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41067A - 배액 카테터 - Google Patents

배액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067A
KR20120041067A KR1020100102652A KR20100102652A KR20120041067A KR 20120041067 A KR20120041067 A KR 20120041067A KR 1020100102652 A KR1020100102652 A KR 1020100102652A KR 20100102652 A KR20100102652 A KR 20100102652A KR 20120041067 A KR20120041067 A KR 20120041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spiral portion
pull
spiral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5194B1 (ko
Inventor
박홍석
서수원
Original Assignee
박홍석
서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석, 서수원 filed Critical 박홍석
Priority to KR102010010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1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4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19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7Details of the aspiration tip,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5/007Side holes, e.g. their profiles or arrangements; Provisions to keep side holes unblock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68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shape, atraumatic tip, curved tip or tip structure
    • A61M2025/0073Tip designed for influencing the flow or the flow velocity of the fluid, e.g. inserts for twisted or vortex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4Liquids
    • A61M2202/0403Gall; Bi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담도 등 인체의 장기에서 체액의 배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카테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배액 카테터는 내부에 관로가 제공된 바디, 바디의 관로에 연결되며 선단부에 흡입부가 제공된 배액관, 바디에 연결되어 흡입부의 형상을 세팅된 모양으로 유지하는 당김줄을 포함하며, 흡입부는 체액이 유입되는 복수의 배액 구멍을 구비하고, 배액관의 끝부분이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중심선으로 하여 나선형 모양으로 연결되는 나선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액 카테터{Drainage catheter}
본 발명은 담도 등 인체의 장기에서 체액의 배액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경피경간 담도배액술(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은 담도가 좁아져서 발생하는 담즙 정체성 황달을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의 투시 영상을 이용하여 배액관을 체외에서 삽입하여 간 내의 담도에 위치시켜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담즙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시술이다.
이러한 경피경간 담도배액술은 진통제와 부분 마취를 하고 시행하는 수술로 전신 마취를 하는 다른 시술법에 비해 환자의 신체적 부담이 적고 시술이 간편하며 그 예후가 좋아 담즙 정체성 황달을 치료하는데 널리 쓰이고 있는 시술법이다.
일반적으로 경피경간 담도배액술에서는 시술 후 배액관이 담도 내에 잘 들어가 있는지 투시 영상으로 확인하고 배액관을 통해 담즙이 흘러나오는 것으로 배액이 잘 되는지를 확인한 후 환자를 병실로 옮겨 매일 담즙의 배액량과 혈액 속의 담즙수치가 감소하는지 경과를 보게 된다. 환자의 증상이 호전되는 시기가 빠를수록 질병의 치료가 빨라지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일반적인 침습적인 시술, 즉, 환자의 몸에 다소의 해를 가하더라도 치료나 진단 목적을 위해 행해지는 모든 시술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합병증인 감염의 기회가 늘어난다. 담도배액술의 경우 담즙 자체가 장내 세균에 의해 이미 감염되어 있거나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감염의 위험은 더욱 커지므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담즙을 배액할 수 있는 카테터의 개발이 요구된다.
경피경간 담도배액술에 사용되는 중요한 시술 도구로 이른바 피그테일 카테터(Pigtail catheter)가 사용된다. 이러한 피그테일 카테터는 기타 다른 종류의 배액에도 사용되는 기본적인 배액시술도구로도 사용된다. 피그테일 카테터는 가늘고 긴 튜브의 끝 부분이 평면상으로 말려진 둥근 고리형상을 이루며, 이 고리 형상 부분에 담즙을 배액할 수 있는 다수의 배액 구멍이 제공된다. 이러한 종래의 피그테일 카테터는 담즙이 정체된 담도의 형태에 따라 평면 형상의 둥근 고리 부분과 가까운 곳에서는 담즙의 배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만 둥근 고리 부분과 멀리 떨어진 부분에서는 담즙의 배액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경피경간 담도배액술에서 담도의 전체 영역에서 신속하게 담즙을 배액하여 장내 세균의 감염의 위험을 줄이고 환자를 치료한 후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액 카테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관로가 제공된 바디, 상기 바디의 관로에 연결되며 선단부에 흡입부가 제공된 배액관,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의 형상을 세팅된 모양으로 유지하는 당김줄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체액이 유입되는 복수의 배액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배액관의 끝부분이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중심선으로 하여 나선형 모양으로 연결되는 나선부로 이루어진 배액 카테터를 제공한다.
상기 나선부는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20개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선부는 세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사이드 측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부는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끝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부는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중심으로 한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액 구멍은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나선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김줄은 일단이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배액관과 상기 나선부 내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나선부의 선단에 제공된 당김줄 통과홀을 통해 상기 나선부의 외부로 나오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액관에 제공된 또 다른 당김줄 통과홀을 통해 상기 배액관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나오는 당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선부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당김줄 통과홀이 제공되고, 상기 당김줄은 일단이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나선부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나선부의 선단에 제공된 당김줄 통과홀을 통해 상기 나선부의 외부로 나오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나선부에 제공된 상기 복수의 당김줄 통과홀에 끼워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액관에 제공된 또 다른 당김줄 통과홀들을 통해 타단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나오는 당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에는 상기 당김줄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당김줄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바디에 제공된 나사산에 상기 당김줄의 일측을 감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바디에 억지 끼움 결합하여 상기 당김줄의 타측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경피경간 담도배액술을 포함하는 각종 채액의 배액술에서 사용하는 배액 카테터의 흡입부가 입체 형상의 나선형상으로 이루어져 담도의 전체 영역에서 골고루 신속하게 담즙을 배액할 수 있어 장내 세균의 감염의 위험을 줄이고 환자를 치료한 후 예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배액 카테터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배액 카테터의 바디부를 세로 방향으로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주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배액 카테터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액 카테터는, 바디(1), 배액관(3), 흡입부(5), 그리고 당김줄(7)을 도시하고 있다.
바디(1)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내부에 관로(1a)가 제공된다. 그리고 바디(1)에는 배액관(3)이 결합됨으로써 배액관(3)의 내부와 상술한 관로(1a)가 서로 연결된다. 즉, 바디(1)에는 제1 고정부재(9)와 제2 고정부재(11)가 결합될 수 있다.
바디(1)에는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고, 이 나사산에 제1 고정부재(9)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바디(1)에 제공된 나사산에 상술한 당김줄(7)이 감겨지고 제1 고정부재(9)가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당김줄(7)의 일측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1)는 바디(1)에서 일부 구간을 상, 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일부 구간에서 바디(1)에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 고정부재(11)에는 상술한 당김줄(7)의 다른 일측이 끼워지고, 제2 고정부재(11)가 바디(1)에 억지 끼움 결합될 때 당김줄(7)이 고정될 수 있다.
바디(1)에는 배액통(13)이 연결되어 관로(1a)로 유입된 담즙 등의 체액이 모일 수 있다.
배액관(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디(1)에 연결되고 그 선단부에는 흡입부(5)가 제공된다. 배액관(3)과 흡입부(5)는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지며 초기 세팅된 모양으로 복원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입부(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액관(3)을 연장한 선(a)을 중심으로 하여 입체적인 나선형으로 이루어진 나선부(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나선부(15)는 한 개 또는 두 개 또는 20개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 예시로 5개로 이루어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나선부(15)는 설명의 편의상 배액관(3)에서 순차적으로 제1 나선부(15a), 제2 나선부(15b), 제3 나선부(15c), 제4 나선부(15d), 그리고 제5 나선부(15e)로 명칭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나선부(15)를 이루는 제1 나선부(15a), 제2 나선부(15b), 제3 나선부(15c), 제4 나선부(15d), 그리고 제5 나선부(15e)는, 배액관(3)을 연장한 선(a)을 중심으로 입체 모양의 나선형을 이루며 서로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즉, 제1 나선부(15a), 제2 나선부(15b), 제3 나선부(15c), 제4 나선부(15d), 그리고 제5 나선부(15e)는, 배액관(3)에서 연장된 선(a)을 중심으로 대략 원형을 이루며 나선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선부(15)는 배액관(3)에서 연장된 선(a)을 중심으로 그 직경이 양사이드 측인 제1 나선부(15a)와 제5 나선부(15e)에서 가운데 부분인 제3 나선부(15c) 측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는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나선부(15)의 구조는, 예를 들면, 담도(b, 도 3에 도시하고 있음) 등 인체의 내강의 내부 형상과 일치하는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선부(15)에는 복수의 배액 구멍(15f)이 제공된다. 이러한 복수의 배액 구멍(15f)은 담즙 등의 체액이 통과하여 배액관(3)을 통하여 배액통(13)으로 배액할 수 있다.
상술한 복수의 배액 구멍(15f)는 배액관(3)을 연장한 선(a)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의 배액 구멍(15f)은 인체의 내강 반대측에 위치하여 담도 등 인체의 내강의 벽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석션(suction)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당김줄(7)은 흡입부(5)의 형상을 세팅된 모양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바디(1)에 고정되는 지지부(7a)와 이 지지부(7a)에서 연장되는 당김부(7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7a)는 일단이 제1 고정부재(9)에 의해 바디(1)에 고정되며 배액관(3)과 나선부(15) 내부를 따라 배치되며 제5 나선부(15)의 선단에 제공된 당김줄 통과홀(15g)을 통해 나선부(15)의 외부로 빠져 나온다.
그리고 이 지지부(7a)에서 연장되는 당김부(7b)는 배액관(3)에 제공된 또 다른 당김줄 통과홀(3a)을 통해 배액관(3)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고 타단이 바디(1)의 외측으로 빠져 나와 제2 고정부재(11)에 연결된다.
이러한 당김줄(7)은 사용자가 당김부(7b)를 당기는 것에 의해 흡입부(5)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배액 카테터를 담도 등 인체의 내강에 삽입하여 담즙 등의 체액을 배액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도철선(도시생략, '와이어'라고도 함)을 배액하고자 하는 인체의 내강에 천자 등을 통하여 삽입한다. 흡입부가 나선형인 배액 카테터 내부에 메탈부재(도시생략, 와이어가 수용될 수 있는 관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가늘고 긴 모양의 탄성체)의 카테터와 결합하여 일자로 펼쳐지게 하고, 유도철선을 따라 흡입부(5)와 배액관(3)을 인체의 내강에 삽입한다. 이때 흡입부(5)는 일자로 펼쳐진 상태이므로 쉽게 인체의 내강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와 메탈부재의 카테터를 배액관(3)과 흡입부(5)에서 제거하면, 흡입부(5)가 원래 세팅된 초기 형상(도 3에 도시한 형상)으로 변형된다. 흡입부(5)의 모양이 완전하게 원래 모양대로 돌아오지 않으면 시술자는 당김줄(7)의 당김부(7b)를 가볍게 잡아당긴다. 즉, 흡입부(5)의 나선부(15) 중에서 가장 선단에 있는 제5 나선부(15e)가 당겨지면서 흡입부(5)의 형상은 초기 세팅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부재(11)를 가압하여 바디(1)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당김줄(7)의 당김부(7b)가 바디(1)와 제2 고정부재(11) 사이에 끼면서 당김줄(7)의 당김부(7b)가 고정된다.
그리고 바디(1)에서 배액통(13)에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부압을 발생시키면 담도(b) 등의 인체의 내강에 있던 담즙 등의 체액이 복수의 배액 구멍(15f)을 통하여 나선부(15)의 내부로 유입된다. 나선부(15)의 내부로 유입된 담즙 등의 체액은 배액관(3)을 따라 이동하여 배액통(13)에 모이게 된다.
이때 흡입부(5)를 이루는 나선부(15)에 제공된 복수의 배액 구멍(15f)은 담도의 전체 영역에 입체적으로 골고루 배치되므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담즙 등의 체액을 배액통(13)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로 나선부(15)를 이루는 제1 나선부(15a), 제2 나선부(15b), 제3 나선부(15c), 제4 나선부(15d), 그리고 제5 나선부(15e)에 각각 복수의 당김줄 통과홀(15g)을 배치하여 나선부(15)가 전체적으로 당김줄(7)의 당김부(7b)에 의해 당겨질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다른 점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예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당김줄(7)이 지지부(7a), 연결부(7c), 그리고 당김부(7b)를 포함할 수 있다.
당김줄(7)의 지지부(7a)는 일단이 바디(1)에 고정되며 나선부(15)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며 나선부(15)의 제5 나선부(15e)의 선단에 제공된 당김줄 통과홀(15g)을 통해 나선부(15)의 외부로 빠져 나온다.
당김줄(7)의 연결부(7c)는 지지부(7a)에서 연장되어 나선부(15)의 제1 나선부(15a), 제2 나선부(15b), 제3 나선부(15c), 제4 나선부(15d)에 제공된 복수의 당김줄 통과홀(15g)에 끼워진다.
이때 당김줄(7)의 연결부(7c)는 제4 나선부(15d), 제3 나선부(15c), 제2 나선부(15b), 제1 나선부(15a)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끼워져 연결된다.
그리고 당김줄(7)의 당김부(7b)는 연결부(7c)에서 연장되어 배액관(3)에 제공된 또 다른 당김줄 통과홀(3a)을 통해 타단이 바디(1)의 외측으로 나와 제2 고정부재(11)에 끼워진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담도에 흡입부(5)를 삽입한 후 당김줄(7)의 당김부(7b)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나선부(15)의 제5 나선부(15e), 제4 나선부(15d), 제3 나선부(15c), 제2 나선부(15b), 그리고 제1 나선부(15a)가 순차적으로 당겨지면서 세팅된 모양으로 최적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더욱 세팅된 모양에 가깝게 흡입부(5)의 형상을 만들거나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배액 카테터의 흡입부(5)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과 비교하여 다른 점 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는 흡입부(5)의 나선부(15)가 끝부분으로 갈수록 배액관(3)을 연장한 선(a)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커진다.
즉, 제1 나선부(15a), 제2 나선부(15b), 제3 나선부(15c), 제4 나선부(15d), 그리고 제5 나선부(15e)는 배액관(3)을 연장한 선(a)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점점 커지는 모양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흡입부(5)의 나선부(15)가 끝부분으로 갈수록 배액관(3)을 연장한 선(a)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점점 작아진다.
즉, 제1 나선부(15a), 제2 나선부(15b), 제3 나선부(15c), 제4 나선부(15d), 그리고 제5 나선부(15e)는 배액관(3)을 연장한 선(a)을 중심으로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모양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담도 등 인체의 내강의 형상에 맞게 배액 카테터의 흡입부(5)의 형상을 달리하여 체액의 배액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배액 카테터의 흡입부(5)의 다른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는 나선부(15)를 이루는 제1 나선부(15a), 제2 나선부(15b), 제3 나선부(15c), 제4 나선부(15d), 그리고 제5 나선부(15e)가 배액관(3)을 연장한 선(a)을 중심으로 직경(D)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시 역시 담도 등 인체의 내강의 형상에 맞게 배액 카테터의 흡입부(5) 형상을 다르게 하여 체액의 배액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바디, 1a. 관로
3. 배액관, 3a, 당김줄 통과홀
5. 흡입부,
7. 당김줄, 7a. 지지부, 7b. 당김부, 7c. 연장부
9. 제1 고정부재,
11. 제2 고정부재,
13. 배액통,
15. 나선부, 15a. 제1 나선부, 15b. 제2 나선부, 15c. 제3 나선부, 15d. 제4 나선부, 15e. 제5 나선부, 15f. 배액 구멍, 15g. 당김줄 통과홀

Claims (10)

  1. 내부에 관로가 제공된 바디,
    상기 바디의 관로에 연결되며 선단부에 흡입부가 제공된 배액관,
    상기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의 형상을 세팅된 모양으로 유지하는 당김줄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는
    체액이 유입되는 복수의 배액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배액관의 끝부분이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중심선으로 하여 나선형 모양으로 연결되는 나선부로 이루어지는 배액 카테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하나 또는 2개 이상 20개 이하로 이루어지는 배액 카테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세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사이드 측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커지는 배액 카테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끝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커지거나 또는 작아지는 배액 카테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두 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중심으로 하는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배액 카테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액 구멍은
    상기 배액관을 연장한 선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나선부에 제공되는 배액 카테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당김줄은
    일단이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배액관과 상기 나선부 내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나선부의 선단에 제공된 당김줄 통과홀을 통해 상기 나선부의 외부로 나오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액관에 제공된 또 다른 당김줄 통과홀을 통해 상기 배액관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나오는 당김부
    를 포함하는 배액 카테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복수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당김줄 통과홀이 제공되고,
    상기 당김줄은
    일단이 상기 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나선부의 내부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나선부의 선단에 제공된 당김줄 통과홀을 통해 상기 나선부의 외부로 나오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나선부에 제공된 복수의 당김줄 통과홀에 끼워지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액관에 제공된 또 다른 당김줄 통과홀들을 통해 타단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나오는 당김부
    를 포함하는 배액 카테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당김줄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당김줄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가 제공되는 배액 카테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는
    상기 바디에 제공된 나사산에 상기 당김줄의 일측을 감아 나사결합으로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상기 바디에 억지 끼움 결합하여 상기 당김줄의 타측을 고정하는 배액 카테터.
KR1020100102652A 2010-10-20 2010-10-20 배액 카테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225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52A KR101225194B1 (ko) 2010-10-20 2010-10-20 배액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652A KR101225194B1 (ko) 2010-10-20 2010-10-20 배액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67A true KR20120041067A (ko) 2012-04-30
KR101225194B1 KR101225194B1 (ko) 2013-01-22

Family

ID=4614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6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225194B1 (ko) 2010-10-20 2010-10-20 배액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1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4804A (zh) * 2015-05-11 2015-07-22 大连大学 襻式胆汁外引流管
CN105343989A (zh) * 2015-10-19 2016-02-24 大连大学 襻式鼻胆冲洗管
WO2018093013A1 (ko) * 2016-11-18 2018-05-24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WO2021137578A1 (ko) * 2019-12-30 2021-07-08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배액관 고정 가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5590A (ja) 2001-10-31 2003-05-13 Nippon Zeon Co Ltd 医療用チューブ
KR100813147B1 (ko) 2006-11-13 2008-03-17 주식회사 엠아이텍 의료용 카테터
JP2010042159A (ja) 2008-08-14 2010-02-25 St Marianna Univ School Of Medicine 新規形状を有する医療用ドレナージチューブ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4804A (zh) * 2015-05-11 2015-07-22 大连大学 襻式胆汁外引流管
CN105343989A (zh) * 2015-10-19 2016-02-24 大连大学 襻式鼻胆冲洗管
CN105343989B (zh) * 2015-10-19 2018-08-17 大连大学 襻式鼻胆冲洗管
WO2018093013A1 (ko) * 2016-11-18 2018-05-24 주식회사 지에스엠티 와이어를 이용한 연성 카테터
WO2021137578A1 (ko) * 2019-12-30 2021-07-08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배액관 고정 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194B1 (ko)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96924A1 (en) Medical tube clearance
US10980554B2 (en) Retrieval system
WO2016015449A1 (zh) 一种新型双j管导丝套件
BR112015014795B1 (pt) Sonda endo-ureteral
KR101225194B1 (ko) 배액 카테터
EP3821831B1 (en) Calculus removing mesh basket and double-cavity end cap for calculus removing mesh basket
KR20120053478A (ko) 형상 기억 중합체로 구성된 안내 카테터
JP2015051085A (ja) コイル体及びそのコイル体を用いた医療器具
US20240115793A1 (en) Vacuum therapy devices and methods
GB2516718A (en) Medical guide wire
WO2023093366A1 (zh) 一种器械管及内窥镜
JPWO2014162452A1 (ja) イントロデューサシースおよびその使用方法
WO2015154781A1 (en) A ureteral stent
US839861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raining fluid from an organism
CN105188570B (zh) 再通装置
CN206463096U (zh) 一种防脱落输尿管支架
CN201888982U (zh) 肾盂引流输尿管支架一体管
CN107137113B (zh) 医疗器械外操作手柄及医疗器械
CN212346833U (zh) 一种输尿管支架拔除器
CN219681429U (zh) 一种输尿管导引鞘管
CN214343883U (zh) 分体式鼻胆引流管
CN218923363U (zh) 一种专用于胸腔或腹腔积液纤维分隔的破除装置
CN103418073A (zh) 一种医用引流管
CN221229720U (zh) 一种腹腔引流管
CN203943735U (zh) 一种带刻度的输尿管软镜通道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