하고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지하 공동구이며 저류되어 있는 빗물 등을 열원으로 이용하는 냉난방시스템의 빗물 열 집열고를 갖춘 유수(流水), 빗물 저장, 빗물 침투 등의 역할을 하는 기능 관로 및 지하 공동구 및 빗물 열 집열고이다.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the conduit for flowing and storing rain water (침투 水) and permeate into groundwater; Second, underground common wards to install and manage various facility pipes at the same time; Thir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cility that plays a role of a rainwater heat collector for using rainwater as a heat source for a cooling and heating system.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o drain or store rainwater to use as a heavy water or penetrate into the ground to secure and protect groundwater resources, safety without the cost of various waterworks, power lines, gas pipes, communication lines and various cables, etc. It is an underground cavity that can be installed easily and simply. It is a function pipeline that plays the role of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water infiltration, etc. It is a collection.
첫 번째, 본 발명의 빗물 저류 및 빗물의 지하수 침투를 하는 관로에 대한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과 같다.First, the background technology for the rainwater storage and the pipeline to the groundwater infiltration of rainwater is as follows.
현대사회의 산업화로 급속한 인구증가와 집중이 일어나고 이런 문제로 인해 지구온난화가 가속되어 기상변화가 잦고 이로 인해 수자원의 중요성이 날로 대두하고 있다.Due to the industrialization of modern society, there is rapid population growth and concentration, and global warming is accelerating due to these problems, and weather change is frequent, which is the importance of water resources.
그러나 모든 도시는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지하로 물이 스며들 기회조차 갖지 못하고 있다.But all cities are paved with concrete and have no chance of seeping underground.
즉 현재의 도시지역은 자연녹지 지역과는 달리 지표면의 대부분이 빗물의 침투가 어려운 콘크리트, 아스팔트, 블록 등으로 덮여 있고 이로 인해 침투되어 지지 않는 빗물을 우수관로를 통해 처리되고 있는데 종래의 우수관로에는 충분한 빗물을 확보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형성되어 있지 않아 많은 비가 오더라도 우수관로의 바닥면은 평편하고, 굴곡이 없어 우수관로로 유입된 빗물의 유속이 너무 빠르고, 관성과 표면장력에 의해 휩쓸려 흐르게 되어 빗물이 지하로 배출되기란 쉽지 않아 다량으로 하천이나 바다로 빠르게 보내지고 있으므로 도시의 열섬현상을 심화시키며, 토양생태계의 파괴는 물론 도시홍수와 지하수 고갈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In other words, the current urban areas are covered with concrete, asphalt, blocks, etc., which are difficult to penetrate rainwater, unlike natural green areas, and rainwater that does not penetrate through the rainwater pipe is treated through rainwater pipes. Since there is no means to secure enough rainwater, even if there is a lot of rain, the bottom of the rainwater pipe is flat and there is no bending, so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rainwater pipe is too fast and is swept by inertia and surface tension. Since rainwater is not easy to be discharged underground, it is rapidly being sent to rivers or the sea in large quantities, deepening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causing destruction of the soil ecosystem, and causing urban flooding and groundwater exhaustion.
그로 인해 지금은 집수한 빗물 등의 저장하거나 집수한 빗물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나서 땅속에 완만하게 침투시켜 배출함으로써 빗물 등을 중수도로 이용하고 하천으로 급격하게 유입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도시형 침수 재해를 방지하고 지하수를 함양하여 지반침하를 억제하는 목적을 갖는 여러 가지의 타입의 빗물 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As a result, it is now possible to save the collected rainwater or the collected rainwater temporarily, and then slowly penetrate and discharge it into the ground to use the rainwater, etc. Various types of rainwater treatment apparatuses have been proposed and used which have the purpose of preventing and restraining ground subsidence by cultivating groundwater.
그러나 빗물 처리장치는 도시지역의 도심에 설치운용이 필요함에도 불과하고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시공공간을 많이 필요하여 도심을 벗어난 외곽지역 또는 공원지역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 공간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해 상기 얻고자 하는 효과를 얻지 못하고 그로 인해 도시지역의 빗물처리를 위하여 우수관로의 추가 설치를 하여 결국 이중으로 비용이 들고 그에 따른 빗물활용의 실용성도 크지 않게 되어 관리가 소홀해지고 활용성이 크게 떨어진다.However,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in the urban center of the city, it takes up a lot of installation space and requires a lot of construction space, so it can not be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pace that can only be installed in the outlying area or park area outside the city. The result is that additional rain pipes are installed for rainwater treatment in urban areas, resulting in a double cost and the practicality of rainwater utilization is not so great that management is neglected and its utility is greatly reduced.
또한, 빗물이 빗물처리장치의 설계용량보다 많을 경우 별도의 우수관로를 설치하여 하천으로 급격히 배출하고 있어 이중의 비용이 드는 등 효율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when the rainwater is larger than the design capacity of the rainwater treatment device, a separate rainwater pipe is installed and is rapidly discharged into the river, causing a problem of efficiency such as a double cost.
두 번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시설물 파이프 등을 동시에 지하에 설치하여 관리하는 지하 공동구에 대한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과 같다.Secondly, the background technology for the underground common ward, which is installed and managed in the basement at the same time the various facility pip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지하에 설치하는 공동구(共同溝, utility-pipe conduit)란 상수도,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및 각종 케이블 등을 함께 수용하는 지하터널로서, 공용구거(共用溝渠)라고도 한다. 지하 공동구를 설치하는 것은 전술한 상수도,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및 각종 케이블 등을 지하에 설치된 구조물에 수용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고, 도로구조를 보존하며, 교통의 원활한 소통, 지상의 어지러운 선로 등에 의한 대형사고 예방 등의 효과가 있어서 상수도,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및 각종 케이블 등의 여러 가지 지하시설물을 한 번의 설치로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하여 지하 공동구가 필요하다.Utility-pipe conduit, which is installed underground, is an underground tunnel that holds waterworks, power lines, gas lines, communication lines, and various cables together. The installation of underground common wards is to accommodate the above-mentioned waterworks, power lines, gas pipes, communication lines, and various cables in structures installed underground to beautify the aesthetics of the city, preserve the road structure, communicate smoothly with traffic, and clutter the ground. Because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large accidents caused by various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use various underground facilities such as water supply, power lines, gas pipes, communication lines, and various cables in one installation.
이러한 공동구에는 전술한 상수도,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및 각종 케이블 등을 수용하기 위한 배관 등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배관들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관 지지대(pipe rack)라 불리는 철제로 된 배관 받침이 설치된다.Such a joint is provided with pipes for accommodating the above-mentioned water supply, power lines, gas pipes, communication lines, and various cables, and the like, and a steel pipe support called a pipe rack is installed as a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pipes. .
종래의 공동구 시공방법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방법과 프리 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이 있는데 우선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 굴착 된 지반에 공동구의 바닥 및 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기초 및 벽체의 내부에 상부 슬래브 타설을 위한 지지구조물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벽체의 상부에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구조물을 해체하는 단계; 관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지반을 굴착하는 단계; 굴착 된 지반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공동구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설치된 공동구 유닛과 유닛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결된 공동구 유닛에 강성을 주기 위해 강선을 설치하고 시멘트 그라우팅을 하는 단계; 관 지지대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Conventional hollow ball construction methods include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ite-cast concret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cast concrete. First,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ite-cast concrete includes the steps of excavating the ground; Forming the bottom and walls of the cavity in the excavated ground; Installing a support structure for upper slab casting in the formed foundation and the wall; Forming a slab on top of the wall; Dismantling the support structure; And installing the pipe 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is excavating the ground; Installing a hollow ball unit made of precast concrete on the excavated ground; Connecting and installing the installed common ball unit and the unit; Installing steel wire and cement grouting to give rigidity to the connected hollow sphere units; And installing the pipe support.
지반을 굴착하는 방법은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른데, 지반에 수직인 방향으로 파일을 박고, 보강을 위한 구조물을 설치한 후에 굴착을 하기도 하고, 별다른 보강 구조물 없이 굴착을 하는 경우도 있다.The method of excavating the ground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the site. The drilling is carried out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excavation is performed after installing the structure for reinforcement.
상기 방법 등에 의해서 공동구가 완성되면 관 지지대를 설치하게 된다. 관 지지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철제로 된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H형강, I형강, C-채널 등의 서로 연결한 구조물이며, 관 지지대위에는 파이프들이 설치되며, 그 파이프들은 상하수도관 또는 가스관 등의 배관이나 각종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배관의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When the cavity is completed by the above method, the pipe support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pipe support is a steel structure, which is gene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uch as H-beam, I-beam, and C-channel, and pipes are installed on the pipe support, and the pipes are pipes such as water and sewage pipes or gas pipes. In addition, it is used as a pipe for accommodating various cables.
이러한 종래의 공동구 시공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다.There are a number of problems in this conventional cavity construction.
우선, 지하 공동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장비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장비 등의 전도에 의한 위험이 존재하며 시공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교통에 지장을 주고 공사기간이 길어져서 비용이 많이 드는 현실이 있다.First of all, there is a danger of falling due to the fall of heavy equipment because heavy equipment is used to construct underground common wards, and occupies a lot of construction space, which impedes transportation and lengthens the construction period.
또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의 경우 지지물은 여러 현장에서 계속 반복 사용되기 때문에 강성이 그다지 강하지 않고, 세장비가 커서 좌굴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지지물이 공동구 슬래브콘크리트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고 무너지는 바람에 공사에 큰 차질을 빚는 경우가 발생하며, 슬래브붕괴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cast-in-place concrete, since the support is repeatedly used in various sites, the rigidity is not very strong, and there is a risk of buckling due to the large equipment. Due to these problems, the support does not hold the weight of the joint ball slab concrete, causing collapse in construction, and there is a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collapse of the slab.
그 다음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중장비의 작업공간을 확보해야하며 중장비 작업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우려되며 강선설치 및 그라우팅의 추가 작업으로 인한 비용이 발생한다.Next,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concrete has to secure the working space of heavy equipment, and there is concern about the damage of life due to heavy equipment work and the cost of additional work of steel wire installation and grouting.
또한, 상기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내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의해서 공동구가 완성되면, 관 지지대를 설치해야 하는데, 공동구의 지붕 격인 슬래브가 형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관 지지대를 형성하기 위한 H형강 등의 재료를 공동구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해 슬래브의 일부는 관 지지대의 자재 유입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남겨 놓았다가, 관 지지대가 완성된 후에 제작하게 되는데, H형강 등의 재료를 공동구내의 원하는 위치까지 운반해서, 공동구 내에서 조립작업을 해야하므로, 관 지지대의 제조에 상당히 오랜 시일이 소요되며, 공동구내의 공간은 밀폐된 공간이라 유해가스 및 용접 등의 작업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상시 존재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cavity is comple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ite-cast concrete or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cast concrete, the pipe support should be installed, since the slab which is the roof gap of the cavity is formed, for forming the pipe support. Part of the slab is left to be used as a material inlet for the pipe support in order to introduce materials such as H-beam into the cavity, and then it is manufactured after the pipe support is completed. Since the assembly work must be carried out in the cavity, it takes a long time to manufacture the pipe support. Since the space in the cavity is an enclosed space, there is always a possibility that safety accidents may occur during work such as harmful gases and welding. Existed.
세 번째, 본 발명의 빗물을 냉난방시스템 열원으로 이용하게 하는 빗물 열 집열고에 대한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다음과 같다.Third, the background technology for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to use the rain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heating and heating system heat source is as follows.
최근 들어 인구의 증가에 따른 급속한 산업화로 주거공간이 급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택과 같은 주거 공간 또는 사무실이나 공장과 같은 작업공간에서는 여름철의 냉방과 겨울철의 난방이 주된 생활환경의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주거공간의 냉난방으로 인한 에너지 사용은 점진적으로 늘어나 국가 전체적으로 볼 때 전력예비율의 감소 등 에너지 낭비로 인해 심각한 경제적 손실이 따르고 에너지를 얻기 위해 기름이나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공해는 생태계 파괴, 농, 축산업 및 수산업의 분야에서는 시설농가와 양식업의 경영자들이 화석연료의 가격상승에 따른 냉, 난방비의 상승으로 경영압박, 제조업에서 에너지의 조달에 소요되는 비용의 상승으로 제품의 생산원가가 상승하여 많은 어려움 등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with the increase of the population, the residential space is increasing rapidly. In general, in a residential space such as a house or in a work space such as an office or a factory, the cooling of summer and the heating of winter are the main factors of living environment, and the energy use due to the heating and cooling of residential space is gradually increasing, so that the electricity reserve ratio in the whole country is increased. Significant economic losses are caused by energy waste, such as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and pollution caused by the burning of fossil fuels such as oil and natural gas to obtain energy.In the fields of ecosystem destruction, agriculture, livestock and fisheries,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st of cooling and heating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ice of fossil fuel,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st of procuring energy in the management pressure and manufacturing industry.
따라서, 최근에는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고 산업현장 또는 주거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그린에너지 개발에 많은 연구비용을 투자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a larg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invested in the development of green energy that can be used in industrial sites or residential spaces without generating pollution.
상기와 같이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환경을 저해하지 않고 얻을 수 있는 그린에너지는 태양열, 수력, 풍력, 지하 열 등을 에너지화하는 것이 대표적이었다.As mentioned above, the green energy that can be obtained without generating pollution and without damaging the environment is typical of energyizing solar heat, hydropower, wind power, underground heat, and the like.
그중 지하 열은 태양열의 약 47%가 지표를 통하여 지하에 저장이 된 것을 말하며 이는 우리가 사용하는 에너지량의 500%에 해당하는 량이다.Underground heat means that about 47% of solar heat is stored underground through the surface, which is 500% of the amount of energy we use.
이와 같은 지하 열은 공해가 없고 계속적인 자연 충전이 가능하며 더운 여름 동안 저축된 에너지를 겨울 동안 약 400% 정도 사용할 수 있으며, 조사한 바에 따르면 현재 사용중인 에너지의 대부분은 발전전력에 의존하고 있는데 상기와 같은 지하 열과 대비하였을 경우 약 48%의 에너지 효과를 낼 수 있으며 가스나 오일인 경우 36%에서 43% 전후의 열을 낼 수 있으나 지하 열을 사용할 때는 약 75% 전후의 열을 낼 수 있다. This underground heat is pollution-free, allows for continuous natural charging, and uses up to 400% of the energy saved during hot summers during the winter, and surveys show that most of the energy currently in use depends on power generation. Compared with the same underground heat, it can produce about 48% energy efficiency, and in the case of gas or oil, it can produce about 36% to 43% heat, but when using underground heat, it can produce about 75% heat.
그러나 상기 그린에너지가 대량의 열원을 이용하여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나 현실적으로 상기 그린에너지를 취득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use of the green energy using a large amount of heat source is efficient and economical,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cost is required to obtain the green energy in reality.
따라서, 지하 열을 이용한 냉난방장치가 다수 제안된바 있으나 이들은 지하 열만을 이용하여 기존의 냉난방시스템에 적용시킨 비교적 단순하고 편이성이 결여된 구성을 취하고 있다. Therefore, many 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underground heat have been proposed, but they have a relatively simple and lacking convenience in applying to existing air-conditioning systems using only underground heat.
따라서, 이와 같은 장치로는 지하 열 그대로를 지상 즉, 주거공간으로 흡출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 아니라 그 유입 및 방출시스템의 취약성으로 인해 그 효과가 미흡하며 단순한 구성에 의해서 행하기 때문에 지하 열 그대로를 효과적으로 유출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Therefore, with such a device, it is very difficult to draw the underground heat as it is to the ground, that is, the residential space, and the effect is insufficient due to the weakness of the inflow and discharge system. It has the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leak.
또한, 지하 열을 이용하기 위해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한 냉, 난방 효과와 거의 동등한 수준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냉매의 압축, 증발, 응축의 순환과정에서 발생 및 회수되는 열을 이용하는 압축기가 사용되며, 그 중에서도 냉, 난방과 냉, 온수 시스템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히트펌프가 대표적으로 보급되어 있다.In addition, to use underground heat, a compressor using heat generated and recovered during the compression,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cycle of the refrigerant is used to obtain an energy almost equivalent to the cooling and heating effect of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 Among them, heat pumps that are used in combination with cold, heating, cold and hot water systems are widely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히트펌프의 사용에 있어서도 충분한 지하 열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겨울철과 같이 외부의 온도가 0℃ 이하로 매우 낮아지면 히트펌프의 저온부(증발부)를 10 ~ 15℃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열원이 부족하게 되므로, 화석연료에 의한 별도의 가열을 통하여 히트펌프의 저온부 열원을 보충하지 않게 되면, 냉, 난방시스템과 냉, 온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히트펌프의 원활한 작동을 이루어낼 수 없게 되며, 이로 인하여 화석연료의 사용에 따른 에너지 조달비용의 상승과 공해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using the heat pump as described above, if sufficient underground heat is not secured,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becomes very low at 0 ° C or lower, such as in winter, the low temperature part (evaporation part) of the heat pump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10 to 15 ° C. Since the heat source that can be made is insufficient, the heat pump composed of cold, heating system and cold, hot water system can be smoothly operated unless the heat source of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heat pump is replenished by separate heating by fossil fuel. This did not completely solve the problems of rising energy procurement costs and pollution due to the use of fossil fuels.
상기와 같이 겨울철에 발생하는 히트펌프의 저온부 열원부족을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태양열에 의하여 보충하도록 한 것으로서, 평판집열기를 사용하여 흡수한 태양열을 물과 같은 잠열축열재(상변화물질)에 저장하여 히트펌프의 저온부 열원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 있으나,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의 기온변화가 뚜렷하고, 겨울철에는 영하의 날씨를 보이는 지역에는 그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야간이나 지형물에 의하여 태양열을 얻을 수 없는 여러 가지의 장애요인으로 인하여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lack of heat source in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heat pump generated in winter is compensated by natural solar heat without using fossil fuel, and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phase change material) such as water that absorbs solar heat absorbed by using a flat plate collector. It is stored in the heat pump to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heat pump, but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four seasons is clear like the one in Korea, and the efficiency decreases in the regions where the weather is below zero in winter, and the solar heat is obtained by the night or the terrain. Due to various obstacles that can not be practically used.
본 발명의 목적중 하나인 기존 관로가 가진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관로는 많은 비가 오더라도 유입된 빗물의 유속이 느려지게 하고 도시의 도심지역의 집중호우에 대응하여 충분한 빗물을 확보할 수 있으며 빗물을 지하로 배출하여 도시의 열섬현상을 방지하고 도시홍수 방지 및 지하수의 확보로 지반침하를 방지하며, 또한 시공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 설치가 간단하여 시공기간이 짧아 도시의 도심지역에서 설치가 용이한 관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of the existing pipeline which is one of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peline of the present invention slows down the flow rate of the rainwater flows even if a lot of rain and to respond to the heavy rain in the urban area of the city Sufficient rainwater can be secured, and rainwater is discharged underground to prevent heat island phenomenon in the city, ground flooding by preventing urban flooding and securing groundwater, and it is easy to install without taking up construction spac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pipeline that is easy to install in urban area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 공동구가 가진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가 단축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적으며, 시공이 간단한 공동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hollow ball, which is design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of underground hollow ball, and shortens the air, reduce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makes construction simple.
인력이나 소장비로 지하 공동구를 구축하여 중장비 등의 전도에 의한 위험이 없으며 시공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교통에 지장을 주지 않아 공사 기간이 짧아 비용이 적게 들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t is a technical task to build a underground common area with manpower or small equipment so that there is no danger of falling by heavy equipment, etc., it does not occupy much space for construction and does not interfere with traffic, so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 and the cost is low.
또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 방법과 달리 지지물들에 의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없게 하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와 달리 중장비 작업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없게 하며 강선설치 및 그라우팅의 추가 작업으로 인한 비용을 없애고 공동구가 완성되면, 관 지지대를 설치해야 하는데, 관 지지대가 조립시에 형성되므로 관 지지대의 제작기간이 없으며 유해가스 및 용접 등의 작업과정에서 안전사고가 없도록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unlike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ite-cast concrete, there is no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supporting materials, and unlike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cast concrete, there is no human injury caused by heavy equipment work, and the cost of additional work of steel wire installation and grouting When the joint is completed and the joint is completed, the pipe support should be installed. Since the pipe support is formed at the time of assembly, there is no manufacturing period of the pipe support, and the technical problem is to ensure that there are no safety accidents in the working process such as harmful gas and wel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린에너지를 열원으로 하는 냉난방시스템이 가진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린에너지의 활용을 위해 대량의 열원을 빗물 열 및 지하 열로 하여 이용할 수 있는 냉난방 열교환 시스템에 사용되는 콘덴서 코일 역할을 하는 열교환파이프를 빗물 열 집열고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냉, 온수를 형성하는 증발기와 콘덴서 코일의 전열면적을 최대화하여 히트펌프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of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using the green energy as a heat source, a heating and cooling heat exchange system that can use a large amount of heat sources as rainwater heat and underground heat for the use of green energy By installing a heat exchange pipe serving as a condenser coil used in a rainwater heat collecto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heat transfer area of the evaporator and condenser coil forming cold and hot water, there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heat pump. Shall be.
또한,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빗물 열 집열고를 설치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줄이게 할 수 있으며 종래의 냉난방 시스템에 필요한 부대시설 전기히터, 냉각 타워, 보일러실, 보일러, 냉각기 등이 필요 없어 시설경비 및 보수유지비를 절약할 수 있는 빗물 열 및 지하 열을 이용한 냉난방 열교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ergy cost by installing rainwater heat collectors that can store rainwater, and do not need electric heaters, cooling towers, boiler rooms, boilers, coolers, etc. required for conventional air-conditioning systems. It is to provide a cooling and heating heat exchange system using rainwater heat and underground heat that can be saved.
또한, 자연을 파괴하지 않고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냉난방에 필요한 량의 에너지를 최대한 자연상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빗물 열 및 지하 열을 이용한 냉난방 열교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provide a cooling and heating heat exchange system using rainwater heat and underground heat that does not destroy nature, does not generate pollution, and can utilize the amount of energy required for heating and cooling in the natural state as possible.
또한, 겨울철과 같이 히트펌프의 열원이 부족하지 않도록 연평균온도가 10 ~ 15℃의 온도를 유지하는 빗물을 지하에 저장하여 지하 열과 결합시켜 히트펌프의 저온부(증발기)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고온열원의 온도를 낮추고 저온열원의 온도를 높여 히트펌프의 전체적인 열효율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보다 저렴하고 공해 없는 그린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source of the heat pump from running short, as in winter, the rainwater that maintains a temperature of 10 to 15 ° C. is stored in the basement and combined with the underground heat so that it can be used as a heat source for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heat pump (evaporator). Another technical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low temperature heat source and increase the overall thermal efficiency of the heat pump and to continuously supply cheaper, pollution-free green energ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은 형태유지를 위한 구조적인 강도를 갖는 여러 개의 구조재인 면 판재, 상기 면 판재의 간격을 유지하게 배열해주며 상재하중 및 토압에 대한 구조적인 강도를 갖는 여러 개의 바닥판재 및 천장판재, 상기 면 판재의 형태유지를 위한 여러 개의 막대부재, 시설물의 마감 및 연결에 사용되는 마감판재 등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surface plate, a plurality of structural members having a structural strength for maintaining the shape and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load and earth pressure It includes a plurality of floor boards and ceiling plates having, a plurality of rod members for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face plate, the finishing plate used for finishing and connection of the facility.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면 판재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이룬 판재이며 물의 진행방향에 수직으로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바닥판재 및 천장판재는 상기 면 판재의 형상에 맞게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만들어지며 면 판재를 각각 상하로부터 끼워 넣은 상태로 대면하여 배치되게 해주고, 상기 막대부재는 하중에 따라 생기는 면 판재의 뒤틀림 및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면 판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마감판재는 발명에 의한 시설물의 끝에 배치하여 마감을 하는 격벽 구조체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e plate is a plate formed in a circular or polygonal shape and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water, the bottom plate and the ceiling plate of the face plate It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shape and arranged face to face face each other sandwiched from the top and bottom, and the rod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ace plate to prevent distortion and buckling of the face plate caused by the load The finishing plate is a partition structure to finish by placing at the end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더 자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면 판재는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의 면을 가진 판재로써 본 발명에서 시설물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재하중에 대한 지지재이고 시설물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In more detail, the face plate is a plate having a polygonal face such as a circle or a triangle, a rectangle, a pentagon, a hexagon, and the like, and is a support material for loads to maintain a faci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vents the facility from twisting. Play a role.
상기 면 판재의 판재 면에는 리브를 가로, 세로 또는 8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갖게하며 가운데에 물이 흐를수 있도록 상기 면 판재의 판재면에 통수용 개구부을 갖고 그 주변둘레에는 각기 상수도,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및 각종 케이블 등이 지나갈수 있도록 상기 면 판재의 판재면에 관 지지 구멍을 갖게하고 저류되어 있는 빗물 등을 에너지 치환매개로 활용 할수 있는 열치환관(pipe)이 지나갈 수 있도록 상기 면 판재의 판재 면에 열교환 파이프 지지 구멍을 갖게 하고 상기 막대부재가 거치할수 있도록 상기 면 판재의 판재면에 거치대가 설치되어 있는 면 판재가 구비된다.The plate face of the face plate has a rib in the horizontal, vertical or eight directions to have a structural strength and has a water flow opening in the plate face of the face plate so that water flows in the middle, and the water supply and power lines around the periphery In order to allow the gas pipes, communication lines and various cables to pass through, the surface of the plate has a pipe support hole, and the heat transfer pipe (pipe) which can utilize the stored rainwater, etc. as an energy replacement medium. The plate is provided with a plate is provid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plate to provide a heat exchange pipe support hole in the plate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rod member can be mounted.
또한, 상기 바닥판재와 천장판재는 면 판재의 형상에 맞게 만들어지며, 판재면에 리브를 가로, 세로 또는 8방향으로 배치하고, 면 판재들과는 수직으로 강한 결합을 하게 배치되어 토사의 유입과 지반의 압력을 버티어내는 역할을 하고 각각 단부에 대해서 서로 이웃하여 도브테일 이음(Dovetail Joint)으로 겹합되어 틈새를 형성하지 않는 유수(流水), 빗물 저장, 빗물 침투 등의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and the ceiling plate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face plate, the ribs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vertical or eight directions on the plate surface, and is arranged to have a strong bond vertically with the face plate to the inflow of soil and ground It acts to hold up pressure, and adjacent to each other for each end, it plays a role of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and rainwater penetration that do not form a gap by overlapping with a dovetail joint.
한편, 빗물 침투조의 바닥판재와 천장판재는 판재면에 지하수로 침투되는 여러개의 구멍을 배치하는 한편 고분자재료로 제작된 마개에 의해 상기구멍을 막아 지하수로 침투하는 빗물 수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춘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plate and the ceiling plate of the rainwater penetration tank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rainwater penetrating into the groundwater by blocking the hole by a stopper made of a polymer material while plac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ed into the groundwater surface.
또한, 상기 마감판재는 시설물의 끝에 배치되어 방출구, 마감벽, 맨홀, 기존시설물, 공동구 등과의 연결 등의 기능을 갖추고 상기 마감판재는 시설물의 끝의 형상과 일치하게 맞물리게 형상되며 상기 마감판재의 판재면에는 리브를 가로, 세로 또는 8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갖게 하며 가운데에 상기 면 판재의 통수용 개구부와 맞게 개구부 및 개구부마개를 갖고 그 주변둘레에는 상기 면 판재의 관 지지 구멍에 맞게 구멍 및 구멍마개를 갖고 상기 면 판재의 열교환 파이프 지지 구멍에 맞게 구멍 및 구멍마개를 갖게 하고 상기 막대부재가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감판재의 판재면에 거치대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finishing plate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facility has a function such as the connection to the discharge port, the closing wall, manhole, existing facilities, hollow ball, etc. The finishing plate is formed to be engaged to match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acility and the The plate face has ribs arranged horizontally, vertically or in eight directions to give structural strength. In the center, the ribs have openings and opening caps to match the water passage openings of the face plate, and the periphery of the ribs to fit the pipe support holes of the face plate. A holder is provided on the plate surface of the finishing plate so that the rod member has a hole and a stopper to fit the heat exchange pipe support hole of the face plate and the rod member can be mounted.
또한, 상기 막대부재는 면 판재와 면 판재들 사이에 배치되어 면 판재 들의 뒤틀림을 방지하며 형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갖추고 막대부재의 형상은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기둥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으로 만들어진다.In addition, the rod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face plate and the face plate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the face plate and has a function to maintain the shape, the shape of the rod member is circular or triangular, polygonal column such as a polygon, It is made in the shape of a pipe.
상기 면 판재, 바닥판재, 천장판재, 마감판재 및 막대부재를 결합하여 제작된 지하 공동구는 면 판재 가운데에 사람이 지나갈 수 있는 대경의 원형구멍을 형성하고 그 상기 면 판재에 상수도,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및 각종 케이블 등 배설하고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소경의 구멍을 설치한다.The underground hollow sphere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 face plate, floor plate, ceiling plate, finish plate and rod member forms a large diameter circular hole through which a person can pass, and water, power line, gas pipe, Small diameter holes are formed to be installed and supported for communication lines and various cables.
상기 면 판재, 바닥판재, 천장판재, 마감판재 및 막대부재를 결합하여 제작된 빗물 열 집열고는 빗물을 에너지 교환열원으로 활용하고 격벽에 배치된 다수의 구멍에 끝 부분이 단락된 각각의 개방형 열 교환 파이프 또는 끝 부분이 상호 폐 루프로 형성된 열 교환 파이프 등을 설치하고 히트펌프에 의해 강제로 빗물 열에너지를 빗물 열 집열고 안의 곳곳으로 상기 열 교환 파이프를 통해 공급과 반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열교환 회로와 건물 안으로 냉난방을 공급하는 냉난방순환회로와 옥내 온수탱크로부터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순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열을 이용한 냉난방 열교환 시스템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rainwater heat collector produced by combining the face plate, the bottom plate, the ceiling plate, the finishing plate, and the rod member utilizes rainwater as an energy exchange heat source, and each open row of which ends are short-circuited at a plurality of holes arranged in the partition wall. A heat exchange circuit that installs an exchange pipe or a heat exchange pipe formed at an end with a mutually closed loop, and forcibly collects rainwater heat energy by a heat pump, and supplies and returns through the heat exchange pipe to various places in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And it is achieved by a cooling and heating heat exchange system using rain water he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ing and cooling circuit for supplying heating and cooling in the building and hot water circulation circuit for supplying hot water from the indoor hot water tank.
발명에 따른 시설물을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첫째, 매설할 위치를 정하여 상기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도록 지면을 파내어 매설통로를 형성한 다음, 매설통로가 형성되면 그 매설통로의 거리를 측정한다.In the method for installing a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rst, the location to be buried to form a buried passage to dig the ground so that the facility can be installed, and when the buried passage is formed, the distance of the buried passage is measured.
둘째, 그 거리에 해당하는 개수의 상기 시설물유닛을 준비하고 준비된 상기 시설물유닛을 매설통로의 한 부분에 또는 중앙에 하나의 기준 시설물유닛을 배치한다.Secondly, the number of the facility units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is prepared and one prepared facility unit is arranged in one part or the center of the buried passage.
셋째, 상기 기준 시설물 유닛의 전방 또는 후방에 다른 하나의 시설물유닛을 배치하여 상호 정렬한다.Third, the other facility unit is arranged in front of or behind the reference facility unit to align with each other.
넷째, 상호 이웃하는 시설물 유닛들이 각각 상호 정렬되어 하나의 시설물유닛에 구비된 각각의 연결부위와 다른 하나의 시설물 유닛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부위가 일치하여 상호 연통하여 연결한다. 연결부위의 이음은 빈틈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주위의 토사 등으로부터 압력을 받아도 쉽게 면 판재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은 없다. 이때, 압력을 고려하여 면 판재의 배치를 고려하면, 더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관로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다.Fourth, mutually neighboring facility unit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and each connection part provided in one facility unit and each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other facility unit coincide and connect with each other. The joints at the joints have a seamless structure, so that even if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surrounding earth and sand, the position of the face plate is not easily shifted. At this time, considering the arrangement of the face plate in consideration of the pressure, it is more effective. Thus, the pipe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다섯째, 상기 시설물유닛의 연결단계를 연속 반복적으로 매설통로 전체에 걸쳐 실행하여 시설물을 완성한다.Fifth, the step of connecting the facility unit is repeatedly carried out throughout the buried passage to complete the facility.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빗물을 중수도로 활용하거나 지하수 자원 확보 및 보호를 하거나 빗물을 에너지 자원으로 활용하며 지하매설물 공동구 역할을 하는 시설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이 간단하고 조립 전에는 판재로 되어있어 부피가 작아 수송이 쉽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acility that utilizes rainwater as heavy water, secures and protects groundwater resources, utilizes rainwater as an energy resource, and serves as a underground buried property. In addition, it is easy to assemble and it is made of plate before assembly, so it is easy to transport because of its small volume.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저류조 및 침투조 역할의 기능을 가진 기능 관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functional pipe having the function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and the penet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내진에 강하고 별도의 강화공법을 쓰지않고 연약지반에 시공이 가능하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효과를 갖는 관로 First, it has structural strength, strong seismic resistance, can be installed on soft ground without additional reinforcement method, and has economical and eco-friendly effect
둘째, 도심지에서 빗물 저류조의 역할을 함으로써 중수도 활용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Second,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heavy water by playing the role of a rainwater reservoir in urban areas.
셋째, 지속적으로 일정한 양의 빗물을 지하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지하수 고갈을 방지하고 물순환 체계를 안정적으로 회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ir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discharge a certain amount of rainwater to the ground to prevent groundwater depletion and to restore the water circulation system stably.
넷째, 강우(降雨)시 충분한 양의 빗물이 우수관내에 저류되므로 별도의 저수조나 저류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저류 시스템의 생산설비 감축과 비용절감의 효과를 갖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Fourth,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hav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production equipment of the storage system and the cost savings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separate reservoir or storage tank because a sufficient amount of rainwater is stored in the rain pipe during rainfall.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 역할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role of the underground co-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본 발명은 현장 타설 콘크리트 공법과 비교하면, 별도의 지지물의 설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지지물의 부실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 비교하면 강선의 도입과 그라우팅 등의 후속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중장비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support, compared to the site-cast concrete method, it can shorten the ai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the failure of the suppo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Compared with the cast concrete method, there is no need for the subsequent process such as the introduction and grouting of the steel wir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air, there is no need for heavy equipment and the like can reduce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둘째, 이미 시공시에 파이프랙의 역할을 하는 구멍을 설치하므로 파이프랙 제작에 있어서 필요한 자재의 운반이나 설치, 제조가 없어 제작비절감, 공기단축 등으로 비용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since there is already a hole that serves as a pipe rack during construction, there is no transport, installation, manufacturing of materials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pipe rack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st can be reduced 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air shortening.
셋째, 공동구 선로의 신설과 보수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여 사업비를 절감하는 동시에 선로의 훼손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ird, it is easy to establish, repair, and maintain the joint line track, reducing the project cost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track.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빗물 열을 이용한 냉난방 열교환시스템 역할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cooling and heating heat exchange system using rainwater h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자연을 파괴하지 않고 공해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냉난방에 필요한 량의 에너지를 최대한 자연상태에서 활용할 수 있어서 환경보호의 실익이 있는 빗물 열을 이용한 냉난방 열교환 시스템이 제공된다. First, it does not destroy nature, does not generate pollution, and can use the amount of energy required for heating and cooling in the natural state as much as possible, thus providing an air-conditioning and heat exchange system using rainwater heat having the benefi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둘째, 일정한 온도의 지하 열을 지상으로 효과적으로 끌어올려 냉난방 열교환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종래의 냉난방 시스템에 필요한 부대시설 등이 필요 없어 시설경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effectively raising the underground heat of a constant temperature to the ground to install a heating and cooling heat exchange system can reduce the energy cos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ave the facility cost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facilities required for the conventional heating and cooling system.
도 1a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이 완료된 시설물 유닛(unit)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완료된 시설물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이 완료된 시설물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격벽을 구성하는 면 판재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격벽을 구성하는 면 판재의 평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격벽을 구성하는 면 판재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천장판재 내지 바닥판재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천장판재 내지 바닥판재의 평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외벽을 구성하는 천장판재 내지 바닥판재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빗물 침투 역할을 하는 시설물의 천장판재 내지 바닥판재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빗물 침투 역할을 하는 시설물의 천장판재 내지 바닥판재의 평면도이다.
도 4c는 빗물 침투 역할을 하는 시설물의 천장판재 내지 바닥판재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빗물 침투 역할을 하는 시설물의 침투량을 조절하는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4e는 빗물 침투 역할을 하는 시설물의 침투량을 조절하는 마개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면 판재를 연결하는 막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면 판재를 연결하는 막대부재의 평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마감 벽을 구성하는 마감판재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마감 벽을 구성하는 마감판재의 평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마감 벽을 구성하는 마감판재의 단면도이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마감판재와 마감판재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유닛을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관로를 매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관로의 유수(流水)기능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관로의 빗물 저장조 기능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관로의 빗물 침투조 기능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하 공동구를 매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열 집열고에 열교환 파이프루프를 배치한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열 집열고와 열교환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14a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열 집열고와 냉난방순환회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14b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열 집열고와 온수순환회로에 대한 구성도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facility unit assembl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b is a plan view of the assembly unit is complete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c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y unit is completed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ace plate constituting the partition wall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plan view of a face plate forming a partition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ace plate constituting the partition wall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iling to floor boards constituting the outer wall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b is a plan view of the ceiling plate to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outer wall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3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iling plate to the bottom plate constituting the outer wall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eiling plate or floor board material of the facility that serves as rainwater penetration.
Figure 4b is a plan view of the ceiling plate to the floorboard of the facility that serves as rainwater penetration.
Figure 4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iling plate or floor board material of the facility that serves as rainwater penetration.
Figure 4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pper for adjusting the amount of penetration of the facility that serves as rainwater penetration.
4E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oppe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penetration of a facility that serves as rainwater penetration.
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d member for connecting the surface plate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b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rod member connecting the face plate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ing plate constituting the finishing wall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b is a plan view of the finish plate constituting the finish wall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nishing plate constituting the finishing wall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6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ish plate and the finish plate stopper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ssembly process of a unit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unction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9 is a block diagram of the water flow function of the functiona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function of the functional pip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the rainwater infiltration tank function of the functiona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ate which embedded the underground cavity ball | bowl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13 is an example of arranging a heat exchange pipe loop in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and the heat exchan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a is a block diagram of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and the heating and cooling circul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b is a block diagram of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and hot water circul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에 있어서, 유수(流水), 빗물 저장, 빗물 침투 등의 역할을 하는 기능 관로 및 지하 공동구 및 빗물 열 집열고 역할을 하기 위해 시설물의 외벽에 생기는 압력 및 과다한 하중을 외벽이 버틸 수 있게 격벽을 배치함으로써 구현한다. 즉, 본 발명의 시설물은 외벽인 천장판재(200)와 바닥판재(300)를 여러 개의 면 판재(100)로 격벽을 구성하여 지지하는 격벽 구조체의 형태로 되어있다.In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wall can support the pressure and excessive load generated on the outer wall of the facility to serve as a function pipe and underground underground holes and rainwater heat collecting and acting functions such as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water infiltration, etc. This is achieved by arranging the bulkheads so that they are possible. In other words, th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partition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유닛(U)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U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유닛(U)을 도시한 평면도이다.1b is a plan view of a unit U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유닛(U)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1c shows a front view of the unit U of a facility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유닛(U)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기본적인 구성단위이며 유닛(U)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유닛(U)은 천장판재(200), 바닥판재(300), 여러 개의 면 판재(100)와 여러 개의 막대 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판재 및 부재 등은 다양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는데 콘크리트, 금속재료, 적당한 플라스틱 재료 또는 플라스틱 재료와 무기 분체를 혼합한 복합재료를 이용한 성형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The unit U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ic structural unit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inuously connects the units U to constitute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it U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면 판재(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면 판재(100)는 격벽구조인 시설물의 외벽인 천장판재(200), 바닥판재(300)가 압력에 버틸 수 있게 해주는 주요부재이다.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면 판재(100)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면형상을 가진 판재이며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The shape of the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면 판재(100)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면 판재(100)의 구성은, 면내 가운데에는 통수용 개구부(101), 면내 상부에는 지하공동구의 지하매설물인 파이프를 거치하는 랙(rack)역할의 구멍(102), 면내 하부 열교환 파이프루프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103)을 갖으며 구멍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적절히 결정한다.2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통수용 개구부(101)는 면 판재(100)의 면내에 가운데 위치하고 시설물의 통수역할을 한다. The
공동구 관 지지 구멍(102)은 개구부(101)를 중심으로 면내에 상부 위치하고 상수관,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등의 거치대 역할을 한다.The cavity
열 교환 파이프 지지 구멍(103)은 개구부(101)를 중심으로 면내에 하부 위치하고 열 교환 파이프의 거치대 역할을 한다.The heat exchange
면 판재(100)의 면에 리브(Rib:104)를 가로, 세로 또는 8방향으로 배치하여 구조적인 강도를 갖게 한다. 또한, 구조적인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리브(104)가 십자 형태로 놓이는 곳에는 원형리브를 배치한다.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면 판재(1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막대부재 거치대(105)은 면 판재(10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막대 부재(400)를 거치할 수 있고 상기 원형리브의 구조적인 강도를 강화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Figure 2c is a side view showing a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천장판재(200) 내지 바닥판재(3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천장판재(200) 내지 바닥판재(300)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3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천장판재(200) 내지 바닥판재(300)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3C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천장판재(200) 내지 바닥판재(300)의 형상은 면 판재(100)의 형상에 맞게 만들어져서 주위의 토사 등으로부터 압력을 받아도 쉽게 면 판재(100)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은 없고 강하게 결합하도록 견고하게 제작한다. 이때, 압력을 고려하여 면 판재(100)의 배치하면 더 효과적이며 그로 인한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은 강한 구조적 강도를 갖는다.The shape of the
천장판재(200) 내지 바닥판재(300)의 구성은 종방향 연결부위(210), 천장판재(200)와 바닥판재(300)의 결합부위(302), 면 판재(100)의 결합부위(303), 면내에 리브(220)와 원형리브(223) 등으로 구성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천장판재(200) 내지 바닥판재(300)의 종방향 연결부위(210)는 오목부(211)를 갖고, 다른 인접하는 변에는 볼록부(212)를 갖는다. 오목부(211)의 양측에는, 볼록부(212)가 설치되어 있고, 볼록부(212)의 양측에는 오목부(211)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11) 및 볼록부(212)는, 이른바 '도브테일이음'(Dovetail Joint)을 구성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인접하는 2개의 천장판재(200) 내지 바닥판(300)는, 한쪽의 오목부(211)에, 다른 쪽의 볼록부(212)를 끼워 넣어 연결할 수 있고, 이것을 종으로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일체화되어 시설물을 구성할 수 있다. 그래서 천장판재(200)와 바닥판재(300)는 조립시 편차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은 조립작업 및 시공작업이 용이하다.The
천장판재(200)와 바닥판재(300)의 결합부위(310)는 종방향을 따라 오목부(311)를, 다른 인접하는 변에는 볼록부(312)를 번갈아 배치하여 강하게 결합한다. The
천장판재(200) 내지 바닥판재(300),와 면 판재(100)의 결합부위(303)는 면 판재(100)가 제대로 배치되도록 오목부로 되어있으며 면 판재(100)의 배치 위치마다 설치되어있어 즉, 요철 끼워 맞춤에 의하기 때문에 면 판재의 배치 실수가 일어나지 않아 쉽고 작업이 편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은 조립 작업 및 시공 작업이 용이하다.The
천장판재(200)면 내지 바닥판재(300)면 내에 소정간격을 두고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등의 8방향으로 리브(220)를 배치하고 리브(221)와 리브(222)가 서로 십자로 결합하는 부분은 원형리브(223)를 배치하여 강도를 올려 압력에 지탱할 수 있는 구조적인 강도를 갖는다., A portion in which the
도 4a는 빗물이 지반에 침투할 수 있게,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천장판재 (401)내지 바닥판재(40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4b는 빗물이 지반에 침투할 수 있게,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천장판재 (401)내지 바닥판재(402)를 도시한 평면도이다.4B is a plan view showing the
도 4c는 빗물이 지반에 침투할 수 있게,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천장판재 (401)내지 바닥판재(402)를 도시한 측면도이다.Figure 4c is a side view showing the
빗물이 지반에 침투할 수 있게 구성된 천장판재 (401)내지 바닥판재(402)의 구성은 상기 구성되는 천장판재(200) 내지 바닥판재(300)와 동일하나 빗물이 지반에 침투하기 용이하게 하는 작은 구멍(400)을 배치하여 시설물 설계자가 일정부분 지반으로 빗물을 침투시켜 지하수를 풍부하게 할 수 있게 제작한다.The structure of the
도 4d는 빗물이 지반에 침투할 수 있게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빗물 침투량을 조절하는 마개(40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도 4e는 빗물이 지반에 침투할 수 있게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관로의 빗물 침투량을 조절하는 마개(403)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4e is a plan view showing a
빗물 침투량 조절 마개(403)의 형상은 빗물이 지반에 침투하기 용이하게 하는 작은 구멍(400)의 형상과 일치하게 제작되고 빗물 침투량 조절 마개(403)의 상부에는 빗물 침투량 조절 마개 머리(404)를 두며 빗물이 새어 나가는 걸 방지하고 빗물 침투량 조절 마개(403)의 하부에는 화살장치(405)를 배치하여 빗물 침투량 조절 마개(403)를 빗물 침투 구멍(400)에 삽입이 쉽게 하는 반면 빗물 침투량 조절 마개(403)가 빗물 침투 구멍(400)과 강하게 결합되도록 견고하게 제작한다.The shape of the rainwater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막대부재(500)의 사시도이다.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을 구성하는 막대부재(500)의 평면도이다.5B is a plan view of the
상기 막대 부재(500)는, 면 판재(100)와 면 판재(100) 사이에 배치되어 압력과 상재하중에 대한 면 판재(100)의 뒤틀림 및 좌굴을 방지하고 고정시켜 주어 형태를 유지시킨다.The
막대부재(500)의 형상은 단면이 원형 또는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기둥 형상 또는 파이프 형상 등,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The shape of the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끝인 마감 벽을 구성하는 마감판재(600)의 사시도이다. 마감판재(600)는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과 기존 시설물 등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의 활용을 다양하게 적용하게 해준다.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끝인 마감 벽을 구성하는 마감판재(600)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유닛(U)의 종방향 연결부위(210)인 오목부(211)와 볼록부(212)에 맞게 결합하도록 마감판재(600)에 오목부(607)와 볼록부(608)를 구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 유닛(U)과 견고하게 연결한다.6B is a side view of a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끝인 마감 벽을 구성하는 마감판재(600)의 정면도이다.6C is a front view of the finishing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끝인 마감 벽을 구성하는 마감판재(600)의 각각의 구멍에 각각의 마개를 적용한 사시도이다. Figure 6d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plug applied to each hole of the finishing
마감판재(600)에는 본 발명에 의한 면 판재(100)에 설치된 기존의 구멍들과 위치를 맞게 통수용 개구부(601), 공동구 관 지지 구멍(602), 열 교환 파이프 지지 구멍(603) 등을 구성하며 상기 구멍들에 맞게 개구부 마개(604), 공동구 파이프 구멍 마개(605), 열 교환 파이프 구멍마개(606) 등을 구비하여 각기 용도에 맞게 사용한다. 이때 상기 마개들은 상기 구멍들과 강하게 결합되도록 견고하게 제작한다.Finishing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의 유닛(U)을 조립공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process of the unit U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의 기초단위인 시설물 유닛(U)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In order to configure the facility unit U which is the basic unit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땅에 트렌치를 파고 트렌치 바닥에 자갈 및 쇄석 등의 보호석을 배치하여 투수성 보호층(A)을 구비한다. First, digging a trench in the ground and arranging a protective stone such as gravel and crushed stone on the bottom of the trench is provided with a permeable protective layer (A).
둘째, 바닥판재(300)를 설치한다. Second, install the
셋째, 그 위에 면 판재(100)를 배치하고, 면 판재들(100) 사이에 시설물의 종방향에 맞추어 막대 부재(500)를 설치한다.Third, the
넷째, 면 판재(100)의 위에 천장판재(200)를 설치한다.Fourth, the
다섯째, 상기 조립이 완료된 시설물 유닛(U)을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을 완성한다.Fifth, to complete th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ntinuously placing the installation unit (U)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시설물의 마지막 방출구, 마감 벽, 맨홀과의 연결 및 기존시설물과의 연결 등에는 마감판재(600)를 설치한다.The finishing
도 8은 시설물 유닛(U)들을 종으로 연결하여 배치하고 맨홀(B)과 연결되어 실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기능 관로를 지하에 매설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acility units (U) are connected by a longitudinal arrangement and embedded in the basement of the functional pipe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rried out in connection with the manhole (B).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 관로의 유수(流水)기능에 대한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flow function of the functiona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면 판재(100)의 중앙에 설치된 통수용 개구부(101)를 통해 빗물은 흐른다. 이때 통수용 개구부(101)는 홍수 시 설계되는 통수 단면적을 갖음으로써 오버플로우(Overflow)되지 않도록 한다.Rainwater flows through the water passage opening 101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또한, 상기 기능 관로는 구조가 유연하여 지진에 강함으로 지진 시 관로 파괴의 피해가 최소화하게 된다.In addition, the functional pipeline is flexible to be strong in the earthquak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pipeline damage during the earthquak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관로의 빗물 저장 기능에 대한 구성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of the rainwater storage function of the functional pip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빗물저장의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의 단면적을 최대화하며 상재하중 및 토압 같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면 판재(100)들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한다. 한편, 빗물 저장 기능을 갖는 기능 관로는 통수용 개구부(101), 관 지지 구멍(102), 파이프루프 지지 구멍(103) 등을 통해 빗물을 골고루 관로 안에 분포시킨다. 이때 방수막으로 상기 관로의 주위를 덮으면, 빗물의 유효 이용에도 최대한 효과적이다.In order to maximize the capacity of rainwater storage to maximiz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pipe and th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관로의 빗물 침투조 기능에 대한 구성도이다.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the rainwater infiltration tank function of the functional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능 관로에서 빗물침투는 빗물 침투용 천장판재(401)와 빗물 침투용 바닥판재(402)의 빗물 침투 구멍(400)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빗물 침투량 조절 마개(403)를 이용하여 빗물 침투량을 조절하여 유입한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투수성 보호층(A)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완만하게 땅속(G)에 침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능 관로는 빗물의 급격한 땅속에의 침투와 하천에의 급격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침수 재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지하수의 수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인접한 녹지 및 가로수의 관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ainwater penetration in the function pipe is made through the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공동구로 실시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underground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면 판재(100)의 통수용 개구부(101)를 중심으로 상부에 관 지지대(pipe rack) 역할을 하는 구멍(102)을 배치하며 상기 관 지지 구멍(102)을 통하여 상수도, 전력선, 가스관, 통신선 및 각종 케이블 등을 배치한다. 또한, 맨홀과의 연결 및 기존 공동구와의 연결 등에는 마감판재(600)를 설치하고 관 지지 구멍(602)과 공동구 파이프 구멍마개(605)를 설계에 맞게 활용하여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A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빗물을 에너지 교환열원으로 활용하는 빗물 열 집열고로 실시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ainwater heat collector utilizing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nergy exchange heat source. FIG.
면 판재(100)의 통수용 개구부(101)를 중심으로 하부에 지지대(pipe rack) 역할을 하는 구멍(102)을 배치하며 상기 열교환 파이프 지지 구멍(103)을 통하여 열교환 파이프를 배치한다. 또한, 맨홀과의 연결 및 기존 공동구와의 연결 등에는 마감판재(600)를 설치하고 열교환 파이프 지지 구멍(603)과 열교환 파이프 지지 구멍 마개(606)를 설계에 맞게 활용하여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A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열 집열고와 지하 열과 저류된 빗물의 자체 열교환 시스템(S)에 대한 구성도이다.14 is a block diagram of the self-heat exchange system (S) of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and the underground heat and the stored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빗물 열 집열고는 열교환회로(R)와 냉난방순환회로(H), 온수순환회로(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물 열을 이용한 빗물 열교환 시스템(S)에 의하여 달성된다.Rainwater heat collector is achieved by a rainwater heat exchange system (S) using rainwater hea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eat exchange circuit (R), a heating and cooling circuit (H), a hot water circulation circuit (I).
상기 빗물 열교환 시스템(S)은 모든 형태의 건축물에 온수와 냉난방을 공급하기 위해 대지 내의 비교적 일정한 온도의 지하 열(C)과 빗물 열(D)을 이용하기 위한 전기적 기계적 시스템이다.The rainwater heat exchange system (S) is an electromechanical system for using underground heat (C) and rainwater heat (D) of a relatively constant temperature in the site to supply hot water and air conditioning to all types of buildings.
상기 열교환회로(R)는 대지 내에 포함된 지하 열(C)과 저류된 빗물의 자체 열(D)이 자연적으로 순환되고 히트펌프(E)에 의해 강제로 열에너지를 빗물 열 집열고 안의 곳곳으로 이동시키고 지상으로 끌어 올려진 열을 순환시킨다.The heat exchange circuit (R) is naturally circulated in the underground heat (C) contained in the ground and the stored heat (D) of the rainwater is naturally forced by the heat pump (E) to move the heat energy in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and everywhere. And circulate the heat that is pulled up to the ground.
더 자세하게 상기 열교환 회로(R)는 지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묻힌 빗물 열 집열고 내부에 삽입되어 지하 열(C)과 빗물 열(D)을 공급 및 반환할 수 있도록 적어도 1조 이상이 삽입된 파이프(P)와; 상기 파이프(P)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파이프회로 망으로 순환시키는 히트펌프(E)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heat exchange circuit (R) is a pipe in which at least one or more tanks are insert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rainwater heat collection column buri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ground surface to supply and return the underground heat (C) and the rainwater heat (D) ( P);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heat pump (E) for circulating the fluid filled in the pipe (P) to the pipe network.
상기 히트펌프(E)는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해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하는 냉난방장치로, 구동 방식에 따라 전기식과 엔진 식으로 구분되며 냉방과 난방을 겸용하는 구조로 된다.The heat pump (E) is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for transferring a low temperature heat source to a high temperature or a high temperature heat source at a low temperature by using heat of a refrigerant or condensation heat, and is divided into electric and engine types according to a driving method, and combines cooling and heating. It becomes the structure to make.
상기 파이프(P)는 공급과 반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끝 부분이 단락된 각각의 개방형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P)는 공급과 반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끝 부분이 상호 폐 루프로 형성된 파이프(P)인 것이 효과적이고 상기 파이프(P)는 상기 유체 및 기체를 공급 및 반환시킬 수 있는 길이가 긴 U형으로 형성한 것과, 상기 파이프(P)는 폴리에틸렌 또는 구리,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된 것이 본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해 바람직하다.The pipe P includes each open pipe whose end is shorted so that supply and return can be made, and the pipe P is a pipe whose end is formed in a mutually closed loop so that supply and return can be made. (P) is effective, and the pipe (P) is formed of a long U-shape to supply and return the fluid and gas, and the pipe (P) is formed of polyethylene, copper, aluminum, or the like. It is preferable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invention.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열 집열고와 지하 열과 저류된 빗물의 냉난방순환회로(H)에 대한 구성도이다.Figure 14a is a block diagram of the cooling and heating circulation circuit (H) of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and underground heat and stored rain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냉난방순환회로(H)는 열교환회로(R)에 의해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히트펌프(E)를 이용하여 가장 열효율이 좋은 시점을 기준으로 냉난방 축열조(N)에 열에너지를 저장하고 다시 냉난방 축열조(N)에서 건물 안에 효율적으로 온돌바닥난방 또는 팬 코일 유닛(F)을 통한 냉난방을 공급한다. The heating / cooling circulation circuit (H) stores the thermal energy supplied by the heat exchange circuit (R) in the heating / cooling heat storage tank (N) on the basis of the most heat efficient time using the heat pump (E), and again, the heating / cooling heat storage tank (N). In the building to efficiently supply heating and cooling floor heating or fan coil unit (F) in the building.
상기 냉난방 축열조(N)는 냉방 및 난방에서 가장 큰 부하를 평균화하여 야간이나 사용하지 않을 때 냉동기?보일러를 연속운전하여 냉열?온열을 보존시켜 사용량이 큰 시점에 사용하는 열에너지저장 장치이다.The cooling and heating heat storage tank (N) is a thermal energy storage device that is used at a time when the amount of use is large by preserving cooling heat and heat by continuously operating a refrigerator and a boiler at night or when not in use by averaging the largest load in cooling and heating.
도 14b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 열 집열고와 지하 열과 저류된 빗물의 온수순환회로(I)에 대한 구성도이다.14B is a block diagram of a rainwater heat collecting pool and underground water and stored warm water circulation circuit I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온수순환회로(I)는 열교환회로(R)에 의해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히트펌프(E)를 이용하여 가장 열효율이 좋은 시점을 기준으로 온수탱크(M)에 열에너지를 저장하고 다시 온수탱크(M)에서 건물 안으로 온수를 공급한다. The hot water circulation circuit (I) stores the thermal energy supplied by the heat exchange circuit (R) in the hot water tank (M) on the basis of the most thermally efficient time using the heat pump (E), and again, the hot water tank (M). Supplies hot water into the building.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을 지하공동구나 빗물 열 집열고로 활용함에 있어 중복적인 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크고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며 공간 활용 및 관리가 용이하다.The use of the facilit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redundantly in the underground cavity or rainwater collection, economical effect is large, easy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space utilization and management is easy.
본 발명에 의한 시설물은 면 판재(100), 천장판재(200), 바닥판재(300), 막대 부재(500)와, 마감판재(600)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부피가 커지지 않은 상태로 수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송비용이 절감되고 수송이 쉽게 된다.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 기술 사상 및 교시에 기초하여, 당업자이면, 여러 가지의 변형 형태를 채택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content of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concretely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it is clear that a person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opt various modification forms based on the basic technical idea and teaching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유수(流水), 빗물 저장, 빗물 침투 등의 역할을 하는 기능 관로 및 지하 공동구 및 빗물 열 집열고의 산업상 이용은 다음과 같다.Industrial use of functional pipelines and underground co-holes and rainwater heat collectors that play the role of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water penetration, et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관로 및 지하 공동구 및 빗물 열 집열고 등의 설치시 가격이 저렴하고 안전하며 시공이 간단하다.First, the cost is low, safe and simple to install when installing pipelines, underground cavity and rainwater collectors.
둘째, 기존시설물에 빗물저장 기능을 갖춤으로써 다용도 활용이 가능하다.Second, it is possible to use the multipurpose by having a rainwater storage function in the existing facility.
셋째, 기존시설물에 빗물침투 기능을 갖춤으로써 다용도 활용이 가능하다.Third,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multipurpose by equipping the existing facilities with rainwater penetration function.
넷째, 빗물 열 집열고로 이용할 경우 대량의 열원을 계절에 무관하게 제공받는다.Fourth, when used as a rainwater heat collector, a large amount of heat source is provided regardless of the season.
다섯째, 지진에 강하고 연약지반의 영향을 받지 않아 중요 시설물에 적용 가능하다.Fifth, it is applicable to important facilities because it is strong in earthquake and not affected by soft ground.
100: 면 판재 101: 통수용 개구부 102: 관 지지 구멍
103: 파이프루프 지지 구멍 104: 리브(RIB) 105: 막대부재 거치대
200: 천장판재 210: 종방향 연결부위 211: 오목부 212: 볼록부
220 : 리브(RIB) 221,222: 교차리브 223: 원형리브
300: 바닥판재
310: 천장판재와 바닥판재의 결합부위 311: 오목부 312: 볼록부
400: 빗물 침투 구멍 401: 빗물 침투용 천장판재 402: 빗물 침투용 바닥판재
403: 빗물 침투량 조절 마개 404: 빗물 침투량 조절 마개 머리
500: 막대부재
600: 마감판재 601: 통수용 개구부 602: 지하공동구 랙용 구멍
603: 열교환파이프루프용 구멍 604: 개구부 마개
605: 지하공동구 랙용 구멍마개 606: 열교환파이프루프용 구멍마개
607: 오목부 608: 볼록부
A: 투수성 보호층 B: 맨홀 C: 지하 열 D: 저류된 빗물의 자체 열
E: 히트펌프 F: 팬 코일 유닛 G: 땅속
H: 냉난방순환회로 I; 온수순환회로 M: 실내온수탱크 N: 냉난방 축열조
P: 열 교환용 파이프 Q: 빗물 열 집열고 R: 열교환회로 S: 빗물 열교환시스템
U: 시설물유닛 DESCRIPTION OF
103: pipe loop support hole 104: rib (RIB) 105: rod member holder
200: ceiling plate 210: longitudinal connection 211: recess 212: convex
220: rib 221, 222: cross rib 223: circular rib
300: floorboard
310: engaging portion of the ceiling plate and the bottom plate 311: recessed portion 312: convex portion
400: rainwater penetration hole 401: ceiling plate for rainwater penetration 402: bottom plate for rainwater penetration
403: rainwater penetration adjustment stopper 404: rainwater penetration adjustment stopper head
500: rod member
600: Finishing plate 601: Water passage opening 602: Hole for underground co-operation rack
603: hole for heat exchange pipe loop 604: opening cap
605: hole stopper for underground co-hole rack 606: hole stopper for heat exchange pipe
607: concave portion 608: convex portion
A: Permeable protective layer B: Manhole C: Underground heat D: Self-heating of stored rainwater
E: Heat pump F: Fan coil unit G: Underground
H: air conditioning circuit I; Hot water circulation circuit M: Indoor hot water tank N: Air-conditioning heat storage tank
P: Pipe for heat exchange Q: Rainwater heat collector R: Heat exchange circuit S: Rainwater heat exchange system
U: Facility Unit
Claims (10)
In the joint sphere which connects a plurality of facility units (U) to be installed in the ground, the underground joint sphere produced in any one of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sixth is composed of a partition structure. Form a large diameter circular hole through which a person can pass and install small diameter holes formed to install and support water, power lines, gas lines, communication lines, and various cables in the bulkhead. Function pipelines and underground joint holes and rainwater heat collectors, playing the role of rainwater penetration and so on.
In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which interconnects a plurality of facility units U and installs in the ground,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manufactured in any one of said 1st, 2nd, 3rd, 4th, 5th, and 6th is rainwater. An energy exchange heat source of a rainwater heat exchange system that utilizes heat, and the rainwater heat exchange system is an open heat exchange pipe or ends of each open heat exchange pipe whose ends are shorted in a plurality of holes disposed in the partition wall of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A heat exchange circuit for installing the formed heat exchange pipe or the like and forcibly supplying and returning heat energy through the heat exchange pipe to the rainwater heat collector through the heat pump; Flow-through cooling and cooling heat exchange system utilizing rainwater heat as an energy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oling and heating circulation circuit for supplying heating and cooling from the heat exchange circuit into the building; and a hot water circulation circuit for supplying hot water from the heat exchange circuit. Capable of serving as rainwater storage, rainwater penetration, etc.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and 8 to 9, wherein the method includes installing a functional pipeline which plays a role of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water penetration, etc., and an underground cavity and a rainwater collector. Forming a buried passage (trench) by digging the ground so that the facility can be installed by determining a location to be installed; If the buried passage is formed, measuring the distance of the buried passage and preparing a number of the facility unit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Disposing the prepared facility unit in a central portion of a buried passage or a reference facility unit; Arranging the other facility units in front of or behind the reference facility unit to align with each other; Each main body of neighboring facility unit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each connection part provided in one facility unit and each connection part formed in the other facility unit coincid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erconnecting with; And the step of connecting the facility unit continuously and repeatedly throughout the buried passage to complete the facility. The function pipe and underground co-holes playing a role of water flow, rainwater storage, rainwater infiltration, and the like. And rainwater heat collecto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9268A KR20120043727A (en) | 2012-04-16 | 2012-04-16 | Pipe for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 water percolation, pipe utility conduit and rainwater heat stor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9268A KR20120043727A (en) | 2012-04-16 | 2012-04-16 | Pipe for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 water percolation, pipe utility conduit and rainwater heat stora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43727A true KR20120043727A (en) | 2012-05-04 |
Family
ID=46263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9268A Ceased KR20120043727A (en) | 2012-04-16 | 2012-04-16 | Pipe for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 water percolation, pipe utility conduit and rainwater heat stor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43727A (en) |
-
2012
- 2012-04-16 KR KR1020120039268A patent/KR20120043727A/en not_active Ceas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661302T3 (en) | Procedure and installation of supplementary electric power production | |
RU2561840C2 (en) | Underground circuit in system of low temperature energy and method of its generation | |
Singh et al. | An overview of ground-source heat pump technology | |
JP6266505B2 (en) | Grass grid | |
US20150007960A1 (en) | Column Buffer Thermal Energy Storage | |
Figueira et al. | Shallow geothermal energy systems for district heating and cooling networks: Review and technological progression through case studies | |
CN102304926A (en) | Method for fixing telegraph pole on wetland | |
US20070151704A1 (en) | Geothermal heat exchange system | |
JP4609946B2 (en) | Underground heat storage system and reserve water source for seasonal energy use | |
JP4360690B1 (en) | Rainwater infiltration type underground heat exchange system | |
RU84883U1 (en) | CONSTRUCTION OF BUILDING OR STRUCTURE ON PERMANENTLY FROZEN SOIL | |
KR100407673B1 (en) | An air conditioning system using the heat of the earth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large heat-exchanging pipe | |
CN111102765A (en) | Novel prefabricated energy pile syste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6948711B2 (en) | Exhaust hot water heat regeneration device and exhaust hot water heat regeneration system using it | |
KR20120043727A (en) | Pipe for running water, rainwater storage, rain water percolation, pipe utility conduit and rainwater heat storage | |
RU2717890C1 (en) | Method for underground accumulation of heat or cold | |
JP2006207919A (en) | Cooling/heating device and method using underground heat | |
WO2023065647A1 (en) | Photoelectric water-permeable pavement underground water storage automation system | |
CN211650816U (en) | Prefabricated energy pile application structure | |
KR101097910B1 (en) | Geothermal Heat Exchanger with Stacked Horizontal Structure | |
JP2001133049A (en) | Rainwater tank with heat exchanger with condensate drainage function | |
JP2013241772A (en) | Rainwater storage structure inside reinforced concrete slab | |
JP2009209637A (en) | Method of constructing buried structure | |
EP3187661B1 (en) | Subsurface tank | |
EP2557385A1 (en) | Thermal Energy Stores and Heat Exchange Assemblies Theref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4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6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7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408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312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305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