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20039541A - 배기 장치를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배기 장치를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541A
KR20120039541A KR1020117030116A KR20117030116A KR20120039541A KR 20120039541 A KR20120039541 A KR 20120039541A KR 1020117030116 A KR1020117030116 A KR 1020117030116A KR 20117030116 A KR20117030116 A KR 20117030116A KR 20120039541 A KR20120039541 A KR 20120039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piston
exhaust
ridges
reservoi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786B1 (ko
Inventor
폴 저지
Original Assignee
술저 믹스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술저 믹스팩 아게 filed Critical 술저 믹스팩 아게
Publication of KR20120039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78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Containers having parallel or coaxial compartment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055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 B05C17/0056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eans allowing the stock of material to consist of at least two different components with a dynamic mixer in the nozz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57/00Internal-combustion aspects of rotary engines in which the combusted gases displace one or more reciprocating pistons
    • F02B57/06Two-stroke engines or other engines with working-piston-controlled cylinder-charge admission or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4Venting means for venting during the initial insertion of a pist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Ink Jet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 1 성분(8)을 위한 제 1 저장실(6) 및 제 2 성분(9)을 위한 제 2 저장실(7)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저장실(6)은 제 2 저장실(7)과 분리되어 있다. 제 1 저장실(6)은 제 2 저장실(7)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 1 피스톤(3)이 제 1 저장실(6)안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되며, 제 2 피스톤(4)이 제 2 저장실(7)안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된다. 제 1 또는 2 저장실 각각은 각각의 충전 단부(12, 13) 및 각각의 배출 단부(14, 15)를 갖는다. 제 1, 2 저장실(6, 7)은 적어도 배출 단부(14, 15)에서 서로 연결된다. 제 1, 2 저장실(6, 7)은 각각의 충전 단부(12, 13)와 대응 배출 단부(14, 15) 사이의 제 1, 2 길이방향 치수(16, 17)를 갖는다. 제 1 저장실(6)은 제 1 내벽(24)을 가지며 제 2 저장실(7)은 제 2 내벽(25)을 가지며, 배출 단부(14, 15)는 개구에서 배출 요소(18, 19) 안으로 열려 있다. 배기 요소(22, 23)가 개구(20, 21)의 상류측에서 제 1 또는 2 저장실(6, 7) 중의 적어도 하나의 내벽(24, 25)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저장실(6, 7)의 길이방향 치수(16, 17)의 최대 1/3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배기 장치를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MULTI-COMPONENT CARTRIDGE HAVING A 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적어도 두 성분을 동시에 분배하는데 적합한 다성분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이들 두 성분의 분배는 개별적으로 일어난다. 두 성분은 혼합물로서의도된 사용에 공급되기 위해 사용 바로 전에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다성분 카트리지는 이미 WO9105731 에 알려져 있다. 이 다성분 카트리지는 각각의 성분으로 충전될 수 있는 제 1 중공 공간 및 제 2 중공 공간을 포함한다. 제 1 중공 공간과 제 2 중공 공간은 원통으로 되어 있고 서로 옆에 배치된다. 두 중공 공간 각각은 각각의 성분이 배출될 때 통과하게 되는 배출 노즐안으로 열려 있다. 정적 혼합기가 두 배출 노즐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배출 노즐을 통해 개별적으로 배출되는 성분들은 상기 혼합기에서 서로 혼합될 수 있다. 정적 혼합기 대신에, 배출 노즐로 형성된 두 개구를 닫는 역할을 하는 폐쇄 요소가 배출 노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폐쇄 요소는 제 1, 2 중공 공간에 두 성분을 개별적으로 저장하고 또한 빛, 대기 등과 같은 환경적인 영향으로부터 두 성분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하다.
배출 노즐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제 1, 2 중공 공간의 충전 단부에 시일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시일도 마찬가지로 제 1, 2 중공 공간에 두 성분을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 시일은 제 1, 2 중공 공간을 대응하는 성분으로 충전한 다음에 충전 단부에 부착된다. 그래서 두 중공 공간 각각의 충전은 다성분 카트리지의 충전 단부에서 일어나게 된다. 시일이 그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충전 후에 시일과 대응 성분 사이에 공기가 내포되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즉 충전이 완료되기 전에 공기를 빼낼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시일은 충전이 끝난 후에 대응 성분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들 수단은 WO9105731 에 배기(venting) 홈으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 배기 홈은 충전 단부에서 제 1, 2 중공 공간의 벽에 제공된다. 이렇게 해서 충전이 왼료된 후에 시일이 대응 중공 공간에 삽입되면, 성분과 시일 사이에 있는 공기가 상기 홈을 통해 빠져 나갈 수 있다.
이 구조에서는, 대응하는 배출 노즐을 통한 충전시에는 배기 홈의 이러한 배치가 효과적이지 않아 불리하다. 배출 노즐을 통한 충전은 특히 다성분 카트리지가 사용 바로 전에 충전될 때 수행된다. 다성분 카트리지는 비어 있는 상태로 전달되며 사용 바로 전에 사용자나 중간 판매업자에 의해 대응 성분으로 충전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측에서 충전될 수 있고 충전 시작시 충전재에 의해 내포되어 있는 공기가 충전 완료 전에 빠져 나갈 수 있게 해주는 다성분 카트리지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해결 방안은 제 1 성분을 위한 제 1 저장실 및 제 2 성분을 위한 제 2 저장실을 포함하는 다성분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성분은 보관 상태에서 제 2 성분과 분리되어 있다. 제 1 저장실은 제 2 저장실의 옆에 배치되며, 제 1 피스톤이 제 1 저장실안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되며, 제 2 피스톤이 제 2 저장실안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된다. 두 성분을 동시에 분배하기 위해 제 1, 2 피스톤은 플런저와 같은 분배 수단에 의해 또는 압력 유체를 가하는 중에 움직일 수 있다.
제 1 또는 2 저장실 각각은 각각의 충전 단부 및 각각의 배출 단부를 가지며, 제 1, 2 저장실은 적어도 배출 단부에서 서로 연결되며, 제 1, 2 저장실은 대응 충전 단부와 대응 배출 단부 사이의 제 1, 2 길이방향 치수를 갖는다. 제 1 저장실은 제 1 내벽을 가지며 제 2 저장실은 제 2 내벽을 가지며, 대응하는 배출 단부는 일 개구에서 대응 배출 요소 안으로 열려 있다. 배기 요소가 상기 개구의 상류측에서 제 1 또는 2 저장실 중의 적어도 하나의 내벽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 요소는 저장실의 길이방향 치수의 최대 1/3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다성분 카트리지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배기 요소는 융기부로 형성된다. 이 배기 요소는 특히 각각의 제 1 융기부 및 각각의 제 2 융기부를 가질 수 있다. 배기 요소가 융기부로 형성되면, 대응하는 저장실의 충전시 공기의 배출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 재료와 피스톤 사이에 내포되어 있는 공기는 보통 저장실의 내벽의 근처에 위치하는 기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피스톤은 탄성 피스톤 립을 통해 저장실의 내벽과 접촉하는데, 사실은 배기 요소를 제외하고 저장실의 전체 둘레 치수를 따라 접촉하게 된다. 배기 요소가 융기부로 형성되면, 상기 피스톤 립은 융기부에 의해 생기는 내벽 표면의 만곡을 시일성 있게 따르지 못하게 된다. 이 결과, 융기부의 영역에서 내벽과 피스톤 사이에 간격 또는 틈이 형성된다. 이 틈은 너무 좁아서, 특히 충전재가 점성을 가질 때는 이 충전재가 상기 틈을 통해 배출될 수 없다. 그러나 이 틈은 충전재와 피스톤 사이에서 기포에 모인 공기가 빠져 나갈 수 있을 정도로는 충분히 넓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배기 요소는 저장실의 길이방향으로 볼 때 서로 옆에 배치되는 두개의 융기부를 포함한다. 이들 두 융기부 사이에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통로는 충전시 대응 배출구를 통해 유입하는 충전재와 이 충전재에 의해 충전 단부의 방향으로 이동될 피스톤 사이에 있는 공기를 위한 유동로를 형성한다. 융기부 사이의 통로는 특히 정확히 정해진 틈폭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도 유리하다. 이는 융기부의 높이가 적합하게 때문에 다른 유동학적 특성을 갖는 충전재에 대해 이상적인 틈폭이 각 경우 미리 설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상기 제 1, 2 피스톤 각각은 각각의 피스톤 몸체 및 피스톤 립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 립에 의해 대응 저장실의 내벽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피스톤 립은 피스톤 몸체와 저장실의 내벽 사이의 링 공간을 채우며, 배기 요소의 대응하는 융기부는 피스톤 몸체와 내벽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은 최대 높이를 갖는다.
제 1 또는 제 2 융기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리브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는 예컨대 바(bar), 돌출 가장자리 또는 비드(bead)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융기부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융기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제 1 융기부 및 대응하는 제 2 융기부 사이에 통로가 형성된다. 이 통로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면, 공기가 흐르는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유동 단면이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은 충전재와 대향하는 피스톤 표면과 반대쪽 피스톤 표면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높이를 갖는다. 배기 요소의 길이는 이 피스톤의 높이 보다 작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배기 요소는 분리벽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충전재와 피스톤 사이에 있는 공기 기포가 배기에 의해 제거되는데, 즉 충전재와 피스톤 사이의 공기 충전된 중공 공간이 없어지게 된다. 이 중공 공간에 있는 압축성 매체인 공기는 비압축성 매체인 충전재로 대체된다. 공기가 빠져 나가는 중에 압력이 감소되는데, 즉 대응하는 저장실의 내벽의 일 부분은 때때로 충전재를 포함하는 저장실의 일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 보다 낮은 압력에 노출된다. 저장실의 벽은 완전히 강성적이지 않다. 배기 중에 이 벽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저장실의 내벽은 이 제 1 저장실의 내벽에 작용하는 결과적인 힘이 제 2 저장실의 내벽에 작용하는 결과적인 힘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도록 릴리브되어야 한다. 이렇게 해서 두 결과적인 힘은 이상적인 경우에는 서로를 상쇄시키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 부분적인 균형은, 혼합비가 1:1 에서 벗어날 때, 즉 예컨대 2:1, 4:1 또는 심지어 10:1 일 때 이루어진다. 제 1 성분의 양이 제 2 성분의 10 배이면, 충전재와 피스톤 사이에 내포되어 있는 제 1 성분의 공기는 제 2 성분의 내포된 공기의 수배에 달할 것이다. 상기 결과적인 힘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균형을 이루면, 저장실의 벽의 찌그러짐을 피할 수 있다. 이러한 찌그러짐은 피스톤을 기울어지게 하여 극단적인 경우에는 충전재의 누출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불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실은 제 1 길이방향 축선을 가지며 제 2 저장실은 제 2 길이방향 축선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배기 요소는 대응하는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저장실 각각은 둘레 치수를 가지며, 배기 요소는 대응하는 저장실의 둘레 치수의 최대 1/20, 바람직하게는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0 의 폭을 갖다.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피스톤 립이 내벽으로부터 오르는 두 위치는 가능한 서로 가까워야 하므로 배기 요소의 폭은 특히 제한된다. 그리 하여, 둘레 방향으로 작용하는 결과적인 힘들은 실질적으로 서로를 상쇄시키게 된다. 배기 요소의 폭이 작으면, 제 1 둘레점과 제 2 둘레점에서의 접선들이 대응 내벽의 둘레 치수에서 서로 작은 각도만 이루게 된다. 이 결과, 둘레 방향으로 작용하고 또한 이들 접선을 따라 서로 반대로 향하는 힘들이 대부분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된다.
배기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실의 직경의 최대 1%, 바람직하게는 0.5%,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의 높이를 갖는다. 높이가 더 크면, 이 개구를 통한 충전재의 배출이 더 이상 배제되지 않을 수 있는 정도로 피스톤 립이 대응 저장실의 내벽으로부터 멀리 오르게 될 것이다.
축방향 힘과 둘레 방향 힘의 균형을 더 개선시키기 위해, 배기 요소는 제 1 융기부와 제 2 융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융기부 및 제 2 융기부는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제 1 융기부와 제 2 융기부 사이의 상기 간격은 대응하는 저장실의 둘레 치수의 최대 1/20, 바람직하게는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0 이다.
상기 배기 요소는 길이방향 축선 쪽으로 경사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충전재의 배출 경로가 더 커지기 때문에 충전재의 배출이 추가적으로 더 어렵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저점성 충전재에 대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재는 피스톤 립과 배기 요소의 대응 융기부 사이의 개구안으로 들어가지만 배출 경로에서 지연되는데, 그래서 충전재가 대응하는 제 1, 2 충전 단부의 방향으로 피스톤 립을 넘어 배출될 수 있기 전에 피스톤 립이 배기 요소의 끝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배기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요소는 가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배기 요소의 길이에 걸쳐 가변적인 폭을 가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다성분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다성분 카트리지의 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 3a 는 도 1 에 따른 다성분 카트리지의 배출구 영역에서의 상세도이다.
도 3b 는 도 3a의 상세도이다.
도 4a 는 도 1 에 따른 다성분 카트리지의 배출구의 상세도이다.
도 4b 는 도 4a의 상세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6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장치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성분 카트리지(1)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다성분 카트리지는 특히 함께 사용되기 전에는 서로 접촉하지 않을 수 있는 적어도 두개의 성분을 포함하는 충전재를 계량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다성분 카트리지(1)는 제 1 성분(8)을 위한 제 1 저장실(6) 및 제 2 성분(9)을 위한 제 2 저장실(7)을 포함한다. 두 성분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저장실(6)은 제 2 저장실(7)과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접촉하자 마자 상호 작용하게 되며, 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성분들의 이 상호 작용은 적용에 필요한 효과이지만, 성분들이 보관되고 있는 중이면 이 상호 작용은 요망되지 않는다. 각 성분은 물론 복수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다성분 카트리지는 부분적으로 충전 상태(이하, 보관 상태라고 함)에서 보관된다. 보관 상태의 전체 기간 동안 두 성분(8, 9)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상기 다성분 카트리지는 제 1 충전 단부(12)와 제 2 충전 단부(13)를 포함하며, 이들 충전 단부를 통해 제 1 피스톤(3)과 제 2 피스톤(4)이 대응하는 제 1 저장실(6)과 제 2 저장실(7)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제 1 피스톤(3)은 제 1 저장실(6)안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된다. 제 2 피스톤(4)은 제 2 저장실(7)안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된다. 제 1 저장실(6)안에 들어 있는 충전재, 즉 제 1 성분(8)이 배출되어야 할 때, 제 1 피스톤(3)은 저장실(6)의 제 1 내벽(24)을 따라 제 1 배출 단부(14)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제 2 저장실(7)안에 들어 있는 충전재, 즉 제 2 성분(9)이 배출되어야 할 때, 제 2 피스톤(4)은 제 2 저장실(7)의 제 2 내벽(25)을 따라 제 2 배출 단부(15)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제 1 성분(8)과 제 2 성분(9)은 이 경우 투명한 충전재로 형성되며, 따라서 제 1, 2 배기 요소(22, 23)의 배치를 더욱 쉽게 볼 수 있다.
제 1, 2 피스톤(3, 4)는 예컨대 플런저(미도시)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이 플런저는 특히 제 1, 2 피스톤(3, 4)에 있도록 설계된다. 성분(8, 9)이 동시에 분배될 때, 플런저의 도움으로, 제 1 피스톤(3)은 제 1 충전 단부(12)로부터 제 1 배출 단부(14)의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 2 피스톤(4)은 제 2 충전 단부(13)로부터 제 2 배출 단부(15)로 움직이게 된다.
제 2 저장실(7)에 대한 제 1 저장실(6)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제 1, 2 저장실(6, 7)은 적어도 배출 단부(14, 15)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저장실(6)은 제 1 충전 단부(12)와 제 1 배출 단부(14) 사이의 제 1 길이방향 치수(16)를 가지며, 제 2 저장실(7)은 제 2 충전 단부(13)와 제 2 배출 단부(15) 사이의 제 2 길이방향 치수(17)를 갖는다. 제 1 저장실(6)은 제 1 내벽(24)을 가지며 제 2 저장실(7)은 제 2 내벽(25)을 갖는다. 제 1, 2 내벽(24, 25)은 대응하는 저장실(6, 7)을 둘러싼다.
저장실(6, 7)의 각 배출 단부(14, 15)는 배출 요소(18, 19) 안으로 열려 있으며, 이 배출 요소는 대응하는 제 1 개구(20)와 제 2 개구(21)를 가지며, 이들 개구는 도 2 에서 볼 수 있다. 그래서 제 1 성분(8)은 제 1 저장실(6)에서 제 1 배출 요소(18) 안으로 방출되어 제 1 개구(20)를 통해 안내된다. 따라서 이는 제 2 배출 요소(19) 안으로 배출되어 제 2 개구(21)를 통해 안내되는 제 2 성분(9)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제 1, 2 개구(20, 21) 다음에서 제 1, 2 성분(8, 9)의 두 스트랜드가 형성되는데, 이 스트랜드는 이 형태로 적용에 공급되거나 또는 이의 대안으로 혼합기에 보내지는데, 이 혼합기는 제 1, 2 배출 요소(18, 19)에 연결되어 있고 이 혼합기 안에서 상기 두 스트랜드가 서로 혼합된다.
배기 요소(22, 23)가 대응 개구(20, 21)의 상류측에서 제 1 저장실(6) 또는 제 2 저장실(7) 중의 적어도 하나의 내벽(24, 25)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배기 요소(22, 23)는 대응하는 저장실(6, 7)의 길이방향 치수(16, 17)의 최대 1/3 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대응 피스톤(3, 4)과 충전재 사이에 있는 공기가 대응 저장실(6, 7)에서 빠져나갈 수 있게 해준다. 이와 관련하여 다성분 카트리지는 제 1 배출 요소(18) 또는 제 2 배출 요소(19)를 통해 충전된다. 충전 전에, 피스톤(3, 4)은 제 1 배출 단부(14) 또는 제 2 배출 단부(15)로부터 가능한 최소의 거리에 있는 위치에 있게 된다. 피스톤의 이 위치에서, 단지 소량의 공기만 대응 피스톤(3, 4)과 여기서 대응하는 제 1 및 2 개구(18, 19)(도 2 에 나타나 있음)를 갖는 벽으로 형성된 배출 단부(14, 15) 사이에 위치된다.
제 1 성분(8)과 제 2 성분(9)이 대응 저장실(6, 7) 안으로 들어가면, 대응 피스톤(3, 4)과 충전재 사이에 있던 공기가 압축되어 피스톤(3, 4)과 내벽(24, 25) 사이에서 배기 요소로 형성된 중간 공간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배기 요소(22, 23)는 특히 도 3a 또는 4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융기부(37, 38, 39, 40)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 에 따른 배기 요소(60) 또는 도 6 에 따른 배기 요소(61) 역시 융기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2 및 3a 또는 3b 에 따른 실시 형태의 제 1 배기 요소(22)는 각 경우 제 1 융기부(37)와 제 2 융기부(38)를 포함한다. 도 1, 2 및 4a 또는 4b 에 따른 제 2 배기 요소는 각 경우 제 1 융기부(39)와 제 2 융기부(40)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 1, 2 피스톤(3, 4) 중의 적어도 하나는 각 경우 피스톤 몸체(33, 34) 및 피스톤 립(35, 36)을 포함하며, 피스톤(3, 4)은 피스톤 립에 의해 대응 저장실(6, 7)의 대응 내벽(24, 25)과의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피스톤 립(35, 36)은 충전재를 위한 시일을 형성하며, 이 시일에 의해 충전재가 저장실에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피스톤 립(35, 36)은 피스톤 몸체(33, 34)와 저장실(6, 7)의 내벽 사이의 링 공간을 채우게 된다.
피스톤 립(35, 36)과 내벽(24, 25) 사이의 접촉은 배기 요소(22, 23)의 영역에서는 차단된다. 배기 요소는 특히 융기부(37, 38, 39, 40)로 형성된다. 피스톤 립은 이 융기부에 놓이지만, 이 융기부의 범위를 시일링성 있게 따르지는 못하며, 그래서 상기 중간 공간이 남아 존재하게 된다. 배기 요소(22, 23)의 대응하는 융기부(37, 38, 39, 40)는 특히 이 목적으로 내벽(24, 25)과 피스톤 몸체(33, 34)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은 최대 높이(52, 53)를 갖는다. 피스톤 몸체(33, 34)는 대응하는 저장실(6, 7)의 직경 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피스톤 몸체(33, 34)는 대응하는 저장실(6, 7)의 내부에서 비접촉식으로 슬라딩하며, 피스톤(3, 4)과 대응 저장실(6, 7) 사이의 유밀한(fluid-tight) 접촉이 피스톤 립(35, 36) 사이에 이루어진다.
제 1 피스톤(3)은 제 1 높이(44)을 가지며 제 2 피스톤(4)은 제 2 높이(45)를 갖는다. 대응하는 배기 요소(22, 23)의 길이(42, 43)는 피스톤의 대응 높이(44, 45) 보다 작다. 피스톤(3, 4)이 끝 위치(이 위치에서 대응 배출 단부(14, 15)에 가장 가까이 있게 됨)에 있을 때 배기 요소의 길이(42, 43)는 피스톤 립(35, 36)과 대응 배출 단부(14, 15) 사이의 간격 보다 크게 된다.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저장실(6)은 제 2 저장실(7)의 옆에 배치된다. 제 1 저장실(6)은 분리벽(28)에 의해 제 2 저장실(7)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따라서 두 성분(8, 9)은 개별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 제 1 저장실(6)은 길이방향 축선(26)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제 2 저장실(7)은 길이방향 축선(27)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 1 저장실(6)과 제 2 저장실(7)은 제 1 배출 단부(14)에서 제 1 배출구(10) 안으로 열려 있고 제 2 배출 단부(15)에서는 제 2 배출구(11) 안으로 열려 있다.
제 1, 2 성분(8, 9)은 제 1 배출구(10) 및 제 2 배출구(11)를 통해 혼합기(여기서는 미도시)에 보내질 수 있다. 복수의 제 1 배출구 또는 복수의 제 2 배출구가 또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들 배출구 사이에는 바가 형성된다.
도 1, 2, 3a 및 4a 에 따르면, 배기 요소(22, 23)는 분리벽(28)의 반대쪽에 배치된다. 이는 분리벽(28)에서 가능한 멀리 있는 지점에서 배기가 일어남을 의미한다.
제 1 저장실(6)은 제 1 길이방향 축선(26)을 가지며 제 2 저장실(7)은 제 2 길이방향 축선(27)을 가지며, 도 1 ? 4b 중의 하나에 따르면 배기 요소(22, 23)는 대응하는 길이방향 축선(26, 27)에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공기가 대응 길이방향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방출된다.
저장실(6, 7) 각각은 둘레 치수(31, 32)를 가지며, 배기 요소(22, 23)는 대응하는 저장실(6, 7)의 둘레 치수(31, 32)의 최대 1/20, 바람직하게는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0 의 폭을 갖는다.
배기 요소(22, 23)는 특히 저장실(6, 7)의 직경의 최대 1%, 바람직하게는 0.5%,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의 높이를 갖는다.
제 1 융기부(37, 39) 및 제 2 융기부(38, 40)는 서로 간격(46, 47)을 두고 배치되며, 제 1 융기부(37, 39) 및 제 2 융기부(38, 40) 사이의 상기 간격(46, 47)은 대응하는 저장실(6, 7)의 둘레 치수(31, 32)의 최대 1/20, 바람직하게는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0 이다.
도 3a 는 제 1, 2 배출구(10, 11)의 영역에서 도 1 에 따른 다성분 카트리지의 상세도를 나타낸다. 제 1 배기 요소(22)는 제 1 저장실(6)의 부분적으로 나타난 제 1 내벽(24)을 따라 나타나 있다.
도 3b 는 도 3a의 상세도로, 배기 요소(22)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 1 융기부(37, 38) 중의 하나는 특히 리브로 형성된다. 제 1 융기부(37)는 제 2 융기부(38)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제 1 융기부(37)와 제 2 융기부(38) 사이에 통로(29)가 형성되어 있다.
도 4a 는 도 1 에 따른 다성분 카트리지의 제 2 배출구(11)의 상세도이다. 제 2 배기 요소(23)는 제 2 저장실(7)의 부분적으로 나타나 있는 제 2 내벽(25)을 따라 나타나 있다.
도 4b 는 도 4a 의 상세도로, 제 2 배기 요소(23)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 2 융기부(39, 40) 중의 하나는 특히 리브로 형성된다. 제 1 융기부(39)는 제 2 융기부(40)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제 1 융기부(39)와 제 2 융기부(40) 사이에 통로(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길이방향 축선(26, 27)에 대해 경사진 적어도 하나의 부분(41, 48, 49)를 갖는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배기 요소(22, 23)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50, 51)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41, 48, 49)을 갖는다.
앞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배기 요소(22, 23)는 가변적인 높이(52, 53)를 가질 수 있다.
앞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배기 요소(22, 23)는 그의 길이(42, 43)에 결쳐 가변적인 폭(54, 55)을 갖는다.

Claims (14)

  1. 제 1 성분(8)을 위한 제 1 저장실(6) 및 제 2 성분(9)을 위한 제 2 저장실(7)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저장실(6)은 제 2 저장실(7)과 분리되어 있고, 제 1 저장실(6)은 제 2 저장실(7)의 옆에 배치되며, 제 1 피스톤(3)이 제 1 저장실(6)안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되며, 제 2 피스톤(4)이 제 2 저장실(7)안에 움직일 수 있게 수용되고, 제 1 또는 2 저장실 각각은 각각의 충전 단부(12, 13) 및 각각의 배출 단부(14, 15)를 가지며, 제 1, 2 저장실(6, 7)은 적어도 배출 단부(14, 15)에서 서로 연결되며, 제 1, 2 저장실(6, 7)은 대응 충전 단부(12, 13)와 대응 배출 단부(14, 15) 사이의 제 1, 2 길이방향 치수(16, 17)를 가지며, 제 1 저장실(6)은 제 1 내벽(24)을 가지며 제 2 저장실(7)은 제 2 내벽(25)을 가지며, 대응하는 배출 단부(14, 15)는 제 1 개구(20)에서 제 1 배출 요소(18) 안으로 열려 있고 제 2 개구(21)에서는 제 2 배출 요소(19) 안으로 열려 있는 다성분 카트리지(17)에 있어서,
    배기 요소(22, 23)가 대응 개구(20, 21)의 상류측에서 제 1 또는 2 저장실(6, 7) 중의 적어도 하나의 내벽(24, 25) 중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저장실(6, 7)의 길이방향 치수(16, 17)의 최대 1/3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며, 피스톤은 높이(44, 45)를 가지며, 배기 요소(22, 23)의 길이(42, 43)는 피스톤의 높이(44, 45)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성분 카트리지(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융기부(37, 38, 39, 40)로 형성되는 다성분 카트리지(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기 요소(22)는 각각의 제 1 융기부(37, 39)를 포함하고, 제 2 배기 요소(23)는 각각의 제 2 융기부(38, 40)를 포함하는 다성분 카트리지(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2 피스톤(3, 4) 각각은 각각의 피스톤 몸체(33, 34) 및 피스톤 립(35, 36)을 가지며, 상기 피스톤(3, 4)은 상기 피스톤 립에 의해 대응 저장실(6, 7)의 내벽(24, 25)과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피스톤 립(35, 36)은 피스톤 몸체(33, 34)와 저장실(6, 7)의 내벽 사이의 링 공간을 채우며, 배기 요소(22, 23)의 대응하는 융기부(37, 38, 39, 40)는 피스톤 몸체(33, 34)와 내벽(24, 25)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은 최대 높이(52, 53)를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융기부(37, 38, 39, 40) 중의 적어도 하나는 리브로 형성되어 있는 다성분 카트리지(1).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융기부(37, 39)는 제 2 융기부(38, 40)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어, 제 1 융기부(37, 39) 및 대응하는 제 2 융기부(38, 40) 사이에 통로(29, 30)가 형성되는 다성분 카트리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분리벽(28)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다성분 카트리지(1).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장실(6)은 제 1 길이방향 축선(26)을 가지며 제 2 저장실(7)은 제 2 길이방향 축선(27)을 가지며,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대응하는 길이방향 축선(26, 27)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 다성분 카트리지(1).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저장실(6, 7) 각각은 둘레 치수(31, 32)를 가지며, 배기 요소(22, 23)는 대응하는 저장실(6, 7)의 둘레 치수(31, 32)의 최대 1/20, 바람직하게는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0 의 폭을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기 요소(22, 23)는 저장실(6, 7)의 직경의 최대 1%, 바람직하게는 0.5%, 특히 바람직하게는 0.25%의 높이를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융기부(37, 39) 및 제 2 융기부(38, 40)는 서로 간격(46, 47)을 두고 배치되며, 제 1 융기부(37, 39)와 제 2 융기부(38, 40) 사이의 상기 간격(46, 47)은 대응하는 저장실(6, 7)의 둘레 치수(31, 32)의 최대 1/20, 바람직하게는 1/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0 인 다성분 카트리지.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길이방향 축선(26, 27)에 대해 경사져 있고/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50, 51)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41, 48, 49)을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가변적인 높이(52, 53)를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요소(22, 23)는 그의 길이(42, 43)에 걸쳐 가변적인 폭(54, 55)을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KR1020117030116A 2009-06-18 2010-05-31 배기 장치를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Expired - Fee Related KR101703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3156 2009-06-18
EP09163156.4 2009-06-18
PCT/EP2010/057512 WO2010145932A1 (de) 2009-06-18 2010-05-31 Mehrkomponentenkartusche mit entlüftun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541A true KR20120039541A (ko) 2012-04-25
KR101703786B1 KR101703786B1 (ko) 2017-02-07

Family

ID=4125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11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3786B1 (ko) 2009-06-18 2010-05-31 배기 장치를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640922B2 (ko)
EP (1) EP2443045B1 (ko)
JP (1) JP5718326B2 (ko)
KR (1) KR101703786B1 (ko)
CN (1) CN102482024B (ko)
AU (1) AU2010261996C1 (ko)
BR (1) BRPI1014122A2 (ko)
CA (1) CA2765795A1 (ko)
ES (1) ES2445530T3 (ko)
IL (1) IL216983A0 (ko)
RU (1) RU2012101628A (ko)
SG (1) SG176779A1 (ko)
TW (1) TW201103643A (ko)
WO (1) WO2010145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14077B (zh) * 2017-10-17 2018-12-18 浙江福赐德生物科技有限公司 实验用短暂性存储膏体的弹性囊结构
CN110803402B (zh) * 2020-01-08 2020-04-24 烟台虹月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方便取用的乳化剂存储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602A (en) * 1970-10-26 1974-08-06 A Nicholls Dual tubular dispens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4250A1 (de) * 1982-09-15 1984-03-15 Hilti AG, 9494 Schaan Handgeraet zum abgeben von mehrkomponenten-massen
DE3725291A1 (de) * 1987-07-30 1989-02-09 Hilti Ag Kartuschenmagazin fuer fliessfaehige massen
WO1991005731A1 (en) * 1989-10-16 1991-05-02 Plas-Pak Industries, Inc. Cartridge system for dispensing predetermined ratios of semi-liquid materials
CA2041323C (en) * 1990-09-14 2001-01-09 Henry M. Pinto Antinesting preforms for blow-molded articles
US5443181A (en) * 1992-09-19 1995-08-22 Hilti Aktiengesellschaft Cartridge and piston for dispensing mass
ES2126768T3 (es) * 1993-08-20 1999-04-01 Wilhelm A Keller Aparato medidor de multiples componentes y dosificador correspondiente con conjuntos envase plegables.
DE29501255U1 (de) * 1995-01-27 1995-03-09 Hilti Ag, Schaan Folienbeutelpackung mit Folienbeutel und Bodenteil
US5779108A (en) * 1995-06-15 1998-07-14 Calmar Inc. Pressure venting trigger sprayer
US5813784A (en) * 1996-10-03 1998-09-29 Owens-Illinois Closure Inc. Solid deodorant sampler package
US5711457A (en) * 1996-10-10 1998-01-27 Calmar Inc. Trigger sprayer for dispensing liquids combined from separate compartments
ES2143904B1 (es) * 1996-12-18 2001-01-01 Calmar Monturas Sa "dispensador"
US5738252A (en) * 1997-04-28 1998-04-14 Calmar Inc. Upright/inverted sprayer
JP2000072190A (ja) * 1998-08-27 2000-03-07 Mitsubishi Pencil Co Ltd 流動性物質供給用ディスペンサ
FR2791648B1 (fr) * 1999-04-02 2001-05-25 Oreal Distributeur portatif pour le conditionnement et la distribution de produits cosmetiques colores
WO2001017869A1 (en) * 1999-09-09 2001-03-15 Sashco, Inc. Packaging for multi-component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DE03739058T1 (de) * 2003-06-09 2007-02-08 Tah Industries, Inc. Zweifachflüssigkeitskartusche
DE10342090B4 (de) * 2003-09-10 2007-06-06 Heraeus Kulzer Gmbh Verschlusskolben für Kartuschen mit Entlüftung und Barriereeigenschaften
US7337916B2 (en) * 2003-12-29 2008-03-04 Sonoco Development, Inc. Pressure/moisture release cooking container
JP4554342B2 (ja) * 2004-11-29 2010-09-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蓄圧式二液噴霧器
DE202005000929U1 (de) * 2005-01-20 2005-03-31 Kettenbach Gmbh & Co Kg Vorrichtung zum Lagern und Austragen fluider Substanzen
EP1728560A1 (en) * 2005-06-03 2006-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for storing and dispensing of a substance
KR20080113024A (ko) * 2006-03-01 2008-12-26 메드믹스 시스템즈 아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 이중 주사기
JP5087072B2 (ja) * 2006-03-24 2012-11-28 メッドミックス システムズ アーゲー 取外し可能に取付けできる付属部品を有する送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602A (en) * 1970-10-26 1974-08-06 A Nicholls Dual tubular dispens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61996C1 (en) 2014-12-11
RU2012101628A (ru) 2013-07-27
US20120080447A1 (en) 2012-04-05
TW201103643A (en) 2011-02-01
EP2443045A1 (de) 2012-04-25
KR101703786B1 (ko) 2017-02-07
IL216983A0 (en) 2012-02-29
EP2443045B1 (de) 2014-01-22
CN102482024A (zh) 2012-05-30
AU2010261996A1 (en) 2012-01-19
ES2445530T3 (es) 2014-03-03
AU2010261996B2 (en) 2014-07-17
CN102482024B (zh) 2013-12-04
SG176779A1 (en) 2012-01-30
CA2765795A1 (en) 2010-12-23
BRPI1014122A2 (pt) 2016-04-12
JP2012530022A (ja) 2012-11-29
JP5718326B2 (ja) 2015-05-13
WO2010145932A1 (de) 2010-12-23
US8640922B2 (en)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764B2 (en) Piston securing device
US20100200617A1 (en) Cartridge piston with venting device
CN103998148B (zh) 筒、用于制造这样的筒的方法以及多组分筒
EP1633672B1 (en) Dual fluid cartridge assembly
FI66545B (fi) Anordning foer utmaetning av en- eller flerkomponentmassor
US20120061424A1 (en) Cartridge piston
CN103998149B (zh) 筒和多组分筒
US67057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and dispensing components of a composition
US20080195082A1 (en) Syringe for a Multi-Component Paste
CN107073510B (zh) 用于筒的活塞、筒和对筒进行排气的方法
JP2013111574A (ja) スタティック・ミキサ用の混合要素
US10086395B2 (en) Dispenser
US8567620B2 (en) Container having a shock-absorbing element
CN102050275B (zh) 带有一体的封闭盖的筒
KR20120039541A (ko) 배기 장치를 갖는 다성분 카트리지
KR20120028925A (ko) 일회용 다성분 카트리지
JP7203109B2 (ja) ピストン、カートリッジ及びカートリッジから空気抜きする方法
KR20110046250A (ko) 통합형 밀폐 캡을 구비한 카트리지
KR20110046251A (ko) 충격 흡수 요소를 구비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12